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12:59:13

이르마 그레제

[[독일의 전쟁범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전범과 재판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루돌프 헤스 | 마르틴 보어만궐석재판 | 발두어 폰 시라흐 | 발터 풍크 | 빌헬름 카이텔 | 빌헬름 프리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알베르트 슈페어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알프레트 요들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 에리히 레더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카를 되니츠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프리츠 자우켈 | 한스 프랑크 | 헤르만 괴링자살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볼프람 지퍼스 | 루돌프 브란트 | 발데마르 호펜 | 카를 겐츠켄

에르하르트 밀히

오스발트 폴 | 아우구스트 프랑크 | 게오르크 뢰르너 | 한스 뢰르너 | 프란츠 아이렌슈말츠

빌헬름 리스트 | 로타르 렌둘릭 | 발터 쿤체

울리히 그라이펠트 | 베르너 로렌츠 | 리하르트 힐데브란트

오토 올렌도르프 | 에리히 나우만 | 파울 블로벨 | 베르너 브라우네 | 에두아르트 슈트라우흐 | 마르틴 잔트베르거 | 오이겐 슈타임레 | 발데마르 클링겔회퍼 | 하인츠 요스트 | 구스타프 아돌프 노스케 | 프란츠 직스

헤르만 호트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게오르크 폰 퀴힐러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 빌헬름 케플러 |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 리하르트 발터 다레 | 한스 라머스 | 빌헬름 슈투카르트 | 오토 디트리히 | 고틀로프 베르거 | 발터 셸렌베르크 |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
별개의 재판
미국 마우트하우젠 재판

아우구스트 아이그루버 | 에두아르트 크렙스바흐 | 아돌프 추터
미국 부헨발트 재판

요시아스 추 발데크피르몬트 | 일제 코흐
미국 말메디 재판

요제프 디트리히 | 헤르만 프리스 | 요아힘 파이퍼
영국 하멜른 재판

카를 에버하르트 쇤가르트 | 요제프 크라머 | 이르마 그레제
영국 아우리히 재판

쿠르트 마이어
영국 헤롤트 재판

빌리 파울 헤롤트
네덜란드 리페르트 재판

미하엘 리페르트
네덜란드 헤이그 재판

한스 라우터
소련 리가 재판

프리드리히 예켈른
프랑스 님스 재판

빌헬름 비트리히
프랑스 보르도 재판

하인츠 라머딩결석재판

아르투어 그라이저 | 아몬 괴트 | 요제프 마이징거 | 루돌프 회스 | 요제프 뷜러 | 알베르트 포르스터
폴란드 슈트로프 재판

위르겐 슈트로프
폴란드 코흐 재판

에리히 코흐
체코슬로바키아 리디체 재판

쿠르트 달루게 | 카를 헤르만 프랑크
서독 만슈타인 재판

에리히 폰 만슈타인
서독 부흐 재판

발터 부흐
서독 모아빗 재판

에리히 바우어
이스라엘 아이히만 재판

아돌프 아이히만
동독 블뢰체 재판

요제프 블뢰체
서독 뒤셀도르프 재판

프란츠 슈탕글
서독 트레블링카 재판

쿠르트 프란츠 | 빌리 멘츠
서독 소비보르 재판

쿠르트 볼렌더자살
서독 볼프 재판

카를 볼프
이탈리아 프리프케 재판

에리히 프리프케
프랑스 바르비 재판

클라우스 바르비
21세기 이후 나치 전범 재판

요제프 쉬츠
학살 사건 홀로코스트 | 독일 국방군의 전쟁 범죄 | 바빈야르 학살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벨라루스 점령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말메디 학살 | 그래뉴 학살 | 르 파라디 학살 | 바르샤바 봉기 진압
종전 전 사망한
전쟁범죄
혐의자
아돌프 히틀러 | 요제프 괴벨스 | 마르틴 보어만 | 하인리히 힘러 | 리하르트 글뤽스 | 오딜로 글로보츠닉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이름프리트 에베를 | 쿠르트 폰 고트베르크 | 에두아르트 바그너 | 프리드리히 크뤼거 | 필리프 보울러 | 한스-아돌프 프뤼츠만 | 헤르베르트 바케 | 베른하르트 루스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발터 모델 | 한스 크렙스 이상 자살
헤르만 페겔라인처형 | 아르투어 네베처형 | 카를 오토 코흐처형 | 에리히 회프너처형 | 빌헬름 카나리스처형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처형 | 볼프 하인리히 그라프 폰 헬도르프처형 | 지크문트 라셔처형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암살 |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암살 | 테오도어 아이케전사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암살 | 페르디난트 폰 자메른 프랑케네크암살 | 오스카 디를레방어의문사 | 롤란트 프라이슬러폭사 | 프리츠 비트전사 | 카를 항케 | 에른스트 하인리히 슈마우저 | 프란츠 치라이스
실종된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리히 뮐러
기소되지 않은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츠 라이네파르트 | 쿠르트 발트하임 | 디트리히 폰 콜티츠
생체 실험 T4 작전
생체실험 관련인물
요제프 멩겔레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호르스트 슈만 | 아리베르트 하임 | 카를 클라우베르크 | 지크문트 라셔
강제수용소 틀:나치의 주요 절멸수용소 | 다하우 강제수용소
기타 라이헤나우 강조 명령 | 정치장교 명령 | 국방군 무오설 | 나치독일 피해자 만들기
나치 전쟁범죄 부역자 안테 파벨리치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비드쿤 크비슬링 | 이온 안토네스쿠 | 호리아 시마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스테판 반데라 | 안톤 뮈서르트 | 그러시 요제프 |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 페케테헐미-체이드네르 페렌츠 | 헹크 펠드메이어르 | 루스커이 예뇌 | 아민 알후세이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중립국
※ 문서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서술. 기소 여부 및 판결에 대해서는 각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문서를 참고
※ 둘러보기: 틀:파시즘, 틀:나치즘, 틀:뉘른베르크 군사법정 전범재판 }}}}}}}}}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르마 그레제
Irma Grese
파일:external/www.miguelgarciavega.com/irma-grese.jpg
본명 이르마 아이다 일제 그레제
Irma Ida Ilse Grese
출생 1923년 10월 7일
바이마르 공화국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사망 1945년 12월 13일 (향년 22세)
연합군 점령하 독일 하멜른 하멜른 감옥
소속

1. 개요2. 생애
2.1. 나치당 가입2.2. 전쟁 중의 만행2.3. 최후2.4. 잘못 알려진 사진
3. 기타

[clearfix]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에서 악명을 떨쳤던 슈츠슈타펠 여성보조대원이자 여성 수용캠프의 감독관 및 여성 간수 지휘관.

2. 생애

2.1. 나치당 가입

독일 북부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에서 평범한 농부의 5남매 중 셋째 딸로 태어난 이르마는, 13살 때 어머니 베르타가 일찍 자살하여 동생들과 함께 아버지 알프레트 그레제 밑에서 자랐다. 베르타는 남편이 인근 주점 주인의 딸과 불륜관계를 가졌음을 알고, 염산을 마시고 자살했다.

이르마는 15살에 이상행동을 보여 학교에서 왕따를 당하여 자퇴하였다. 그녀는 말이 없었지만, 당시 독일을 강타하고 있던 나치즘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그 무렵 아버지 알프레트도 1937년에 나치당에 입당했단 설이 있다. 1939년엔 아버지가 재혼했다.

1938년부터 이르마는 농장과 매장 일 등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다가 아버지의 권유로 의학 공부를 했고, 1940년에 독일이 여성보조대원제도란 이름으로 여군[1] 제도를 도입함에 따라 슈츠슈타펠의 SS 부상병 요양캠프의 간호보조원으로 들어가 2년간 복무하였는데 그곳의 일을 즐거워하였다.

그러나 그녀는 번번히 시험에 떨어져 정식 간호사가 될 수 없었고, 얼마 안 가 간호사를 포기하고 간수가 되기로 했다. 그리하여 나치당에 가입하고 여간수학교에서 수업을 받은 후 레벤스르북 강제 수용소 임무를 자원하게 되었다. 그녀의 아버지는 반나치주의자로서 딸이 수용소 임무를 지원하는 것을 극구 반대했으나, 그녀는 이에 굴하지 않고 라벤스브뤽(Ravensbrück)으로 향했는데, 이곳에서 다른 여간수들처럼 교육을 받은 후 1943년 3월에 그들의 주 근무지인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로 이동하였다. 당시 신참 여간수들은 이곳에서 교육을 받아 아우슈비츠로 향했는데, 대부분의 신참 여간수들은 배급과 생활환경 면에서 이곳을 더욱 선호했다.

2.2. 전쟁 중의 만행

파일:9414140915223639g.jpg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에 도착한 이르마는 그곳에서 근무하던 170명의 여간부 중 하나였으나, 아름다운 외모로서 우수한 게르만인의 표본으로 불리면서 '아우슈비츠의 금발의 천사'라는 별명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외모와 달리 성격은 막장이었는데, 수용자들에게는 악명 높은 간수들 중 하나였을 뿐이었다. 당시 그녀는 비르케나우 수용소의 여성수감자 감독관으로서 3만명의 수용자들을 감독하였고, 여간부 서열에서도 2위를 차지하였다. 위의 사진처럼 항상 들고 다니던 가죽채찍은 그녀의 상징이었다. 수감자들을 채찍과 부츠 등으로 때리고[2] 고문하면서 군견에게 물어뜯겨 죽게 하거나[3], 가지고 있던 권총으로 즉결 사살하거나, 가스실로 보낼 인원들을 직접 골라냈다. 또 마취 없이, 소독되지 않은 칼을 사용하여 수술을 수행할 것을 요구했으며 희생자들이 죽어가거나 고문당하면서 지르는 비명에 기뻐했다고 한다.

한편 이르마는 남성 수감자들을 홀려 강간하거나 자신의 성노예로 삼는가 하면 특유의 미모로서 많은 남성 간부들과 염문설을 퍼뜨리기도 하였는데, 이 중에는 그녀가 근무하던 비르케나우 수용소장인 요제프 크라머와 죽음의 천사로 유명한 요제프 멩겔레도 있었다.

1945년 1월에 아우슈비츠가 소개됨에 따라 잠시 라벤스브뤽 강제수용소에 있다가 베르겐-벨젠 수용소에서 다시 한 번 악명을 떨치면서 1945년 3월까지 노동서비스국장직을 수행하였다.

당시 수감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그녀는 폭력을 통해 성적 흥분을 느끼는듯 했다. 예쁜 여죄수들만을 골라 채찍으로 얼굴을 때리며 즐거워했다. 우리 감옥에 있던 예쁜 아이가 철조망을 통해 배관공과 이야기했다는 이유로 아이의 얼굴을 채찍으로 내리쳤다. 그 아이는 한쪽 눈을 잃었다."
"그녀는 전쟁 후에 영화배우가 되는 것을 꿈꿨다. 재단사에게 항상 그녀를 위해 드레스를 만들도록 했다."
"그녀는 모든 이유를 통틀어서 아무런 이유로 구타를 했다. 만약 이르마 그레제라는 여자가 온다면 우리는 때때로 8시간 동안 무릎을 꿇고 무거운 돌들을 머리 위로 올려놓아야 했다."
한편 이르마는 여성 죄수들과 성관계를 가지면서 엽기적인 우정을 나누었다고 한다. 그녀는 마그다와 니나에게 자신의 감정을 털어놓곤 했다. 그 대가로 여분의 음식과 그녀의 관심을 받았다.

마그다라는 여성의 희고록에 따르면[4] "그녀는 적어도 하루에 한 번은 자신과 이야기하려 했으며, 마치 나를 큰언니처럼 대하듯이 친숙하게 대했다"고 한다.

그녀가 말하길, 간호사가 되고 싶었고 한때 호엔라이헨 요양원에서 카를 게프하르트 박사와 함께 일했다고 한다. 그녀는 그를 '나치당의 성인'이라며 숭배했다. 당시 마그다는 게브하르트가 누군지 몰랐지만, 전쟁이 끝난 후 그가 나치가 인간 이하의 존재로 간주하는 유대인 같은 사람들을 실험한 가장 초기 의사 중 한 명인 것을 알게 되었다.

마그다는 그녀의 잔혹함을 그동안 보지는 못했지만, 어느 날 점호 도중 가슴에 심하게 피를 흘리는 4명의 여자가 자신에게 다가왔고 "누가 이런 짓을 했냐"고 물으니 "그레제가 채찍으로 때렸다"고 말했다. 그녀에게 "불쌍한 여자들에게 무슨 짓을 한 거야? 저들은 아마 감염되어 죽을 것이다! 창피한 줄 알아라!"라고 말했으나, 그녀는 마그다에게 채찍을 들며 "나 또한 너를 공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후에 그녀는 마그다에게 용서해 달라고 했다고 한다.

2.3. 최후

파일:irma_ida_ilse_grese01_k0nsl.jpg파일:external/www.bergenbelsen.co.uk/StaffIrmaGrese_1945.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rma_Grese_during_Belsen_Trial.jpg
이르마는 4월 17일에 요제프 크라머 등의 다른 간부들과 함께 영국군에게 체포되어 12월 13일에 베르겐 벤젤으로 이송되었다. 그녀와 다른 여간수들은 남성 간부들과 함께 수용소 수감자들의 시신을 치우다가 재판에 회부되었다. 당시 영국군들은 그녀의 외모와 22세의 젊은 나이를 알고,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재판에서 그녀는 자신의 전쟁범죄를 부인하였으나 수감자들을 학대한 증거들이 드러나면서 이로 인해 결국 유죄가 확정되어, 다른 여간수 11명과 함께 사형 판결을 받았다. 후에 항소했으나 기각되었다.[5] 처형 전날 밤 웬디 아델-마리 사티에 의하면, 그녀는 요한나 보르만과 함께 새벽까지 나치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그녀는 22세 생일 몇 달 후인 1945년 12월 13일 교수형에 처해졌는데, 이때 마지막으로 빨리 죽여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Schnell"(quickly)이라고 나지막히 말했다고 한다.

그러나 사형 과정에 문제가 생겨 천천히 고통스럽게 죽었다. 이르마는 롱드롭식으로 처형되었는데, 교수형 문서에도 서술되어 있지만 이 방식은 원래 목뼈를 박살내 즉시 죽이는 것이지 천천히 질식사시키는 것이 아니다. 형 집행은 영국의 유명 사형집행인인 알버트 피에르포인트(Albert Pierrepoint)가 맡았는데, 단번에 보내기로 유명한 실력자였음에도 여기서 실수를 했다.[6]

2.4. 잘못 알려진 사진

파일:external/www.prisonersofeternity.co.uk/ss-women-2.jpg
이 사진에서 왼쪽의 채찍을 든 여성 간수가 그녀라고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폴란드에서 유대인 학살을 고발하기 위해 만들어진 안제이 뭉크, 위톨드 레시비에치 영화 <승객>의 캡쳐 사진이다. 배우는 알렉산드라 슬라스카(Aleksandra Slaska, 1925.11.4.–1989.9.18.)로 이르마보다 2살 어리다.

3. 기타

  • 파일:헬레네 그레제.jpg
    헬렌 그레제라는 여동생이 참고인 명목으로 증언한 내용에 의하면, 어린 시절 이르마는 누군가를 때리기보다는 도망갈 성격이었다고 한다. 권력이 사람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 교수형 2주 전 이르마는 헬렌에게 편지를 썼는데, 내용을 보면 교수형을 매우 두렵고 끔찍하게 여긴 모양이다. Anneli라는 법원 관찰자와 또 엽기적인 우정을 나누었는지, 그녀가 자신에게 교수형 대신 자살할 독극물을 마련해 주겠다고 했다며 "스스로 끝을 맺음으로써 형을 피할 수 있어서 좋다"고 썼지만, 편지 내용과 달리 결국 교수형을 당했고 그조차도 본인의 우려대로 아주 고통스럽게 죽었다.
  • 비슷한 인물로는 일제 코흐가 있는데, 영화 나치 일사 시리즈로 나온 그 수용소장의 모델이다. 정확히는 SS 대령이자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장을 지낸 카를 오토 코흐의 부인이다.
  • 나치 전범이지만 파격적인 펨돔 혹은 사디스트 성향의 여성 캐릭터여서 그런지 나치를 비판, 패러디하는 코믹한 컨셉의 애로영화나 콩트, 애니메이션 등의 매체들에 그녀를 컨셉으로 한 캐릭터가 자주 등장한다. 미모의 여성이어서 매력적인 악녀 컨셉을 받고 나치에 대해 서양보다 비교적 덜 민감한 일본 등지에서는 아예 미화되어 묘사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 그녀의 아버지인 알프레트는 1899년생이며 그녀가 사형당한 지 한참 후인 1979년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 1937년 나치 당원이 되었다는 말이 있지만 그래도 최소한의 의식은 있어서 딸이 SS에 입대하는 것을 격렬히 반대하며 그녀를 집에서 쫓아낼 정도였다.

[1] 군복과 계급만 있는 군무원에 가까웠다.[2] 이르마에게 맞아 죽은 수감자도 수두룩했다고 한다.[3] 특히 군견에게 여성을 공격하라고 반복적으로 명령했다고 한다.[4] 출처[5] 빨리 죽고 싶어 아무 말 없이 무덤덤하게 사형을 받아들였다는 설도 있는데, 어느 일화가 정확한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교수대 앞에서 "Schnell(빨리)"라고 말한 일화가 확실한 걸로 봐선 신빙성 없는 내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6] 일부러 실수해서 고통스럽게 죽인 것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알버트는 이런 주장에 대해 극도로 불쾌감을 드러내며 부정했다. 아버지에 이어서 2대째 사형 집행인을 하던 그는 자신의 일에 전문가 의식이 강한 남자였다.[7] 야세노바츠는 SS 병사들조차 기겁할 정도로 잔인한 수용소였다.[8] 야세노바츠 강제수용소의 부속 수용소였다. 야세노바츠 못지않은 잔인한 곳이었으며, 나다는 이 수용소의 여성 간수 중에서도 가장 잔혹한 자였다고 한다. 남편보다 더 잔혹했다는 증언까지 나왔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