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국가장법 제1조(목적) 이 법은 국가 또는 사회에 현저한 공훈을 남겨 국민의 추앙을 받는 사람이 서거(逝去)한 경우에 그 장례를 경건하고 엄숙하게 집행함으로써 국민 통합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국가장법 전문 |
과거에 국장과 국민장이 분리되어있었으나 이를 2011년경 통합하면서 국가장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2. 현행 제도
대상자는, 전현직 대통령과 대통령 당선인 그리고 국가 또는 사회에 현저한 공훈을 남겨 국민의 추앙을 받는 사람이다(제2조). 이전의 규정에 대통령 당선인이 추가되었다. 단 전직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의거한 예우 대상에서 제외된 대통령(전두환, 노태우[1], 이명박, 박근혜, 윤석열)은 국가장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지 않겠느냐는 의심을 할 수도 있겠지만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도, 국가장법에도 이와 관련해서 명문화된 조항이 없으므로 위 전직 대통령 네 명은 추후 국회 등에서 관련법을 개정하지 않는 이상 공과가 뚜렷하고 공이 더 큰 경우 국가장에 따른 장례식을 거행할 수 있다. 다만 현충원 안장은 불가능하다.[2] 단, 전두환은 국가장 대상이 아니라고 못박았으며, 유족들도 이를 감안하여 가족장으로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장례 기간은 5일 이내를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연장할 수는 있다(제4조 제3항).
- 장례 비용은 국가의 전액 부담을 원칙으로 하되, 다음의 비용은 제외한다(제5조, 영 제6조).
- 조문객의 식사 비용
- 노제(路祭) 비용
- 삼우제(三虞祭) 비용
- 사십구일재(四十九日齋) 비용
- 국립현충원이 아닌 묘지 설치를 위한 토지 구입 및 조성 비용
- 자연장(自然葬)을 위한 비용
- 봉안시설 설치를 위한 토지 구입 및 조성 비용
- 위의 것들에 대한 비용에 준하는 비용
- 조기(弔旗)는 국가장 기간 내내 게양된다(제6조).
- 영결식 당일 관공서 휴무 규정(의무적 공휴일 지정)은 폐지.[3]
또한 국가장 행사에서 영정 사진과 훈장을 들고 있는 의장병의 경우 유일하게 구스스텝을 볼 수 있다.
여담이지만 모든 전직 대통령들의 장례가 국장, 국민장 또는 현재의 국가장으로 치러진 것은 아니다. 이승만과 윤보선, 전두환의 경우 가족장으로 치렀다. 요즘에는 대통령을 제외한 다른 정치인, 영부인이 사망할 경우 가족장이나 사회장으로 치르는 경우가 많으며 국가장으로 치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2.1. 시행 사례
3. 과거의 제도: 국장 및 국민장
과거에는 이러한 장의가 국장·국민장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바에 따라 국장과 국민장 두 가지로 나뉘어 있었다. 국장과 국민장의 차이로는 기본적인 격식에서는 국장이 더 높고, 국장 비용은 전액 국고 부담, 국민장은 일부 국고 보조[6]가 원칙이다. 또 국장은 9일 이내, 국민장은 7일 이내로 치르며, 국장의 경우 장례 기간 내내 조기를 게양하고 영결식 당일 관공서가 휴무한다. 국민장은 영결식 당일만 조기를 게양하는 것이 원칙이며 관공서는 정상 업무를 한다.하지만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과 김대중 전 대통령의 국장을 연달아 치르면서 기존의 규정이 장례 비용의 지원 범위와 장례위원회 구성과 관련해 많은 제도적 미비점을 표출했으며, 특히 국장과 국민장 중 어느 것으로 결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백한 기준이 없다 보니, 사망한 사람의 업적을 평가해 서열화하는 모양새가 되어버려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였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를 치를 당시 유족과 민주당 인사 및 측근들은 고인의 민주화 운동 및 남북화합 등의 업적 등을 고려하여 국장으로 치룰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이 전직 대통령 사망 시 국장을 치른 전례가 없다고 반대했다.[7] 그리고 청와대와 당시 여당은 국장을 치르는 데 부정적이었다. 특히 국가정보원 같은 기관에서는 부정적인 보고가 많았다. 이 문제는 당시 대통령이었던 이명박이 전격적으로 국장으로 치를 것을 결정하여 해결되었다.
다만 장례 기간을 9일이 아닌 6일로 정하였다. 6일장으로 하면 일요일(8월 23일)에 영결식을 거행할 수 있어 따로 임시공휴일을 지정할 필요 없었는 데다가, 유족들도 그렇게 오래 치를 필요는 없다고 양해하였다.#. 결론적으로는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해 최규하(2006년 10월 22일 사망)와 노무현, 두 전직 대통령보다 한 단계 높은 격을 적용한 셈이 되었으나 논란은 여전했다. 당시 야권 시민 측에서는 장례 관습상 장례일을 짝수로 치루는 일이 없는데다가 반쪽짜리 국장이라면서 이럴거면 뭐하러 국장을 하냐고 비판을 했고, 반대로 보수권에서는 현직 대통령 사망도 아닌데 무슨 국장까지 하냐면서 역시 비판했다. 게다가 당시 김대중 대통령의 국장은 다분히 정치적인 의도가 강했다[8]. 국민을 화합하겠다고 국장을 했는데, 오히려 국론을 분열시킨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이렇듯 앞으로 전직 대통령들이 사망하여 장례가 치러질 경우 고인에 대한 평가에 따라 장례식의 형식이 바뀔 수 있어 사회적 갈등이 반복될 여지가 큰 것이 근본적인 문제로 부각되었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전직 대통령 중 어떤 분은 국민장으로, 어떤 분은 국장으로 해서 논란이 된다면 국민화합에 좋지 않다. 원칙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한 것을 전하기도 했다.#
결국 정부는 갈등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2011년, 국장·국민장에 관한 법률을 전부 개정하여 법명을 국가장법으로 바꾸면서 국장과 국민장을 국가장으로 통합하였다.#
3.1. 시행 사례
3.1.1. 국장(국가 명의)
3.1.2. 국민장(국민 전체 명의)
- 김구(1949.7.5.):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18-20대 주석
- 영결식장: 서울운동장
- 장지: 효창공원
- 국민장이 등장한 계기가 되는 장례였다. 당시 이승만 정부에서 국장을 제안했으나 김구 지지자들은 백범 김구 암살 사건의 배후가 이승만 대통령이라고 생각해 지들이 죽여놓고 뻔뻔하게 국장은 무슨 놈의 국장!이라고 하면서 민족장을 주장했다. 결국 김규식의 중재로 국민장이라는 이름으로 타협하였고 이것이 국민장의 시초가 되었다.
- 이시영 (1953.4.24.): 초대 부통령
- 김성수 (1955.2.24.): 대한민국 제2대 부통령
- 신익희 (1956.5.23.):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장, 3대 대선 민주당 후보
- 영결식장: 서울운동장
- 장지: 북한산 순국선열 묘역
- 조병옥 (1960.2.25): 대한민국 제5대 내무부장관, 4대 대선 민주당 후보
- 영결식장: 서울운동장
- 장지: 북한산 순국선열 묘역
- 이준 (1963.9.30.): 애국지사, 헤이그 특사로 활약
- 영결식장: 서울운동장
- 장지: 북한산 순국선열 묘역
- 실제 서거 시점과 국민장 시점 간의 차이가 가장 컸던 사례.[13]
- 함태영 (1964.10.30.): 대한민국 제3대 부통령[14]
- 장면 (1966.6.10.): 대한민국 제4대 부통령, 대한민국 제2·7대 국무총리[15]
- 영결식장: 서울운동장
- 장지: 천주교 혜화동 성당 포천묘원
- 장택상 (1969.8.7.): 대한민국 제3대 국무총리
- 영결식장: 서울시청 앞 광장
- 장지: 국립서울현충원
- 이범석 (1972.5.17.): 초대 국무총리 겸 국방부장관
- 영결식장: 서울 남산 야외음악당
- 장지: 국립서울현충원
- 육영수 (1974.8.19.): 박정희 전 대통령 영부인
- 순국외교사절 합동 국민장[17] (1983.10.13.): 서석준 전 부총리 외 16명[18]
- 최규하 (2006.10.26.): 대한민국 제10대 대통령
- 노무현 (2009.5.29.):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4. 한국 외 나라의 사례
이곳에서 세계 각국의 수많은 사례들을 볼 수 있다.#4.1. 바티칸 시국
- 요한 바오로 2세(1920.5.18 ~ 2005.4.2)
- 베네딕토 16세(1927.4.16 ~ 2022.12.31)
- 영결식장 :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
- 장지 : 성 베드로 대성당
- 프란치스코(1936.12.17 ~ 2025.04.21)
- 영결식장 :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
- 장지 :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바티칸 시국의 국가장으로 거행되었으나, 이전 교황들의 장례식에 비해 덜 화려했고 소박했다.
4.2. 남아프리카공화국
- 헨드릭 페르부르트(1966.9.6. 남아프리카 공화국 제6대 총리)
- 영결식장: 프리토리아
- 장지: 히어로즈 에이커 묘지
- 넬슨 만델라(2013.12.5. 남아프리카공화국 제8대 대통령)
- 영결식장: 요하네스버그 FNB 경기장
- 장지: 쿠누
4.3. 대만
- 쑨원(1925.3.31. 중국국민당 총리)
- 영결식장: 광둥성 광저우시
- 장지: 중산릉
- 탄옌카이(1930.9.22. 국민정부 초대 주석)
- 영결식장: 난징특별시
- 장지: 중산릉
- 린썬(1943.5.12. 국민정부 제3대 주석)
- 영결식장: 쓰촨성 충칭시
- 장지: 가락산림원
- 장제스(1975.4.16. 중화민국 1~5대 총통)
- 영결식장: 국부기념관
- 장지: 타오위안 츠후
- 장징궈(1988.1.30. 중화민국 6~7대 총통)
- 영결식장: 국부기념관
- 장지: 타오위안 다시
- 등려군(1995.5.28. 가수)
- 영결식장: 타이베이
- 장지: 타이베이 동북
- 리덩후이(2020.9.19. 중화민국 7~9대 총통)
- 영결식장: 타이베이 빈관
- 장지: 신베이 우즈산 군인묘지
4.4. 러시아
- 보리스 옐친(2007.4.23. 러시아 초대 대통령)
- 영결식장: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
- 장지: 노보데비치 수도원
4.5. 미국
- 존 F. 케네디(1963.11.22. 미국 제35대 대통령)
- 로널드 레이건(2004.6.5. 미국 제40대 대통령)
- 영결식장: 워싱턴 국립 대성당
- 장지: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도서관
- 조지 H. W. 부시(2018.11.30. 미국 제41대 대통령)
- 영결식장: 워싱턴 국립 대성당
- 장지: 텍사스 칼리지스테이션 조지 H. W. 부시 대통령 도서관
- 지미 카터(2024.12.29. 미국 제39대 대통령)
- 영결식장: 워싱턴 국립 대성당
- 장지: 조지아 플레인스
4.6. 베트남
- 호찌민(1969.9.4. 베트남 초대 주석)
- 영결식장: 하노이
- 장지: 호찌민 주석릉
- 쩐다이꽝(2018.9.21. 베트남 제9대 주석)
- 영결식장: 하노이 국립 장례식장
- 장지: 닌빈성
- 응우옌푸쫑(2024.7.19. 베트남 제10대 주석)
- 영결식장: 하노이 국립 장례식장
- 장지: 마이딕 묘지
4.7. 북한
- 김책(1951.1.31. 북한 내각부수상)
- 영결식장: 평양
- 장지: 대성산혁명렬사릉
- 허헌(1951.11.4. 북한 최고인민회의 의장)
- 영결식장: 평양
- 장지: 애국렬사릉
- 안재홍(1965.3.1. 미군정 민정장관)
- 영결식장: 평양
- 장지: 재북인사릉
- 박열(1974.1.17. 독립운동가)
- 영결식장: 평양
- 장지: 평화통일촉진협의회 특설묘지
4.7.1. 김일성 시대
- 1950년 6월: 홍남표.
- 1951년 2월: 김책.
- 1951년 8월: 허헌.
- 1958년 11월: 류경수
- 1959년 5월: 김창준.
- 1960년 4월: 박달
- 1962년 9월: 김경석: 평양시 당위원장 재임 중 병사.
- 1963년 5월: 강진건
- 1965년 3월: 안재홍
- 1965년 8월: 강영창: 과학원장 재임 중 병사.
- 1965년 9월: 김은순
- 1965년 12월: 서채순
- 1967년 3월: 리봉수
- 1968년 3월: 홍명희
- 1969년 1월: 김갑순
- 1969년 3월: 김태근
- 1969년 8월: 리주연: 부수상 재임 중 병사.
- 1970년 8월: 김원빈: 수산상, 재임 중 급사.
- 1971년 10월: 박문규
- 1972년 12월: 리경석
- 1973년 1월: 정준택
- 1974년 2월: 장길부
- 1976년 3월: 남일
- 1976년 5월: 홍원길
- 1976년 9월: 최용건
- 1977년 2월: 지병학
- 1978년 9월: 한익수
- 1980년 1월: 로태석: 부총리 겸 국가계획위원장, 재임 중 교통사고로 사망.
- 1982년 3월: 전창철
- 1982년 4월: 최현
- 1983년 1월: 강량욱
- 1983년 9월: 김일대
- 1984년 3월: 김일
- 1984년 4월: 오백룡
- 1984년 11월: 김만금
- 1986년 4월: 김좌혁
- 1987년 8월: 박영순
- 1987년 8월: 리진수: 보위부장 재임 중 급사.
- 1988년 4월: 림춘추
- 1989년 11월: 최덕신
- 1991년 5월: 허담
- 1991년 6월: 허정숙
- 1992년 3월: 현무광
- 1992년 7월: 홍기문
- 1992년 7월: 방학세
- 1992년 9월: 서철
- 1993년 1월: 리계백
4.7.2. 김정일 시대
- 1994년 7월: 강희원
- 1995년 2월: 오진우
- 1995년 7월: 김봉률
- 1996년 2월: 리승기
- 1996년 9월: 려연구
- 1997년 2월: 최광
- 1997년 2월: 김광진
- 1998년 12월: 전문섭
- 1999년 7월: 김병식
- 1999년 9월: 리종옥
- 2005년 10월: 연형묵
- 2008년 10월: 박성철
- 2009년 4월: 홍성남
- 2010년 4월: 김중린
- 2010년 11월: 조명록
- 2011년 1월: 박정순
4.7.3. 김정은 시대
- 2013년 12월: 김국태
- 2014년 7월: 전병호
- 2015년 11월: 리을설
- 2015년 12월: 김양건
- 2016년 5월: 강석주
- 2016년 11월: 류미영
- 2018년 8월: 김영춘
- 2018년 12월: 김철만
- 2020년 1월: 황순희
- 2022년 5월: 현철해
- 2024년 5월: 김기남
4.7.4. 최고지도자
4.8. 브라질
- 탄크레두 네베스(1985.4.21. 브라질 제31대 대통령 당선인, 초대 총리)
- 아일톤 세나(1994.5.1. 포뮬러 1 1988, 1990, 1991 챔피언)
- 조제 알렝카르(2011.3.29. 브라질 제23대 부통령)
- 영결식장: 팔라시우 두 플라나우투
- 장지: 상파울루
- 오스카르 니에메예르(2012.12.5. 건축가)
- 펠레(2022.12.29. 전 축구선수)
- 영결식장: 이스타지우 우르바누 카우데이라
- 장지: 산투스 메모리얼 네크로폴레 에쿠멘시아 공원
4.9. 소련
- 이오시프 스탈린(1953.3.5. 초대 소련 공산당 서기장)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1982.11.10. 제3대 소련 공산당 서기장)
- 영결식장: 모스크바
- 장지: 크렘린 벽 묘지
- 유리 안드로포프(1984.2.9. 제4대 소련 공산당 서기장)
- 영결식장: 모스크바
- 장지: 크렘린 벽 묘지
- 콘스탄틴 체르넨코(1985.3.10. 제5대 소련 공산당 서기장)
- 영결식장: 모스크바
- 장지: 크렘린 벽 묘지
4.10. 아르헨티나
- 후안 페론(1974.07.04 전 대통령)
- 영결식장: 의회 궁전
- 장지: 라 차카리타 묘지
- 라울 알폰신(2009.04.02 전 대통령)
- 영결식장: 의회 궁전
- 장지: 라 레콜레타 묘지
- 네스토르 카를로스 키르치네르(2010.10.30 전 대통령)
- 영결식장: 아르헨티나 대통령궁
- 장지: 리오가예고스
- 페르난도 데 라 루아(2019.07.11 전 대통령)
- 영결식장: 하원 의회 계단 홀
- 장지: 필라르 기념묘지
- 디에고 마라도나(2020.11.25 전 축구선수.축구감독)
- 영결식장: 아르헨티나 대통령궁
- 장지: 베야 비스타 공원묘지
- 카를로스 메넴(2021.02.15 전 대통령)
- 영결식장: 의회 궁전
- 장지: 산 후스토 이슬람 공동묘지
4.11. 영국
- 조지 6세(1952.2.6. 영국 국왕)
- 윈스턴 처칠(1965.1.24. 영국 제61·63대 총리)
- 영결식장: 세인트 폴 대성당
- 장지: 성 마틴 교회
- 엘리자베스 2세(2022.9.8. 영국 여왕)
4.12. 체코
- 토마시 마사리크(1937.9.14. 체코슬로바키아 초대 대통령)
- 영결식장: 프라하
- 장지: 보헤미아 라니 묘지
- 얀 마사리크(1948.3.10. 체코슬로바키아 외무장관)
- 영결식장: 프라하
- 장지: 보헤미아 라니 묘지
- 에드바르트 베네시(1948.9.3. 체코슬로바키아 제2·4대 대통령)
- 영결식장: 프라하
- 장지: 세지모보
- 클레멘트 고트발트(1953.3.14. 체코슬로바키아 제5대 대통령)
- 영결식장: 프라하
- 장지: 고트발트 영묘
- 바츨라프 하벨(2011.12.21. 체코 초대 대통령)
- 영결식장: 프라하 성 비투스 대성당
- 장지: 프라하 비노흐라디 묘지
4.13. 폴란드
- 레흐 카친스키(2016.12.. 폴란드 제9대 대통령)
- 영결식장: 바르샤바
- 장지: 바르샤바 묘지
4.14. 핀란드
- 퀴외스티 칼리오(1940.12.19. 핀란드 제4대 대통령)
- 영결식장: 헬싱키 대성당
- 장지: 니발라 루터교회 묘지
-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1944.2.29. 핀란드 제3대 대통령)
- 영결식장: 헬싱키 대성당
- 장지:카렐리아 루마키
-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1951.1.27. 핀란드 제5대 대통령)
- 영결식장: 헬싱키 대성당
- 장지: 히에타니에미 국립묘지
- 카를로 스톨베리(1952.9.22. 핀란드 초대 대통령)
- 영결식장: 헬싱키 대성당
- 장지: 히에타니에미 국립묘지
- 장 시벨리우스(1940.12.19. 음악가)
- 영결식장: 헬싱키 대성당
- 장지: 아이놀라 장원
- 칼레비 소르사(2004.1.16. 핀란드 제34대 총리)
- 영결식장: 헬싱키 대성당
- 장지: 히에타니에미 국립묘지
- 하리 홀케리(2011.8.7. 핀란드 제36대 총리, UN총회 의장)
- 영결식장: 헬싱키 대성당
- 장지: 히에타니에미 국립묘지
- 마르티 아티사리(2023.10.16. 핀란드 제10대 대통령)
- 영결식장: 헬싱키 대성당
- 장지: 히에타니에미 국립묘지
4.15. 일본
- 오쿠보 도시미치(1867.10.20. 일본 초대 내무경)
- 영결식장: 도쿄부 도쿄시
- 장지: 아오야마레이엔
- 이와쿠라 도모미(1883.7.25. 일본 제국 우대신)
- 영결식장: 교토부 교토시
- 장지: 카이안지
- 시마즈 히사미츠(1887.12.6. 일본 제국 좌대신)
- 영결식장: 가고시마현 가고시마군
- 장지: 후쿠쇼지
- 산조 사네토미(1891.2.18. 일본 제국 태정대신)
- 영결식장: 도쿄부 도쿄시
- 장지: 고코쿠지
- 이토 히로부미(1909.10.26. 일본 제1·5·7·10대 내각총리대신)
- 영결식장: 아카사카 추밀원장 관저
- 장지: 시나가와구 니시오이
- 무쓰히토(1912.09.13. 일본 122대 천황)
- 덕수궁 이태왕(1919.03.03. 조선 26대 국왕)
- 창덕궁 이왕(1925.06.10. 조선 27대 국왕)
- 영결식장: 경성부
- 장지: 유릉
- 요시히토(1926.12.25. 일본 123대 천황)
- 요시다 시게루(1967.10.20. 일본 제45·48-51대 내각총리대신)
- 영결식장: 일본 무도관
- 장지: 쿠보야마 공동묘지
- 히로히토(1989.04.29. 일본 124대 천황)
- 영결식장: 도쿄 황거
- 장지: 무사시 능묘지
- 아베 신조(2022.09.27. 일본 제90·96-98대 내각총리대신)
- 영결식장: 일본 무도관
- 장지: 후지 레이엔 공동묘지
4.16. 중국
- 마오쩌둥(1976.9.9~18. 중국 초대 주석)
- 덩샤오핑(1997.2.25. 제3대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 주석)
- 영결식장: 인민대회당
- 화장터 : 바바오산 혁명공묘 화장터
- 장지: 남중국해(화장 후 산골)
- 장쩌민(2022.12.6. 중국 제5대 주석)
- 영결식장: 인민대회당
- 화장터 : 바바오산 혁명공묘 화장터
- 장지: 양쯔강 하구(화장 후 산골)
- 리커창(2023.10.27. 중국 제7대 총리)
- 영결식장: 베이징
- 화장터 : 바바오산 혁명공묘 화장터
- 장지: 바바오산 혁명열사묘역(화장 후 안장)
4.17. 태국
- 아난타 마히돈(1946.6.9. 태국 국왕)
- 영결식장: 방콕 왕궁
- 화장터: 사남 루엉 광장 왕실 다비장
- 장지: 왕실 사원
- 푸미폰 아둔야뎃(2016.10.13. 태국 국왕)
- 영결식장: 방콕 왕궁
- 화장터: 사남 루엉 광장 왕실 다비장
- 장지: 왕실 사원
[1] 2021년 10월 26일, 노태우 전 대통령이 세상을 떠나면서 장례 절차와 장지에 대해 논의한 결과 추징금 완납, 5.18 사죄, 북방정책, 1988 서울 올림픽의 성공적 유치 및 개최 등 공이 과보다 크다고 판단하여 국가장으로 결정되었고, 전국 화장터에서의 공통면제대상이 되지 않아 최종 거주지와 연관있는 서울추모공원 또는 벽제화장터에서 화장할 경우 화장비용 지원 (서울추모공원에서 화장됨), 국립현충원 안장은 불가하여 파주 동화경모공원에 안장되었고 국립묘지 대우를 받는 국가보존묘지로 지정되었다.[2] 2020년 6월 국회에서 이들의 국가장 거행을 반대하는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으나, 본회의 통과는 무산되었다.[3] 국무회의에서 영결식 당일을 임시공휴일로 의결하면 휴무가 가능하긴 하나 국민적 공감대가 어지간히 크지 않은 이상 시행되기 어렵다. 이렇게 갑자기 공휴일이 되면 사실상 은행이나 공공기관 같은 곳만 휴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각종일정을 1년 단위로 계획하는 경우가 많고 해외와 거래하는 경우도 상당수라 계획없이 회사 전체를 휴무하게 되면 당연히 큰 타격이 올 수도 있다. 당장 2021년 중반에 시행이 확대된 대체공휴일의 경우가 대표적인데 년도 중반에 시행되어 대략 50% 정도의 기업들만 혜택을 봤었다.[4] 온전하지는 않지만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를 일부 받았기에, 국고로부터 주민등록상 거주지 화장 비용만 지원받았다.[5] 실형을 선고 받은 탓에 대통령으로서 받아야 할 혜택을 일부를 제외하고 받지 못하여 국립현충원에 묻힐 수 없었다. 장지가 된 통일동산은 본인의 희망에 따라 묻혔으며, 임기 중 본인의 뜻으로 조성한 공간으로, 장례가 국가장으로 치러졌기 때문에, 국가보존묘지로 지정되었다.[6] 대략 70%. 말이 70%이지 이정도급 되면 정부의 인사들과 정치인들도 조문을 오기에 사실상 국장과 동일하게 장례비가 100% 지원되는 것으로 봐도된다. 이들 역시 판공비 등으로 부조금을 내는 경우가 많은데 판공비의 경우 사실상 국가 예산이기 때문이다.[7] 그 당시 박정희가 현직대통령으로서 유일한 국장의 사례였다. 이승만, 윤보선 전두환은 가족장으로 최규하, 노무현 대통령은 국민장으로 김영삼, 노태우는 국가장으로 장례를 치렀다.[8] 노무현 대통령이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하면서 이명박 정부에 엄청난 역풍이 불고 있었다. 당시 이를두고 온건 보수층들조차 이렇게까지 할 일이었냐는 식으로 비판을 했고, 청와대에서도 검찰이 너무 오버를 했다면서 분노를 했었다는 설이 있다. 실제 노 대통령 사후 1년있다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당시 여당은 그야말로 참패를 기록하기도 했다[9] 현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현 동래원예고등학교와는 다르다.[10] 영결식을 부산에서 한 이유는 정전협정 체결 전에 부산 임시수도에서 노환으로 사망했기 때문이었다. 영결식 후 서울로 운구되었다.[11] 영결식에 앞서서 명동성당에서 장례 미사를 치렀다.[12] 본래 인촌 김성수는 사망 후 본인이 초대 이사장으로서 설립한 고려대학교의 영내에 안장되었으나 1987년에 이장했다.[13] 서거 직후 헤이그 공동묘지에 안장됐다가 55년 만에 이장이 결정돼 1963년 고국 땅에서 묻히게 됐다.[14] 그의 막내아들이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으로 순직한 함병춘 전 대통령비서실장이다. 대한민국 역사상 부자가 국민장으로 장례가 치러진 유일한 사례다. #[15] 제7대 국무총리직은 대한민국 역사상 단 둘뿐인 의원내각제 하 정부수반으로서의 총리직에 해당한다. 나머지 1명은 전임자인 6대 허정 전 총리. 현행 대통령 중심제에서의 국무총리와는 권한과 역할이 다르다.[16] 남편이었던 대통령의 임기 중 세상을 떠났기에 국민장 대상이 됐다. 세상을 떠난 나머지 대통령 배우자들(프란체스카 도너, 공덕귀, 홍기, 손명순)은 모두 남편이 대통령직에서 퇴임한 이후 사망했고 모두 가족장으로 장례를 치렀으나 김대중 15대 대통령 영부인 이희호 여사는 사회장으로 장례가 치러졌다.[17] 역대 국민장 중 유일한 다수 대상의 장례.[18] 치료를 받다가 영결식 당일 새벽에 세상을 떠난 이기욱 전 재무부차관의 영결식은 이틀 후에 엄수되었다.[19] 영결식이 끝난 직후 같은 자리에서 북괴 만행 규탄 대회가 열렸다.[20] 영결식 후 서울광장에서 노제가 진행됐다.[21] 수원시 연화장 설치·운영 조례의 시장 재량 조항에 따라 화장료를 면제받았다.[22] 지하 납골당이 장지인 것으로 보아 화장 절차가 진행 될 것으로 보였으나 운구 과정으로 보았을때 화장은 하지 않고 관 째로 묻은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