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1 13:54:49

요제프 그로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0101, #cc0000 20%, #cc0000 80%, #b70101);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총리
수상(F)
<rowcolor=#ffffff> 부총리
부수상
<rowcolor=#ffffff> 국가행정조직 각료
외무장관 내무장관 재무장관
법무장관 국방장관 경제장관
농무장관 체신장관 운수장관
노동장관 항공장관 군수장관
종무장관 동방영토장관
국민계몽선전장관 문교장관
<rowcolor=#ffffff> 비국가행정조직 각료
퓌러대리 제국은행 총재
네덜란드 국가판무관 노르웨이 국가판무관
동방 국가판무관 폴란드 총독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
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 총독
<rowcolor=#ffffff> 기타 장관급 각료
OKW 사령관 당수부장
}}}}}}}}}


파일:Gauleiter.png
대관구지휘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베를린 대관구 브란덴부르크 대관구 메클렌부르크 대관구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대관구
요제프 괴벨스 에밀 슈투르츠 프리드리히 힐데브란트 힌리히 로제
<rowcolor=#fff> 함부르크 대관구 베저-엠스 대관구 오스트하노버 대관구 쥐트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 대관구
카를 카우프만 카를 뢰퍼 오토 텔쇼 베른하르트 루스트
<rowcolor=#fff> 쿠르헤센 대관구 헤센-나사우 대관구 베스트팔렌-노르트 대관구 베스트팔렌-쥐트 대관구
카를 바인리히 야코프 슈프렝어 알프레트 마이어 요제프 바그너
<rowcolor=#fff> 에센 대관구 뒤셀도르프 대관구 쾰른-아헨 대관구 모젤란트 대관구
요제프 테르보펜 프리드리히 카를 플로리안 요제프 그로헤 구스타프 지몬
<rowcolor=#fff> 베스트마르크 대관구 바덴 대관구 뷔르템베르크-호엔촐레른 대관구 슈바벤 대관구
요제프 뷔르켈 로베르트 하인리히 바그너 빌헬름 무어 카를 발
<rowcolor=#fff> 뮌헨-오버바이에른 대관구 바이로이트 대관구 프랑켄 대관구 마인프랑켄 대관구
아돌프 바그너 프리츠 베히틀러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오토 헬무트
<rowcolor=#fff> 튀링겐 대관구 마그데부르크-안할트 대관구 할레-메르제부르크 대관구 작센 대관구
프리츠 자우켈 루돌프 요르단 요아힘 알브레히트 에겔링 마르틴 무취만
<rowcolor=#fff> 오버슐레지엔 대관구 니더슐레지엔 대관구 포메른 대관구 오스트프로이센 대관구
프리츠 브라흐트 카를 항케 프란츠 슈베데-코부르크 에리히 코흐
<rowcolor=#fff> 단치히-베스트프로이센 국가대관구 바르텔란트 국가대관구 주데텐란트 국가대관구 빈 국가대관구
알베르트 포르스터 아르투어 그라이저 콘라트 헨라인 발두어 폰 시라흐
<rowcolor=#fff> 오버도나우 국가대관구 니더도나우 국가대관구 슈타이어마르크 국가대관구 케른텐 국가대관구
아우구스트 아이그루버 후고 유리 지크프리트 위버라이터 프리드리히 라이너
<rowcolor=#fff> 잘츠부르크 국가대관구 티롤-포어아를베르크 국가대관구 해외 대관구
구스타프 아돌프 셸 프란츠 호퍼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나치 독일의 대관구
}}}}}}}}}}}} ||
[[독일의 전쟁범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전범과 재판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루돌프 헤스 | 마르틴 보어만궐석재판 | 발두어 폰 시라흐 | 발터 풍크 | 빌헬름 카이텔 | 빌헬름 프리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알베르트 슈페어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알프레트 요들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 에리히 레더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카를 되니츠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프리츠 자우켈 | 한스 프랑크 | 헤르만 괴링자살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볼프람 지퍼스 | 루돌프 브란트 | 발데마르 호펜 | 카를 겐츠켄

에르하르트 밀히

오스발트 폴 | 아우구스트 프랑크 | 게오르크 뢰르너 | 한스 뢰르너 | 프란츠 아이렌슈말츠

빌헬름 리스트 | 로타르 렌둘릭 | 발터 쿤체

울리히 그라이펠트 | 베르너 로렌츠 | 리하르트 힐데브란트

오토 올렌도르프 | 에리히 나우만 | 파울 블로벨 | 베르너 브라우네 | 에두아르트 슈트라우흐 | 마르틴 잔트베르거 | 오이겐 슈타임레 | 발데마르 클링겔회퍼 | 하인츠 요스트 | 구스타프 아돌프 노스케 | 프란츠 직스

헤르만 호트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게오르크 폰 퀴힐러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 빌헬름 케플러 |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 리하르트 발터 다레 | 한스 라머스 | 빌헬름 슈투카르트 | 오토 디트리히 | 고틀로프 베르거 | 발터 셸렌베르크 |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 | 에드문트 페젠마이어
별개의 재판
미국 마우트하우젠 재판

아우구스트 아이그루버 | 에두아르트 크렙스바흐 | 아돌프 추터
미국 부헨발트 재판

요시아스 추 발데크피르몬트 | 일제 코흐
미국 말메디 재판

요제프 디트리히 | 헤르만 프리스 | 요아힘 파이퍼
영국 하멜른 재판

카를 에버하르트 쇤가르트 | 요제프 크라머 | 이르마 그레제
영국 아우리히 재판

쿠르트 마이어
영국 헤롤트 재판

빌리 파울 헤롤트
네덜란드 리페르트 재판

미하엘 리페르트
네덜란드 헤이그 재판

한스 라우터
소련 리가 재판

프리드리히 예켈른
프랑스 님 재판

빌헬름 비트리히
프랑스 보르도 재판

하인츠 라머딩결석재판

아르투어 그라이저 | 아몬 괴트 | 요제프 마이징거 | 루돌프 회스 | 요제프 뷜러 | 알베르트 포르스터
폴란드 슈트로프 재판

위르겐 슈트로프
폴란드 코흐 재판

에리히 코흐
체코슬로바키아 리디체 재판

쿠르트 달루게 | 카를 헤르만 프랑크
서독 만슈타인 재판

에리히 폰 만슈타인
서독 부흐 재판

발터 부흐
서독 모아빗 재판

에리히 바우어
이스라엘 아이히만 재판

아돌프 아이히만
동독 블뢰체 재판

요제프 블뢰체
서독 뒤셀도르프 재판

프란츠 슈탕글
서독 트레블링카 재판

쿠르트 프란츠 | 빌리 멘츠
서독 소비보르 재판

쿠르트 볼렌더자살
서독 볼프 재판

카를 볼프
이탈리아 프리프케 재판

에리히 프리프케
프랑스 바르비 재판

클라우스 바르비
21세기 이후 나치 전범 재판

요제프 쉬츠
학살 사건 홀로코스트 | 독일 친위대의 전쟁범죄 | 독일 국방군의 전쟁 범죄 | 바비야르 학살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벨라루스 점령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말메디 학살 | 그래뉴 학살 | 르 파라디 학살 | 바르샤바 봉기 진압
종전 전 사망한
전쟁범죄
혐의자
아돌프 히틀러 | 요제프 괴벨스 | 마르틴 보어만 | 하인리히 힘러 | 리하르트 글뤽스 | 오딜로 글로보츠닉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이름프리트 에베를 | 쿠르트 폰 고트베르크 | 에두아르트 바그너 | 프리드리히 크뤼거 | 필리프 보울러 | 한스-아돌프 프뤼츠만 | 헤르베르트 바케 | 베른하르트 루스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발터 모델 | 한스 크렙스 이상 자살
헤르만 페겔라인처형 | 아르투어 네베처형 | 카를 오토 코흐처형 | 에리히 회프너처형 | 빌헬름 카나리스처형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처형 | 볼프 하인리히 그라프 폰 헬도르프처형 | 지크문트 라셔처형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암살 |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암살 | 테오도어 아이케전사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암살 | 페르디난트 폰 자메른 프랑케네크암살 | 오스카 디를레방어의문사 | 롤란트 프라이슬러폭사 | 프리츠 비트전사 | 카를 항케 | 에른스트 하인리히 슈마우저 | 프란츠 치라이스
실종된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리히 뮐러
기소되지 않은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츠 라이네파르트 | 쿠르트 발트하임 | 디트리히 폰 콜티츠
생체 실험 T4 작전
생체실험 관련인물
요제프 멩겔레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호르스트 슈만 | 아리베르트 하임 | 카를 클라우베르크 | 지크문트 라셔
강제수용소 틀:나치의 주요 절멸수용소 | 다하우 강제수용소 | 마우트하우젠 강제수용소 | 야세노바츠 강제수용소
기타 라이헤나우 강조 명령 | 정치장교 명령 | 국방군 무오설
나치 전쟁범죄 부역자 안테 파벨리치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비드쿤 크비슬링 | 이온 안토네스쿠 | 호리아 시마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스테판 반데라 | 안톤 뮈서르트 | 그러시 요제프 |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 페케테헐미-체이드네르 페렌츠 | 헹크 펠드메이어르 | 루스커이 예뇌 | 아민 알후세이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중립국
※ 문서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서술. 기소 여부 및 판결에 대해서는 각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문서를 참고
※ 둘러보기: 틀:파시즘, 틀:나치즘, 틀:뉘른베르크 군사법정 전범재판 }}}}}}}}}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
쾰른-아헨 대관구지휘자
요제프 그로헤
Josef Grohé
<nopad> 파일:요제프 그로헤.jpg
<colbgcolor=#DD0000><colcolor=#FFF> 출생 1902년 11월 6일
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 라인주 게뮌덴
사망 1987년 12월 27일 (향년 85세)
서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쾰른
정당
최종 계급 NSKK[1] 대장 (상급집단지도자)
주요 참전 루르 점령

1. 개요2. 생애3. 여담


1. 개요

나치 독일의 정치인,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의 국가판무관이다.

2. 생애

1902년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12세가 되던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고 전쟁 막바지인 1918년 16세가 되던해 수병으로 입대하려 했으나 미성년자라는 이유로 거절당했다. 그후 1919년 경영대학원에 입학해 2년 후 졸업, 철물점 직원으로 일한다. 청소년기부터 민족주의반유대주의 성향이 강했던 그는 1921년 반유대주의 단체 독일 민족방위연맹[2]에 가입하여 활동하다 1년 후 다른 당원들을 따라 나치당에 가입한다. 나치당 입당 이후 그로헤는 나치당 쾰른 지부를 창설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그곳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으며 1923년 프랑스벨기에와 함께 루르 점령을 감행하자 우익, 민족주의 단체들과 함께 격렬히 저항한다. 이때 국가방위군의 은밀한 제안을 받아 프랑스의 석탄열차를 폭파시키는 사보타주에 가담하기도 했다. 이후 맥주홀 폭동으로 나치당이 해산되자또 다른 민족주의 단체에 들어갔다가 1925년 나치당 재창단 후 흡수되어 다시 나치당에서 활동한다. 이 시기 그로헤는 독일노동전선의 수장인 로베르트 라이 밑에서 일하는 한편 1931년까지 나치당의 신문 푈키셔 베오바흐터의 독일 서부지부 편집장을 맡기도 했다. 신문은 극단적인 반유대주의 서술을 일삼았기에 1928년 봄에는 징역형을 선고 받기도 한다.
파일:grohe.jpg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그로헤, 빌헬름 프리크

이후 1929년 쾰른 시의회 의원이 되어 당시 쾰른 시장인 콘라트 아데나워를 해임하는데 기여하였고 1931년 쾰른 가우의 지도자[3]를 거쳐 1933년 11월 제국의회에 선출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 국회의원이 된 그로헤는 나치당이 정권을 잡은 후 사실상 쾰른지역의 통치권을 맡았다. 이곳에서 유대인교회, 공산주의자를 비롯한 정치적 반대자들을 적극적으로 탄압했으며 특히 유대인의 투표권 박탈에 크게 기여한다. 1939년 그간의 공적을 인정받아 NSKK 대장으로 진급하였다.[4]

그로헤는 제2차 세계대전이 개전된 후에도 민방위쾰른-아헨 대관구의 관할을 맡다가 전쟁 말기인 1944년 7월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가 신설되자 국가판무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9월 3일 연합군에게 브뤼셀을 내주며 사실상 통치권을 상실했고 얼마가지 않아 12월에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가 공식적으로 폐지되며 약 5개월 간 국가판무관으로서의 짧은 임기를 마쳤다. 1945년 3월 독일군에게 패배의 그림자가 드리우자 라인 강의 다리를 철거하고 국민돌격대에게 미군에게 저항할 것을 촉구하는 한편 본인은 진격해오는 미군을 피해 모터보트를 타고 도주한다.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된 괴벨스는 본인의 일기에 그로헤를 허풍쟁이라며 가루가 되도록 깠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폭로 중 하나가 그로헤가 한 짓이다. 그로헤는 거창한 선언을 했으나 자신의 대관구도 지키지 못했다. 그는 시민들이 끌려가기도 전에 대관구를 떠난 것도 모자라 이제는 위대한 영웅 행세를 하려한다.
1945년 4월 4일 괴벨스의 일기 中

모터보트를 타고 본인의 대관구에서 도주한 이후 아직 연합군에게 점령당하지 않은 지역을 전전하다 종전을 맞이한다. 전후 헤센에서 '오토 그로버'라는 가명과 함께 농부로 위장하여 생활하던 중 1946년 8월 정체가 발각되어 영국군에게 체포되었으며, 1947년 재판에서 징역 1년 10개월 형을 선고받고 벨기에에서 복역한다. 형기를 다 채워 석방된 후 1949년 서독으로 송환되어 1950년 징역 4년 6개월을 새롭게 선고받고 또 다시 복역할 위기에 처했으나 벨기에에서 이미 형기를 마친 것으로 간주되어 당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주지사인 카를 아놀트가 사면 요청을 수락하며 복역하지는 않았다.[5] 사면 이후 쾰른에 위치한 장난감 공장에서 일하며 여생을 보내다 1987년 12월 사망한다.

3. 여담


[1] 국가사회주의 자동차 군단[2] 약칭 DVSTB[3] Gauleiter[4] 다른 대관구지도자들과 다르게 돌격대친위대에는 입대하지 않았다.[5] 그러나 그로헤는 나치 행적을 딱히 반성하지 않았다. 후에 MI6가 밝힌 사실에 따르면 1953년 그로헤는 괴벨스 내각 국가계몽선전장관이던 베르너 나우만과 접촉하여 독일자유민주당에 과거 나치당 인사들을 침투시킬 계획을 세웠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