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07:47:16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MOD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파일: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DLC MOD 맵 MOD
ProMods 경영 업데이트 로그
국가별 특징 도전 과제 스킬
차량 목록 콘솔 명령어 트럭 브라우저
트레일러 브라우저 문제점
멀티플레이 TruckersMP Truckyapp
드라이빙 아카데미 코치 DLC 커뮤니티 및 게이머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 틀 바로가기 }}}}}}}}}



1. 개요2. 차량 확장 MOD
2.1. 트럭
2.1.1. 미국식 트럭 MOD
2.2. 버스 2.3. 승용차
2.3.1. 외제차
3. 화물 확장 MOD
3.1. Jazzycat Cargo Pack3.2. SiSL's Trailer Pack3.3. kraker trailer pack3.4. Megaliner-Turkish-Style
4. 맵 확장 MOD 5. 사운드 MOD
5.1. Kapitan Kriechbaum5.2. Sound Fixes Pack
5.2.1. 변경/추가된 사운드5.2.2. 모드 적용 순서
6. AI 트래픽 MOD
6.1. Jazzycat AI Traffic Pack 6.2. TrafficManiac AI Traffic Pack 6.3. Asphalt 8 Traffic Pack6.4. Brazilian Car Pack6.5. Brazilian Truck Pack6.6. D.B Creation Traffic Mod6.7. Realistic Vehicle Colours6.8. GTA V Traffic Pack6.9. Fictional Cars Traffic Pack6.10. BMW TRAFFIC PACK
7. 계절/날씨/그래픽 MOD
7.1. Spring Weather Mod7.2. New Summer Environment7.3. Early Autumn Weather Mod7.4. Late Autumn & Mild Winter Weather Mod7.5. Frosty Winter Weather Mod7.6. Grey Skies Weather Mod7.7. Tropical Environment
8. 파츠/튜닝/장식 MOD
8.1. SiSL's Mega Pack
9. 멀티플레이 MOD 10. 성능 튜닝, 물리 엔진 MOD 및 트럭 내구성 테스트
10.1. 사실적인 물리엔진10.2. 타이어 모드10.3. 엔진, 변속기, 연료탱크 모드
10.3.1. MarioBG02의 엔진, 변속기 모드10.3.2. Raiden의 엔진, 변속기 모드10.3.3. GA071MA의 엔진, 변속기, 연료 탱크, 물리 엔진 모드10.3.4. Power의 엔진, 변속기 모드(커스텀 가능)10.3.5. 기타 엔진 모드
10.4. 연료 탱크 모드
11. 애니, 버튜버 캐릭터 동승자, 트레일러 및 음합엔 음성 네비게이션 모드
11.1. 동승자 모드11.2. 드라이버 모드11.3. 액세서리 모드11.4. 트럭, 트레일러 스킨 모드11.5. 드라이버, 회사 로고 모드11.6. 음합엔 캐릭터 음성 네비게이션 모드
12. 그 외 기타 MOD

1. 개요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에 등장하는 MOD들을 정리해놓은 문서.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는 내 문서/Euro Truck Simulator 2/mod[1]에 넣어주고 게임에서 활성화하면 끝. 스팀 창작마당에서 받을 때는 받고 싶은 모드를 구독하고 게임 모드 관리창에서 활성화하면 더 쉽게 적용할 수 있다.[2]

리눅스에서는 데비안 계열 배포판을 기준으로 ~/.local/share/Euro Truck Simulator 2/mod[3] 폴더에 모드 파일을 넣을 수 있고 나머지 과정은 윈도와 동일하다.

스팀덱의 경우 /home/deck/.local/share/Steam/steamapps/compatdata/227300/pfx/drive_c/users/steamuser/Documents/Euro Truck Simulator 2/mod 폴더에 넣어주면 된다.

macOS에서는 Finder에 들어가서 응용 프로그램의 ETS2 아이콘을 우클릭하고 패키지 내용 보기로 들어가면 모드 폴더를 찾을 수 있다.

SCS 공식 포럼 모드 공유 게시판[4]
스팀 창작마당 사이트
TruckyMods[5]
ETS2.LT[비추천][7]


본 게임 시리즈에서 전통적으로 MOD가 많이 제작되었듯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역시 여러 가지 모드가 존재한다. 이전 작품들은 국내에서 레이서즈 클럽 중심으로 모드 제작과 정보공유가 이루어졌으나 레이서즈 클럽이 운영진에 기생한 일부 세력의 인터넷 독재질로 인해서 사실상 망해버린 데다가 전작들과는 달리 입소문을 많이 타서 비교적 (반)폐쇄적인 카페들로 중심이 옮겨갔다. 현재 국내 게임 커뮤니티에서는 파일 또는 모드의 저작권을 매우 또는 극단적으로 민감하게 바라보는 인식으로 인해 인터넷 카페 특성상[8] 한국형 모드와 관련한 건 ets2.lt에서 거의 또는 아예 보기가 불가능하며 커뮤니티 특성상 인터넷 카페에 사실상 강제적으로 가입해야 한다는 소리인데[9] 반대로 유럽의 오리지널(특유의) 문화 및 지리적 느낌으로 플레이를 하고 싶다면 국내 인터넷 카페보다 훨씬 더 개방적인 ets2.lt나 SCS 포럼에서 배포중인 유럽형 모드 사용도 권한다. 다만, 2020년 7월 24일에 레이서즈 클럽 사이트가 재개설되어 향후 미래는 알 수 없다.

스카이림이나 드래곤 에이지 같은 메이저 게임들에 비하면 모드 관리 시스템이 좋지 않아서 모드를 이것저것 깔다보면 충돌이 일어나 게임이 강제 종료되는 일이 많다. 모드 로딩 순서를 수동으로 조절해주면 해결되며 이래도 안 되면 모드를 적용시킨 부분을 모드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의 시점으로 되돌려 놓고 문제가 된 모드를 삭제하면 웬만하면 해결이 된다. 심각하게 꼬이면 배송 목록이 뜨지 않거나[10] 경험치가 초기화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그 세이브 파일은 이미 날아간 것이다. 따라서 모딩을 즐기는 유저라면 프로필과 세이브 파일을 주기적으로 백업해두는 것이 좋다.

원본 게임 데이터를 보려면 공식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SCS Extractor가 필요하지만 모드의 경우 zip 압축이기 때문에 마음껏 뜯어서 개조해도 쉽게 재적용 가능하다.

랜섬웨어가 컴퓨터 본체를 공격으로 대부분의 확장자를 암호화하나 SCS의 MOD 확장자 및 압축파일인 .scs로 끝나는 파일은 암호화가 되지 않아 강력한 장점을 지니기도 하나 MOD 파일 확장명이 .zip으로 끝나는 일반형 압축파일은 랜섬웨어 감염에 노출될 수 있어 .scs로 바꾸거나 랜섬웨어에 대한 예방을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버전이 맞지 않는 경우 MOD가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여기에 쓰여 있는 방법대로 다운그레이드를 하여 해결하는 경우도 있다.

모드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찾기가 너무 힘들다면 유튜브에 Euro Truck Simulator 2 (해당 버전) mod 라고 쳐보자. 모드 찾기는 물론 해당 모드의 튜닝항목등을 볼 수 있다.

링크로 통해 들어갔다면 버전을 꼭 확인을 하자. 예를 들어 1.28 버전이라고 소개되어 있지만 업데이트가 되어 1.44 or 1.45 오픈 베타 버전에서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2. 차량 확장 MOD

2.1. 트럭

  • Scania 4, R,T
    파일:external/www.linjavaihde.net/scaniars2.jpg

    제작자 RJL[11]

    스카니아 R & 스트림라인 모드: SCS 포럼 스팀 워크샵
    스카니아 T캡 모드: SCS 포럼 스팀 워크샵
    스카니아 4시리즈 모드: SCS 포럼 (R & 스트림라인 모드, T캡 모드 필요)
    튜닝관련 DLC 호환 패치: 스팀 워크샵

    ETS2 차량 모드들 중 Top 3 안에 꼽힐 정도로 굉장히 유명한 모드. SCS에서 만든 기존의 스카니아 R 2009년형 모델과 스트림라인 모델에서는 구현되지 않은 자잘한 부분까지 세밀하게 구현된 것으로 호평받고 있다.[12] 거기에 더해 4시리즈와 T캡까지 모드로 구현된 것은 덤. 이 모델들 또한 굉장히 세밀하게 구현되어 있다. 스카니아 구형 모델을 좋아하거나 자주 타고 다니는 유저라면 기존 SCS 모델로 플레이하지 말고 이 모드를 이용하여 플레이하는 것을 추천한다.
  • Volvo FH&FH16 2009

    제작자 johnny244

    SCS 포럼

    기존의 떨어지는 디테일의 바닐라 2009년형 볼보 FH/FH16 모델과 달리, 새로운 외부 모델링과 인테리어를 다듬은 모드. 아직까지는 차량 옵션이 상당히 적다.
  • Volvo FH&FH16 2012
    파일:Volvo FH&FH16 2012 Reworked.png

    제작자 Eugene

    비공식 패치 SCS 포럼(업데이트 중단) 스팀 워크샵

    러시아 국적의 SCS 소프트웨어에 속해있는 개발원 Eugene이 제작한 2012년형 볼보 FH/FH16 리워크 모드이다. 기존 바닐라 모델 대비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차이점은 데칼에 쓰여져 있는 GLOBETROTTER 로고. 바닐라 모델의 데칼과는 확연히 다른 느낌을 준다.[13] 실제 볼보트럭에서 옵션으로 추가할 수 있는 파츠[14]가 있으며 계기판과 바닐라 모델에 없는 Euro6 750 마력 엔진 또한 기존 볼보트럭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여준다. 데칼에 하얀 데칼 즉, Custom이 있는데, 이 데칼은 본인이 직접 데칼을 제작할 수 있다.[15]
    현재는 공식 패치가 중단되었으며 창작마당에 스카니아 PRT-레인지 2세대 리워크 모드를 출시해 업데이트를 하고있으나, 팬 유저가 현 버전에 대응할 수 있는 비공식 패치를 출시하면서 명맥을 이어나가고는 있다.
  • DAF 95 ATi
    파일:DAF_95_ATi_by_XBS.jpg

    제작자 XBS

    공식 홈페이지

    1987년에 출시한 DAF 95 시리즈 모드이다. 330마력 ~ 430마력 DAF 엔진 라인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5버전으로 업데이트되면서 최상위 트림인 500마력 커민스 N14 엔진 모델이 추가되었다.[18]
  • 현대 엑시언트

    제작자 LynxKris

    쉐어 모드

    MAN TGX의 모델링을 변경한 트럭이기 때문에 다른 MAN 트럭을 사용하는 모드와 호환되지 않는다.
이스즈, 히노자동차, UD 트럭, 닛산, 미쓰비시 등 다양한 일본 제조사들의 트럭이 있다. 인도네시아 사람이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물리엔진 문제인지 트럭이 심하게 출렁여서 운전하기 어렵다.
포드가 유명한 자동차&트럭 브랜드이지만 유로트럭,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에 출시하지 않은게 안타까운 부분. 여기에서 포드를 몰면서 대리만족 할수 있다.
  • 테슬라 세미 트럭 2019
    파일:TESLA-SEMI-TRUCK-2019-v1.0-ETS2-1.52.x-2-555x312.jpg

    제작자 CyrusTheVirus, SCS, Franck Peru, Yekko Yek, Argarwen, Andis Kreps, OveRTRucK

    ets2.lt

    전기트럭을 몰 수 있다.
  • Ural M v1.0
    파일:Ural-M-v1.0-1-555x312.jpg

    제작자 Lacoste 36, Alex Kaiser, Valera Rusakov

    ets2.lt
  • kraz 258
    파일:Kraz-258-v1.0-1.jpg

    제작자 vita1980

    ets2.lt
  • scania r700 reworked
    파일:SCANIA-R700-REWORKED-V3.4-3.jpg

    제작자 Kasuy, Au44, SCS Software, RJL

    ets2.lt

    10x8 섀시를 선택할 수 있다.
  • Volvo FH4 Globetrotter reworked
    파일:VOLVO-FH4-Reworked-by-MaskedEditors-1-555x312.jpg

    제작자 SCS, MaskedEditors

    ets2.lt

    상점에서 단종된 Volvo FH4를 구매할 수 있다.
  • iveco s-way 6xx chassis pack
    파일:6xx-Chassis-for-Iveco-S-Way-v1.0-555x312.jpg

    제작자 KPM

    ets2.lt

    4x2샤시밖에 없는 이베코 에스웨이에다 6x2, 6x4 샤시를 끼울 수 있다.
  • iveco Hi Way 8x4
    파일:iveco-hi-way-v8x4.webp

    제작자 SCS, Schumi, knox_xss, Oscar, Fabry85, Borsuk,
    piva, Racing, nfshp253, obelihnio, Rafael Alves, Tobrago,
    Dotec, Baldy09, Brvsinhv and others

    ets2.lt

    상점에서 단종된 iveco Stralis Hi-Way 를 구매할 수 있다. 이 모드를 깔면 xxxx벽이 사라지는데 xxxx벽 삭제를 막으려면 dlc와 model 항목 일부를 삭제해야 된다.
  • Hino 500
    파일:Hino-500-1.52-2-555x312.jpg

    제작자 Javier Toapanta

    ets2.lt

2.1.1. 미국식 트럭 MOD

미국 트럭 추가 모드의 경우 최고 마력 엔진이 보통 기존 트럭보다 높으며 섀시도 8X4, 8X6섀시(뒷바퀴가 세 줄, 장거리 중화물 수송용 섀시)까지 선택 가능하다. 모드 트럭으로는 10x8 섀시도 있다. 이 모드로 피터빌트켄워스 등 미국식 트럭을 몰아보면 유럽에서 혼자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 하는 느낌이 든다.
  • Volvo VNL 670

    제작자 Aradeth

    SCS 포럼 스팀 워크샵

    볼보트럭의 컨벤셔널 보닛 타입의 VNL 670 모델을 구현한 모드. 다른 유명 트럭 모드와 마찬가지로 이 역시 엄청난 갯수의 튜닝 파츠를 자랑한다.
    회전 반경이 아주 넓기 때문에 일부 협소한 하역장이나 좁은 교차로 등에서 운행이 까다롭다. 애당초 이 트럭 자체가 넓은 회전반경을 요구하는 북미시장 전용 모델이다.[20]
  • Volvo VNL 2018
    파일:Volvo-VNL-2018-1-555x312.jpg

    제작자 MarioBG02

    링크

    참고로 MarioBG02가 만든 트럭은 1000마력짜리 마리오 엔진, 마리오 12단 변속기를 사용하면 내리막길에서 204까지 낼 수 있다.[21] 즉, 값 조절 없이 합법적으로 200이 넘는 트럭이라 볼 수 있다. 대신 비밀번호가 걸려있어서 이 트럭에다 추가 엔진, 변속기, 악세서리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걸 권장한다. 다만 엔진 출력이 4100nm, 기어비는 0.72 3.30으로 본 트럭 마리오 엔진[22]에 비해 너프를 먹었다.
  • 프라이트라이너 카사디아 2024
    파일:Freightliner-Cascadia-2024-1.jpg

    제작자 MarioBG02

    링크

    참고로 MarioBG02가 만든 트럭은 1000마력짜리 마리오 엔진, 마리오 12단 변속기를 사용하면 내리막길에서 204까지 낼 수 있으며 위의 볼보 VNL 2018과 비슷한 성능을 보인다. 게다가 모드트럭 중 GA071MA의 엔진을 착용할 수 있으며 이러면 300을 넘을 수도 있다.
  • 켄워스 T680 2022
    파일:Kenworth-T680-2022-for-1.54-UPDATE-1.jpg

    제작자 MarioBG02

    링크

    MarioBG02가 만든 트럭들이 1000마력 엔진으로 최고속도가 높지만 켄워스는 PACCAR TX-12라는 0.77, 2.64란 기어비로 내리막길에서 220까지 낼 수 있다. 트레일러를 끼워도 212까지 낼 수 있으며 평지에서도 200 넘어가도 속도가 올라가는걸 볼때 확실히 200이 넘는 트럭이다. 이마저 GA071MA의 모드를 위에다 배치하면 고속 특화 물리엔진이라 241까지 나온다. 이유는 볼보 FH6과 비슷한 기어비를 가진데다 rpm 제한이 2600으로 높아서[23] 이런 사기적인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 맥 피나클
    파일:Mack-Pinnacle-1.jpg

    제작자 MarioBG02

    링크

    맥도 위의 켄워스와 마찬가지로 mDRIVE HD TMD14AO라는 0.78, 2.64란 기어비로 내리막길에서 217까지 낼 수 있다. 이마저 GA071MA의 모드를 위에다 배치하면 고속 특화 물리엔진이라 238까지 나온다. 이유는 볼보 FH6과 비슷한 기어비를 가진데다 rpm 제한이 2600으로 높아서[24] 이런 사기적인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MarioBG02의 켄워스 T680 2022와 맥 피나클 이 두 트럭이 기어비가 낮아서 합법적으로 낼 수 있는 트럭중 최강자이기도 하며 둘 다 현실적인 튜닝 범위이기도 하다.
  • 켄워스 W900
    파일:Kenworth-W900-1-555x312.jpg

    제작자 MarioBG02

    링크

    참고로 MarioBG02가 만든 트럭은 1000마력짜리 마리오 엔진, 마리오 12단 변속기를 사용하면 내리막길에서 204까지 낼 수 있다.
  • Iveco Strator Shooter링크
    파일:Iveco-Strator-Shoofer-v3.2-1.jpg

    제작자 Antonio62

    ets2.lt

    1000마력 8000nm[25] 엔진이 존재한다. 다만 최고속도는 변속기 문제인지 192 내외에서 멈춘다.
* VOLVO VNL링크 1.55 사용불가
* Kenworth W900링크 1.55 사용불가
  • 미국 트럭 팩: 링크
    파일:American-truck-pack-1.5-ETS-2-ReB-1.jpg

    제작자 SCS,Provinat

    ets2.lt

    피터빌트, 켄워스, 볼보, 인터네셔널, 맥, 웨스턴스타, 프레이트라이너 등 온갖 미국식 트럭이 다 들어있는 팩이다.

2.2. 버스

  • Iveco Evadys

    제작자 Etrusan

    스팀 워크샵

    이베코의 근교형 버스인 에바디스 모델이다.
  • Karosa 95x Pack

    제작자 Etrusan

    스팀 워크샵

    체코의 카로사에서 생산했던 시내버스인 B 951/2(E) 모델과 근교형 버스인 C 954(E) 모델이다.

2.3. 승용차

대부분의 국산, 외제 일부 차량모드는 슈퍼브 2세대 후기형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2.3.1. 외제차

  • 스코다 수퍼브 2세대[26]

    제작자 TruckersMP Team

    스팀 워크샵

    자동차 모드계에서는 가장 유명한 모드이다. 거의 대부분의 승용차 모드들은 이 차량을 기반으로 제작된다. 위 차량들의 베이스이다. 고로 사골모델(...)
    멀티플레이에서도 이 차량을 몰 수 있다.

3. 화물 확장 MOD

기존의 트레일러와 교체하는 방식의 모드와 새로운 화물을 추가하는 방식의 모드가 있다. 거의 대부분의 화물 확장 모드는 화물 확장 모드끼리 서로 호환된다. AI 추가 모드와는 다르게 모드가 무겁지 않긴 하지만 그래도 추가되는 거라 남발하면 좋을 건 못 되니 적당히 추가해야 한다. 특히 너무 많은 모드를 넣거나 등장 비율이 높은 모드를 쓴다면 정작 순정 화물이 잘 안 나올 수 있다. 특정 화물을 운반하는 도전과제를 노린다면 모드를 적당히 끄고 켜자. 극히 드물지만 모드로 추가한 트레일러를 쓸 경우 기종에 따라 특정 구간에서 갑자기 차가 점프하거나 튕기는 경우도 있다.

3.1. Jazzycat Cargo Pack

  • Trailers and Cargo Pack

    제작자 Jazzycat

    파트 1: 쉐어모드 (1.39 호환)
    파트 2: 쉐어모드 (1.39 호환)
    파트 3: 쉐어모드 (1.39호환)

    173종의 새로운 트레일러의 모델과 748종의 새로운 화물, 744종의 트래픽 트레일러, 그리고 3,000종이 넘는 스킨이 추가되는 모드이다.
    일반적인 화물 추가모드와는 다르게 AI+화물+엄청난 용량이라서 사양이 좋지 못하면 이 모드 하나만 추가해도 게임이 눈에 띄게 무거워지니 사양이 좋지 못하면 지양하는 것이 좋다.
    추가되는 트레일러 모델 목록

    Kögel, Fliegl, Böse, Närko, Lamberet, Chereau, Schmitz, Bodex, Wielton, D-Tec, Fruehauf, Schwarzmüller, Kassbohrer, Rolfo, Samro, Krone, Pacton, Ekeri, Goldhofer, Kröger, Aydeniz, Nooteboom, Sommer, NTM, HRD, Estepe, Fontaine, McLendon, Krampe, Kotte, Panav, Kempf, Langendorf, Galtrailer, Michieletto, Groenewegen, Chmzap, Maz, Nefaz, Szap, Tonar, Odaz, Becema 및 기타
  • Military Cargo Pack

    제작자 Jazzycat

    쉐어모드 (1.39 호환)

    74종의 회사에 204종의 군사화물을 추가해주는 모드이다. 컨텐츠 브라우저를 보다보면 K-9 자주포도 나온다.
  • Railway Cargo Pack

    제작자 Jazzycat

    쉐어모드 (1.39 호환)

    59종의 회사에 86종의 철도화물을 추가하는 모드이다.

3.2. SiSL's Trailer Pack

파일:842257514_preview_trailerpack-main-big.jpg
제작자 SiSL[27]
SCS 포럼 스팀 워크샵
기존 트레일러들의 가상 물류회사 스킨을, 실존하는 물류회사 스킨으로 교체해주는 모드이다.

3.3. kraker trailer pack

파일:Kraker-Walkingfloor-Trailers-Pack-v2.3.5-2.jpg
제작자 Kast
ets2.lt
4바퀴 샤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높은 속도에서 몸빵이 센 트레일러기도 하다.

3.4. Megaliner-Turkish-Style

파일:Megaliner-Turkish-Style-1.54-2.jpg
제작자 Scs,Blade1974
ets2.lt

4. 맵 확장 MO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MOD/맵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MOD/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MOD/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사운드 MOD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의 소리를 바꿔주는 모드이다. 현실감이 대폭 상승하여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를 즐기는 유저에겐 필수의 모드이다.[28]

5.1. Kapitan Kriechbaum

공식 유튜브 채널
말이 필요없는 엔진 사운드모드계의 장인. 읽는 사람에 따라 크리치바움, 크리히바움 등등 다양하지만, 한국에서는 크리치바움으로 잘 알려진 엔진 사운드 전문 모더. 현재 운송업에 종사하고 있는 프랑스인이라고 한다.
유료 사운드모드에 EVR[29]이 있다면, 무료 사운드모드에는 크리치바움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FMOD 도입 이전부터 이미 오랫동안 높은 퀄리티로 유저들 사이에서 명성을 떨치고 있었으며, FMOD 도입 이후에도 활발한 업데이트를 통해 그 높은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 12월 현재 1.39 업데이트로 인해 아래 모드들 일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므로 주의.
  • 스카니아 DC16 V8 New Gen

    제작자 kriechbaum

    SCS 포럼

    2세대 스카니아의 DC16 V8 엔진 순정 사운드를 바꿔주는 모드이자, 명실상부 크리치바움을 대표하는 엔진 사운드모드. 계획된 공개일보다 무려 한 달이나 공개를 연기했을 정도로 그만큼 퀄리티에 신경을 많이 쓴 모습이 보인다. 실차와 거의 똑같을 정도로 높은 싱크로율을 자랑하면서 많은 유저들로부터 찬사를 받고 있다. 실차와의 비교
  • 스카니아 DC13 New Gen

    제작자 kriechbaum

    SCS 포럼

    2세대 스카니아의 13리터 L6 엔진인 DC13 엔진 사운드 모드이다.
  • 스카니아 DC16 V8

    제작자 kriechbaum

    SCS 포럼

    1세대 스카니아의 16리터 V8 엔진인 DC16 엔진 사운드 모드로, 오픈 파이프 사양인 덕분에 거친 엔진음이 특징이다.
  • 스카니아 DC13

    제작자 kriechbaum

    SCS 포럼

    1세대 스카니아의 13리터 L6 엔진인 DC13 엔진 사운드 모드이다.
  • 볼보트럭 D13K

    제작자 kriechbaum

    SCS 포럼

    볼보 FH의 13리터 L6 엔진인 D13K 엔진 사운드 모드이다.
  • MAN D2676

    제작자 kriechbaum

    SCS 포럼

    MAN TGX e6의 12리터 L6 엔진인 D2676 엔진 사운드 모드이다.
  • 메르세데스-벤츠 OM471, OM473

    제작자 kriechbaum

    SCS 포럼

    벤츠 악트로스의 13리터 L6 엔진인 OM471 엔진 사운드 모드이다. 2.1버전부터는 기존의 OM471 엔진 사운드와는 별개로, ATS의 카스카디아 사운드를 기반으로 리워크 한 16리터 L6 엔진인 OM473 엔진 사운드가 추가되었다.
  • DAF MX13

    제작자 kriechbaum

    SCS 포럼

    DAF XF의 13리터 L6 엔진인 MX13 엔진 사운드 모드이다.
  • 르노트럭 DTi11, DTi13

    제작자 kriechbaum

    SCS 포럼

    르노 T의 11리터 L6 엔진인 DTi11 엔진 사운드와 13리터 L6 엔진인 DTi13 엔진 사운드 모드이다.
  • 이베코 Cursor 11

    제작자 kriechbaum

    SCS 포럼

    이베코 스트라리스 HI-WAY의 11리터 L6 엔진인 Cursor 11 엔진 사운드 모드이다.

5.2. Sound Fixes Pack

파일:648591060_preview_Picture0.png
제작자 Drive Safely
스팀 워크샵

5.2.1. 변경/추가된 사운드

회색 글씨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에만 적용되는 사운드이다.
은 1.37 버전 업데이트 대응으로 인해 삭제된 사운드는 취소선으로 표기한다. 단, 다시 원래대로 복원한 경우는 취소선을 제거한다.
  • 타이어 소리
    • 실제 실내, 실외 타이어 소리가 추가됨
    • 속도에 따라 타이어 소리가 실내에 울려퍼짐
    • 흙길과 자갈길에서 더 큰 자갈소리가 남
  • 서스펜션 소리
    • 작은 충격을 받을 때 서스펜션이 삐걱거리거나 트럭이 흔들리는 소리가 들림
    • 큰 충격을 받을 때 차키가 앞뒤로 흔들리는 소리가 추가됨
  • 게임플레이와 UI 사운드
    • 배송이 늦었을 때 나오는 음악이 노키아 휴대폰의 3세대 벨소리로 바뀜[30]
    • 열차와 페리의 로딩화면에서 '딩동' 소리로 변경.[31]
    • 차고의 셔터소리, 내비게이션의 메세지소리, 하품소리가 감소됨
    • 새로운 스크린샷(F10) 캡쳐 소리
    • 자산 변동[32] 소리[33]
    • 과적검문소에서의 Prepass[34]의 소리가 추가됨
  • 주유소 소리
    • 1960~1970년대 처럼, 주유중 복고풍의 종소리가 들림
    • 주유 펌프 소리, 연료 뚜껑 소리, 문닫는 소리, 안전 벨트 경고음과 차키소리가 기름을 가득 채웠을때 나타남
  • 실내 소리
    •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 와이퍼 스틱, 전조등버튼과 방향지시등 스틱, 방향지시등 소리가 실제 소리로 바뀜 1.37 버전에는 비상등 사운드만 살아남았다.
    • 리타더 사운드가 실제 소리로 바뀜
    • 요철을 지나갈경우 실제 요철을 지나가는 소리가 남
    • 잔디에서 빠른 속도로 운전할 시 차선이탈경보음이 남[35]
    • 리프트 액슬 버튼을 누를 때 나는 소리가 추가됨
    • 과속에서 바람소리가 더 빨리 들림
    • 변속기나 기어박스가 손상되었을 때 나타나는 기존의 기어연삭음과 새로운 기어연삭음을 혼합함
    • 차 내부에서 바람 소리가 더 작아짐
  • 트레일러 소리
    • 트레일러를 연결하고 분리하는 과정의 소리가 실제 소리로 교체됨
    • 트레일러를 분리할 때 에어 브레이크호스가 분리되는 사운드가 추가됨
  • AI차량 사운드
    • AI차량의 윙윙소리와 타이어소리가 감소되며 엔진소리가 조용해짐
    • AI차량의 새로운 경적소리가 추가됨
    • AI차량 운전자의 인내심에 따라 경적이 길거나 짧음
    • AI트럭과 AI버스에는 터보소리, 고유의 엔진소리, 기어번경 소리 등이 바뀜
    • AI 트래픽 모드와 오리지널 게임의 트럭 등 몇몇 차량을 위한 다양한 엔진음 (예: 오토바이가 지나갈때 오토바이 엔진음이 들림)
    • 차량을 추월하거나 반대차선의 차량이 지나갈때 경미한 소리를 들을 수 있음
  • 기타 소리
    • 복엽비행기기차 등의 소리가 증가됨
    • 원래 소리가 들리지 않던 F22 제트기와 파도, 예인선, 열기구 등의 소리를 들을 수 있음
  • 지역 분위기
    • Prefab (예:회사와 배송지) soundscape enhanced for American Truck Simulator (includes both daytime and nighttime ambience such as cicadas and crickets).
    • 다양한 맵모드는 주위의 분위기에 맞는 적당한 볼륨과 소리를 추가함
    • 다양한 회사 및 배송지에 적절한 소리가 포함됨
  • 에어혼
    •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를 위한 향상된 에어혼 소리를 서비스 센터에서 사용 가능해짐 (기존의 것 대체)
    • ATS에서 사용 가능한 에어혼 목록: 중고 에어혼 (저가), a sweet and deep air horn 그리고 기차 경적. 경고: 두 종류 이상의 경적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음.

5.2.2. 모드 적용 순서

파일:Sound-Fixes-3.jpg
에드온팩[36]
Grimes의 계절 모드
Sound Fixes Pack
빗소리 모드
교통량 모드
AI 트래픽 모드
맵 모드

6. AI 트래픽 MOD

단조로운 AI를 풍성하게 해주는 모드들이다. 모드 하나 하나가 굉장히 무거운 모드라서 트래픽 모드를 많이 구동시키면 엄청난 랙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모드 충돌로 게임이 튕길 수도 있으니 꼭 하고 싶은 것만 골라서 하는 것이 좋다.

6.1. Jazzycat AI Traffic Pack

여담으로 원래 jazzycat.ucoz.net이라는 공식 사이트가 있었으나 폐쇄되어[37] 현재는 ets2.lt 등지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중이니 거기서 찾아보자. 2019년 이후부터 Jazzycat이 다른 사람이 제작한 여러 MOD들을 무단으로 도용해 제작한다는 의혹이 있다.#
  • AI Traffic Pack

    제작자 Jazzycat

    쉐어모드 (1.39 호환)

    AI 트래픽 모드의 꽃[38]이며, 이 모드는 다양한 AI 차량을 추가해줄 뿐만 아니라, 기본 AI 차량[39]의 왜곡된 마크를 실제 마크로 바꿔준다.[40] 자동차 덕후들에겐 강력 추천하는 모드이다.
    모델은 대부분 포르자 모터스포츠그란 투리스모 시리즈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이지만, 위에 서술한대로 다른 사람의 MOD를 무단으로 가져온다는 의혹이 있다.
    일부 차량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차에 동승자 없이 운전자 1명만 타고 있어 현실성이 떨어져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일부 차량은 해당 차량 고유의 휠을 사용하지 않고 ETS2 바닐라 차량의 휠을 돌려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게 차량에 따라서 상당히 안어울리는 경우도 있다. 메르세데스-AMG GT 4-Door 쿠페포르쉐 타이칸도 실차의 멋들어진 휠이 아니라 투박한 일반 승용차 휠로 되어 있어 굉장히 깬다.
  • Motorcycle Traffic Pack

    제작자 Jazzycat

    쉐어모드 (1.39 호환)

    원래는 오토바이 5대가 위의 모드에 있었으나 더 많은 오토바이를 추가하기 위해 별도의 모드로 분리되었다.
제조사 차량명
메르세데스-벤츠 악트로스 MP2 / 악트로스 MP4 / 악소르 / 안토스 / SK / LK / NG / 아테고
스카니아 143M / 164L / P시리즈
이베코 유로카고
볼보트럭 F10 / FH12 / FMX / FL7
MAN TGA / TGS / TGX EURO6 / F2000 / TLF / Kat-1
Pegaso Troner
타트라 피닉스
DAF CF
르노 프리미엄 DCI / 케락스 / 메이저
기타 다양한 BDF 변형과 특별한 트럭들
  • Painted Truck Traffic Pack

    제작자 Jazzycat

    쉐어모드 (1.39 호환)

    961종의 실제 회사 스킨을 입힌 트랙터와 트레일러를 추가해주는 모드이다.
  • Bus Traffic Pack

    제작자 Jazzycat

    쉐어모드 (1.39 호환)

    1,273종의 스킨을 포함한 43종의 새로운 모델의 버스[41]를 추가하는 모드이다.
  • Painted BDF Traffic Pack

    제작자 Jazzycat

    쉐어모드 (1.39 호환)

    1,034종의 실제 회사의 스킨과 함께 562종의 BDF를 트래픽에 추가하는 모드이다.
  • Russian Traffic Pack

    제작자 Jazzycat

    쉐어모드 (1.39 호환)

    102종의 러시아 차량을 추가하는 모드이다. 러시아 지역을 추가하는 대부분의 맵 MOD는 이 모드를 필수로 요구한다.

6.2. TrafficManiac AI Traffic Pack

  • Sports Car Traffic Pack

    제작자 TrafficManiac

    쉐어모드 (1.39 호환)

    슈퍼카와 스포츠카를 AI로 구현시켜주는 모드이다. Jazzycat AI 모드와 완벽히 호환되며, Jazzycat AI 모드의 업데이트로 대부분의 스포츠카가 짤린 이후 새로 만들어진 모드이다. 아래의 Asphalt 8 Traffic Pack의 차들도 일부 포함되어 있으며, 종종 기존의 Jazzycat AI 모드에 있던 모델을 부활시키기도 한다.
  • Classic Cars Traffic Pack

    제작자 TrafficManiac

    쉐어모드 (1.39 호환)

    80년대 이전의 클래식카들을 AI로 구현시켜주는 모드이다. 역시 Jazzycat AI 모드와 완벽히 호환된다.

6.3. Asphalt 8 Traffic Pack

파일:Asphalt-8-1.jpg
파이널버전 다운로드 (1.27 호환)[42]]
아스팔트 8: 에어본에 등장하는 스포츠카들을 AI로 구현시켜주는 모드이다.
슈퍼카의 출연빈도가 상당히 낮아 원하는 차량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제조사 차량명
아큐라 NSX
아리에나 후사랴
아우디 R8 e-tron Type & LMS Ultra / RS3 Sportback Type / RS4 Avant B8 Type / S4 B8 Type
벤틀리 컨티넨탈 GT V8
BMW M1 / M3 세단 / M6
부가티 베이론 그랜드 스포트 비테세
캐딜락 CTS-V 쿠페 레이스카 / XTS
쉐보레 카마로 GS Mk.V / 콜벳 7세대
크라이슬러 ME 4-12
시트로엥 수르볼트
닷지 챌린저 SRT8 / 다트 GT
펠리노 cB7
페라리 FXX / 308 GTS / F12베를리네타 / 라페라리
포드 F-150 / 머스탱 GT
지리[43] GC9
GTA 스파노
헤네시 베놈 GT
HTT Plethore LC-750
인피니티 FX50 S51
재규어 C-X75 / F-타입
코닉세그 아게라 R / One:1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LP 700-4 / 쿤타치 25주년 기념 / 미우라 P400 / 세스토 엘레멘토 / 우루스 / 베네노
로터스 에보라 엔듀로 GT
루크라 L148
W 모터스 라이칸 하이퍼스포트
마러시아 B2
마세라티 그란투리스모 GT
맥라렌 12C 스파이더
메르세데스-벤츠 바이옴 / 실버 애로우 / SLS AMG Electric Drive / SLS AMG GT Final Edition C197
닛산 370Z Z34 / GT-R NISMO R35 / GT-R R35
오눅 Sazan
파가니 파가니 존다 R Evolution
푸조 오닉스
9FF GT9 VMAX
르노 드지르
RUF CTR3 / RT 12 S
Savage Rivale Roadyacht GTS
스파다 Vetture Sport Codatronca TSS
SSC 투아타라 / 얼티밋 에어로 TX
테슬라 모델 S
폭스바겐 골프 Design Vision GTI

6.4. Brazilian Car Pack

파일:Brazilian-Car-3.jpg
5.5버전 다운로드 (1.27 호환)
많은종류의 브라질 자동차, 버스, 오토바이를 추가해준다.
EAA 맵, RBR 맵과 완벽하게 호환되며 다른맵과는 완벽하게 호환되지 않는다.
Jazzycat이 제작한 Brazilian Traffic Pack보다 현지스러운(?) 느낌이 난다.

6.5. Brazilian Truck Pack

파일:Brazilian-Truck-3.jpg
7.5버전 다운로드 (1.27 호환)
브라질 느낌의 트럭들을 추가해준다.
EAA 맵, RBR 맵과 완벽하게 호환되며 다른맵과는 완벽하게 호환되지 않는다.
우리가 흔히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에서 운전하는 트랙터(트럭) 뿐만 아니라 탑차, 덤프트럭, 카고트럭 등 다양한 종류의 트럭까지 포함한다.

6.6. D.B Creation Traffic Mod

파일:external/static.wixstatic.com/b64387_b78f376885154cdf9865795adf5d3628.png
모드 공식 로고

모드 다운로드 사이트[44][45]
독일 유저 D.B Creation 이 제작한 AI 트래픽 모드. AI트래픽 모드이며 AI트래픽의 다양한 모드가 나와 있으며 Truck Physics, Intensity, Unlocks, Essentials, AI Traffic Trailers Pack, Xenon Lights, Special Rain Effects, Enconomy Mod[A], Music Mod & Songs[A] 들이 있으며 일부 모드 설명은 밑 문단에 나와있다.
  • Truck Physics
    이 모드를 적용하면 마치 실제 트럭을 운전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이른바 물리적인 효과로 트럭 성능이 달라진다. 제동력, RPM 구동 능력 등이 달라진다. 특히나 자주 눈치챌 수 있는 게 제동력인데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제동거리가 짧아지지 않고 서서히 밀리며 제동거리가 뒤로 밀리는 걸 느낄 수 있다.
  • Traffic Intensity
    말 그대로 AI 변화 교통량 변화 모드. Low / Normal / High 가 있는데, 눈에 보이는 'High'는 말 그대로 헬게이트 모드. 교차로 신호를 받고 반대편에서 많은 차들이 신호를 기다리는 헬게이트를 볼 수 있다.
  • Unlocks
    이전 명칭은 Behavior.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AI 트래픽 행동 패턴이 들어간 모드.
  • Essential
    해당 모드의 꽃. Unlocks 모드와 함께 추천받을 모드이다. 모드에 나와있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제동등, 방향지시등, 신호등 밝기 증가
    • AI 전조등 색상 수정. 전구색에서 백색으로 변경.
    • D.B 크리에이션 로딩 로고 추가
    • 이코노미 데이터 변경
    • 지도 기호 변경[48]
    • D.B 크리에이션 전용 트레일러 추가[49]
    • 트레일러 텍스쳐 변경[50]
  • Xenon Lights
    딱히 설명은 없고 운전 중인 트럭의 전조등을 기존 할로겐에서 제논 등으로 바뀌는 모드이다.

6.7. Realistic Vehicle Colours

다운로드
단조로웠던 기존의 트래픽 차량들의 색상을 다채롭게 바꿔주는 모드이다. 빨간색, 파란색 등 평범한 색들부터 연두색, 보라색, 분홍색 등 현실에서도 보기 힘든 색상들까지 다채롭게 나오는 편.

6.8. GTA V Traffic Pack

파일:gta5tp.jpg
다운로드
Grand Theft Auto VGrand Theft Auto Online의 차량들을 추가하는 모드. 비록 가상의 차량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실차를 바탕으로 했으며, 퀄리티는 상당한 수준. 슈퍼카와 스포츠카는 전용 FMOD 엔진음도 있다. 또한 튜너 차량들에는 전용 리버리도 존재한다.

그리고 이 모드의 제작자는 한국인이다. 아무도 비슷한 걸 만들지 않기에 자신이 직접 만들었다고 한다.

6.9. Fictional Cars Traffic Pack

파일:fictiontp.jpg
다운로드
위의 GTA V Traffic Pack 모드의 제작자가 만든 트래픽 팩. 이 모드는 각종 게임에 등장하는 가상의 디자인의 차량들을 트래픽카로 추가해준다. 주로 가져오는 게임은 번아웃 시리즈, 저스트 코즈 시리즈, 마피아 시리즈, 세인츠 로우 시리즈와치독 시리즈 등 매우 다양한 편. 이 모드의 제작 이유는 현실 차량을 추가하는 모드는 이미 Jazzycat, TrafficManiac 등의 기존 제작자들이 많이 만들어서 레드오션이기에 가상의 차량들을 목표로 삼았다.

6.10. BMW TRAFFIC PACK

다운로드
BMW의 차량들을 트래픽으로 추가해주는 모드. BMW M3BMW M5가 추가되며 M3는 튜닝 버전도 다양하게 있다.

7. 계절/날씨/그래픽 MOD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계절모드들은 대부분 그래픽과 텍스쳐를 뜯어고치는 방식이므로 다른 계절모드와 함께 사용이 불가능하다. 계절모드는 보통 모드매니저의 가장 윗부분에 놓는다.

계절모드를 전문으로 제작하는 모더 Grimes의 사이트

7.1. Spring Weather Mod

파일:ets2_01703.jpg
3.2버전 다운로드 (1.34 호환)
ProMods,TSM, RusMap, MHA맵 등과 호환된다.

게임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으로 변경해준다. 봄철에 볼 수 있는 꽃과 식물이 등장하며 바깥 기온은 늦가을/초겨울 모드와 동일한 8~13도로 설정되어 나온다.

7.2. New Summer Environment

파일:ets2_00024.jpg
2.8버전 다운로드 (1.33 호환/1.34 호환 불가)
ProMods,TSM, RusMap, MHA맵 등과 호환된다.

게임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여름으로 변경해준다. 여름철에 볼 수 있는 꽃과 식물이 등장하며 장마철에 맞게 비가 오는 빈도가 늘어난다.

7.3. Early Autumn Weather Mod

파일:ets2_00705.jpg
5.8버전 다운로드 (1.34 호환)
ProMods, TSM, RusMap, MHA맵 등과 호환된다.

게임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초가을로 변경해준다. 도로 갓길에 낙엽이 생긴다. 기온은 기존 환경과 다르게 14도 선으로 설정되어 나온다.

초가을 모드와 늦가을 모드 두 가지 버전이 존재했으나 5.7 버전부터는 늦가울 모드가 초겨울 모드(Mild Winter Mod)에 의해 합병되면서 초가을 모드만 남게 되었다.

7.4. Late Autumn & Mild Winter Weather Mod

파일:ets2_00808.jpg
3.3버전 다운로드 (1.34 호환)
ProMods,TSM, RusMap, MHA맵 등과 호환된다.

게임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온화한 늦가을 또는 초겨울로 변경해준다. 나무의 잎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색감이 회색으로 변한다. 기온은 봄 모드와 동일한 8~13도로 설정되어 나온다. 늦가을 모드가 5.7 버전부터 초겨울 모드로 합병되어 출시되었다. 늦가을과 초겨울의 특징이 꽤 차이가 나지만 1년 12달의 계절 변화를 세심하게 고려하기는 어려운지 합병되었다.

7.5. Frosty Winter Weather Mod

파일:ets2_00680.jpg
9.9버전 다운로드 ( ~ 1.55 호환)
ProMods, TSM, RusMap, MHA맵 등과 호환된다.

게임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한겨울로 변경해준다. 비대신 눈이 오고, 창문에도 눈이 쌓인다. 계기판의 온도는 시간에 따라 -7℃ 에서 영상 3℃까지 가리키는 등 실제 겨울과 비슷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함께 들으면 좋은 노래는 겨울 노래에서 알아보자.

모드를 다운받으면 잔디에 눈이 덮히는 모드, 도로에 눈이 쌓이는 모드, 물리엔진을 실제 빙판길로 변경해주는 모드, 헝가리맵과 호환되는 모드 총 4개의 애드온팩이 딸려나온다. 헝가리맵과 호환되는 모드를 제외한 3개의 에드온은 모두 적용시키길 권장한다.

다만 Physic(물리엔진을 빙판길로 변경), Heavy Winter(도로를 눈길로 변경)을 적용할 경우 조향이 힘들고 차량이 미끄러지거나 트레일러가 제 멋대로 움직이는 등 실제 겨울과 비슷한 환경을 보여준다. 유로트럭에서 드리프트를 즐길 수 있지만 그만큼 데미지 위험도 매우 높게 증가한다. 이런 불편을 원하지 않는 유저들은 Heavy Winter와 Physic을 빼고 Frosty 모드 하나만 적용하자.

2018년 12월 말부터 TruckersMP(멀티)에서도 Frosty Winter Mod 를 적용 가능하게 되면서 겨울 모드로 인한 사고가 여럿 발생하고 있다. 겨울모드로 인해 움직임이 불안한 차량도 여럿 보이며, 정체 구간에서 속도를 줄이지 못한 차량이 앞 차와 충돌하는 사고도 일어난다.

멀티에서는 Heavy Winter, Physic 두 모드는 치명적이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 제 멋대로 움직이는 트레일러가 다른 유저를 쳐서 밴을 당할 위험도 있다. 그 밖에도 커브를 돌 때 차가 360도 회전을 하여 다른 유저를 쳤을 경우 Ramming(래밍)으로 간주하고 신고를 하는 경우도 다소 있으므로 이를 원하지 않는 유저들은 Physic과 Heavy Winter. 두 모드는 적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7.6. Grey Skies Weather Mod

파일:ets2_00200.jpg
2.1버전 다운로드 (1.27~1.28 호환)
ProMods,TSM, RusMap, MHA맵 등과 호환된다.

게임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흐린 날씨로 변경해준다. 밤이 더 어두워졌다.

7.7. Tropical Environment

파일:ets2_00255.jpg
3.7버전 다운로드 (1.27~1.28 호환)
ProMods와 같은 유럽맵과 호환된다.

게임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열대기후로 변경해준다. 열대성식물이 자란다. 함께 들으면 좋은 노래는 여기를 참조하자

8. 파츠/튜닝/장식 MOD

8.1. SiSL's Mega Pack

파일:mega pack maxresdefault.jpg
다운로드
SCS 소프트웨어에 소속된 개발자가 제작한 MOD이며, Cabin Accessory DLC 출시 이전부터 있던 모드. 캐빈 내부 장식을 대거 추가해준다. 현재 ETS2 창작마당 전체 구독자 수가 86만, 최다 구독자 모드 1위를 기록 중이며 사실상의 캐빈 액세서리의 필수요소로 각광받고 있다.

모더가 스타워즈 팬인지 장식 소품중 3분의 1은 스타워즈 관련 소품이다. 모더가 튀르키예인이라 장식품 중 책이나 커스텀 국기장식들은 모두 튀르키예어와 튀르키예 국기로 되어있다. 음료수, 과자, 작업일지, 인형, 커피포터, 여권, 내비게이션, 노트북 등 실내소품 뿐만 아니라 조수석의 사람이나 애완동물, 핸들까지 구현해놓은 모드이다.

9. 멀티플레이 MO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ruckersMP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ruckersMP#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ruckersMP#|]]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성능 튜닝, 물리 엔진 MOD 및 트럭 내구성 테스트

원칙적으로는 제한속도, 법규를 지켜가면서 운전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성향에 따라 빠른 속도로 트럭을 모는걸 좋아하는 경우도 있다. 기본 세팅으로는 스카니아가 177km/h, 볼보가 184km/h까지 낼 수 있지만[51] 엔진, 변속기 튜닝만으로도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으며 무게를 늘리거나 물리엔진까지 튜닝을 이용하면 더 빠른 속도로 맵을 횡단할 수 있으며 노 데미지 모드는 필수이다. 모드엔진 대부분이 0렙이나 1렙부터 뚫려서 밸런스가 안맞는다는 비판이 있긴 하지만 기본 게임 컨텐츠가 제한적이라 이들조차 30렙이 넘어가면 엔진 모드를 찾는 유저가 생기는건[52]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심지어 990마력짜리 엔진모드를 쓰는 버튜버도 있다.

빠른 속도로 달린다면 커브 능력도 중요하므로 밑의 물리엔진 문단의 커브 저항성을 기르는 방법을 참고하는 것도 좋다.

이 분야의 챔피언 급으로는 truckers universe가 있다.링크

성능 튜닝 방법은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차량 목록 참조.

매커니즘이 단순해서 엔진과 변속기 모드가 다른 제작자여도 오류가 나지 않는다. 밑에서 서술한 모드 중 최신 차량은 쓸 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MarioBG02, power, raiden, ga071ma의 엔진 모드는 최신 차량도 사용 가능하다. 유로트럭에서 가장 쉽게 모드를 제작할 수 있는게 엔진, 변속기, 물리엔진, 샤시 모드이기도 하며 심지어 일부 모드트럭까지 적용할 수 있다. 악세서리를 지원하지 않는 차량에다 악세서리를 추가할 수도 있기도 하다.[53]

10.1. 사실적인 물리엔진

물리엔진 변경 과거 가장 인기 있었던(혹은 기본적인) MOD라고 불리는 실제 물리 MOD(Realistic Physics MOD)의 경우 전체적인 움직임이 조금 더 사실적으로 변했었다. 이 패치를 적용 시 위쪽에 있는 트럭별 특징이 변할 수도 있다.[54] 1.9부터는 물리 적용 방식이 바뀌어서 모드 없이도 이전 버전(1.8 이하)에서 모드를 적용한 것과 비슷하게 된다.링크 아무 물리엔진이나 괜찮으며 자신에 맞게 값을 바꿀 수 있다. 순정 물리엔진으로 100km/h를 넘어가면 커브를 틀기 힘든 특성상 유로트럭에서 빠른 속도로 맵을 횡단한다면 물리엔진 모드를 조절해서 커브를 빨리 틀도록 만드는게 중요하다.

빠른 속도로 커브를 튼다면 steering_sensitivity_multiplier_100kmh 값을 1로 놓으면 핸들링이 많이 개선되긴 한다. steering_sensitivity_multiplier_0kmh 값도 1로 놓는게 좋은데 왜냐면 0kmh, 100kmh 모두 비율이 맞아야 하기 때문. 눈길 모드 물리엔진을 역이용해서 값을 바꾸면 덜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참고로 GA071MA의 물리엔진+위의 방법까지 합하면 더 빠른 속도로 커브를 틀 수 있다. tyre stiffness, wheel slipping, steering_sensitivity 계열의 값을 조절하면 커브를 틀수 있는 속도가 급격히 늘어나며 아우토반에서 250~300km/h 이상으로 크루즈 컨트롤을 해도 커브를 매끄럽게 돌 수 있다.

또한 커브길에서 원심력에 의한 전복을 막기 위해서는 트럭 안정성을 올려야 하는데 uset g_truck_stability, uset g_trailer_stability 이 숫자를 올리면 된다. 기본값은 100%가 0.5이며 1로 올린다면 200%가 된다.

심플하게 플레이 한다면 GA071MA의 엔진 모드는 고속에 특화된 물리엔진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른 차량을 몰아도 이 모드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물론 트럭 안정성 이런건 콘솔 명령어를 이용해 따로 조절해야 한다.

10.2. 타이어 모드

모드 트럭 중 kraz 258, 미쓰비시 후소 트럭의 경우 타이어를 다른 트럭에 낄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라즈 모드를 추가하면 타이어 악세서리를 바꿀때 일반 트럭도 오프로드용 타이어로 바꿀 수 있다.

크라즈 (kraz 258)과 미쓰비시 후소 다운로드 링크는 위를 참조.

10.3. 엔진, 변속기, 연료탱크 모드

모드 엔진, 변속기라 해도 용도와 등급이 천차만별로 갈리는데 유로트럭은 아메리칸 트럭과 달리 스왑 혹은 튜닝 문화가 적어서 현실적이라 보긴 어렵다.[55][56] 다만 모드 트럭은 아메리칸 트럭이 아닌 유로 트럭이라 해도 1000~1150마력까지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Raiden, GA071MA의 엔진 모드가 속도도 적당히 높으며 사운드도 다양해서 인지도가 있는 편이며 이 둘이 엔진 모드계의 투탑이다. Power의 엔진모드도 일렉트릭 엔진이 추가되면서 일반 트럭에 일렉트릭 엔진을 끼운다는 획기적인 발상으로 인기가 느는 중이다.

아메리칸 트럭이 엔진 모드를 많이 사용하지만 유로트럭이어도 아예 사용하지 않는 수준은 아니다. def 값을 조절해서 엔진, 변속기 숫자를 조절할 수 있는 모드는 (커스텀 가능) 이라 써놓았다.[57] 토크 커브를 모두 1로 놓으며 변속기보단[58] 엔진 rpm을 올리는게 최고속도까지 빨리 올라가며 가속을 빨리 할 수 있다. 오히려 변속기를 건드린다면 고단 기어를 삭제하는게 낫다.[59]

하지만 엔진 모드라 해도 변속기의 기어비를 낮추는 것이 대부분이며 rpm을 높이는 엔진은 은근 찾기 힘든데 3000rpm이 넘어가면 똑같은 엔진음이 나와서 그렇다. 결국 rpm을 높이는 엔진을 만든다면 커스텀으로 엔진 모드를 제작하는 방법밖엔 없다.

10.3.1. MarioBG02의 엔진, 변속기 모드

1000마력 엔진을 쓰면 최고속도 204~215km/h까지 나온다.[60] 동일한 사람이 만든 모드 차량에도 착용할 수 있다. 변속 스피드가 0.2초로 굉장히 빠르다.

크라즈 타이어를 착용한 뒤 high_speed_test_track으로는 235, 경사가 가파른 내리막 구간(마리오 맵 알제리 부분)에서는 234까지 올라간다.

비밀번호가 걸려있다.
엔진 마력 최고 rpm 토크 언락 레벨
1000 hp Mario 1000 2600 4,800 Nm 1
변속기 기어 단수 기어비[기어비] 종감속비[종감속비] 언락 레벨
6 speed DCT Mario 6 4.70-0.58 4.05 1
12 speed DCT Mario 12 11.73-0.72 3.08 1
엔진&변속기: 링크

10.3.2. Raiden의 엔진, 변속기 모드

엔진 라인업: 셀수 없이 많은 엔진 라인업이 존재하지만 대체로 5000마력까지의 엔진이 있으며 10000마력 1개가 존재한다. 유로트럭은 100000마력 엔진도 있으며 610000유로나 한다. 1.54까지는 압축파일을 열 수 있었지만 1.55부터는 압축파일을 열 수 없도록 바뀌었다. 1.55 이후로 100000마력 엔진도 라인업이 많이 늘었다.
변속기 라인업: 이쪽도 셀수 없이 많은 엔진 라인업이 존재한다.
엔진&변속기: 링크

10.3.3. GA071MA의 엔진, 변속기, 연료 탱크, 물리 엔진 모드

엔진 라인업: 850(5037nm), 2500(9570nm), 5000(12500nm), 10000(17501nm), 20000(19500nm), 30000(176339nm) 마력의 엔진이 존재하며 다양한 엔진 사운드까지 잘 구현되어 있는게 특징이다. 20000마력 엔진은 언락 레벨이 50레벨, 30000마력 엔진은 언락 레벨이 100레벨이며 크라이바움 엔진 소리도 있다.
변속기 라인업: 12 GA071MAxx, 8 GA071MA, 10 GA071MA, 4L+6H GA071MA Heavy Cargo 변속기가 있다. 다만 4L+6H GA071MA Heavy Cargo는 최고속도가 192km/h까지만 나온다.
연료 탱크 라인업: 1250L, 2500L, 5000L짜리 연료 탱크도 있으며 대체로 4x2 샤시는 1250L, 6x2 샤시는 2500L, 6x4 혹은 8x4 샤시는 5000L다. 다만 어떤 샤시는 8x4인데도 2000L인등 지멋대로 이기도 하다. 더 많은 연료탱크 모드를 원하면 밑의 중국인 모드를 이 모드보다 위에 배치하는게 낫다.
엔진&변속기&연료 탱크: 링크

참고로 모드트럭 중 프라이트라이너 카사디아에도 이 엔진을 착용할 수 있으며 몇몇 모드트럭에도 이 엔진을 착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속에 특화된 물리엔진이 내장되어 있어서 커브길은 빠르게 돌 수 있으며 공기 저항이 거의 없다. 다만 기본 엔진 중 가장 빠른 볼보나 스카니아 스톡 상태(750hp, 780hp)는 rpm 제한, 기어비 한계에 부딫혀서 최고속도가 크게 안올라간다.

10.3.4. Power의 엔진, 변속기 모드(커스텀 가능)

엔진 라인업: 800(7000nm), 1000(7500nm), 1250(8000nm)마력의 엔진이 있다. 표기와 실제가 다른데 3550~3650nm라 쓰여있지만 실제 출력은 6500nm, 7000nm, 7500nm 엔진이다. 단 iveco strails hiway에서 사용하려면 cur13_563.iveco.hiway.engine을 cursor13_563.iveco.hiway.engine로 바꾸어야 작동하며 volvo fh4 Ultra Powerful Plus 엔진이 10만유로가 아닌 100만유로라 적혀있는 오류가 있다.

1.55에서는 전기엔진이 추가되었으며 위의 오류도 수정되었다. 일렉트릭 엔진 사운드가 간지로 일렉트릭 엔진이라는 획기적인 발상으로 인기를 끄는 모드이기도 하다. 최고 rpm이 2500rpm으로 높아서 일렉트릭 엔진을 사용하는게 좋다. 속도도 14단 변속기만 끼워도 트레일러를 끼운 상태에서 250~260 이상 낼 수 있으며 트레일러를 빼면 270이 넘기도 한다. 기본 물리엔진으로는 커브를 틀기 힘들며 감속이 심해서 GA071MA의 고속 특화 물리엔진을 쓰는게 좋다. 16단 까지도 비슷하게 나오지만 18단을 끼우면 기어비가 너무 낮아서 오히려 속도가 줄어든다.
엔진 마력 토크 언락 레벨
Powerful 1000 실제 7,000 Nm(표기 3,550Nm) 1
Ultra Powerful 1250 실제 7,500 Nm(표기 3,550Nm) 1
Ultra Powerful Plus 1500 실제 8,000 Nm(표기 3,550Nm) 1
E-powerful (diesel sound) 1000 실제 7,000 Nm(표기 3,550Nm) 1
E-powerful (electric sound) 1000 실제 7,000 Nm(표기 3,550Nm) 1
변속기 기어 단수 기어비[기어비] 종감속비[종감속비] 언락 레벨
Powerful 14 11.73-0.55 3.05 1
Ultra Powerful 16 11.73-0.50 3.03 1
Ultra Powerful Plus 18 11.73-0.40 3.00 1
엔진&전기엔진: 링크
변속기: 링크

10.3.5. 기타 엔진 모드

  • Prof의 10000hp&변속기 모드
엔진 라인업: 10000(73540nm)마력 엔진이 있다. 최고 rpm을 12000rpm까지 올려준다.
변속기 라인업: 차동기어 3.08 기어비 0.02 61단 기어가 있다. 61단은 기어비 0.02로 사실상 쓸 일이 없으며 rpm을 높이 올려주는 특성상 기본 변속기를 사용해도 속도가 부족하지 않다.
엔진&변속기: 링크
2025년 8월 31일자로 최신 DLC 트럭에 적용되었다.
  • Max Chui의 31600hp&변속기 모드
엔진 라인업: 31600(45000nm)마력 엔진이 있다. 최고 rpm을 7500rpm까지 올려준다.
변속기 라인업: 차동기어 2.69 기어비 0.20 버전이 있다. 기어비 0.2는 사실상 쓸 일이 없으며 rpm을 높이 올려주는 특성상 기본 변속기를 사용해도 속도가 부족하지 않다.
엔진&변속기: ets2.lt 스팀 창작마당
  • All Trucks 850hp, 1500hp, 2500hp의 엔진 모드
엔진 라인업: 850(7850nm), 1500(9750nm), 2500(13750nm)마력 엔진이 있다. rpm 제한은 특이하게도 850마력이 2800, 1500마력이 2675, 2500마력이 2580로 850hp가 가속력이 좀 떨어지긴 하지만 최고속도는 더 높으며 2500hp는 초반 가속력은 빠르지만 최고속도가 좀 낮다. 토크가 2600rpm에서 끊기는걸 보면 실질적으로는 2600rpm이 한계이며 2500마력만 2580rpm이 한계로 보인다.
엔진: 링크
  • Engines & Transmissions
엔진 라인업: 780(3800nm), 1000(4750nm), 2000(9500nm), 4000(16500nm)마력 엔진이 있다. rpm 제한은 모두 2800rpm이다. 이 엔진, 변속기를 쓰면 GA071MA 물리엔진 착용시 307km/h 내외까지 나온다. 기본 맵을 달리기엔 적당히 빠른 수준의 엔진이라 볼수 있다.[65]
변속기 라인업: 24단 변속기가 있으며 차동기어 2.69, 기어비 38-0.65 버전이 있다.
엔진&변속기: 링크
  • Smart-Power Engine (9995HP) / Smart-Shift Transmission (16AMT)
    晩景緋音_bankei akane의 지인 rebo가 만든 모드이다. 직접 트위터로 478km/h까지 나올 수 있다 언급했으며링크 GA071MA의 물리엔진, 트럭 무게, 트레일러 무게를 늘리는 꼼수까지 사용하면[66] 600~605km/h 이상까지도 나올 수 있다. 모두 2500rpm 리밋이 걸려있다는 점이 있지만 위의 두 엔진모드를 제외하면 대부분 2800rpm 이내에서 끊겨서 단점이라 보긴 어렵다.
링크

10.4. 연료 탱크 모드

  • RODONITCHO MODS의 2000L 연료 탱크 모드(커스텀 가능)
연료 탱크 모드는 고속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샤시의 무게를 늘릴 수도 있다. 참고로 연료탱크를 더 늘린다면 adblue_tank_size 항목을 추가해야 된다. 1.55 버전에서 사용하려면 manifest.sii 가서 competive version을 1.55로 바꿔야 한다. 기본 무게일때 6x2 혹은 6x4 샤시일때 250km/h까지 견딜 수 있으며[67] 8x4 샤시를 쓰면 300km/h까지 견딜 수 있다. 트럭 무게를 더 높이면 높은 속도에서도 와리가리 하는 현상이 줄어들며 맵 에디터를 이용해 직선 맵을 만들었다면 이게 필요할 수도 있으며 트레일러 샤시 무게도 함께 늘려야 한다.[68]
연료 탱크: 링크
  • 挞跋燕의 30000L 연료 탱크 모드
연료의 용량을 30000L까지 올려주어서 연료 걱정을 덜어준다.
연료 탱크: 링크

11. 애니, 버튜버 캐릭터 동승자, 트레일러 및 음합엔 음성 네비게이션 모드

11.1. 동승자 모드

  • 파일:external/ets2.gr/ets2_00166.jpg
    파일:external/ets2.gr/ets2_00207.jpg
애니 캐릭터 동승자 모드. 유로트럭 근황이라는 이름으로 퍼져 있다. 다만 일부 트럭에서만 적용 가능. 호무라는 여기에서 받을 수 있다. 아쉽게도 1.10버전 이후부터는 사용이 안 된다. 19.05.11 기준 다운로드 링크가 막혔다. 도색 모드는 많으므로 동승자 모드만 적어놓았다. 밑에 있는 미쿠 동승자 모드도 동승자만 추가하는 수준이지 인테리어를 전부 바꿀 수 없어서 하위호환이라는 평가가 많다.링크
  • 홀로라이브[70](ホロライブ):
0기 사쿠라 미코
1기 아키 로젠탈,시라카미 후부키,아카이 하아토
2기 미나토 아쿠아졸업
3기 우사다 페코라
4기 히메모리 루나,토코야미 토와
5기 시시로 보탄,유키하나 라미,모모스즈 네네,오마루 폴카
6기 하쿠이 코요리
게이머즈 네코마타 오카유,이누가미 코로네,오오카미 미오
en mith 가우르 구라,왓슨 아멜리아종료
en promise 나나시 무메이,하코스 벨즈

11.2. 드라이버 모드

  • 사쿠라 미코(さくらみこ):

    제작자 tiyuki(ちゆき)

    사쿠라 미코

    기존까지가 동승자를 바꾸는 모드였다면 이번엔 드라이버 자체를 씹덕 캐릭터로 바꿀 수 있다. 위의 치유키 모드 자체가 외국인인 대만인들도 사용할 정도로 인지도가 꽤 있다.

11.3. 액세서리 모드

11.4. 트럭, 트레일러 스킨 모드

홀로라이브, 블루 아카이브, 프로젝트 세카이, 러브라이브, 음합엔 캐릭터 등 다양한 애니, 게임 캐릭터 스킨의 트럭, 트레일러 스킨 모드가 있다. 창작마당, ets2.lt에 들어가면 무수히 많다.
  • 미쿠 트럭, 트레일러 스킨: 링크

11.5. 드라이버, 회사 로고 모드

단순하게 드라이버 프로필을 애니나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바꾸는 것이며 동승자나 드라이버의 모델을 바꾸는 모드는 아니다.
  • 블루 아카이브 드라이버 로고 모드: 링크 덩달아 은행, 고용기관, 드라이버 관리자, 서비스 로고가 블루아카 식으로 바뀐다. 너무 밑에 있는 캐릭터는 바꿀 수 없다.

11.6. 음합엔 캐릭터 음성 네비게이션 모드

음합엔 캐릭터들이 많은 만큼 다양한 음합엔 캐릭터 음성 네비게이션 모드도 있으며 대부분 일본어이다. 의외로 미쿠의 네비게이션 음성 모드를 찾기 힘든 편인데 이유는 일본 어지간한 유튜버들이 voiceroid를 사용하는 영상을 올리는데 미쿠보다 타 음합엔들을 더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보컬로이드가 미쿠가 원툴인 시대는 이미 지난지 오래이며 인기곡들만 봐도 다양한 음합엔을 사용해서 곡을 만든다.

다만 음합엔 네비게이션 모드 제작자가 반드시 인기 음합엔을 사용하지는 않는 경향이 있다. 심지어 카후(可不)는 인기 음합엔인데도 동승자는 물론이며 트레일러 스킨 모드도 찾기 힘들다. 트레일러 스킨까지 합하면 카후 스킨을 착용했던 트레일러는 있다.[71] 심지어 v flower는 동승자, 스킨, 네비게이션 모드 다 없다. 아무래도 이들 음합엔이 노래 부르는데 특화된 음합엔이라 깔끔한 목소리를 요구하는 음성 네비게이션엔 어울리지 않을 수도 있다. 유로트럭을 하면서 보컬로이드, 우타이테 팬이 되는 경우도 있으며 운전하면서 들을만한 라디오, 뮤비를 찾다가 보컬로이드, 우타이테 입덕까지 가는 경우도 있다.
  • 유즈키 유카리(結月ゆかり)의 네비게이션 음성 모드: 링크 조교 오류가 있으며 역주행 시 띡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다. recomputing_4.ogg 파일에 음성 오류가 있기 때문이다. 목소리 실행하는 파일이 bank파일로 묶여있어서 bank파일을 풀었다 재압축하지 않는 이상 어느 하나의 목소리만 제거하기도 어렵다.
  • bankei akane의 네비게이션 음성 모드: 링크 ATS는 없으며 ETS2에만 존재한다.

12. 그 외 기타 MOD

  • Real Company Logo v2.0
    1.6버전 다운로드 (1.47 호환)
    러시아 유저인 Schumi가 제작했으며 ETS2에 등장하는 패러디된 회사명을 실제 회사명으로 바꿔주는 MOD이다. 7가지 맵 DLC(Going East!, Scandinavia, Vive La France!, Italia, Beyond the Baltic Sea, Road to the Black Sea, Iberia)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필수이며[72] 맵 MOD인 ProMods와 전술했던 DLC 지역이 겹치는 RusMap과 상호 호환이 가능하다.
  • Real Economy Reloaded
    다운로드
    실제 세계 경제 상황을 반영한 MOD. 스킬 만렙을 찍었을 때 거의 20만 유로 이상 벌어들이는 수익이 실사와 같이 거의 백, 천 단위로 확 줄어들며, 대출, 보험, 교통 범칙금, 경험치와 보상 또한 실사와 같이 리워크된다. 현실적인 연료 소비 옵션을 켜주면 마치 실제 환경에서 화물을 배송해 실제 수입을 얻을 수 있는 극한 체험까지 할 수 있다.
  • SiSL's FlatUI
    다운로드
    UI 교체 모드. 아이콘을 단순화 시키고 전체적인 인터페이스를 입체적인것에서 평평하게 바꿔준다. 다만 1.5.0 업데이트로 UI가 변경되며 사장된 모드
  • Sleep Less Work More
    창작마당 링크 (1.47 호환)
    전체적인 취침 및 운전 사이클을 개선하는 모드. 사용 시 운전 가능한 시간을 11시간에서 18시간까지 늘려주고, 취침 시간을 9시간에서 6시간으로 줄여준다. 주의 사항으로 해당 제작자는 하위호환 따위는 신경쓰지 않다보니(...) 예고 없이 업데이트되어 항상 최신 버전을 사용하는 Steam 창작마당 특성상 업데이트 이후에는 이전 버전을 다운로드할 수 없으므로[73] 이전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면 해당 모드를 업데이트 전 미리 백업해두는 것을 추천한다. 심지어 파일을 건드리면 운전 시간이 23시간, 취침 시간을 1시간으로 수정할 수도 있다.
  • 이것 외에도 전조등 패치, AI들이 차선을 좀 더 효율적으로 쓰게 해주는 패치, 각종 데칼 패치, 사실적인 날씨 등 창의력 돋는 여러 가지 모드가 존재한다. mariobg02가 만든 미국 트럭 추가 모드의 경우 최고 마력 엔진이 1000마력 내외로 보통 기존 트럭보다 높으며 섀시도 8X4섀시(뒷바퀴가 세 줄, 장거리 중화물 수송용 섀시)까지 선택 가능하다. 이 모드로 피터빌트켄워스 등 미국식 트럭을 몰아보면 유럽에서 혼자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 하는 느낌이 든다.
  • 일부 통합 MOD 팩에 포함된 'Air Brake and turbo whistle Sound' MOD의 경우 운전할 때 소음에 가까운 터빈휘슬 소리가 계속 나기 때문에 두통을 야기할 수 있으니 주의.
  • 역시나 그렇듯이 그래픽 모드 또한 존재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그래픽 모드의 해상도는 같다. 다만 약간씩 도로의 색, 구름의 모양등등이 다를 뿐이다. 그래서 그래픽 모드는 다 깔지 말고, 자신이 맘에 드는 것을 받도록 하자. ( 물론 그래픽 모드중에서도 텍스쳐가 빈약한 모드도 있고, 모든 텍스쳐를 뜯어 고친 모드도 있다. )
  • 오큘러스 리프트 모드는 안 나오려나
    이미 SCS가 베타로 지원하는 사항(2013년 말부터!!!!)으로 스팀 유저라면 베타란의 오큘러스 란을 선택해두고 게임 실행 시 -oculus 명령을 추가하여 플레이하면 된다. 다만 오큘의 해상도 때문에(DK2라 해도 그렇다.. 하물며 해상도가 더 낮은 1은...) 계기판 읽기가 나쁘거나 불가능할 수 있으니 주의. 그래도 즐기는 맛은 매우 좋은 편 공식포럼 참고
  • Real Fuel Prices
    다운로드
    이 모드는 유럽의 경유 시세가 고정되지 않고 일주일에 1번씩 변하게 된다.[74] 이 모드는 업데이트가 잦아 ets2.lt에서 없으며 위에 소개된 사이트에 가서 구독만 하면 된다. 여담으로 실제 유럽 경유 시세는 여기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전 리버전에 있는 모드는 해당 개발자의 사정으로 업데이트가 중단되어 다른 모드로 대체했다. 이 모드는 기존 국가 외에 맵 모드인 ProMods, 프로젝트 발칸, 러시아맵과 100% 호환이 가능하다. 어쩌다 업데이트가 닷새, 최대 열흘간 밀리는 경우가 가끔 있다.
  • The DAF XF v4.8(1.38 전용)
    다운로드
    DAF XF 105를 카고트럭 버전으로 변경해주는 모드이다. 다들 알다시피 우리나라 트럭의 절대다수가 카고트럭이며 트레일러보다는 카고트럭이 운전하는 것도 쉽기 때문에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모드이다.
    단, 이 모드는 많아봤자 8톤까지 밖에 안되므로 돈이 급하다면 비추천. 그러나 트레일러 몰다가 이거 몰면 진짜 트럭 운전이 이렇게 쉬웠나라는 생각이 저절로 들 것이다(...)
  • Free Toll Gate
    다운로드
    하이패스와 동일하게 톨게이트 통과 시 기다리지 않고 안전하게 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모드이다.
    국경 검문 게이트는 통과할 수 있지만, 도개교와 운송회사의 출입구 게이트는 통과할 수 없다.
  • Actual Day-/Night times
    다운로드
    실시간 날짜에 따라 일출 및 일몰 시각이 변하는 모드이다. 일출 및 일몰 시각 모드와 함께 계절 모드를 같이 적용하면 완전한 금상첨화이다. ProMods를 적용하고 아이슬란드나 노르웨이 노르카프와 같은 북위도 지역으로 이동하면 여름에는 백야현상을, 겨울에는 극야현상을 체험할 수 있다! 모드는 최상단으로 위치해야 제대로 작동한다. 매주 업데이트된다.
  • Winter Timezones
    다운로드
    겨울은 서머타임이 해제되므로, 일광절약시간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서머타임 참고
    매년 10월 마지막 일요일부터 다음 해 3월 마지막 일요일까지 이 모드를 사용하면 된다.
  • Real distance and time
    다운로드
    말 그대로 게임 내 시간과 거리가 1:1로 흐른다. 지역마다 축척이 달라서 정확한 거리가 몇km 남았는지 알기 힘들단 비판이 있었지만 이걸 깔면 직관적으로 몇km 남았는지 알 수 있다. 단, 네비가 이상한 길을 안내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맵보다 위에다 놓으면 europe 모듈인 거의 모든 맵에서 사용 가능하며 japan으로 놓으면 project japan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현실과 비슷하게 주유소를 들락날락 할일이 없지만 돈이 잘 안벌리며 경험치 올리는게 노가다라는 점에서 1:1 축척 모드가 인기가 없는 편이다.
    맵 끝에서(포르투갈 파루) 끝까지(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최단거리로 262km가 나온다.
  • Increase road speed limits
    다운로드
    트럭이나 버스도 승용차 수준으로 제한속도를 높일 수 있다.[75] ETS2.lt버전은 사용할 수 없으며 창작마당 버전만 사용할 수 있다. 오류가 있다면 라트비아의 고속도로 최고속도가 90이며 덴마크의 고속화도로 최고속도가 80으로 되어있는데 각각 110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
  • No Damage
    문자 그대로 추돌해도 데미지가 전혀 생기지 않는다.[76] 프로모드[77] 등 타 맵과 같이 사용할때는 맨 위에다 놓아야 한다. 수없이 많은 모드가 있지만 대표로 1개만 적어놓았다.링크
  • Exp Up
    晩景緋音_bankei akane의 지인 rebo가 만든 모드이다.[78]링크 배달을 할때면 10배로 경험치를 얻거나, 주차 보너스가 늘어나거나, 배달 보너스를 더 얻는 등 많은 규칙이 달라진다. 다만 일을 포기하면 백만유로의 손해를 본다.

[1] mod 폴더가 없을 시 직접 생성하면 된다.[2] 덤으로 제작자가 업데이트를 하면 자동으로 모드가 업데이트가 되므로 굳이 귀찮게 모드를 다시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어진다. 워크모드를 활성화 중에 채 싱글플레이를 하는 도중에 강제 종료가 일어날 수 있는데 이는 업데이트를 시작한다는 뜻이니 당황하지 말자.[3] ~ 표시는 /home/<사용자 이름>과 같은 홈 디렉토리이다.[4] SCS 공식 포럼에 있는 모드 공유 게시판으로, 특징으로는 유료 모드의 배포 금지 규칙으로 인해 유료 모드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유료 모드가 아닌 모드를 찾고 싶다면 여기 있는 게시판을 이용해도 된다.[5] 여기는 모드 대부분이 공식적으로 배포되는 사이트이기 때문에 이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비추천] 리투아니아에 서버가 위치해있는 사이트로 가장 유명한 사이트이지만 검수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간혹 가짜 모드나 광고로 인한 바이러스(특히 랜섬웨어)가 있는 모드들이 올라오기도 하니 공식 홈페이지나 포럼 또는 포럼 게시글이 있는 모드들은 그 쪽을 먼저 확인하고 서로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 2023년 기준 아예 관리를 포기했는지 업로드되는 모드 중 거의 절반은 가짜거나 도용된 모드들이니 주의가 필요하다.[7] 덧붙여 사이트 자체의 문제는 아니고 연결된 파일 호스팅 사이트들의 문제지만 다운로드 속도가 상당수의 확률로 복불복, 즉 운빨좆망겜이 되어버린다. 어떤 경우에는 모드를 아주 빠르게 다운받는 경우가 있긴 하면 느린 경우에는 최대 50KB/s, 심지어 5~15KB/s 까지 떨어지는 경우도 또한 있다. 대체로 대한민국 시각으로 밤에 접속하면 다운로드 속도가 느려지는데 이유는 이 시각으로는 유럽에는 대낮이라 트래픽이 몰려서 그렇다. 그러므로 맵이나 AI, 트레일러 모드같이 용량이 큰 모드 다운로드를 할 경우에는 밤시간대를 피해 한국시각대인 평일 오전~저녁 시간대에 다운로드를 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리투아니아어 전용 홈페이지도 따로 있으나 영어 홈페이지의 모드 업로드가 활발한 탓에 모드 업로드가 2014년 1월 이후로 아예 없는 상황이다. 2024년 6월 24일 기준으로 환경에 따라 접속이 차단되었다는 문구가 뜰 때도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8] 이는 비슷한 장르의 상용차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 국내 커뮤니티에서도 마찬가지이다.[9] 강제탈퇴로 인해 (재)가입불가 상태이면 한국형 모드를 절대, 영구적으로 열람 및 다운로드를 할 수 없기에 개방성, 익명성을 추구하는 디시인사이드 ETS2 마이너갤러리 같은 외부 또는 SCS 포럼 같은 국외 커뮤니티 쪽에서는 국내 인터넷 카페의 특성상 폐쇄적으로 파일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다면서 국내 파일 저작권 인식에 대한 비판이 가끔 나오기도 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을 참조바란다.[10] 자거나 다른 차고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배송목록을 초기화 시키면 해결될 때도 있음.[11] 스팀 유저명은 Fordsonmies.[12] 왼쪽 사이드 스커트의 배기구, 움직이는 기어 셀렉터 등 구현된 정도가 굉장히 세밀하다. 게다가 추가적인 모드를 활용하여 그래픽이 개선된 계기판과 실제 트립 컴퓨터 화면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롱라인 캡, 12+2단 크롤러 기어10x6/4 섀시 등의 항목들도 선택할 수 있게된 덕분에 기존 SCS 모델보다 훨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만 10x6/4 섀시의 경우, 20t을 초과하는 무거운 화물을 실으면 극단적인 언더스티어가 발생하니 주의해야 한다.[13] 바닐라 모델에는 Arial체로 성의없게(...) GLOBETROTTER이라 쓰여저 있으나 이 모드를 적용한 트럭에는 실제로 나오는 데칼이 나와있다.[14] 휠 커버, 불바, 인테리어 등[15] 파일 형식이 .dds로 되어 있으니 포토샵으로 편집하거나 png에서 먼저 저장 후 dds파일로 바꿔야한다. 파일명은 decals3.dds이다. 단, 워크모드에는 적용이 되지 않고 모드 사이트에서 직접 다운받아야 한다.[16] 현재 SCS는 자사 포럼에 유료 모드의 취급이나 홍보를 일절 금지하고 있다. 위반할 경우 해당 코멘트가 삭제되거나, 심하면 아예 게시물 자체가 폐쇄되는 경우도 있다.[17] Euro6 모델 한정으로 Gloover라는 유저가 제작한 모드가 무료로 배포되고 있어서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다. 링크[18] 커민스 엔진 모델은 엔진룸 공간이 늘어나면서 차량 외형상 DAF 엔진 모델에 비해 전고가 더 높아진 특징이 있다.[19] 제목은 인도네시아라 쓰여있지만 실제로는 일본산 차량이다.[20] 다만 병행수입 방식으로, 러시아에서 소수 운용되고 있다.[21] 다른 모드 트럭은 1000마력이 넘어도 변속기, rpm 제한 때문에 200이 넘지 않는다.[22] 4800nm, 0.72 3.08이다.[23] 참고로 볼보 rpm 제한이 2100이다.[24] 참고로 볼보 rpm 제한이 2100이다.[25] 표기는 4800nm이지만 게임 데이터를 뜯어보면 실제로는 8000nm이다.[26] 라이선스 때문인지 Scout Extra_D라 나온다.[27] 모더이면서 현재 SCS 직원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캐빈 악세사리 관련 개발을 하고있다.[28] 특히 차량 엔진 사운드의 경우 자체 기본 사운드의 퀄리티가 상당히 조악한 것으로 악명이 높다. MAN TGX의 사운드와 벤츠 악트로스 MP3의 사운드가 복사 붙여넣기한 것마냥 똑같은 것을 보면 답 나옴. 이는 FMOD 도입 이후에도 마찬가지여서, 심지어는 마치 진공청소기나 치과 드릴 소리를 듣는 것 같다는 비판이 유저들 사이에서 나올 정도.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크리치바움 등 사운드 전문 모더들이 제작하는 모드의 수요가 많을 수밖에 없다.[29] Engine Voice Records의 약자. 우크라이나인인 Vasily가 운영하고 있으며 유료 사운드모드에 걸맞게 좋은 장비를 활용한 높은 퀄리티가 특징이다. 모드 한 개당 약 2유로 정도.[30] 설정>사운드에서 벨소리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31] 2018년 1월 버전에는 이스터 에그로 추정되는 다른 소리가 나왔다. 윈도우 95 로그온 사운드(...)로.[32] 교통위반, 톨게이트, 차량 및 차고 구매, 경유 가격 지불 시에만 적용된다.[33] 매우 짧게 "삑" 소리가 난다.[34] 과적 검문소 진입 전 검문소에 들려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소리다.[35] 나오는 사운드가 각 게임마다 다르다. ETS2에는 도도 소리의 사운드가 나고, ATS에는 큰 소리로 띠딩띠딩띠딩띠딩하는 사운드가 난다.[36] 다운로드받은 폴더안에 3가지의 에드온이 존재한다.[37] 현재도 사이트는 접속할 수 있지만 모드가 오래되었으며 무엇보다 가짜 사이트로 의심되고 있으니 가급적 접속을 피하도록 하자.[38] AI 트래픽 모드 중에서 추가되는 트래픽 수가 역대급으로 많다.[39] 아우디 A3, 혼다 어코드, 알파 로메오 159, 오펠 아스트라, 아우디 A6, BMW 5시리즈, 시트로엥 C3, 르노 캡쳐, 시트로엥 C4, 르노 클리오, 피아트 두카토, 스코다 파비아, 포드 포커스, 포드 S-맥스, 포드 트랜짓, 폭스바겐 골프, 재규어 XF, 기아 씨드, 미쓰비시 랜서, 마쓰다 3, 메르세데스 (W124) CE, 미니 쿠퍼, 포드 몬데오, 스코다 옥타비아, 푸조 3008, 폭스바겐 파사트, 폭스바겐 CC, 푸조 208, 푸조 407, 푸조 복서, 피아트 푼토, 닛산 캐시카이,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르노 메간, 세아트 아테카, 스코다 옥타비아, 르노 탈리스만, 볼보 XC70, 폭스바겐 투란, 볼보 XC60, 볼보 XC90 등.[40] 예를 들어 씨드는 ΛIΛ로 왜곡되었던 KIΛ 심볼마크를 실제마크로 바꾸었다. 원래는 KIΛ에서 뒤의 IΛ 부분만 좌우대칭 시켰던 것.[41] Setra, Neoplan, Volvo, MAN, Mercedes-Benz, Ikarus, Ayats, Irizar, Temsa, Jelcz, Caetano[42] 더 이상의 업데이트는 없을듯 하[43] 우리에겐 생소한 중국의 자동차 제조사이다.[44] ets2.lt 에 나오나 다운로드 링크가 없어서 해당 사이트에 가서 다운로드를 해야 한다.[45] 이전에는 Wix를 이용했으나 새 도메인 주소와 함께 홈페이지를 새로 단장했다.[A] 유로로 통파일을 구매해 이용할 수 있다.[A] [48] 주차 공간 로고가 기존의 모드에서 주차장 표지판이 들어가 있다.[49] 트레일러 이름은 AI Traffic Mod Cargo by D.B Creation이다. 짐 무게는 각각의 트레일러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50] ProMods를 혼용하게 되면 가드레일이 하얗게 빛나는 버그가 일어난다. 낮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밤이 되면 빛나는 가드레일 때문에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51] 약한 오르막이나 커브를 조금만 틀어도 속도가 내려가는 경우가 많아서 실 주행 속도는 이보다 좀 낮다.[52] 게임을 차근차근 플레이 하면 25렙은 금방 찍는다.[53] 예를 들면 모든 악세서리에 미쿠 아이템을 추가해서 트럭을 미쿠 범벅이로 만든다는지 등. 다만 이런 경우는 저작권에 걸릴 수 있어서 많이 어렵지만 자기가 만든 아이템을 추가하는게 낫다.[54] 스카니아 트럭이 코너링 시 전복 위험성이 늘어난다든가.[55] 이들 중 일부는 스포츠카와 성능이 맞먹는다.[56] 표기상 오류로 850마력이 7850nm 성능을 가진 경우도 있다.[57] 창작마당 모드는 업데이트 하면 언제든 값이 바뀔 수 있어서 커스텀 가능으로 쓰지 않았다.[58] 변속기도 아예 안건드릴 수는 없는데 shift_time을 0으로 넣어서 즉시 변속을 해야 한다.[59] 고단 기어를 쓰면 커브를 틀때마다 속도는 확 줄지만 가속이 오래 걸린다.[60] 내리막길이 아닌 실 주행속도는 이보다 좀 낮다.[기어비] 기어비가 높을수록 강력한 견인력을, 기어비가 낮을수록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종감속비] 종감속비가 높을수록 오르막 등판력이 좋아지며, 종감속비가 낮을수록 최고속도가 빨라진다.[기어비] 기어비가 높을수록 강력한 견인력을, 기어비가 낮을수록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종감속비] 종감속비가 높을수록 오르막 등판력이 좋아지며, 종감속비가 낮을수록 최고속도가 빨라진다.[65] 너무 빠른 속도는 요철 등의 문제로 컨트롤을 하기 어려워지며 리스폰을 자주 해야 되는 특성상 흥미를 잃기 쉽다. 이 엔진도 300이 다소 넘지만 극초반이라 컨트롤 가능한 수준이다.[66] 무게를 늘린다는게 의아할 수도 있는데 트럭 시뮬레이터 물리엔진이 현실성 높은 편이 아니어서 무게가 적으면 가속은 빠르지만 높은 속도에서 와리가리한다.[67] 8x4 모델이 없는 트럭은 6x4 샤시를 써야 한다. 이베코 s-way는 원래 6x4 샤시도 없지만 kpm 모드를 이용해 6x4 샤시도 끼울 수 있다.[68] 300km/h 이상으로 달릴때 차량이 와리가리한다. 본 맵을 달린다면 굳이 이런 방법은 필요가 없다.[69] 미쿠를 두명까지 넣을 수 있으며 맨 앞의 피규어 세명까지 넣으면 다섯명까지 가능하다. 차량 구조에 따라 일부는 미쿠를 한명만 넣을 수 있거나 피규어를 넣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70] KF8311이 만든 하쿠이 코요리, 아카이 하아토를 제외하면 모두 dimelza라는 사람이 만들었다.[71] 파일:kafu.jpg[72] 원래는 맵 DLC 없이도 작동됐지만, 1.6버전 기준으로 현재는 모든 맵 DLC를 요구하여 없으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패치되었다.[73] SCS 소프트웨어에서는 이전 버전을 사용하는 유저들을 위해 이전 버전 호환성을 추가하는 가이드까지 마련되어 있고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업데이트를 대비하여 이전 버전도 남겨두지만, 어째서인지 이 개발자는 그 조차도 신경쓰지 않는다.[74] 스팀 창작마당 업데이트를 통해 우리나라 시간 기준 매주 수요일에 유가가 변하게 된다.[75] 데이터를 뜯어보면 130~140까지 도로가 있는데 트럭과 버스는 80~90으로 제한을 걸었다.[76] 아예 안생기는 것은 아니며 마모 데미지는 생긴다.[77] 예외로 프로모드는 노 데미지 버전을 제공한다.[78] 이분이 9995마력 엔진모드도 만들었다. 초기엔 990마력만 있었으나 나중에 9995마력까지 추가되었다. 번외로 이분이 만든 반카이 아카네 네비게이션 음성 모드, 도색 모드도 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if external != "o"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uuid=dd8bd5c5-4b15-4856-be5e-85a498606daa|r72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uuid=dd8bd5c5-4b15-4856-be5e-85a498606daa#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from=722|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if external != "o"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uuid=dd8bd5c5-4b15-4856-be5e-85a498606daa|r72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uuid=dd8bd5c5-4b15-4856-be5e-85a498606daa#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from=722|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