<colbgcolor=#321866><colcolor=#ffffff> 네뷸러 상 Nebula Award | |
| |
시상 | Science Fiction and Fantasy Writers of America |
첫 시상연도 | 1966년 |
링크 |
1. 개요
네뷸러상은 1966년부터 시작한 문학상으로 미국 SF 판타지 작가 협회(SFWA)가 주최한다. 휴고상과 함께 권위있는 SF 문학상 중 하나이다. 단어수 7,500개 미만은 Short Story, 7,500개 이상 17,500개 미만은 Novelette, 17,500개 이상 40,000개 미만은 Novella, 40,000개 이상부터 소설(Novel)로 취급한다.[1] 휴고상과 좋은 의미에서 딱 정반대 같은 느낌인 상인데, 휴고상과 네뷸러상은 투표 방식이 다르다. 휴고상은 세계SF대회(월드콘)에서 투표를 통해 선정되며 참여 인원은 수백에서 수천 명에 이른다. 반면 네뷸러상은 소수의 협회원들이 전문가 자격으로 투표하는, 여타 문학상과 유사한 형태다. 즉 네뷸러상과 휴고상을 둘 다 받은 작품(ex: 듄이나 라마와의 랑데부)은 대중과 평론가를 모두 만족시킨 레전드 SF라는 것이 된다.2. 수상 부문
- 최우수 장편(Best Novel): 40,000단어 이상의 장편 소설
- 최우수 중편(Best Novella): 17,500단어 이상에서 40,000단어 미만의 중편 소설
- 최우수 중단편(Best Novelette): 7,500단어 이상에서 17,500단어 미만의 중단편 소설
- 최우수 단편(Best Short Story): 7,500단어 미만의 단편 소설
- 안드레 노튼상(Andre Norton Nebula Award for Middle Grade and Young Adult Fiction): 그래픽 노블을 포함한 아동 및 청소년 소설
- 레이 브래드버리상(Ray Bradbury Nebula Award for Outstanding Dramatic Presentation): 영화나 텔레비전, 인터넷, 라디오, 오디오, 연극 등의 극적인 것
- 최우수 게임 각본(Best Game Writing): 내러티브나 캐릭터, 배경 설정을 전달하는 상호작용이나 플레이가 가능한 스토리 중심 작품
2.1. 중단된 부문
3. 관련된 다른 상들
- 케이트 윌헬름 지점상 (Kate Wilhelm Solstice Award)
- 케빈 오도넬 주니어 SFWA 봉사상 (Kevin O'Donnell, Jr. Service to SFWA Award)
===# 데이먼 나이트 그랜드 마스터상 #===
미국 SF판타지작가협회(SFWA) 선정 그랜드 마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 1대 (1975년) | 2대 (1976년) | 3대 (1977년) | 4대 (1979년) | 5대 (1981년) |
로버트 A. 하인라인 | 잭 윌리엄슨 | 클리퍼드 D. 시맥 | L. 스프레이그 드 캠프 | 프리츠 라이버 | |
6대 (1984년) | 7대 (1986년) | 8대 (1987년) | 9대 (1988년) | 10대 (1989년) | |
안드레 노튼 | 아서 C. 클라크 | 아이작 아시모프 | 알프리드 베스터 | 레이 브래드버리 | |
11대 (1991년) | 12대 (1993년) | 13대 (1995년) | 14대 (1996년) | 15대 (1997년) | |
레스터 델 레이 | 프레데릭 폴 | 데이먼 나이트 | A. E. 밴보트 | 잭 밴스 | |
16대 (1998년) | 17대 (1999년) | 18대 (2000년) | 19대 (2001년) | 20대 (2003년) | |
폴 앤더슨 | 할 클레멘트 | 브라이언 W. 올디스 | 필립 호세 파머 | 어슐러 K. 르 귄 | |
21대 (2004년) | 22대 (2005년) | 23대 (2006년) | 24대 (2007년) | 25대 (2008년) | |
로버트 실버버그 | 앤 맥카프리 | 할란 엘리슨 | 제임스 E. 건 | 마이클 무어콕 | |
26대 (2009년) | 27대 (2010년) | 28대 (2012년) | 29대 (2013년) | 30대 (2014년) | |
해리 해리슨 | 조 홀드먼 | 코니 윌리스 | 진 울프 | 새뮤얼 딜레이니 | |
31대 (2015년) | 32대 (2016년) | 33대 (2017년) | 34대 (2018년) | 35대 (2019년) | |
래리 니븐 | C. J. 체리 | 제인 욜렌 | 피터 S. 비글 | 윌리엄 깁슨 | |
36대 (2020년) | 37대 (2021년) | 38대 (2022년) | 39대 (2023년) | 40대 (2024년) | |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 네일로 홉킨슨 | 메르세데스 래키 | 로빈 맥킨리 | 수잔 쿠퍼 | |
41대 (2025년) | 42대 (2026년) | 43대 (2027년) | 44대 (2028년) | 45대 (2029년) | |
니컬라 그리피스 | - | - | - | - |
Damon Knight Grand Master Award
1975년부터 시작한 평생명예상. 2002년부턴 그해 사망한 SFWA의 설립자 데이먼 나이트의 이름을 따서 "데이먼 나이트 그랜드 마스터상"으로 불리게 되었다.
- 1974년 로버트 A. 하인라인
- 1975년 잭 윌리엄슨 (Jack Williamson)
- 1976년 클리퍼드 D. 시맥 (Clifford D. Simak)
- 1978년 L. 스프레이그 드 캠프 (L. Sprague de Camp)
- 1980년 프리츠 라이버
- 1983년 안드레 노튼 (Andre Norton)
- 1990년 레스터 델 레이
- 1992년 프레데릭 폴
- 1994년 데이먼 나이트 (Damon Knight)
- 1995년 A. E. 밴보트
- 1996년 잭 밴스
- 1997년 폴 앤더슨
- 1998년 할 클레멘트
- 1999년 브라이언 W. 올디스
- 2000년 필립 호세 파머
- 2002년 어슐러 K. 르 귄
- 2003년 로버트 실버버그
- 2004년 앤 맥카프리 (Anne McCaffrey)
- 2005년 할란 엘리슨
- 2006년 제임스 E. 건 (James E. Gunn)
- 2007년 마이클 무어콕
- 2008년 해리 해리슨
- 2009년 조 홀드먼
- 2011년 코니 윌리스
- 2012년 진 울프
- 2013년 새뮤얼 딜레이니
- 2014년 래리 니븐
- 2015년 C. J. 체리 (C. J. Cherryh)
- 2016년 제인 욜렌 (Jane Yolen)
- 2017년 피터 S. 비글 (Peter S. Beagle)
- 2018년 윌리엄 깁슨
- 2019년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 2020년 네일로 홉킨슨 (Nalo Hopkinson)
- 2021년 메르세데스 래키 (Mercedes Lackey)
- 2022년 로빈 맥킨리 (Robin McKinley)
- 2023년 수잔 쿠퍼 (Susan Cooper)
- 2024년 니컬라 그리피스 (Nicola Griffith)
3.1. 인피니티상
Infinity Award위의 그랜드 마스터로 선정될만 하나 이미 사망한 창작자들을 기리는 상. 2023년부터 시작했다.
- 2022년 옥타비아 E. 버틀러
- 2023년 타니스 리 (Tanith Lee)
[1] Nebula Rules[2] 1977년과 78년에는 '드라마틱 프리젠테이션 특별상'(Special Dramatic Presentation Aw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