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0 14:18:45

팔원수

[[대수학|대수학
Algebr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이론
기본 대상 연산 · 항등식(가비의 이 · 곱셈 공식(통분 · 약분) · 인수분해) · 부등식(절대부등식) · 방정식(풀이 · (무연근 · 허근 · 비에트의 정리(근과 계수의 관계) · 제곱근(이중근호 · 개방법) · 환원 불능) · 부정 · 불능) · 비례식 · 다항식 · 산술(시계 산술)
수 체계 자연수(소수) · 정수(음수) · 유리수 · 실수(무리수(대수적 무리수 · 초월수) · 초실수) · 복소수(허수) · 사원수 · 팔원수 · 대수적 수 · 벡터 공간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적 구조
군(group) 대칭군 · 기본군 · 자유군 · 리 군 · 괴물군 · 점군 · 순환군 · 군의 작용 · 동형 정리 · 실로우 정리
환(ring) 아이디얼
체(field) 갈루아 이론 · 분해체
대수 가환대수 · 리 대수 · 불 대수(크로네커 델타)
마그마·반군·모노이드 자유 모노이드 · 가환 모노이드
선형대수학 벡터 · 행렬 · 텐서(텐서곱) · 벡터 공간(선형사상) · 가군(module) · 내적 공간(그람-슈미트 과정 · 수반 연산자)
정리·추측
대수학의 기본정리 · 나머지 정리 · 유클리드 호제법 · 부분분수분해 · PID 위의 유한생성 가군의 기본정리 ·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미해결
관련 하위 분야
범주론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 토포스 이론 · 타입 이론
대수 위상수학 연속변형성 · 사슬 복합체 · 호몰로지 대수학(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 mapping class group · 닐센-서스턴 분류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 · 스킴 · 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대수적 정수론 타원곡선 · 디오판토스 방정식 · 유리근 정리 · 모듈러성 정리
가환대수학 스펙트럼 정리
표현론 실베스터 행렬
기타 및 관련 문서
수학 관련 정보 · 추상화 · 1학년의 꿈 · 노름 · 혼합계산 · 분배법칙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교재 }}}}}}}}}

수 체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사원수 [math(mathbb H)] · 팔원수 [math(mathbb O)]
↑ 확장 ↑
복소수 [math(mathbb C)]
대수적 폐포, 행렬 표현, 순서쌍 구성 등 ↑ [[허수|허수 [math(\mathbb{C}]]
실수 [math(mathbb R)]
완비화, 데데킨트 절단 등 ↑ 무리수 [math(mathbb{R} setminus mathbb{Q})]
유리수 [math(mathbb Q)]
곱셈의 역원 정수가 아닌 유리수 [math(\mathbb{Q} \setminus \mathbb{Z})]
정수 [math(mathbb Z)]
덧셈의 역원 음의 정수 [math(\mathbb{Z} \setminus \mathbb{N})]
범자연수 [math(mathbb N_0)]
↑ 자연수의 집합론적 구성 ↑
[math(0)]
소수 [math(\mathbb P)] · 초실수 [math(\mathbb R^{\ast})] · 대수적 수 [math(\mathbb A)](대수적 무리수 [math(\mathbb{A}\cap(\mathbb{R} \setminus \mathbb{Q}))]) · 초월수 [math(\complement {\mathbb A})] · 벡터 공간 [math(\mathbb V)] }}}}}}}}}

1. 개요2. 허수 단위3. 활용과 확장4. 관련 문서

1. 개요

/ octonion

사원수를 확장한, 사원수에서 네 개의 새로운 허수 성분을 더 추가한 수 체계.

팔원수의 허수단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math(e_1^2 = e_2^2 = e_3^2 = e_4^2 = e_5^2 = e_6^2 = e_7^2 = (((((e_1 e_2) e_3) e_4) e_5) e_6) e_7 = -1)]


팔원수 집합을 나타내는 기호로는 [math(\mathbb O)]를 사용한다.

사원수에서 4차 실행렬로 표기가 가능한 것처럼, 팔원수도 당연히 8차 실행렬로 표현이 가능하다.
[math(
\begin{pmatrix*}[r]
x_0 & -x_1 & -x_2 & x_3 & -x_4 & x_5 & x_6 & -x_7 \\
x_1 & x_0 & -x_3 & -x_2 & -x_5 & -x_4 & -x_7 & -x_6 \\
x_2 & x_3 & x_0 & x_1 & -x_6 & x_7 & -x_4 & x_5 \\-x_3 & x_2 & -x_1 & x_0 & x_7 & x_6 & -x_5 & -x_4 \\
x_4 & x_5 & x_6 & -x_7 & x_0 & x_1 & x_2 & -x_3 \\-x_5 & x_4 & -x_7 & -x_6 & -x_1 & x_0 & x_3 & x_2 \\-x_6 & x_7 & x_4 & x_5 & -x_2 & -x_3 & x_0 & -x_1 \\
x_7 & x_6 & -x_5 & x_4 & x_3 & -x_2 & x_1 & x_0
\end{pmatrix*}
)]

2. 허수 단위

팔원수의 단위 원소들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는 [math(e_0 \cdots e_7)]의 형태로 표기한다.
표기법 허수단위
0 1 2 3 4 5 6 7
[math(e_n)] 방식 [math(e_0)] [math(e_1)] [math(e_2)] [math(e_3)] [math(e_4)] [math(e_5)] [math(e_6)] [math(e_7)]
[math(𝕚 𝕛 𝕜 𝕝)] 방식 1 [math(𝕚)] [math(𝕛)] [math(𝕜)] [math(𝕝)] [math(𝕝𝕚)] [math(𝕝𝕛)] [math(𝕝𝕜)]

허수 단위 [math(e_1 \cdots e_7)]은 각각 제곱하면 [math(-1)]이지만 전부 서로 다른 단위이며, 곱셈의 교환 법칙결합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허수단위들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식이 성립된다.
  • [math(e_1 = e_2 e_3 = -e_3 e_2 = e_4 e_5 = -e_5 e_4 = -e_6 e_7 = e_7 e_6)]
  • [math(e_2 = -e_1 e_3 = e_3 e_1 = e_4 e_6 = -e_6 e_4 = e_5 e_7 = -e_7 e_5)]
  • [math(e_3 = e_1 e_2 = -e_2 e_1 = e_4 e_7 = -e_7 e_4 = -e_5 e_6 = e_6 e_5)]
  • [math(e_4 = -e_1 e_5 = e_5 e_1 = -e_2 e_6 = e_6 e_2 = -e_3 e_7 = e_7 e_3)]
  • [math(e_5 = e_1 e_4 = -e_4 e_1 = -e_2 e_7 = e_7 e_2 = e_3 e_6 = -e_6 e_3)]
  • [math(e_6 = e_1 e_7 = -e_7 e_1 = e_2 e_4 = -e_4 e_2 = -e_3 e_5 = e_5 e_3)]
  • [math(e_7 = -e_1 e_6 = e_6 e_1 = e_2 e_5 = -e_5 e_2 = e_3 e_4 = -e_4 e_3)]

허수단위 간의 곱셈을 한 눈에 보기 편하게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colbgcolor=#f5f5f5,#2d2f34> [math(a \times b)] [math(b)]
[math(1)] [math(e_1)] [math(e_2)] [math(e_3)] [math(e_4)] [math(e_5)] [math(e_6)] [math(e_7)]
[math(a)] <colbgcolor=#f5f5f5,#2d2f34> [math(1)] [math(1)] [math(e_1)] [math(e_2)] [math(e_3)] [math(e_4)] [math(e_5)] [math(e_6)] [math(e_7)]
[math(e_1)] [math(e_1)] [math(-1)] [math(e_3)] [math(-e_2)] [math(e_5)] [math(-e_4)] [math(-e_7)] [math(e_6)]
[math(e_2)] [math(e_2)] [math(-e_3)] [math(-1)] [math(e_1)] [math(e_6)] [math(e_7)] [math(-e_4)] [math(-e_5)]
[math(e_3)] [math(e_3)] [math(e_2)] [math(-e_1)] [math(-1)] [math(e_7)] [math(-e_6)] [math(e_5)] [math(-e_4)]
[math(e_4)] [math(e_4)] [math(-e_5)] [math(-e_6)] [math(-e_7)] [math(-1)] [math(e_1)] [math(e_2)] [math(e_3)]
[math(e_5)] [math(e_5)] [math(e_4)] [math(-e_7)] [math(e_6)] [math(-e_1)] [math(-1)] [math(-e_3)] [math(e_2)]
[math(e_6)] [math(e_6)] [math(e_7)] [math(e_4)] [math(-e_5)] [math(-e_2)] [math(e_3)] [math(-1)] [math(-e_1)]
[math(e_7)] [math(e_7)] [math(-e_6)] [math(e_5)] [math(e_4)] [math(-e_3)] [math(-e_2)] [math(e_1)] [math(-1)]

또한 사원수에서 확장한 수 체계이므로, 처음 네 단위 원소 [math(e_0 \cdots e_3)]는 다음과 동치이다.
[math(e_0 \equiv 1)]
[math(e_1 \equiv i)]
[math(e_2 \equiv j)]
[math(e_3 \equiv k)]

허수단위 간의 곱셈에서, 두 허수단위를 교환하거나 결합 순서를 바꾸면 식을 변형하기 전의 값에 [math(-1)]을 곱한 것과 같다. 즉, 임의의 허수단위 [math(e_a, e_b, e_c)]는 다음이 성립한다.
  • [math(e_a e_b = e_b^{-1} e_a = e_b e_a^{-1} = -e_b e_a)]
  • [math((e_a e_b) e_c = -e_a (e_b e_c) = e_c (e_b e_a) = -(e_c e_b) e_a)]
    • [math(e_a (e_b e_c) = e_b (e_c e_a) = e_c (e_a e_b))]
    • [math((e_a e_b) e_c = (e_b e_c) e_a = (e_c e_a) e_b)]
  • [math((e_a e_b) e_a = e_b)]
  • [math((e_a e_b) e_a^{-1} = -e_b)]

그 외에 다음과 같은 성질도 존재한다.
  • [math(((e_1 e_3) e_5) e_7 = ((e_4 e_5) e_6) e_7 = 1)]
  • [math((e_1 e_2) e_3 = (e_2 e_4) e_6 = -1)]

3. 활용과 확장

곱셈의 교환법칙과 결합법칙마저 씹어먹는, 도대체 이 따위 것을 어디에 써먹냐 하겠지만, 대수학에서 나타나는 구조들, 예컨대 [math(G_2)]라는 단순 리 군(simple Lie group)에서 팔원수의 구조를 찾을 수 있다. 끈이론에선 이러한 팔원수를 미분기하학에 접목하여 쓰기도 한다. 일단 사원수에서 3차원 벡터곱을 유도해 낼 수 있는걸 이용하여, 팔원수에서 7차원 벡터곱을 유도해 낼 수 있으므로 팔원수까지는 수학계에서 사용하고는 한다. 실수 부분까지 벡터로 치환하면 사원수는 4차원 벡터곱, 팔원수는 8차원의 벡터곱까지 나타낼 수 있다.

16원수, 32원수, 64원수 등등 이론상 무궁무진하게(?) 만들어낼 수도 있지만[1], 어디까지나 수학적으로 흥미로워야 만들어내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16원수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제곱수 항등식[2][3][4]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 증명되어 있기 때문에, [math(||acdot b||=||a||cdot||b||)]이라는 중요한 대수적 성질까지 잃어버리게 되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이처럼 16원수 이상은 확장될수록 교환법칙, 결합법칙 같은 너무나 당연한 규칙이 성립하지 않아서 실질적으로 거의 취급되지 않는다. 즉 수학이 무질서해지면서, 수학이 수학이 아니게 되는 것이다. 다만, 16원수에 대해서는 1960년에 비선형 제곱수 항등식이 발견되었다.

아니면 파울리 행렬들을 통해 사원수단위를 [math(e_n=-iσ_n)]로 변환하여 사원수를 2×2행렬로 정의할 수 있듯이, 3×3 겔만 행렬 8개로 구원수 [math(a=a_0+iλ_nα_n)]를 정의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이보다 더 큰 정방행렬에 대한 생성원들로 [math(n^2)]원수를 정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곱셈 결합법칙이 통하며, 행렬식을 절대값으로 볼 경우 아무 [math(n^2)]원수 [math(갑, 을)]에 대해 [math(|갑을| = \det(갑을) = \det(갑)\det(을) = |갑||을|)]이 성립하게 된다.

4. 관련 문서


연산
Numbers and Opera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765432> 수 체계 자연수 (홀수 · 짝수 · 소수 · 합성수) · 정수 · 유리수 (정수가 아닌 유리수) · 실수 (무리수 · 초월수) · 복소수 (허수) · 사원수
표현 숫자 (아라비아 숫자 · 로마 숫자 · 그리스 숫자) · 기수법(과학적 기수법 · E 표기법 ·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 ·BEAF· 버드 표기법) · 진법 (십진법 · 이진법 · 8진법 · 12진법 · 16진법 · 60진법) · 분수 (분모 · 분자 · 기약분수 · 번분수 · 연분수 · 통분 · 약분) · 소수 {유한소수 · 무한소수 (순환소수 · 비순환소수)} · 환원 불능 · 미지수 · 변수 · 상수
연산 사칙연산 (덧셈 · 뺄셈 · 곱셈 구구단 · 나눗셈) · 역수 · 절댓값 · 제곱근 (이중근호) · 거듭제곱 · 로그 (상용로그 · 자연로그 · 이진로그) · 검산 · 연산자 · 교환자
방식 암산 · 세로셈법 · 주판 · 산가지 · 네이피어 계산봉 · 계산기 · 계산자
용어 이항연산(표기법) · 항등원과 역원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분배법칙
기타 수에 관련된 사항 (0과 1 사이의 수 · 음수 · 작은 수 · 큰 수) · 혼합 계산 (48÷2(9+3) · 111+1×2=224 · 2+2×2) · 0으로 나누기(바퀴 이론) · 0의 0제곱 }}}}}}}}}


[1] [math(2^n)] 에 해당한다면 만들 수 있다[2] 오일러가 4개의 수에 대한 네 제곱수 항등식을, 데겐이 8개의 수에 대한 여덟 제곱수 항등식을 발견했고, 이는 후에 사원수와 팔원수에 대한 노름과 연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 n개 제곱수 항등식은 [math(\displaystyle{\sum_{k=1}^{n} a_{k}^{2} \sum_{k=1}^{n} b_{k}^{2}})]을 n개의 제곱의 합으로 분리하여 표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학적으로 이 항등식은 [math(n=1, 2, 4, 8)]일 때만 존재한다는 게 밝혀져 있다.[4] 1 제곱수 항등식은 [math(a^2b^2=\left(ab\right)^2)]
2 제곱수 항등식은 [math(\left(a_{1}^2+a_{2}^2\right)\left(b_{1}^2+b_{2}^2\right)=\left(a_1b_1-a_2b_2\right)^{2}+\left(a_1b_2+a_2b_1\right)^{2})]
1 제곱수 항등식은 실수의 절대값 곱 [math(||a\cdot b||=||a||\cdot||b||)]을 고려하면 항상 성립하며, 2 제곱수 항등식은 복소수의 노름 곱 [math(||\left(a_1+a_2i\right)\cdot\left(b_1+b_2i\right)||=||a_1+a_2i||\cdot||b_1+b_2i||)]을 고려하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네 제곱수 항등식은 사원수의 노름곱, 여덟 제곱수 항등식은 팔원수의 노름곱에서 유도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3 (이전 역사)
문서의 r1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