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7 00:27:51

티베트 망명정부


||<bgcolor=#DA251C><tablebordercolor=#DA251C><tablewidth=100%>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티베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4E109><colbgcolor=#240d70> 상징 설산사자기 · 티베트/문장
역사 역사 전반 · 토번 · 구게 왕국 · 청나라 치하 티베트 · 티베트(1912~1951) · 티베트 독립운동 · 티베트 자치구
정치 티베트 망명정부 · 티베트 망명 의회 · 망명 티베트인 헌장
경제 티베트 스랑
문화 티베트 불교 · 요리 · 티베트어 · 티베트 문자 · 티베트 의학 · 종(건축물)
인물 송첸감포 · 적송덕찬 · 가르친링 · 달라이 라마 5세 · 판첸 라마 9세 · 판첸 라마 10세 · 달라이 라마 13세 · 달라이 라마 14세 · 게둔 최키 니마 · 팔덴 갸초 · 까루 린포체
지리 티베트 고원 · 칭하이 호 · 라싸시 · 르카쩌시
민족 티베트족
기타 티베토필리아 · 판첸 라마 · 달라이 라마 · 포탈라궁 · 노블링카 · 티베탄 마스티프 · 티베탄 테리어 · 라사압소
}}}}}}}}} ||
중앙 티베트 행정부
བོད་མིའི་སྒྲིག་འཛུགས་
Central Tibetan Administration
파일:티베트 국기.svg 파일:티베트 문장.svg
국기[1] 국장[2]
བོད་གཞུང་དགའ་ལྡན་ཕོ་བྲང་ཕྱོགས་ལས་རྣམ་རྒྱལ།
티베트여, 간덴 사원이여, 만방에서 승리하리라
상징
국가 승리의 노래
བོད་རྒྱལ་ཁབ་ཆེན་པོའི་རྒྱལ་གླུ།
국수 설사자
역사
1950년 10월 7일 중국의 티베트 침공
1959년 4월 28일 망명정부 설립
1991년 6월 14일 망명 티베트인 헌장 채택
2011년 5월 29일 현행 기구 출범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본부 인도 히마찰프라데시 다람살라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구 총인구 128,014명[3]
민족 구성 티베트인, 인도인, 네팔인 등등
공용 언어 티베트어
공용 문자 티베트 문자
종교 티베트 불교
군대 없음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치체제 의원내각제[4], 입헌군주제, 망명정부
국가원수 달라이 라마 14세
총리 펜파 체링
대변인 페르나 중네이 }}}}}}}}}
경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제체제 기부, 해외의 원조에 의존
공식 화폐 루피 (NPR) }}}}}}}}}
단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간대 UTC+5:30
도량형 SI 단위 }}}}}}}}}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수교 현황 없음
수교국 수 0개국 }}}}}}}}}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위치
<nopad>

1. 개요2. 상세3. 행정
3.1. 행정각부
4. 입법5. 사법6. 외교
6.1. 대한민국과의 관계6.2. 일본과의 관계6.3. 대만과의 관계6.4. 중국과의 관계6.5. 몽골과의 관계6.6. 인도와의 관계6.7. 부탄과의 관계6.8. 영국과의 관계6.9. 프랑스와의 관계6.10. 독일과의 관계6.11. 스위스와의 관계6.12. 미국과의 관계6.13. 캐나다과의 관계6.14. 러시아와의 관계6.15. 호주와의 관계6.16.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위구르와의 관계
7. 둘러보기

1. 개요

1959년 중국티베트에서 인도로 망명한 달라이 라마 14세티베트인들이 이끄는 티베트 독립운동 망명정부 단체. 중국의 티베트 침공으로 티베트가 멸망한 지 8년 뒤에 설립되었다.

2. 상세

티베트가 중국 인민해방군의 진주로 인하여 중국에 합병된 후 한동안 중국은 달라이 라마의 통치권은 일부 인정하되 사회주의 개혁에 매진한다는 입장을 보였으며 달라이 라마가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 주석을 역임하는 등 처음엔 잘 굴러가나 싶었지만 점차 중국의 압박이 거세지고 1959년 티베트 봉기를 중국군이 강경 진압하면서 달라이 라마와 많은 티베트인들이 인도로 망명했다. 이후 중국에서는 문화대혁명 광풍이 불어 티베트인들이 가혹하게 탄압당했다.

1959년 침공과 연이은 문화대혁명의 탄압으로 티베트인들은 탈출을 감행했는데, 주요 탈출 루트는 크게 4곳으로 에베레스트 산 동쪽의 낙마빠쓰를 거치는 루트, 아루나찰프리데시의 타왕 접경지대를 거치는 루트, 시킴의 나투라 고개를 넘는 루트, 네팔 중부를 거치는 루트 등이었다.[5] 어느 쪽으로 가든 평균고도 5천m를 넘는 험악한 지형과 추위, 국경을 넘는 과정에서 많은 이들이 총격으로 사망했지만, 이들을 막을 수는 없었다. 일부 티베트인들은 데칸 고원을 넘어 고원 남쪽에 정착하기도 했다.

중인전쟁이 1961년 벌어지는 등 당시 인도는 중국과 국경에서 민감하게 대치하는 입장에 서 있었기 때문에 자와할랄 네루 총리는 달라이 라마를 환영하며 다람살라에 망명 정부가 자리할 땅을 제공했다. 원래 이곳은 살짝 고산지대로 인도치고는 덥지 않고 시원해 영국의 식민지배 당시 영국인들의 휴양지였으나 1906년 대지진으로 파괴되고 비어 있는 땅이었다. 티베트 고원에서 살던 티베트인은 고향의 고산지대 환경에 익숙하므로 인도가 티베트인에게 적합한 땅을 빌려준 셈이다.

현재 다람살라에 의회, 교육부, 재무부, 복지부 등의 부처를 명목상 두고 있다. 몇 차례 달라이 라마에 대한 중국의 암살 시도가 있어서 인도군이 경비를 서고 있다. 다람살라 인근에 티베트 도서관, 티베트 박물관(Tibet Museum), 병원, 그리고 티베트 라싸 현지에 남겨져 중국의 관광지가 된 노블링카나 코라 순례길, 네충 사원, 남걀 사원 등이 이곳에도 같은 이름으로 재건돼 있으며, 겔룩 4대 사원이나[6] 닝마, 카규[7]등 다른 학파의 사원도 인도 각지에 재건되어 티베트 불교의 학맥을 잇고 있다.

티베트 망명 정부가 있는 도시 이름은 인구 1만명 정도인 맥그로드 간즈(McLeod Ganj)로도 알려져 있는데, 여긴 다람살라시 안에서 티베트인이 모여 사는 구역의 이름이다. 다람살라 읍내쯤 되는 중심가는 힌두교도 인도인이 모여 살고 산 위 동네 맥그로드 간즈는 티베트인들이 모여 산다.

한 주간의 티베트 망명정부 관련 소식을 제공하는 공식 뉴스 채널도 있다. Tibet TV. 전 세계 여러 언어로 운영되는데 한국어 주간 뉴스도 지원한다.[8]

3. 행정

망명 정부지만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의 형태로 돌아가고 있다. 2011년 달라이 라마가 정치에 손을 뗐기 때문에 제정일치 신정이 아니라 정교분리 체제다. 달라이 라마의 환생은 지속될 것이지만 자유가 없는 땅에서는 환생하지 않을 것이며 더 이상 달라이 라마가 정치지도자로서 티베트를 통치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현재 달라이 라마의 공식 입장이다.#

현재는 “망명 티베트인 헌장”이 사실상 헌법 역할을 하고 있지만 1991년 이전까지는 달라이 라마 14세 의해 미래의 티베트를 위한 민주적 헌법 초안의 조문이 역할을 하였다. 이로 인해 1963년부터 선거를 실시하고 있다.

내각(Kashag, བཀའ་ཤག)을 이끄는 것은 총리(Sikyong, སྲིད་སྐྱོང)이다. 초대 총리는 롭상 상가이(Lobsang Sangay)였으며 2021년 펜파 체링(Penpa Tsering)이 새 총리가 되었다.

중앙 티베트 행정부는 2020년대 현재 인도와 네팔, 부탄 각지에 위치한 약 45개의 티베트인 정착촌을 관리하고 있다. 정착촌 규모는 중앙행정부가 있는 인도의 규모가 가장 크며, 대다수는 1960년대 티베트 중앙행정부와 인도 정부와의 토지 협의로 설립된 정착촌이 기원이 되었다.

각 정착촌에는 다람살라의 중앙 티베트 행정부(CTA) 내무부 대표인 정착 담당관(Settlement officer)이 있는데, 정착담당관은 정착촌의 행정적 대표로 정착촌 업무 운영을 전반적으로 맡고 있다. 또한 정착촌과 중앙 행정부 및 인도 주 정부기관 간 연락 담당역할을 한다.

그 아래에는 임기 5년 지방의회(Local Assembly)와 정착촌 하위단위 마을 대표(Group Leaders)가 있으며, 각 단위에는 농지 재배와 비료 공급, 상점과 수공업 센터를 관리하는 협동조합이 있다. 하위 마을 대표는 선출직으로, 정착촌 단위 지방의회 역시 투표로 선출된다.

3.1. 행정각부

중앙 티베트 행정부 홈페이지 참고.
====# 종교문화부 #====
종교문화부(Department of Religion & Culture)는 중앙 티베트 행정부의 행정 기관 아래 설치된 부처로, 티베트 망명 공동체의 종교·문화 관련 업무를 총괄한다. 이 부처는 티베트 내부에서 소멸 위기에 놓인 종교·문화 유산의 부흥, 보존, 진흥을 목표로 하는 활동을 감독한다.

이 부처의 기원은 1959년 4월 27일 인도 무수리에 설치된 ‘종교위원회(Council for Religious Affairs)’ 사무국으로, 당시 네 개 불교 전통의 대표들이 주요 구성원이었고 책임자는 Director(국장)이었다. 1960년 5월 30일 사무국은 다람살라로 이전되었고, 같은 해 9월 12일 티베트 중앙행정부가 공식적으로 수립되면서 일곱 개 주요 부처 중 하나로 편제되었다.

현재 이 부처는 인도·네팔·부탄에 걸쳐 253개 사찰과 36개 니원(여성 수도원)을 관할하며, 인도 전역에 5개 문화기관을 두고 있다.
====# 내무부 #====
내무부는 중앙 티베트 행정부의 일곱 부처 중 두 번째 부처로, 망명 티베트인의 복지와 정착 지원을 담당한다. 인도·네팔·부탄에 걸쳐 총 45개 티베트 정착사무소가 이 부처의 관할 아래 있다.

인도에서는 농업 기반 정착촌 15곳, 수공예 기반 정착촌 13곳, 클러스터 및 분산 공동체 16곳을 관리한다. 네팔에는 농업 기반 정착촌 6곳, 수공예 기반 정착촌 3곳, 밀집 및 분산 공동체 2곳이 있다. 부탄의 7개 공동체는 모두 농업 기반 공동체다.

이 부처는 인도 정부와 국제기구들과 협력해 망명 티베트인의 생활 여건을 향상시키는 일을 수행한다. 설립 이후 지속적으로 중점에 둔 과제는 고용 창출과 티베트 공동체의 자립 촉진이다.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은 정착/복지 담당관을 직접 선출하거나, 또는 내무부에 임명을 요청할 권한을 가진다.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정착촌이 부처의 임명 방식을 선택해왔다. 그러나 중앙 티베트 행정부는 티베트 사회의 정치적 성숙을 위해 지역 대표를 주민 스스로 선출하는 방식을 점차 확대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재무부 #====
재무부는 중앙 티베트 행정부의 주요 부서 중 하나이다. 재무부가 설립되기 이전에, 모든 재정 및 예산 활동의 책임은 1966년까지 안보부의 장관인 가드랑 롭상 릭진이 맡았다. 그 후, 종교문화부의 장관인 외세르 걀첸을 위원장으로 하는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공동 재정 위원회가 중앙 티베트 행정부의 재정적인 측면을 관리했다. 1969년 5월 29일, 재무부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으며, 고(故) 까수르 체왕 탐딘이 초대 장관으로, 룬둡 걀포가 초대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재무부의 주요 목적과 역할은 중앙 티베트 행정부가 그 임무를 완수할 수 있도록 수익을 창출하고, 연간 예산을 편성, 집행 및 통제하며, 그린북(Green Book)을 발급하고, 티베트인들의 자발적인 기부금, 여러 등록 단체 및 부서 산하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것이다.

재무부는 초기 자본금 72,983.79 루피로 시작하여, 개별 티베트인들의 막대한 지원, 국제기구의 기부, 그리고 부서가 직접 참여하는 다양한 무역 및 상업 활동을 통해 점차 재정 기반을 강화해 나갔다.

2001년, 제12대 내각은 기존의 재정 정책을 변경하였고, 부서가 운영하던 모든 사업체를 민영화했다.

현재 재무부는 펜파 체링 총리와 체링 되둡 사무총장이 부서의 활동을 총괄하며 이끌고 있다. 현재 부서의 직원 수는 53명이다.
====# 교육부 #====
교육부는 인도 다람살라에 기반을 둔 중앙 티베트 행정부의 행정 기관을 구성하는 7개 주요 부서 중 하나이다. 교육부는 망명 중인 티베트 행정부와 공동체의 교육 사무를 담당하기 위해 1960년에 설립되었다. 1959년 망명 이후, 제14대 달라이 라마는 교육을 최우선으로 여겼고, 당시 인도 총리였던 자와할랄 네루에게 티베트 난민 아동을 위한 별도의 학교를 설립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인도에 티베트인들을 위한 별도 학교를 설립한 유일한 목적은 양질의 현대 교육을 제공함과 동시에 티베트어와 문화를 보존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구상은 망명 티베트 학교의 '두 가지 목적(twin object)'으로 통칭되었으며, 티베트 교육 정책의 핵심 정신이 되었다. 지난 62년간 이러한 목적을 향한 전반적인 성공 수준은 놀라울 정도로 높게 유지되었다.

교육부는 현재 인도와 네팔에 있는 62개의 티베트 학교(취학 전 과정을 운영하는 부속 학교 및 사립 학교는 제외)를 산하의 여러 자치 행정 기관을 통해 감독하고 있다. 이 학교들에는 약 15,155명의 학생과 2,033명의 교직원이 있다. 이 자치 학교 행정 기관에는 티베트 아동 마을(Tibetan Children’s Villages, 15개 학교), 티베트 홈 재단(Tibetan Homes Foundation, 4개 학교), 삼보타 티베트 학교 협회(Sambhota Tibetan Schools Society, 34개 학교), 스노우 라이온 재단(Snow Lion Foundation, 9개 학교)이 포함된다.

과거의 기적적인 성취에도 불구하고, 지난 20년간 일부 심각한 성격의 문제들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불만과 새로운 도전들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도전에 대한 장기적인 대책으로, 중앙 티베트 행정부는 2004년에 교육부와 여러 학교 관리 기관이 시행할 '기초 교육 정책(Basic Education Policy)'을 수립했다.
====# 안보부 #====
안보부의 주된 임무는 달라이 라마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다. 안보부는 달라이 라마와의 공개 접견을 주선하고 티베트 난민들이 인도 정부로부터 난민 등록증 갱신을 받는 것을 돕는 지부 보안 사무소(Branch Security Office)를 두고 있다. 안보부는 또한 티베트와 중국의 동향을 감시하기 위한 연구 부서를 운영하고 있다.

이 외에도 안보부는 티베트에서 도착하는 신규 난민의 증가에 대비하여 세 개의 환영 센터(Reception Centres)를 운영한다. 난민들은 주로 네팔에 먼저 도착하며, 그곳에서 델리를 거쳐 다람살라 및 기타 티베트 공동체로 이동한다. 카트만두와 델리에는 지부 환영 센터가 있으며, 이곳에서 신규 난민들은 숙식을 제공받고 다음 목적지까지 안내받는다. 환영 센터는 또한 신규 난민들이 일자리를 찾고 학교나 사원에 입학하는 것을 돕는다.
====# 정보국제관계부 #====
정보 국제 관계부(Department of Information & International Relations)의 주된 임무는 중앙 티베트 행정부의 대외 소통 및 외교를 총괄하고, 티베트의 정치, 인권, 환경 정보를 전 세계에 전파하여 티베트 문제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 주요 기능 및 산하 기관
    • 정보과:
      • 매체 운영: 티베트 뉴스국(다국어 잡지 및 웹사이트 운영), 티베트 TV(12개 언어 방송), 번역 및 출판 부서를 통해 티베트 관련 정보를 생산 및 배포한다.
      • 기록 및 교육: 티베트 박물관을 운영하며 티베트의 역사와 중국의 점령 및 인권 침해 상황을 기록 보존하고 교육한다.
      • 대중국 소통: 중국 담당과를 통해 중국 외부의 중국인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대외 접촉 활동 임무도 맡고 있다.
  • 국제 관계 부문:
    • 대외 활동: 전 세계 13개국에 설치된 티베트 사무소(사실상의 대사관)를 관리하며, 중앙 티베트 행정부의 국제 외교, UN 활동, 티베트 지원 단체(TSG) 업무 및 의전 등을 총괄한다.
  • 싱크탱크:
    • 정책 지원: 내각을 위한 전략적 분석 및 권고를 제공하는 싱크탱크인 티베트 정책 연구소(TPI)를 산하에 두고 있다.
====# 보건부 #====
중앙 티베트 행정부는 티베트 난민 공동체의 건강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1981년 12월에 보건부를 설립했다. 이 부서는 보건소 관리 및 자금 지원을 통해 치료 및 예방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인도, 네팔, 부탄에 거주하는 티베트 난민들을 위한 포괄적인 보건 관리 체계를 계획한다.

보건부는 인도 사회 등록법 XXI 1860에 따라 티베트 자원 보건 협회(Tibetan Voluntary Health Association, TVHA)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티베트 난민들의 기본적인 보건 요구를 충족시키는 등록된 자선 단체로서 활동하고 있다.

이 부서의 주된 목표는 망명 티베트인들의 기본적인 건강 상태를 개선하여 티베트 난민 정착촌이 자립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는 보건소를 통해 모든 티베트 난민에게 적절하고 공평하며 총체적인 1차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고, 질병 예방, 건강한 생활 습관 장려, 청결한 환경 조성을 위한 공중 보건 프로그램을 공동체 내에 구축하고 확대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모두를 위한 건강(Health for All)"이라는 주요 목표에 따라, 이 부서는 티베트인뿐만 아니라 현지 인도 주민들에게도 보건 서비스를 확대 제공한다. 현재 인도와 네팔의 모든 난민 정착촌에는 7개의 병원, 5개의 보건소, 36개의 진료소가 있으며, 163명의 의료진과 84명의 행정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 목표:
    • 모두를 위한 건강(Health for All)
  • 목적
    • 주요 전통 의학 체계와 통합된 1차 보건 시스템을 통해 모든 티베트 난민에게 적절하고 공평하며 총체적인 1차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질병 예방, 건강한 생활 습관 장려, 청결한 환경 조성을 위한 공중 보건 프로그램을 공동체 내에 구축하고 확대하는 것.

4. 입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티베트 망명 의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티베트 망명 의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티베트 망명 의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티베트 망명 의회는 임기는 5년이며 의원정수는 45명, 의회형태는 단원제이다. 정당은 티베트 국민민주당티베트 인민당이 있으며, 2011년 입헌군주제 도입 이후 2025년 현재 집권 여당은 계속 국민민주당이다.[9] 의석 구성은 티베트 불교 종파별이나 유럽, 미국, 호주에 있는 국외 티베트인 대표 의석도 가지고 있으며 중국의 지배로 행사하지 못하고 있지만, 캄, 우창, 암도 지역구를 설정하고 있다.

5. 사법

===# 티베트 최고 사법 위원회 #===
티베트 최고 사법 위원회는 중앙 티베트 행정부의 헌장 제62조에 따라 1992년 3월 11일 다람살라에서 설립되었다. 이 위원회는 중앙 티베트 행정부의 최고 사법 기관이자 망명 티베트인들의 공적 및 사적 분쟁에 대한 최종 상고 법원 역할을 한다.
  • 구성: 최고 사법 위원회는 최고 대법관 1명과 사법 위원 2명으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3명 이내의 배심원 위원회나 사건에 정통한 9명 이내의 별도 배심원단을 임명할 수 있다.
  • 역할: 최고 대법관이 위원회의 수장으로서 사법 및 행정 업무 전반을 규율하며, 모든 재판 절차를 기록하는 기록 법원의 임무를 수행한다.
  • 사법 관할권 및 법률 코드: 티베트 최고 사법 위원회는 티베트 공동체 내의 모든 민사 분쟁을 심리할 임무가 있다. 다만, 망명 공동체는 주재국(인도 등)의 법률을 따라야 하므로, 형사 소송이나 재산 분쟁은 관할하지 않는다.
    • 주요 관할 분야는 다음과 같다.
      • 헌장 조항의 해석에서 발생하는 분쟁.
      • 중앙 티베트 행정부 행정부의 공적 기능 수행 방식과 불공정 의혹에 기반한 분쟁.
      • 중앙 티베트 행정부 및 그 산하 기관 직원의 근무 혜택 및 인사 관련 분쟁.
      • 중앙 티베트 행정부 등이 마련하거나 할당한 토지 및 주거용 건물 관련 분쟁.
    • 권한: 중앙 티베트 행정부의 법률이나 명령이 헌장을 위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유일한 결정 권한을 가진다.
    • 법률 코드: 1996년부터 달라이 라마의 승인을 거쳐 티베트 사법 코드, 민사 소송 절차 코드, 증거 코드의 세 가지 법률 코드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티베트의 전통과 주재국 법률에 위배되지 않는 선에서 마련되었다.
  • 사법 위원의 임명 및 임기
    • 임명 절차: 최고 대법관 및 사법 위원직에 공석이 생기면, 최고 대법관, 총리 등이 참여하는 선정 위원회가 후보자 명단을 제안하고, 망명 티베트 의회의 과반수 투표를 통해 임명된다.
    • 자격 요건: 티베트 시민으로서 만 50세 이상이어야 하며, 5년 연속 판사 경력 또는 10년 이상 변호사 경력이 요구된다.
    • 임기: 임기는 5년 또는 만 65세 중 빠른 시점까지이며, 의회의 3분의 2 이상 찬성 결의안이 통과될 때만 탄핵될 수 있다.

6. 외교

[[중화권|
파일:중국 국기.svg
]] 중화권 상호관계 관련 문서 [[중화권|
파일:대만 국기.svg
]]
{{{#!wiki style="color: #000, #ddd;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중국·대만·홍콩·마카오와의 공통
중화권(중화권/상호 왕래) · 화교 · 한자문화권
정치관계 대만/외교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관계(2020년대) · 중화 타이베이
정치성향·정체성 범람연맹(친중화민국 · 중화민국빠) · 범록연맹(친대파 · 대만빠) · 친중공파 · 대만인(본성인 · 외성인 · 대만 원주민) · 반대만
관련 운동 타이완 독립운동(해바라기 운동) · 화독 · 양안통일
관련 사례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hololive 키류 코코-아카이 하아토 대만 언급 논란 · Gen.G 중국 주권 및 영토의 무결성 지지 포스팅 논란
기타 타이완성(중국) · 타이완 넘버원 · ECFA · 하나의 중국 · 두 개의 중국(화독) · 중국 본토
정치관계 홍콩-본토 관계 · 일국양제 · 일국일제 · 홍콩 내셔널리즘
정치성향·정체성 홍콩인(민주파 · 본토파 · 중간파 · 건제파)
관련 운동 홍콩 시위 · 홍콩 독립운동 · 홍콩 민주화 운동(2014년 · 2019년)
대만-홍콩 관계
마카오인 · 마카오-본토 관계
티베트 독립운동 · 티베트 망명정부 · 중국-티베트 관계 · 대만-티베트 관계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중화권-위구르 관계
중국-내몽골 관계
기타
중국/정치(중국공산당 · 홍콩/정치 · 마카오/정치) · 대만/정치(중국국민당 · 민주진보당) · 天安門 天安门 法輪功 李洪志 Free Tibet 劉曉波 · 국수주의/행태/중국 · 대만민국 · 중뽕 · 중국/외교(홍콩/대외관계) · 대만/외교 · 중국 대륙 · 타이완 섬 · 중화민족(중화사상) · 중국/경제(홍콩/경제 · 마카오/경제) · 대만/경제 · 중국몽 · 민주당파(중국민주당) · 신중국연방 · 중화권-러시아-만주 관계 · 위구르-티베트 관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티베트|[[파일:티베트 국기.svg|width=35]]]] '''{{{#000 [[티베트|{{{#000 티베트}}}]]{{{#000 의}}} [[티베트 망명정부#외교|{{{#000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아메리카·유럽·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과거의 대외관계
청나라 치하 티베트
}}}}}}}}} ||

현재 티베트 망명 정부를 합법 정부로 인정한 나라는 없다. 유럽과 미국의 지방자치단체 중에 공식 정부로 인정한 곳이 있지만 지방자치단체는 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국제법적으로 아무 의미가 없다.

티베트 망명 정부는 세계 각지에 티베트 사무소(Office of Tibet)[10]를 두고 있으며 이 기관이 티베트 대사관 역할을 하고 있다. 인도의 뉴델리(1960), 네팔의 카트만두(1960), 미국의 워싱턴 D.C.(1964), 스위스의 제네바(1964), 일본의 도쿄(1975)[11], 영국의 런던(1981), 호주의 캔버라(1992), 벨기에의 브뤼셀(1992)[12], 러시아의 모스크바(1993), 남아공의 프리토리아(1997)[13], 브라질 상파울루에 대표 사무소를 두고 있다. 명목상 티베트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대만타이베이에도 1997년 대표 사무소(Religious Foundation of H.H. the Dalai Lama, Taipei)를 개설했는데 이는 티베트와 대만이 중공이라는 공동의 적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14] 대만은 달라이 라마 14세의 방문을 허용하는 등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15]

6.1. 대한민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과는 공식적인 외교관계가 없으나 민간 차원에서는 불교계를 중심으로 달라이 라마 14세와 소통하는 등 나름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6.2. 일본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본-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본에는 티베트 망명 정부의 대표부가 존재하며 일부 티베트인들이 일본으로 망명했다.

6.3. 대만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만-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만-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만-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중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국-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국-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국-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5. 몽골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몽골-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몽골-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몽골-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6. 인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도-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도-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7. 부탄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탄-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탄-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탄-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부탄과는 언어, 문화, 종교에서 매우 가깝다.

6.8. 영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국-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국-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국-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9. 프랑스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랑스-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랑스-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0. 독일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독일-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독일-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1. 스위스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위스-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위스-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2. 미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국-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국-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3. 캐나다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캐나다-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캐나다-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캐나다-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4. 러시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러시아-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러시아-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5. 호주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주-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호주-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호주-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6.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위구르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위구르-티베트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위구르-티베트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위구르-티베트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둘러보기

티베트·부탄의 역사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em;"
<rowcolor=#fff> 라다크 응아리 암도 위짱 시킴 부탄
<colbgcolor=#000><colcolor=#ffcc1c> 고대 다르드인 샹슝 왕국 테유랑 문화 레프차 부족 유목
쿠샨 제국 코코노르 왕국
강족 / 갈족
유목 얄룽 왕국
샹슝 왕국 저족 샹슝 왕국
토욕혼 얄룽 왕국 몬율 왕국
토번 토번
송찬간포
토번
티쏭데짼 - 푸곌 왕조
9~13세기 라다크 왕국
구게-푸랑
탕구트
서하
티베트 분열기
종파 형성기
몽골 침입 라다크 왕국 구게 왕국
푸랑 왕국
원 제국
선정원
원나라 치하 티베트
사캬왕조
토착왕조 팍모드루파 왕조
린풍파 왕조
짱파 왕조
겔룩파
달라이라마
호쇼트 칸국 달라이 라마 3세 / [[알탄 칸|
알탄 칸
]]
남걀 왕조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달라이 라마 5세
두룩 데시 정권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달라이 라마 7세
시킴 왕국
준가르 칸국
청간섭기 - 암반 준가르-청·티베트 전쟁
청나라 치하 티베트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칼룬 통치기
분열기
시크 제국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구르카-청·티베트 전쟁
청나라 치하 티베트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암반 통치기
구르카 왕조 동인도회사령
인도 제국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시킴 왕국
1904~1948년 [[영국의 티베트 침공|
영국의 침입
]] · [[청나라 치하 티베트|
청의 암도·캄 일부 편입
]]
달라이 라마 13세
티베트 대봉기
인도 제국
시킴 번왕국
부탄 번왕국
근대 독립 티베트
달라이 라마 13세 · 달라이 라마 14세
1949년~ 인도 자치령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 칭하이성 쓰촨성
[[티베트 망명정부|
티베트 망명정부
]]
인도 자치령
시킴 왕국
부탄 왕국
인도 공화국
잠무 카슈미르 주
라다크 연방 직할지
인도 공화국
시킴 주
}}}}}}}}}


[1] 이 깃발을 설산사자기라고 부른다. 1913년 달라이 라마 13세가 새로 제정한 이래 티베트를 상징하는 깃발로 쓰인다. 중국 내부에서는 티베트 독립운동의 상징처럼 여겨지기 때문에 들고 다니면 무조건 처벌받는다. 다만 청천백일만지홍기와 마찬가지로 사학연구 목적으로는 가끔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2] 불자들의 정부답게 불교적 상징이 가득하다. 히말라야산맥과 태양과 달이 배경으로 있으며 2마리의 설사자들이 앞발을 들고 버티고 있다. 사자들 사이에는 여덟 개의 살을 가진 다르마차크라가 있는데 이는 불교의 팔정도를 상징한다. 아래의 휘장에는 망명정부의 표어인 '티베트여, 간덴 사원이여, 만방에서 승리하리라'라는 글이 적혀있다.[3] 전 세계 분포: 인도 94,203명, 네팔 13,514명, 부탄 1,298명, 나머지 국가 18,999명(2009년 망명 티베트인 인구 조사, 중앙 티베트 행정부 계획 위원회, 2010년)[4] 45명의 의원들로 구성된 의회가 따로 있다.[5] 중인전쟁으로 중국-인도 국경이 폐쇄되자 네팔을 경유하는 루트가 부상하기도 했다.[6] 간덴 사원, 데풍 사원, 세라 사원, 타쉬룬포 사원[7] 둑빠 카규의 캄빠갈 사원이 잘 알려져있다.[8] 특이한 건 분명 형식적 국가 원수와 정부수반인 총리로 구성된 의원내각제임에도 한국어 주간 뉴스에선 총리를 '대통령'이라고 표기한다는 점이다.[9] 1994년 창당되었으며, 2011년 인민당 창당 전에 오랫동안 유일정당으로 집권하기도 했다. 2013년 티베트 국민회의도 창당되었지만 원외정당.[10] 주재 지역마다 다른 명칭을 쓰는 곳도 있지만 기능은 비슷하다.[11] 남북한과 필리핀 겸임[12] 프랑스의 파리에 출장소를 두고 있다.[13] 아파르트헤이트 철폐를 주도한 인물 중 하나인 데스몬드 투투달라이 라마 14세와 친분이 두터웠던 이유로 남아공에도 대표 사무소가 들어섰다.[14] 중국으로부터 독립하겠다는 의지 때문이라고는 단언할 수 없다. 달라이 라마 14세 본인을 비롯한 티베트 온건파들은 중공으로부터의 독립보다 티베트의 자율권 확보에 더 중점을 두고 있으며, 대만에서도 범람연맹은 자기들이 진짜 중국이라고 생각하기 때문. 1997년은 이등휘 3기 행정부가 대만 독립론에 아슬아슬하게 발 걸치고 있었지만 아직 국민당이 집권하던 시기였다.[15] 이상 사무소 목록과 설립년도는 티베트 망명정부 사이트를 2025년 1월 참조함. 상파울루 사무소는 설립년도가 안 나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