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6 16:50:25

호세 라미레즈

호세 라미레스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스페인의 기타 제작가}}}에 대한 내용은 [[라미레스 기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라미레스 기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라미레스 기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에 대한 내용은 [[호세 라미레즈(미식축구)]]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호세 라미레즈(미식축구)#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호세 라미레즈(미식축구)#|]]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스페인의 기타 제작가: }}}[[라미레스 기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라미레스 기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라미레스 기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호세 라미레즈(미식축구)]]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호세 라미레즈(미식축구)#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호세 라미레즈(미식축구)#|]]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385d>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385d><colcolor=#fff> 투수 16 주니스 · 26 앨런40인 · 28 바이비 · 29 헤린 · 31 헨치스IL-60 · 32 윌리엄스 · 33 개디스 · 36 스미스 · 39 라이블리IL-60 · 44 세코니 · 45 오티즈(1) · 47 민스IL-60 · 48 클라세(1) · 49 알라드 · 52 페스타 · 54 칸티요 · 59 엔라이트IL-15 · 61 켄트40인 · 62 사브로스키 · 65 니카지40인 · 66 에스피노40인 · 77 메식40인 · 91 월터스IL-60 · 92 알레먼40인 · # 크룩40인
포수 23 네일러 · 27 헤지스 · 46 누네즈40인
내야수 4 로키오 · 6 프라이IL-10 · 7 윌슨40인 · 9 맨자도 · 10 슈니먼 · 11 라미레즈 · 13 아리아스 · 63 케이퍼스 · 74 브리토40인
외야수 0 할핀 · 1 마르티네스 · 8 토마스IL-10 · 17 브레넌IL-60 · 22 존스IL-10 · 30 로드리게스 · 34 데로터 · 35 발레라 · 38 · 43 노엘
'''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보트''' 공석 파일:미국 국기.svg 칼 윌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조 토레스 · 파일:미국 국기.svg 브래드 골드버그 파일:미국 국기.svg 그랜트 핑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주니어 베탄세스 · 파일:미국 국기.svg 댄 푸엔테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샌디 알로마 주니어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러글라스 오도어 파일:미국 국기.svg 케일럽 롱쇼어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콜럼버스 클리퍼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1) 제한명단 등재 }}}}}}}}}
호세 라미레즈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7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18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2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4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5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17 2018 2021 2022
2023 2024 2025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7년 ~ 2018년 아메리칸 리그 3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조시 도널드슨
(토론토 블루제이스)
호세 라미레즈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알렉스 브레그먼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0년 아메리칸 리그 3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알렉스 브레그먼
(휴스턴 애스트로스)
호세 라미레즈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라파엘 데버스
(보스턴 레드삭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2년 아메리칸 리그 3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라파엘 데버스
(보스턴 레드삭스)
호세 라미레즈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라파엘 데버스
(보스턴 레드삭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4년 아메리칸 리그 3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라파엘 데버스
(보스턴 레드삭스)
호세 라미레즈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2025년 수상자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득점왕
무키 베츠
(보스턴 레드삭스)
호세 라미레즈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팀 앤더슨
(시카고 화이트삭스)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토론토 블루제이스)

파일:MLB 로고.svg
2020 ALL-MLB SECOND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SF | OF

ATL | OF

NYM | OF

LAD | SS

TB | 2B

CLE | 3B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아브레우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CHW | 1B ||

MIN | DH

PHI | C

NYY | SP

SD | SP

LAD | SP

MIN | SP

TOR | SP

MIL | RP

CLE | RP
}}} ||

파일:MLB 로고.svg
2023 ALL-MLB SECOND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NYY | OF

TEX | OF

HOU | OF

NYM | SS

ATL | 2B

CLE | 3B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올슨}}}
ATL | 1B ||

HOU | DH

TEX | C

TOR | SP

MIN | SP

TEX | SP

TEX | SP

BAL | SP

MIL | RP

CLE | RP
}}} ||

파일:MLB 로고.svg
2024 ALL-MLB FIRST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NYY | OF

NYY | OF

LAD | OF

KC | SS

ARI | 2B

CLE | 3B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게레로 Jr.}}}
TOR | 1B ||

LAD | DH

MIL | C

ATL | SP

DET | SP

PIT | SP

PHI | SP

BAL | SP

CLE | RP

STL | RP
}}}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62번
트레버 크로우
(2009)
<colcolor=#fff> 호세 라미레즈
(2013)
타일러 홀트
(2014)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가디언스 등번호 11번
드루 스텁스
(2013)
호세 라미레즈
(2014~)
현역
}}} ||
파일:호세 라미레즈 2025.jpg
<colbgcolor=#00385D><colcolor=#fff>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No.11
호세 라미레즈
José Ramírez
본명 호세 엔리케 라미레스
José Enrique Ramírez
출생 1992년 9월 17일 ([age(1992-09-17)]세)
페라비나 바니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도미니카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도미니카 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3cm | 86kg
포지션 3루수
투타 우투양타
프로 입단 2009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CLE)
소속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가디언스 (2013~)
토로스 델 에스테 (2012/13~2015/16)
레오네스 델 에스코히도 (2023/24)
계약 2022 - 2028 / $141,000,000[option]
연봉 2025 / $19,100,000
기록 30-30 클럽 3회 (2018, 2024, 2025)
후원사 아디다스
파일:MLB 로고.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수상 내역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6. 여담
6.1. 헬멧 카운터6.2. 팀 앤더슨과의 벤치 클리어링

1. 개요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소속 우투양타 3루수.

2. 선수 경력

호세 라미레즈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호세 라미레즈/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세 라미레즈/플레이 스타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호세 라미레즈/플레이 스타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호세 라미레즈/플레이 스타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7회 (2017, 2018, 2021~2025)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3루수 실버 슬러거 5회 (2017, 2018, 2020, 2022, 2024)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득점 1위 (2020)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도루 1위 (2024)
파일:MLB 로고.svg All-MLB 퍼스트 팀 (2024)
파일:MLB 로고.svg All-MLB 세컨드 팀 2회 (2020, 2023)

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2016 시즌 이후 거의 매 시즌마다 훌륭한 성적을 찍으면서 2025시즌까지 쌓은 누적 fWAR이 57.7, bWAR이 57.6에 도달했고, 클래식 누적도 1668안타, 285홈런 949타점 287도루 OPS 0.857까지 올렸다. 이 때문에 라미레즈의 명전 입성이 목전이다. 클리블랜드와의 충격과 공포의 염가 계약으로 원클럽맨으로 남을 의지를 보였다는 것도 긍정적 요소이다.[2]

체이스 어틀리처럼 수상 경력이 부족하고, 누적 클래식 스탯도 돋보이는 부분이 없다는 점이 아쉬운 점이었으나 꾸준한 활약으로 큰 걸림돌이라 보기 어렵고, 입성 자체는 확정적이라고 보인다. 라미레즈가 첫 턴에 명예의 전당을 목표로 한다면 누적 면에서는 WAR이 입성컷인 60은 당연히 넘겨야 하고, 클래식 스탯도 2000안타, 300홈런 이상을 찍어주며, 수상 경력을 더 늘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3]

라미레즈는 단축 시즌 제외 7년간 20-20을 달성 중인데, 2025년 시즌이 종료되고 남은 계약기간인 2028년까지 세 시즌 간 20홈런-20도루 이상을 달성한다면 메이저리그 최초의 350-350을 달성한 스위치히터가 된다. 또한 350-350은 약물 이력이 있는 본즈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달성한 적 없는 기록이기에 350-350을 달성한 최초의 청정타자가 되기도 한다. 상대적으로 누적을 중시하는 명예의 전당 특성 상, 첫 턴 입성을 확정지으려면 반드시 필요한 기록일 것이다.

2025년 시즌 종료 후, 비슷한 나이임에도 커리어 초기부터 주목받은 아레나도와 마차도의 fwar을 넘어섰다. 데뷔 초의 임팩트로 인해 명예의 전당 입성이 일찍부터 거론됐던 아레나도가 급격한 에이징 커브로 첫 턴 입성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호세 라미레즈의 꾸준한 활약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6. 여담

  • 한국 한정으로 세호라는 별명이 있다. 이름을 거꾸로 해도 그렇고, 외모도 조세호처럼 푸근한 호감상이기에 이 별명이 굳어졌고, 급기야 팀의 레전드로 남기 위해 5년 124M이라는 정신 나간 염가 계약을 맺자 세호신으로 추앙받고 있다.
  • 사실 2024년부터의 5년 124M 연장 계약 전에도 엄청난 염가 계약을 했었기에 매년 트레이드 가치 상위권을 달리는 선수였다.[4] 그러나 이후 맺은 연장 계약에 트레이드 거부권이 포함되면서, 추후 가디언스가 그에게 어지간히 큰 잘못을 저지르지 않는 이상 이적하진 않을듯하다.
  • 작은 신장의 라미레즈가 야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 데 아버지 엔리케 씨의 도움이 컸다고 한다. 어렸을 때부터 야구를 좋아하는 호세가 그의 작은 신장으로 고민할 때 아버지 엔리케 씨가 그의 꿈을 응원하였다. 따라서 호세는 아버지 엔리케 씨를 기리기 위해 플레이어스 위캔드 데이 때 아버지의 이름인 'Enriquito'[5]를 달고 경기에 임한다.
  • 2018년 9월,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는 호세 라미레즈의 동생인 호세 바에즈 라미레즈를 영입했다고 발표하였다.
  • 인터뷰는 스페인어로 한다. 하지만 팀메이트들과의 대화할 때에는 영어를 구사하는 편.[6]
  • 클리블랜드 지역 사회에 공헌하기 위해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자선재단과 돈을 합쳐 자신의 이름으로 된 경기장 'Jose Ramirez Stadium'을 완공시켰다. 200만 달러 규모.
  • 2024년 유니폼 판매량 리그 전체 17위를 기록했다.

6.1. 헬멧 카운터

파일:호라_헬멧.gif
2016년 5월 10일, 안타를 치고 2루를 달리던 중 헬멧이 벗겨졌다. 그리고 그 헬멧이 발에 맞고 날았다가 2루에 슬라이딩한 라미레즈의 등을 강타한 것! 그래서 인디언스 트위터는 한 때 그를 헬멧이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라미레즈는 워낙 풀 스윙을 하는 선수라 타격 중에 헬멧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주루 플레이도 워낙 적극적으로 하는 선수라 헬멧이 자주 떨어진다. 인디언스 팀 내에선 이미 하나의 밈으로 자리를 잡았다.

파일:호라_헬멧_ㅇ.png

인디언스 담당 디 어슬레틱 기자 잭 마이셀은 2016년부터 라미레즈의 헬멧이 떨어질 때마다 카운트를 세기 시작했다. 라미레즈의 헬멧 카운터는 다음과 같다.
라미레즈 헬멧 카운터
연도 횟수
2016 62[7]
2017 31
2018 23
2019 13

라미레즈의 헬멧 카운터를 도와주는 버블헤드도 생겼다!
파일:호라_버블헤드.jpg

6.2. 팀 앤더슨과의 벤치 클리어링

한국시간 2023년 8월 6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와의 경기에서, 6회 말 2루타를 치고 2루에 슬라이딩하던 중 팀 앤더슨과의 충돌이 일어났다. 시비가 붙자 앤더슨은 곧바로 글러브를 벗어던졌고, 서로 복싱 자세를 취했다.[8] 앤더슨이 선빵을 날리는 데는 성공했으나 라미레즈의 라이트훅 카운터에 턱을 직격당하며 그대로 쓰러진다.[9] 당연히 둘 다 퇴장당했고 출장 정지 징계를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경기 후 "앤더슨이 한동안 경기 중에 존중이 없었다(disrespecting). 앤더슨이 (베이스에서 밀어내려는 목적으로) 태그를 세게 했고[10][11], 이어 앤더슨이 먼저 싸우려고 해서 그저 방어했을 뿐"이라며 입장을 밝혔다.# 팬들의 여론도 라미레즈 쪽에 더 우호적인데, 앤더슨이 라미레즈와 달리 예전부터 다른 선수들과 마찰이 있었다는 소문이 있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글러브로 주자를 밀어내는 비매너적인 플레이가 카메라에 버젓이 찍혔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앤더슨이 먼저 싸움을 걸었는데 결국 라미레즈에게 주먹을 맞고 쓰러졌으니…

여담으로 앤더슨과 키스톤 콤비로 출전해 이 싸움을 1열에서 직관한 선수는 엘비스 앤드루스인데, 앤드루스는 오도어와 바티스타의 벤치 클리어링 때에도 유격수로 출전하며 1열에서 직관하기도 했다.

그리고 다음날 이를 기념하는 티셔츠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먼저 사과를 건냈으나 앤더슨이 씹었다고 한다.

[option] 전 구단 트레이드 거부권 포함[2] 보통 원클럽맨들은 명예의 전당 투표에서 가산점을 받는 경향이 있다.[3] 앞으로 남은 3년의 계약기간동안 평균 2.1의 fWAR, 125안타, 11홈런을 찍어주면 2000안타 300홈런 60 WAR 달성이 가능하다. 2025년 종료 시점에서는 60 WAR 도달에는 겨우 2.3이 남아 사실상 확정되었고 300홈런-300도루도 2026년, 2000안타도 부상같은 큰 변수가 없는 한 2년 내로 무난하게 달성할 것이라고 예측된다.[4] 2017 시즌 971,400$ / 2018 시즌 2,828,600$ / 2019 시즌 4,150,000$ / 2020 시즌 6,650,000$ / 2021 시즌 9,400,000$ / 2022 시즌 11,000,000$ (팀 옵션 바이아웃 2,000,000$) / 2023 시즌 13,000,000$ (팀 옵션 바이아웃 2,000,000$)[5] 스페인어에서 -ito의 어미를 붙인 것은 작다는 의미인데(예시 Señor: 선생님, Señorito: 도련님, Señorita: 아가씨) 이를 아버지 이름에 붙인 것. 엔리케 주니어와 비슷한 의미이다.[6] 빅 섹시 아재처럼 영어를 하나도 못할 줄 알았던 팬들이 놀라면서 소소한 화제가 되었다.[7] 포스트시즌 5개 포함[8] 이때 2루심이 말리다가 안 되겠다 싶어 포기했는지 뒤로 빠지는 모션을 보이는데, UFC 심판의 모션과 매우 흡사했다.[9] 가디언스의 라디오 방송 캐스터 톰 해밀턴은 라미레즈와 앤더슨이 싸우자 권투 중계를 방불케 하는 샤우팅으로 이슈가 되었다. 원래도 극적인 샤우팅과 중계 능력으로 유명하던 캐스터라 호평일색이며, 앤더슨이 쓰러질 때 DOWN GOES ANDERSON! DOWN GOES ANDERSON! 멘트는 역대급이라는 평.[10] 하루 전 경기에서는 앤더슨이 글러브로 라미레즈를 밀어서 태그아웃시키기도 했다.라미레즈는 이전부터 이런 태깅을 여러번 했던 앤더슨이 맘에 안들었고 언제한번 말을 하려고 했었다고 했다.그게 이 경기에서 제대로 터진 것.[11] 2루에서 히메네즈의 손가락의 밀어 아웃시킨 적도 있는 걸로 보아, 그게 습관인듯 하다. 경기 전에 라미레즈가 말할 기회가 생겨서 우리 다 먹고 살자는 건데 그런 식으로는 하지 말아달라고 얘기했으나, 또 그런 일을 벌이자 화가 났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