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DLC | MOD | 맵 MOD |
ProMods | 경영 | 업데이트 로그 | |
국가별 특징 | 도전 과제 | 스킬 | |
차량 목록 | 콘솔 명령어 | 트럭 브라우저 | |
트레일러 브라우저 | 팁 | 문제점 | |
멀티플레이 | TruckersMP | Truckyapp | |
드라이빙 아카데미 | 코치 DLC | 커뮤니티 및 게이머 | |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 틀 바로가기 | }}}}}}}}}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에 등장하는 차량 업그레이드를 정리해놓은 페이지.
1. 개요
트럭 딜러를 통해 차를 살 때 기본으로 정해진 섀시나 엔진 부품 등이 정해져 있지만 '사용자 정의 구성' 을 통해 맞춤형으로 차량을 구입할 수도 있다. 차량 구매 후에도 엔진/섀시 변경 등의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는데 다른 드라이버(직원)의 트럭은 트럭 관리자에서 원격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나 유저가 직접 몰고 다니는 차량은 반드시 서비스센터를 방문해야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2. 캐빈
차량의 전반적인 겉모습을 결정하는 요소로, 외형적인 부분을 제외하면 그다지 효용성은 없다.다만 MAN트럭은 최고급 캡을 맞출 경우 전면 유리창이 넓어져 시야가 좋아진다. 그리고 가끔씩은 하급 캐빈에서는 업그레이드 제한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스카니아 스트림라인의 경우 최하급 캐빈에서는 V8 엔진과 인테리어를 쓸 수 없으며 벤츠의 경우 최고급 캐빈으로 업그레이드 시 멀쩡한 섀시까지 교체된다![1]
3. 섀시
차량의 축을 선택하여 주행 특성을 결정한다. 표기법은 AxB/C이며, A는 총 바퀴 수, B는 주행 바퀴 수, C는 조향(핸들링) 바퀴 수이다. C가 2일 경우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고 생략한다.[2]표기법에 대하여 오해할 수 있는데 C의 경우 유동하지 않는 고정된 조향 바퀴 수를 의미한다. 즉, 8x4와 같이 리프트 축이 내려와 조향축의 역할을 하더라도 고정되어 있는 조향 축은 캐빈측 축이 유일하다. 8x4는 전장이 길어 리프트 축을 통해 고속 주행 시 코너 안정성을 획득하고 저속 주행 시 회전 반경을 유지할 수 있다.[3]
- 4x2
- 6x2
- 6x2/4
- 6x2 태그리프트
- 6x2/4 미들리프트
- 6x4
- 8x4
최초 버전에서는 4x2, 6x2/4, 6x4의 선택이 가능했다. 4x2의 경우 연료량[4] 과 초기 가속력, 6x2/4의 경우 고속주행시 코너링 안정성[5][6], 6x4의 경우 등판력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7] 가격은 4x2<6x2/4<6x4 순이다.[8]
| |
6x2 태그리프트 |
설정의 게임 플레이에서 리프팅 액슬 자동 하향 옵션을 켜놓으면 화물의 중량이 무거우면 태그리프트의 차축이 자동으로 내려가며 화물의 운송이 끝나거나(포기하거나) 트레일러의 연결을 해제하기 전까지 축을 들어올릴 수 없다. 옵션을 끄면 올릴 수 있다.
2017년 5월 12일 1.27.2 업데이트로 8x4 섀시가 추가되었다. 업데이트와 동시에 출시한 Heavy Cargo Pack DLC와 연계되는 섀시로[10] 릴리즈 시점에서는 벤츠 악트로스 MP4, 스카니아 R 2012, 스트림라인, 볼보 뉴 FH 이상 4개 차종만 선택 가능. 선택시 캡 후방에 거대한 공기함 + 연료탱크가 추가되는 것이 인상적이다. 두번째 축이 리프트 축이자 조향축으로 리프트 축을 내렸을 때는 6x2/4와 같이 코너 안정성을, 올렸을 때는 저속에서의 회전 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동력이 2축이므로 등판력도 좋다. 다만 총 연료통 크기가 그만큼 다른 섀시 대비 작아졌다.
- 섀시별 비교[11]
모드까지 합하면 10x8/6 샤시를 가진 모드도 있으며 스카니아 10x8/6 모드의 경우 8x4 이상의 특징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 타이어: 번외로 타이어 모드에 따라 성능이 크게 갈라지는 경우도 있다.[16]
- 축: powered_axle[]:을 true로 놓으면 샤시의 특징을 조절할 수도 있는데 4x2 샤시를 4x4로, 6x2, 6x4 샤시를 6x6으로, 8x4 샤시를 8x8 샤시로 바꾸어서 동력이 좋아진다. lifted_axle[]:은 모두 false로 놓는게 좋다.
- 연료 탱크: 연료 탱크도 대부분 이 샤시 모드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17] 1:1 축척 모드를 사용하면서 현실적인 연료 소비 옵션을 키면서 comsuption_coef 값을 1로 놓는게 가장 현실적으로 연비가 닳는다. 주의할 점이 있다면 이건 경험치가 개미만큼 올라가서 고레벨에서만 추천한다.[18]
4. 엔진
엔진의 수준은 트럭의 고속 주행 능력 및 가속력에 큰 영향을 준다. 마력이 높을수록 무거운 화물을 안정감있게 끌 수 있다.속도 제한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가속할 수 있는 최대 속력은 언제나 90 km/h로 고정되며 이보다 높은 속력은 내리막길같은 상황에서 관성에 의해서만 향상된다[19]. 화물 차량 속도 제한이 90km/h 이상인 소수의 지역[2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사용자가 90 km/h가 아닌 다른 제한되는 속도를 정하기 위해 def 파일을 뜯어 원하는 속도 제한 모드를 만들 수 있지만 scs extrator로 분해한뒤 다시 재압축 해야 해서 이건 따로 모드를 다운받는게 쉽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고속 버스가 최대로 낼 수 있는 속도인 108 km/h로 설정하거나 안전성을 위해 80 km/h로 놓는것 역시 가능하다. 폴란드, 불가리아의 최고 속도인 140으로 놓을 수도 있으며 200 이상으로 놓을 수도 있다.
일부 모드트럭은 1000마력+스카니아의 높은 rpm+볼보의 낮은 기어비를 짬뽕해 엔진 모드 없이 217-220까지 내는 트럭도 있다. 심지어 미국은 중량물 운반을 할땐 엔진을 스왑한 트럭을 이용해서 1100마력까지 쓰는 경우도 있다. 현실서는 연비나 기타 조건 때문에 이러한 엔진은 중량물 화물 운송에서만 쓰지만 게임상에선 역체감이 심해서 기본 화물을 몰때도 걍 700-1100 마력으로 스왑한 상태의 엔진을 쓰는 경우가 많다. 즉, 이러한 현실을 고려해 모드 트럭에선 이러한 엔진까지 트럭에 추가한 것이라 볼수 있다.
단, 게임이 오래된 특성상 고인물들은 이보다 더 강력한 엔진 모드를 사용해 플레이 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마력 엔진은 너무 고마력 엔진을 쓰면 컨트롤이 힘들기 때문에 이런 트럭들을 제대로 몰려면 엔진 모드만 단순히 추가한다고 되는게 아니라 물리엔진을 뜯어 고쳐야 제대로 몰 수 있다.
걍 이것도 귀찮아서 게임 내에서 벌금같은 것을 무시한 채 질주를 즐기고 싶다면, 창작 마당에 있는 2,000 마력이나 5,000 마력, 10,000 마력같은 비현실적인 수준의 고마력 엔진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트럭 레이싱에선 이런 엔진을 사용해서 겨루는 경우도 있다 하니 완전 비현실적인건 아니다.
5. 변속기(미션)
1.3 업데이트 이후부터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게 되었다. 10,000유로의 기본 변속기와 리타더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는 16,000유로 변속기가 있다.1.6 업데이트로 능동 자동변속기 기능이 추가되었다. 특히 해당 기능을 '하이파워 모드'로 설정하면 언덕길이나 중량짐을 실었을 때 등의 가속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RPM을 꽤나 높게 쓴 다음 변속하기 때문에 더 수월한 출발이 가능해진다.
1.26 업데이트로 변속기가 더욱 세분화 되었다.
각 제조사마다 기본형과 오버드라이브형[21], 그리고 완전자동 6단 앨리슨 4500 변속기가 추가되어 유저의 주행성향에 따라 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1.28.2.8 업데이트로 8x4 섀시와 Heavy Cargo Pack DLC가 출시되면서 극저단 크롤러 기어가 추가된 중량화물 견인용 14단 변속기가 추가되었다. 해당 변속기는 섀시 구성과 상관없이 선택 가능하다.
차량 | 변속기 | 탑기어 유형 | 기어 단수 | 기어비[기어비] | 종감속비[종감속비] |
Mercedes-Benz | PowerShift G280-16 | 오버 드라이브 | 크롤러 2단 + 12단 | 11.72 - 0.69 | 5.33 |
PowerShift G280-16 R | |||||
Scania | Opticruise GRSO 925 | 오버 드라이브 | 크롤러 2단 + 12단 | 13.26 - 0.80 | 3.96 |
Opticruise GRSO 925 R | |||||
Volvo | I-Shift ATO3512F + ASO-ULC | 오버 드라이브 | 크롤러 2단 + 12단 | 32.04 - 0.78 | 3.40 |
I-Shift ATO3512F + ASO-ULC R |
6. 운전석
운전석은 대개 운전석의 위치와 기본형과 고급형으로 서로 구분되어 대개 이렇게 네 종류의 운전석을 택할 수 있다.우측통행을 하는 유럽 대륙에 맞는 좌핸들과 좌측통행을 하는 영국에 맞는 우핸들 중 하나를 택할 수 있다. 영국을 제외한 유럽의 트럭 딜러에서 트럭을 구매하려 할 경우 기본적으로 좌핸들이 설정되며, 영국의 트럭 딜러에서는 우핸들이 설정된다. 구매 전이라면 가격 차이 없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우핸들의 경우 계기판에 마일 단위가 함께 표기된다.
처음에 사용할 수 있는 기본형과 후에 레벨을 올려서 사용할 수 있는 고급형 운전석이 있는데, 대부분 고급형 운전석에는 자체 내비게이션이 따로 내장되어 있다. 예외가 되는 일부 트럭은 기본형에도 내비게이션이 내장되어 있거나, 고급형에도 내비게이션이 내장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운전석에 내장되는 내비게이션은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모니터의 해상도를 비롯한 설정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기본적으로 띄워지는 경로 관리자 창에 의해 가려지기도 하고 혹은 자체 내장 내비게이션의 크기가 상당히 작아 보기가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경로 관리자와 내장된 내비게이션이 서로 가려지지 않는 경우라면 경로 관리자도 함께 띄워놓아 유용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7. 페인트잡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기본 도색은 단조로우니 최대한 싼 색깔로 정하고 페인트샵에서 재도색하는 것을 추천한다. 단, 도색은 마지막에 하는 것이 좋은데 가끔 개조하면 도색이 리셋되는 부품이 있기 때문이다. MOD를 추가하면 다양한 도색을 할 수 있다.
8. 악세사리
야간 시야에 영향을 끼치는 전조등과 에어 혼 [24]외에는 장식. 추가로 부착하는 전조등류도 상향등을 켜지 않는 한 야간 시야에 별 도움이 안되긴 하다.참고로 사이드 스커트는 섀시가 4x2일 때만 장착 가능한데 예외적으로 벤츠 MP3모델은 6x2, 6x2태그리프트, 6x4섀시 상태에서도 사이드 스커트를 장착할 수 있다. 이는 벤츠의 6x2태그리프트, 6x4섀시는 4x2섀시 뒤에다 바퀴 2개 더 단 정도로 1축과 2축의 휠베이스가 똑같기 때문에 장착이 가능한 것.
단 6x2/4 계열의 짧은 섀시에는 장착이 불가하다. 하지만 1.17버전 기준으로 DAF XF 106 차량에 전 섀시에 시이트 스커드를 장착 가능하며, 신형 벤츠 MP4 차량 역시 전 섀시에 사이드 스커트 장착이 가능하다.
추가로 전조등을 달았다면 주행시 F4 키를 눌러 조절창에 들어가서 추가 조명 항목에서 끄고 켤 수 있다. 전면 보조가 차량 하단이고, 보조 루프가 차량 상단의 조명이다. 다만 상시로 켜지지는 않고 로우빔을 켰을 때 정말 미세하게 불이 들어오며, 하이빔을 켰을 때 정상적으로 켜진다.
[1] 최고급 메가스페이스 캐빈일 경우 기존의 섀시를 팔고 새 섀시를 주문하게 되는데 아예 섀시 종류가 따로 되어있다. 자세히 보면 메가스페이스용은 헤드라이트 위에 덕트가 하나 더 있다.[2] #[3] 회전 반경에 관한 실험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4] 공간이 남기 때문인지 연료 탱크 크기가 크다. 연비도 약간 낫기는 한데 체감은 거의 안 된다.[5] 회전시 앞바퀴와 중간바퀴가 같이 돌아가기 때문. (일명 '앞사바리')[6] 단, 6x2/4는 저속에서 회전반경이 너무 크므로 도심주행에는 주의를 요한다. 특히 로터리에서는 30km/h 넘기면 무조건 차선이탈 크리.[7] 르노트럭은 4x2 섀시밖에 없었으나 1.17 이후로 르노도 모든 종류의 섀시가 사용가능하다.[8] 이베코 트럭은 6x2/4가 6x4보다 비쌌으나 1.13패치 현재 6x2/4가 6x4보다 비싼 기현상이 수정되어 저 가격의 예외는 없다.[9] 축을 들어올리는 것은 기본적으로 U 키로 설정되어 있으며 다른 키처럼 설정에서 변경 가능하다.[10] 섀시는 DLC를 구매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11] 리프트 액슬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가정하였을 경우[12] 4x2, 6x2, 6x4의 경우 언더스티어가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고속에서 코너링을 하고 싶으면 핸들을 좀 더 많이 틀어야 한다. 8x4 샤시가 없는 경우 6x4 샤시를 써야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4x2는 접지력이 구려서 핸들을 더 틀다가 넘어갈 수 있으니 주의.[13] 그 외 비가 오는 경우에도 코너링이 매우 안좋아진다. 비가 올때는 8x4를 달았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코너링은 맑은 날의 4x2보다 구려지는 현상이 발생하니 빗길에서는 평소의 2배로 핸들을 꺾던가(...) 아니면 서행하자.[14] 4x2는 화물 무게가 조금만 무거워도 넘어지는 반면 8x4는 바퀴가 8개나 되기 때문에 접지력이 좋아서 초고중량 화물 달고 급회전을 하는 등의 정신나간 짓만 안하면 어지간해서는 안넘어진다.[15] 생각보다 섀시에 의한 가속력 차이가 심하다. 8x4는 다른 요소에 있어서는 최고급이지만 가속력만큼은 4x2에 비해 딸린다. 상위 섀시를 선택할수록 일반 화물 능력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에는 이러한 이유도 있다.[16] kraz 258, 미쓰비시 후소 타이어는 다른 트럭에 낄 수 있으며 def값을 조절해 타이어 성능을 바꿀 수 있다.[17] 악세서리에 따로 끼어있는 경우도 있다.[18] 이것도 엔진 모드의 comsuption_coef 값을 조절하면 연료 닳는 비율 자체가 낮아져 현실적인 연료 소비 옵션을 켰을때 오히려 기본 상태보다 연료가 잘 닳지 않을 수도 있다.[19] 이 기능은 대개 키보드 사용자를 위한 기능으로 주로 추가되는 기능으로, 키보드 버튼의 특성 상 살짝 밟는다는 것이 불가능하다. 실생활에서도, 영국과 한국의 경우 ECU에서 90 km/h 이상의 속력이 인지되면 연료 공급을 차단해 전자적으로 가속할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20] 예를 들어 영국의 경우 야드파운드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속도 제한도 시간 당 킬로미터가 아닌 마일로 규정되는데, 킬로미터로 환상하면(게임 내 내비게이션에서 자동으로 환산해준다) 90km/h를 살짝 넘는다.[21] 오버드라이브형은 각 변속기의 이름 중간부분 또는 끝부분에 O가 붙어있다.[기어비] [종감속비] [24] 어차피 소리나는 것 외에는 별 기능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