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6 19:32:35

애런 저지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애런 저지의 2025년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애런 저지/선수 경력/2025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애런 저지/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애런 저지/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애런 저지의 2025년 활약상: }}}{{{#!if 같은문서1 == null
[[애런 저지/선수 경력/2025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애런 저지/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애런 저지/선수 경력/2025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colkeepall> {{{#!wiki style="margin: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132448><colcolor=#fff> 투수 30 위버 · 31 슐리틀러 · 33 야브로40인 · 36 슈미트IL-60 · 38 윌리엄스 · 41 T.힐 · 43 로아이시가IL-15 · 45 IL-60 · 47 헤드릭IL-15 · 53 베드나 · 54 프리드 · 55 로돈 · 56 라이터 Jr.40인 · 57 에프로스40인 · 58 블랙번 · 59 버드40인 · 61 커즌스IL-60 · 62 와이넌스40인 · 63 크루스 · 71 해밀턴40인 · 73 데 로스 산토스40인 · 75 도발 · 81 L.힐 · 83 아리아스40인 · 88 샌드리지40인 · 98 워렌
포수 25 에스카라 · 28 웰스
내야수 11 볼피 · 13 치좀 Jr. · 14 로사리오 · 19 맥마혼 · 22 라이스 · 48 골드슈미트 · 72 카바예로 · 89 슈메이크40인 · 90 비바스40인 · 95 카브레라IL-60
외야수 12 그리샴 · 24 도밍게스 · 29 슬레이터40인 · 35 벨린저 · 99 저지
지명타자 27 스탠튼
'''''' 파일:미국 국기.svg 애런 분 파일:미국 국기.svg 브래드 어스무스 파일:미국 국기.svg 제임스 로슨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시 다이크스 · 파일:미국 국기.svg 팻 로슬러 파일:미국 국기.svg 맷 블레이크 파일:미국 국기.svg 프레스턴 클레이본 · 파일:미국 국기.svg 데시 드루셸 공석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루이스 로하스 공석 파일:미국 국기.svg 태너 스완슨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스크랜턴/윌크스베리 레일라이더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뉴욕 양키스 등번호 99번
브라이언 브루니
(2009)
애런 저지
(2016~)
현역
파일:애런 저지 2025.jpg
<colbgcolor=#132448><colcolor=#FFF> 뉴욕 양키스 No.99
C
애런 저지
Aaron Judge
본명 애런[1] 제임스 저지
Aaron James Judge
출생 1992년 4월 26일 ([age(1992-04-26)]세)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토[2]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린덴 고등학교 -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프레즈노
신체 201cm[3]| 127kg
포지션[4] 우익수, 중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0년 드래프트 31라운드 (전체 935번, OAK)
2013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32번, NYY)
소속팀 뉴욕 양키스 (2016~)
계약 2023 - 2031 / $360,000,000[option]
연봉 2025 / $40,000,000
등장곡 Travis Scott - FE!N
기록 데뷔 첫 타석 홈런 (2016.8.14.)
아메리칸 리그 단일 시즌 최다 홈런 (2022, 62개)[6]
아메리칸 리그 단일 시즌 최다 고의사구 (2025, 36개)
MLB 역대 최소 경기 • 최소 타수 300홈런 (2024.8.14.)[7]

MLB 역대 50홈런 시즌 최다 달성 (2017, 2022, 2024, 2025 | 4회)[8]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132448><colcolor=#fff> 가족
<colbgcolor=#132448><colcolor=#fff> 배우자 사만다 브랙시크 (2021년 12월 결혼 ~ 현재)
자녀 딸 노라 로즈 저지(2025년생) #
부모 아버지 웨인 저지, 어머니 패티 저지[9]
형제자매 형 존 저지[10], 남동생
반려견 거스 저지(닥스훈트) #, 이름 미상(닥스훈트) #
후원사 에어 조던
종교 개신교
소속사 PSI Sports
}}}}}}}}} ||
파일:MLB 로고.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수상 내역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6. 인기7. 여담8. 둘러보기

1. 개요

미국 국적의 뉴욕 양키스 소속 야구 선수. 포지션은 외야수이다.

뉴욕 양키스의 주장으로, MLB 역사상 최초 루키 시즌 50홈런과 아메리칸 리그 단일 시즌 최다 홈런(62홈런) 기록 보유을 보유하고 있다.

2. 선수 경력

애런 저지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애런 저지/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애런 저지/플레이 스타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런 저지/플레이 스타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런 저지/플레이 스타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7회 (2017, 2018, 2021~2025)
파일:MLB 로고.svg 로베르토 클레멘테 상 (202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MVP 2회 (2022, 2024만장일치)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행크 애런 상 2회 (2022, 2024)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실버 슬러거 4회 (2017, 2021, 2022, 2024)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 (2017만장일치)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로드 커류 상 (2025)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홈런 1위 3회 (2017, 2022, 2024)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득점 1위 3회 (2017, 2022, 2025)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타점 1위 2회 (2022, 2024)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출루율 1위 3회 (2022, 2024, 2025)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장타율 1위 3회 (2022, 2024, 2025)
파일:MLB 로고.svg All-MLB 퍼스트 팀 3회 (2021, 2022, 2024)
파일:MLB 로고.svg All-MLB 세컨드 팀 (2023)

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아메리칸 리그 MVP 2회[11], 행크 애런 상 2회, 실버 슬러거 4회, 올스타 7회, 신인왕, 도루와 안타를 제외한 타격 전 부문 타이틀 등[12] 매우 뛰어난 수상 실적을 보유하고 있는 선수다. 이로 인해 현재 세계 최고의 야구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최고점의 임팩트로만 따지면 야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로 거론될 만한 수준[13]을 보여준 선수라고 할 수 있다.

세이버매트릭스적으로도 단일 시즌 WAR 커리어 하이는 fWAR 11.3, bWAR 10.8, 통산 WAR은 2025 시즌 종료 시점에서 fWAR 61.6, bWAR 62.3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비교 대상으로 종종 언급되곤 하는 오타니 쇼헤이보다 높은데,[14] 오타니는 일반적으로 투타겸업을 하고 있기에 WAR을 쌓는 것에 있어서 저지보다 방향성이 많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더 대단한 기록이다.[15] 또한 OPS+, wRC+ 등 비율 스탯도 2025년 종료 시점에서 178로 현역 선수들 중 가장 뛰어나 마이크 트라웃을 제치고 현역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결정적으로 명예의 전당 입성에 있어서 저지의 가장 큰 강점을 꼽으면 역대 최고로 꼽힐 만한 정규 시즌의 임팩트가 있다. 바로 총 4회의 50홈런 시즌(2017-2022-2024-2025)으로 베이브 루스(1920-1921-1927-1928 시즌), 마크 맥과이어*(1996~1999 시즌까지 4시즌 연속), 새미 소사*(1998~2001 시즌까지 4시즌 연속)와 함께 MLB 역대 50홈런 시즌 최다 달성자[16]라는 것이며 비약물 타자 기준으로는 베이브 루스와 함께 유이한 기록이다. 그럼에도 단순히 홈런만 많이 치는 것도 아니라 조정 득점 생산력인 wRC+와 OPS+의 커리어 하이도 각각 220, 225라는 초월적인 수치를 기록 중이다. 특히 3시즌이나 wRC+, OPS+를 200 이상 기록했다는 점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요소. 201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구속 혁명 이후 타자들의 성적이 급강하하는 시기에서 홀로 스테로이드 시대 약쟁이 이상의 타격 성적을 보여주고 있기에 현대 야구의 모든 선수를 통틀어 약물 복용자 배리 본즈의 2001~2004년을 제외하면 넘어설 선수가 없다.[17]

사실 2022 시즌 이전까지는 나이에 비해 풀타임 데뷔가 늦은 데다 계속되는 부상으로 풀시즌을 치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기에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가 진지하게 논의되는 선수는 전혀 아니었다. 물론 루키 시즌이었던 2017 시즌의 활약이 너무나도 센세이션했기에 풀타임만 소화한다면 MVP 컨텐더급 성적을 기록할 것이라는 기대는 있었다. 그러나 이후 3년 간 인상적인 활약이 없었고, 풀타임을 치른 2021 시즌도 훌륭했지만 2017 시즌에 비견될 수준은 아니었기에 루키 시즌의 퍼포먼스가 플루크였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다가 2022년에 AL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62홈런)을 포함하여 역사에 남는 타격 시즌을 보내더니 2024년에는 홈런 개수를 제외하면 2022년보다 더 발전된 시즌을 보내며, 풀타임을 뛴다는 가정 하에는 MLB 역대 최고 수준의 타격 퍼포먼스를 선보인다는 것을 증명했다.

상술했듯 투수들의 구속 상승으로 인한 역대급 투고타저 시대에서 다른 타자들과는 궤를 달리하는 압도적인 타격 성적으로 리그를 지배한다는 점에서 스테로이드 시대라는 역대급 타고투저 시대를 평정한 투수인 페드로 마르티네스와 비견되기도 한다.[18]

누적 홈런 개수로만 보면 늦은 데뷔 시점과 2018~2020시즌에서의 부상 결장, 코로나 19 단축 시즌 등으로 인해 누적을 많이 쌓지 못했으나, 2021~2025 시즌 동안 39홈런-62홈런-37홈런-58홈런-53홈런으로 250개 가까이 몰아치며 현재는 통산 홈런 개수를 368개까지 끌어올렸다. 나이가 있어 600~700홈런은 쉽지 않아 보이지만, 현재 추세로는 500홈런 이상은 충분히 달성 가능 범위로 여겨지고 있다.

통산 홈런 기록에서 역대 최소 경기 300홈런을 달성하는 등 페이스가 매우 빠르고, 명예의 전당 평균 성적으로 평가받는 통산 WAR 60까지 돌파했다. 2025 시즌 마감 시점에서는 첫 턴 입성마저 확정적이라는 평가가 중론이며 남은 커리어 동안 리그 MVP 3회 이상 수상[19]과 통산 500홈런 달성 등의 업적을 통해 득표율을 얼마나 더 끌어올리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다.

6. 인기


데릭 지터, 알렉스 로드리게스의 뒤를 이어 양키스를 대표하는 간판급 프랜차이즈 스타이다.

위의 영상은 재능이 만개하기 시작한 2년차 2017년 4월 후에 촬영되었는데,[20] 보다시피 이 때만 해도 팬들이 그를 단번에 알아보지 못했다.[21] 그래도 하나같이 기대하는 선수로 저지를 뽑았고, 그는 그 기대를 차고 넘치게 충족하며 양키스의 간판이 되었다. 신인왕 시즌부터 활약세를 보이다가 2022 시즌에 역사에 남을 62홈런의 몬스터 시즌을 기록했고, 시즌 직후 얻은 FA 자격으로 9년 $3억 6,000만 달러 계약과 함께 양키스 프랜차이즈로 남게 되었다. 여기에 양키스 주장으로까지 선임되었는데, 120년을 상회하는 양키스의 빛나는 역사에서 수많은 스타들이 있었지만 주장 완장을 찼던 선수는 단 16명 뿐이다.[22] 베이브 루스 이후로는 저지를 포함해 단 9명으로, 그의 위상을 가늠할 수 있다.

여담으로 그의 재능이 만개했을 때 게리 산체스, 글레이버 토레스, 루이스 세베리노까지 같이 터지며 옛 양키스 코어 4[23]의 후계자로 주목받고 있었으나, 새로운 코어 4 자체는 산체스와 토레스가 기대 이상 성장해주지 못하고 세베리노가 부상으로 출장을 거의 못하며 옛말이 되어버렸지만 저지는 본인이 받았던 기대치를 한참 뛰어넘어 리그를 대표하는 슈퍼스타가 되었다.[24]

저지의 인기를 단적으로 말해주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유니폼 판매 순위인데,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연속으로 메이저 리그 전체 유니폼 판매 1위를 기록했다. 2021년에는 이전보다 순위가 많이 내려갔으나 그래도 7위를 기록했다.[25]
파일:2011이후가장좋아하는야구선수.png
포텐이 터진 2017년 초반에 치솟았던 인기를 최고의 인기팀 양키스 덕에 계속 유지했으며, 급기야 2022년 AL 홈런 신기록을 기록하며 종전 슈퍼스타들의 수준까지 인기가 올랐다. 미국 내 야구의 인기가 계속해서 하락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인기가 상승한 것은 대단하다고 볼 수 있다.

데뷔 이후부터 양키스를 대표하는 선수로 늘 꼽혔으나, 본격적으로 마이크 트라웃과의 격차를 벌리고 메이저리그 최고의 인기 선수 반열에 오른 시즌은 2022시즌이다. 해당 시즌 저지는 아메리칸 리그 홈런 신기록을 세우며 압도적인 차이로 1위를 굳건히 지켰다. 즉 2022년 저지의 인기는 넘사벽 1위 데릭 지터를 제외한 이전 세대 톱급 선수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다. 2025년 현 시점에서도 가장 인기있는 야구선수 중 하나로 반드시 꼽힌다.

7. 여담

파일:aaron-judge-parents-1-4094050998a448efaba078c4b8a53456.jpg
  • 입양아 출신으로 부모님 웨인, 패티 저지는 애런이 태어난 지 이틀 만에 입양했다. 10살쯤 되었을 때 자신과 부모가 닮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부모로부터 자신이 입양되었음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을 탔을 때도 부모님과 함께했다. #
  • 형제 중에 한국에서 입양된 형이 있다.[26], UC 버클리를 졸업했고 한국어, 영어를 포함해서 5개 언어를 할 수 있다고 한다. 현재 형은 한국 광주광역시에서 영어를 가르친다고 하며, 2022년에는 시즌이 끝난 뒤에 가족들과 함께 형을 보러 한국에 올 예정이라고 한다.영상 하지만 방한하지 않았다.
[kakaotv(373991156)]
* 위 동영상에서 알 수 있듯, 예의 바르고 겸손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파일:7110806662_33854530_062283ab7558930ad63032b3c0f32886.jpg
파일:external/8d0c30bc80296cc62f386c66c2af3704eb359ac3d322eb812affb0daefdcc73c.jpg 파일:external/cdn.vox-cdn.com/Judge_20Navy.0.jpg
Judge's Chamber 표준 드레스코드 Prepare to be Judge'd 티셔츠
  • 언어유희 좋아하는 양덕후들답게 양키스 팬들의 저지 응원은 판사 유머코드가 가득하다. 위 SI 표지에 나와있는 All Rise!라는 챈트도 재판 시작할때 판사가 들어오면 진행자가 말하는 멘트로 저지의 응원문구이자 슬로건. 우리말로는 "일동 기립" 이라는 의미다. 홈런이 나왔을 때 해설자가 심판의 날(Judgement day) 드립을 칠 때도 가끔 있다.
  • 저지가 맹활약하면서, 양키 스타디움 우측 외야에는 저지 전용 응원석인 Judge's Chambers(저지의 법정)이 설치되었다. 마침 양키스 컬러도 비슷한 네이비 컬러라 저지의 응원 팬들은 네이비 컬러의 판사 복장에 법봉 응원도구를 흔들며 저지를 응원한다. 2021년까지는 저지의 포지션도 우익수여서 Judge's Chamber에서 저지를 가까이서 직관할 수 있었지만, 22년부터 팀 사정상 중견수로 이동하면서 다소 거리가 멀어졌다. 저지 대신 우익수로 들어가는 선수는 후안 소토였다.
파일:애런저지.jpg 파일:AaronJudge.jpg
  • 큰 턱을 가졌다. 그래서 슈스케에 출연했던 가수 존박과 외모가 흡사하다. 현지에서는 NBA 선수인 애런 고든과 닮았다는 얘기가 나온다.[27] 크리스티안 옐리치가 삭발시 저지와 흡사한 외모일 것이라 추측 가능.
  • 저지의 핸드폰 화면에는 .179라는 숫자가 적혀 있다고 한다. 2016년 빅리그 맛만 봤던 시절의 타율 기록으로, 그때를 잊지 말자라는 각오를 다지기 위해서 .179를 화면에 놓았다고 한다. 현재 시점에서 세계 최고의 야구선수 중 한 명이 되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와신상담이 된 셈이다.#
파일:mts18.jpg
  • 2017년 활약에 힘입어 MLB 더 쇼 18의 커버모델로 선정되었다.
* 아쉽게도 코난 오브라이언과 함께 출연한 노답 게이머 MLB 18편은 역대급 노잼. 코난은 레드삭스 팬이기 때문에 합이 맞았다면 양키-레드삭스 라이벌리로 이것저것 뽑을 것이 많았겠지만. 본인이 예능감이 별로 없어서 코난의 드립에 맞춰주지를 못했다. 대신, 이런 진중하고 재미없는 성격 탓에 프랜차이즈 스타도 혹독하게 굴리고 짜내는 뉴욕의 미디어, 황색언론들이 잘 건드리지 못하는 점도 있어서 일장일단은 있다.
  • 마이너에서부터 같이 뛰었던 롭 레프스나이더와 친한 사이다. 또한 의외로 같은 팀 소속이었던 한국 선수 박효준과도 친분이 있다고 한다. 박효준이 미국 적응에 어려움을 겪던 시절에 저지가 먼저 다가와서 친해졌다고 한다. 박효준이 더그아웃 매거진과의 인터뷰 당시 저지와의 일화들을 소개한 적이 있다. 위에 언급했던 대로 애런 저지의 형이 한국계 입양아인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2021년 12월 결혼하였다. 아내와는 학창 시절 린든 고등학교에 함께 다녔고, 그곳에서 저지는 2010년 졸업하기 전까지 세 가지 스포츠(미식축구, 농구, 야구)를 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프레즈노에도 함께 다녔다. 아내는 2017년 운동학 분야에서 석사 학위 논문을 수상하기도 했다. #
파일:vd38ilxpki1z.jpg
  • 한국에서 소위 농군 패션이라고 불리는 하이 삭스를 즐겨 신는 편이다. 빅리그 데뷔 시즌인 2016년은 일반 패션으로 경기에 나섰지만 2017년부터는 계속 농군 패션으로 경기에 나서고 있다. 큰 키로 인해 스트라이크 존 손해를 보는 일을 줄이기 위한 시도로 추측된다.
  • 2022년의 압도적인 성적이 하필이면 FA 직전에 팀의 연장 계약을 거절한 뒤에 나온 바람에 디시에서는 돈미새라는 별명이 생겼다. 아드리안 벨트레의 2004년을 아득히 뛰어넘는 FA로이드로 남을 가능성도 적지 않았으나,[28] 저지는 2024년에 2022년을 뛰어넘는 또 하나의 몬스터 시즌을 만들어내면서 2022년의 활약이 자신의 실력임을 입증했다.
  • 2022년부터 등장음악으로 Pop Smoke의 Hello를 즐겨 사용하는데, 야구장 특성상 선정적인 가사 등은 두꺼운 베이스 처리 혹은 묵음 처리되어 나오고 있다. (관련 영상) 묘하게 팝스모크와 목소리가 비슷하다
* 거스(Gus)라는 이름의 장모 닥스훈트를 키우고 있다.
  • 저지의 성은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판사를 뜻하는 Judge와 동일 발음인 [져엇ㅈ]=[juhj]로 발음된다. 다시말해 어떻게 불러도 [져어즈]언저리가 될지언정 한글 표기 "저지"와 다르게 ㅣ는 발음되지 않는다. 가끔 애칭으로 "Judgey[저지]"라고[29] 불리기는 하는데, 그 예시로 팀메이트인 앤서니 리조가 경기 후 인터뷰 때 [져어지이]라고 ㅣ발음을 살려 여러 번 부른 적 있다.
  • 별명은 성과 같이 'Judge', 한국에서는 주로 판사님이라고 부른다.
  • 대한민국 한정으로 아론 주드게라는 멸칭이 있다. 완성형 슬러거로서 메이저리그를 폭격하는 모습을 보이는 평소와 다르게 극도로 부진하는 모습을 보일 때마다 완전히 다른 사람을 보는 것 같다는 뜻으로 사용한다. 주로 양키스가 포스트시즌에 진출할 때마다 쓰이며 정규시즌에서 부진할 때도 간혹 쓰인다.
  • 이 외에도 한국에서는 큰 키와 관련해 길쭉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 2022 시즌 종료 후 저지의 샌프란시스코 이적설이 보도될 때 Arson 이라는 오타가 적힌 채 보도되었는데 그 해 FA 최대어의 이적설과는 걸맞지 않는 오타에 밈이 되었고, 이후 저지가 양키스에 잔류하자 "양키스는 Aaron을 잡았고 샌프란시스코는 Arson을 잡았다"는 식의 밈이 되었다. 이후 저지가 2024년 생애 첫 오라클 파크 경기에서 말 그대로 샌프란시스코를 폭격하자, 양키스 트위터도 "Welcome back, Arson" 이라며 이 밈을 사용하였다. 원래는 부정적인 밈이 아니었으나 2024년 월드 시리즈에서 극도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자 "Aaron이 아니라 Arson이 대신 출전했다"는 조롱섞인 반응이 나오면서 사실상 지금은 현지판 아론 주드게가 되었다.
  • 등장곡도 그렇고 SNS에 올리는 음악을 보면 힙합을 좋아하는 듯하다.
  • 2025년 1월 27일, 첫 자녀인 노라 로즈 저지를 출산하였다.

  • 2018년부터 올 라이즈 재단을 세워 출생지인 켈리포니아와 연고지인 뉴욕의 청소년들을 돕고 있다. 이 공로를 바탕으로 2023년 로베르토 클레멘테 상을 받았다.
  • 루키시절 인터뷰에서 본인의 벤치프레스 최대 중량이 367파운드(약 166.5kg)이며 본인이 꾸준히 운동에 집중한다면 조만간 400파운드(약 181.4kg)도 가능할 것 같다고 했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7F7F7> 파일:애런저지백넘버.jpg애런 저지
Aaron Judge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프로 데뷔 이전
유년기
프로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뉴욕 양키스
New York Yankees
<rowcolor=#132448> 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2025년
국가대표
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United States National Baseball Team
<rowcolor=#FFFFFF> 2026 WBC
기타
<rowcolor=#132448>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2448>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뉴욕 양키스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65년 ~
1965
빌 버박
투수 / 전체 19번
1966
짐 라이틀
외야수 / 전체 10번
1967
론 블롬버그
1루수 / 전체 1번
1968
서먼 먼슨
포수 / 전체 4번
1969
찰리 스파이크스
3루수 / 전체 11번
1970
데이브 채들
투수 / 전체 12번
1971
테리 휘트필드
외야수 / 전체 19번
1972
스캇 맥그레거
투수 / 전체 14번
1973
더그 헤이놀드
투수 / 전체 13번
1974
데니스 셰릴
유격수 / 전체 12번
1975
짐 맥도널드
1루수 / 전체 19번
1976
팻 타블러
외야수 / 전체 16번
1977
스티브 테일러
투수 / 전체 23번
1978[1]
렉스 허들러
유격수 / 전체 18번
1978[2]
맷 윈터스
외야수 / 전체 24번
1978
브라이언 라이더
투수 / 전체 26번
1979
FA 토미 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0
FA 루디 메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1
FA 데이브 윈필드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2
FA 데이브 콜린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3
FA 스티브 켐프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4
제프 프라이스
투수 / 전체 22번
1985[3]
릭 발라본
투수 / 전체 28번
1985
FA 에드 윗슨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6
FA 알 홀랜드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7
FA 게리 워드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8
FA 잭 클락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9
FA 스티브 색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90
칼 에버렛
외야수 / 전체 10번
1991
브라이엔 테일러
투수 / 전체 1번
1992
데릭 지터
유격수 / 전체 6번
1993
맷 드류스
투수 / 전체 13번
1994
브라이언 뷰캐넌
1루수 / 전체 24번
1995
셰이 모렌즈
외야수 / 전체 27번
1996[4]
에릭 밀튼
투수 / 전체 20번
1996
FA 케니 로저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97[5]
타이렐 갓윈
외야수 / 전체 24번
1997[5]
라이언 브래들리
투수 / 전체 40번
1997
FA 데이비드 웰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98
앤디 브라운
외야수 / 전체 24번
1998[7]
마크 프라이어
투수 / 전체 43번
1999
데이브 월링
투수 / 전체 27번
2000
데이브 패리시
포수 / 전체 28번
2001[8]
존-포드 그리핀
외야수 / 전체 23번
2001[9]
브론슨 샤디나
유격수 / 전체 34번
2001[8]
존 스캑스
투수 / 전체 42번
2001
FA 마이크 무시나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2
FA 제이슨 지암비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3
에릭 던칸
3루수 / 전체 27번
2004[11]
필 휴즈
투수 / 전체 23번
2004[11]
존 포터슨
포수 / 전체 37번
2004[13]
제프 마르케즈
투수 / 전체 41번
2004
FA 폴 콴트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5[14]
C.J. 헨리
유격수 / 전체 17번
2005
FA 칼 파바노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6[15]
이안 케네디
투수 / 전체 21번
2006[15]
조바 체임벌린
투수 / 전체 41번
2006
FA 조니 데이먼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7
앤드류 브랙맨
투수 / 전체 30번
2008
게릿 콜
투수 / 전체 28번
2008[17]
제레미 블라이시
투수 / 전체 44번
2009[18]
슬레이드 히치콕
중견수 / 전체 29번
2009
FA 마크 테셰이라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10
키토 컬버
투수 / 전체 32번
2011[19]
단테 비솃 주니어
3루수 / 전체 51번
2011
FA 라파엘 소리아노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12
타이 헨슬리
투수 / 전체 30번
2013
에릭 자길로
3루수 / 전체 26번
2013[20]
애런 저지
중견수 / 전체 32번
2013[21]
이안 클라킨
투수 / 전체 33번
2014
FA 브라이언 맥캔, 자코비 엘스버리, 카를로스 벨트란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15
제임스 카프렐리안
투수 / 전체 16번
2015[22]
카일 홀더
유격수 / 전체 30번
2016
블레이크 러더포드
외야수 / 전체 18번
2017
클라크 슈미트
투수 / 전체 16번
2018
앤서니 시글러
포수 / 전체 23번
2019
앤서니 볼피
유격수 / 전체 30번
2019[CBA][24]
T.J. 시케마
투수 / 전체 38번
2020
오스틴 웰스
포수 / 전체 28번
2021
트레이 스위니
유격수 / 전체 20번
2022
스펜서 존스
외야수 / 전체 25번
2023
조지 롬바드 주니어
유격수 / 전체 26번
2024
벤 헤스
투수 / 전체 26번
2025
댁스 킬비
유격수 / 전체 39번
* 취소선 처리된 선수는 양키스 구단과 계약하지 않은 선수{{{#!wiki style="margin: -13px -10px -23px" }}}}}}}}}

[1] FA 론 블롬버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FA 마이크 토레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팀 벨처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4] FA 랜디 벨라르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FA 존 웨틀랜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7] 타이렐 갓윈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8] FA 제프 넬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9] FA 데니 니글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8] [11] FA 앤디 페티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1] [13] FA 데이비드 웰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4] FA 존 리버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5] FA 톰 고든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5] [17] FA 루이스 비스카이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8] 게릿 콜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19] FA 하비에르 바스케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0] FA 닉 스위셔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1] FA 라파엘 소리아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2] FA 데이비드 로버트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CBA] [24] CBA 지명권 ↔ 소니 그레이, 레이베르 산마르틴 트레이드
애런 저지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7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18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2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4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5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17 2018 2021 2022
2023 2024 2025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MVP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MVP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2025년 수상자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
마이클 풀머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마크 트럼보
(볼티모어 오리올스)
마이크 트라웃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무키 베츠
(보스턴 레드삭스)
저스틴 업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조지 스프링어
(휴스턴 애스트로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J.D. 마르티네즈
(보스턴 레드삭스)
마이크 트라웃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무키 베츠
(보스턴 레드삭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토론토 블루제이스)
엘로이 히메네스
(시카고 화이트삭스)
마이크 트라웃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토론토 블루제이스)
세드릭 멀린스
(볼티모어 오리올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훌리오 로드리게스
(시애틀 매리너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마이크 트라웃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토론토 블루제이스)
세드릭 멀린스
(볼티모어 오리올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훌리오 로드리게스
(시애틀 매리너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마이크 트라웃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훌리오 로드리게스
(시애틀 매리너스)
카일 터커
(휴스턴 애스트로스)
루이스 로버트 주니어
(시카고 화이트삭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훌리오 로드리게스
(시애틀 매리너스)
카일 터커
(휴스턴 애스트로스)
루이스 로버트 주니어
(시카고 화이트삭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후안 소토
(뉴욕 양키스)
앤서니 산탄데르
(볼티모어 오리올스)
2025년 수상자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행크 애런 상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토론토 블루제이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행크 애런 상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2025년 수상자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5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타격왕
바비 위트 주니어
(캔자스시티 로열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2026년 수상자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마크 트럼보
(볼티모어 오리올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크리스 데이비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살바도르 페레즈
(캔자스시티 로열스)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토론토 블루제이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칼 랄리
(시애틀 매리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득점왕
마이크 트라웃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무키 베츠
(보스턴 레드삭스)
프란시스코 린도어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득점왕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토론토 블루제이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마커스 시미언
(텍사스 레인저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타점왕
살바도르 페레즈
(캔자스시티 로열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카일 터커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타점왕
카일 터커
(휴스턴 애스트로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칼 랄리
(시애틀 매리너스)

파일:MLB 로고.svg 2021년 메이저 리그 우익수 부문 필딩 바이블 상
무키 베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무키 베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파일:MLB 로고.svg
2021 ALL-MLB FIRST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SH | OF

NYY | OF

PHI | OF

SD | SS

TOR | 2B

ATL | 3B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게레로 Jr. }}}
TOR | 1B ||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오타니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LAA | DH ||
페레즈

KC | C || || ||

WSH/LAD | SP

MIL | SP

LAD | SP

TOR | SP

NYY | SP

MIL | RP

CHW | RP
}}} ||

파일:MLB 로고.svg
2022 ALL-MLB FIRST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LAD | OF

LAA | OF

NYY | OF

LAD | SS

HOU | 2B

SD | 3B

STL | 1B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알바레즈}}}
HOU | DH ||
리얼무토

PHI | C || || ||

MIA | SP

TOR | SP

LAA | SP

HOU | SP

HOU | SP

CLE | RP

NYM | RP
}}} ||

파일:MLB 로고.svg
2023 ALL-MLB SECOND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NYY | OF

TEX | OF

HOU | OF

NYM | SS

ATL | 2B

CLE | 3B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올슨}}}
ATL | 1B ||

HOU | DH

TEX | C

TOR | SP

MIN | SP

TEX | SP

TEX | SP

BAL | SP

MIL | RP

CLE | RP
}}} ||

파일:MLB 로고.svg
2024 ALL-MLB FIRST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NYY | OF

NYY | OF

LAD | OF

KC | SS

ARI | 2B

CLE | 3B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게레로 Jr.}}}
TOR | 1B ||

LAD | DH

MIL | C

ATL | SP

DET | SP

PIT | SP

PHI | SP

BAL | SP

CLE | RP

STL | RP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1840> 파일:MLB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
역대 홈런더비 우승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5 1987 1988
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1972~1992).png
데이브 파커
파일:캘리포니아 에인절스 엠블럼(1986~1992).svg
월리 조이너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대럴 스트로베리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안드레 도슨
우천 취소
1990 1991 1987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1984~1993).png
루벤 시에라
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1972~1992).png
에릭 데이비스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라인 샌드버그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1989~1991).png
칼 립켄 주니어
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엠블럼(1982~1992).png
마크 맥과이어
1993 1994 1995 1996 1997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1984~1993).png
후안 곤잘레스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켄 그리피 주니어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
프랭크 토머스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엠블럼(1994~1999).png
배리 본즈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티노 마르티네스
1998 1999 2000 2001 2002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켄 그리피 주니어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새미 소사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1998~2006).svg
루이스 곤잘레스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제이슨 지암비
2003 2004 2005 2006 2007
파일:애너하임 에인절스 엠블럼(2002~2004).svg
개럿 앤더슨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1999~2008).svg
미겔 테하다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1992~2018).svg
바비 아브레우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1992~2018).svg
라이언 하워드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블라디미르 게레로
2008 2009 2010 2011 2012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1987~2009).svg
저스틴 모노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2000~2017).svg
프린스 필더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엠블럼.svg
데이비드 오티즈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로빈슨 카노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2006~2015).svg
프린스 필더
2013 2014 2015 2016 2017
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엠블럼(1993~2024).svg
요에니스 세스페데스
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svg
토드 프레이저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엠블럼(2012~2016).svg
지안카를로 스탠튼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애런 저지
2018 2019 2020 2021 2022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엠블럼.svg
브라이스 하퍼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피트 알론소
코로나바이러스-19 단축시즌
올스타전 취소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피트 알론소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엠블럼.svg
후안 소토
2023 2024 2025 2026 2027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엠블럼.svg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칼 랄리
}}}}}}}}}

파일:MLB 로고.svg 2023년 메이저 리그 로베르토 클레멘테 상
저스틴 터너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살바도르 페레즈
(캔자스시티 로열스)

파일:타임지 로고.svg
2022년 타임 선정 올해의 운동선수
파일:2022-athlete-of-the-year-aaron-judge.jpg
시몬 바일스 애런 저지 리오넬 메시 }}}
애런 저지의 보유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보유 기록
단일 디비전 시리즈 최다 삼진 16삼진 2017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
아메리칸 리그 단일 시즌 최다 홈런 62개 2022년 10월 4일 }}}
애런 저지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2448>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뉴욕 양키스
역대 주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03~1905 1906~1907 1908~1909 1910~1912 1913
클락 그리피스 키드 엘버펠드 윌리 킬러 할 체이스 프랭크 찬스
<rowcolor=#fff> 1914~1921 1922 1922~1925 1935~1939 1976~1979
로저 페킨포 베이브 루스 에버렛 스캇 루 게릭 서먼 먼슨
<rowcolor=#fff> 1982~1984 1986~1988 1991~1995 2003~2014 2023~
그렉 네틀스 윌리 랜돌프
론 기드리
돈 매팅리 데릭 지터 애런 저지
출처 : # }}}}}}}}}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7년 6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카를로스 코레아
(휴스턴 애스트로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호세 알투베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7년 9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매니 마차도
(볼티모어 오리올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디디 그레고리우스
(뉴욕 양키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2년 5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호세 라미레즈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요르단 알바레즈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2년 7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요르단 알바레즈
(휴스턴 애스트로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알렉스 브레그먼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2년 9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알렉스 브레그먼
(휴스턴 애스트로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맷 채프먼
(토론토 블루제이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3년 5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맷 채프먼
(토론토 블루제이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4년 5~6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거너 헨더슨
(볼티모어 오리올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바비 위트 주니어
(캔자스시티 로열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4년 8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바비 위트 주니어
(캔자스시티 로열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와이엇 랭포드
(텍사스 레인저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5년 4~5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와이엇 랭포드
(텍사스 레인저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칼 랄리
(시애틀 매리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5년 9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셰이 랭글리어스
(애슬레틱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2026년 4월 수상자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7년 4~6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신인 상
라이온 힐리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율리에스키 구리엘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7년 9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신인 상
앤드류 베닌텐디
(보스턴 레드삭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1] 외래어 표기법대로 하면 "런"이다.[2] 캘리포니아의 작은 마을인 린덴에서 성장했다.[3] 팀 동료인 지안카를로 스탠튼을 비롯해 비슷한 신장의 사람들과 나란히 섰을 때의 사진을 보면 201cm보다 살짝 더 크다는 의견도 있다.[4] 2024 시즌 종료 시점에서 우익수 601경기, 중견수 222경기 출장이기 때문에 커리어 전체로 보면 주 포지션은 우익수이지만, 정작 MVP를 수상했던 2022, 2024 시즌에는 중견수로 가장 많이 출전하였다. 수비 범위의 차이 때문인지 우익수일 때와 중견수일 때의 수비력 차이가 상당히 큰데, 우익수로는 통산 DRS 59, OAA 18, FRV 34로 리그 상위권의 수비수이지만 중견수로는 통산 DRS -10, OAA -2, FRV 2로 수비적으로 팀에 기여하는 바가 거의 없는 수비수이다. 저지가 본격적으로 중견수를 맡기 시작한 시기는 주력이 감소하기 시작한 2021 시즌부터이니, 떨어진 주력으로 인해 중견수의 넓은 수비 범위를 감당하기 힘들다는 것이 수비력 차이의 주된 이유로 분석되고 있다.[option] 전 구단 트레이드 거부권 포함[6] 비약물 타자로서는 MLB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7] 955경기, 3431타수[8] 베이브 루스, 마크 맥과이어*, 새미 소사*와 공동[9] 부모 웨인과 패티 저지는 프레즈노 주립대학교에서 학생으로 처음 만났고, 1975년에 결혼했다. 두 아들 존은 1985년, 애런은 1992년에 입양했다.[10] 본명은 존 제이콥 저지. 한국계 미국인이자 한국계 입양아 출신으로 5개국어가 가능한 인재이며 미국의 명문대학교인 UC 버클리를 졸업하고 현재 서울에서 거주 중이며 영어를 가르치고 있다.[11] 2024년은 만장일치 수상[12] 홈런, 득점, 출루율, 장타율 1위 3회, 타점 1위 2회, 타율 1위 1회[13] 물론 어디까지나 고점으로만 따졌을 때 그렇다는 것이고 누적 성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특히 저지의 MLB 데뷔는 워낙 늦은 편이라서 누적 성적은 또래 선수인 마이크 트라웃과 비교해도 밀린다. 다만 2025년 시즌 종료 기준으로 이제는 여러 번의 임팩트 있는 시즌을 남기며 누적도 21세기 기준으로 10위권에 들어왔다.[14] 저지는 2016년, 오타니는 2018년에 데뷔했다. 다만 저지가 2016년에는 시즌 후반에 콜업되어 빅리그 맛보기만 살짝 했을 뿐이고, 풀타임 시즌 데뷔는 2017년이므로 실제로는 1년의 차이가 있다. 저지와 오타니는 2025시즌 종료 시점에서 여전히 전성기를 보내는 상황이므로, 통산 WAR은 두 선수 모두 기량이 퇴조한 다음 비교해야 우열을 가리기 쉬워질 듯하다.[15] 물론 오타니가 투타겸업을 100% 가동한 시즌이 적기에 투타겸업이 WAR에 얼마나 도움이 되었느냐는 미지수인 상태다. 그러나 두 선수가 모두 MVP를 수상한 2024년, 오타니는 지명타자로만 나서 수비 지표가 0이고 저지는 수비 지표에서 음수를 기록했음에도 저지가 더 높은 WAR을 기록했다. 타격과 주루를 모두 종합한 공격 기여도인 Offense에서도 저지가 96.0, 오타니가 79.4를 기록했기에 저지의 WAR 가치가 전혀 퇴색되지는 않는다.[16] MLB뿐만 아니라 다른 리그에서도 50홈런 시즌을 4회 달성한 사례가 없기 때문에 이는 야구 역사상 최다 달성 기록이기도 하다.[17] 2024년의 경우 본즈의 2003년보다 빼어난 수준이다.[18] 페드로 마르티네스 역시 순수 성적만 보면 밥 깁슨이나 드와이트 구든 등 겉으로 보기엔 비슷해 보이는 성적을 기록한 투수들이 없지는 않으나 이들은 전원 투고타저 시대에 기록한 성적인 반면 페드로 혼자 스테로이드 시대에 기록한 성적이라 고평가받는 것이다.[19] 3회 이상 MVP 수상자는 12명으로 500홈런 달성자보다 훨씬 적다. 그리고 이들은 금지약물 문제가 있는 배리 본즈알렉스 로드리게스, 아직 현역인 마이크 트라웃오타니 쇼헤이, 아직 은퇴 후 5년 유예 기간을 채우지 못한 알버트 푸홀스를 제외하면 모두 명예의 전당 입성에 성공했다.[20] 저지 본인이 거리에서 애런 저지에 대한 양키스 팬들의 생각을 물어보았다.[21] '애덤' 저지라고 알고 있거나, 안경을 벗어도 못 알아본다거나. 개막하고 한달 남짓 활약한 시점이었기 때문에, 그의 스탯은 꿰차고 있어도 단번에 알아보는 걸 기대하기는 아무래도 힘들었다. 초반 홈런 페이스를 유지하는 것에 회의를 보이는 팬도 보이는데, 모든 스포츠 종목이 그렇듯이 몇 주 반짝하고 사라지는 선수들은 너무 흔하기 때문이다.[22] 무려 23명의 양키스 영구결번보다도 더 희소한 숫자로, 27번 우승 역사에 영구결번 23명을 제외하고도 기라성같은 주장급 스타들이 얼마나 많았는지는 따로 설명이 필요없다.[23] 데릭 지터, 호르헤 포사다, 앤디 페티트, 마리아노 리베라의 팜 출신 프랜차이즈 스타들.[24] 새로운 코어 4는 산체스가 2021 시즌 종료 후 미네소타 트윈스로 트레이드되면서 해체되었고, 이후 세베리노와 토레스 또한 차례대로 팀을 떠나며 현재는 저지 혼자 양키스에 남아있다.[25] 유니폼 자체가 광팬 수준이 아닌 이상 여러 개를 사는 경우가 별로 없어 3년 연속 1위를 하면서 살 사람은 거의 다 샀기 때문에 판매량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뉴욕 양키스는 전통을 이유로 같은 디자인의 유니폼을 아주 오랫동안 고수하고 있는 팀이라서 매년마다 계속 똑같은 유니폼을 입고 있다는 점도 크다.[26] 이름은 존 저지. 위쪽의 사진에 저지의 형과 동생이 함께 찍힌 사진이 있다.[27] 그런 고든은 직접 저지의 유니폼을 풀로 장착하는 코스프레도 선보였었다.[28] 물론 벨트레의 2004년은 활약상과는 별개로 FA로이드라는 단어의 기원이라는 점에서 후대에 길이 기억될 것이지만, 저지의 2022년은 벨트레의 2004년과는 비교도 안 될 성적을 기록했다. 물론 저지는 출장만 하면 wRC+ 140을 넘기는 꾸준한 타격 생산성을 보여주었지만 2022년은 아예 200을 넘겨버려 차원이 다른 타격을 보여주었고, 수많은 조상님들의 이름을 소환하며 아예 현대 야구에 한 획을 그어버렸다. 심지어 저지의 팬들조차도 2022 저지를 다시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했다. 저지가 2022년 이후 양키스와 맺은 9년 360M 계약은 초대형 계약으로 불리긴 하지만 실상은 45 WAR 정도의 가치인데, 저지의 2022 시즌을 네 번만 뛰고 남은 시즌을 모조리 부상으로 빠져도 돈값을 끝마칠 정도다.[29] John이나 Sam을 Johnny이나 Sammy로 부르듯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