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판상형 아파트의 표본인 부영아파트. |
34평(전용면적 84㎡) 아파트의 판상형 구조(4베이) |
92평(전용면적 243㎡) 아파트의 판상형 구조(5베이) |
[clearfix]
1. 개요
주택의 구조 중 주로 아파트의 구조로, 방과 거실이 옆으로 나열된 형태를 말한다. 두께는 똑같고 옆으로 폭만 길어지는 형태라 판상형 아파트를 성냥갑이라고 많이 부르며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아파트의 구조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구조이기도 하다.[1] 2010년대 이후로는 건축 디자인 규제를 회피하고, 세대 간 조망권 형평성 확보를 위해 완전한 판상형보다는 타워형의 장점을 일부 수용한 'V'자 혹은 'L'자 형태의 아파트가 일반화되었다.
1960~70년대 초창기 아파트에는 중소형 판상형 평면에도 방이 한쪽 구석에 몰려있고 중복도가 형성되는 유럽식 설계를 적용한 적이 있었다.(옛 한강맨션의 사례) 그러나 공간 활용이 비효율적이고, 한국인의 생활 패턴과 맞지 않다는 혹평을 듣고 도태되었으며 그 뒤로 한국에서는 옛 한옥의 구조와 비슷한 형태를 중심으로 아파트를 보급했다. 다만 중대형 평형대의 아파트의 경우에는 타워형과 비슷하게 방들이 한쪽으로 몰려있고 복도가 있는 구조가 대부분이며, 2010년대에 들어서는 4베이, 5베이가 적용된 중소형 아파트들이 등장함과 동시에 중소형 평수임에도 복도가 있는 판상형 구조를 흔하게 볼 수 있다. 당장 위의 92평형 판상형 아파트의 평면도만 보더라도 방들이 한쪽에 몰려있고 긴 복도가 있는것을 볼 수 있다.
2. 장점
3. 단점
- ㅡ자로 된 평면 구조로 아파트 외관이 성냥갑을 세운 것처럼 밋밋하여 경관이 좋지 못하다.[3]
- 타워형 구조에 비해 방들의 위치가 독립적이지 못하고 거실과 가깝다 보니 중, 고등학생 혹은 그 이상의 자녀와 함께 거주하는 경우 소음 문제나 프라이버시 간섭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ㅡ자로 지어진 판상형 아파트의 경우 맨 앞동만 조망권이 보장되고 나머지 뒷 동은 조망권이 사실상 없는 수준이다.
[1] 1-2라인, 3-4라인, ... 의 형태가 다 이것이다. 한 라인당 엘리베이터는 1대이며 타워형의 경우 2대인 경우가 많다.[2] 다만 인식과 달리 유체역학적으로 맞통풍이 환기에 큰 의미는 없다.[3] 예전에는 성냥갑이라 많이 불렀으나 점점 초고층화 되면서 비율이 길쭉해지자 웨하스(...), 젠가 등등 새로운 별명도 생겼다. 사실 북유럽의 판상형 아파트들처럼 하려고 마음만 먹는다면 판상형이라도 성냥갑 형태를 벗어나 다양한 디자인을 보일 수 있으나 비용 등의 문제로 국내에는 그런 시도가 매우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