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오티스 엘리베이터 코리아의 전신(前身)}}}에 대한 내용은 [[LG산전엘리베이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LG산전엘리베이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LG산전엘리베이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오티스 엘리베이터 코리아의 전신(前身): }}}[[LG산전엘리베이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LG산전엘리베이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LG산전엘리베이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colbgcolor=#034ea2><colcolor=#fff> 오티스엘리베이터코리아 OTIS Elevator Korea | |
| | |
| Made to move you | |
| 법인명 | 오티스엘리베이터유한회사[1] |
| 국가 | |
| 설립일 | 1999년 11월 22일 |
| 창업주 | 장병우[2] |
| 대표이사 | 조익서 |
| 본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Two IFC), 8층 |
| 규모 | 중견기업 |
| 업종 | 승강기 제조업 |
| 직원 수 | 1873명(2022년 기준) |
| 매출 | 9,335억 4,118만원(2023년 기준) |
| 물적 전신 | LG산전 승강기 사업부 (창원공장)[3]] (1968~1999년)[4] |
| 정신적 전신 | 한국오티스 (1979~1999년)[5][6] |
| 링크 | |
| |
| 오티스 코리아의 외국 수출용 브랜드 "시그마" |
1. 개요
Made to move you
오티스 엘리베이터의 캐치프레이즈.
오티스 엘리베이터의 캐치프레이즈.
오티스는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제조, 설치, 서비스 분야의 세계적인 리딩 기업입니다.
홈페이지 소개글
홈페이지 소개글
엘리베이터를 전문으로 만드는 미국의 기업인 오티스 엘리베이터의 한국지사이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9], 8층에 본사가 소재해 있다.
2. 역사
| | |
| 신영전기 로고 | 금성기전[10] 로고 |
| | |
| 금성사[11] 로고 (1968~1987) | 금성산전[12] 로고 (1987~1995) |
| | |
| LG 로고 (1995~1996) | LG산전 로고 (1996~1999) |
| | |
| LG•OTIS 로고 (1999~2002)[13] | OTIS•LG 로고 (2003~2005)[14] |
| | |
| 오티스 코리아까지의 로고 변천사다.[15] | |
오티스는 한국에 1991년 한국엔지니어링이라는 중소 승강기업체를 인수해 한국오티스엘리베이터[16]를 출범함으로서 진출했다. IMF 외환위기로 인해 LG 계열에서 분리된 LG산전의 엘리베이터 사업부와 합병하여 LG-OTIS 엘리베이터가 되었다가 LG산전의 지분을 점차 사들여 2003년 OTIS-LG 엘리베이터가 되었다.[17] 그러다가 2005년엔 지분을 전부 인수한 후 오티스엘리베이터로 사명을 변경했다.[18][19]
공장은 금성엘리베이터~LG산전 시절의 인천광역시 소재 주안공장과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 창원공장이 계속 가동되다가 주안공장은 2001년 문을 닫았다.[20] 한국오티스 시절에는 당진에 공장이 있었다고 한다. 게다가 대규모 라인업 정리와 함께 창원공장마저도 2013년 폐쇄 후 공장부지를 LG전자에게 매각했다. 동시에 공장을 중국 다롄시로 이전시켰다. 이에 따라 한국에는 영업과 유지보수망만 있는 상태에서 중국공장+협력업체 외주 방식으로 생산했는데, 당시 행보 및 주력 판매된 기종들인 NV 계열이 심각한 문제[21]를 일으킴에 따라 결국 얼마 가지 못한 채 2015년 하반기에 아산에 물류센터를 확장 오픈했고, 2017년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에 통합 R&D센터 및 생산공장을 구축할 계획을 세웠으며, 2019년 7월 완공되어 한국 생산을 재개했다.
외국은 창원공장에서 금성 시절 DP 모델을 시작으로 진출했으며[22] 이후 LG를 거쳐 오티스에 인수된 이후로는 '시그마'라는 상표로 지금까지 운영중이다. 참고로 한국에도 1999년 아파트를 타겟으로 한 '시그마'라는 엘리베이터 브랜드(Si1)가 런칭된 바 있으나 단순히 이름만 같을 뿐 관련은 없다.[23]
2020년 10월, 자회사이자 유지보수 전문 회사인 오티스서비스엑스퍼트가 설립되었다. 기존의 오티스엘리베이터가 유지보수도 전신인 금성~LG산전 또는 자사 상품 위주로 담당한 반면, 오티스서비스엑스퍼트는 경쟁사 기종이나 폐업한 중소업체도 상관없이 함께 관리하며 특히 서울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많이 나타난다.
3. 모델의 종류
| 엘리베이터 분류 | ||||||
| <rowcolor=#fff> 속도 분류 | 제어 방식 | 구동 형식 | 상태 | |||
| <bgcolor=#0000ff,#00ffff> | AC | 교류 | GD | 유기계실 기어드 | ★ | 한국 신규 설치 가능 |
| ~60m/min | ||||||
| <bgcolor=#009900,#adff2f> | DC | 직류 | GL | 유기계실 기어리스 | ◈ | 단종 및 판매 중단 기종 중, 승강기 안전관리법 만족 가능 |
| 60~105m/min | ||||||
| <bgcolor=#ddab01,#ffcd12> | VF | VVVF | MRL | 무기계실 | ▼ | 운행중인 현장이 감소 중임 |
| 105~180m/min | ||||||
| <bgcolor=#ff7f00> | H | 유압식 | ▼ | 한국에서 대부분 교체되었거나, 운행중인 현장이 거의 없음 | ||
| 180~300m/min | ||||||
| <bgcolor=#ff0000> | P | 권동식(포지티브식) | ◐ | 운행정지 현장만 남음 | ||
| 300m/min~ | ||||||
| <bgcolor=#ff69b4> | LR | 리니어식 | ● | 한국 설치 이력이 없거나 모두 교체됨 | ||
| 화물용 | ||||||
| <bgcolor=#000000,#d3d3d3> | ||||||
| 알 수 없음 | ||||||
| 부분교체된 승강기는 본래의 기종으로 인정하지 않음 ?: 제공된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 타 회사의 제어반을 사용하거나, 타 회사의 모델을 OEM(또는 ODM) 생산했을 경우 ※ 상세한 엘리베이터 분류 설명은 틀:엘리베이터 분류/설명 문서 참고 | ||||||
외국지사 직수입 모델은 오티스 엘리베이터 문서 참조.
3.1. 기어드[A]
Di1(◈)(ACD4MR(★[M-키트])) (지원속도: 30~105m/min, 비공식적으로 최대 120m/min) VF GD탑승영상: 의정부 홈플러스, 해운대 성문빌딩[26], 명진빌딩(M-키트)[27],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침산1차푸르지오[28], 마재마을 대주파크빌아파트 다대현대아파트[29]
1997년에 LG산전이 독자개발한 모델로 Di는 Distributed Inverter의 약자다. 창원공장 자체생산 권상기를 사용한다.[30] 제어반은 초기에는 자체 제어반이 탑재되었으나 이후 설치분은 자체 제어반과 시그마(Si-210) 제어반이 병행해서 탑재되었다. 창원공장이 폐쇄된 2013년부터는 수리공사용 모델로 변경되어 리모델링분 한정으로 가끔씩 적용되고 동시에 ACD 제어반 탑재가 가능해졌다. 2019년 후반에 출시된 '법정 7대 안전장치 교체 및 설치 패키지'인 M-키트의 주요 모델로 채택되면서 LG 시절에 독자개발한 기종들 가운데 DS-4(Di4)와 함께 20년 이상 장수하는 모델이 되었다. 하지만 초기 설치분은 잔고장이 매우 심해서 *VP, *GP 계열도 바로 단종되지 않고 한동안 계속 판매되었다. 타종 옵션이 존재하는 마지막 모델로 초기분 이후로는 옵션이 삭제되었기에 찾아보기 힘들다. 자체 제어반이 탑재된 초기형 Di1의 경우, LGP/MGP시리즈와 마찬가지로 T키트 부착 시 펌웨어 패치가 필요해 부작용이 우려되어 최근에 교체되는 사례가 다수 있다.[31]
Di2(◈)(ACD4MREXT(★[M-키트])) (지원속도: 30~150m/min) VF GD
탑승영상(한국): 국제빌딩(M-키트), 해운대 롯데캐슬비치[의장교체], 롯데백화점 잠실점 전망용(리모델링 후)[34][의장교체], 홈플러스 진해점[36], 침산1차푸르지오[37]
탑승영상(SIGMA): 홍콩 MPM 쇼핑몰, 홍콩 차이나켐 취안안 플라자(리모델링 후)
1997년에 LG산전이 독자개발한 메인스트림 헬리컬기어 모델이자 Di1의 상위 모델이다. 중속 승객용과 고성능 대량수송 승객화물용 두 가지 방향으로 개발되었고, 설치 사례도 그 두 가지에 해당한다. 2013년에 창원공장을 폐쇄하면서 라인업 정리로 판매가 중단되었지만 2019년에 M-키트 전용 모델로 판매를 재개했다.
Di3(◈?/▼) (지원속도: 120~180m/min) VF GD
탑승영상: 이마트 광산점
1997년에 LG산전이 독자개발한 Di2의 상위 모델이다. 판매 부진으로 2009년에 단종되었으며, DSS, 티케이엘리베이터의 TK-20B/30A[38]와 더불어 한국에 개체 수가 매우 적은 기종이다.
FEC(舊 FEI)(◈/□) VF GD/MRL
탑승영상: 군산공설시장, 이마트 성수점 매장내부 구간(철거 전), 킨텍스원시티 3단지 셔틀구간(젠투라이프)[39], 드림모아빌딩 화물용 구간[40]
1997년 출시 당시에는 FEI였으나 2001년 중반부터 FEC로 모델명이 변경됨과 동시에 부품 일부가 개선되었다. 이 기종의 대부분은 LG나 오티스가 아닌 중소업체의 전장품을 사용하여 ODM 형식으로 설치된다. ACD 제어반이 대용량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41] 대부분은 삼일엘텍의 제어반을 사용하나 외국 수출용의 경우 STEP 제어반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2022년, 25년의 역사를 뒤로 하고 단종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Si1(舊 SIGMA[42]→ Premium Di) [43] (◈) (지원속도: 60~105m/min) VF GD
탑승영상: 녹번 글로리파크[44], 송화마을휴먼시아 7단지, 송파 이주빌딩, 산본 주몽대림, 덕이중학교, 수원 화서동문굿모닝힐, 수원 권선대림아파트, 부산 주례한일유앤아이아파트, 부산 이센타워[45] 김해 석봉마을7단지 부영15차아파트
1999년에 LG산전이 독자개발한 기어드 모델이다. 고급화 전략으로 도트식 층표시기가 포함된 독자적인 운전반[46]이 기본 탑재되었고[47] 신축건물[48] 위주로 투입되었다. 하지만 2000년대 초반부터는 Di1의 옵션 적용이 가능하여 초기보다 위상은 크게 떨어졌다. 그러나 해당 기종에서 유래한 제어반은 이후에도 2010년대 초반까지 오티스 한국 지사의 대부분의 모델에 주력으로 채택된다. 도어키가 독자적인 형태를 띄고 있는데 사이즈가 길어서 소지가 불편하다. 창원공장 폐쇄 및 기어리스 기종이 대중화된 2013년부터는 수리공사용 모델로 판매되다가 2018년 단종되었다.[49] 히타치 설계 권상기를 사용한 Di시리즈와 달리 완전히 새로운 권상기 WLC를 사용했다. 초기형 후기형 상관없이 시그마 제어반이라서 T키트 장착 시에도 작동에 문제가 없다.
ACV(◐?) VF GD
SA1(◈) (지원속도: 60~105m/min) VF GD
탑승영상: 울산 대성빌딩, 울산 원빌딩, 안성 난제빌딩, 해운대문화회관[50]
엘리베이터 계의 진정한 보급형이라 할 수 있는 모델이다. 2005년에 출시되었고 2013년에 창원공장의 폐쇄로 인한 라인업 정리로 단종되었다. 특수용도 미지원에 저층 전용이라 10층 이하의 소규모 빌딩에만 설치되었으며, 각종 옵션도 매우 부족한 편이다. 버튼 역시 중소업체에서 쓰는 버튼을 조달해서 쓰고, 안내방송 옵션과 장애인용 사양은 극소수만 적용되어 있다. 또한 층표시기도 세그먼트 방식으로 고정되었는데, 극초기 설치분을 제외하면 외부 층표시기가 고휘도 적색인 것이 특징이다. 기계적 부품은 Di1과 가깝다고 한다.
DSS(◈?/▼) (지원속도: 60~105m/min) VF GD
탑승영상: 유승한내들[51]
수출용 저가형 모델. 한국에서는 2006년 출시 후 짧은 기간에만 판매되어 개체 수가 적다. 아무래도 상술한 SA1에 팀킬을 당해 조기에 한국 단종된 것으로 추정. SA1과 마찬가지로 승객용 사양만 지원되며 거의 모든 옵션이 빠졌다.[52] 용량판 역시 거의 영어만 존재한다. 상술하듯 하도 원가절감이 이루어졌던 데다 수출 위주로 출고되어 판매기간이 매우 짧다 보니 유압식인 HMI, HYU를 제외하고 LG OTIS 출범 이후 발매되었던 기종 중에는 이례적으로 한국 전멸 임박 상태다.
3.2. 기어리스
카와 균형추를 연결하는 수단에 따라 세 라인업으로 나뉜다. 초기형과 IRIS, OEM(?)은 로프 방식이고 GEN2는 플랫벨트 방식이다. GEN2와 IRIS의 경우 ACD-3 제어반 초기인 2011년 말부터 2013년까지 이 제어반을 적용한 모델은 모델명이 MRL일 경우 ACD-*, MR일 경우 ACD-*MR 경우도 있다.3.2.1. 초기형
DS-4(◈)(Di4(◈/▼), ACD4MREXTDS4(★)) (지원속도: 120~240m/min) VF GL탑승영상: 의정부을지대병원 메인구간 비전망용[53], 남산서울타워(교체 후), 부산타워(교체 후), 목동 CBS 메인구간(교체 후, 젠투라이프 트림)[54], 여의도 금융투자센터(교체 후, 젠투라이프)[55], 소공동 OCI빌딩 메인용(리모델링 후), 명동 로얄호텔, 흥국생명 셔틀용(리모델링 후)[56], 울산 진흥마제스타워2차, 부산 범일동 진흥마제스타워, 부산 더샵센텀파크2차[57]
1997년에 LG산전이 독자개발한 하이엔드 모델로 출시 당시 명칭은 Di4였다. LG산전 출고분은 창원공장 자체생산 권상기를 사용하고 2000년대 초중반 이후 출고분부터는 KTFC 또는 STD 권상기를 사용한다.[58] 2000년대 초중반 이후에도 창원공장 자체생산 권상기가 탑재된 출고분은 Di4로 출고되었다. 2011년 이후 제어반 및 모터드라이브 한정으로 중국 공장에서 생산되었고 SKYWAY 40T 권상기를 하이젠모터에 위탁 생산을 맡겼고 이후 2018년 중반부터 고속 모델 대응 제어반인 ACD4 EXT 제어반이 출시되었다. 송도공장에서 생산된다. EXT 제어반이 나온 이후 시그마 제어반 사양은 2019년 말에 최종 단산되었다. 젠투라이프가 출시된 2017~19년에는 젠투라이프 트림에 시그마 제어반이 적용되었다.[59] 2014년 이후로는 교체분을 중심으로 납품되지만 신규 설치분도 간간히 발견된다. ACD-4MREXT 제어반으로 변경된 이후에는 New Ds4라는 이름으로 SKYRISE 브랜드에 합류했다. Di4 시절의 역사를 포함한다면 오티스 한국 지사의 장수 모델 중 하나이며, Di1과 함께 지금도 생산 중인 LG산전 기종이다. 단 DS-4 로프식은 1600kg 24인승까지만 지원하고 그 이상은 불가능하다.
Di5 (◈) (지원속도: 120~480m/min) VF GL
탑승영상: 미레에셋센터원 고층 직통 구간, 콘래드 서울 객실 구간[60]
1997년에 LG산전이 독자개발한 플래그십 모델이다. 오티스 인수 이후 출고분은 여의도 IFC(52대(ONE IFC 8대, TWO IFC 7대, THREE IFC 26대, 콘래드 서울 11대))와 메리츠화재 부산사옥(4대)[61] 설치분처럼 하이젠모터 위탁생산분 SKYWAY 70T 100T를 사용한다.
3.2.2. GEN2 (GEN3)
2020년식 이후 ACD 기종은 모델명이 'ACD*, 기계실 유무, 모델명' 순서로 표기된다.[62] 2023년에 신규 유지관리 서비스 '오티스 원'이 결합된 GEN3가 출시되었다.GR1(◈)(GEN2(◈?), LD MOR(◈?), ACD4MRLGR1(★), ACD5MRLGR1(★))[63] (지원속도: 45~105m/min) VF MRL
탑승영상: 광주 양림동 김성봉외과, 양산 한울빌딩, 부산 해운대 디지털프라자, 잠실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셔틀용, 울산 남외 푸르지오 1차, 일산차병원 주차장 구간, 판교푸르지오월드마크[64], 에르메스 도산 파크[65], 판교카카오아지트, 위례중앙타워, 월산동 한샘대리점 (젠투라이프), 동탄시범한빛마을금호어울림, 광양 황금빌딩, 천안 갤러리아백화점 센터시티점 전망용, 인천국제공항 탑승동[66]
오티스 한국 지사의 주력 MRL 기종이다. 2001년 11월 29일에 출시되었다. GM1과 달리 2013년 초반까지도 시그마 제어반과 ACD 제어반 버전 모두 병행 판매했다. 2014년식은 당시 중국공장 일원화 방침으로 보기 어려우며 그마저도 젠투 프리미어 시리즈에서 제한적인 특수 용도 때문에 설치된 경우가 많다. 2022년 상반기부터 ACD-5 제어반 선택이 가능해졌다.
GR2(ACD4MRLGR2)(★) (지원속도: 60~150m/min) VF MRL
탑승영상: 중구 SK명동빌딩[67], 대구메리어트호텔 레지던스 구간[68], 온양발리 한양립스 더 퍼스트, 원주 유승한내들 더스카이[69]
2020년 하반기 출시 추정. GR1의 중속화 모델이다.
GM1(◈)(ACD4MRGM1(★), ACD5MRGM1(★)) (지원속도: 60~105m/min) VF GL
탑승영상: 의정부 호원우성2차, 울산 태화동 종하빌딩, 부산 소명교회(M키트),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본관(교체 후), 메가박스 대전중앙로(젠투라이프), 고양시 일산서구 뉴서울프라자(교체 후), 단양 부강아파트(시그마)[70] 부산 좌동두산1차아파트(교체 후), 부산 화명동원로얄듀크1차(교체 후)[71], 대구 성서2차영남우방타운(교체 후), 부산 초읍우신그린피아아파트(교체 후)
2010년 6월 출시되었다. 2011년 이전 출고분은 시그마 제어반을, 2011년 후반부터는 ACD 제어반을 사용한다. 덕분에 시그마 제어반이 탑재된 극초기형 GM1은 생각 이상으로 레어한 편에 속한다. GR1과 달리 병행 생산 없이 출시 1년 만인 2011년 말에 단산시켰기 때문에 더더욱. 후술할 STEP NV 계열 주력판매 시절 여파 영향인지 2014년 이후로는 출시 의도와는 달리 대부분의 물량이 교체분으로 주로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다. 그래도 유기계실 메인스트림급 포지션이라 경쟁사 현대엘리베이터의 후발주자 벨트식 모델인 GTLX-GH-1과 달리, 여전히 신축분이 없지는 않으며 사실상 Di1이 가지고 있던 타이틀을 이어가는 지금은 오티스 한국 지사의 주력 모델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GM2(◈)(ACD4MRGM2(★), ACD5MRGM2(★)) (지원속도: 60~150m/min) VF GL
탑승영상: 대구 미도빌딩[72], 몬드리안 이태원[73], 주안역 센트레빌, 운정 파크푸르지오, 대구한일빌딩
GM1의 중속화 모델이다. 2015년 7월 출시. 저속 기반 메인스트림 모델이지만 같은 중속겸용 NV2가 중속보다 저속에 많이 설치됐고 GMH는 180m/min 이상만 지원하며 DS-4는 리모델링 전담이라 중속사양 한정 STEP-NV 계열 주력판매 시절 이후 신축에서의 유기계실 기종 중에서는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다.
GPR(GeN2 Premier, MUSE NV)(◈) (지원속도: 60~105m/min) VF MRL
탑승영상: 서울시 보문동 세림종건(아산CLC 생산분),[74] 부산시 동백섬 더베이101(중국공장 생산분), 그랜드하얏트인천 웨스트타워, 래미안강남힐즈[75]
GR1의 저가형 및 단납기 모델이며, 2012년 말 출시되었다. 중국 공장 제작분은 용량판 글씨체가 굴림체로 달라지는 등 원가절감의 흔적이 나타나고 안내방송이 젊은 성우였으며, 안내방송 미적용 모델은 한양공영 ISO계열의 멜로디가 탑재된 경우도 있다. 아산CLC 오픈 이후에는 품질이 한층 개선되고 안내방송도 한국산 모델들처럼 정부용 성우가 표출되며 젠투라이프 등 브랜드 디자인 옵션들도 적용 가능하다. 외국 수출용 버전인 시그마에서는 브랜드명을 MUSE NV[76]로 변경해서 판매중이다. 저가형 모델 답게 처음에는 전망용 불가 모델로 인식되었지만 전망용도 있다. 2019년에 단종되었다.
DR2(◈/▼) (지원속도: 60~150m/min) VF MRL
탑승영상: 안다즈하얏트 서울강남
GPR의 중속화 모델이다. 2020년대 이후에도 설치 장소가 안다즈하얏트 서울강남의 2019년식(4대)이 유일하다.
GPM(◈) (지원속도: 60~105m/min) VF GL
탑승영상: 양우내안애애플
GM1의 저가형 모델이다. 원칙대로라면 GPR의 MR타입 포지션 역할이어야 했으나, 후술할 STEP NV계열의 존재 때문인지 GPR과 달리 실제 출하는 매우 부진했다. 미쓰비시엘리베이터에도 이름이 같은 모델이 있지만 해당 기종은 고속 기어리스 모델이다. 2019년에 단종되었다.
DM2(◈) (지원속도: 60~150m/min) VF GL
탑승영상: 금강펜테리움IT타워,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증축구간
GPM의 중속화 모델이다. 2016년 출시되어 2018년 단종.
3.2.3. IRIS (OH, Arise, ACRA)
한국 지사에서 개발한 로프식 기어리스 브랜드로 본국인 한국에서는 NV 계열의 제어반, 내구성, 승차감, 소음 문제로 판매가 중단되었지만 중국 지사에서는 ACD 제어반을 탑재한 OH 브랜드로, 남미, 동남아, 인도 지사에서는 Arise 브랜드로 판매중이며, 수출용 버전인 시그마에서는 STEP 제어반을 탑재한 채로 라인업 이름만 ACRA로 바꾼 후 판매중이다.[77][78] 내수용은 구미 옥계 세영리첼 아파트[79]가 마지막으로 설치된 해당 브랜드다. 2013년 이후로는 영국에도 Evans Lift[80] 브랜드로 수출되고 있다. 또한 내수용은 MRL인 SL-1만 전망용 설치 전례(곤지암리조트(2대))가 있다.SM1(CM1)(◈) (지원속도: 60~105m/min) VF GL
탑승영상: 달동월드메르디앙, 옥계 E편한세상, 반포자이아파트, 수원매탄e-편한세상, 남양주 신창현풍림아이원2차, 석수 한양수자인
창원공장 생산시절 Si1을 기반으로 한 기어리스 모델로, 시그마 제어반을 사용한다. 2006년 8월 출시. 후속 기종인 NV 계열이 출시된 2011년 중반 이후에도 한동안 병행 판매되었지만 2012년 상반기를 끝으로 판매가 중단되었다. 2008년 후반 이후 일부 설치분은 ACD 제어반이 들어가기도 한다.[81]
SM2(◈) (지원속도: 60~150m/min) VF GL
탑승영상: 대전 낭월동 오투그란데아파트
SM1의 중속화 모델이다. 당시 중속 기종은 오히려 기어드인 Di2에 팀킬을 당해 개체수가 매우 적어 2010년을 마지막으로 SM1보다 먼저 생산이 중단됐다.
SL-1(SOLON → SOLON NV → SOLON Premium)(◈?) (지원속도: 60~105m/min) VF MRL
탑승영상(한국(SIGMA)): 송도 더샵 센트럴파크, 동원로얄듀크주차장[82]
탑승영상(한국(STEP)): 범한빌딩3
탑승영상(한국(기타)): 서초 아프로스퀘어 전망용[83]
탑승영상(SIGMA): 라마다 앙코르 발리 스미냑[84]
IRIS 라인업의 MRL 모델이다. 2007년 출시. 초기에는 시그마 제어반이었지만 2012년에 기본 제어반이 STEP으로 바뀌어 NV 계열과 같은 층표시기, 알림음을 사용한다. NV화 이후 내부운전반 측면 이동 옵션이 생겼다. 한국에서는 GR1 탓에 팀킬을 당해 연식, 제어반과 상관없이 설치 현장이 드물었다. 그렇지만 해외에서는 2024년 SOLON 2.0이라는 후속 모델이 출시되었다.
NV1(IRIS-NV1, OH5000)(◈ACD-3/◈?STEP) (지원속도: 60~105m/min) VF GL
탑승영상(한국): 광교호반베르디움, 월곶동 누리마루[85], 청라여성병원[86], 광주 YK빌딩[87], 아마레 호텔 계양[88], 제주 대림타운오피스텔, 오창농협하나로마트[89], 송원대학교 대학본부[90], 세종 더샵 센트럴 시티
탑승영상(SIGMA): 자카르타 과일시장(ACRA)
오티스 한국 지사의 흑역사 모델이다. 2011년 중반 중 출시. 이 라인업은 SM 시리즈와 달리 중국 오티스 지사에서 생산되며, 제어반도 기본적으로 현지기업 상하이 STEP 일렉트릭 사의 완성품을 사용한다. 같은 해 초반 한국 중소업계에서 먼저 AS380버전 제어반이 도입된 이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출시했다. 이 때문인지 고장 및 오작동 빈도가 매우 잦고 기어리스인게 무색하게 진동이 심해서 혹평이 많은데, 심지어 KBS의 소비자 리포트에 출연하기까지 했다.(#) 결국 불합격 사례가 나왔다. 엘리베이터 동호인들 사이에서 이 모델을 'X브이'라는 멸칭으로도 많이 깐다. 또한 거의 모든 해당 기종이 층에 제대로 정차하지 못해서 다시 움직이는 리레벨링[91]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92] 특히 2013년 후반부터 2015년 초반 사이에 준공된 신축건물에 투입된 오티스 유기계실 모델은 대부분 이 모델이었다. 2015년 하반기 아산CLC가 오픈되고 나서는 한국 아웃소싱 생산 위주의 정책으로 판매량이 감소할 줄 알았으나 유기계실 신규 설치분으로는 여전히 납품되었고, 디자인 고급화 트림으로 옵티모[93]를 내놓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불행 중 다행으로 ACD 제어반으로도 설치도 가능하고 ACD 제어반인 경우 일반 NV1 모델에서의 문제점이 상당수 개선되었지만 그래도 역시 STEP 제어반보다는 문제가 덜할 뿐 기종 자체가 기종인지라 역시 평판은 영 좋지 않다. 2019년에야 비로소 판매가 중단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에서 IRIS라는 브랜드를 파멸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94] 디시인사이드 승강기 갤러리 등지에서는 이 NV 계열 주력 출고 시기를 암흑기로 칭하고 있다.[95] 창원공장이 있던 시절에는 해당 기종도 검품은 창원공장을 거쳤고 정보상 제조사도 오티스엘리베이터(유) 창원공장으로 적힌 장소도 있지만 창원공장 검품 시절 연식도 품질 면에서 주력판매 시기 이후와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
NV2(IRIS-NV2)(◈ACD-3/◈?STEP) (지원속도: 60~150m/min) VF GL
탑승영상(한국): 옥계 세영리첼아파트[96], 빛마루 방송지원센터[97], 유성 푸르지오 시티
NV1의 중속화 및 일부 품질 개선 모델이다. 하지만 역시 NV1 기반이기 때문에 해당 기종과 단점들을 비롯한 거의 모든 특징을 공유하며, 저속으로 많이 설치되었다.
IRIS3(NV3, OH7000)(●) (지원속도: 180~420m/min) VF GL
탑승영상: 홍콩 슈가플러스, 인도네시아 반둥 트랜스 럭셔리 호텔
수출용만 있으며 한국 출시 계획도 잡혔으나 모종의 이유로 내수판매는 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신축시장은 STEP-NV 계열 주력판매 시절의 영향 여파를 똑같이 받아 이 모델로 대체됐을 뻔한 DS-4 역시 아산CLC 개장 이후 설치 장소가 줄어들어 중~고속을 같이 커버하는 티어는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98] 시그마 생산분은 STEP, 중국 지사 생산분 OH7000은 ACD 제어반을 사용했지만 2020년대 이후로는 모두 ACD 제어반만을 사용하도록 개편되었다.
3.2.4. OEM(□)
3.2.4.1. 화물용
SFE3000 VF GDFR30-ZU30 VF GD
반도엘리베이터[99] 모델이지만 오티스 엘리베이터에서 발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3.2.4.2. 기타
SWMR-BM(★) (지원속도: 60~105m/min) VF GL탑승영상: 신세계 사우스시티 주차동 제1구간 비상용
서우공업 외주 모델이지만 오티스 엘리베이터의 전장품을 사용한다.
BHFEL-110(★) (지원속도: 60~105m/min) VF GL
탑승영상: 더에이치타워 919 비상용
부흥산전 외주 모델이지만 오티스 엘리베이터의 전장품을 사용한다.
3.3. 유압식(◈)[A]
HMI (▼) AC H탑승영상: 네오시떼빌딩(교체 전), 순천향대학교병원 장례식장 구간, 부산 장림성당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생산된 모델이다.
HVC (●) VF H
탑승영상: 인천공항 1터미널 주차장구간
2000~2001년 짧은 기간 동안 생산된 모델이다. 이 기종이 설치된 현장들(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다수, 아셈타워 유압식 화물용 2대[101])이 모두 교체되어 전멸한 것으로 추정된다.
HVI (▼) AC H / VF H
탑승영상: 여의도 롯데캐슬아이비 상가 화물용 구간[102]
HYU(HYF) (□) AC H / VF H
탑승영상(*GP): 동성로 중앙주차장, 코오롱트리폴리스 셔틀구간, 광진구 동성교회(교체 전)
탑승영상(중소 OEM): 대경개발 지하 구간[103]
2001년 중반부터 생산중인 HMI의 후속 모델이다. 승객용은 *GP와 같은 방식이고 보조(장애인용) 운전반도 시그마 운전반 통합 이전의 형식을 주력으로 판매했으며, 화물용은 중소 OEM 같은 방식이다.
HOM (▼) AC H / VF P
탑승영상: 미추홀구 삼보주택
유압식 겸 권동식 주택용 승강기이며, 현재 산운아펠바움의 4대 중 1대가 운행정지되어 있다.(2226-991)
3.4. 권동식(●)
금성엘리베이터 시절에는 SVF가 주력 권동식 모델이였으나 오티스부터는 본국인 한국에는 아예 없다.[104]BLK 203 VF P
BLK 206 VF P
4. 에스컬레이터 모델
에스컬레이터 모델은 LINK가 있고, 무빙워크는 XOP가 있다.5. 알림음
첫번째 영상 중 알림음이 동양엘리베이터 DY**A/B 기종 하행 차임인 곳이 있으나 이는 신한엘리베이터 OEM을 사용한 것이다. 두번째 영상은 수출용인 시그마 기종이기에 일부 알림음은 내수용과 차이가 있다.
1990년대 초반~Di 계열 초기의 안내방송 옵션이 적용되지 않은 엘리베이터에서 주로 사용했던 솔#~ 미~ 음원 차임벨이지만 초기형 Di1의 일부 승강기는 테스트차임(솔~ 미~)이 탑재된 경우도 있다.(예시) 차임의 경우 히타치 계열은 청아했으나 Di 계열부터 음량이 엄청 커졌다. 2007년 이후 제작분은 음량이 줄어들었지만 음질이 나빠졌다. 드물게 일부 설치분에는 저음 벨소리가 나온다.(예시) 일부 설치분에는 한양공영엘리베이터 초중기 ISO 계열 기종 알림음과 비슷한 것이 나온다.(예시) STEP 제어반이 탑재된 NV 계열 기종은 음 자체가 매우 이상하다.[105]
안내방송이 있는 옵션의 경우 LG산전 때부터 사용한 정부용 성우의 안내방송이며, 음원도 LG산전 때부터 사용하던 3계음 차임을 편곡만 하며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106] 단 NV 계열 중 STEP제어반 탑재분은 정혜선 성우 음성이, 2008년 후반부터 2021년에 생산된 ACD기종 일부는 상대적으로 젊은 목소리의 성우 음성이 적용되었다. NV 계열의 알림음은 STEP AS-380 제어반 기반[107]의 일부 중소업체 모델에서도 사용되지만 중소업체판은 안내음성 송출 전 나오는 차임벨이 삭제되어 안내방송만 존재한다.[108] ACD 버전 신형 성우는 초기에는 차임은 기존 제어반 딩동댕을 같이 사용했고 음질이 다소 둔탁했다. 그러다가 2013년 젠투 프리미어 판매 활성화와 동시에 일부 변화가 생겼는데 신형 성우 전용으로 새로운 버전의 딩동댕 차임이 생겼지만 대신 발음이 매우 어색해지고 영어는 원어민 음성으로 교체되었다.[109] ACD 버전 신형 성우는 반응이 안 좋았는지[110] 정부용 성우의 톤을 조금 올린 버전[111]으로 돌아왔다. 2010년대 이후로도 한국에서 미쓰비시엘리베이터[112], 후지테크엘리베이터와 더불어 문 개방 안내음성을 송출하지 않는 업체였다. 관통형 현장에 한해 "앞쪽/뒤쪽 문이 열립니다."라는 멘트가 탑재되어 송출되며, 2022년 이후 생산분부터 문 개방 안내음성이 정식으로 적용된다.
안내방송은 LG산전엘리베이터 시절까지는 승객용은 주공아파트를 제외하면 없다시피 했고 장애인용, 고층건물 위주로 적용했지만 LG OTIS엘리베이터 시절부터는 승객용도 조금씩 생기기 시작하다 OTIS LG엘리베이터 시절부터는 더 늘어났고, OTIS엘리베이터로 바뀐 이후부터는 승객용도 대부분 안내방송이 들어가고 있으며 2008년 이후에는 안내방송이 거의 정착되었다. 일반용 알림음과 장애인용 알림음, 안내방송이 동시 적용되는 곳도 있다. 그러나 현대, 티케이와 달리 2025년 이후로도 여전히 마이너스 차임만 달린 승강기가 생산된다.
6. 사건 사고
- 2019년에는 대구의 어느 고층 아파트에서 로프 교체 이후 13층에서 11층으로 추락하더니 9층에서 멈추는 사고가 발생했다. 원인은 부실한 정비로 추정. 그나마 추락 직후 강제로 문을 열고[114] 승객들이 빠져나가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사고 이후 카 바닥이 기울어져 있는 등[115] 육안으로 봐도 심각한 사고여서 주민들이 공포에 떨기도 했다.
- 2025년 9월 4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위치한 에이비엘생명보험(주) 엘리베이터 탑승 후 개문 출발하여 최상층 벽과 충돌하여 철제 천장 상판이 무너졌다. 엘리베이터 탑승했던 여성은 중상을 입었다. 영상 참고로 해당 영상에서는 1990년대 초반 기종(정확히는 1990년대 초반도 아니고 1998년 기종인 HVP-II 이다.)이라고 하나 정황상 DS4로 의장, 권상기, 제어반을 포함한 기종교체한 것으로 보인다.
7. 옵션
- 도트식 층표시기는 2005년식 이전은 모두 빨간색, 2006년식은 외부 주황색+내부 빨간색, 2007년식 이후는 주황색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중소위탁, STEP 제외) 초기 Di기종 도트식은 일부 글꼴이 현대엘리베이터스럽기도 했다. 또한 메이저 업체들 중 2007년까지 도트식 층표시기가 기본이었던 구 Si1 기본 운전반을 제외하면 독보적으로 세그먼트를 고집했다.[116][117] 특수 주문제작 옵션을 적용하지 않는 한 타사에서 세그먼트 층표시기를 탑재하지 않는 2010년대 초반식에도 세그먼트 층표시기 설치현장이 적지 않게 보였다.
- 세그먼트 층표시기는 LG산전 시절부터 주황색을 썼으며 2004년식부터 휘도가 더 좋아졌다. SA1, E411, E413, STEP-NV 모델의 경우는 빨간색을 쓰기도 했다. 도트식 층표시기와 세그먼트 층표시기를 동시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었다.[118] 세그먼트 층표시기는 글자만 표출하는 타입, 화살표가 같이 있는 타입 동시에 존재했다. 도트식 층표시기는 글자와 화살표가 동시에 표출되는 타입들만 있었지만 화살표와 글자가 번갈아 표출되다 글자가 변하는 형식은 2019년에서야 도입되었다.
- 세그먼트 층표시기의 경우 외부층표시기는 정사각형+튀어나온 직삼각형이 혼합된 층표시기, 긴 직사각형+반달이 혼합된 층표시기, 부채꼴+직삼각형이 혼합된 층표시기, 직사각형 층표시기[119], 사다리꼴 돌출형 운전반 층표시기[120], 타원형 층표시기가 있고 내부층표시기는 긴 직사각형+반달이 혼합된 층표시기, 직사각형 층표시기[121], 긴 줄 층표시기 등이 있다.[122]
- 도트형 층표시기의 경우에는 외부 층표시기는 직사각형+반달이 혼합된 층표시기, 직사각형 층표시기[123], 사다리꼴 돌출형 운전반 층표시기가 있었고 내부층표시기는 직사각형+반달이 혼합된 층표시기, 직사각형 층표시기[124]가 있다.
- 버튼의 경우 돌출버튼, 스퀘어클 점자버튼, 터치버튼이 있는데 스퀘어클 점자버튼의 경우 기계식 스퀘어클 버튼, 스퀘어클 마이크로푸쉬버튼, 원형 마이크로푸쉬버튼으로 나뉜다. 돌출버튼은 사각형 돌출버튼과 원형 돌출버튼으로 나뉜다. 돌출버튼은 사각형 돌출버튼과 원형 돌출버튼 모두 LG산전 시절인 1996년 후반부터 쓰기 시작해서 OTIS엘리베이터에서도 한동안 썼지만 흰색 용량판이 대중화된 2008년식부터 줄어들기 시작해서 2010년대식부터는 볼 수 없게 되었다. 스퀘어클 점자버튼은 LG산전 시절인 1990년대 후반부터 쓰기 시작해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기계식 스퀘어클 버튼은 1990년대 후반부터 LG OTIS 시절까지 썼다 수리공사용으로만 생산하고, 스퀘어클 마이크로푸쉬버튼은 시그마트림은 처음부터, 일반 모델은 2002년 중반부터 쓰고 있는데 2013년 후반부터 사실상 수리공사 전용으로 격하된다. 원형 마이크로푸쉬버튼은 2006년 중반부터 현재까지 쓰고 있다. 터치버튼은 금성엘리베이터 시절인 1990년대부터 2010년까지 썼다. 또한 스퀘어클 무점자버튼도 있었는데 기계식만 있었고 1990년대 후반부터 2003년까지 썼다. 또한 돌출 점자버튼도 있었는데 2000년대 중반이나 2000년대 후반에 썼던 적이 있고 SA1 모델에 썼다.
- 버튼 불빛은 돌출버튼과 기계식 스퀘어클 버튼이 다홍색, 터치버튼이 주황색, 스퀘어클 마이크로푸쉬버튼이 빨간색, 돌출 점자버튼과 원형 마이크로푸쉬버튼이 주황색이다. 흰색 투명 플라스틱 버튼은 불빛도 똑같이 흰색. 스퀘어클 마이크로푸쉬버튼은 흰색이나 파란색으로 커스텀한 경우도 있으며, 2013년 후반부터 다홍색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색감이 더 진해졌다. 2018년 후반 출시된 사각버튼 라인업은 다홍색과 파란색 중 선택이 가능하다. 노바플러스 전용버튼은 파란색 고정이다.
- 2010년 중반에 고급형 흰색 투명 플라스틱 버튼이 출시되었다. 속에 미세한 곡선 무늬가 존재하는 것이 특징. 단 시대 흐름에 맞지 않게 점자가 없어 버튼 옆에 점자를 별도로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2021년 초반까지 판매. STEP제어반 전용은 화살표 모양이 달랐다.
- 표준 장애인용 운전반은 LG OTIS엘리베이터 극초창기 시절까지는 상자형 장애인용 운전반을 사용했으며, 장애인용 운전반에도 방향램프가 탑재되고 무점자버튼 선택이 가능했다. 상위 옵션으로 해당 장애인용 운전반의 철판형 버전도 있긴 했으나 처음부터 극히 드물었고 후술할 내용처럼 일부 기업 납품용으로 쓰이기라도 한 상자형과 달리 LG OTIS엘리베이터 극초창기인 2000년식을 마지막으로 조용히 매장되었다. 2000년 후반부터는 시그마 트림과 동일한 철판형 장애인용 운전반을 사용하고 있고 스퀘어클 버튼만 적용되고 있다.[125][126][127][128] 하지만 2004년까지 상자형 장애인용 운전반도 여전히 마이너스 옵션으로 뒀고 이마트 납품용으로는 OTIS 초창기 때까지도 생산하였다.[129] 시그마트림 장애인용 운전반은 LG OTIS엘리베이터 이전에는 크기가 타 모델보다 작았다. 그러다가 Si1은 OTIS LG엘리베이터 이후, GR1은 OTIS엘리베이터 이후 커졌다. 2000년대식 원형버튼 장애인용 운전반은 스피커가 점 형태였으나 2010년부터 사각버튼 버전과 같은 형태로 통일되었다. 2000년대 후반부터 2016년까지의 장애인용 운전반은 시그마트림 장애인용 운전반 고정이었고, 교체분 한정 초기 젠투라이프 트림에도 쓰였다. 2017년 젠투라이프 트림에서 신형 장애인용 운전반도 같이 출시하는데 1세대는 상단에 블랙베젤이 있었고 2세대는 좌측에 블랙베젤이 있으며, 1세대는 2021년까지 생산하였다. 구.다이나믹 버튼은 1세대만, 적/청 사각버튼은 2세대만 있다.
- 철판형 장애인용 운전반, 시그마트림 비상벨의 경우 2003년 초반 이전에는 회색이었으나[130] 2003년 중반 이후 노란색으로 바뀌었고, 스퀘어클 마이크로푸쉬 점자버튼 고정이었다. 표준형 운전반 비상벨의 경우는 2007년에 바뀌었다.[131] OTIS엘리베이터 이후 출시되는 일반 운전반 비상벨은 독자 버튼을 사용하는 노바플러스 트림을 제외하면 원형 마이크로푸쉬 점자버튼 고정이다. 상자형 장애인용 운전반 시절에는 표준형 운전반과 똑같은 비상벨을 썼다. 물론 고층건물에 공급되는 고급 모델에 설치되는 매립형 운전반의 경우에는 LG산전 시절부터 원형 노란색 버튼을 쓰는 경우도 많았다. 종합해서 보면 비상벨 색깔은 장애인용 운전반은 LG산전 후반부부터 2003년 초반까지는 회색이었지만 2003년 중반부터는 노란색을 쓰고 있고 일반 운전반은 2006년까지 회색을 유지하다가 2007년부터 노란색을 쓰고 있다. 흰색 용량판 이후 운전반 비상벨은 원형 점자 마이크로푸쉬버튼으로 일원화됐다.
- 비상벨 글씨 표시는 LG산전 후반부부터 LG OTIS 시절인 2003년 초까지는 영어인 EMERGENCY로 표시하다가 OTIS LG 시절에는 비상호출로 표시하다가 OTIS로 바뀐 이후 비상통화로 표시하고 있다.
- LG산전 시절부터 일반 운전반의 용량판에 방향램프가 같이 있었으나 흰색 용량판 이후 운전반은 의장공사 전용 버전을 제외하면 방향램프가 삭제되었고 방향램프와 층표시기를 같이 내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매립형 운전반은 처음부터 층표시기와 방향램프를 같이 내장했다.
- 방향램프 색깔은 LG산전 후반부 시절부터 층표시기에 내장되는 방향램프의 경우에는 세그먼트 층표시기는 주황색, 도트식 층표시기는 빨간색을 썼으나 OTIS엘리베이터 시절인 2007년에 주황색으로 통합되었고 현재까지 쓰고 있다. 예전의 용량판 방향램프 색깔은 분홍색을 썼다.
- LG산전 시절부터 OTIS 초창기까지 검정색 직사각형 용량판 일반 운전반 비상벨의 경우 스퀘어클 점자버튼과 원형 무점자버튼은 원형버튼을, 사각형 무점자버튼과 터치식 버튼은 사각형버튼을 사용했다.
- 개폐버튼의 경우 일반 운전반은 LG산전엘리베이터 후반부 시절부터 층버튼 위에서 층버튼 밑으로 내려갔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장애인용 운전반의 경우 개폐버튼은 LG산전엘리베이터 후반부 시절부터 LG OTIS엘리베이터 초창기 때까지는 층버튼 옆에 있었으나[132] 철판형 장애인용 운전반 도입 이후 비상벨 밑에 개폐버튼이 장착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젠투라이프 운전반 도입 이후로는 층버튼 위에 개폐버튼이 장착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 층버튼 배열의 경우는 장애인용 운전반의 경우는 1열에 최소 2개에서 최대 9개까지 버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간혹 10개 이상의 버튼을 쓸 때도 있었다. 그리고 스퀘어클 원형버튼으로 바뀐 후부터는 1열에 10개 이상의 버튼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일반 운전반의 경우는 최대 2열이나 3열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초고층 건물은 4열 이상을 쓸데도 있으며 3열을 쓰는 경우 LG OTIS엘리베이터 시절까지는 층버튼 배열을 세로로 내려가는 형식으로 했지만 OTIS LG엘리베이터 시절부터는 층버튼 배열을 가로로 올라가는 형식으로 하는 경우도 꽤 많아졌고 OTIS엘리베이터 이후로도 한동안 이어졌다.[133] 하지만 하얀 용량판 도입과 스퀘어클 원형버튼 출시 이후 다시 층버튼 배열을 세로로 내려가는 방식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층버튼이 많을 경우 일반 운전반에서 층버튼 배열을 할 때 LG산전 시절까지는 2열을 썼으나 LG OTIS 때부터 2열과 3열을 번갈아 쓰다가 OTIS LG 때부터 3열로 확정되었고 OTIS 때인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다만 고급건물에 도입되는 매립형 운전반은 항상 층버튼 배열을 몇 열 상관없이 세로로 내려가는 방식으로 하고 있으며 처음부터 3~4열 이상을 쓰고 있다.
- 외부운전반은 등변사다리꼴 형식의 돌출운전반과 직사각형 형식의 철판운전반과 각종 다각형 형식의 철판운전반과 원형 운전반이 있었다. 그러다가 각종 다양한 돌출운전반과 철판운전반이 등장했고 지금은 검은색 돌출운전반이 주류가 되었다.
- 장애인용 운전반의 경우 초창기인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극초반까지는 상자형 장애인용 운전반을 적용했고 일반 운전반과 똑같이 회사명, 장애인용 엠블럼을 적용하고 방향램프, 표준형 비상벨까지 표기했으며 일반 운전반과 똑같이 용량판을 표기했다. 하지만 2000년 후반에 철판형 장애인용 운전반이 도입된 이후 장애인용 운전반에서 방향램프는 없어졌고 장애인용 엠블럼과 회사명만 적용하고 비상벨 역시 스퀘어클 점자버튼으로 바뀌었다. 이후 2010년대 중반까지 계속 쓰다가 2010년대 후반에 젠투라이프 운전반이 도입된 이후 장애인용 운전반이 또다시 바뀌었다. 물론 종전의 장애인용 운전반도 젠투라이프 도입 초기인 2017년에는 일반 운전반이 젠투라이프 운전반임에도 종전의 장애인용 운전반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었고 그 이후로도 종전의 장애인용 운전반을 2010년대 후반까지 쓰는 경우가 있었지만 2020년대부터는 젠투라이프 장애인용 운전반으로 통일되었다.
- 장애인용 마크는 LG산전 시절인 1997년부터 오랫동안 하늘색 정사각형+흰색 휠체어 그림 엠블럼을 사용했지만[134] 젠투라이프 운전반은 흰색 프린팅으로 변경되었다. 2020년부터는 전 모델이 젠투라이프 운전반으로 통일되면서 흰색 프린팅으로 다 통일되었다. 외부 운전반에 붙는 장애인용 마크 역시 마찬가지이다.[135][136]
- 2015년 초반 현대의 뉴와이저, 티센크루프의 시너지 등 타사 디자인 고급화 MRL 기종들의 경쟁 제품으로 운전반을 카 측면에 배치한 '젠투 다이나믹'[137]이 공개되었다. 하지만 OTIS엘리베이터는 경쟁사 대비 디자인 고급화도 상대적으로 늦어졌고, 동년 7월 아산CLC의 오픈과 함께 출하식을 개최했다.[138]
- 2017년 3월에는 '젠투라이프' 트림이 출시되었다. 젠투 다이나믹은 판매량이 저조했고 그마저도 저층이라 위주라 얼마 안 가서 단종되었으며, 대신 일부 옵션은 젠투라이프 이후에도 적용 가능했다. 이후 2018년 말 젠투라이프의 병원 특화 파생 모델인 '젠투 케어', 2019년에는 확장형인 '젠투라이프 노바'[139], 2020년에는 소규모 건물에 최적화된 '젠투라이프 노바 플러스' 디자인이 출시되었다.[140] 노바 플러스 디자인은 중국스러운 디자인의 운전반 옵션도 있었는데 초기에는 저층 승객용 전용이었지만 2022년형부터는 장애인용 전용으로 전환되었다. 해당 사양용 버튼 또한 초기형은 무점자 단독에 크기가 작았고 내구성도 OTIS엘리베이터 버튼 중에서는 조악했지만 2022년형부터는 크기와 내구성이 개선되고 점자가 추가되었다.
- 초기 젠투라이프도 유럽형 레이아웃(측면 중앙 주운전반) 옵션이 있었다. 이럴 때는 측면 중앙에 도트식 층표시기가 포함된 은색 띠형 운전반이 추가된다. 측면 중앙 운전반용 층표시기 베젤은 표준형 운전반과 달리 직사각형이었다. 승객용, 장애인용 모두 적용 가능했다. 버튼 또한 젠투 다이나믹과 달리 주황 원형 마이크로푸쉬버튼이 기본, 구.다이나믹 버튼이 선택적 고급옵션이었다. 하지만 가뜩이나 한국에서 크게 인기를 얻지 못한 타입이었는데 얼마 안 가 유럽형 레이아웃 옵션이 없는 노바계열 디자인 출시 및 사제의장 대중화로 인해 이후 적용 장소는 빠르게 종범됐다.
- 2017년식 젠투라이프 패밀리룩 외부운전반은 파킹키가 운전반 밖에 있었다.
- 젠투라이프 초기에는 구.다이나믹 버튼도 고급옵션으로 선택 가능했고 이런 경우 화이트도트가 기본적용되었다. 사각버튼 출시 이후에는 파란색 사각버튼일 시 화이트도트가 기본적용된다.
- 삐 소리와 버튼 해제 기능은 LG산전 시절이던 1996년 출시된 LGP 계열 모델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다. 층버튼을 누를 때 들리는 몇층 소리는 2008년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다.
- 흰색 용량판은 모종의 이유로 2023년 3월 이후 계약현장도 개정 비상통화버튼 위치를 지키지 않는다.
- 2022년 상반기 신형 세그먼트 LCD 옵션과 외부운전반을 선보였다. 같이 선보인 외부운전반 중 기타층표시기 사양의 경우 무조건 세그먼트 LCD 고정이며 주황 원형버튼, 사각버튼, 킹빔버튼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단 해당 층표시기도 층표시 외 또 다른 편의기능은 없으며 호불호가 있는 편이다.
- 2000년대 무기계실 기종 내부층표시기는 대부분 운전반에 있었다. 그러다가 2010년 후반 흰색 용량판의 글씨체가 한번 바뀐 이후로는 도어 상단에만 탑재하는 사례도 증가했으며, 교체시장의 경우 일부 지자체는 GM1모델도 도어 상단 층표시기 탑재가 원칙인 적도 있었다. 2017년 젠투라이프 출시 이후에는 내장재 보존형 M키트를 제외하면 도어 상단 단독 탑재는 다시 대폭 줄어들었다. 그러다가 2025년 상반기 새로운 층표시기인 그린존 인디케이더를 공개했다. 링크
8. 기타
- 삼성그룹 계열사의 경우는 삼성전자가 오티스를 선호한다. 래미안도 2010년대~2020년대 초반을 제외하면 꽤 사용해오고 있다. 강북삼성병원도 상당수 구간이 오티스를 썼다. 휘닉스파크도 오티스 제품을 쓴 적이 있다.[144][145]
- 신세계그룹 계열사의 경우에는 2010년대 초반 이전 개업 이마트 상당수[146], 그리고 신세계백화점 중 본점{디 에스테이트(11호기 제외), 더 헤리티지}, 강남점, 타임스퀘어점[147], 마산점[148], 사우스시티, 천안아산점[149] 등이 오티스 제품을 쓴다. CJ그룹도 오티스 제품을 꽤 사용한다.
- 두산그룹도 일부 현장에 오티스 제품을 꽤 쓴 적이 있다.
- 한진그룹도 금성엘리베이터 시절부터 오티스 제품을 많이 쓴 적이 있다.
- DB그룹 역시 LG산전 시절부터 오티스 제품을 많이 애용했다.
- 코오롱그룹도 금성엘리베이터 시절부터 오티스 제품을 꽤 상당히 썼던 적이 있다.
- 벽산그룹도 대부분 오티스 제품을 사용했다. 이에 따라 벽산건설 또한 대부분 오티스 제품을 사용하였지만 IRIS-NV1 스캔들 및 벽산건설 파산과 관련하여 블루밍 브랜드 벽산엔지니어링 이관 이후에는 티케이 원메이크로 완전히 갈아타버렸다.
- 정부세종청사도 1~6동, 7~15동에 오티스 제품이 설치되어 있다.
- 교보 또한 LG산전 때까지는 오티스 제품을 썼다.
- 서울특별시청에서도 서소문 별관이 오티스 제품을 썼고 본청 역시 재건축 전에는 오티스 제품을 썼던 것으로 추측된다.
- 방송국 중에서는 SBS가 오티스 제품을 쓰고 있다.
- 인천국제공항도 대다수가 오티스 제품을 쓰고 있다.
- 병원 중에서는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경희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대구동산병원 본원, 경북대학교병원 본원, 부산대학교병원 본원, 고신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 대구파티마병원, 대구의료원, 창원파티마병원, 동의대학교 한방병원이 금성~LG산전 시절부터 오티스 제품을 썼다. 백병원 중에서는 서울본원(폐쇄), 상계, 일산, 부산 등이 오티스 제품을 썼다.
- 부산성모병원도 오티스 제품을 쓰고 있다.
- 이랜드그룹은 한국에서 굵직한 기업 중 매우 드물게, 독보적으로 LG산전엘리베이터에 무관심했다가 2010년대 후반부터 아파트를 중심으로 오티스를 설치하는 장소가 많아지고 있다.[157]
- 대구광역시에서는 LG산전 시절부터 지금도 오티스의 점유율이 높은 편이다.[158][159] 부산광역시나 경상남도의 창원시, 김해시, 양산시, 진주시, 통영시, 거제시 등도 LG산전 및 창원공장 시절부터 오티스의 점유율이 꽤 높은 편이다. 경상북도의 안동시[160], 구미시, 경산시, 경주시, 상주시 등도 오티스의 비중이 꽤 있다. 울산광역시는 현대엘리베이터의 비중이 높기는 하지만 오티스의 비중도 꽤 상당하다. 대전광역시의 경우 둔산신도시나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오티스의 비중이 꽤 있다.[161] 서울특별시의 경우는 종로구, 중구, 여의도, 강남 3구에 많고[162] 그 다음 강동구, 용산구[163], 영등포구,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 성북구, 마포구, 서대문구, 은평구, 동대문구, 성동구, 구로구, 금천구, 관악구 등에도 나름 분포되어 있다.[164] 고양시, 성남시, 안양시, 부천시의 1기 신도시에도 오티스 비중이 꽤 되고 수원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동두천시, 구리시, 안산시, 군포시, 김포시, 인천광역시 등에서도 오티스의 비중이 꽤 있다.[165] 전북특별자치도의 전주시, 익산시도 오티스의 비중이 꽤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에서는 춘천시, 원주시에 오티스의 비중이 어느정도 있는 편이다.[166] 충청북도에서는 청주시에 오티스의 비중이 꽤 있는 편이다. 광주광역시에서는 광산구와 서구에 오티스의 비중이 어느정도 있는 편이다. 전라남도에서는 목포시에 위치한 남악신도시와 순천시, 여수시에 오티스 비중이 꽤 있는 편이다.
- 2016년 6월 1일부터 전국 홈플러스 지점 내의 엘리베이터나 무빙워크 및 에스컬레이터 관리 및 보수를 모두 맡게 되었다. 이전만 해도 홈플러스 각 지점은 오티스, 티센크루프, 현대, 미쓰비시 등등 여러 업체와 서로 각자 계약되었는데 운영비 좀 아낀다는 본사의 지시로 싸그리 오티스로 통일된 것이다. 설치나 리모델링도 오티스가 담당. 허나 ACD 제어반은 커녕 거의 모두 삼일엘텍 OEM으로만 설치를 한다.[167]
- 예전에는 여느 회사들과 같이 타사 제품도 부분교체가 가능했지만 2017년부터는 자사 출신 기종만을 위주로 수주하고 있다.[168] 그러다가 2022년에 강남파이낸스센터 현대 구간도 오티스에서 같이 부분교체했다.[169]
- 2025년 기준으로, 엘리베이터를 온라인으로 주문하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Gen3™ Core 온라인 견적 페이지 자주 묻는 질문 Gen 3 Core 모델 중 분속 60m, 최대 운행층수 8층 이내의 MRL 기종 한정으로 온라인 주문 서비스를 지원한다. 온라인에서 디자인, 사양, 구성, 그리고 견적을 확인하고 주문을 제출하면, 이후 영업 담당자 및 기술팀과의 추가 상의 및 현장 답사, 측정, 그리고 협의 과정을 거쳐 최종 견적을 확정하고 계약을 체결한 후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게 된다.[170] 비교적 소규모 프로젝트에 한해서이기는 하지만, 설치 시간과 비용이 상당히 큰 5000KG 76인승 엘리베이터도 온라인으로 주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파격적인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 오티스엘리베이터가 인수한 이후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대부분 중소업체 위탁 생산이었으나 2020년대 초반 이후로는 자사 기종으로 교체하는 경우도 생겼다.
- 어찌보면 승강기계의 삼청태현이라 볼 수 있는 사안이다. 이유는 현재 오티스엘리베이터 코리아의 전신이 LG산전(금성산전(창원공장), 금성기전(주안공장))과 한국오티스(한국엔지니어링(당진공장)) 이렇게 나뉘기 때문이다. 게다가 창원공장은 1999년 이전에는 히타치엘리베이터를 생산했으며, 훗날 히타치 엘리베이터가 한국에 직접 진출하기도 했다. 또한 과거 LG산전 인력들이 엘지에스엘리베이터코리아, 네티스엘리베이터를 설립하기도 했고, 같은 범LG가인 GS그룹에서도 GS엘리베이터를 설립했다. LG산전 주안공장 인력들도 2001년에 독립해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를 설립했으니.
- 타사 대비 유별나게 의장공사에 사용되는 전장품은 2000년대부터 가품 또는 순정과 다른 양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171] 그나마 2010년대 중후반에는 의장공사도 젠투라이프 운전반 등 동일하게 순정부품을 사용하였으나 2020년대 이후 다시 의장공사 전용 전장품 차별이 생겼다.[172]
9. 관련 문서
[1] 해외에 본사를 둔 기업들은 대부분 법인명에는 코리아가 들어가는데 오티스 엘리베이터는 특이하게 코리아 자가 없는데 오티스 엘지 시절 엘지만 빼고 코리아는 추가되지 않은것으로 추측된다.[2] 2019년 현대엘리베이터 재임 중 뇌출혈로 향년 72세에 사망했다.[3] 주안공장도 인수하긴 하였으나 인수직후인 99년부터 가동을 중지하더니(미쓰비시와의 생산관련 분쟁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2001년에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에 장비와 인력을, 부지는 중소업체에 시기미상 넘겨버렸다[4] 설립된건 1999년이 맞으나 엘리베이터 로고는 2000년 상반기 설치분까지 LG산전으로 유지되었다. 이는 물량 수주를 1999년 오티스가 LG산전을 인수하기 직전에 하였기 때문이다.[5] 1991년 이전까지는 한국엔지니어링.[6] 물적 전신이 아닌 이유는 1999년에 엘지산전 엘리베이터 사업부를 인수하는 과정에 폐업처리 되고 엘지산전 엘리베이터 사업부를 엘지•오티스 엘리베이터(유)라는 이름의 회사를 설립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오티스 엘리베이터 설립년도도 1999년 인것이다.[7] 1년 주기로 바뀐다. 159년, 160년 이런 식으로. 해당 문장도 age 문법 처리가 되어있으니 자동으로 바뀐다. 또한 한때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경고 스티커에도 인쇄되기도 하였으나 하도 번거로웠는지 지금은 스티커에서는 포함되지 않는다.[8] 2020년대 중반 이후 나오는 스티커에는 "오티스 엘리베이터는 국내(한국) 최대의 승강설비 업체입니다."라고 표기한다.[9] 공교롭게도 본사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도 오티스다.[10] 금성산전 처럼 금성사 로고를 주로 사용했었다.[11] 1987년 전까진 금성사의 승강기 사업부였다가 1988년에 금성산전으로 분리되었다.[12] 한문으로 금성산전(金星產電)이라고 쓰여진 로고가 존재하긴 하였으나 금성사와 같은 로고를 주로 사용하였다.[13] 원래는 1999년부터 2002년 12월 31일까지 이 로고가 사용되었으나, 2000년 상반기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경우 물량 수주를 그 이전에 하였기에 여전히 LG산전 로고를 부착한 채로 설치되었다. 마찬가지로 2003년 상반기에 설치된 경우에도 물량 수주를 LG•OTIS 시절에 하였기에 LG•OTIS 로고가 부착된 채 설치되었다. 2025년에 자이엘리베이터로 사명이 바뀐 이후에도 GS엘리베이터 로고로 설치된 것과 비슷한 케이스.[14] OTIS로 완전히 바뀐 이후로도 2006년 2월까지는 OTIS LG로 생산을 하였다.[15] 좌측이 금성산전 우측이 금성기전이다. 원래는 LG-OTIS 다음에 OTIS-LG와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가 분리되어야 한다. 또한 LG-OTIS 이전에 한국엔지니어링(1979 - 1991)과 한국오티스엘리베이터(1991 - 1999) 또한 추가되어야 한다.[16] 2000년대 초반에 LG-OTIS와 통합되었다.[17] 2003년 초반까지는 LG OTIS엘리베이터로 쓰다가 2003년 중반부터 OTIS LG로 변경했다.[18] 특이사항으로 이 시기에 유한회사로 전환되어 한국 주요 승강기 제조업체 중 유일하게 '유한회사'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나머지 LG산전은 범 LG가 분할로 LS에 넘어가 LS산전을 거쳐 LS일렉트릭이라는 이름으로 살아있다. 그리고 2011년 'LGS 엘리베이터 코리아'라는 이름으로 다시 설립해 완전 살아있다.[19] OTIS엘리베이터로 완전히 생산하기 시작한 것은 2006년 3월부터다. 그러나 그 이후로도 간간히 OTIS LG로 생산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20] 주안공장 계보는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가 이어받았다. 비록 주안공장을 그대로 쓰지는 않지만 한국형 미쓰비시엘리베이터는 여전히 인천광역시에서 생산한다. 게다가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자체가 과거 주안공장 출신 인력들이 독립해 나와서 설립한 것이다.[21] 이 때문에 MRL과 일부 하이엔드 기종을 제외하면 신규 설치를 찾기 힘들며 특히 중저속 기계실형 모델들은 대부분이 교체분인데, 2010년대 중반부터 현재진행형이다.[22] 신영전기(주안공장)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외국의 금성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는 모두 히타치 제휴 모델이다.[23] 회사 로고를 Si1 기종 초기 때 사용하던 그 디자인으로 한 게 있다.(예시)[A] 대부분 LG 시절에 독자개발한 모델들을 오티스의 인수 이후에도 쭉 판매했다.[M-키트] 오티스 엘리베이터 부분교체 패키지 엠-키트 한정으로 지원된다.[26] 버튼이 터치식 버튼으로 희귀옵션.[27] 심지어 버튼도 OTIS-LG때 사용하던 타입이다.[28] Di1 중 유일하게 속력이 120m/min이다.[29] 현대 내장재로 교체.[30] 단 이전 모델에서도 사용한 히타치 설계 권상기를 쭉 사용해서 완전한 독자개발이라고 하긴 어렵다.[31]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체하지 않고 T키트를 부착하는 현장도 많다.[M-키트] [의장교체] 내부 디자인을 교체했다.[34] 리모델링 전 금성산전엘리베이터 GD 모델이었다.[의장교체] [36] 53인승, 45m/min다.[37] 120m/min로 운행하는 라인은 Di1이다. 해당 영상은 39층 라인이며, 150m/min으로 운행한다.[38] 단, TK-20B, TK-30A는 반쯤 기술시험을 위한 파일럿 모델에 가까워 내수, 수출 막론하고 판매기간은 물론 생산기간조차 매우 짧아 상황이 약간 다른 것을 감안해야 한다.[39] 무기계실 사양.[40] 국승정에서는 F2로 오기재.[41] 2024년 2월에 대용량을 지원하는 E2 제어반이 고속 기종인 GMH3에 적용되어 출시되었다.[42] 출시 당시 LG그룹에서 SIGMA 명칭을 애용했는데, LG정유는 자사 휘발유 브랜드를 SIGMA 6로, LG그룹의 품질 경영 기법을 6시그마(삼성 그룹의 ‘품질경영시스템‘과 유사)로 불렸다.[43] 2003년까지는 SIGMA 브랜드로, 2004년부터 LG 명의를 떼기 전까지는 Premium Di 브랜드로 판매되었다. OTIS 이후로는 브랜드명이 폐지되었다.[44] 2006년식이지만, 옵션 적용으로 LG산전 때 사용하던 타입이다.[45] 이센타워의 경우 1, 2호기가 승객용 Si1이고, 3호기는 전망용 Di1이다.[46] 오티스로 완전히 합병된 이후에는 오히려 GR1, SM1 등에서 많이 사용되다가 2009년 중반에 단종되었다.[47] 대략 2004년 이전까지는 'SIGMA DIGITAL ELEVATOR'라고 각인된 엠블럼이 층표시기 및 용량판 아래쪽(초기 운전반 기준)에 부착되어 있었다. 하지만 일부 설치분의 경우 층표시기가 들어갈 자리에 해당 로고가 각인된 것도 있는데 2002년 초까지 설치된 것은 로고 형태가 이렇게 생겼기 때문에 까임의 대상이 된다. 2004년에 'Premium Di' 브랜드로 변경됨과 동시에 해당 브랜드의 디자인으로 변경된 엠블럼이 부착되었다.[48] 특히 LG빌리지, e편한세상 등 2000년대 초중반 준고급 아파트들[49] 동시에 2013년 이후 Si1도 권상기 불완전교체형 리모델링 적용 장소가 생겼다.[50] SA1 기종 중에서는 엄청 희귀하게 안내방송이 나오는 장애인용 사양이다.[51] DSS 기종 중에서는 엄청 희귀하게 안내방송이 나온다.[52] 이 모델의 깡통차임은 1990년대 후반 LG산전 시절 기계식 버튼에 동양에서 쓰던 것과 비슷한 "딩동댕동~" 차임벨이 적용된다. 장애인용도 예외없이 타 모델들과 달리 해당 차임이 원칙이었다.[53] 2020년식 신축 신규 설치분이다. 장애인용은 운행 중간에 안내방송을 교체해 STEP 안내양이 적용되었다.[54] 2017년 말~ 2018년 초에 설치된 최후기형 시그마 제어반이다. 2018년에 한국에서 시그마 제어반 사양이 판매 중단되었기 때문에 최후기형이라는 말이 매우 적절하다. 내부에는 화이트 도트와 젠투 다이나믹의 버튼이 내장되었다.[55] 탑승영상 4와 달리, ACD4 EXT 제어반이 적용된 후기형 New DS-4다.[56] 특이하게 리모델링 전 동사의 일본 지사 생산분 기어드 모델인 SPEC-90이었다.[57] 2005년식이며, 2022년 12월에 의장교체 및 JAMB 부분교체 시행.[58] DS-4로 명칭이 바뀐 이유는 오티스의 LG산전엘리베이터 한국 지분 취득 이후 OEM 생산 권상기로 출고되었기 때문이다.[59] 탑승영상 4가 해당된다.[60] 2015년 3월 13일 이 호텔의 객실 구간 엘리베이터 6대 중 1대가 추락해 승객이 긴급구조되는 사고가 있었는데 지금은 수리하고 다시 운행 중이다.[61] 국승정에서는 DS-5로 오기재.[62] 만약 제어반이 ACD4고 MR 모델이며 GM2 기종이면 'ACD4MRGM2' 로 기재된다.[63] 국승정에서는 일부 현장에 ED MOR로 기재되어 있는데 오류다.[64] 2013년식이지만 의장공사를 통해 텐키까지 설치했다.[65] 기존 오티스 엘리베이터 한국 지사 버전에서는 볼 수 없었던 전장품들이 적용되었다.[66] 한국어, 영어, 중국어(간체) 등 3개국어 안내양이 적용되었고 디자인도 인천공항 옵션이다.[67] 국승정에서는 ACD4MRLGR1로 오기재.[68] 이 건물의 비상용도 같은 모델에 동일 속력이지만, 이쪽은 내장재가 무광 스테인레스다.[69] OTIS엘리베이터 무기계실 기종 중에서 가장 긴 총 41층(B2~39층)의 행정거리를 지녔다. 1800kg에 150m/min이며 국승정에서는 ACD4MRLGR1로 오기재.[70] 시그마 제어반이 달린 2010년 12월식 극초기형 사양이며, 외부에는 당시에도 이미 사실상 단종제품 취급된 금성 출신 빌트인 운전반+터치버튼이 적용되었다. 내부 역시 2000년대 초반에 보이던 세그먼트+작은 직사각형 검정 운전반 조합이다. 위쪽은 도트 적용.[71] 교체 전은 동양 DY30A[72] 부분교체분으로 적용되었다.[73] 고급 호텔에 특화된 커스터마이징으로 특히 기존 설치분에서는 볼 수 없던 버튼 알림음과 외부 홀렌턴이 인상적이다.[74] 젠투라이프 트림이 탑재된 2018년식 최후기형 사양이다.[75] 래미안 옵션 층표시기, 알림음이 적용되었다.[76] 'NV'라는 명칭과 다르게 ACD 제어반이다.[77] 2020년대 설치분도 도트 모션이 STEP-NV 형식인 층표시기가 있다.[78] 알림음은 2020년대부터 아이폰 문자음과 유사한 차임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2024년 시그마 홈페이지 기준으로 중저속 MR타입 모델은 ACRA로만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시그마가 진출해있는 곳이 주로 동남아시아 일대인지라 한국처럼 큰 혹평을 받진 않고 있다. 여담으로 현대엘리베이터도 이쪽 시장을 중심으로 절찬리에 수출중이다.[79] 2018년 7월식, 2019년 1월 입주[80] 1997년 부도로 오티스에 인수되었다.[81] 탑승영상 4가 해당한다.[82] 2009년 12월에 설치되었으며, 한국 승강기 평균수명인 15년을 약간 넘긴 2025년 6월, 동사의 GR1으로 교체되었다.[83] 2024년에 삼일엘텍 SICON4000 제어반으로 부분교체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교체 후에도 자체 점검은 오티스가 계속 담당한다.[84] DSS와 같은 제어반이다.[85] 최후기형인 2018년 2월식이며, 옵티모 디자인이 적용되었다.[86] 고급 화이트 사각 버튼이 적용되었다.[87] 2011년에 설치되었다.[88] ACD 제어반과 모노 LCD 디스플레이 층표시기가 적용되었다.[89] STEP 제어반+모노 LCD 디스플레이 층표시기 조합이다.[90] 2012년식이며, 수출용 차임에 홀랜턴이 적용되었다.[91] 정차 위치를 제대로 못 맞춰서 다시 정차하는 것이다.[92] STEP 제어반 탑재 기종 한정. ACD 제어반 탑재 기종은 어지간해서는 해당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93] 운전반이 젠투라이프를 모티브로 디자인되었는데, 버튼은 상하이 STEP에서 직접 조달한다.[94] 이 여파는 이 기종의 판매 중단 이후로도 이어져 신축건물에서 오티스엘리베이터 제품을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으며, 실제로 이후 신축건물의 승강기는 상당수가 TKE나 현대엘리베이터 또는 미쓰비시엘리베이터 제품이다. 특히 분속 150m 이하(=NV 계열의 지원속도) 유기계실 모델들은 기어드, 기어리스 불문 교체 수요에 의존해야만 하는 상황에 빠졌고 현재진행형이다. 하지만 NV 계열처럼 중국산 부품이 탑재된 기종을 제외하면 오티스엘리베이터 한국 지사 생산분의 전반적인 품질은 미쓰비시엘리베이터 다음으로 좋은 편이다.[95] 특히 대림산업의 사례에서 잘 알 수 있는데, 1990년대 후반부터 거의 오티스의 우방이나 다름없는 기업이었지만 역시 NV 계열 품질 이슈로 이미 해당 기종 주력판매 시기 전에 IRIS 출고를 중단해버리고 이후로는 현대엘리베이터를 주로 출고하며, 오티스는 대부분 MRL 현장에만 출고하는 모습을 보인다.[96] 수출용 차임을 사용한다.[97] 모노 LCD 디스플레이, ACD 제어반이 적용되었다.[98] 중속은 준고급 메인스트림 기종 GM2가, 고속은 GMH 계열이 각각 나눠먹었다.[99] 승강기정보에 나오는 반도엔지니어링은 100% 오류이고 반도엘리베이터가 맞다.[A] [101] 당시 국승정에서는 확인불가로 오기재[102] 국승정에서는 확인불가로 오기재. Si1, GEN2(GR1)의 시그마 내장재와 도트 층표시기가 적용되었다.[103] 신원기전 제어반이 적용되었다.[104] 아무래도 한국 승강기 안전규제로 일반건물 설치가 불가능한 것이 가장 큰 이유인 것으로 추정된다.[105] 중국의 'SJEC'라는 승강기 제조업체에서 사용한 차임음으로 알려져 있다.[106] 과거 LG산전 시절까지는 올라갑니다, 내려갑니다, 문이 닫힙니다에도 3계음 차임이 나왔었으나 LG OTIS로 바뀐 후에는 몇층입니다에만 3계음 차임이 나왔다.[107] 대표적으로 SL&C社의 XX(잭스) 시리즈 제어반.[108] 설치 현장에 따라서는 NV 기종처럼 안내음성 전 차임벨이 같이 나오는 곳도 있다. IRIS NV, SOLON NV의 경우 문 개방 시의 안내가 없었지만 중소업체로 건너가면서 문 개방 안내방송이 추가되었다. NV 계열 출시 초기에는 긍정적인 반응이 많았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는 부정적인 반응이 많다.[109] 1층 발음이 1기형과 다르다.[110] STEP NV 계열 기종에 적용된 안내방송도 어색하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해당 안내방송 역시 그에 못지않게 억양이 다소 어색한 편이다. 아산CLC 체제 이후에도 원가절감 기종에서 꾸준히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한국에 아주 짧은 기간 동안 진출했던(2017~2019년) 히타치엘리베이터 한국지사에서도 해당 안내방송을 사용했던 바 있다.[111] 음정은 LG산전 *GP 시리즈와 비슷하다.[112] 이쪽도 2023년부터 문 개방 안내음성이 옵션으로 적용된다.[113] 2012년식 Di5 모델이며 속력은 360m/min.[114] 사실 수동개방은 기계장치 악영향이나 급발진, 추락 등으로 인한 2차 사고의 우려가 있어 매우 권장하지 않는 위험한 방법이다. 실제로 이전에도 엘리베이터에 갇혀 수동개방을 하다 엘리베이터가 급출발하여 추락사한 사례가 있다.(정황상 특히 후자일 가능성이 높다.)[115] 또한 단순히 추락사고가 발생했다고 카 바닥이 한쪽 구석으로 기울어지는 것 또한 제조, 혹은 설치 불량에 해당하는 일종의 중대결함이긴 하다.[116] 덕분에 래미안이 현대엘리베이터는 오히려 고급 모델 STVF-3 기종까지 수주하고 동양엘리베이터도 대부분 도트를 넣었던 반면 오티스-LG는 2000년대 중반까지 세그먼트를 고집했다.[117] 물론 Si1 외에도 타 모델에도 도트식 층표시기를 삽입한 경우가 있었다.[118] 외부/내부 중 한쪽만 도트이거나 내부층표시기가 도어 상단과 운전반에 양쪽에 있는 경우 한쪽만 도트인 경우도 존재했다.[119] 외부 직사각형 층표시기는 운전반과 분리되어 있는 것과 운전반과 밀착되어 있는 것으로 나뉜다.[120] 사다리꼴 돌출형 운전반 층표시기 역시 외부 운전반과 밀착되어 있는 것과 외부 운전반과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나뉜다.[121] 내부 직사각형 층표시기는 일반 운전반에 붙어있는 것과 매립형 운전반에 붙어있는 것으로 나뉜다.[122] 긴 직사각형+반달이 혼합된 층표시기를 제외하면 화살표 없이 글자만 표출한다.[123] 도트식 층표시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외부 직사각형 층표시기는 운전반과 분리되어 있는 것과 운전반 일체형으로 나뉜다.[124] 도트식 층표시기에서도 마찬가지로 내부 직사각형 층표시기는 일반 운전반에 붙어있는 것과 매립형 운전반에 붙어있는 것으로 나뉜다.[125] E411, E413 모델 등에도 같은 운전반이 적용된 적이 있다.[126] 따라서 상자형 시절에는 장애인용 운전반, 일반운전반 버튼 모두 무점자버튼(사각형 돌출버튼, 원형 돌출버튼, 터치식)도 가능했다. 철판형 이후에도 일반운전반에 무점자버튼(사각형 돌출버튼, 원형 돌출버튼, 터치식) 선택을 막진 않았으나 이런 경우에도 장애인용 운전반은 무조건 스퀘어클 점자버튼 고정이었다.(물론 상자형 장애인용 운전반 시절에도 이미 무점자버튼(사각형 돌출버튼, 원형 돌출버튼, 터치식)을 일반운전반에 적용하고 장애인용 운전반에 스퀘어클 점자버튼을 적용하는 경우가 이미 상당히 있었다. 철판형 장애인용 운전반에도 무점자버튼을 투입하는 경우가 2000년대 초반에 잠깐 있었지만 그 때도 무조건 스퀘어클 버튼(기계식)을 채택해야 했다. 외부 운전반은 무점자버튼(사각형 돌출버튼, 원형 돌출버튼)을 채택하는 경우도 많았고 스퀘어클 점자버튼을 채택하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일반용 외부운전반은 무점자버튼(사각형 돌출버튼, 원형 돌출버튼), 장애인용 외부운전반은 스퀘어클 점자버튼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일반용 엘리베이터에는 무점자버튼(사각형 돌출버튼, 원형 돌출버튼)을 적용하고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에는 일반 운전반, 장애인용 운전반 모두 스퀘어클 점자버튼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LG산전엘리베이터 시절부터 시작해서 LG OTIS엘리베이터, OTIS LG엘리베이터 때도 이어졌고 OTIS엘리베이터 이후에도 이어졌으나 흰색 용량판이 주력화된 2008년식 이후 급속도로 줄어들기 시작하더니 흰색 용량판이 완전히 정착된 2010년대부터는 완전히 볼 수 없게 되었다. 물론 그 이후로도 일반 운전반과 장애인용 운전반에 서로 다른 점자버튼(일반 운전반에 원형 스퀘어클 마이크로푸쉬 점자버튼, 장애인용 운전반에 사각형 형식의 스퀘어클 점자버튼 적용)이 적용되는 것은 2010년대 초반까지도 어느정도 볼 수 있었다.[127] 90년대 후반~00년대 극초반 건립된 빌딩, 오피스텔, 근린생활시설, 비즈니스 관련 건물이나 아파트, 일부 백화점 등에는 일반 운전반, 장애인용 운전반 모두 무점자 버튼을 적용한 경우가 꽤 있었다. 일반운전반에 무점자버튼을 적용하고 장애인용 운전반에 스퀘어클 점자버튼을 채택하는 경우는 주로 일반 빌딩들이나 오피스텔, 각종 근린생활시설, 메디컬 관련 건물, 벤처 관련 건물, 비즈니스 관련 건물 등에서 적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외에도 기업 관련 건물들이나 대학병원들이나 종합병원들, 이마트나 신세계백화점 일부 점포, 몇몇 콘도미니엄, 각종 복합쇼핑몰, 일부 롯데마트 등에서도 적용하는 경우가 꽤 있었다. 아파트의 경우는 일부 푸르지오나 KCC스위첸, 벽산 메가트리움, 두산위브더스테이트 등에서 그런 경우를 찾아볼 수 있었고 그 외에는 지역 건설사 기반의 아파트에서도 그런 경우를 찾아볼 수 있었다. 반면 롯데백화점이나 래미안을 비롯한 대기업 건물들이나 2003년 후반 이후 건설된 푸르지오나 주공아파트나 홈플러스 등은 일반 운전반, 장애인 운전반 모두 무조건 스퀘어클 점자버튼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물론 일반 빌딩이나 오피스텔, 근린생활시설, 비즈니스 관련 건물 또는 복합쇼핑몰에도 일반 운전반, 장애인 운전반 모두 스퀘어클 점자버튼을 적용하는 경우는 있었다.[128] 일부 아파트 납품용 한정으로 장애인용 운전반에 층표시기가 탑재되는 경우도 있었다.[129] 진주시에 있는 갤러리아백화점 진주점, 진주 MBC에도 적용되었다.[130] OTIS LG로 바뀐 후에도 한동안 회색을 유지했다.[131] 창원공장 폐쇄 전까지 생산되었으나 2010년부터 소매판매는 중단하고 LH, 호반 납품용으로만 생산했다.[132] 간혹 용량판 밑에 표기하는 경우도 있었다.[133] 물론 그 때도 버튼 층배열을 세로로 내려가는 방식으로 하는 경우도 있었다.[134] 다만 세부적으로 보면 차이가 있는데 1997년부터 1998년 초까지는 진하늘색 바탕의 엠블럼을 사용했고 1998년부터 2000년 초까지는 밝은 하늘색 바탕의 엠블럼을 사용했다가 2000년 중반부터 2019년까지는 다시 진하늘색 바탕의 엠블럼을 사용했다.[135] 외부 운전반에 붙는 장애인용 마크를 보면 LG산전 시절인 1997년부터 1998년 초까지는 도장형 방식을 사용했다가 1998년 초부터 LG OTIS 시절인 2002년 초중반까지는 장애인용 마크 위에 플라스틱이나 유리를 씌우는 방식을 사용했고 2002년 중후반부터는 스티커 방식을 사용했다. 젠투라이프 운전반 출시인 2017년 이후에는 운전반에 장애인용 프린팅 마크를 집어넣는 방식이 되었다. 다만 2019년까지는 스티커 방식도 사용했지만 젠투라이프 운전반으로 통일이 된 2020년부터는 장애인용 프린팅 마크를 집어넣는 방식으로 통일되었다.[136] 등변사다리꼴 형식의 돌출운전반의 경우 층표시기와 외부운전반이 겹쳐있을 때 LG OTIS 시절인 2002년까지는 직사각형 형식의 철판운전반과 똑같이 층표시기 위에 장애인용 마크를 표기했지만 2003년부터는 층표시기 밑에 장애인용 마크를 표기했다. 반면 철판운전반은 계속 층표시기 위에 장애인용 마크를 표기했다. 다만 철판운전반 역시 도트형 층표시기는 층표시기 밑에 장애인용 마크를 표기했다.[137] 젠투 출시 초창기에 나왔던 유럽형 디자인과 유사한 디자인과 레이아웃이다.[138] 이후 경쟁사가 출시한 네오 트림과 달리 장애인용도 측면 운전반만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이럴 때는 우측 벽면 운전반이 일반 운전반 역할이었다.) 승객용도 전면운전반 단독 적용이 가능해서 네오 트림보다는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다.[139] 모노 LCD 디스플레이가 부활했으며 공기정화기능은 삭제되었다. 그리고 이 트림을 통해 오티스에서도 무기호 방식 위치표시기를 도입했다.[140] 초기(~2021년식) 설치분은 오티스 한국 지사의 상징인 딩동댕 차임을 버리고 iPhone 문자음과 유사한 차임+젊은 안내양으로 출고되었으나 얼마 안 가 다시 오티스 한국 지사 알림음으로 통일되었다.[141] 2010년대 이후로는 여타 건설사처럼 미쓰비시엘리베이터나 현대엘리베이터, 티케이엘리베이터 제품을 애용하며 그 다음 후지테크 제품도 간간히 사용한다. 이쪽은 2000년대까지 오티스 제품을 애용했다가 2020년대부터 MRL 기종만 있는 일부 현장에 다시 조금씩 설치되는 중이다. 롯데마트 수지점을 재건축한 롯데캐슬 하이브엘이 대표적이다.[142] 하지만 노원점(구 미도파백화점 상계점)을 비롯한 일부 지점은 타사 제품을 사용하기도 했다.[143] 하지만 이쪽도 근래에는 타사 제품을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144] 정확히 말하면 LG산전 시절부터 사용했었다.[145] 다만 휘닉스파크는 2016년 중앙그룹에 인수되기 직전까지 (주)보광이 운영했어서 삼성과는 거리가 멀다.[146] 교체분도 OTIS엘리베이터를 구입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단 2010년대 후반 이후로는 현대엘리베이터로 교체하는 지점도 늘어나고 있다.[147] 패션관은 원래 경방필백화점이었다.[148] 본래는 성안백화점이었다.[149] A관은 원래 한양백화점->갤러리아백화점, B관은 원래 야우리백화점이었다.[150] 대표적으로 LG에서 직접 운영하는 곤지암리조트 엘리베이터는 십중팔구 이 회사 제품이다.[151] 다만 자이의 경우에는 혼용체제이다. 그러나, 자이 쪽 옵션의 평은 심각하게 좋지 못한 편으로, 2006년 후반에 나온 흰색 용량판을 거의 유일하게 절찬리에 쓰고 있다.[152] 2001년식까진 평범하게 세그먼트로 출고했다가 2002년 시그마트림 사양 Si1을 도입했다. 시그마트림 모델은 전술한 내용처럼 일반 시그마트림과 달리 내부층표시기가 용량판이 아닌 1층과 똑같이 문 위에 있었고, 여타 부영아파트처럼 거의 방범창이 탑재되었지만 2006년식은 시대 흐름에 따라 방범창은 완전히 삭제되었다. 그러다가 부영아파트 마지막 오티스인 도농애시앙의 2008년식은 분양아파트임에도 불구하고 도트식 층표시기를 제외하면 무옵션으로 선택했다.[153] 실제로 2009년에 공사한 갤러리아 센터시티는 오티스, 2014년에 대차한 갤러리아 타임월드는 현대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물론 타임월드는 대차 이전에도 현대엘리베이터를 채택했기에 그런 것도 있다.[154] 다만 2000년대 초반 이후에는 Di, Si 모델보다는 GR1 모델을 위주로 쓰고 있다. 상술한 내용처럼 IRIS계열 출시 이후에는 IRIS계열 최대 고객이기도 했던 덕분에 2세대 기종 NV 시리즈의 품질문제도 NV 시리즈 주력판매 시기보다 먼저 겪었고 2010년대 중반식은 오티스가 없다시피했다가 역시 이후에는 모두 MRL인 현장에 설치중이다. 하지만 2017~2018년에도 GM1을 뽑은 현장이 소수 존재한다.[155] 조선일보 사옥은 코리아나호텔과 같이 사용중이다.[156] 푸르지오의 경우에는 현대엘리베이터, 미쓰비시엘리베이터의 비중도 꽤 있는 편이다.[157] 창원공장 시절에 구입한 OTIS엘리베이터도 켄싱턴호텔 설악의 2011년식 등이 전부.[158] 수성알파시티에 있는 건물들이 대부분 오티스를 설치했을 정도.[159] 단 이쪽도 2010년대 후반 이후 입주 아파트는 미쓰비시엘리베이터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160] 3대 종합병원인 안동병원, 안동성소병원, 안동의료원 다 사용한다. 안동병원은 용상동 분원(구 본원)에서 사용하고, 수상동 본원은 미쓰비시엘리베이터를 사용한다. 아파트 역시 안동에 진출한 대기업은 물론 중소 혹은 지역 건설사도 오티스를 많이 선호한다.[161] 물론 둔산신도시나 서부 지역은 현대엘리베이터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동부 지역(구도심)도 금성~LG산전과 오티스 초기에는 오티스 비중이 어느정도 있었지만 지금은 현대엘리베이터 비중이 많이 높아졌다.[162] 특히 여의도는 1970년대 입주 고층아파트 단지 중 은하아파트를 제외하면 모두 이 회사의 제품을 이용한 이력이 있을 정도로 서울에서도 독보적 선호지이다.[163] 동부이촌동, 서빙고동, 한남동에서는 금성엘리베이터 시절부터 창원공장 제품을 많이 썼다.[164] 광진구도 금성~LG산전 시절에는 금성~LG산전 비중이 꽤 있었고 오티스 초기에는 오티스 비중도 어느정도 있었지만 지금은 현대엘리베이터, 티케이엘리베이터 비중이 많이 높아졌다.[165] 과천시도 금성~LG산전 시절에는 금성~LG산전을 선호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었지만 현재는 현대엘리베이터 비중이 높아졌다.[166] 홍천군, 평창군도 오티스 비중이 어느정도 있었으나 현재는 많이 줄어들었다.[167] 홈플러스에 설치하는 규격이 전부 3500kg 이상의 대용량 화물용 엘리베이터라 OEM으로 설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긴 하다.[168] M키트도 상품명이 Di로 분류되지 권상기 통교체 없이 제어반 신형화+7대 안전장치 추가 부착하는 것이다.[169] GM1으로 전면교체를 선택한 41-43층 셔틀용을 제외하면 중층용, 고층용, VIP용은 GMH 계열로, 대용량 화물용 및 지하 셔틀용은 삼일엘텍으로 부분교체했다.[170] 여러 자동차 회사들이 제공하는 온라인 "내 차 만들기" 및 구매상담 예약 서비스와 상당히 비슷하다.[171] OTIS LG 이후에도 기계식 버튼을 탑재하거나 비상버튼 표시 문구가 EMERGENCY, 흰색 용량판은 용량판에 방향등 존재 등[172] 의장공사 병행 T키트 현장만 봐도 젠투라이프 운전반이 아닌 흰색 용량판 운전반으로 교체하는 경우 순정, 비순정이 섞여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오티스 엘리베이터|오티스 엘리베이터]]}}}{{{#!if external != "o"
[[오티스 엘리베이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오티스 엘리베이터?uuid=44821456-8f44-40fe-9aa8-3ae7aa723c8a|r258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오티스 엘리베이터?uuid=44821456-8f44-40fe-9aa8-3ae7aa723c8a#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오티스 엘리베이터?from=2588|이전 역사 보러 가기]]}}}#!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오티스 엘리베이터|오티스 엘리베이터]]}}}{{{#!if external != "o"
[[오티스 엘리베이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오티스 엘리베이터?uuid=44821456-8f44-40fe-9aa8-3ae7aa723c8a|r258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오티스 엘리베이터?uuid=44821456-8f44-40fe-9aa8-3ae7aa723c8a#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오티스 엘리베이터?from=2588|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