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11 09:26:54

1의 거듭제곱근

해석학·미적분학
Analysis · Calculu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6455A>실수와 복소수실수(실직선 · 아르키메데스 성질) · 복소수(복소평면 · 극형식 · 편각) · 근방 · 유계 · 콤팩트성 · 완비성
함수함수 · 조각적 정의 · 항등함수 · 역함수 · 멱함수 · 다변수함수(동차함수 · 음함수) · 다가 함수 · 함수의 그래프 · 좌표계 · 닮은꼴 함수 · 극값 · 볼록/오목 · 증감표
초등함수(대수함수 · 초월함수 · 로그함수 · 지수함수 · 삼각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변분법 · 오일러 방정식) · 병리적 함수
극한·연속 함수의 극한 · 수열의 극한 · 연속함수 · ε-δ 논법 · 수렴(균등수렴) · 발산 · 부정형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0.999…=1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부동점 정리 · 스털링 근사 · 선형근사(어림)
수열·급수 수열 · 급수(멱급수 · 테일러 급수(일람)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라마누잔합) · 망원급수(부분분수분해)) · 그물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월리스 곱
단조 수렴 정리 · 슈톨츠-체사로 정리 · 축소구간정리 · 급수의 수렴 판정 · 리만 재배열 정리 · 바젤 문제 · 파울하버의 공식 · 오일러-매클로린 공식 · 콜라츠 추측미해결
미분 미분 · 도함수(이계도함수 · 도함수 일람)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임계점(변곡점 · 안장점) · 매끄러움
평균값 정리(롤의 정리) · 테일러 정리 · 역함수 정리 · 다르부 정리 · 로피탈 정리
립시츠 규칙 · 뉴턴-랩슨 방법 · 유율법
적분 적분 · 정적분(예제) · 스틸체스 적분 · 부정적분(부정적분 일람) · 부분적분(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치환적분 · 이상적분(코시 주요값)
미적분의 기본정리 · 적분의 평균값 정리
리시 방법 · 2학년의 꿈
다변수·벡터 미적분 편도함수 · 미분형식 · · 중적분(선적분 · 면적분 · 야코비안) ·야코비 공식
라그랑주 승수법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선적분의 기본정리 · 스토크스 정리(발산 정리 · 그린 정리변분법
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풀이) · 라플라스 변환
측도론 측도 · 가측함수 · 곱측도 · 르베그 적분 · 절대 연속 측도 · 라돈-니코딤 도함수
칸토어 집합 · 비탈리 집합
복소해석 코시-리만 방정식 · 로랑 급수 · 유수 · 해석적 연속 · 오일러 공식(오일러 등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리우빌의 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함수해석 공간 위상벡터공간 · 노름공간 · 바나흐 공간 · 힐베르트 공간 · 거리공간 · Lp 공간
작용소 수반 작용소 · 에르미트 작용소 · 정규 작용소 · 유니터리 작용소 · 컴팩트 작용소
대수 C*-대수 · 폰 노이만 대수
정리 한-바나흐 정리 · 스펙트럼 정리 · 베르 범주 정리
이론 디랙 델타 함수(분포이론)
조화해석 푸리에 해석(푸리에 변환 · 아다마르 변환)
관련 분야 해석기하학 · 미분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1의 거듭제곱근 · 가우스 정수 · 아이젠슈타인 정수 · 소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확률론(확률변수 · 중심극한정리) · 수치해석학 · 카오스 이론 · 분수계 미적분학 · 수리물리학 · 수리경제학(경제수학) · 공업수학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미해결 ·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의 해 존재 및 매끄러움미해결
기타 퍼지 논리
}}}}}}}}} ||

[[대수학|대수학
Algebr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이론
기본 대상 연산 · 항등식(가비의 이 · 곱셈 공식(통분 · 약분) · 인수분해) · 부등식(절대부등식) · 방정식(풀이 · (무연근 · 허근 · 비에트의 정리(근과 계수의 관계) · 제곱근(이중근호 · 개방법) · 환원 불능) · 부정 · 불능) · 비례식 · 다항식 · 산술(시계 산술)
수 체계 자연수(소수) · 정수(음수) · 유리수 · 실수(무리수(초월수) · 초실수) · 복소수(허수) · 사원수 · 대수적 수 · 벡터 공간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적 구조
군(group) 대칭군 · 기본군 · 자유군 · 리 군 · 괴물군 · 점군 · 순환군 · 군의 작용 · 동형 정리 · 실로우 정리
환(ring) 아이디얼
체(field) 갈루아 이론 · 분해체
대수 가환대수 · 리 대수 · 불 대수(크로네커 델타)
마그마·반군·모노이드 자유 모노이드 · 가환 모노이드
선형대수학 벡터 · 행렬 · 텐서(텐서곱) · 벡터 공간(선형사상) · 가군(module) · 내적 공간(그람-슈미트 과정 · 수반 연산자)
정리·추측
대수학의 기본정리 · 나머지 정리 · 유클리드 호제법 · 부분분수분해 · PID 위의 유한생성 가군의 기본정리 ·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미해결
관련 하위 분야
범주론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 층 이론(층들) · 토포스 이론 · 타입 이론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 스킴 · 사슬 복합체(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대수적 정수론 타원곡선 · 디오판토스 방정식 · 유리근 정리 · 모듈러성 정리
가환대수학 스펙트럼 정리
표현론 실베스터 행렬
기타 및 관련 문서
수학 관련 정보 · 추상화 · 1학년의 꿈 · 노름 · 혼합계산 · 분배법칙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교재 }}}}}}}}}

파일:namu_1의 7제곱근.png
복소평면에 표시한 1의 7제곱근 [math(\boldsymbol{z_{0} \sim z_{6}})][1]

1. 소개2. 정의3. 1의 제곱근4. 1의 세제곱근5. 1의 네제곱근6. 1의 다섯제곱근7. 1의 여섯제곱근8. 1의 여덟제곱근9. 1의 n제곱근10. 회전 변환 행렬11. 성질12. 관련 개념들

1. 소개

1의 거듭제곱근(root of unity)[2]은 연산이 정의된 의 개념으로, 해당 연산을 유한 번 거듭하여 항등원을 얻을 수 있는 원소들을 일컫는다. 이 개념을 복소수의 곱셈 군 [math((\mathbb C^{\times}, \ \cdot \ ))]에 한정하여 생각하기도 한다.

2. 정의

1의 거듭제곱근(Root of unity)
[math((G, \ \cdot \ ))]과 원소 [math(a \in G)]가 주어져 있을 때,

[math(g^n = a)]

인 원소 [math(g \in G)]를 [math(a)]의 거듭제곱근(Root of [math(a)]) 혹은 제곱의 수를 강조하여 [math(\boldsymbol a)]의 [math(\boldsymbol{n})]제곱근([math(n)]th root of [math(a)])이라고 한다. 특히, [math(a)]가 군 [math((G, \ \cdot \ ))]의 항등원 1인 경우[3] [math(g \in G)]를 1의 거듭제곱근(Root of unity) 혹은 1의 [math(n)]제곱근([math(n)]th root of unity)이라고 한다.

1의 거듭제곱근(Root of unity)
[math(z^n = 1)]인 복소수 [math(z \in \mathbb C)]를 1의 거듭제곱근(Root of unity) 혹은 1의 [math(\boldsymbol{n})]제곱근([math(\boldsymbol{n})]th root of unity)이라고 한다.
위에서 정의한 일반적인 군 [math((G, \ \cdot \ ))]를 곱셈군 [math((\mathbb C^{\times}, \ \cdot \ ))]로 한정한 버전이다. 물론 1이 아닌 임의의 복소수 [math(a \in \mathbb C)]의 [math(n)]제곱근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math(a \in \mathbb C)]의 한 [math(n)]제곱근에 1의 [math(n)]제곱근들을 곱한 형태로 전부 표현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1의 [math(n)]제곱근들은 본질적인 거듭제곱근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아래 예시는 전부 복소수체(의 부분군)에서 계산한 1의 거듭제곱근들이다.

1의 6제곱근, 12제곱근은 1의 3제곱근을 응용, 1의 10제곱근, 20제곱근은 1의 5제곱근을 응용해서 구할 수 있으며 1의 3제곱근과 5제곱근을 곱하면 1의 15제곱근, 30제곱근, 60제곱근도 나타낼 수 있다. 1의 8제곱근까지는 계산이 크게 어렵지 않아서 1의 24제곱근, 40제곱근, 120제곱근도 비슷한 난이도로 구할 수 있되 1의 16제곱근부터는 이중근호가 들어가서 여기서부터는 난이도가 올라간다.

또한 2제곱근과 3제곱근이 번갈아 나타나는 다중근호의 경우는 1의 7제곱근과 1의 9제곱근이 있다. 다만 환원 불능이다.
1의 17제곱근은 2제곱근만 들어가되 매우 복잡하며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증명해냈다.
1의 n제곱근은 root of unity에 해당하며 모든 root of unity는 사칙연산과 유한번 제곱근 처리로 답을 낼 수 있다 한다.

3. 1의 제곱근

[math(\begin{aligned} z^2 = 1 & \Leftrightarrow (z - 1)(z + 1) = 0 \\ & \Leftrightarrow z =\pm 1 \end{aligne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1의 세제곱근

[math(\begin{aligned} z^3 = 1 & \Leftrightarrow (z - 1)(z^2+z+1)=0 \\ & \Leftrightarrow z = 1 \textsf{ or }z = \dfrac {-1 \pm \sqrt 3i}2 \end{aligne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의 거듭제곱근/세제곱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1의 네제곱근

[math(\begin{aligned} z^4 = 1 & \Leftrightarrow (z - 1)(z + 1)(z - i)(z + i) = 0 \\ & \Leftrightarrow z = \pm 1 \textsf{ or }z = \pm i \end{aligne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허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1의 다섯제곱근

[math(\begin{aligned} z^5 = 1 & \Leftrightarrow (z - 1)(z^4+z^3+z^2+z+1)=0 \\ & \Leftrightarrow z = 1 \textsf{ or }z = \dfrac {-1+\sqrt{5}\pm\sqrt{10+2\sqrt{5}}i}{4} \textsf{ or }z = \dfrac {-1-\sqrt{5}\pm\sqrt{10-2\sqrt{5}}i}{4} \end{aligned})]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의 거듭제곱근/다섯제곱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황금비를 사용하면 식을 간추릴 수도 있다.

7. 1의 여섯제곱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의 거듭제곱근/세제곱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math(x^3=1, x^3=-1)]의 해를 모두 취한 것과 같다.

8. 1의 여덟제곱근

각각의 근은 [math(\pm1,\pm i,\pm\dfrac{\sqrt{2}\pm\sqrt{2}i}{2})]이다.

9. 1의 n제곱근

방정식 [math(z^n = 1​)]의 양 변의 절대값을 비교하면, [math(\lVert z\rVert = 1​)]이므로 [math(z = \cos\theta + i\sin\theta)]라고 쓸 수 있다. 드 무아브르 공식에 의해,

[math(\begin{aligned} 1 &= z^n \\&= \cos n\theta + i\sin n\theta \end{aligned} )]

을 얻는다. 이 식이 성립하려면, [math(n\theta = 2k\pi)] 즉 [math(\exists k \in \mathbb{z} \textsf{ s.t. }\theta = 2k\pi/n)] 이어야만 한다. 중복근을 전부 제외하면

[math(\begin{aligned} z &= \cos\dfrac {2k\pi}n + i\sin\dfrac {2k\pi}n \\&= {\rm cis}{\left(\dfrac {2k\pi}n \right)} \; ( 0 \leq k < n) \end{aligned} )]

이 모든 1의 [math(n)]제곱근이다. [math({\rm cis})]는 허수지수함수이다.

10. 회전 변환 행렬

[math(\theta\degree)]라 할때 회전 변환 행렬은 다음과 같다.
[math(\theta\degree=\begin{pmatrix}\cos\theta&-\sin\theta\\\sin\theta&\cos\theta\end{pmatrix})]

대표적인 각의 회전변환행렬을 나타내었다.
[math(0\degree=\begin{pmatrix}1&0\\0&1\end{pmatrix})]
[math(90\degree=\begin{pmatrix}0&-1\\-1&0\end{pmatrix})]
[math(180\degree=\begin{pmatrix}-1&0\\0&-1\end{pmatrix})]
[math(270\degree=\begin{pmatrix}0&1\\-1&0\end{pmatrix})]
[math(60\degree=\begin{pmatrix}\dfrac{1}{2}&-\dfrac{\sqrt{3}}{2}\\\dfrac{\sqrt{3}}{2}&\dfrac{1}{2}\end{pmatrix})]
[math(120\degree=\begin{pmatrix}-\dfrac{1}{2}&-\dfrac{\sqrt{3}}{2}\\\dfrac{\sqrt{3}}{2}&-\dfrac{1}{2}\end{pmatrix})]
[math(72\degree=\begin{pmatrix}\dfrac{-1+\sqrt{5}}{4}&-\dfrac{\sqrt{10+2\sqrt{5}}}{4}\\\dfrac{\sqrt{10+2\sqrt{5}}}{4}&\dfrac{-1+\sqrt{5}}{4}\end{pmatrix})]
[math(45\degree=\begin{pmatrix}\dfrac{\sqrt{2}}{2}&-\dfrac{\sqrt{2}}{2}\\\dfrac{\sqrt{2}}{2}&\dfrac{\sqrt{2}}{2}\end{pmatrix})]
[math(12\degree=\begin{pmatrix}\frac{-1+\sqrt{5}+\sqrt{30+6\sqrt{5}}}{8}&\frac{-\sqrt{3}+\sqrt{15}-\sqrt{10+2\sqrt{5}}}{8}\\\frac{\sqrt{3}-\sqrt{15}+\sqrt{10+2\sqrt{5}}}{8}&\frac{-1+\sqrt{5}+\sqrt{30+6\sqrt{5}}}{8}\end{pmatrix})]

11. 성질

1의 [math(\boldsymbol{n})]제곱근으로 구성된 군(Group of [math(n)]th roots of unity)
가환군 [math(G)]에서, 1[4]의 [math(n)]제곱근들을 모은 부분집합은 부분군을 이룬다. 이를 1의 [math(n)]제곱근으로 구성된 군(Group of [math(n)]th roots of unity)이라고 한다.

[ 증명 ]
-----
1의 [math(n)]제곱근들을 모은 부분집합을 [math(G_n)]이라 하자.
  • [math(G_n)]이 [math(G)]로부터 물려받은 연산에 대해 닫혀있음.
    • [math(g, h \in G_n)]이면, [math(g^n = h^n = 1)]이므로 [math((gh)^n = 1)][5], 즉 [math(gh \in G_n)].
  • [math(G_n)]은 [math(G)]의 항등원 1을 포함.
    • [math(1^n = 1)]이므로 [math(1 \in G)].
  • 임의의 [math(G_n)]의 원소는 역원을 가짐.
    • [math(g \in G_n)]이면, [math((g^{-1})^n = g^n (g^{-1})^n = 1)]이므로 [math(g^{-1} \in G_n)].
여기서 [math(G)]가 가환군이 아니면 위 명제는 성립하지 않는다. 실제로, 다음과 같은 반례가 존재한다. [math(2 \times 2)] 행렬들의 집합 [math(\mathfrak M_{2, 2}(\mathbb R))]을 생각하자. 여기서 역행렬이 존재하는 행렬들은, 행렬 곱셈에 대하여 일반선형군(general linear group) [math(\mathbf{GL}_2(\mathbb R))]을 이룬다. 그런데,

[math(\begin{bmatrix} 1 & 1 \\ 0 & -1 \end{bmatrix} ^2 = \begin{bmatrix} -1 & 1 \\ 0 & 1 \end{bmatrix} ^2 = \begin{bmatrix} 1 & 0 \\ 0 & 1 \end{bmatrix}​)]

이지만

[math( \begin{aligned} \begin{bmatrix} 1 & 1 \\ 0 & -1 \end{bmatrix} \cdot \begin{bmatrix} -1 & 1 \\ 0 & 1 \end{bmatrix} &= \begin{bmatrix} -1 & 2 \\ 0 & -1 \end{bmatrix} \\ \begin{bmatrix} -1 & 2 \\ 0 & -1 \end{bmatrix} ^2 &\neq \begin{bmatrix} 1 & 0 \\ 0 & 1 \end{bmatrix}​ \end{aligned})]

이다. 즉, [math(\mathbf{GL}_2(\mathbb R))]에서 1의 제곱근들은 군을 이루지 않는다.

1의 모든 거듭제곱근으로 구성된 군(Group of all roots of unity)
가환군 [math(G)]에서, 1의 모든 거듭제곱근들을 모은 부분집합[6]은 부분군을 이룬다. 이를 1의 모든 거듭제곱근으로 구성된 군(Group of all roots of unity)이라고 한다.

[ 증명 ]
-----
바로 윗 명제의 증명에서 [math(G_n)]을 생각할 때, [math(\displaystyle G^{\ast} = \bigcup_{n \in\mathbb N}G_n)]이 [math(G)]의 부분군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 [math(G^{\ast})]가 [math(G)]로부터 물려받은 연산에 대해 닫혀있음.
    • [math(g, h \in G^{\ast})]이면, 적당한 [math(m, n \in\mathbb N)]에 대하여 [math(g^m = h^n = 1)]이므로 [math((gh)^{mn} = 1)], 즉 [math(gh \in G_{mn} \subset G^{\ast})].
  • [math(G^{\ast})]은 [math(G)]의 항등원 1을 포함.
    • [math(1^1 = 1)]이므로 [math(1 \in G_1 \subset G^{\ast})].
  • 임의의 [math(G^{\ast})]의 원소는 역원을 가짐.
    • [math(g \in G_n \subset G^{\ast})]이면, [math((g^{-1})^n = g^n (g^{-1})^n = 1)]이므로 [math(g^{-1} \in G_n \subset G^{\ast})].

또한 복소평면에서 1의 제곱근은 원점에 대칭인 선분이며, [math(n \geq 3)]인 [math(n)]제곱근은 원점을 중심으로 한 정[math(n)]각형을 그린다. 또한 정다각형의 꼭짓점이 단위원 위에 있다는 성질[7]을 이용해서 1의 [math(n)]제곱근의 값을 띠는 점을 작도하는 게 가능하다.[8]

12. 관련 개념들

1의 원시근(Primitive root of unity)
[math((G, \ \cdot \ ))]과 자연수 [math(n)]이 주어져 있을 때,

[math(g^n = 1)], [math(g^m \neq 1 \; (0 < m < n) )][9]

인 원소 [math(g \in G)]를 원시근(Primitive root), 1의 원시근(Primitive root of unity) 혹은 1의 [math(\boldsymbol n)]차 원시근(Primitive [math(\boldsymbol n)]th root of unity)이라고 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시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원분다항식(Cyclotomic polynomial)
복소수체 상에서 자연수 [math(n)]과 정수 [math(0\leq k \leq n-1)]이 주어져 있을 때,

[math(\displaystyle \Phi_{n}(x)=\prod_{\gcd(k,n)=1}(x-\omega^{k}))][10]
[math(\displaystyle \prod_{d|n}\Phi_{d}(x)=x^n-1)]
([math(\Phi_{1}(x)=x-1)])

를 만족하는 다항식 [math(\Phi_{n}(x)]를 [math(n)]차 원분 다항식(n-th cyclotomic polynomial)이라고 한다. 또한 원분다항식은 유리수 범위에서 기약방정식임이 증명되어 있다.
다른 정의로는 1의 n차 원시근 [math(\omega_n = e^{2\pi i/n})]에 대해서, 유리수체 상에서 [math(\omega_n)]의 기약다항식으로도 정의한다.
만약 [math(n)]이 소수 [math(p)]라면 다음 형태가 된다.

[math(\displaystyle \Phi_{p}(x)=\frac{x^p-1}{x-1}=\sum_{i=0}^{p-1}x^i)][11]


또한 [math(n)]이 서로 다른 두 소수 [math(p, q)]의 곱인 [math(pq)] 형태라면 다음 형태가 된다.

[math(\Phi_{pq}(x)=\dfrac{x^{pq}-1}{(x-1)\phi_{p}(x)\phi_{q}(x)})]

여기서 유도되어 [math(n=2p)]라면 다음 형태로 정리할 수 있다.[12]

[math(\displaystyle \Phi_{2p}(x)=\dfrac{x^{2p}-1}{(x-1)\phi_{p}(x)\phi_{2}(x)}=\dfrac{x^{2p}-1}{(x+1)\phi_{1}(x)\phi_{p}(x)}=\dfrac{x^{2p}-1}{(x+1)(x^{p}-1)}=\dfrac{x^{p}+1}{x+1}=\sum_{i=0}^{p-1}(-x)^{i})]

또한 [math(\Phi_{n}(x))]의 차수는 오일러 피 함수를 이용하여 [math(\displaystyle \varphi(n))]로 주어진다.


주의할 점이 있다면, 원분다항식의 대부분의 계수는 1, 0, -1밖에 보이지 않지만, 이는 원분다항식의 차수가 낮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종의 예외같은 것으로, 원분다항식의 [math(n)]이 일정 이상 커지게 되면 계수의 절대값이 2를 넘을 수 있다. 이런 반례를 볼 수 있는 최소값은 [math(n=105)]인 [math(\Phi_{105})]이다.(울프럼 알파 계산값)


[1] 각각은 [math(z_{n}=\cos{\left( \dfrac{2\pi n}{7} \right)}+i \sin{\left( \dfrac{2\pi n}{7}\right)})]이다. 간단히 [math({\rm cis}{\left( \dfrac{2\pi n}{7} \right)})]로 적기도 한다.[2] 단위근(unit root), 드 무아브르 수(de Moivre number)라고도 한다.[3] 곱셈군 [math((G, \ \cdot \ ))]를 다룰 때는 관습적으로 항등원을 [math(e)]가 아닌 1로 적는다. 비슷하게, 덧셈군 혹은 가환군 [math((G, +))]의 항등원은 [math(0)]으로 적는 경우가 많다.[4] 항등원. 보통 가환군의 항등원은 [math(0)]으로 적지만 본 문서에서 모든 군의 항등원을 1로 표기했으므로 이에 따른다.[5] 이 부분에서 [math(G)]가 가환군임이 필요하다.[6] 즉, 1제곱근, [math(2)]제곱근, [math(\cdots)], [math(n)]제곱근, [math(\cdots)] 등을 전부 모은다.[7] 곧, 원점과의 거리(= 절댓값)가 1임을 뜻한다. 그래서 1의 거듭제곱근 [math(z)]에 부호 함수를 취할 경우 [math({\rm sgn}(z) = z)]가 성립한다.[8] 단, 7각형, 9각형, 11각형, 13각형 같이 유클리드 작도가 불가능하지만 뉴시스 작도만 가능한 경우도 있으며 23각형같이 유클리드, 뉴시스 모두 작도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9] 즉, [math(n)]이 [math(g^k = 1)]을 만족하는 최소의 자연수.[10] [math(\omega)]는 1의 n차 원시근[11] 이는 위의 조건중 2번째 조건에 의한 것인데, 소수 [math(p)]의 약수는 자기 자신과 1 밖에 없으므로 [math(\Phi_{p}(x)\Phi_{1}(x)=x^p-1)]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math(\Phi_{1}(x)=x-1)]이므로, 자연스럽게 해당 식이 성립하는 것.[12] 당연히 [math(p)]는 2가 아니어야 하므로 홀수 소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