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라이개미(무사개미) Polyergus samurai | |
학명 | Polyergus samurai Yano, 1911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강 | 곤충강(Insecta) |
목 | 벌목(Hymenoptera) |
과 | 개미과(Formicidae) |
속 | 아마존개미속(Polyergus) |
종 | 사무라이개미(P. samurai) |
멸종위기등급 | |
Polyergus samurai
일개미는 최대 7mm, 여왕개미는 그 이상.
1. 개요
사무라이개미는 한국, 일본 등지에서 서식하는 개미이다. 국내에서는 사무라이를 무사로 번역해 무사개미로 표기하기도 한다. 이름이 사무라이개미인 이유는 발달된 아래턱 모양이 카타나를 닮았다고 붙여진 이름이다.2. 생태
이 종류의 가장 특이한 점이라면 여왕개미가 다른 종의 여왕개미를 죽인 후 그 군락의 여왕으로 군림한다는 것.[1] 우선 짝짓기를 마친 후 가까운 개미 군락을 탐색해 일개미 한 마리를 죽이고 그것의 페로몬을 몸에 발라 위장한다. 그 후 군집에 들어서되, 일개미들이 흥분해 경보 페로몬을 발산하지 않도록 하나씩 물었다가 놔주어 진정시킨 후 그 곳의 여왕개미를 찾아 빈사로 만들거나 죽이면 일개미들이 복종하게 된다. 이후 무사개미 여왕은 기존 일개미들을 자신의 알과 먹거리를 담당할 노예로 부리며, 노예가 부족해지면 가까운 개미 집을 침략해 알과 애벌레, 번데기들을 가져와 새 노예로 키우기 때문에 가시개미와 같은 일시적 기생 형태가 아닌 영구적 & 의존적 기생 형태를 띈다.침략은 주로 6~9월 경에 이루어지며 보통 날이 밝은 오후 1시경부터 저녁까지 이루어진다.
사무라이개미는 전적으로 다른 개미 상대로 특화된 신체 구조를 갖고 있다. 개미산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신체가 튼튼하고 턱이 갈고리처럼 길고 뾰족하여 다른 개미들을 쉽게 물어 죽일 수 있지만, 반대로 이런 턱 구조로 인해 스스로 먹이를 섭취하거나 노동을 할 수 없고 몸 청소도 스스로 하지 못한다. 그렇기에 영양 섭취, 몸 단장 등 기본적인 일상 생활을 노예 개미들에게 전적으로 의존한다.
하지만 이런 막강한 전투력은 어디까지나 체급이 비슷할 경우 작동하는 기제인지라, 체급부터 다른 왕개미에겐 아예 상대가 안된다. 왕개미는 사무라이개미처럼 전투특화 종은 아니지만 일개미부터 피지컬이 사무라이개미보다 압도적이고, 병정개미까지 존재하는지라 어지간해선 사무라이개미를 아주 일방적으로 밟아버린다.[2] 그래서 사무라이 개미들은 대부분 상대적으로 만만한 곰개미들을 노예로 부린다. 곰개미도 나름 호전적[3]이고 활동성이 높은 종이지만, 사무라이 개미에게는 아예 상대가 되지 않는다.
사무라이개미속의 개미마다 숙주로 삼는 대상은 다르지만 대부분 불개미속의 개미들을 숙주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