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중국 | 일본 | ||||
유럽 |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몰도바 | 아르메니아 | 조지아 | ||||
아제르바이잔 | 트란스니스트리아 | 압하지야 | 남오세티야 | 가가우지아 | ||||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
네덜란드 | 벨기에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크로아티아 | 슬로베니아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몬테네그로 | 알바니아 | 그리스 | ||||
튀르키예 | 키프로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덴마크 | ||||
핀란드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
러시아 연방 내 공화국 | ||||||||
체첸·인구시 | 아디게야 | 북오세티야 | 카라차이·발카르 | 다게스탄 | ||||
아시아 | ||||||||
대만 | 몽골 | 위구르 | 티베트 | 미얀마 | ||||
베트남 | 태국 |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스리랑카 | ||||
아프가니스탄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타지키스탄 | ||||
키르기스스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란 | 팔레스타인 | 시리아 |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
예멘 | 이스라엘 | 아랍에미리트 | 쿠르드 | 바레인 | ||||
이집트 | 알제리 | 튀니지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쿠바 | ||||
도미니카 공화국 | 베네수엘라 | 브라질 | 페루 | 가이아나 | ||||
아르헨티나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소말리아 | 모잠비크 | 마다가스카르 | 기니 | ||||
말리 | 부르키나파소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앙골라 | 콩고 공화국 | 짐바브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바누아투 | ||||||
다자관계 | ||||||||
러시아·벨라루스·우크라이나 | 중화권·러시아·만주 | 러시아·인도·중국 | 러시아·몽골·중국 | 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 독일·러시아·폴란드 | 러시아·벨라루스·카자흐스탄 | 유럽 연합 | 아프리카 | ||||
남북러 | 북중러 | 미중러 | 한중러 | 한러일 | ||||
과거의 대외관계 | ||||||||
조선 | 청나라 | 영국-러시아 제국 관계 | 일본 제국 | |||||
소련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대만 | 몽골 | 중국 | |||
인도 | 부탄 | 위구르 | 오키나와 | ||||
아메리카·유럽·오세아니아 | |||||||
미국 | 러시아 | 호주 | |||||
과거의 대외관계 | |||||||
청나라 치하 티베트 |
러시아 | 티베트 |
1. 개요
러시아와 티베트 망명정부의 관계를 정리한 문서.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20세기 초 달라이 라마 13세의 지원으로 러시아 제국의 수도였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티베트 불교 사원이 건립되었다.# 만주족들의 몽골 부족들을 통제하기 위해서 티베트 달라이 라마를 지원했던 것과 같은 맥락에서, 러시아 제국 또한 칼미크인, 부랴트인, 투바인 등등 자국 영내 몽골계 소수민족 집단들을 달래기 위해서 티베트 왕국과 접촉하였던 것이다.출처현재의 러중 밀월관계와 달리, 같은 공산주의 국가였음에도 불구하고 소련과 중국의 관계는 그리 좋지 못했으며, 따라서 티베트와의 관계는 긍정적이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부정적이지도 않은 관계를 유지했다. 물론 소련이 마음만 먹으면 중국에 대항하여 티베트 망명 정부를 지원할 수도 있었겠지만, 이미 소련 정부는 스탈린 시절에 불교도를 박해했을 뿐만 아니라, 소련 전역의 승려를 숙청하고 절에는 불을 지르는 만행을 저지른 바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는 않았다.[1] 다만, 흐루쇼프 이후 스탈린 격하 운동이 일어나고 강압적 통치가 비교적 누그러지면서, 러시아의 티베트 불교 지도자인 함보 라마가[2] 부활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달라이 라마에게 인정받았다. 심지어 1976년에는 달라이 라마 14세가 소련을 방문하기도 했다.
소련 해체 직전인 1991년에 달라이 라마 14세는 소련을 방문하여 칼미키야 공화국, 투바 공화국, 부랴티야 공화국에서 법회를 열었다. 소련 해체 이후 1993년에는 모스크바에 티베트 망명정부의 대표 사무소가 개설되어, 같은 해 6월 16일부로 승인받았다.
2.2. 21세기
21세기 들어서 신냉전이 시작되고 중러관계가 회복되었지만, 반대로 종교의 자유 역시 회복되어 시베리아를 중심으로 티베트 불교 신자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 러시아 입장에서는 국민감정을 고려했을 때 마냥 대립하기 어려운 특수한 관계에 있다. 일단 러시아 중앙정부와는 사이가 좋지 않다. 2004년 칼미키야 공화국 대통령[3] 키르산 일륨지노프의 초청으로 달라이 라마가 러시아를 방문하려 했을때 러시아 정부에서 비자를 내주지 않아 무산될 뻔했다. 이 당시 일륨지노프 대통령은 친정부 성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례적으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게 직접적으로 항의했으며, 수도인 엘리스타에서는 항의시위가 일어났다. 결국 러시아 정부는 달라이 라마의 칼미키야 방문을 허용했다. 또한, 부랴티야 공화국, 투바 공화국, 칼미키야 공화국 등에 티베트 불교를 믿는 소수민족들이 많이 살고 있으며, 길거리에서 달라이 라마의 사진을 보기 쉽다.2019년, 부랴티야 공화국 국가수반 알렉세이 츠데노프와 러시아 불교의 수장인 함보 라마 담바 아유예프 큰스님이 달라이 라마 14세의 방러를 건의하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달라이 라마는 입국금지가 되어있지 않으며, 러시아의 불자들이 원하는 적절한 시기에 언제든지 방문할 수 있다는 발언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