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르네오코끼리(피그미코끼리) 婆罗洲象 | Borneo elephant | |
| |
학명 | Elephas maximus borneensis Deraniyagala, 1950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강 | 포유강 Mammalia |
목 | 장비목 Proboscidea |
과 | 코끼리과 Elephantidae |
속 | 아시아코끼리속 Elephas |
종 | 아시아코끼리 E. maximus |
아종 | 보르네오코끼리 E. m. borneensis |
멸종위기등급 | |
|
|
[clearfix]
1. 개요
아시아코끼리의 아종[1]. 섬 왜소화로 인한 작은 크기[2]로, 일명 피그미코끼리라고 불린다. 이름에 걸맞게 현존하는 모든 코끼리들을 통틀어 가장 작은 덩치를 가졌으며, 인도네시아의 보르네오 섬 북부 및 북동부에 서식한다.아프리카코끼리보다 온순한 아시아코끼리 아종들 중에서도 가장 온순해서 길들여 지기 쉬우나[3] 멸종 위기 등급은 위기(Endangered)로 서식지 파괴로 인해 심각한 위험에 놓여 있다. 이 종은 코끼리 중에서 가장 작다고 여겨지는 둥근귀코끼리와 비슷한 체격으로 몸길이 3~4m, 어깨높이 2~2.5m, 몸무게는 2~4t 정도이다. 현재 멸종 위기종이기 때문에 국제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대한민국에서는 전주동물원에서 1마리(코순이)[4]를 사육하고 있다.
2. 특징
전체적으로 회색빛을 띄는 다른 코끼리와는 다르게 약간 분홍빛을 띄고 있다. 때문에 한국에서는 분홍코끼리라고도 알려져 있다. 아시아코끼리 중에서 가장 작은 아종으로 좀 큰 코뿔소나 하마 정도 덩치밖에 안 되며 성격도 코끼리 중에서도 가장 온순한 편이다. 먹이 생활을 보면 주로 서식지인 숲이나 열대우림에서 많은 풀을 먹는다. 코끼리 중에서 가장 온순하다고 볼 수 있다.3. 사람 및 타 코끼리와의 크기 비교
|
사람과의 크기 비교 |
|
아시아코끼리(좌, 우. 아종불명)와 보르네오코끼리(중앙). 미국 오리건 주 오리건 동물원에서 촬영. |
4. 서식지
주 서식지는 인도네시아에 위치한 보르네오섬이다. 광활하게 펼쳐진 보르네오섬의 광활한 숲은 보르네오코끼리의 편안한 안식처나 집이 되어 준다. 이곳에서 보르네오코끼리는 이곳을 주 서식지 겸 편안한 안식처, 그리고 집으로 삼아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안식처인 이곳이 인도네시아 정부의 개발 활동으로 빠르게 파괴되면서 보르네오코끼리는 멸종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5. 서식지의 파괴와 멸종 위기
무분별한 숲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밀렵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 지난 60~75년 동안 개체수의 50%가 줄어들어 현재 등급은 '위기'이며 서식지 파괴에 대비한 보호 정책이 시급하다.6. 대중 매체에서
정글에서 살아남기 마루의 어드벤처에서 등장한다. 여기서는 피그미코끼리라는 이름으로 나왔다. 새끼의 엄마가 말라리아 모기에게 물려 위험했으나 마루가 도와줘서 말라리아모기를 격퇴한다. 좀 묘한 점이라면 온순한 것은 같지만 분명히 보르네오코끼리는 아시아코끼리의 아종임에도 불구, 보통 아시아코끼리와 다르게 귀가 아프리카코끼리처럼 크게 나왔다.[1] 아직까지 정식 아종은 아니다. 아종으로 분류될 확률이 매우 높긴하나, 확정적인 아종 분류는 자세한 범위 전체 형태 측정 및 유전적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이루어질 전망이다.[2] 웃기게도 보르네오섬의 10분의 1도 안될 정도로 면적이 작은 스리랑카에서 서식하는 스리랑카코끼리는 섬 왜소화를 겪은 보르네오코끼리와는 달리, 섬 왜소화를 겪지 않았다.[3] 이 온순하고 길들여지기 쉽다는 특성 때문에 이들이 술루 술탄국에서 풀어놓은 길들여진 코끼리들의 후손이란 가설이 나오기도 했지만, 추후 DNA 분석 결과에서 이들은 다른 아시아코끼리 아종과는 다른, 보르네오의 고유종이란 결과가 나와 시장되었다. 정식아종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다는 것도 이 결과 때문이다.[4] 1995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