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3 20:46:33

우스만 뎀벨레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해당 인물의 최근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우스만 뎀벨레/클럽 경력/2025-26 시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우스만 뎀벨레/클럽 경력/2025-26 시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우스만 뎀벨레/클럽 경력/2025-26 시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인물의 최근 활약상: }}}{{{#!if 같은문서1 == null
[[우스만 뎀벨레/클럽 경력/2025-26 시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우스만 뎀벨레/클럽 경력/2025-26 시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우스만 뎀벨레/클럽 경력/2025-26 시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2 하키미
VC
· 4 베랄두 · [[마르퀴뇨스|5 마르퀴뇨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50A27; font-size: .8em"]] 파일:부상 아이콘.svg · 6 자바르니 · 7 크바라츠헬리아 · 8 파비안 파일:부상 아이콘.svg
9 G. 하무스 · 10 O. 뎀벨레
4C
파일:부상 아이콘.svg · 14 D. 두에 파일:부상 아이콘.svg · 17 비티냐
3C
· 19 이강인 · 21 L. 에르난데스
24 마율루 파일:부상 아이콘.svg · 25 N. 멘데스 · 29 B. 바르콜라 파일:부상 아이콘.svg · 30 슈발리에 · 33 자이르에메리 · 39 사포노프
43 카마라 · 49 음바예 · 51 파초 · 87 주앙 네베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 89 마린

[ 미등록 선수 명단 보기 ]
파일:UEFA EURO ESP.png 루이스 엔리케
{{{#!folding [ 스태프 더보기 ]
에스푸아르 스쿼드 · 아카데미 스쿼드 · 스태프 전체 명단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수 미등록의 기준은 해당 링크에 존재하지 않는 선수입니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13299> 파일:우스만 뎀벨레 등번호 프랑스.png우스만 뎀벨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13299><colcolor=#000> 클럽 경력 파일:스타드 렌 FC 로고.svg <colcolor=#ca180b>스타드 렌 FC
2015-16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16-17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2017-18 · 2018-19 · 2019-20 · 2020-21 · 2021-22 · 2022-23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FC
2023-24 · 2024-25 · 2025-26
국가대표 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 2024.svg 프랑스 A (2016~ )
WC18 · EU20 · WC22 · EU24 · UNL 24-25
평가 플레이 스타일 · 관련 언사
기록 개인 수상
기타 쿠뎀그 }}}}}}}}}
파일:PSG_2025-26_10.png
<colbgcolor=#004170><colcolor=#fff> 파리 생제르맹 FC No. 10
4C
우스만 뎀벨레
عثمان ديمبيلي|Ousmane Dembélé
[1]
본명 마수르 우스만 뎀벨레
مسور عثمان ديمبيلي
Masour Ousmane Dembélé
출생 1997년 5월 15일 ([age(1997-05-15)]세)
오트노르망디 레지옹 외르 베르농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모리타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모리타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모리타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말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말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말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
신체 178cm / 체중 67kg[3]
포지션 윙어, 스트라이커[4]
주발 왼발 (양발)[5]
등번호 프랑스 대표팀 7
파리 생제르맹 FC 10
소속 <colbgcolor=#004170><colcolor=#fff> 유스 AM 마들렌 에브뢰 (2004~2009)
에브뢰 FC (2009~2010)
스타드 렌 FC (2010~2015)
선수 스타드 렌 FC (2015~2016)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16~2017)
FC 바르셀로나 (2017~2023)
파리 생제르맹 FC (2023~ )
국가대표 57경기 7골[6] (프랑스 / 2016~ )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30613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4170><colcolor=#fff> 역대 등번호 프랑스 대표팀 - 7번, 11번, 12번
스타드 렌 FC - 23번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7번
FC 바르셀로나 - 7번, 11번
파리 생제르맹 FC - 10번, 18번, 20번
종교 이슬람
후원사 아디다스 (F50 시리즈)[7]
}}}}}}}}}}}} ||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기록
4.1. 대회 기록4.2. 개인 수상4.3. 수훈
5. 뎀벨레에 대한 언사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일본인 인종차별 발언 사건
7. 여담8. 같이 보기

1. 개요

프랑스 국적의 파리 생제르맹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윙어, 스트라이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스만 뎀벨레/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우스만 뎀벨레/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우스만 뎀벨레/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가대표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스만 뎀벨레/국가대표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우스만 뎀벨레/국가대표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우스만 뎀벨레/국가대표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스만 뎀벨레/플레이 스타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우스만 뎀벨레/플레이 스타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우스만 뎀벨레/플레이 스타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록

4.1. 대회 기록

4.2. 개인 수상

4.3. 수훈

5. 뎀벨레에 대한 언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스만 뎀벨레/관련 언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우스만 뎀벨레/관련 언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우스만 뎀벨레/관련 언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일본인 인종차별 발언 사건

2021년 7월 3일 당시 바르샤가 일본 투어를 갔을 때 호텔에 머물렀는데, 팀 동료 앙투안 그리즈만 앞에서 일본인 tv 수리기사를 가리켜 '역겨운 면상', '플스하려고 저딴 역겨운 면상을 봐야 하다니 짜증난다', 'X발 언어 봐', 이딴 나라가 뭐가 잘났냐' 등 심각한 인종차별 뒷담화를 쏟아내는 영상이 유출되어 큰 비판을 받았다. 특히 뎀벨레는 대화를 이끈 당사자로 일본 스폰서라쿠텐스폰을 받는 팀의 선수가 일본 게임기PlayStation으로 일본 게임PES를 하려고 현지인 설치기사를 부르면서 그와 나라를 비하하는 발언을 하는 다중병크를 저지른 꼴이라[8] 팬들조차 이건 뭐냐 싶을 정도로 후폭풍이 거셌다.

처음에는 본인들이 카메라까지 키고 저런 말을 한다는 것 자체가 하도 황당해서 오역 아니냐는 말도 나올 정도였지만, 이후 저 내용이 맞다는 게 확인되었다. 당시 일본에선 트위터 실트에 뎀벨레와 그리즈만의 이름이 올라가거나 영상이 유튜브 실시간 급상승 동영상에 오르고 며칠 동안 일본 야후뉴스 탑순위를 유지하며 상당한 이슈가 되었다. 특히 뎀벨레는 몇 년 전 일본인 축구 선수 카가와 신지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에서 한솥밥을 먹은 경험이 있기에 더더욱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2021년 7월 5일, 앙투안 그리즈만과 함께 각각 자신의 SNS에 사과문을 발표하였다. 여기서 뎀벨레는 결코 인종차별 의도는 아니었다며 "일본에서 일어났던 일이었다. 하지만 지구상 어디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난 어디서든 같은 표현을 썼을 것이다. 특정 인종을 목표로 하지 않았다. (동영상에 나온) 종류의 표현을 친구들과 사용한다. 특정 인종과 관계가 없다. 영상은 공개됐다. 영상 속 인물들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는 걸 인정한다. 상처를 받은 분에게는 죄송하다."라고 밝혔다.

허나 인종차별 의도가 다분히 느껴지는 말을 해놓고 아니라고 하는 것도 좀 황당한데다, 본인 말을 100% 신뢰한다 치더라도 본인도 인정했듯 상대방 외모를 비하하며 원색적인 비난을 한 건 사실이기에 도대체 무슨 뇌 구조로 저런 말을 했는지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게다가 24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는 스토리로 올렸다는 점, 피해자의 언어인 일본어가 아닌 프랑스어영어로만 작성했다는 점 때문에 진정성 있는 사과가 맞긴 하냐는 논란이 이어졌다.[9]

결국 7월 6일 성의없는 사과문에 열을 받았는지 바르셀로나의 메인 스폰서인 라쿠텐에서 이를 구단 측에 정식으로 항의했다고 한다. 스폰 철회까지 나올 정도로 사건이 심각해졌는데, 또다른 후원 기업 코나미 또한 해명을 요구하면서 스폰 철회를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이 나왔다. 참고로 라쿠텐과 코나미의 스폰 금액은 둘이 합쳐서 연간 약 2,700억이다. 결국, 라쿠텐은 2021-22 시즌을 마지막으로 FC 바르셀로나와의 후원을 종료했다. 해당 사건이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영향이 적다고 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중론.

이후 시간이 지나 논란이 점점 가라앉은 후에는 2021년 11월 팀에 새로 부임한 사비 에르난데스 감독 체제에서도 지각 소동 등이 언론에 보도되는걸 보면 멘탈을 다잡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7. 여담

  • 스타드 렌 시절의 인터뷰가 상당히 인상적이다. 당시 기자는 뎀벨레에게 주발이 무엇인지 물었고, 이에 뎀벨레가 왼발잡이라 했다. 그러자 기자가 오른발로 더 골을 많이 넣었는데 그 말이 확실하냐고 묻자, 뎀벨레는 왼발잡이가 맞다고 말했다. 그런데 기자가 뎀벨레에게 PK는 오른발로 차지 않느냐고 묻자 뎀벨레는 맞다고 말했고, 왜 오른발로 차느냐고 묻자 오른발로 공을 더 잘 차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만큼 뎀벨레가 능숙한 양발잡이로 본인 머릿속엔 주발의 개념이란 것이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 실제 2021년 5월 11일 레반테와의 라리가 36라운드 경기에서 바르샤 30호 득점을 기록했는데 왼발과 오른발 15골씩 집어넣었다.
  • 역대 거쳐간 팀 중 바르셀로나에서 가장 많은 시즌[10]을 보냈지만, 정작 이 팀에서'만' 금지어 수준의 먹튀 행보를 보인 반면 딱 1시즌만 있었던 렌과 도르트문트에서는 매우 뛰어난 활약을 보여준 특이 케이스다. 반대로 말하면, 팀에 무조건 오래 살아남는다고해서 좋은 평판을 듣는 건 아니라는 예시가 되는 셈.[11]물론 2025년을 기준으로 파리에서 2시즌을 넘게 뛰고 있음에도 바르셀로나 시절과는 정반대로 발롱도르까지 수상할 정도로 맹활약을 보여주고 있기에 이러한 커리어 행보도 앞으로는 바뀔 여지가 있다.
  • 바르셀로나 이적 후 몇 년간은 현역 선수 중 최악으로 손꼽히는 프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아자르나 베일은 이미 실력으로 증명해서 업적이라도 많이 남겼다는 말이라도 나오지 뎀벨레는 그런 것도 아니기에 비판을 더욱 많이 받았는데, 다행히도 로날드 쿠만 감독 체제 이후로는 성실함이나 부상 빈도 관련 문제가 많이 줄어들며 프로의식 관련한 비판도 예전보다 줄어들었다. 그러나 결국 22-23시즌이 끝나고나서 본인을 끝까지 믿었던 팀을 저버린채 파리로 휙 떠나가버려 바르샤의 금지어로 전락하게 되었고 파리로 가서 오히려 포텐이 터져버리는 바람에 바르샤 팬들의 뒷목을 단단히 부여잡게 만들었다. 심지어 23/24 시즌때는 본인 친정팀 바르셀로나를 상대로 미친 폼을 보여주며 바르셀로나의 또 다른 참사를 만들었을 정도고, 24-25시즌에는 리그1 득점왕과 함께 2025 발롱도르 후보로 유력했던 살라, 하피냐, 야말은 물론 그동안 수없이 이름이 오르내리던 전 세계의 수많은 월드클래스 윙어들 중 대다수는 꿈도 꾸지 못한 트레블 + 발롱도르 수상[12]을 이뤄내며, 그야말로 인생사 새옹지마라는 게 무슨 뜻인지 보여주게 되었다.
  • 독실한 무슬림으로 할랄 푸드만 고집해서 바르셀로나는 할랄 요리사를 고용해주었을 정도라고 한다. 결혼도 무슬림 여성과 했다.
파일: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2.jpg최근(?) 들어서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이 골 세리머니를 밀고 있다. 피케도 따라한 것을 보면 시그니처 세리머니가 될 듯하다.
  • 세비야전에서 최선을 다하지 않고 교체 준비만으로 10분을 잡아먹는 태도를 보이면서 잊혀져가던 안이한 정신력 문제가 다시 점화되었다. 문도 데포르티보에 따르면 훈련장에서도 항상 30분 가량 지각이 습관화 되었다고 하며, 앞선 두 번의 이적을 위한 파업 행위를 봤을 때 정신력 문제는 아무리 봐도 심각한 수준으로 보인다.
  • 팬들 사이에선 상습적인 지각 왕으로 단단히 찍혀 있는데 실제로도 여러번 지각을 하기도 했으며 사비 감독이 부임한 첫 날에도 지각을 했다. 그냥 본인 생활습관 자체가 시간 약속을 안 지키는 타입인지 심지어 페드리가 선배들을 위해 마련한 저녁 식사 자리에도 지각 했다고 한다.
  • 도르트문트 시절에 임차하여 살던 집을 엉망으로 만들어 놓고 떠나는 바람에 전 임대인으로부터 고발당했다고 한다. # 도르트문트 제1심 법원에 제출된 고소장과 '빌트'의 보도에 따르면, 전 임대인이자 집주인인 71세의 게르트 바이젠버그는 '빌트'와의 인터뷰에서 "냉장고에는 썩은 음식물이, 찬장에는 오래된 비닐 봉지가, 그리고 바닥에는 마른 얼룩이 있었다. 현관문 뒤에는 미납된 청구서가 쌓여있었는데, 따라서 뒤통수를 맞은 건 분명 나만이 아닐 것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열쇠를 반납하지 않고 가버리는 바람에 집 자물쇠를 다 바꿔야만 했다고 한다. 전 임대인으로부터의 청구액은 2만 725.76 유로(약 2650만원)가 넘는다고 한다.
  • 2019-20 시즌 뎀벨레와 그리즈만이 리오넬 메시와 불화설이 생겨 고생하기도 했다.[13]
  • 라리가로 이적한 지 3시즌이 다 되어가지만 스페인어를 잘 못한다고 한다. 이 때문에 심판에게 욕했다는 이유로 퇴장 판정이 내려지자 주장인 리오넬 메시가 나서서 뎀벨레는 스페인어도 못 하는데 욕을 했다니 그게 무슨 말이냐고 항의하기도 했다. 물론 욕만 배웠을 가능성은 있지만...
  • 상술했듯 2021년 12월 24일 기습적으로 결혼식을 올렸고, 2022년 9월 16일 득녀했다. 그런데 결혼 이후 프로의식과 기량 모두 예전에 비해 상승하여 결혼이 사람을 바꾼 케이스 중 하나로 볼 수 있을 듯. 심지어 득녀한 다음 날 경기인 엘체전에도 본인 희망으로 선발 출전했다. 참고로 바르셀로나 선수진 대부분은 뎀벨레가 여자친구가 있다는 사실조차도 몰라서 결혼했다고 했을 때 깜짝 놀랐다고 한다.

8. 같이 보기

{{{#fff,#ddd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151e2d,#dddddd
파리 생제르맹 FC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일:PSG_2025-26_02.png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일:PSG_2025-26_04.png 파일:PSG_2025-26_05.png
1 <rowcolor=#fff> 2
VC
3 4 5
C
아슈라프 하키미
Achraf Hakimi
파일:모로코 국기.svg | DF
1998.11.04
2021~2029
루카스 베랄두
Lucas Beraldo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2003.11.24
2024~2029
마르퀴뇨스
Marquinhos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1994.05.14
2013~2028
파일:PSG_2025-26_06.png 파일:PSG_2025-26_07.png 파일:PSG_2025-26_08.png 파일:PSG_2025-26_09.png 파일:PSG_2025-26_10.png
<rowcolor=#fff> 6 7 8 9 10
4C
일리야 자바르니
Illya Zabarnyi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DF
2001.02.12
2025~2030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Khvicha Kvaratskhelia
파일:조지아 국기.svg | FW
2001.02.12
2025~2029
파비안 루이스
Fabian Ruiz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1996.04.03
2022~2027
곤살루 하무스
Gonçalo Ramo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FW
2001.06.20
2023~2029
우스만 뎀벨레
Ousmane Dembélé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1997.05.15
2023~2028
파일:PSG_2025-26_14.png 파일:PSG_2025-26_17.png 파일:PSG_2025-26_19.png 파일:PSG_2025-26_21.png 파일:PSG_2025-26_24.png
<rowcolor=#fff> 14 17
3C
19 21 24
데지레 두에
Désiré Doué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5.06.03
2024~2029
비티냐
Vitinha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MF
2000.02.13
2022~2029
이강인
Lee Kang-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1.02.19
2023~2028
뤼카 에르난데스
Lucas Hernández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6.02.14
2023~2027
세니 마율루
Senny Mayulu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2006.05.17
2024~2027
파일:PSG_2025-26_25.png 파일:PSG_2025-26_29.png 파일:PSG_2025-26_30.png 파일:PSG_2025-26_33.png 파일:PSG_2025-26_39.png
<rowcolor=#fff> 25 29 30 33 39
누누 멘데스
Nuno Mende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DF
2002.06.19
2021~2029
브래들리 바르콜라
Bradley Barcola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2.09.02
2023~2028
뤼카 슈발리에
Lucas Chevalier
파일:프랑스 국기.svg | GK
2001.11.06
2025~2030
워렌 자이르에메리
Warren Zaïre-Emery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2006.03.08
2022~2029
마트베이 사포노프
Matvei Safonov
파일:러시아 국기.svg | GK
1999.02.25
2024~2029
파일:PSG_2025-26_43.png 파일:PSG_2025-26_49.png 파일:PSG_2025-26_51.png 파일:PSG_2025-26_87.png 파일:PSG_2025-26_89.png
<rowcolor=#fff> 43 49 51 87 89
노함 카마라
Noham Kamara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2007.01.22
2024~2028
이브라힘 음바예
Ibrahim Mbaye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8.01.24
2024~2027
윌리안 파초
Willian Pacho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DF
2001.10.16
2024~2029
주앙 네베스
Joao Neve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MF
2004.09.27
2024~2029
레나토 벨루치 마린
Renato Bellucci Marin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2006.07.10
2025~2030
파리 생제르맹 FC 2025-26 시즌 임대 선수
파일:PSG_2024-25_42.png 파일:PSG_2024-25_45.png 파일:PSG_2025-26_20 (CWC).png 파일:Sanches_22-23.jpg 파일:PSG_2024-25_23.png
22 '''
3
'''
17 8 39
요람 자그
Yoram Zague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2006.05.15
2023~2028
파일:FC 코펜하겐 로고.svg ~2026.06.30
나우펠 엘 하나슈
Naoufel El Hannach
파일:모로코 국기.svg | DF
2006.12.07
2025~2027
파일:몽펠리에 HSC 로고.svg ~2026.06.30
가브리에우 모스카르두
Gabriel Moscardo
파일:브라질 국기.svg | MF
2005.09.28
2024~2028
파일:SC 브라가 로고.svg ~2026.06.30
헤나투 산체스
Renato Sanche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MF
1997.08.18
2022~2027
파일:파나티나이코스 FC 로고.svg ~2026.06.30
랑달 콜로 무아니
Rendal Kolo Muani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1998.12.05
2022~2027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2026.06.30
구단 정보
회장: 나세르 알 켈라이피 · 단장: 루이스 캄포스 · 감독: 루이스 엔리케 · 구장: 파르크 데 프랭스
출처: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PSG 공식 웹사이트 · 파일:리그 1 맥도날드 로고(화이트).svg 리그 1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7일
* 본 문서를 간략화한 것입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13299> 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 2024.svg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or: #000000"
<rowcolor=#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브리스 삼바
(Brice Samba)
1994년 4월 25일 ([age(1994-04-25)]세) 3 0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렌 FC
16 마이크 메냥
(Mike Maignan)
1995년 7월 3일 ([age(1995-07-03)]세) 33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
23 뤼카 슈발리에
(Lucas Chevalier)
2001년 11월 6일 ([age(2001-11-06)]세) 0 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DF 2 뱅자맹 파바르
(Benjamin Pavard)
1996년 3월 28일 ([age(1996-03-28)]세) 55 5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3 뤼카 디뉴
(Lucas Digne)
1993년 7월 20일 ([age(1993-07-20)]세) 53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톤 빌라 FC
4 다요 우파메카노
(Dayot Upamecano)
1998년 10월 27일 ([age(1998-10-27)]세) 31 2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5 쥘 쿤데
(Jules Koundé)
1998년 11월 12일 ([age(1998-11-12)]세) 43 0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15 이브라히마 코나테
(Ibrahima Konaté)
1999년 5월 25일 ([age(1999-05-25)]세) 24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17 말로 귀스토
(Malo Gusto)
2003년 5월 19일 ([age(2003-05-19)]세) 4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
21 뤼카 에르난데스
(Lucas Hernández)
1996년 2월 14일 ([age(1996-02-14)]세) 39 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22 테오 에르난데스
(Théo Hernandez)
1997년 10월 6일 ([age(1997-10-06)]세) 38 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윌리엄 살리바
(William Saliba)
2001년 3월 24일 ([age(2001-03-24)]세) 28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MF 6 케프렌 튀랑
(Khéphren Thuram)
2001년 3월 26일 ([age(2001-03-26)]세) 1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8 오렐리앵 추아메니
(Aurélien Tchouaméni)
2000년 1월 27일 ([age(2000-01-27)]세) 42 3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13 마누 코네
(Manu Koné)
2001년 5월 17일 ([age(2001-05-17)]세) 9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로마
14 아드리앙 라비오
(Adrien Rabiot)
1995년 4월 3일 ([age(1999-01-10)]세) 54 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
- 데지레 두에
(Désiré Doué)
2005년 6월 3일 ([age(2005-06-03)]세) 4 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FW 7 킹슬리 코망
(Kingsley Coman)
1996년 6월 13일 ([age(1996-06-13)]세) 58 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9 마르쿠스 튀랑
(Marcus Thuram)
1997년 8월 6일 ([age(1997-08-06)]세) 30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0 킬리안 음바페 파일:주장 아이콘.svg
(Kylian Mbappé)
1998년 12월 20일 ([age(1998-12-20)]세) 91 51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11 마이클 올리세
(Michael Olise)
2001년 12월 12일 ([age(2001-12-12)]세) 9 3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18 마그네스 아클리우슈
(Maghnes Akliouche)
2002년 2월 25일 ([age(2002-02-25)]세) 1 0 파일:프랑스 국기.svg AS 모나코 FC
19 위고 에키티케
(Hugo Ekitiké)
2002년 6월 20일 ([age(2002-06-20)]세) 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20 브래들리 바르콜라
(Bradley Barcola)
2002년 9월 2일 ([age(2002-09-02)]세) 15 2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 우스만 뎀벨레
(Ousmane Dembélé)
1997년 5월 15일 ([age(1997-05-15)]세) 57 7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 라얀 셰르키
(Rayan Cherki)
2003년 8월 17일 ([age(2003-08-17)]세) 2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일정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9월 5일(금) 원정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2025년 9월 9일(화)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 ||

파일:Ballon d'Or.png역대 발롱도르 수상자
Ballon d'Or Award (1956~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제1회
(1956년)
제2회
(1957년)
제3회
(1958년)
제4회
(1959년)
제5회
(1960년)
스탠리 매튜스
(블랙풀 FC)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레알 마드리드 CF)
레몽 코파
(레알 마드리드 CF)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레알 마드리드 CF)
루이스 수아레스
(FC 바르셀로나)
제6회
(1961년)
제7회
(1962년)
제8회
(1963년)
제9회
(1964년)
제10회
(1965년)
오마르 시보리
(유벤투스 FC)
요제프 마소푸스트
(FK 두클라 프라하)
레프 야신
(FC 디나모 모스크바)
데니스 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에우제비우
(SL 벤피카)
'''제11회
(1966년)
제12회
(1967년)
제13회
(1968년)
제14회
(1969년)
제15회
(1970년)
바비 찰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플로리안 알베르트
(페렌츠바로시 TC)
조지 베스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잔니 리베라
(AC 밀란)
게르트 뮐러
(FC 바이에른 뮌헨)
제16회
(1971년)
제17회
(1972년)
제18회
(1973년)
제19회
(1974년)
제20회
(1975년)
요한 크루이프
(AFC 아약스)
프란츠 베켄바워
(FC 바이에른 뮌헨)
요한 크루이프
(FC 바르셀로나)
요한 크루이프
(FC 바르셀로나)
올레흐 블로힌
(FC 디나모 키예프)
제21회
(1976년)
제22회
(1977년)
제23회
(1978년)
제24회
(1979년)
제25회
(1980년)
프란츠 베켄바워
(FC 바이에른 뮌헨)
알란 시몬센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케빈 키건
(함부르크 SV)
케빈 키건
(함부르크 SV)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FC 바이에른 뮌헨)
제26회
(1981년)
제27회
(1982년)
제28회
(1983년)
제29회
(1984년)
제30회
(1985년)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FC 바이에른 뮌헨)
파올로 로시
(유벤투스 FC)
미셸 플라티니
(유벤투스 FC)
미셸 플라티니
(유벤투스 FC)
미셸 플라티니
(유벤투스 FC)
'''제31회
(1986년)
'''제32회
(1987년)
'''제33회
(1988년)
'''제34회
(1989년)
'''제35회
(1990년)
이고리 벨라노프
(FC 디나모 키예프)
루드 굴리트
(AC 밀란)
마르코 반 바스텐
(AC 밀란)
마르코 반 바스텐
(AC 밀란)
로타어 마테우스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제36회
(1991년)
제37회
(1992년)
제38회
(1993년)
제39회
(1994년)
제40회
(1995년)
장피에르 파팽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마르코 반 바스텐
(AC 밀란)
로베르토 바조
(유벤투스 FC)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FC 바르셀로나)
조지 웨아
(AC 밀란)
제41회
(1996년)
제42회
(1997년)
제43회
(1998년)
제44회
(1999년)
제45회
(2000년)
마티아스 자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호나우두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지네딘 지단
(유벤투스 FC)
히바우두
(유벤투스 FC)
루이스 피구
(레알 마드리드 CF)
제46회
(2001년)
제47회
(2002년)
제48회
(2003년)
제49회
(2004년)
제50회
(2005년)
마이클 오언
(리버풀 FC)
호나우두
(레알 마드리드 CF)
파벨 네드베드
(유벤투스 FC)
안드리 셰브첸코
(AC 밀란)
호나우지뉴
(FC 바르셀로나)
'''제51회
(2006년)
제52회
(2007년)
제53회
(2008년)
제54회
(2009년)
제55회
(2010년)
파비오 칸나바로
(레알 마드리드 CF)
카카
(AC 밀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리오넬 메시
(FC 바르셀로나)
리오넬 메시
(FC 바르셀로나)
제56회
(2011년)
제57회
(2012년)
제58회
(2013년)
제59회
(2014년)
제60회
(2015년)
리오넬 메시
(FC 바르셀로나)
리오넬 메시
(FC 바르셀로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레알 마드리드 CF)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레알 마드리드 CF)
리오넬 메시
(FC 바르셀로나)
제61회
(2016년)
제62회
(2017년)
제63회
(2018년)
제64회
(2019년)
'제65회
(2021년)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레알 마드리드 CF)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레알 마드리드 CF)
루카 모드리치
(레알 마드리드 CF)
리오넬 메시
(FC 바르셀로나)
리오넬 메시
(파리 생제르맹 FC)
제66회
(2022년)
제67회
(2023년)
제68회
(2024년)
제69회
(2025년)
제70회
(2026년)
카림 벤제마
(레알 마드리드 CF)
리오넬 메시
(인터 마이애미 CF)
로드리
(맨체스터 시티 FC)
우스만 뎀벨레
(파리 생제르맹 FC)
미정
(미정)
}}}}}}}}}}}}}}} ||
우스만 뎀벨레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분데스리가 심볼.svg
파일:라리가 심볼(2016~2023).svg
파일:리그 1 심볼.svg
파일:리그 1 심볼(2024).svg
파일:리그 1 심볼(2024).svg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
파일:발롱도르 트로피.png
파일:옹즈도르.png
베스트팀
파일:1200px-Logo_UNFP.svg.png
2023-24 · 2024-25
파일:VDV로고.png
파일:분데스리가 심볼.svg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

FIFA 월드컵 우승 멤버
}}} ||
우스만 뎀벨레의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2016년 골닷컴 선정 NXGN (U-20) 유망주 50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유리 틸레만스 브렐 엠볼로 잔루이지 돈나룸마 후벵 네베스 마르틴 외데고르
제르송 안테 초리치 헤나투 산체스 마우콩 조 고메즈
바츨라프 체르니 가브리에우 제주스 도니 판더베이크 아마두 디아와라 우마르 사디크
패트릭 로버츠 빅터 오시멘 마누 가르시아 안드리야 발리치 장케빈 오귀스탱
압델하크 누리 세르히오 디아스 에네스 위날 롤란도 만드라고라 하킴 마스투르
제프 렌아델라이드 리스 옥스포드 루카 요비치 보르하 마요랄 페드로 페레이라
바르트워미에이 드롱고프스키 레이 마나이 카메론 보스윅잭슨 니콜라 블라시치 아달베르토 페냐란다
알반 라퐁 우스만 뎀벨레 크리스티안 비엘리크 이승우 레안드리뉴
도미닉 솔랑케 아론 레야 이세카 링콩 빌랄 울드시흐 스티븐 베르흐베인
치아구 마이아 니콜라스 델가디요 이스마일 아자우이 니클라스 도르슈 라피크 제크니니
}}}}}}}}} ||
1 요리스 · 2 파바르 · 3 킴펨베 · 4 바란 · 5 움티티 · 6 포그바 · 7 그리즈만 · 8 르마 · 9 지루
10 음바페 · 11 뎀벨레 · 12 톨리소 · 13 캉테 · 14 마튀이디 · 15 은존지 · 16 만단다 · 17 라미
18 페키르 · 19 시디베 · 20 토뱅 · 21 L. 에르난데스 · 22 멘디 · 23 아레올라
파일:프랑스 국기.svg 디디에 데샹

파일:나이키 로고 골드.svg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Équipe de France de Football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최종 명단)
1 요리스 · 2 파바르 · 3 디사시 · 4 바란 · 5 쿤데 · 6 귀앵두지 · 7 그리즈만 · 8 추아메니 · 9 지루 · 10 음바페
11 뎀벨레 · 12 콜로 무아니 · 13 포파나 · 14 라비오 · 15 베레투 · 16 만단다 · 17 살리바 · 18 우파메카노
19 벤제마 · 20 코망 · 21 L. 에르난데스 · 22 T. 에르난데스 · 23 아레올라 · 24 코나테 · 25 카마빙가 · 26 튀랑
파일:프랑스 국기.svg 디디에 데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C172; font-size: 0.8em;" 파일:프랑스 국기.svg 기 스테판

1 삼바 · 2 파바르 · 3 멘디 · 4 우파메카노 · 5 쿤데 · 6 카마빙가 · 7 그리즈만 · 8 추아메니 · 9 지루 · 10 음바페
11 뎀벨레 · 12 콜로 무아니 · 13 캉테 · 14 라비오 · 15 튀랑 · 16 메냥 · 17 살리바 · 18 자이르-에메리
19 포파나 · 20 코망 · 21 클로스 · 22 T. 에르난데스 · 23 아레올라 · 24 코나테 · 25 바르콜라
파일:UEFA EURO FRA.png 디디에 데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FRA.png 기 스테판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FRA.png 프랑크 라비오

[1] /usman dɛmbɛlɛ/. Dembélé는 서아프리카 기원의 성씨로, 프랑스어 입장에서는 외래어다. 그렇기에 em을 /ɑ̃/(앙)으로 발음하지 않고 /ɛm/(엠)으로 발음한다.[2] 세네갈 국적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25세 이후로 복수국적을 허용하지 않는 세네갈 국적법 때문에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3] 파리 생제르맹 FC 공식 프로필[4] 최전방 원톱보다는 폴스 나인의 역할을 수행하며, 양발을 워낙 자유자재로 다루기 때문에 좌우를 넘나들며 프리롤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5] 굳이 주발을 정해야 하면 왼발잡이에 가깝다. 다만 이것은 선천적인것이고 과거 인터뷰에서 왼발잡이이지만 오른발이 더 편하다는 다소 어이없는 인터뷰를 할 정도로 주발에 대한 개념이 없고 실제 매 경기마다 양발을 모두 자유자재로 쓰는 모습을 보여주고 득점 빈도 역시 양발이 거의 50 대 50을 이룬다. 양손잡이기도 하니 선천적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뎀벨레가 직접 밝힌 대로 과거에 왼발잡이었기 때문에 드리블을 할 때는 왼발을 자주 쓴다. 그리고 경기 중에 순간적으로 공을 터치할 때도 무의식적으로 왼발이 먼저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며 왼발잡이와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그래서 그런지 오른쪽 윙어로 뛸때 더욱 좋은 폼을 보여주고 있다. 슛이나 드리블 상황에서 왼발의 사용이 미세하게 앞서나 정작 프리킥, 코너킥, 페널티킥 상황에서는 전부 오른발을 사용한다. 이러한 점 때문에 주발이 어디라고 딱 잘라 판명짓기가 어렵다. 주발의 개념을 말할 때 드리블 시 가장 선호하는 발인지 킥을 할때 가장 선호하는 발인지로 규정하는 것이 애매하기 때문. 바르셀로나와의 재계약 영상에서는 왼손으로 글씨를 쓰는 것으로 보아 왼손잡이에 좀 더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6] 2025년 9월 6일 기준[7] 나이키와 계약 종료 후 푸마랑 아디다스 번갈아 신다가 아디다스를 선택하였다.[8] 덕분에 이후 글로벌 팬들에게 멍청한 발언이라고 비웃음 당했다.[9] 때마침 그리즈만도 같은 프랑스인이어서 조국인 프랑스국가 이미지도 크게 실추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두 선수의 조국인 프랑스 대표팀유로 2020 16강전에서 탈락하자, 참교육을 당했다, 자업자득이라고 평가되기도 했다.[10] 총 6시즌[11] 또한, 그만큼 프로의식이 심각할 정도로 떨어졌다는 얘기도 된다.[12] 한 시즌에 트레블과 발롱도르를 동시에 얻은 선수는 리오넬 메시가 유일하다.[13] 하지만 이 시즌의 불화설은 그냥 언론의 흔들기라고 보는 게 옳다. 당사자들 모두가 부인하기도 했고 진지한 이미지인 메시가 트레이닝 세션에서 뎀벨레와 이야기하다 빵 터지며 포복절도하는 사진이 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을 정도로 뎀벨레와 메시의 사이는 결코 나쁘지 않았다. 본인이 밝히길 2022 월드컵 결승전 직전에 라커룸에서도 메시 옆자리에 자주 앉았었고, 이적 초반 당시 자기 혼자 다 결정지으려는 뎀벨레를 메시가 많이 타이르고 가르쳐줬다고 한다. 메시가 PSG로 이적한 뒤에도 여전히 자주 연락하며 친하게 지내고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