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03 20:19:04

F-101


{{{#!wiki style="margin:-17px -12px -15.75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f0a30>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파일:투명.png
[[센츄리 시리즈|
'''Century Series
센츄리 시리즈
'''
]]
}}}
[[F-100|
파일:Sil/F-100.png
]]
[[F-101|
파일:Sil/F-101.png
]]
[[F-102|
파일:Sil/F-102.png
]]
[[F-104|
파일:Sil/F-104.png
]]
[[F-105|
파일:Sil/F-105.png
]]
[[F-106|
파일:Sil/F-106.png
]]
F-100 F-101 F-102 F-104 F-105 F-106

파일:F-101B.jpg
F-101B
파일:xd4c-737-dec-57.jpg
RF-101C
Mcdonnel F-101 Voodoo

1. 개요2. 제원3. 기구한 운명4. 파생형5. 둘러보기6. 참고 링크

[clearfix]

1. 개요

McDonnell[1] F-101 부두미국 공군전투기이다. 1954년 첫 비행, 1957년 미 공군에서 운용되다가 1979년에 퇴역하고 주방위군에서는 1982년 퇴역했으며 캐나다 공군이 1961년 운용을 시작해 1984년 맥도넬 더글라스 CF-18로 대체되어 퇴역하였다.

2. 제원[2]

Mcdonnell F-101B Voodoo
분류 쌍발 터보제트 전투기
전폭 12.09m
전장 20.55m
전고 5.49m
중량 자체중량 12,925kg
최대이륙중량 23,770kg
엔진 프랫 & 휘트니 J57-P-55 2기
최고 속도 마하 1.489 (35,000피트에서 1,825km/h)
항속거리 2450Km
상승 고도 17,800m
무장 AIM-4 팔콘 4발 또는 AIR-2 지니 2발과 AIM-4 팔콘 2발
승무원 2명

3. 기구한 운명

1946년, 미 공군은 방공침투 전투기 사업을 진행하였는데, 이 때 맥도넬은 XF-88 부두를 제안했다. 하지만 미 공군은 록히드의 XF-90을 선정했고 결국 실험기 2대를 끝으로 개발이 종료되었다.[3] 그렇게 자연스래 잊혀지는 듯 했으나, 1949년에 소련이 핵개발에 성공하여 지난 대전중 자국 영토에 불시착한 B-29를 카피한 전략폭격기 Tu-4[4]를 배치하면서 국면이 전환되었다. 장거리 호위전투기 계획은 취소되었고 그 대신 장거리 요격전투기 계획이 시작된 것. 그 결과 1954년 맥도넬에 XF-88의 개량형이 선정되어 F-101로 명명되었다.

F-101은 XF-88에 비해 길이는 4m, 최대이륙중량은 기존 8,392kg에서 약 3배가량 늘어난 23,770kg까지 증가했으며 엔진도 웨스팅하우스 XJ34-WE-13에 비해 5배 강력한 P&W J57로 변경되어 최고 마하 1.72까지 가속할 수 있었다.

이렇게 음속을 겨우 넘기던 전작 F-100과는 다르게 아주 빠른 속도를 보여주자, 파일럿들은 F-101의 별명을 One-Oh-Wonder로 붙이며 좋아했다.

그러나 공군 내부에서 긴 항속거리, 8톤 가량의 여유중량에 주목해 차라리 호위전투기가 아니라 핵폭격 용도로 쓰자는 주장이 대두되어 막 인도되기 시작한 F-101에 MA-7 화기관제 레이더, LABS(Low Altitude Bombing System저고도 폭격 시스템) 등을 장착하는 개량을 거처 Mk 7, Mk 28, Mk 43, Mk 57 핵폭탄의 운용능력을 획득했으나 이미 주요 핵투발 수단이 핵폭격에서 ICBM(대륙간 탄도 미사일)과 같은 탄도 미사일로 옮겨갔기에 1956년 취소되었다.

결국 다시 직종을 변경하여 소련 폭격기를 요격하는 본연의 임무로 돌아와 소속도 전략공군사령부에서 전술공군사령부로 변경되었으나 이미 전술공군사령부에는 비슷한 임무를 가진 요격기가 여럿 있었으므로 다시 개량을 거처 전체 생산량 807기 중 절반에 가까운 약 390여기가 정찰기와 훈련기로 전용되어 사용되었다.

미군 이외의 운용국은 그나마 캐나다 공군에서 112기를, 대만 공군에서 RF-101A 8기를 운용한 것이 전부다.

4. 파생형

  • YF-101A: 29대가 제작된 원형기 겸 초기 시험 생산형
  • F-101A: 초기 생산형으로 전략 공군의 장거리 호위 전투기로 계획되었으나 전술 공군의 단좌 전투폭격기(WS-105)로 실용화의 가닥을 잡아 생산되었다. J57-P-13 엔진을 쌍발로 장비하고 기수에는 M39 20mm 기관포 4문을 갖추었으며 Mark 28, B43 핵폭탄 1발과 AIM-4 팰컨 공대공 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었다. 프로브 방식의 공중급유 설비가 있으며 48대가 생산되어 1957년부터 부대 배치가 시작되었다.
  • RF-101A: 전술 공군의 초음속 정찰기(WS-105L)이다. 프로토타입에 해당되는 YRF-101A는 1956년 5월 10일 첫 비행. 기수와 동체에 고해상도 필름 카메라를 갖추고 35대가 만들어져 1957년부터 취역해 1971년에 모두 퇴역했다. 대만 공군은 1959년에 미국으로부터 이 정찰기를 공여받아 1960년대에 중국 대륙 본토 정찰 비행을 했으며, 그중 일부는 격추되는 일도 있었다. 대만 공군에서는 1973년에 일선에서 물러났다.
  • F-101B / CF-101B: 방공 부대와 캐나다 공군용 장거리 요격기로 원래 F-109라는 제식 번호를 부여하려고 했었다. A형과 달리 웨폰 시스템이 WS-217A로 교체되었고 1957년 3월 27일에 처음 비행했다. 항전 장비는 F-106 보다는 간소화된 대신 후방석에 레이더 관제사가 탑승한다. 후방석 좌측에는 야간 요격에서 목표 항공기 식별신호에 이용하는 스트로보 라이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기관포와 급유 장치는 제거되었다. 동체 내부의 로터리식 미사일 베이에 공대공 미사일 4발을 탑재한다. AIM-4 팰콘 4발 또는 AIM-4 팰콘 2발과 AIR-2 지니 핵로켓 2발을 조합해 장비하는 것이 표준 무장 형태. 일부 기체는 AIM-26 미사일 운용 능력을 추가하기도 했다. 엔진은 J57-P-53 또는 P-55를 장비하며 방공 부대에서 1959년부터 1972년까지 운용되다가 그 후에는 주방위 공군으로 이관되어 1982년까지 사용되었다. 생산수는 480대로 최다 생산 모델이며 캐나다 공군은 CF-101B라는 명칭으로 채택해서 132대를 1961년부터 1984년까지 운용했다. 66대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2회에 항전 장비가 업그레이드되는 개수를 받아 쓰였다.
  • EF-101B: 캐나다 공군이 채택한 전자전 훈련기. 일렉트릭 부우두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훈련에서는 캐나다 상공을 침범하는 모의 적기 역할을 맡았다. 1대가 개조되어 1987년까지 운용되어 가장 마지막까지 일선에 머무른 부우두였다.
  • TF-101B / TF-101F / F-101F / CF-101F: 복좌 훈련기 형식으로 나중에는 F-101F형으로 명칭을 통일했다. 79대가 생산되었으나 그 외에도 152대의 부우두가 복조종 장치를 추가해 훈련에 이용되었다. 캐나다 공군에서는 CF-101F로 운영되었는데 이 기체들도 CF-101B 처럼 10대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2회 업그레이드 개조를 받았다.
  • RF-101B: 전투기 부대에서 일반 전투기들과 혼합 편성되어 운용된 전술 정찰기 형식이다. F-101B 중에서 1대가 이 사양으로 개조되었고 22대는 캐나다 공군에서 반납받은 CF-101B를 개조해 배치했다. 이 기체들은 1970년대 초에 현대화 개수를 받은 후 1975년까지 주방위 공군에서 계속 쓰였다.
  • F-101C: 1958년부터 전술 공군에 배치가 시작된 단좌 전투폭격기 형식이다. 1957년 8월 21일에 첫 비행을 했고 F-101A의 기체 구조를 보강해서 하중 제한이 완화되었으며 엔진 개량도 연구되긴 했으나, 기본적으로 거의 A형과 같은 기체였다. 94대가 발주받았지만 47대만 생산된 후 RF-101C로 전환되었다.
  • RF-101C: RF-101A를 개량해 1957년 7월 12일에 첫 비행한 전술 공군의 단좌 정찰기 형식이다. 고정 무장은 없고, 6대의 정찰 카메라를 기수와 동체에 탑재시켜 166대가 생산되었다. 1957년부터 임무에 들어간 이 기체는 1962년의 쿠바 위기에서 정찰 임무를 했고 1961년부터 베트남태국에 파견되어 베트남 전쟁에 투입되었다. 전쟁 도중 31대가 북베트남군의 SAM 미사일이나 대공화기, 그리고 미그기에 격추되었다.
  • F-101D / E: GE 엔진으로 교체한 형식으로 계획만 되었다.
  • RF-101G / H: F-101A / C를 주방위 공군의 정찰기로 개조한 형식으로, 구식화된 주방위 공군의 정찰기 전력을 일신하려는 방안에서 1966년 이후 개장을 시작해 1979년까지 이용된 후 모두 퇴역했다.

5. 둘러보기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지상 공격기 A-1, OV-10, F-105, F-107, F-111, A-7D, A-10A, A-26, A-37A/B, AC-47, AC-130A/E
제공 전투기 <colbgcolor=#005a99> 1세대 F-80C, F-84, F-86A/F, F-86E-6-CAN
2세대 F-100A/C/D, F-101A/B/C/D, F-102A/B/C, F-104A/C, F-105B/C/D, F-106A/B, F-108
3세대 F-4C/D/E, F-5A/B/E, F-111A
4세대 F-15A/B/C/D, F-16A/B/C/D
5세대 ATF, YF-23
폭격기 B-26, B-29, B-36, B-45, B-47, B-50, B-57, B-58, B-66, YB-49, XB-70, B-1A, ATB, B-52A/D/F/G, FB-111A
수송기 전술 수송기 C-12, C-23, C-54, C-119, C-123, C-130
전략 수송기 C-124, C-141A/B, C-5A/B, C-17A
공중급유기 KC-135A/B/D, KC-10A
다목적기 C-130
훈련기 T-33, T-37, T-38
정찰기 RB-57D, U-2S, SR-71A, RF-4C, RF-16, RC-135, RB-52B/C
전자전기 EB-66, EF-111
조기경보기 E-3
공중지휘기 E-4, EC-135
회전익기 UH-19
실험기 VZ-9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의 제트전투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colbgcolor=#002664,#1c315c> 1940년대 P-59 에어라코멧 | FH 팬텀 | FJ-1 퓨리 | F2H 밴시 | F9F 팬서 | F-86 세이버 | F-84 썬더제트 | F-80 슈팅스타 | F6U 파이렛
1950년대 F-89 스콜피온 | F-94 스타파이어 | F-9(F9F) 쿠거 | F-10(F3D) 스카이나이트 | F-100 슈퍼 세이버 | FJ-2/3(F-1) 퓨리 | F7U 커틀러스 | F-1E(FJ-4) 퓨리 | F-7(F2Y) 씨다트 | F-11(F11F) 타이거 | F-3(F3H) 데몬 | F-102 델타 대거 | F-6(F4D) 스카이레이 | F-8(F8U) 크루세이더 | F-101부두 | F-104 스타파이터 | F-105 썬더 치프 | F-106 델타 다트
1960년대 F-4(F4H/F-110) 팬텀 II/스펙터 | F-5 프리덤 파이터 / 타이거 II | F5D 스카이랜서 | F-111 아드바크
1970년대 F-14 톰캣 / 슈퍼톰캣 | F-15 이글 / 스트라이크 이글 | F-16 파이팅 팰콘
1980년대 F-20 타이거 샤크 | F/A-18 호넷 | F-117 나이트호크
1990년대 F/A-18E/F 슈퍼 호넷 | F-22 랩터 | F-35 라이트닝 II
2010년대 F-15SE 사일런트 이글 | F-16V 바이퍼
2020년대 F-15EX 이글 II | F-35 라이트닝 II 블록 4
2030년대 PCA | F/A-XX
}}}}}}}}}


파일:맥도넬 더글라스 로고.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315288,#FFF {{{#!folding 맥도넬 더글라스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e5e5e5
민항기
<colbgcolor=#eee8aa,#544e10> 쌍발기 DC-9MD-80MD-90MD-95(B717)
3발기 DC-10MD-11
4발기 DC-8MD-12
군용기
전투기 FH 팬텀F2H 밴시F3H 데몬F3D 스카이나이트F-6(F4D)F5D 스카이랜서F-4 팬텀 II
F-101F-15F/A-18F/A-18E/F
공격기 BTD 디스트로이어A-1A-3A-4AV-8B
폭격기 B-18A-20A-26
급강하폭격기 SBD 돈틀리스
뇌격기 TBD 데버스테이터
수송기 C-17C-47C-54
공중급유기 KC-10
훈련기 T-45
헬리콥터
군용 MD 500AH-64
더글라스의 1945년 이전 모델
쌍발기 DC-1DC-2DC-3 ‧ DC-5
4발기 DC-4DC-6DC-7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6. 참고 링크



[1] 1967년 맥도넬 더글라스를 거쳐 1997년 보잉에 인수되었다.[2] F-101B 기준[3] 그런데 펜타곤에서 사업을 중지시켜 XF-90도 양산되지 못했다.[4] B-29의 카피였던 만큼 엔진을 제외하면 구별하기가 매우 힘들어 미 서부에 원자폭탄을 투발하고 돌아가거나 심지어 공중급유를 받고 자살공격으로 동부에 원자폭탄을 투발할 수도 있다는 공포에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