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프랑스수어족(French Sign Language Family, langue des signes française, LSF)은 프랑스 수어를 포함한 유럽 본토에서 쓰이는 대부분의 수어들과 미국 수어가 속한 어족으로, 수어로만 구성된 어족들 중에선 화자 수가 가장 많은 어족이다. 달리, 프랑스 수화 어족이라고도 불린다.2. 역사
프랑스수어족의 조어는 1750년까지 프랑스의 일드프랑스 지역을 중심으로 쓰이던 고대 프랑스 수어인데, 이는 중세 유럽의 가톨릭 수도자들이 침묵의 계율을 지키고자 사용했던 수어인 수도원 수어[1]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은 언어였다. 전근대시대 이전까지만 해도 장애인에 대한 인권 의식은 무척 낮았고, 그래서 수어의 주 사용 계층인 청각장애인들이 교육을 받을 기회가 많이 없었기에, 가톨릭의 영향이 지대했던 프랑스 사회의 특성 상 수도원에서 쓰이던 수어의 영향이 적잖이 반영되었다.그러던 중에 1760년에 청각장애인 교육의 선구자로 불리는 프랑스의 가톨릭 수사이자 교사였던 샤를미셸 드 레페가 청각장애인 학교를 설립하면서 고대 프랑스 수어가 프랑스 전역에 전파되었고, 레페 사후에 발발한 프랑스 대혁명의 여파로 다시 유럽 전역으로 전파되면서 극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혁명과 더불어 계몽주의 사상이 확산되면서, 프랑스 수어에 기반하여 유럽 각국이 수어 교육을 본격적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로 많은 유럽 수어 제어가 여기서 파생되어 프랑스수어족이 형성되었다.
미국 수어는 이와는 별개의 발전을 이루었는데, 고대 프랑스 수어를 기반으로 하여 1952년까지 미국의 매사추세츠 주에 속한 마서즈비니어드 섬에서 쓰였던 수어인 마서즈비니어드 수어의 영향이 더해진 크리올어가 직접적인 기원이 되었다. 그래서 똑같은 기원을 갖고도 프랑스수어족에 속하는 유럽 수어 제어들과는 꽤 상이한 양상을 띄게 되었다.
3. 분류
미국의 언어학자인 로이드 앤더슨은 1979년에 발표한 논문[2]을 통해 다음의 분류를 제시하였다. 이 분류에 의하면, 상술한 수도원 수어는 프랑스수어족의 조어 내지는 해당 어족 내에서 독립 어파를 이루는 언어로 추정된다.- 수도원 수어
- 남서유럽수어제어
1991년에 캐나다의 언어학자인 헨리 위트먼이 발표한 논문[3]에 의하면, 프랑스 수어는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이 분류에 의하면, 프랑스 수어는 프랑스수어파라는 거대 언어군을 이루며, 산하의 하위 언어들도 어군으로 분화된다.
1991년 이후로 주류 언어학계는 프랑스수어족의 하위 어파인 프랑스수어파에 대해 다음의 분류를 인정하고 있다.
상술한 분류법에서 벨기에 수어는 1970년 이후로는 플란데런 수어와 프랑스계 벨기에인 수어로 구분되는데, 이 시기에 벨기에를 구성하는 지방들 중 하나인 플란데런과 왈롱 간의 분리주의 경향이 극심해지면서 서로 다른 공교육 커리큘럼을 도입했기 때문이다[4]. 오스트리아-헝가리 수어도 1920년까지는 단일 언어였다가 그 이후로 하위 언어들로 분화되었는데, 이 언어가 쓰이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으로 인해 체결된 베르사유 조약과 트리아농 조약으로 인해 해체되면서 탄생한 여러 신생 독립국[5]들이 저마다 별개의 공교육 커리큘럼을 도입했던 영향때문이다. 그리고 미국 수어의 하위 방언들은 미국 밖에서도 발견되는데, 이는 미국의 초강대국으로서의 독보적인 영향력때문이라고 보여진다.
[1] 현존하는 기록 상, 문증이 가능한 가장 오래된 수어로, 후술하겠지만 고대 프랑스 수어의 조상 언어라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2] Lloyd Anderson & David Peterson, 1979, A comparison of some American, British, Australian, and Swedish signs: evidence on historical changes in signs and some family relationships of sign languages[3] Wittmann, Henri (1991). "Classification linguistique des langues signées non vocalement." Revue québécoise de linguistique théorique et appliquée 10:1.215–88.[4] 실제로 벨기에는 국가 해체 논의까지 진지하게 거론될 만큼, 분리주의 경향이 극심하다.[5] 오스트리아,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