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造語
언어 또는 단어를 만듦. 인공어 등의 새로운 언어를 통째로 만드는 걸 뜻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이미 있는 언어에 새로운 어휘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새로운 어휘를 만들고 이해하기가 쉬운 정도를 조어력(造語力)이라고 한다. 한문, 라틴어, 영어, 러시아어, 독일어 등이 조어력이 좋은 언어로 꼽힌다.2. 祖語
역사비교언어학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DEB887,#261f16><colcolor=#fff> 음운 변화 | 그림의 법칙 · 베르너의 법칙 · 제2차 자음 추이 · 모음 변화(대모음 추이) |
분류 | 어족(언어) · 어파 · 어군 · 미분류 언어 · 고립어 | |
제어 | 우랄 알타이 제어 · 알타이 제어 · 코이산 제어 · 대만 제어 · 고시베리아 제어 · 고유럽 제어 · 인도유럽 이전 언어 · 아메리카 원주민 제어 · 유대 제어 | |
기층 언어 | 게르만어파 기층설 · 바스크어 기층설 · 고히스파니아 제어 · 게일어 기층설 · 그리스어 기층설 · 반도 일본어설 · 핀우그르어파 기층설 | |
개념 | 언어의 역사성 · 조어 · 기층이론 · 동원어 · 가짜동족어 | }}}}}}}}} |
조상언어(祖上言語, Proto-language)의 준말이다. 간혹 당대의 문자 기록이 남아있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어족이 같은 언어들을 비교 재구(比較 再構, comparative reconstruction)[1]함으로 이뤄진다. 비교 재구의 근거는 크게 두 가지 전제를 까는데 첫째는 같은 언어에서 분화된 언어는 서로 발음이 유사한데 이는 같은 어휘가 시간에 따라 바뀌어갔기 때문이고 둘째로 비슷한 발음의 변화는 규칙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를 근거로 발음의 변화와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을 비교해가면서 원형을 추론해가는 방식. 중세 국어를 연구할 때 방언이나 알타이 제어로 차용된 어휘를 재구에 많이 활용한다.
- 인류조어(Proto-Human language): 현존하는 현생 인류의 언어들의 궁극적인 공통조상이라고 하나, 그 실존 여부는 불분명하다.
- 데네캅카스조어(Proto-Dené–Caucasian language): 데네캅카스어족의 조상언어.
- 원시 아프리카아시아어(Proto-Afroasiatic language): 셈조어(Proto-Semitic language)와 베르베르조어(Proto-Berber language)로 나뉜다.
-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Proto-Austronesian language):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조상언어.
- 인도유럽조어(Proto-Indo-European language): 인도유럽어족의 조상언어로, 언어학사상 가장 많이 연구된 조어이며, 라틴어를 제외하면 대중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조어다. 자세한 것은 문서와 위키백과 참고.
- 이탈리아조어(Proto-Italic language): 현대 이탈리아어와는 다른 언어로, 라틴어가 속한 이탈리아어파의 조상언어다.
- 게르만조어(Proto-German language): 게르만어파의 조상언어. 그림 동화로 유명한 언어학자 그림 형제가 이 언어를 처음 재구해내었다[4].
- 발트슬라브조어(Proto-Balto-Slavic language): 발트어파와 슬라브어파로 구성된 언어군인 발트슬라브어파의 조상언어다.
- 산스크리트어(Sanskrit): 힌디어 등 인도아리아어군의 조상언어.
- 우랄조어(Proto-Uralic language): 우랄어족의 조상언어.
- 핀조어(Proto-Finnic language):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등 발트핀어군의 조상언어.
- 사모예드조어(Proto-Samoyedic language): 사모예드어파의 조상언어.
- 몽몐조어(Proto-Hmong-Mien language): 몽몐어족의 조어로, 달리 먀오야오조어(Proto-Miao-Yao language)라고도 한다. 초나라의 공용어였던 초어와 동일한 언어라는 설이 있다.
- 원시 튀르크어(Proto-Turkic language): 튀르크어족의 조상언어.
- 상고한어: 현존하는 중국어 방언을 개별 언어로 보는 관점을 따른다면, 상고한어 역시 중국 제어들의 조어로 볼 수 있다. 한문의 바탕이 되는 언어로, 20세기 이전까지 동아시아에서 중세 유럽에서의 라틴어와 비슷한 위상을 가진 고전어이자 문어의 역할을 했다.
- 원시 민어(Proto-Min): 현존하는 민 계열 방언의 조상언어. 대략 후한 말에서 동진 시기쯤에 상고한어에서 분화된 것으로 예상된다. 이 언어로 쓰여진 문헌이나 구체적으로 존재를 추증할 만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으나, 현존하는 민 계열 방언 간의 대조를 통해 원시 민어의 음운구조를 재구할 수는 있다.
- 중고한어: 만기상고한어에서 먼저 분화한 민 계열 방언들을 제외한 중국어 방언의 공통조어에 해당한다. 중고한어가 통용되던 당시의 음운서를 통해 비교적 잘 재구될 수 있으나, 성조의 발음과 같은 몇몇 특성은 판단할 근거가 부족하여 불명확한 부분으로 남아있다.
[1] 재구는 재구성이라 생각하면 된다.[2] 라틴어를 공용어로 쓰던 고대 로마인들과 중세 시대 유럽의 기독교 성직자들, 그리고 근현대의 여러 분야의 학자들에 의해서 꾸준하게 기록되어 왔다.[3] 정확히는 특정 언어군의 조어로 기록되었다는 게 확실한 사료들 중에서 공통 튀르크어 및 산스크리트어와 함께 몇 안되는 사례다. 셈조어로 기록된 것으로 짐작되는, 기원전 2000년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사료가 발견된 사례도 있고, 춘추시대 초나라의 유적지에서 발굴되는 몇몇 사료들이 몽몐어족의 조상언어인 원시 몽몐어로 쓰였다는 설도 존재한다.[4] 인류 역사상 최초로 재구된 조어다. 이 시기에는 인도유럽조어조차 재구되지 못하고, 인도유럽어족이라는 단일 언어군의 존재만 간신히 확인된 상황이었다.[5] 역사적으로는 탁발선비어나 흉노어, 고대 키르기스어 등, 공통 튀르크어와 다른 튀르크어족 계통 언어들이 꽤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