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Polar form대수학이나 함수론에서 사용하는 표현식이다.
복소 공간에서 복소수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복소수의 절댓값과 편각의 크기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임의의 복소수 [math(Z)]에 대하여 [math(Z=a+bi)]일 때, 편각의 크기를 [math(θ)]라고 한다면 [math(Z)]의 극형식은 [math(Z=|Z|(\cosθ+i\sinθ))]가 된다.[1]
2. 활용
2.1. 복소평면
복소수를 평면 위의 점과 대응시켜 나타낸 것을 복소평면 또는 가우스평면이라 한다. 앞서 말한 복소수 [math(Z)]에서 [math(Z)]를 나타내는 점을 [math(P(Z))], 또는 점 [math(Z)]라 한다.2.2. 함수
[math(r=f(θ))] 또는 [math(f(r,θ))]로 새로운 함수를 정의해보자. [math(r=1)]이면 2차원 상의 원이 만들어진다. 삼각함수 등 여러 다른 함수를 도입하면 아름다운 미술학과 수학의 조화를 접하게 된다 카더라(...).2.3. 대칭성
- 그래프 위에 놓인 [math((r,θ))]에 대하여 [math(θ)]가 [math(-θ)]로 바뀌어도 변하지 않으면 극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 그래프 위에 놓인 [math((r,θ))]에 대하여 [math(r)]이 [math(-r)]로 바뀌거나 [math(θ)]가 [math(θ+π)]로 바뀌어도 같다면 극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 그래프 위에 놓인 [math((r,θ))]에 대하여 [math(θ)]가 [math(π-θ)]로 바뀌어도 같다면 수직선 [math(θ=π/2)]에 대하여 대칭이다.
2.4. 드 무아브르 공식
극형식을 [math(|Z|<θ)]로 나타내기도 한다. 벡터와 비슷하게 [math(|Z|=1)]이고 편각이 [math(θ)]인 복소수를 단위 복소수라 하고, [math(e^{iθ})]라고 쓴다. 이를 확장시키면 오일러의 공식이 나온다.3. 위상자(페이저)
자세한 내용은 위상자 문서 참고하십시오.[1] 여기서 [math(|Z|)]는 [math(Z)]의 크기(magnitude)를 뜻하며, [math(|Z| = \sqrt{Z\overline{Z}} = \sqrt{\Re(Z)^2 + \Im(Z)^2})]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