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31 01:58:10

수열의 극한

해석학·미적분학
Analysis · Calculu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6455A>실수와 복소수실수(실직선 · 아르키메데스 성질) · 복소수(복소평면 · 극형식 · 편각) · 근방 · 유계 · 콤팩트성 · 완비성
함수함수 · 조각적 정의 · 항등함수 · 역함수 · 멱함수 · 다변수함수(동차함수 · 음함수) · 다가 함수 · 함수의 그래프 · 좌표계 · 닮은꼴 함수 · 극값 · 볼록/오목 · 증감표
초등함수(대수함수 · 초월함수 · 로그함수 · 지수함수 · 삼각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변분법 · 오일러 방정식) · 병리적 함수
극한·연속 함수의 극한 · 수열의 극한 · 연속함수 · ε-δ 논법 · 수렴(균등수렴) · 발산 · 부정형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0.999…=1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부동점 정리 · 스털링 근사 · 선형근사(어림)
수열·급수 수열 · 급수(멱급수 · 테일러 급수(일람)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라마누잔합) · 망원급수(부분분수분해)) · 그물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월리스 곱
단조 수렴 정리 · 슈톨츠-체사로 정리 · 축소구간정리 · 급수의 수렴 판정 · 리만 재배열 정리 · 바젤 문제 · 파울하버의 공식 · 오일러-매클로린 공식 · 콜라츠 추측미해결
미분 미분 · 도함수(이계도함수 · 도함수 일람)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임계점(변곡점 · 안장점) · 매끄러움
평균값 정리(롤의 정리) · 테일러 정리 · 역함수 정리 · 다르부 정리 · 로피탈 정리
립시츠 규칙 · 뉴턴-랩슨 방법 · 유율법
적분 적분 · 정적분(예제) · 스틸체스 적분 · 부정적분(부정적분 일람) · 부분적분(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치환적분 · 이상적분(코시 주요값)
미적분의 기본정리 · 적분의 평균값 정리
리시 방법 · 2학년의 꿈
다변수·벡터 미적분 편도함수 · 미분형식 · · 중적분(선적분 · 면적분 · 야코비안) ·야코비 공식
라그랑주 승수법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선적분의 기본정리 · 스토크스 정리(발산 정리 · 그린 정리변분법
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풀이) · 라플라스 변환
측도론 측도 · 가측함수 · 곱측도 · 르베그 적분 · 절대 연속 측도 · 라돈-니코딤 도함수
칸토어 집합 · 비탈리 집합
복소해석 코시-리만 방정식 · 로랑 급수 · 유수 · 해석적 연속 · 오일러 공식(오일러 등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리우빌의 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함수해석 공간 위상벡터공간 · 노름공간 · 바나흐 공간 · 힐베르트 공간 · 거리공간 · Lp 공간
작용소 수반 작용소 · 에르미트 작용소 · 정규 작용소 · 유니터리 작용소 · 컴팩트 작용소
대수 C*-대수 · 폰 노이만 대수
정리 한-바나흐 정리 · 스펙트럼 정리 · 베르 범주 정리
이론 디랙 델타 함수(분포이론)
조화해석 푸리에 해석(푸리에 변환 · 아다마르 변환)
관련 분야 해석기하학 · 미분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1의 거듭제곱근 · 가우스 정수 · 아이젠슈타인 정수 · 소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확률론(확률변수 · 중심극한정리) · 수치해석학 · 카오스 이론 · 분수계 미적분학 · 수리물리학 · 수리경제학(경제수학) · 공업수학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미해결 ·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의 해 존재 및 매끄러움미해결
기타 퍼지 논리
}}}}}}}}} ||


1. 개요2. 상세3. 활용

1. 개요

무한 수열 [math(\{a_n\})]에 대하여 [math(n)]이 무한히 커지는 상황에서 [math(a_n)]이 [math(L)]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math(\lim\limits_{n\to\infty}a_n= L)]이라 한다. 이를 수열의 극한이라고 한다.

2. 상세

엄밀하게는 수열의 극한도 [math(varepsilontext-delta)] 논법으로 정의된다. 단 이 경우 독립 변수 [math(n)]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지 않고 발산하기 때문에 [math(\delta)]를 쓰지 않고 '충분히 큰 수'라는 의미로 [math(N)], [math(M)]등으로 나타내기에 [math(\varepsilon\text-N)] 논법이라고 하기도 한다. 수열 [math(\{a_n\})]이 [math(L)]로 수렴한다는 것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임의의 양수 [math(\varepsilon)]에 대하여, ' [math(n > N)]이면 항상 [math(|a_n-L|<\varepsilon)]'이 성립하게 되는 자연수 [math(N)]이 존재한다.

위 논법으로 풀면 [math(N)]은 주어진 양수 [math(\varepsilon)]의 값에 따라 변하므로, [math(N)]이 [math(\varepsilon)]에 의존한다는 뜻에서 [math(N(\varepsilon))]과 같이 함수처럼 표현하기도 한다.

수열 [math(\{a_n\})]이 [math(L)]로 수렴한다는 것은, 아무리 [math(\varepsilon)]을 작게 잡아도 [math(a_n)]이 구간 [math((L-\varepsilon,\,L+\varepsilon))]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직 무슨 뜻인지 모르겠으면, 아래 함수의 극한에서 [math(\varepsilon\text-\delta)] 논법을 참고하자.

예를 들어 [math(\lim\limits_{n\to\infty}\dfrac n{2n+1}=\dfrac12)]임을 보이자. 임의의 양수 [math(\varepsilon>0)]에 대해, [math(n>N \Rightarrow \left|\dfrac n{2n+1}-\dfrac12\right|<\varepsilon)]이 성립하는 [math(N)]이 존재함을 보이면 충분하다. 이때 [math(\left|\dfrac n{2n+1}-\dfrac12\right|=\dfrac12\dfrac1{|2n+1|} = \dfrac12{\left(\dfrac1{2n+1}\right)})]이므로 필요조건의 부등식은 [math(\dfrac12{\left(\dfrac1{2n+1}\right)}<\varepsilon)]임을 알 수 있다. 이를 [math(n)]에 대해 정리하면 [math(n>\dfrac1{4\varepsilon} - \dfrac12)]이므로 자연수 [math(N)]은 가장 간단한 형태로서 이 식에 천장함수를 씌운 값 [math(N(\varepsilon) = \left\lceil\dfrac1{4\varepsilon} - \dfrac12\right\rceil)]으로 항상 존재함을 알 수 있다.[1] 천장함수의 성질에 따라 [math(n>N(\varepsilon) \ge \dfrac1{4\varepsilon}-\dfrac12)]이며 다음과 같이 식을 변형하면 [math(4n+2 = 2(2n+1) > 4N(\varepsilon) + 2 \ge \dfrac1\varepsilon \Rightarrow \dfrac1{2(2n+1)} = \left|\dfrac n{2n+1}-\dfrac12\right|< \dfrac1{4N(\varepsilon)+2} \le \varepsilon)], 즉 [math(\left|\dfrac n{2n+1}-\dfrac12\right|<\varepsilon)]으로 필요조건의 부등식이 항상 참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math(\lim\limits_{n\to\infty}\dfrac n{2n+1}=\dfrac12)]이다.

이 부분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적분으로 넘어가 자연계 지망자(舊 이과생)만 배우는 내용이 되었다.

대학 해석학 수준이 되면 수열의 수렴성보다 엄밀한 조건으로 수열의 코시 수열 성질을 배우게 되는데, 코시 수열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수열 [math(a_n)]이 존재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 수열이 코시 수열일 조건은 임의의 양의 실수 [math(\epsilon)]에 대하여, 이에 대응하는 적당한 자연수 [math(N)]가 존재하여 [math(n,\,m > N)]을 만족하는 자연수 [math(n,\,m)]에 대하여 다음 성질을 만족하는 수열이다.
[math(d(a_n,\,a_m)<\epsilon)]
(단, [math(d)]는 거리함수. 유클리드 공간에서는 두 수의 차의 절댓값이 된다.)

일반적인 유클리드 공간 내라면 수렴성 = 코시 수열 성질이지만, 일반 거리 공간이 되면 코시 수열 성질과 수렴성이 꼭 일치하는 건 아니다. 거리 공간이 완비성을 지니게 되면 코시 수열의 수렴성이 보장되며 반대로 말해서, 코시 수열이 수렴하게 되면, 이 코시 수열이 전제된 거리공간은 완비 거리 공간(complete metric space)이 된다.

3. 활용

  • [math(\displaystyle\sum_{n=1}^{\infty} a_n)]이 수렴하면 [math(\displaystyle\lim_{n\to\infty}a_n=0)]이다. (역은 성립하지 않음에 주의하자. 이는 수렴하는 급수라면 반드시 성립해야 하는 필요조건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여기서 [math(N(\varepsilon))]은 부등식을 만족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단 하나로 정해지는 게 아니다. 가령 [math(N(\varepsilon))]의 [math(\varepsilon)]에 [math(\dfrac\varepsilon2)]를 대입한 [math(\left\lceil\dfrac1{2\varepsilon}-\dfrac12\right\rceil)]를 [math(N(\varepsilon))]이라고 놓고 같은 방법으로 식을 전개하면 [math(\dfrac1{2(2n+1)}<\dfrac\varepsilon2)]가 얻어지므로 주어진 명제는 '[math(n>N(\varepsilon) \Rightarrow \left|\dfrac n{2n+1}-\dfrac12\right|<\dfrac\varepsilon2<\varepsilon)]'으로 여전히 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