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3 00:43:00

후안 소토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후안 소토의 2025 시즌}}}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후안 소토/선수 경력/2025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후안 소토/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후안 소토/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후안 소토의 2025 시즌: }}}{{{#!if 같은문서1 == null
[[후안 소토/선수 경력/2025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후안 소토/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후안 소토/선수 경력/2025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2d72>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2d72><colcolor=#fff> 투수 <colcolor=#ff5910,#ff5910> 21 · 23 피터슨 · 25 레일리 · 26 매클레인 · 32 크라닉IL-60 · 33 민터IL-60 · 34 센가40인 · 35 홈즈 · 38 메길IL-60 · 39 디아즈 · 40 스프로트 · 43 브라소반 · 44 워렌40인 · 45 스캇IL-60 · 46 캐닝IL-60 · 47 몬타스IL-60 · 50 로스 · 51 헤이근먼40인 · 55 스태닉 · 56 헬슬리 · 59 머나야 · 62 스미스IL-60 · 65 G.소토 · 71 로저스 · 72 누녜스IL-60 · 75 개럿IL-15 · 81 D.영IL-60 · 82 와델40인 · 84 카리요40인 · 91 핀타로40인
포수 4 알바레스 · 13 토렌스 · 30 센거40인
내야수 1 맥닐 · 2 아쿠냐 · 7 베이티IL-10 · 10 마우리시오 · 11 마드리갈IL-60 · 12 린도어 · 20 알론소 · 27 비엔토스 · 29 J.영
외야수 3 윈커IL-60 · 6 마르테 · 9 니모 · 15 테일러 · 22 J.소토 · 28 멀린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카를로스 멘도사 공석 공석 파일:미국 국기.svg 데시 드루셸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로사도
공석 파일:바하마 국기.svg 안토안 리차드슨 · 공석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시라큐스 메츠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뉴욕 메츠 등번호 22번
브렛 베이티
(2022~2024)
후안 소토
(2025~)
현역
<nopad> 파일:후안 소토 2025.jpg
<colbgcolor=#002D72><colcolor=#FFFFFF> 뉴욕 메츠 No.22
후안 소토
Juan Soto
본명 후안 호세 소토 파체코
Juan José Soto Pacheco
출생 1998년 10월 25일 ([age(1998-10-25)]세)
산토도밍고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도미니카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도미니카 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5cm | 102kg | 다른손잡이[A]
포지션 우익수[2]
투타 좌투좌타[A]
프로 입단 2015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WSH)
소속팀 워싱턴 내셔널스 (2018~2022)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22~2023)
뉴욕 양키스 (2024)

뉴욕 메츠 (2025~)
계약 2025 - 2039[4] / $765,000,000[option][6][7]
연봉 2025 / $46,875,000
등장곡 Bad Bunny - EoO
기록 30-30 클럽 (2025)
종교 개신교
후원사 언더아머
에이전트 보라스 코퍼레이션
파일:MLB 로고.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수상 내역5. 통산 2,000볼넷 가능성6.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7. 여담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1. 개요


뉴욕 메츠 소속 우익수.[8]

2. 선수 경력

후안 소토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후안 소토/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2 WSH 22 SD 2023년 2024년 2025년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2023년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후안 소토/플레이 스타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후안 소토/플레이 스타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후안 소토/플레이 스타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2019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월드 시리즈 우승 (2019)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4회 (2021~2024)
파일:MLB 로고.svg 베이브 루스 상 (2019)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외야수 실버 슬러거 4회 (2020~202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실버 슬러거 (2024)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토니 그윈 상 (2020)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득점 1위 (2024)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도루 1위 (2025)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출루율 1위 3회 (2020, 2021,2025)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장타율 1위 (2020)
파일:MLB 로고.svg All-MLB 퍼스트 팀 3회 (2020, 2021, 2024)
파일:MLB 로고.svg All-MLB 세컨드 팀 (2019)

5. 통산 2,000볼넷 가능성

만 20세가 되기도 전에 데뷔[9]한 소토는 어린 나이부터 뛰어난 타격 페이스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 뛰어난 누적 성적을 쌓을 것으로 전망되는 중이다.

특히나 소토의 타격 툴에서 제일 압도적인 평가를 받는 선구안의 관점에서 봤을 때 통산 2,000 볼넷을 달성할 수 있을까 논하기는 이른 건 사실이지만 2025년을 기준으로 통산 8시즌 동안 896볼넷[10]을 기록할 정도로 소토는 압도적인 볼넷 생산 페이스를 보여주고 있다.[11]

아직 먼 미래의 일을 논하는 거지만, 지금 시점으로 현역 선수 중 통산 2,000 볼넷에 도전할 수 있을까 가능성이라도 논할 수 있는 선수는 소토가 유일하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만큼 소토의 선구안 및 볼넷 생산 능력은 고무적이다.

역대 정규시즌 통산 2,000 볼넷을 기록한 선수는 배리 본즈(2,558볼넷)-리키 헨더슨(2,190볼넷)-베이브 루스(2,062볼넷)-테드 윌리엄스(2,021볼넷)으로 4명 밖에 안된다. 이들 중 약물 복용자인 본즈를 뺀 나머지 셋은 명예의 전당 투표에서 첫 턴에 입성했다. 세이버매트릭스가 출루율을 중시한다는 점은 이미 알려져 있고, 소토는 그러한 점에 있어서는 정상급의 타자이기에 세이버매트릭스적으로도 더욱 훌륭한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며 하술하듯 명예의 전당 입성 가능성도 더욱 커질 것이다.

현재 선구안이 좋아지고, 타격은 메이저 리그 전체 탑급을 달리는 경악스러운 모습을 보여주면서, 볼넷 획득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금 소토의 선구안은 과장 좀 보태서 메이저 리그의 어지간한 심판들[12]을 아득히 넘어선 수준으로, 중계화면 기준으로 봐야 겨우 살짝 빠진 공이 스트라이크 콜을 받으면 여지 없이 고개를 절레절레 흔드는 수준이다. 타석에 서있으면서도 중계 화면급 정확도를 갖춘 표준 크기의 스트라이크 존이 머리 속에 정확히 들어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6.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만 26세인 뉴욕 메츠와의 계약 시점에서도 이미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가 진지하게 논의되는 선수로 여겨진다. 누적 시즌 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입성 확정을 논하기에는 이르지만, 스무 살이라는 어린 나이부터 매우 꾸준히 리그 최고 수준의 타격 성적을 보여주었기에 여러 언론에서는 소토의 현재까지의 커리어가 명예의 전당 입성자들, 그 중에서도 상위권인 소위 '이너 서클' 입성자들과 견줄 정도라고 분석하고 있다.[13]

메츠와의 계약 전까지 7시즌 동안 bWAR 36.4, fWAR 36.3, 통산 wRC+ 158, 통산 OPS+ 160을 기록했다. 겨우 26세 나이에 입성 라인으로 여겨지는 WAR 60의 절반을 훨씬 넘게 돌파하여 40에 근접하고 있으며, 15년이나 되는 장기계약을 맺었기 때문에 연평균 2 WAR만 달성해도 명예의 전당 안정권이 된다. 야구선수의 전성기로 여겨지는 20대 후반~30대 초반 시즌들이 2024 시즌 종료 시점에서 아직 한참 남아 있기 때문에 이때까지만 페이스를 유지하더라도 말년 성적과 전혀 상관없이 명예의 전당급 누적 WAR를 달성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하자면 알버트 푸홀스급으로 극적으로 추락하지 않는 한 명예의 전당에 입성할 수 있는 누적 성적을 달성할 것이라는 얘기다.[14]

현대 야구의 선수라는 것도 입성에 유리하다. 3할 타율을 두 번만 쳐봤을 정도로 위상에 비해 타율이 낮고 장타력도 매우 훌륭하긴 하지만 명예의 전당 상위권 거포 선수들급은 아니다.지안카를로 스탠튼처럼 홈런 생산 능력이 인상적인건 아니기 때문. 즉 옛날에 투표했으면 상당히 저평가받았을 유형. 출루율 혁명으로 대변되는 OPS 히터의 시대에 소토는 그야말로 자신이 고평가받기 완벽한 시기에 태어난 선수라 보아도 무방하다.

수상 실적의 경우 2024년까지 월드 시리즈 1회 우승, 올스타 4회, 실버 슬러거 5회를 기록했다. 현재 시점에서는 메이저 리그 MVP 수상이 전무하기 때문에 명예의 전당 입성 안정권이라고 하기엔 아쉬운 수상 실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까지 MVP 최종 후보 3인에 2차례 노미네이트되긴 했으나 브라이스 하퍼, 애런 저지 에게 밀리며 끝내 수상이라는 방점을 찍지는 못했다. 결국 메츠에서 1번 정도는 리그 MVP를 따내야 입성을 안정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다.

7. 여담

  • 2024년 12월, 15년 총액 7억 6천 5백만 달러의 계약을 성사시키며 단 1년 만에 스포츠 역사상 총액 기준 역대 최고액 계약을 경신했다. 또한, 2029 시즌 종료 후에는 옵트아웃도 실행 가능하고, 만약 남은 계약 기간 동안의 AAV를 구단 측에서 4백만 달러 인상할 경우 옵트아웃이 무효화되며 이 경우 총액은 8억 5백만 달러로 늘어난다. 심지어 디퍼 계약도 아니라서 연봉을 100% 그대로 받는다. 1년 전 최고 계약자였던 오타니 쇼헤이의 10년 총액 7억 달러가 디퍼 계약이라 계약 체결 후 10년이나 지나서 연봉을 매년 무이자로 분할 지급 받기에 물가와 화폐 가치를 생각하면 실질적인 금액 차이는 더 크게 벌어진다. 실제로 물가와 화폐 가치를 고려하면 오타니 쇼헤이의 계약 총액은 3~4억 달러 수준으로 떨어진다는 분석도 있다.
  • 별명은 차일디시 밤비노(Childish Bambino)이며, 도널드 글로버가 뮤지션 활동을 할 때 사용하는 예명인 차일디시 감비노에 베이브 루스의 별명인 밤비노를 합친 것이다. 차일디시가 아이같은 또는 유치한이라는 뜻이 있어 마냥 긍정적인 단어는 아니지만, 소토에게 이런 별명을 쓴 것은 앞서 말했듯 차일디시 감비노라는 예명을 이용해 매우 어린 나이부터 대활약한 소토의 커리어를 나타내는 것이다.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시절 동료였던 김하성보다 세 살이나 어린 것이 전혀 믿기지 않을 정도의 노안이다. # 그리고 알버트 푸홀스처럼 나이에 비해 실력이 매우 뛰어났기에, 메이저리그에 데뷔하고 나서 나이 위조 논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
  • 역대급으로 평가받는 타격 재능 못지않게 타격폼까지 멋지다는 평이 많은데, 특히 스윙 폼이 아름답다는 의견이 많다. 제프 배그웰만큼은 아니지만 다리를 넓게 벌리고 자세를 낮게 잡는 반 기마자세 타법인데, 이렇게 하체에 힘을 많이 쓰는 타격폼 때문인지 하술할 기묘한 모션이 나오는 것이다.
  • 타격에 들어설 때 취하는 모션들이 굉장히 독특하고 다양하며, 일명 소토 셔플이라고 불린다. 스윙 없이 콜이 나오면 인터벌 때 바로 스파이더맨처럼 허벅지와 골반의 긴장을 풀어주는 듯한 기묘한 리듬으로 흐느적거리는 스텝을 밟는데 원래도 넓게 벌린 자세다보니 옆에서 보면 무슨 바닷속 연체동물이 기어가는 듯한 움직임을 보인다. 거기에 단순히 하체만 움직이는 게 아니라 가랑이를 잡은 후 어깨를 들썩인 다음 이빨을 보이면서[15] 아주 강렬한 표정을 짓는다. 이 움직임은 선수 본인의 습관도 있겠지만[16], 목적은 투수에게 신경전을 거는데 있으며 당연하겠지만 소토 본인도 이를 알고 있고 즐긴다. 소토 자체로도 이미 부담이 큰 상대인데 거기다 볼이 나오면 저런 식으로 도발까지 하니 투수 입장에서는 신경이 거슬릴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소토에게 항의나 욕을 한 투수들도 있다. 떡대와 근육질 팔다리에 전혀 안 어울려 보이는 이 타격 모션과 관련된 영상이 메이저 리그 공식 유튜브를 포함해 꽤 많은 곳에 올라와 있다.[참고] 이제는 어린이들도 따라하고 있다. #
  • 동생인 엘리안 소토(Elian Soto)는 2006년생으로, 형처럼 야구를 하고 있으며 2023년 워싱턴 내셔널스에 입단했다. 그러나 형과는 재능의 차이가 심한 것인지, 형이 1년만에 루키 리그를 박살내고, 2년차에 싱글A, 3년차에는 한 시즌만에 더블A까지 승격하는 폼을 보였지만, 엘리안 소토는 2년 동안 1할대 타율을 기록하는 중이다. 하지만 선구안만큼은 형에게도 안 밀리는지 출루율은 4할에 근접하는 눈야구를 구사중이다.
  • 세레머니가 화끈하다.
  • 팬서비스가 좋은 편이다. 외야에서 훈련할 때는 물론 외야석 팬들에게 공을 자주 선물해준다.
  • 양키스 시절, 홈런을 기록할 시 애런 저지와 핸드 셰이크 세레머니를 했었다. 반대로 저지가 홈런을 기록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 나이 어린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 선수치곤 영어를 상당히 잘한다. 영어 잘하는 것으로 유명한 국대 동료 매니 마차도는 플로리다에서 태어나서 자랐지만, 소토는 그렇지도 않으나 영어가 능숙하다. 다만 히스패닉 특유의 악센트는 있는 편이다.
  • 하늘을 두 손가락으로 가리킨 후 박수를 두 번 치는 시그니처 세레모니가 있다.
  • 2024년 유니폼 판매량 리그 전체 6위를 기록했다.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후안 소토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WSH_2019_WSChampion.png
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2019

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2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4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21 2022 2023 2024

파일:MLB 로고.svg 2019년 메이저 리그 베이브 루스 상
데이비드 프라이스
(보스턴 레드삭스)
후안 소토 &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워싱턴 내셔널스)
랜디 아로자레나
(탬파베이 레이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0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코디 벨린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크리스티안 옐리치
(밀워키 브루어스)
후안 소토
(워싱턴 내셔널스)

무키 베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후안 소토
(워싱턴 내셔널스)
브라이스 하퍼
(필라델피아 필리스)
닉 카스테야노스
(신시내티 레즈)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1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후안 소토
(워싱턴 내셔널스)
무키 베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후안 소토
(워싱턴 내셔널스)

브라이스 하퍼
(필라델피아 필리스)
닉 카스테야노스
(신시내티 레즈)
후안 소토
(워싱턴 내셔널스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카일 슈와버
(필라델피아 필리스)
무키 베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후안 소토
(워싱턴 내셔널스)
브라이스 하퍼
(필라델피아 필리스)
닉 카스테야노스
(신시내티 레즈)
후안 소토
(워싱턴 내셔널스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카일 슈와버
(필라델피아 필리스)
무키 베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후안 소토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무키 베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후안 소토
(워싱턴 내셔널스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카일 슈와버
(필라델피아 필리스)
무키 베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후안 소토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무키 베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잭슨 메릴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주릭슨 프로파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훌리오 로드리게스
(시애틀 매리너스)
카일 터커
(휴스턴 애스트로스)
루이스 로버트 주니어
(시카고 화이트삭스)
후안 소토
(뉴욕 양키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앤서니 산탄데르
(볼티모어 오리올스)
2025년 수상자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0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타격왕
크리스티안 옐리치
(밀워키 브루어스)
후안 소토
(워싱턴 내셔널스)
트레이 터너
(워싱턴 내셔널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득점왕
마커스 시미언
(텍사스 레인저스)
후안 소토
(뉴욕 양키스)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5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도루왕
엘리 데 라 크루즈
(신시내티 레즈)
후안 소토
(뉴욕 메츠)

오닐 크루즈
(피츠버그 파이리츠)
2026년 수상자

파일:MLB 로고.svg
2019 ALL-MLB SECOND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SH | OF

ATL | OF

BOS | OF

OAK | SS

HOU | 2B

HOU | 3B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프리먼}}}
ATL | 1B ||

HOU | DH

MIL | C

ARI/HOU | SP

LAD | SP

STL | SP

TB | SP

ATL | SP

NYY | RP

OAK | RP
}}} ||

파일:MLB 로고.svg
2020 ALL-MLB FIRST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SH | OF

LAA | OF

LAD | OF

SD | SS

NYY | 2B

SD | 3B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프리먼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ATL | 1B ||

ATL | DH

KC | C

CIN | SP

CLE | SP

CHC | SP

NYM | SP

ATL | SP

TB | RP

OAK | RP
}}} ||

파일:MLB 로고.svg
2021 ALL-MLB FIRST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SH | OF

NYY | OF

PHI | OF

SD | SS

TOR | 2B

ATL | 3B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게레로 Jr. }}}
TOR | 1B ||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오타니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LAA | DH ||
페레즈

KC | C || || ||

WSH/LAD | SP

MIL | SP

LAD | SP

TOR | SP

NYY | SP

MIL | RP

CHW | RP
}}} ||

파일:MLB 로고.svg
2024 ALL-MLB FIRST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NYY | OF

NYY | OF

LAD | OF

KC | SS

ARI | 2B

CLE | 3B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게레로 Jr.}}}
TOR | 1B ||

LAD | DH

MIL | C

ATL | SP

DET | SP

PIT | SP

PHI | SP

BAL | SP

CLE | RP

STL | RP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1840> 파일:MLB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
역대 홈런더비 우승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5 1987 1988
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1972~1992).png
데이브 파커
파일:캘리포니아 에인절스 엠블럼(1986~1992).svg
월리 조이너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대럴 스트로베리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안드레 도슨
우천 취소
1990 1991 1987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1984~1993).png
루벤 시에라
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1972~1992).png
에릭 데이비스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라인 샌드버그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1989~1991).png
칼 립켄 주니어
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엠블럼(1982~1992).png
마크 맥과이어
1993 1994 1995 1996 1997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1984~1993).png
후안 곤잘레스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켄 그리피 주니어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
프랭크 토머스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엠블럼(1994~1999).png
배리 본즈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티노 마르티네스
1998 1999 2000 2001 2002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켄 그리피 주니어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새미 소사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1998~2006).svg
루이스 곤잘레스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제이슨 지암비
2003 2004 2005 2006 2007
파일:애너하임 에인절스 엠블럼(2002~2004).svg
개럿 앤더슨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1999~2008).svg
미겔 테하다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1992~2018).svg
바비 아브레우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1992~2018).svg
라이언 하워드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블라디미르 게레로
2008 2009 2010 2011 2012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1987~2009).svg
저스틴 모노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2000~2017).svg
프린스 필더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엠블럼.svg
데이비드 오티즈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로빈슨 카노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2006~2015).svg
프린스 필더
2013 2014 2015 2016 2017
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엠블럼(1993~2024).svg
요에니스 세스페데스
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svg
토드 프레이저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엠블럼(2012~2016).svg
지안카를로 스탠튼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애런 저지
2018 2019 2020 2021 2022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엠블럼.svg
브라이스 하퍼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피트 알론소
코로나바이러스-19 단축시즌
올스타전 취소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피트 알론소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엠블럼.svg
후안 소토
2023 2024 2025 2026 2027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엠블럼.svg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칼 랄리
}}}}}}}}}

파일:MLB 로고.svg 역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최고액 계약자
오타니 쇼헤이
(2024년 10/$700,000,000)
후안 소토
(2025년 15/$765,000,000)
역대 최고액

워싱턴 내셔널스 등번호 22번
A.J. 콜
(2016~2018)
<colcolor=#fff> 후안 소토
(2018~2022)
도미닉 스미스
(2023)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22번
닉 마르티네스
(2022)
후안 소토
(2022~2023)
그레이엄 폴리
(2024)
뉴욕 양키스 등번호 22번
해리슨 베이더
(2022~2023)
후안 소토
(2024)
벤 라이스
(2025~)
}}} ||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5년 6월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후안 소토
(뉴욕 메츠)
카일 스타워스
(마이애미 말린스)

[A] 태생은 오른손잡이이나 아버지의 영향으로 야구만 왼손으로 하게 되었다.[2] 워싱턴 시절 2018~2020 시즌과 샌디에이고 시절 2023 시즌엔 좌익수로 나왔다.[A] [4] 15년, 메이저 리그 역사상 최장 계약 기간.[option] 2029 시즌 종료 후 옵트아웃 실행 가능 | 전 구단 트레이드 거부권 포함[6] 남은 계약 기간 동안의 AAV를 구단 측에서 $4,000,000 인상할 경우 옵트아웃이 무효화되며 이 경우 총액은 $805,000,000로 늘어난다.[7] 전 세계 스포츠 역사상 총액 기준 역대 최고액 계약이다.[8] 주 포지션은 우익수이나 좌익수로도 뛸 수 있다.[9] 1998년생 소토는 2018년에 데뷔했지만 생일이 지나기 전이었다.[10] 단축시즌의 여파로 47경기 밖에 뛰지 않았던 2020년을 제외하면, 7시즌 동안 평균 121볼넷을 기록했다.[11] 2010년대 최고의 출루 달인이었던 조이 보토는 17년 동안 1,365볼넷을 기록했다.[12] 특히 심판들 중에서 앙헬 에르난데스 같이 오심이 잦은 심판들은 선구안에서 소토와 비교가 안 된다는 평가를 받는다. 사실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별하는 것이 본래 업무인 심판이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별한 것을 토대로 공을 치는 것이 본래 업무인 타자와 선구안이 비교된다는 것 자체가 엄청난 수치이다.[13] CBS Sports #1 팬그래프 #2 SI #3[14] 단 푸홀스는 30대를 넘긴 뒤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 계약하고 말아먹기 시작한 것이라 얘기가 다르다.[15] 주로 투수를 노려본다.[16] 참고로 이건 메이저 리그 데뷔 전에도 해오던 것이라고 한다.[참고] https://youtu.be/i7b9JzZHz00[18] 참고로 소토와 케빈 롱 타격코치는 각각 트레이 터너와 맥스 슈어저의 워싱턴 내셔널스 시절 유니폼을 입고 응원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