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7 21:21:46

수열


1. 개요2. 주요한 수열들3. 기타4. 관련 문서

1. 개요

(number sequence)은 여러 수가 일정한 패턴을 이루며 나열되는 현상으로, 본 문서에서 설명하는 건 이러한 패턴을 표현하는 법에 대한 내용이다.

1.1. 수열의 귀납적 정의

수열의 귀납적 정의 문서 참고.

1.2. 생성함수

수열 [math(\{a_n\})]에 대해 생각하는 형식적인 멱급수
[math( \displaystyle A(x) = \sum_{i=0}^{\infty} a_i x^i )]
로 정의된다. 자세한 것은 문서를 참고.

1.3. 수열의 합

[math( \displaystyle \sum_{k=1}^{n} a_k =a_1+a_2+a_3+...+a_n)]

수학에서의 수열 [math( a_1, a_2, a_3, ... , a_n)]이 주어졌을 때 이들의 합을 시그마 기호로 나타낼 수 있다. 시그마를 쓰는 이유는 합을 뜻하는 라틴어 단어 summa의 앞글자를 땄기 때문이다. 그리스 문자 Σ는 로마자의 S에 대응되기 때문. 때문에 영어권에서는 [math(\Sigma)]라고 쓰고 sum이라고 읽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비슷한 것으로 [math(Pi)](파이)가 있는데, 이것은 곱하기 버전이다.(곱하기의 영문 표현인 product의 p에 대응).
  • 시그마 밑에는 각 항수를 대입할 문자(인덱스)를 지정하고, 더하기를 시작할 첫 항을 지정한다. [math(k)]에 대한 일반항을 제1항부터 더할 것이라면, [math(k=1)]이라고 쓰면 된다. 만약 일반항에 여기서 지정한 문자가 아닌 다른 문자가 들어간다면 그 문자는 상수로 취급한다.(문자를 [math(k)]로 지정했는데 일반항에 [math(m)]이 튀어나온다거나)
  • 시그마 위에는 마지막 항을 지정한다. 제[math(n)]항까지 더할 것이라면, [math(n)]이라고 쓰면 된다.
  • 시그마 오른쪽에는 일반항을 써준다. 항수가 들어갈 문자는 앞에서 지정한 문자와 같아야 한다. 예를 들어 [math(n)]에 대한 수열에서 일반항이 [math(3n-2)]이고 [math(n)]에 들어가는 수가 항수라면, [math(n)] 대신에 앞에서 지정한 문자 (본 예시에서는 [math(k)])로 바꿔 써야 한다.

시그마의 일반적인 성질은 다음과 같다.
1. [math( \displaystyle \sum_{k=1}^{n}\left(a_k \pm b_k\right) = \sum_{k=1}^{n}a_k \pm \sum_{k=1}^{n}b_k)] (복호동순)
1. [math( \displaystyle \sum_{k=1}^{n}ca_k = c\sum_{k=1}^{n}a_k)] ([math(c)]는 상수)
1. [math( \displaystyle \sum_{k=1}^{n}c = cn)]

어린 시절 산수를 배울 때 [math(1)]에서 [math(10)]까지 다 더하면 [math(1+2+3+4+5+6+7+8+9+10=55)]가 된다는 사실을 발견한 적 있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일종의 유한급수이다. 이를 급수식으로 바꿔 보면
[math( \displaystyle \sum_{k=1}^{10}k)]
이렇게 된다.

위의 공식을
[math( \displaystyle \sum^{n}_{k=1}k = \frac{n(n+1)}{2} )]
와 같은 일반적인 식으로 나타낼 수도 있으며 [math(\displaystyle \frac{10\times (10+1)}{2}=55)]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이걸 그대로 제곱하면 3차항의 합이 된다.

[math( \displaystyle k^2)]의 경우는 아래와 같다.
[math( \displaystyle \sum^{n}_{k=1}k^2 = \frac{n(n+1)(2n+1)}{6} )]
이를 [math( \displaystyle k^c)]일 경우로 일반화한 식이 바로 파울하버의 공식이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열의 합은 수학1 과목에서 다룬다. 한편 [math(n)]항까지 더하는 것이 아니라 무한 개의 항을 모두 합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적분 과목에서 다루며, 자세한 설명은 무한급수 문서를 참고할 것.

수열의 합을 적분을 이용해 나타낼 수도 있다.
생성함수 [math(A(k))]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sum_{k=1}^{n} A(k) = \int_{1}^{n} A(k) \ \mathrm{d}\lfloor k \rfloor)] ([math(\lfloor k \rfloor)]는 최대 정수 함수)
증명은 급수를 각 항의 합으로 나타낸 뒤 정리해주면 된다. 4번의 경우는 너비가 1이고 높이가 [math(A(k))]인 직사각형을 모아서 그 넓이를 합하는 것을 떠올리면 쉽다.[1]
자세한 설명을 담은 영상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3.1. 여러 수열의 합

다음은 고등학교 과정에서 흔히 나오는 수열의 합의 계산이다.
  • [math(\displaystyle\sum_{k=1}^n\left(\dfrac{1}{k}-\dfrac{1}{k+1}\right)=\left(\dfrac11-\cancel{\dfrac12}\right)+\left(\cancel{\dfrac12}-\cancel{\dfrac13}\right)+\cdots+\left(\cancel\dfrac1{n-1}-\cancel{\dfrac1n}\right)+\left(\cancel{\dfrac1n}-\dfrac1{n+1}\right)=1-\dfrac{1}{n+1}=\dfrac{n}{n+1})]
  • [math(\begin{aligned}\displaystyle\sum_{k=1}^n\left(\dfrac{1}{k}-\dfrac{1}{k+2}\right)&=\left(\dfrac11-\cancel{\dfrac13}\right)+\left(\dfrac12-\cancel{\dfrac14}\right)+\left(\cancel{\dfrac13}-\cancel{\dfrac15}\right)+\cdots+\left(\cancel{\dfrac1{n-2}}-\cancel{\dfrac1n}\right)+\left(\cancel{\dfrac1{n-1}}-\dfrac1{n+1}\right)+\left(\cancel{\dfrac1{n}}-\dfrac1{n+2}\right)\\&=\dfrac11+\dfrac12-\dfrac{1}{n+1}-\dfrac{1}{n+2}\;(n\geq 2)\end{aligned})]
  • [math(\displaystyle\sum_{k=1}^n (\sqrt{k+1}-\sqrt k)=(\cancel{\sqrt 2}-\sqrt 1)+(\cancel{\sqrt 3}-\cancel{\sqrt 2})+\cdots+(\cancel{\sqrt n}+\cancel{\sqrt {n-1}})+(\sqrt{n+1}-\cancel{\sqrt n})=\sqrt{n+1}-1)]
  • [math(\begin{aligned}\displaystyle\sum_{k=1}^n (\sqrt{k+2}-\sqrt k)&=(\cancel{\sqrt 3}-\sqrt 1)+(\cancel{\sqrt 4}-\sqrt 2)+(\cancel{\sqrt 5}-\cancel{\sqrt 3})+\cdots+(\cancel{\sqrt n}-\cancel{\sqrt {n-2}})+(\sqrt {n+1}-\cancel{\sqrt {n-1}})+(\sqrt {n+2}-\cancel{\sqrt n})\\&=\sqrt{n+1}+\sqrt{n+2}-\sqrt 1-\sqrt 2\;(n\geq 2)\end{aligned})]

위 식들을 일반화하면 다음과 같으나 각각 [math(m=1)], [math(m=2)]인 경우에 해당하는 위 식들 말고는 계산이 지나치게 복잡하다고 하여 거의 나오지 않는다.
  • [math(\begin{aligned}\displaystyle\sum_{k=1}^n\left(\dfrac{1}{k}-\dfrac{1}{k+m}\right)&=\left(\dfrac11+\dfrac12+\cdots+\dfrac1m\right)-\left(\dfrac{1}{n+1}+\cdots+\dfrac1{n+m}\right)\\&=\displaystyle\sum_{k=1}^m\left(\dfrac1k-\dfrac1{n+k}\right)\;(n\geq m)\end{aligned})]
  • [math(\begin{aligned}\displaystyle\sum_{k=1}^n(\sqrt {k+m}-\sqrt k)&=\sqrt{n+1}+\cdots+\sqrt {n+m})-(\sqrt 1+\sqrt 2+\cdots+\sqrt m)\\&=\displaystyle\sum_{k=1}^m(\sqrt {n+k}-\sqrt k)\;(n\geq m)\end{aligned})]

나아가, [math(\displaystyle\sum_{k=1}^n (\sqrt{k+1}-\sqrt k))]의 경우 다음과 같이 변형된 꼴로도 종종 나온다.
  • [math(\begin{aligned}\displaystyle\sum_{k=1}^n \dfrac1{\sqrt{k+1}+\sqrt k}&=\displaystyle\sum_{k=1}^n \dfrac{\sqrt{k+1}-\sqrt k}{(\sqrt{k+1}+\sqrt k)(\sqrt{k+1}-\sqrt k)}\\&=\displaystyle\sum_{k=1}^n (\sqrt{k+1}-\sqrt k)\end{aligned})]

또한 다음과 같은 값들은 별도로 암기하는 편이 유용하다.
  • [math(\displaystyle\sum_{k=1}^{10}k=55)]
  • [math(\displaystyle\sum_{k=1}^{10}k^2=385)]
1.3.1.1. 부분분수분해
  • [math(\dfrac1{AB}=\dfrac1{B-A}\left(\dfrac1A-\dfrac1B\right)\quad(\textsf{단,}\;A\neq B,\;A\neq 0,\;B\neq 0))]

위 공식을 이용하여, 변형된 수열의 합을 구하는 문제도 나온다. 다음과 같이 부분분수분해를 이용하여 식을 변형한 뒤 위의 방법대로 수열의 합을 구하면 된다.
  • [math(\displaystyle\sum_{k=1}^n \dfrac{3}{k(k+2)}=\displaystyle\sum_{k=1}^n \dfrac32\left(\dfrac1k-\dfrac1{k+2}\right))]

1.4. 수열의 극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열의 극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주요한 수열들

  • 등차수열: 이웃하는 항의 차(공차)가 일정한 수열. 즉, 항의 값이 일차함수와 같이 선형적인 수열
  • 등비수열: 이웃하는 항의 비(공비)가 일정한 수열. 즉, 항의 값이 지수함수와 같이 지수적인 수열
  • 조화수열: 각 항의 역수가 등차수열인 수열
  • 계차수열: 어떤 수열의 이웃한 항 사이의 차로 구성된 수열
  • 특정 함수로 정의되는 수열
    • 다항수열: 다항함수로 정의되는 수열. 수열의 합은 각각의 항에 거듭제곱의 합 공식을 따로따로 적용하여 각 항의 계수를 곱해준다. 정적분과 원리가 다소 비슷하다.
    • 삼각수열: 삼각함수로 정의되는 수열. 수열의 합을 구할 때 항을 몇천 개나 합해야 하는 문제가 나오지만 그건 장식이고 주기가 [math(2{\pi})]임을 이용해서 주기만큼 나눈 나머지에 해당하는 항을 더하면 된다.
  • 부분군열
  • 피보나치 수열: 가장 단순한 이계 동차 선형점화식을 따르는 수열로, 일반항에 황금비가 등장한다.
  • 콜라츠 수열: 유명한 3n+1의 문제. 1937년에 나온 수열인데 2023년 기준으로 아직도 수렴하는지 알려지지 않은 난제 중 하나이다.

3. 기타

OEIS라는 온라인 사전 사이트가 있는데, 수학/물리학에서 다루는 여러 수열에 대해서 볼 수 있는 사이트이다.

4. 관련 문서



[1] 물론 쉽게 표현하자면 이렇다. 엄밀한 정의는 스틸체스 적분 문서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