魚 고기/물고기 어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魚,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ギョ | ||||||
일본어 훈독 | うお, さかな | ||||||
鱼 | |||||||
표준 중국어 | yú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 |
[clearfix]
1. 개요
魚는 '고기/물고기 어'라는 한자로, '물고기'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9B5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NWF(弓田火)로 입력한다.물고기를 본떠 만든 상형자이다. 맨 위의 ク와 비슷하게 생긴 부분은 머리를, 가운데 田은 몸통을, 맨 아래의 灬는 꼬리를 나타낸다. 물고기와 관련된 거의 모든 글자는 魚를 포함하고 있으며, 魚 부수에 속한다. 성씨에도 쓰인다.
중국의 간체자에서는 魚의 아랫부분 灬를 一로 바꿔 鱼로 쓰며, 일본에서는 비공식적으로 魚의 아랫부분 灬를 大로 바꾼 형태인 𩵋를 쓰기도 한다.
참고로 '물고기를 잡는다'는 동사로 쓸 경우에는 삼수변(氵)을 더한 '漁(고기잡을 어)' 자를 쓰므로 혼동하지 말자(예: 어부(漁夫), 어선(漁船), 어획(漁獲), 어업(漁業) 등).
3. 자형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4. 한국어에서 魚 앞에 받침 ㅇ이 오는 현상
한국어에서 '-어'로 끝나는 대부분의 물고기 이름은 魚를 쓴다. 참고로 본래 魚의 한국 한자음은 그냥 '어'가 아니라 옛이응(ㆁ, /ŋ/)을 쓰는 'ᅌᅥ'이며,[1] 이 잔재는 붕어(鮒魚: 부ᅌᅥ > 붕어), 상어(鯊魚: 사ᅌᅥ > 상어), 잉어(鯉魚: 리ᅌᅥ > 잉어), 농어(盧魚: 로ᅌᅥ > 농어), 뱅어(白魚: ᄇᆡᆨᅌᅥ > 뱅어)[2], 오징어(烏鰂魚: 오즉ᅌᅥ)[3] 등에 남아 있다. 즉 [ŋ]에 대한 표기가 '초성 ㆁ'에서 '종성 ㅇ + 음가 없는 초성 ㅇ'으로 바뀐 셈이다.[4] (참고 1, 참고 2)[5][6] 실제로 다른 언어에서도 /ŋ/ 발음의 잔재를 볼 수 있는데, 일본어 음독은 (유성) 연구개 비음 /ŋ/을 유성 연구개 파열음인 /ɡ/로 받아들여 ギョ가 됐고,[7] 베트남어 독음은 /ŋ/을 그대로 보존한 ngư이며, 상고음 검색기가 제시하는 상고음도 모두 ŋ으로 시작한다.4.1. 반론
중세국어 어휘 중에서 어두에 옛이응이 나오는 경우가 없는 상황에 한국 한자음이 어두 연구개 비음을 유지하고 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魚가 한국한자음에서 연구개 비음을 유지하고 있었더라면 같은 부류에 속하는 중고한어 疑母의 한자음 역시 연구개 비음을 유지하고 있었어야 하고 마찬가지로 앞의 한자어에 /ŋ/을 덧붙일 수 있었어야 하지만 그런 예는 존재하지 않는다. 魚가 비록 첫 음절에 오는 경우가 드물어 어중의 /ŋ/이 유지되기 좋다는 환경적 조건이 있긴 하지만, 오로지 한자어 魚만이 그러한 능력이 있었다는 이야기는 더 많은 설명을 필요로 한다.魚 한국한자음의 연구개 비음의 잔재 증거로 예를 든 붕어, 상어, 잉어, 뱅어, 오징어 중에서 붕어와 잉어, 뱅어는 받침 ㆁ이 없는 부어, 리어, ᄇᆡ어 표기가 훈몽자회에 나타나고 있다.[8] 뒤 음절의 '어' 역시 ㆁ이 아니라 ㅇ을 지니고 있다. 마찬가지로 어두의 연구개 비음의 또다른 예로 제시한 '아지' 역시 두시언해에서 받침 ㅇ이 없는 마/매(아래아)아지, ᄉᆈ야지, 가/개아지가 나타나고 있다. 더 나아가 백(白)에서 ㄱ 탈락 현상은 연백군 배천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중세국어에서는 ㄱ 탈락은 꽤나 흔하게 나타난다. 한국한자어의 음가는 한국어의 음운현상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5. 용례
5.1. 단어
- 건어(乾魚)
- 경어(鯨魚)
- 경예투해 어하천사(鯨鯢鬪海 魚鰕遄死)
- 관어전(官魚箭)
- 광어(廣魚)
- 궐어(鱖魚)
- 극기어목(棘鰭魚目)
- 기숭어목(鰭崇魚目)
- 뇌어(雷魚)
- 대광어(臺光魚)
- 대어(大魚)
- 돈어(豚魚)
- 만리어(鰻鱺魚)
- 목어(木魚)
- 문어(文魚)
- 민어(民魚)
- 방어(魴魚)
- 병어(甁魚)
- 산천어(山川魚)
- 상광어(尙光魚)
- 석어(石魚)
- 성어(成魚)
- 소어(小魚)
- 수어(水魚)
- 악어(鰐魚)
- 안강어(鮟鱇魚)
- 양사어(洋絲魚)
- 어군(魚群)
- 어궐(魚鱖)
- 어도(魚道)
- 어독(魚毒)
- 어란(魚卵)
- 어란하결(魚爛河決)
- 어뢰(魚雷)
- 어류(魚類)
- 어망선(魚網船)
- 어목창(魚目瘡)
- 어미(魚尾)
- 어미(魚米)
- 어미(魚味)
- 어살(魚箭)
- 어선(魚船)
- 어염(魚鹽)
- 어육(魚肉)
- 어전(魚煎)
- 어전(魚廛)
- 어죽(魚粥)
- 어패(魚貝)
- 어포(魚脯)
- 어항(魚缸)
- 어회(魚膾)
- 연어(鰱魚)
- 열대어(熱帶魚)
- 열목어(熱目魚)
- 염어(鹽魚)
- 유어(幼魚)
- 은어(銀魚)
- 이악어목(異顎魚目)
- 인어(人魚)
- 이어(鯉魚) - 활음조 현상으로 인하여 잉어가 되었다.
- 잡어(雜魚)
- 장어(長魚)
- 전어(錢魚)
- 전어(箭魚)
- 접어(鰈魚)
- 조사어(釣絲魚)
- 착어(捉魚)
- 청어(靑魚)
- 추광어(秋光魚)
- 추어(鰍魚)
- 침어(針魚)
- 탄어목(呑魚目)
- 홍어(洪魚)
5.2. 고사성어/숙어
- 거어지탄(車魚之歎)
- 고어지사(枯魚之肆)
- 고어함삭(枯魚銜索)
- 노어지류(魯魚之謬)
- 노어지오(魯魚之誤)
- 달제어(獺祭魚)
- 득어망전(得魚忘筌)
- 몽망착어(蒙網捉魚)
- 백룡어복(白龍魚服)
- 백어입주(白魚入舟)
- 부중생어(釜中生魚)
- 부중어(釜中魚)
- 부중지어(釜中之魚)
- 빙해어초약, 풍화안욕귀(氷解魚初躍, 風和雁欲歸)
- 사어병직(史魚秉直)
- 사어지천(射魚指天)
- 상산구어(上山求魚)
- 선어무망(羨魚無網)
- 세연어탄묵, 팽다학피연(洗硯魚呑墨, 烹茶鶴避煙)
- 소수지어(小水之魚)
- 수관어대(水寬魚大)
- 수광즉어유(水廣則魚遊)
- 수도어행(水到魚行)
- 수어(水魚)
- 수지청즉무어(水至淸則無魚)
-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
- 시어다골(鰣魚多骨)
- 식어무반(食魚無反)
- 신급돈어(信及豚魚)
- 앙급지어(殃及池魚)
- 어궤조산(魚潰鳥散)
- 어동육서(魚東肉西)
- 어두귀면(魚頭鬼面)
- 어두봉미(魚頭鳳尾)
- 어두육미(魚頭肉尾)
- 어두일미(魚頭一味)
- 어려(魚儷)
- 어로불변(魚魯不辨)
- 어룡장화(魚龍將化)
- 어망홍리(魚網鴻離)
- 어목(魚目)
- 어변성룡(魚變成龍)
- 어복고혼(魚腹孤魂)
- 어수지교(魚水之交)
- 어수지락(魚水之樂)
- 어수지친(魚水之親)
- 어수친(魚水親)
- 어시지혹(魚豕之惑)
- 여어유부중(如魚遊釜中)
- 어유부중(魚遊釜中)
- 어질용문(魚質龍文)
- 여어득수(如魚得水)
- 여어실수(如魚失水)
- 연목구어(緣木求魚)
- 연비어약(鳶飛魚躍)
- 오어지서(烏魚之瑞)
- 위어육(爲魚肉)
- 유어유수(猶魚有水)
- 유어출청(遊魚出聽/游魚出聽)
- 이인투어(以蚓投魚)
- 일개어혼전천(一箇魚渾全川)
- 일어탁수(一魚濁水)
- 일어혼전천(一魚混全川)
- 임연선어(臨淵羨魚)
- 임천선어(臨川羨魚)
- 임하선어불여결망(臨河羨魚不如結網)
- 잠어약청파, 호조명고지(潛魚躍淸波, 好鳥鳴高枝)
- 쟁어자유(爭魚者濡)
- 증진부어(甑塵釜魚)
- 지어농조(池魚籠鳥)
- 지어지앙(池魚之殃)
- 지연중지어자불상(知淵中之魚者不祥)
- 지천사어(指天射魚)
- 천광자어대(川廣者魚大)
- 침어낙안(沈魚落雁)
- 탁금이어(濯錦以魚)
- 탄주지어(呑舟之魚)
- 풍운어수(風雲魚水)
- 하어복질(河魚腹疾)
- 하어지질(河魚之疾)
- 하어지환(河魚之患)
- 학철부어(涸轍鮒魚)
- 혼수모어(混水摸魚)
- 혼수탁어(混水濁魚)
5.3. 인명
- 성이 어씨인 사람 모두.
- 니시조노 미오(西園 美魚)
- 모쿠교 다루마(木魚 達磨)
- 어구라(魚俱羅)
- 우오누마 우스이(魚沼 宇水)
- 우오즈미 아사키(魚住 朝喜)
- 우오즈미 지로(魚住 二郎)
- 카나자와 나나코(金沢 魚子)
- 킨교자카 메이로(金魚坂 めいろ)
- 타치바나 이사나(橘 勇魚)
5.4. 지명
- 경기도 이천시 어재연로(魚在淵路)
- 범어사(梵魚寺)
- 범어사역(梵魚寺驛)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광어골로(松亭廣魚골路)
- 어등역(魚登驛)
- 우오즈미역(魚住駅), 산요우오즈미역(山陽魚住駅)
- 이토이가와시(糸魚川市)
- 이토이가와역(糸魚川駅)
- 이토이자와역(糸魚沢駅)
- 쿼리베이역(鰂魚涌站)
5.5. 창작물
5.6. 기타
5.7. 일본어
5.7.1. 훈독
- うお, さかな, とと
- 秋刀魚(さんま): 꽁치
가을에 살이 찌고 칼처럼 길쭉하게 생긴 물고기라는 뜻으로, 훈독하는 법이 특이한 숙자훈으로 유명하다. 한국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표현이지만, '추도어'가 꽁치의 다른 표현으로 사전에 기재되어 있다. - いさな(勇魚): 고래
- さかな(魚): 물고기
- うおぬま(魚沼): 니가타현 우오누마시
- ぎょえい(魚影): (물속에서 헤엄치며 노니는, 낚시할 때의) 물고기의 모습(형상) 혹은 그림자
5.8. 중국어
- 鱼 [yú]
- 명) 물고기
- 예) 鲤鱼 [lǐyú]: 잉어
- 예2) 鲫鱼 [jìyú]: 붕어
- 예3) 鲨鱼 [shāyú]: 상어
- 예4) 鳀鱼 [tíyú]: 멸치
- 예5) 鱼缸 [yúgāng]: 어항
6.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7. 여담
[1] 현대 한국어에서 받침으로 쓰이는 ㅇ과 같은 음가이다. ᅌᅥ를 발음하려면 '응어'(/ɯŋ.ʌ/)에서 앞의 '으'(/ɯ/)를 빼서 ㅇ 받침만 남기고(/ŋ/) 이를 다시 한 음절로 모아서 발음하면(/ŋʌ/) 된다.[2] 'ᄇᆡᆨ'의 [ㄱ\]이 뒤의 [ㆁ\]과 연접하면서 자음동화 중 비음화에 의해 [ᄇᆡᇰ\]으로 바뀌어 'ᄇᆡᆨᅌᅥ'가 [ᄇᆡᇰᅌᅥ\]로 발음되었는데, 이후 초성의 ㆁ 음가가 소멸한 뒤에도 첫 음절의 종성은 유지되어 지금의 '뱅어'가 되었다.[3] 앞서 설명한 '뱅어'와 같은 변화를 거쳤는데, 여기에 [ㅈ\] 뒤 [ㅡ > ㅣ\]도 적용되었다.[4] 이와 비슷한 경우로 짐승의 새끼를 나타내는 접미사 '-아지'가 있다. 원음이 '-ᅌᅡ지'기 때문에 ㅇ이 덧나서 소+아지가 송아지로 발음된다.[5] 그래서 현대에는 붕어, 상어, 잉어, 뱅어, 오징어 등은 한자어가 아니라 고유어로 취급된다. 따라서 잉어, 뱅어 뒤에 과(科)가 붙으면 사이시옷이 들어가 '잉엇과', '뱅엇과'가 되지만, 문어, 연어 뒤에 과(科)가 붙으면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고 '문어과', '연어과'가 된다.[6] 모음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붕어, 상어, 잉어 등에 /ŋ/ 발음이 들어갔다는 말도 있지만 이는 근거가 없다. 만약 모음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ŋ/ 발음이 들어갔다면 다른 한자음에서도 그러한 예를 찾을 수가 있어야 하는데, 그러한 예가 없다. 게다가 모음 충돌이 발생할 여지가 없는 백어(白魚)가 뱅어로 바뀐 이유도 설명할 수 없게 된다.[7] 실제로 한국 한자음으로는 초성이 ㅇ인데 일본어 음독으로는 が행으로 읽히는 한자를 보면 대부분 원음의 초성이 /ŋ/이었다. 이에 해당하는 글자로는 이 항목에서 설명하는 魚(어/ギョ)를 포함하여 五(오/ゴ), 銀(은/ギン), 玉(옥/ギョク) 등이 있다. 그리고 탁음의 /ɡ/ 음가는 중간 음절에 올 때 비탁음 현상을 일으켜 [ŋ\]으로 발음된다.[8] 오징어는 훈몽자회에서 '오적어(烏賊魚)'로 등장하고, 사성통해에서는 '오증어'가 된다.[9] 魚(고기/물고기 어)의 동자[10] 鮮(고울 선)의 이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