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01:29:39

아랍에미리트군

UAE 해군에서 넘어옴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동아시아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동남​아시아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서아시아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중앙​아시아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서유럽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남유럽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중유럽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슬로베니아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북유럽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동유럽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북아메리카멕시코 · 미국 · 캐나다
카리브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앙아메리카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남아메리카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북​아프리카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남​아프리카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서​아프리카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동​아프리카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오스트랄라시아뉴질랜드 · 호주
멜라네시아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미크로네시아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폴리네시아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20%,transparent 20%), linear-gradient(to bottom, #00732b 13%, #FFF 13%, #FFF 87%, #000 87%)"
<col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0> 상징 <colcolor=#000,#fff>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딜문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트루셜 스테이트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알나얀 왕조 · 아랍에미리트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 BRICS
경제 경제 전반 ·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국방 아랍에미리트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 아부다비 그랑프리 · 아랍에미리트/관광 · 아랍에미리트 영화 · 아랍어
인물 자이드 빈 술탄 알나얀 · 할리파 빈 자이드 알나얀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지리 아부다비 · 두바이 · 무산담반도
민족 걸프 아랍인(방글라데시계 · 아르메니아계)
}}}}}}}}} ||
<colbgcolor=#fff> 아랍에미리트군
القوات المسلحة لدولة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United Arab Emirates Armed Forces
파일:아랍에미리트군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군 엠블럼.svg
깃발 엠블럼
창설일 <colbgcolor=#fff,#191919> 1976년
국가
[[아랍에미리트|]][[틀:국기|]][[틀:국기|]]
소속 아랍에미리트 국방부
본부 아랍에미리트
병력 상비군 65,000명
예비군 130,000명
병역 제도 징병제[1]
<colcolor=#ffe600> 육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0000><colcolor=#ffe600> 3.5세대 전차[2] <colbgcolor=#fff>388대[3]
2세대 전차 81대
경전차 76대
전차 총합 545대 (2011년)
장갑차
(APCs/IFVs)
1,540대
견인포 55문 (2011년)
자주포 177문
다연장로켓 }}}}}}}}}
해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0000><colcolor=#ffe600> 전투함 총합 70척
초계함 <colbgcolor=#fff>9척(+2척)
고속정 8척 }}}}}}}}}
공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0000><colcolor=#ffe600> 4.5세대 전투기 <colbgcolor=#fff>79기(+80기)
4세대 전투기 68기
조기경보관제기
(AWACS)
3기
공중급유기 3기(+2기)
공군기 총합 409기
헬리콥터 134기
항공기 총합 427기 }}}}}}}}}
예산
국방비 총합 244억 달러 (2024년)
GDP 대비 국방예산 5.6% (2024년)
웹사이트
홈페이지 파일:아랍에미리트군 엠블럼.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육군3. 해군4. 공군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아랍에미리트군은 육군, 해군, 공군, 특수부대, 친위대, 국경수비대, 해안경비대로 구성되어 있다. 국방비가 명목 국내총생산(GDP) 규모로는 세계 30위 정도지만 실제론 예산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군사 전문가들은 15위 수준으로 분석하고 한다. 인구가 적다 보니 군대도 병력이 10만도 안 된다. 그래서 아랍 국가로는 드물게 여군이 상당히 많은 군대이다. 사실 1990년 초반만 해도 여군 자체가 없었으나 걸프 전쟁으로 쿠웨이트이라크에 단번에 패망하는 걸 보고 여군이 창설됐다. 인구가 적다 보니[4] 군대를 유지할 병력이 적고 용병을 고용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그래서 부족한 병력 수를 여군으로 채운 것.

처음에는 이슬람 보수파들이 여자를 어떻게 군인으로 쓰냐며 결사반대를 했으나 여군 창설에 큰 기여를 한 셰이카(아랍국가의 여성 왕족에게 쓰는 칭호) 파티마가 쿠란이나 역사에서도 무함마드를 도운 여군이 나오는데 왜 여군을 반대하냐는 반론에는 데꿀멍했다.[5]

이슬람교와 무함마드의 번영과 영광에도 여군이 큰 비중을 차지했고 군의 인력난이 워낙 심했기에 보수파들도 어찌 못하고 백기를 들었다. 처음에는 여군 훈련에 대한 경력도 기술도 없어서 고민했는데 아랍에미리트 역사상 처음으로 토목 기사 자격증을 딴 헤사 알 칼레디가 나섰다. 배짱과 능통한 영어 솜씨를 갖춘 그녀는 대리인으로 나서서 미군 측과 교섭을 했고 미군 여군 간부인 재니스 카르핀스키 소령을 교관으로 초빙했다. 첫 1기 여군 장교 후보생은 74명으로 명문집안 여성들로만 구성되었으며 나이는 19살에서 31살까지, 그중 유부녀도 상당수였다. 15명이 중도 퇴소했고, 59명이 소위 계급을 달았다. 당시 아랍에미리트군 중령이 이 여군 부대를 평가하기를, 처음에는 자신도 비웃었다고 한다. 그러나 여군들은 40발을 쏘면 적어도 37발에서 최대 39발을 명중시키는 놀라운 모습을 보였고, 비웃던 군인들은 죄다 웃음을 거둬들였다며 감탄했다.

2010년 현재까지 여군 소령이 이끄는 특수부대를 비롯하여 상당수 여군이 주요 병력이다.

오일 머니로 미국이랑 유럽 같은 서방권 무기를 많이 사들이지만 러시아와도 무기 거래를 하고 있다.[6] 그래서 아랍에미리트 군은 중동에서 질 좋은 장비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

적은 병력 때문에 원래부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용병이 많았으나 2010년대 이후 용병 비율은 10%까지 줄어든 상황. 2015년부터는 18~30세 남성을 대상으로 징병제를 실시하고 있다. 중졸 이하는 2년간, 고졸 이상은 9개월간 복무한다.[7]

2017년에는 사우디, 예멘 정부군과 함께 예멘의 도시 모카에서 후티 반군을 격파하는 데 성공하였다. 다만 여기서 오인 사격으로 사우디군 헬기를 격추하는 대형 사고를 치고 말았다.(...) 이 사고로 헬기에 타고 있던 사우디 군인 15명이 사망했다. 작전 자체는 성공했지만 반군과의 전투에서 고초를 겪고 있는 편이라, 군의 기량이 장비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한국군과의 관계로는 UAE 군사훈련 협력단을 예로 들 수 있다. 한국의 각 특수부대에서 차출된 병력이 UAE에 주둔하며 UAE군과의 합동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2024년 7월에 UAE 3국 합동 KCTC 훈련에 참여 하고자 한국에 방문 했다.#

2. 육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92px-United_Arab_Emirates_soldiers_in_U.S._Coast_Guard_training.jp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현대 아랍에미리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0000> 현대의 아랍에미리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F0000> 소총 <colbgcolor=#FF0000> 돌격소총 G3, FAL, M16A4, M727, CAR816, FAMAS, T91
지정사수소총 MSG90
저격소총 로바예프 SVL, M107 LRSR
기관단총 MP5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카라칼 시리즈, P7M13, P228
지원화기 기관총 MG3, HK23E, MG5, AAT-52, FN MAG, FN 미니미, M249, M2HB
유탄발사기 M203
대전차화기 9M113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현대 아랍에미리트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아랍에미리트군 기갑차량
<colbgcolor=#ffffff,#191919> MBT <colbgcolor=#ffffff,#191919> 2세대 AMX-30R, OF-40 Mk.2
3.5세대 르클레르 전차
경전차 FV101 스콜피온
장갑차 차륜장갑차 FV701 페렛, 파트리아 AMV, EE-11, 파나르 M3, AML-(30/90), FV601 살라딘/FV603 사라센, 아르마
VAB 6×6, 푹스 1 NBC, RG-31 Mk.5, M1224 MaxxPro, 카이만, BTR-3, 에니그마
궤도장갑차 AMX-VTTR, AMX-10P, ACV-300, BMP-3M
차량 소형 험비, M-ATV, 오토카르 코브라, Nimr, VP11
트럭 오시코시 M1070, FMTV, HX81
자주포 자주곡사포 AMX-13 Mk F3R, M109A3, G6 M1A3
자주박격포 RG-31 Agrab-2
대전차 자주포 M56 스콜피온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파나르 M3 VDA*
저고도방공 판치르-S1
다연장로켓 BM-21, BM-30, K-239 천무, M142 HIMARS, SR-5, T-122 Sakarya, Jobaria MLRS, {AR3}
무인 차량 UGV {테미스}, {타입 X}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오일머니 덕에 장비는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와 같이 아랍권 최상 장비를 갖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실전 경험이나 특수전 경험이 없어서 대한민국과 군사교류가 깊고 아크부대를 창설하여 파견하는 중이다.

주력 전차는 프랑스제 르클레르 전차로 상당수 추가 업그레이드한 것이다.

네덜란드군이 쓰던 자주포를 비롯하여 중고로 상당수 들여와 자체적으로 개조하는 경우가 많다.

준 전략타격병기인 BM-30[8]M270 MLRS의 경량화 버전인 M142 HIMARS, 한국산 로켓포 K-239 천무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2023년에는 중국산 다연장 로켓포 AR3를 구입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다. PHL-16의 수출형이다. # #

여담으로 이쪽도 미합중국 육군처럼 좌우 반전된 국기를 이용한다

3. 해군

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현대 아랍에미리트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FF0000> '''[[고속정|
고속정
]]'''
<colbgcolor=#00732B> PG 아르다나급R
FIC 카우카브급R | 자피르급R
무바라즈급 | 바냐스급R
{팔라지-3급} | 팔라지-2급
'''[[초계함|
초계함
]]'''
'''
PCG
'''
{고윈드급} | 바이누나급 | 아부다비급(2대/2013) | 무리집급
'''[[호위함|
호위함
]]'''
'''
FFG
'''
아부다비급R(초대/1983)
'''[[상륙함|
상륙함
]]'''
'''[[전차상륙함|
LST
]]'''
알 쿠와이삿급 | 알 샤리아급
'''[[상륙정|
상륙정
]]'''
'''
LCU
'''
L41급 | L65급 | L61급 | 기가 2급
'''
LCT
'''
알페이급
'''
LCI
'''
P301급 | P201급 | L21급
'''[[소해함|
소해함
]]'''
'''
MHC
'''
알 하시바급
'''
MSI
'''
알 자파급
'''
지원함
'''
'''
수송함 (AP)
'''
HSV-2 스위프트L/R
'''
보급함
'''
리흐마급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L: 임차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아랍에미리트군의 해군
보유 척수 이름 배수량, 기타
0(+2) 고윈드급 초계함 만재: 2,700톤
6 바이누나급 초계함 만재: 930톤/무장:8 x MM-40 SSM, 2X4 ESSM SAM, RIM-116 RAM
2 MGB 62 초계함 만재: 630톤/무장:8 x MM-40, 1X8 Crotale SAM/취역: 1990년/1 x SA 316 Helo
6 TNC 45 고속정 만재: 260톤/무장:4 x MM-40 SSM/취역: 1980년-1월
2 무바라즈급 고속정 만재: 260톤/무장: 4 x MM-40 SSM/취역: 1990년
6 Ardhana급 초계정 만재: 175톤/취역:1975년-6월
20 고속 초계정 4톤
2 프랑켄탈급 소해함
7 LCT landing craft tank
5 LCU Landing Craft Utility
16 LCVP
4 기타 선박

4. 공군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현대 아랍에미리트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아랍에미리트 항공 및 반항공군 (1968~현재)
القوات الجوية والدفاع الجوي الاماراتي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 알루에트 IIIR, SA342 가젤R, Bo 105R, 벨 206R, 벨 214BR, H125, AB-412HP/SP, AW139, CH-47C/D/FJAC, UH-60L/MJAC
공격헬기 AS565 팬서, AH-64D/EJAC
전투기 4세대 / 4.5세대 미라주 2000-9/EAD/RAD, F-16E, {라팔 F4}
공격기 미라주 VR
수송기 C-212R, C-17ER, C-130H (-30), CN-235-100, DHC-6JAC
지원기 조기경보기 글로벌아이
대잠초계기 MPA-D8
정찰기 글로벌 익스프레스 6000, 세스나 208BJAC, DHC-6JAC
공중급유기 KC-30A
무인기 MQ-1, 시커 II, 윙룽 II
훈련기 MB-339NAT, {L-15}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JAC: 합동공군사령부 소속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주력 전력은 79기의 F-16E/F와 68기의 미라주 2000으로 중동에서 나름 강력한 전투기 전력을 구축했다. AH-64 아파치 공격헬기를 30대 도입하기도 하였다.

미국으로부터 F-35 12대를 도입하는데 합의하고 록히드마틴과 계약까지 했지만,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스라엘의 반발로 바로 계약을 취소시켰다가 후에 다시 판매를 승인했다. 그러나 2021년 12월 F-35 도입에 대한 미국과의 협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대신 프랑스라팔을 80기 도입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다. 주문한 라팔은 2027년 첫 기체가 인도되고 2031년까지 인도될 예정이다.

2022년 아부다비 공격의 반격작전으로 예멘을 폭격하기도 했다. #

2022년 중국의 고등 훈련기인 L-15 12대를 (36대 추가구입 옵션) 구입하기로 결정했다. #

5. 관련 문서



[1] 2015년 부터 도입되며, 18~30세 남성에 해당된다.[2] 전차를 세대별로 구분하는 기준[3] 아랍에미리트군의 전차 보유 수량[4] 인구 900만의 90%가 자국민이 아닌 일하러 온 외국인이라서 진짜 인구는 11%인 105만밖에 안 된다.[5] 기록에 의하면 무함마드를 구한 게 바로 그의 숙모 사피야였으며 그녀는 을 타고 반무함마드군을 손수 화살로 쏴죽였으며 아예 여군으로 이뤄진 부대까지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아예 여군 부대 대장인 누사이바 빈트카압은 전설적인 존재이며 여군 부대 용사인 아스마 빈트 야지드는 9명이나 되는 반무함마드군과 정면으로 싸워 죽인 전설로 남아 무함마드도 칭송한 바 있다.[6] 2017년에는 러시아가 아랍에미리트에 Su-35를 공급하는 의향서를 제출한 것으로 밝혀졌다.#[7] 다만 만약 본인이 군대 가기 싫으면 그냥 벌금으로 때우는 경우가 허다한데, 심지어 국가에서는 이렇게 해도 대충 눈감아 주는 경우가 많다고. 군포(軍布)[8] 80~120km에 달하는 사거리의 로켓탄을 이용해서 적 군수물자 보급기지, 항공부대 기지 등을 타격하는 게 주 목표인 병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