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20:06:39

요제프 크라머

[[독일의 전쟁범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전범과 재판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루돌프 헤스 | 마르틴 보어만궐석재판 | 발두어 폰 시라흐 | 발터 풍크 | 빌헬름 카이텔 | 빌헬름 프리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알베르트 슈페어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알프레트 요들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 에리히 레더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카를 되니츠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프리츠 자우켈 | 한스 프랑크 | 헤르만 괴링자살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볼프람 지퍼스 | 루돌프 브란트 | 발데마르 호펜 | 카를 겐츠켄

에르하르트 밀히

오스발트 폴 | 아우구스트 프랑크 | 게오르크 뢰르너 | 한스 뢰르너 | 프란츠 아이렌슈말츠

빌헬름 리스트 | 로타르 렌둘릭 | 발터 쿤체

울리히 그라이펠트 | 베르너 로렌츠 | 리하르트 힐데브란트

오토 올렌도르프 | 에리히 나우만 | 파울 블로벨 | 베르너 브라우네 | 에두아르트 슈트라우흐 | 마르틴 잔트베르거 | 오이겐 슈타임레 | 발데마르 클링겔회퍼 | 하인츠 요스트 | 구스타프 아돌프 노스케 | 프란츠 직스

헤르만 호트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게오르크 폰 퀴힐러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 빌헬름 케플러 |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 리하르트 발터 다레 | 한스 라머스 | 빌헬름 슈투카르트 | 오토 디트리히 | 고틀로프 베르거 | 발터 셸렌베르크 |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
별개의 재판
미국 마우트하우젠 재판

아우구스트 아이그루버 | 에두아르트 크렙스바흐 | 아돌프 추터
미국 부헨발트 재판

요시아스 추 발데크피르몬트 | 일제 코흐
미국 말메디 재판

요제프 디트리히 | 헤르만 프리스 | 요아힘 파이퍼
영국 하멜른 재판

카를 에버하르트 쇤가르트 | 요제프 크라머 | 이르마 그레제
영국 아우리히 재판

쿠르트 마이어
영국 헤롤트 재판

빌리 파울 헤롤트
네덜란드 리페르트 재판

미하엘 리페르트
네덜란드 헤이그 재판

한스 라우터
소련 리가 재판

프리드리히 예켈른
프랑스 님 재판

빌헬름 비트리히
프랑스 보르도 재판

하인츠 라머딩결석재판

아르투어 그라이저 | 아몬 괴트 | 요제프 마이징거 | 루돌프 회스 | 요제프 뷜러 | 알베르트 포르스터
폴란드 슈트로프 재판

위르겐 슈트로프
폴란드 코흐 재판

에리히 코흐
체코슬로바키아 리디체 재판

쿠르트 달루게 | 카를 헤르만 프랑크
서독 만슈타인 재판

에리히 폰 만슈타인
서독 부흐 재판

발터 부흐
서독 모아빗 재판

에리히 바우어
이스라엘 아이히만 재판

아돌프 아이히만
동독 블뢰체 재판

요제프 블뢰체
서독 뒤셀도르프 재판

프란츠 슈탕글
서독 트레블링카 재판

쿠르트 프란츠 | 빌리 멘츠
서독 소비보르 재판

쿠르트 볼렌더자살
서독 볼프 재판

카를 볼프
이탈리아 프리프케 재판

에리히 프리프케
프랑스 바르비 재판

클라우스 바르비
21세기 이후 나치 전범 재판

요제프 쉬츠
학살 사건 홀로코스트 | 독일 국방군의 전쟁 범죄 | 바빈야르 학살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벨라루스 점령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말메디 학살 | 그래뉴 학살 | 르 파라디 학살 | 바르샤바 봉기 진압
종전 전 사망한
전쟁범죄
혐의자
아돌프 히틀러 | 요제프 괴벨스 | 마르틴 보어만 | 하인리히 힘러 | 리하르트 글뤽스 | 오딜로 글로보츠닉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이름프리트 에베를 | 쿠르트 폰 고트베르크 | 에두아르트 바그너 | 프리드리히 크뤼거 | 필리프 보울러 | 한스-아돌프 프뤼츠만 | 헤르베르트 바케 | 베른하르트 루스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발터 모델 | 한스 크렙스 이상 자살
헤르만 페겔라인처형 | 아르투어 네베처형 | 카를 오토 코흐처형 | 에리히 회프너처형 | 빌헬름 카나리스처형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처형 | 볼프 하인리히 그라프 폰 헬도르프처형 | 지크문트 라셔처형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암살 |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암살 | 테오도어 아이케전사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암살 | 페르디난트 폰 자메른 프랑케네크암살 | 오스카 디를레방어의문사 | 롤란트 프라이슬러폭사 | 프리츠 비트전사 | 카를 항케 | 에른스트 하인리히 슈마우저 | 프란츠 치라이스
실종된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리히 뮐러
기소되지 않은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츠 라이네파르트 | 쿠르트 발트하임 | 디트리히 폰 콜티츠
생체 실험 T4 작전
생체실험 관련인물
요제프 멩겔레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호르스트 슈만 | 아리베르트 하임 | 카를 클라우베르크 | 지크문트 라셔
강제수용소 틀:나치의 주요 절멸수용소 | 다하우 강제수용소
기타 라이헤나우 강조 명령 | 정치장교 명령 | 국방군 무오설
나치 전쟁범죄 부역자 안테 파벨리치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비드쿤 크비슬링 | 이온 안토네스쿠 | 호리아 시마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스테판 반데라 | 안톤 뮈서르트 | 그러시 요제프 |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 페케테헐미-체이드네르 페렌츠 | 헹크 펠드메이어르 | 루스커이 예뇌 | 아민 알후세이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중립국
※ 문서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서술. 기소 여부 및 판결에 대해서는 각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문서를 참고
※ 둘러보기: 틀:파시즘, 틀:나치즘, 틀:뉘른베르크 군사법정 전범재판 }}}}}}}}}
파일:크리머.jpg
이름 요제프 크라머 (Josef Kramer)
복무 나치 친위대
최종 계급 친위대 해골부대 대위[1]
정당
출생 1907년 11월 10일
독일 제국 바이에른 왕국 뮌헨
사망 1945년 12월 13일 (향년 38세)
연합군 점령하 독일 하델
1. 개요2. 초기 행적3. 강제수용소에서의 행적4. 전후 재판과 최후

1. 개요

독일군인. 슈츠슈타펠 대위이자 여러 강제수용소에서 반인륜 전쟁범죄를 저질렀다. 안네 프랑크를 죽음으로 내몬 장본인이기도 하다.

2. 초기 행적

뮌헨 출신인 크라머는 중산층 집안 출신이었으며 부모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다. 부모는 그를 엄격한 가톨릭식 교육으로 가르쳤다. 그는 1920년 부터 전기 기술자로서 견습생 생활을 시작했으며 1925년 부터 1930년 까지는 백화점에서 회계사로 일했다.
파일:친위대 소위 요제프 크라머.jpg
친위대 소위 시절 요제프 크라머
1931년나치당에 입당하여 1932년에 친위대 대원이 되었다. 1934년에 다하우 강제수용소의 간수가 된 후 급속히 승진하여 작센하우젠 강제수용소 및 마우트하우젠 강제수용소의 부소장으로 취임했다.

3. 강제수용소에서의 행적

파일:9994780f-44bd-43c0-9674-7ab2b26504ce.jpg
나쉬바일러 슈트르호프 강제수용소의 가스실
1940년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에서 루돌프 회스 소장의 부관으로 임명되었다. 1941년 4월에 나쉬바일러 슈트르호프 강제수용소의 소장으로 취임한 크라머는 80여명의 그리스계 유대인 남성과 여성들을 가스실에서 학살한 뒤 그들의 두개골을 스트라스부르 제국 대학에 해부학 실습용으로 기증했다.
파일:StaffJosefKramerAschwitz_1944_04.jpg
1944년,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 소장 루돌프 회스, 의사 요제프 멩겔레와 담배를 피며 휴식을 취하는 크라머[2]
1942년에 친위대 대위로 승진하여 1944년 5월부터 1944년 12월까지 아우슈비츠의 비르케나우 가스실 관리자로 일했다. 크라머는 적극적으로 "선별 작업"[3]에 몰두했다. 1944년 5월에는 <회스 작전>이 개시되자 루돌프 회스의 지시 하에 헝가리계 유대인 43만 명을 단 56일 만에 학살해냈다.
파일:The_Liberation_of_Bergen-belsen_Concentration_Camp,_April_1945_BU4711_(cropped).jpg
베르겐-벨젠 강제수용소

1944년 12월부터는 베르겐-벨젠 강제수용소의 소장으로 임명되었다. 베르겐-벨젠 수용소는 가스실은 없었으나 매우 위생상태가 나빴는데 이곳에 수용된 사람들은 대부분이 티푸스 등의 감염 및 굶주림으로 사망했다. 안네의 일기로 잘 알려진 안네 프랑크도 그 희생자 중의 하나다. 전후 베르겐-벨젠에서 해방된 수용자들이 <유대인들이 수용소에서 나갈 방법은 이 굴뚝 외엔 없다>라고 소각로를 가리킨 말은 매우 유명하다.

다른 SS 장교와 마찬가지로 유대인에 대해 병적인 증오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감자들을 폭력적으로 대했다. 수틀리면 수감자를 구타하는가 하면 자신의 손으로 직접 즉결처형하기도 했다. 그는 유대인 학살을 '효율적으로 해낸 일'로 1945년 1월에 1급 전쟁공로 십자훈장을 수여받는다.

나치의 패망이 눈 앞에 오면서 강제수용소의 운영 시스템은 마비되었고, 많은 경비원들은 보복을 두려워해 도주했지만 크라머는 수용소를 지켰다. 그리고 영국군이 베르겐-벨젠 강제수용소에 도달하자 크라머는 영국군을 맞이해 수용소의 열악한 환경들을 소개시켜 준다.

4. 전후 재판과 최후

파일:요제프 크라머 1945년.jpg
1945년 4월 17일, 영국군에 의해 체포되는 요제프 크라머[4]
벨젠의 야수로 칭해졌던 크라머는 종전 후 수용소에 남아 영국군에 의해 체포되었다. 크라머는 태연하게 수용소의 광경들을 자랑했고 영국군을 경악하게 만들었다. 그는 심문과정에서 자신의 범죄를 태연하고 순순하게 인정했다.[5] 결국 그는 다른 44명의 수용소 반원들과 함께 유죄를 인정받아 영국군사법정에서 1945년 11월에 사형선고를 받고 12월 13일, 하멜른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그는 비겁하게도 처형 직전 버나드 몽고메리 원수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은 명령을 따랐을 뿐이라며 책임을 하인리히 힘러에게 돌리면서 사면을 요청했지만, 몽고메리는 승인하지 않았다.


[1] SS Hauptsturmführer[2] 크라머 오른쪽의 SS중위는 안톤 투만(Anton Thumann)이다.[3] 노동 가능한 자즉시 학살 대상으로 분류하는 작업을 말한다.[4] 영국군이 그에게 총을 겨누는 이유는 수 천명이 넘는 유대인들이 처참하게 시신으로 발견된 상황속에서도 크라머의 뻔뻔하고 태연한 태도에 분노했기 때문이다.[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