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6 08:57:53

초보수주의

극단적 보수에서 넘어옴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사상의 분파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온건 · 개혁적 보수주의
녹색 보수주의 실용적 보수주의 온건 보수주의 진보적 보수주의 온정적 보수주의
사회적 시장경제
현대적 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보수자유주의 재정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신보수주의
신우파 현대보수주의
고전적 보수주의
가부장적 보수주의 전통적 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문화적 보수주의 고보수주의
가족주의
강경 보수주의
초보수주의 교권주의 (교권 파시즘) 토착민주의 반동주의 국민보수주의(일부)
인종 보수주의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급진적 우파
종교적 보수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기독교 우파 이슬람 민주주의 이슬람주의 불교 민주주의
유대 보수주의 종교 시오니즘 전통주의 가톨릭 힌두트바 보수주의 신학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융합주의 고자유지상주의
지역별 보수주의
위정척사사상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일민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따뜻한 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개혁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중도실용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뉴라이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우익 파일:일본 국기.svg 청년민족파 파일:일본 국기.svg 일국 보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대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근력 자유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블루칼라 보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토리 사회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레이건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트럼프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대안 우파 파일:미국 국기.svg 입헌보수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푸틴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유라시아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보나파르트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오를레앙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법통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드골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보수혁명 파일:독일 국기.svg 보수민주주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원칙주의 파일:이란 국기.svg 알폰소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카를로스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프랑코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메넴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정통 페론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밀레이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후지모리주의 파일:페루 국기.svg 피노체트주의 파일:칠레 국기.svg 보우소나루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
베를루스코니주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신권위주의 파일:중국 국기.svg 신유교주의 파일:중국 국기.svg 장제스주의 파일:대만 국기.svg 삼민주의 파일:대만 국기.svg
국민우파 파일:호주 국기.svg 폴크헴메트 파일:스웨덴 국기.svg
나라별 현황
대만의 보수주의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독일의 보수주의 러시아의 보수주의 미국의 보수주의
영국의 보수주의 인도의 보수주의 중국의 보수주의 일본의 보수주의 호주의 보수주의
홍콩의 보수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한반도의 보수주의
연관 이념
보수주의 페미니즘 성소수자 보수주의 흑인 보수주의 유사 파시즘 우익대중주의
군주주의 (왕당파) 사회자유 보수주의 에스닉 내셔널리즘 제국주의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우익사회주의 출생주의 탈자유주의 남성주의 성적 억압
네오내셔널리즘 동화주의
연관 개념
전통 법과 질서 권위 가족 충성
위계 자연법 정통성 도덕 사회 질서
가부장제 가속주의
기타
우익 정치 아시아적 가치 보수좌파 탈파시즘 백색 테러
반공주의 반사회주의 안티페미니즘 우익 반자본주의 반자유주의
부르주아 정당 친생명 귀족주의 영국 연합주의 블루 타이드
엘리트주의 백래시 힘에 의한 평화 시니스트리슴 반혁명
정체성 정치 군사 케인스주의
관련 단체
국제민주연합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무슬림 형제단 콘라트 아데나워 재단 에라스뮈스 재단
황국협회 보수정치행동회의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국민주의는 근대(modern)에 탄생한 이념이다. 따라서 21세기 기준 서구 선진국에서 국민보수주의가 강경 우익인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근대적/현대적(modern) 보수주의이며, 고전적(classical) 보수주의에 속하지 않는다.
상징 | 역사 | 인물
}}}}}}}}} ||
파일:보우소나루-밀레이.jpg
왼쪽부터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하비에르 밀레이,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라질}}}{{{#!if 출력 != null
}}}}}}]]
자이르 보우소나루.
이들은 최근 남아메리카 대륙을 대표하는 우익대중주의자들이자 극우 성향 지도자들이다.

1. 개요2. 명칭3. 사례4. 한국의 초보수주의5. 같이 보기6. 바깥 고리
6.1. 둘러보기

1. 개요

超保守主義 / Ultraconservatism

기존의 가치를 지키면서 점진적이고 온건한 변화를 지향하는 보수주의가 아닌 극단적이고 강경한 보수주의, 즉 극우[1]에 가까운 보수주의를 일컫는 표현이다. 반대 개념은 온건 보수주의라고 할 수 있다.

2. 명칭

'Ultraconservative'는 사전적 의미로 '극단적으로 보수적인', '초보수적인'이라고 번역된다. #

초보수주의수구주의는 비슷한 의미로 쓰이지만 항상 똑같은 의미는 아니다. 사전적 의미에서 수구주의는 어떠한 변화도 거부하려고 하는 경우를 의미하는데 초보수주의는 단순히 보수주의가 극단화된 형태 전반을 의미하며 따라서 급진적이고 과격한 변화를 추구하는 보수주의는 수구주의라고 보기 애매하지만 초보수주의에 속한다.[2] 즉, 수구주의는 초보수주의일 수 있으나 모든 초보수주의가 수구주의는 아니다. 다만 영어로 수구주의에 명확하게 부합하는 단어가 없기 때문에 비슷한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극단적 보수주의 / 극보수주의(extreme conservatism)는 초보수주의(ultraconservatism)와 동의어이다.

3. 사례

대한민국의 이념, 정치인 및 정치 단체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므로 서술하지 않는다.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북한 체제도 극우나 초보수주의로 평가받기도 한다.[15] 로버트 켈리 교수는 arch-conservative라고 표현했다.#[16]

4. 한국의 초보수주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극우/각국의 사례/한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극우/각국의 사례/한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극우/각국의 사례/한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같이 보기

6. 바깥 고리

6.1. 둘러보기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left;"
<colbgcolor=#0070C8><colcolor=#fff>주요 이념내셔널리즘 · 보수주의 · 범슬라브주의 · 유라시아주의(두긴주의) · 정교회 우파 · 푸틴주의
연관 이념가부장적 보수주의 · 가족주의 · 국가주의(국가자본주의) · 국민보수주의 ·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 반동주의 · 반서방주의(반미주의) · 사회보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제국주의 · 초보수주의
과거 이념군주주의(검은 백인대 · 차르주의) · 범슬라브주의
연관 개념군국주의 · 러시아 정교회 · 실지회복주의 · 울트라내셔널리즘 · 차르
주요 정당<colbgcolor=#0070C8><colcolor=#fff>제정 러시아10월 17일 연합 · 러시아 인민연합
소련소련 자유민주당
러시아 연방우리 집 - 러시아 · 러시아 자유민주당 · 로디나(2003년) · 민족 볼셰비키당 · 진실을 위하여 · 통합
현존하는 정당공정 러시아 · 로디나(2012년) · 성장당 · 시민 연단 · 통합 러시아
정치인니콜라이 1세 · 니콜라이 2세 · 드미트리 로고진 · 라브르 코르닐로프 ·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 · 뱌체슬라프 볼로딘 · 보리스 글리즐로프 · 블라디미르 지리노프스키 · 블라디미르 푸틴 · 알렉산드르 3세 · 알렉산드르 콜차크 · 옐레나 미줄리나 · 유리 루시코프
인텔리니콜라이 카람진 · 이고리 샤파레비치 · 이반 일린 · 알렉산드르 두긴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알렉산드르 프로하노프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레프 구밀료프
단체과거백군
현재전러시아 인민전선
그 외Z(군사 표식) · 대러시아 · 러시아 파시즘(민족 볼셰비즘) · 소비에트 제국(소비에트 내셔널리즘) · 스탈린주의(신스탈린주의) · 유라시아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이념 내셔널리즘 · 보수주의
연관 이념 가부장적 보수주의(새로운 자본주의)자민당 · 국가주의 · 국민보수주의 · 민족주의 · 반동주의일부 · 불교 민주주의공명당 · 사회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일부 · 자유지상주의유신회 · 초보수주의일부
과거 이념 야마토 민족주의* · 자유보수주의 · 쇼와 국가주의(대동아공영권 · 팔굉일우)
연관 개념 국가자본주의(수정자본주의) · 군주주의 · 아시아적 가치 · 울트라내셔널리즘(극우사관)일부
주요 정당 전전 일본 입헌정우회 · 국민동맹 · 동방회 · 대정익찬회
전후 일본 일본의 마음 · 일본민주당(1947년) · 일본유신회(2012년) · 일본민주당(1954년) · 자유당(1950년)
현존하는 정당 공명당 · 일본보수당 · 일본유신회 · 일본제일당 · 자유민주당(지지 기반 · 파벌) · 참정당
정치인 고노에 후미마로 · 고이케 유리코 · 기시 노부스케 · 기시다 후미오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도조 유코 · 도조 히데키 · 스가 요시히데 · 스기타 미오 · 아베 신조 · 요시다 시게루 · 이나다 도모미 · 하토야마 이치로 · 히라누마 기이치로
인텔리 고 젠카 · 나카가와 쇼이치 · 미노베 다쓰키치 · 미시마 유키오 · 오카와 슈메이 · 햐쿠타 나오키
언론 니혼게이자이 신문 · 사쿠라 TV · 산케이 신문 · 요미우리 신문
단체 과거 겐요샤 · 다테노카이
현재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 일본경제단체연합회 · 일본회의 · 재일 특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민 모임
그 외 55년 체제 · 국민 · 국체 · 넷 우익 · 만세일계 · 반미보수 · 신우익(민족파 · 청년민족파) · 보수본류보수방류 · 신토(신사본청 · 국가신토) · 아베노믹스 · 야마토 나데시코 · 야마토다마시 · 역코스 · 우익단체 · 대일본제국 · 일본의 보수정당 · 우경화 · 일본인론 · 재무장 · 블루리본 운동
* 21세기 현대 기준 일본에서 Ethnic nationalism이 아닌 단순 Nationalism을 지칭할 때에는 '민족주의'(民族主義)라는 용어보다는 '내셔널리즘'(ナショナリズム)이라는 용어가 선호된다. 일본에서 '민족주의'는 전적으로 Ethnic nationalism을 의미하는데, 이는 과거 천황제 파시즘과 결합해 야마토 민족의 우월성을 내세웠던 극우 민족주의를 연상시키는 데다가, (야마토 민족이 아닌) 류큐인이나 아이누인같은 전통적 일본 내 소수민족까지 배제하기 때문에 현재의 주류 보수우익에서 거리를 두는 편이다.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권 보수주의 관련 문서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마카오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관련 이념 국가자본주의 (당국 자본주의) · 삼민주의(일부) (다이지타오주의 · 장제스주의)중국 국민당 · 중화제국주의 · 중화민족주의 (극단민족주의(極端民族主義) · 한(漢)민족주의) · 신권위주의 · 신유교주의 · 초보수주의
연관 개념 대한족주의(일부) · 반자유주의 · 법가 · 아주가치(亞洲價值) · 유가/유교 · 중화민족 · 중화사상 · 하나의 중국/양안통일
지역별 대만 · 홍콩
주요 정당* 1949년 이전 진보당△ · 중국국민당당내 우파 (남의사 · 서산회의파)
중화인민공화국 중국공산당◎ · 중국민주당
중화민국/대만 (범람연맹)* 신당 · 중국국민당 · 중화민족치공당 · 친민당
홍콩 (건제파)* 민주건항협진연맹 · 서구룡 새로운 힘 · 신민당 · 신세기논단 · 실정원탁 · 자유당 · 홍콩 경제민생연맹 · 홍콩 공회연합회** · 홍콩 교육 노동자 연맹** · 홍콩 및 구룡 노동조합 연맹** · 홍콩섬각계협합회 · 홍콩신방향
마카오 (건제파) 광둥마카오동맹 · 마카오 고용주이익협회 · 마카오공회연합총회** · 마카오발전신연맹 · 마카오부녀연합회 · 마카오 전문가 이익연회 · 마카오주민회연합총회 · 문화체육연합 · 민중건오연맹 · 사회복무교육촉진회 · 종업원단체연합
싱가포르 인민행동당
주요 인물 1949년 이전 량치차오 · 셰츠 · 쉬충즈 · 쑨커 · 쑹메이링 · 장제스 · 위안스카이 · 캉유웨이 · 후한민
중화인민공화국 덩샤오핑◎ · 량수밍(梁漱溟) · 시진핑◎ · 왕후닝◎ · 양상쿤◎ · 장시공(强世功)◎ · 후시진(胡錫進)
중화민국/대만 (범람연맹)* 마잉주 · 쑹메이링 · 쑹추위 · 장완안 · 장제스 · 장징궈 · 주리룬 · 허우유이
홍콩 (건제파)* 레지나 입 · 렁춘잉 · 성룡 · 스태리 리 · 존 리 · 캐리 람 · 퉁치화
마카오 (건제파) 페르난두 추이 · 호얏셍
싱가포르 고촉통 · 리콴유 · 리셴룽
언론 중국시보 · 중앙일보 · 중국 텔레비전 · 환구시보
단체, 그룹 건제파 · 범람연맹 · 왕왕 그룹
관련 사건, 시기 4.12 상하이 쿠데타 · 개혁개방◎ · 국공내전 · 국광 작전 · 국민혁명 · 국부천대 · 난징 십년(南京十年) · 당국 체제 · 동치중흥(同治中興) · 백색 공포 (대만 계엄령) · 신생활운동 · 양무운동*** · 의화단 운동 · 중국몽 · 중화제국(1915~1916) · 홍콩 국가보안법
그 외 N세대 · 소분홍 · 분청 · 시노필리아 · 중국 위협론 · 중체서용 · 친중화민국 · 통일전선 · 한푸 운동 · 홍콩의 민국파
소멸된 정당은 △ 표시 / 중국 본토의 경우 신권위주의 계열 정당과 인물, 조직 등은 ◎ 표시.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1] Huntington, John S. (2021). Far-right Vanguard: The Radical Roots of Modern Conservatism.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2] 가령 하비에르 밀레이는 많은 언론에서 Ultraconservative로 묘사되지만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자라 트랜스젠더의 존재나 동성결혼을 반대하지 않기 때문에 수구주의자라고 보기 어렵다.[3] 출처: 엘 파이스(El País). 다만 이건 영어가 아닌 스페인어다.[4] Ching Kwan Lee; Ming Sing (November 15, 2019). Take Back Our Future: An Eventful Sociology of the Hong Kong Umbrella Movement. Cornell University Press. p. 155. ISBN 978-1-5017-4093-0.[5] Peter P. Wan; Thomas D. Reins (February 17, 2021). Asia Past and Present: A Brief History. Wiley. p. 79. ISBN 978-1-118-95521-5.[6] "Tokyo's new governor defies more than glass ceiling". Deutsche Welle. 8 July 2020. Retrieved 2 August 2016. "In 2008, she made an unsuccessful run at the LDP's chairmanship. Following her defeat, she worked to build an internal party network and became involved in a revisionist group of lawmakers that serves as the mouthpiece of the ultraconservative Nippon Kaigi ("Japan Conference") movement."[7] 제도권 언론인 AP 기사에서 "He alienated many in Japan, as well as war victims China and the Koreas, with his hawkish foreign and security policies, as well as his ultraconservative — sometimes revisionist — stance on the so-called history issues related to Japan’s wartime actions"라고 언급했다.[8] John E. Jessup, ed. (1998). An Encyclopedic Dictionary of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1945-1996.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102. "Although there were periods of dissension , Caetano embraced Salazar's ultraconservative policies , and upon Salazar's retirement ( due to illness ) , he became premier . His principal objective lay in maintaining Portugal's overseas ..."[9] 출처 : 프랑스 24[10] 출처 : 로이터통신[11] 출처 : 워싱턴포스트[12] Gareth Russell, ed. (2018). The Ship of Dreams: The Sinking of the Titanic and the End of the Edwardian Era. Simon and Schuster. p. 307. "... Spain slid into a civil war from which the ultraconservative General Francisco Franco emerged victorious, inaugurating a crypto-fascist regime ..."[13] 출처: 엘 파이스[14] 출처 : 로이터통신[15] 출처:
• The Paradox of North Korea's Ideological Radicalism: Shaky Social Basis of Strengthening Ideological Campaigns (2009) - Aie-Rie Lee, Hyun-chool Lee, Ji-Yong Lee and Il-Gi Kim
• The Cleanest Race (2010) - B.R. Myers
Critique Notes 81: An Intermediate Period in Transitional World (2018) - Hillel Ticktin
[16] arch-conservative는 초보수주의와 비슷한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