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10-01 14:27:49

EMD GT26CW/국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EMD GT26CW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EMD GT26CW/국내/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의 기관차
(열차번호일반 · 열차번호화물 · 차량번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관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디젤기관차
<colcolor=white> 특수 9100호대
소형 2000호대 · 2100호대
중형 3000호대 · 3100호대 · 3200호대 · 4000호대 · 4100호대 · 4200호대 · 4300호대 · 4400호대
대형 5000호대 · 6000호대 · 6100호대 · 6200호대 · 6300호대
특대형 7000호대 · 7100호대 · 7200호대 · 7300호대 · 7400호대 · 7500호대 · 7600호대
전기기관차
화물 8000호대 · 8500호대
여객 8100호대 · 8200호대
기타 데로형
증기기관차
표준궤 모가 · 4륜 · 푸러 · 아메 · 터우 · 발틱 · 고로 · 사타 · 소리 · 마터 · 파시 · 미카 · 901호
협궤 630호대 · 660호대 · 700호대 · 810호대 · 900호대(혀기11) · 혀기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동차 · 전동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디젤기관차
<colcolor=white> 소형 2000호대/현황 · 2100호대/현황
중형 3000호대/현황 · 3100호대/현황 · 3200호대/현황 · 4000호대/현황 · 4100호대/현황 · 4200호대/현황 · 4300호대/현황 · 4400호대/현황
대형 5000호대/현황 · 6000호대/현황 · 6100호대/현황 · 6200호대/현황 · 6300호대/현황
특대형 7000호대/현황 · 7100호대/현황 · 7200호대/현황 · 7300호대/현황 · 7400호대/현황 · 7500호대/현황 · 7600호대/현황
전기기관차
화물 8000호대/현황 · 8500호대/현황
여객 8100호대/현황 · 8200호대/현황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동차 현황 보기 · 전동차 현황 보기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파일:EMDC.png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국 내수용 기관차
유선형 실험용 기관차
M-1000n units CB&Q 9900 units B&O 50 ATSF units
BM-MEC 6000 EMC 511/512 IC 121 SAL 2027/2028
LWT12
스위쳐
Pre-SC Model 90 T SC
SW NCn units NWn units TRn units
SWn units SW 600 SW 900 SW 1000/1001
SW 1n00 units SW 1504 MP15 units RS 1325
GMD1 DH2
E/F 형 기관차
TA En units AA/AB6 FT
Fn units FPn units/FL9
산업용 기관차
Model 40 DH1 GMDH-n units
4축 로드 스위쳐
BLn units BL20-2 GPn units GP1n units
GP2n units GP3n units GP4n units GP5n units
GP6n units GP22ECO GP20CECO
6축 로드 스위쳐
SD7 SD9 SD18 SD24
SD28 SDP28 SD35 SDP35
SD38 units SDP38 SD38-2 SD39
SD40 SD40X SD40A SDP40
SD40-2 units SD40T-2 SD45 SD45X
SDP45 SD45-2 SD45T-2 SD50 units
SD60 units SD70 units SD75 units SD80MAC
SD89MAC SD90MAC FP45 F40PH units
F45 SDP40F F40C F59PH units
SD40-2F SD50F/60F F69PHAC DE30AC
DM30AC F125 SD70AC units SD70ACe-T4
SD22/32ECO SD30CECO
8축 로드 스위쳐
DD35 DD35A DDA40X
군사용 기관차
MRS-1
전기 기관차
SW1200MG GM units GF6C AEM-7
해외 수출용 기관차
4축 로드 스위쳐
B12 G6B G8 units G12
GT18B-M G22 units NF110 NF210
G22W units JL8 JL18
6축 로드 스위쳐
G16 GT18LC-2 G26 GT22C units
GT22CUM units GT22HW GT22LC GT26CW units
GT26MC GT26HCW FT36HCW GT46 units
JT22CW units JT26CW units JT42 units JT56ACe
SDP units SDL units SD38-2TC GPL15T
DDM45 GT42AC GT38ACe/ACL JT42CWRM
생산중인 차량은 굵은 글자로, 단종 차량은 얇은 글자로 표기
숫자와 알파벳이 다른 차량은 units으로 통일, 숫자만 다른 차량은 n으로 통일
}}}}}}}}} ||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7500호대 기관차의 용도롤 화물전용으로 표기하되 여객용으로도 운용됨을 각주로 서술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7500호대 기관차의 용도롤 화물전용으로 표기하되 여객용으로도 운용됨을 각주로 서술한다.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1. 개요2. 정비주기3. 7100호대4. 7200호대5. 7300호대6. 7400호대7. 7500호대

1. 개요

대한민국에서의 EMD GT26CW 디젤 기관차는 한국철도공사국가철도공단 등에서 여객 및 화물견인에 두루 사용되고 있으며 7500호대를 제외한 차량들은 고속 여객견인에 맞도록 제작하였다.

1971년부터 2000년까지 도입되었으며 7100~7200호대는 2007년부터 순차적으로 퇴역하기 시작했으며 2019년에 전량 퇴역하였다.

일반열차, 특히 무궁화호의 상징 같은 존재이다. 현재 무궁화호는 디젤 기관차보다 전기 기관차의 손을 더 많이 빌리고 있기는 하나 대중들에게 흔히 무궁화호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투박한 외형의 이 기관차일 것이다. KTX 개통 이전, 비전철화 시절에는 누구라도 다 기차 하면 이 기관차부터 생각했을 정도로 특히 그 시절을 보냈던 중장년층에 있어서 확실히 이미지가 각인되었다.

2. 정비주기

[1]
7100~7500호대 디젤기관차 정비주기
정비종류 약호 주기 및 회기 비고
주행거리(km) 회기한도
반복정비 RS 1일 1회 -
기본정비 ES 1,200 - 고속구원차(7573~7576)는 3일 운행 후
경정비 LI-1 16,000 1개월
LI-3[2] 48,000 3개월
LI-6 96,000 6개월
중정비 GI-1 192,000 1년
GI-2[3] 384,000 2년
GI-4 768,000 4년
GI-6 1,152,000 6년
GI-9 2,304,000 12년
차륜교환 NWC 차륜교환 - 차륜삭정: WC
임시정비 T - - 사업소 T1, 기술단 T2
특종정비 R - - 사업소 R1, 기술단 R2
  • 출처: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 유지보수 세칙(2017.03.16)

3. 7100호대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한국철도공사 7100호대 디젤기관차
KORAIL Class 7100 locomotive
}}} ||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IMG_0016.jpg
파일:DSC_1131.png
차량 정보
<colcolor=#005daa,#55b1ff> 구분 특대형 디젤기관차
용도 객화겸용
기관형식 EMD 16-645E3
생산량 90량
대차 형식 Co-Co
제작연도 1975~1985년
운행기간 1975~2019년
제작사 파일:EMD 로고.svg
파일:현대정공 로고.png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5daa,#55b1ff> 전장 20,787㎜ / 1.5량
전폭 3,127㎜
전고 4,254㎜
궤간 1,435㎜
중량 132.0t
축중 22.0t
차중율 빈차 4.4 / 실은차 4.5
운전보안장치 ATS
치차비 57:20
출력 3,000 hp
영업최고속도 150㎞/h
견인전동기 D77B
주발전기 형식 AR10
주발전기 정격 4200
보조전원장치 A-8102
실린더(내경x행정) 230*254
제동 방식 공기제동, 발전제동
}}}}}}}}} ||
[clearfix]
2019년 7월 10일 전량 퇴역

EMD GT26CW형. 영업최고속도 150km/h. 동호회에서의 약칭은 올드기[4] 7101-7140호까지는 1975년부터 1978년까지 GM-EMD사 제작, 7141-7184호는 1980년부터 1985년까지 현대차량주식회사, 7185-7190호는 현대정공 제작이다. 7170-7180호까지의 11량은 총괄제어가 가능하나 실제로 총괄제어 운전에 투입된 사례가 드물 만큼 보기 힘들다. 7125~7190호는 개량 공사를 거치면서 운전실 좌측 상단에 CCTV 카메라가 설치되고 부기관사석 앞쪽 출입문을 뒤쪽으로 옮겼으며 난간 가운데에 계단이 설치되었다.

90량까지 도입될 만큼 많은 수를 자랑하고 있었지만 유난히 수난을 많이 당한 번대이기도 하다. 7116호가 1993년 3월에 발생한 구포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로 대파되면서 차적에서 끝내 빠지게 되었다. 이후 7123호가 중앙선 단촌역 구내에서 7528호와 정면 충돌하면서 둘 다 폐차되었다.

한 달도 안 되어 7103호는 상당 부분이 부식되어 운행이 불가능한 상태에 빠져 폐차되었다. 7109호는 1999년 9월 분천역 - 승부역 구간에서 집중호우로 선로가 유실되는 바람에 운행 도중 탈선 및 대파되어 차적에서 빠지게 되며 86량이 남게 되었다.[5]

2008년부터 차량사용완료로 인해 36량이 폐차되었다. 남은 차량들도 내구연한 만료 등의 사유로 점점 폐차되고 있다.

7110호는 7200호대, 7500호대와 함께 보존되다가 2012년 고철 매각되었다.

폐차된 차량 중 일부는 전시 목적으로 보존되고 있는데, 7160호는 김유정역에 코레일 CI도색 그대로지만 도색이 연해졌고,[6] 7129호는 호랑이도색으로 재도색한 후 차량번호를 3102호로 바꾸어 신거역 인근에 전시 중이다. 7134호는 화천에 열차 펜션 기관차로 유치되어있다. 최근에는 옛 북천역에 7151호가, 옛 진영역에 7115호가 새마을호 객차와 함께 보존의 길을 걷게 되었다. 특이한 점은 7181호가 2017년 4월 진해 군항제 진행을 위해 진해선 새마을호 객차와 함께 경화역에 유치되었는데, 2018년에도 다시 전시 되었다.

7101, 7117, 7135, 7140, 7142, 7146, 7150, 7157, 7169, 7172, 7173, 7174, 7176, 7177, 7178, 7179, 7189호는 전장품 교체 및 재조립 공정을 거쳐 이란과 파키스탄으로 수출되었다.

7102, 7104, 7105, 7106, 7107, 7112, 7113, 7118, 7119, 7121, 7122, 7124, 7125, 7126, 7127, 7128, 7130, 7131, 7136, 7137, 7139, 7153, 7155, 7166, 7183, 7187, 7190호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고철 매각되었다.

7190호는 화랑대역에 전시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변경되면서 2021년에 고철 매각되었다.

7154, 7184, 7185호는 제천조차장에서 보존 목적으로 유치중이었으나 보존 계획이 백지화 되어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

7181, 7182, 7188호는 부산진역 구내에 유치중이였다가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

2017년 10월 31일부로 유일하게 쪽문이 달려있던 7124, 7136호가 폐차되었고, 이듬해 6월 30일에는 7100호대 중에서 미개조 차량이었던 7121, 7125~7128, 7130~7131, 7139호가 폐차되었다.

마지막 운행 중이던 7153호와 7166호는 차량사용완료일자가 아직 남아있어 계속 운행할 것으로 보였으나 폐차발령이 내려와 2019년 7월 10일자 #7898 열차로 부단에 입창, 이후 폐차되었다. 이렇게 7100호대 디젤기관차는 모두 운행이 종료되었다.

7124호는 JTBC 드라마 시지프스: the myth 1화에 잠깐 등장한다.

4. 7200호대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한국철도공사 7200호대 디젤기관차
KORAIL Class 7200 locomotive
}}} ||
파일:attachment/EMD GT26CW/7236.jpg
파일:DSC_1219.png
차량 정보
<colcolor=#005daa,#55b1ff> 구분 특대형 디젤기관차
용도 객화겸용
기관형식 EMD 16-645E3
생산량 40량
대차 형식 Co-Co
제작연도 1971~1980년
운행기간 1971~2019년
제작사 파일:EMD 로고.svg
파일:현대정공 로고.png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5daa,#55b1ff> 전장 20,787㎜ / 1.5량
전폭 3,127㎜
전고 4,254㎜
궤간 1,435㎜
중량 132.t
축중 22.0t
차중율 빈차 4.4 / 실은차 4.5
운전보안장치 ATS
치차비 57:20
출력 3,000 hp
영업최고속도 150㎞/h
견인전동기 D77B
주발전기 형식 AR10
주발전기 정격 4200
보조전원장치 A-8102
실린더(내경x행정) 230*254
제동 방식 공기제동, 발전제동
}}}}}}}}} ||
[clearfix]
2019년 7월 10일 전량 퇴역

1986년 철도청의 열차고속화 정책에 따라 7500호대에서 일부를 차출하여 치차비를 57:20으로 조정한 고속기관차로, 총 40량이 운용되었다.

7211호는 한국철도 최초의 국산 디젤기관차이며, 2011년 7207, 7234호 및 다른 GT26 기관차들과 함께 이란수출 되었다.

7217호는 점촌역에 2012년까지 901호 증기기관차와 같이 보존되다가 점촌역 체험학습장이 취소되면서 고철 매각되었다.

7225호는 전장품 교체 및 재조립 공정을 거쳐 파키스탄으로 수출되었다.

7227호는 7100호대, 7500호대와 함께 보존되다가 2012년 고철 매각되었다.

7235호는 1994년 12월 4일 성환역 구내 두포건널목에서 유조트럭과 추돌하면서 화재로 전소되고 언더프레임이 휘는 등 대파되어 폐차되었다.

7212호는 2018년 현재 진해선 경화역에 새마을호 객차 2량과 함께 보존 중이다.

7205, 7206, 7213, 7215, 7216, 7218, 7221, 7222, 7233, 7237, 7238, 7239, 7240호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고철 매각되었다.

7208, 7214, 7228, 7232호는 김천역 구내(김천차량사업소)에 보존 목적으로 유치 중이었으나 보존 계획이 백지화 되어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

7236호는 2013년 당시까지도 유일한 구도색 기관차로 운행하였으며 김천역 구내(김천차량사업소)에 보존 목적으로 유치 중이었으나 보존 계획이 백지화 되어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

마지막 운행 중이던 7240호는 차량사용완료일자가 아직 남아있어 계속 운행할 것으로 보였으나 폐차발령이 내려와 2019년 7월 10일자로 폐차되었다. 이렇게 7200호대 디젤기관차는 전차량의 운행이 종료되었다.

박하사탕(영화)의 그 유명한 "나 다시 돌아갈래!" 장면에서 영호(설경구 役)를 치는 열차가 이 기관차다, 차호는 7233호.

여담으로 7206호는 2007년에 이미 한 번 폐차될 뻔했는데 모종의 사유로 다시 되살아나서 2013년까지 운행했다. 실제로 2007년경 영주역 소화물선 한켠에 다른 기관차들과 같이 묶여있던 사진이 있다.

5. 7300호대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한국철도공사 7300호대 디젤기관차
KORAIL Class 7300 locomotive
}}} ||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IMG_0867_2.jpg
파일:1582596973412.jpg
차량 정보
<colcolor=#005daa,#55b1ff> 구분 특대형 디젤기관차
용도 객화겸용
기관형식 EMD 16-645E3
생산량 83량
대차 형식 Co-Co
제작연도 1989~1996년
운행기간 1989년~2029년 (예정)
제작사 파일:EMD 로고.svg
파일:현대정공 로고.png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5daa,#55b1ff> 전장 20,787㎜ / 1.5량
전폭 3,127㎜
전고 4,254㎜
궤간 1,435㎜
중량 126.0t
축중 21.0t
차중율 빈차 4.4 / 실은차 4.5
운전보안장치 ATS, ATP(봄바르디어)
치차비 57:20
출력 3,000 hp
영업최고속도 150㎞/h
견인전동기 D77B
주발전기 형식 AR10
주발전기 정격 4200
보조전원장치 A-8102
실린더(내경x행정) 230*254
제동 방식 공기제동, 발전제동
}}}}}}}}} ||
[clearfix]

GT26CW-2형 디젤기관차. 7100호대와 비교하여 동기구동 회로가 추가됐고 총괄제어 역시 가능하다.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총 83량이 도입되었으며 현재 25량이 운행 중이다. 도입 당시 청백도색을 하고 있었으며 유일하게 에어컨이 달려 있기도 하였다.

7301~7314호, 7315~7321호는 2014년 12월 31일~2021년 12월 31일에 퇴역되었으며, 7301~7305호는 운전실 좌측 상단에 CCTV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며, 부기관사석 앞쪽 출입문을 뒤쪽으로 옮기고, 난간 가운데에 계단을 설치하는 개량을 하였다. 이 중 7301호는 한국철도공사 선정 철도기념물로 2021년 5월에 재도색한 상태로 보존되고 있다. 7300호대 초기형 7313~7321호는 2021년 12월 31일 심한 노후화로 인해 조기에 폐차 되었다.

7302, 7303, 7304, 7305, 7310호는 2021년~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

7306, 7307, 7311호는 제천조차장에서 보존 목적으로 유치중이었으나 보존 계획이 백지화 되어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

7308호는 부산진역 구내에 유치중이며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

7309호는 퇴역한 후 한일현대시멘트 제천공장(입석리역)에서 매입하여 사유기로 사용하고 있다.[7]

7312호는 오수역에 무궁화호 객차 2량과 함깨 보존되었다.

7313호는 2022년에 고철 매각되었다.

7328호, 7349호,[8] 7355호는[9] 2018년~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

7322~7325호는 2017년 9월 2일에, 7326~7327호는 2018년 7월 10일에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 중지되었으며, 7325호와 7326호는 2020년에 고철 매각되었다.

7329호는 2018년 9월 10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지만 계획이 바뀌어 현재는 동해북부선 제진역 승강장에 무궁화호 객차와 함께 유치중이다. 제진역에 전시된 7329호와 무궁화호 폐객차는 보수와 내부수리를 거쳐 2021년 3월에 전시관 형태로 개장되었다. 동해선이 제진까지 연장되면 어떻게 할지는 불명. 평화통일열차로 전시되었다.

7330~7331호는 2018년 9월 10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으며 동년 9월 중순경 폐차되었다. 7330, 7331호는 2020년~2021년 고철 매각되었다.

7332~7339호는 2019년 12월 22일에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으며 동년 12월 말경 폐차되었다.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유치 중이다. 7333호는 2021년 고철 매각되었다. 7332~7337호, 7339호는 2021년~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

7340~7343호는 2020년 1월 31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으며 2월 중순경 폐차되었다. 7343호는 1997년 KBS '가요무대 - 여름가족여행'에 대천행 무궁화호 기관차로 나온 적 있다. 7340~7341호, 7343호는 2021년~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

7344~7346호는 2020년 2월 28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으며 12월 중순경 폐차되었다. 7346호는 2021년 고철 매각되었다.

7347~7348호는 정밀안전진단 통과로 차량사용완료일자가 연장되었고, 7348호는 2020년 12월 31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으며 현재 사용대기 상태이다.

7350~7354호, 7356~7362호는 2020년 12월 31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으며 현재 사용대기 상태이다. 7351~7354호, 7356호, 7359~7362호는 정밀안전진단 통과로 차량사용완료일자가 연장되었다. 7350호, 7357~7358호는 2020년 12월 31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다.
7350호, 7357호는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 7347호, 7351호, 7353호, 7356호, 7359호, 7362호는 창틀이 쇠창틀로 교체되었다.

7363~7383호는 2021년 10월 31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순차적으로 중단되기 시작했으며 2021년 6월 현재 절반 가량만이 운행 중이다. 7368~7372호, 7374~7383호는 정밀안전진단 통과로 차량사용완료일자가 연장되었다. 7363~7367호, 7373호는 2021년 2월 28일, 2021년 4월 20일부로 운행 중지되었다. 7365호는 원형 매각되어 구 가평역에 보존되었다.# 7367호, 7373호는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 7368호, 7369호, 7370호, 7371호, 7375호, 7377호, 7378호, 7380호, 7381호는 창틀이 쇠창틀로 교체되었다.

7379호는 서해금빛열차, 7382~7383호는 레일크루즈 해랑 전용기로 지정되어 있다.

7380~7381호는 남도해양관광열차 전용기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차량사용완료일자 도래(2021년 10월)로 지정해제 되었다.

7371호는 2022년 2월 3일 오후 3시 40분쯤 삼부건널목에서 1톤 화물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났다.

7371, 7380호는 한-아세안 열차 전용기로 지정되었다가 현재는 해제되었다.

7382호는 태풍 미탁으로 인해 영동선에서 탈선하였고,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정비하여 2020년 3월경 복귀하였다.

일부 차량이 안전진단을 받아 차량사용완료일자가 2025년~2026년으로 연장되었다.

6. 7400호대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한국철도공사 7400호대 디젤기관차
KORAIL Class 7400 locomotive
}}} ||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IMG_0129.jpg
파일:DEL 7403.jpg
차량 정보
<colcolor=#005daa,#55b1ff> 구분 특대형 디젤기관차
용도 객화겸용
기관형식 EMD 16-645E3
생산량 84량
대차 형식 Co-Co
제작연도 1997년~2000년
운행기간 1997년~2029년 (예정)
제작사 파일:EMD 로고.svg
파일:현대정공 로고.png
파일:현대로템 CI.svg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5daa,#55b1ff> 전장 20,787㎜ / 1.5량
전폭 3,127㎜
전고 4,254㎜
궤간 1,435㎜
중량 126.0t
축중 21.0t
차중율 빈차 4.4 / 실은차 4.5
운전보안장치 ATS, ATP(봄바르디어)
치차비 57:20
출력 3,000 hp
설계최고속도 165㎞/h
영업최고속도 150㎞/h
견인전동기 D77B
주발전기 형식 AR10
주발전기 정격 4200
보조전원장치 A-8102
실린더(내경x행정) 230*254
제동 방식 공기제동, 발전제동
}}}}}}}}} ||
[clearfix]

GT26CW-2형 디젤기관차. 1997년부터 2000년까지 도입하였다. 7300호대의 개량형으로 롤러베어링의 채택, 운전실 냉방설비 기본장착 등의 차이점이 있다. 설계속도가 150㎞/h 인 7100~7300호대와 달리 165㎞/h 이다.

7401~7484호의 84량이 도입되었으며 이중 7401호~7444호는 현대정공 생산분, 7445~7484호는 KOROS(현대로템) 생산분이다.

7408호는 3연속 건널목 사망 사고 당시 해당 열차를 운행했던 차량이다.

7427호는 스펀지 107회에 기차는 모래가 없으면 미끄러진다 에 나왔다.

7430호는 전라선 율촌역 탈선사고로 대파 및 사망자 발생으로 인하여 2016년 8월 31일 폐차되었고 2018년 5월 23일 고철 매각되었다. 7400호대의 첫 폐차다.

7433호는 1999년 천안 - 수원간 복복선 공사현장 근처에서 트럭과 충돌하여 배장기가 파손된 이력이 있다.

7434호는 익산발 용산행 상행 새마을호를 마지막으로 끌었었다. 그리고 2022년 7월 1일 1211열차로 운행하던 도중 고장났다.

7435호는 2007년 남북철도연결사업 당시 남측 기관차로 개성역까지 운행하였다.[10]

7448호는 영화 부산행 후반부에 등장한다. 행적은 문서 참조.

7474호는 2005년에 지하서울역에 들어오는 것이 포착되었다.

7476, 7477호는 2019년 5월초에 기존 남도해양관광열차 전용기 7380, 7381호가 차량사용완료일자 도래(2021년 11월)로 인해 지정해제되자 객차의 차량사용완료일자에 맞춰 새로 전용기로 지정되었다.

7480호는 국악와인열차 전용기로 지정 되었다.

7482호는 북한 출입 용도로 지정되어 있다. 2018년 11월 30일 남북철도공동조사에서 도라산역까지 남측 열차[11]를 견인 후 판문역에서 북한 기관차에 인계하였다. 보기 2018년 12월 26일 남북철도착공식에서 판문역까지 개조 새마을호를 견인하였다.

차량사용완료에 따른 폐차는 2022년[12]부터 2026년[13]까지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7300호대[14]와 같이 정밀안전진단 후 차량사용완료일자를 연장할 가능성이 높으나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알려진 바 없다.[15]

7. 7500호대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국가철도공단 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한국철도공사/국가철도공단 7500호대 디젤기관차
KORAIL/KR Class 7500 locomotive
}}} ||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IMG_1176.jpg
파일:DEL 7563.jpg
차량 정보
<colcolor=#005daa,#55b1ff> 구분 특대형 디젤기관차
용도 화물용[16]
기관형식 EMD 16-645E3
생산량 83량
대차 형식 Co-Co
제작년도 1971~1980년, 1996~1998년
운행기간 1971년~2029년 (예정), 1996년~2029년 (예정)
제작사 파일:EMD 로고.svg
파일:현대정공 로고.png
파일:현대로템 CI.svg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5daa,#55b1ff> 전장 20,787㎜ / 1.5량
전폭 3,127㎜
전고 4,254㎜
궤간 1,435㎜
중량 126.0t
축중 21.0t
차중율 빈차 4.4 / 실은차 4.5
운전보안장치 ATS, ATP(봄바르디어), ATC[17]
치차비 62:15
출력 3,300 hp
영업최고속도 110㎞/h
견인전동기 D77B
주발전기 형식 AR10
주발전기 정격 4200
보조전원장치 A-8102
실린더(내경x행정) 230*254
제동 방식 공기제동, 발전제동
}}}}}}}}} ||
[clearfix]

초기형 및 중기형은 GT26CW형으로 1971년부터 1980년까지 도입되었고, 후기 도입분은 GT26CW-2형으로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도입되었다. 화물열차 견인을 목적으로 도입하였기 때문에[18] 치차비를 62:15로 조정하여 영업최고속도가 105km/h로 낮아지는 대신 견인력을 올렸다. 간선 중량화물 견인이나 고속 성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북선 같은 노선의 여객열차 견인에 투입된다. 총 123량이 도입[19]되었다.

7501~7502호, 7504호, 7511~7514호, 7516호, 7527호, 7530~7531호, 7533~7534호, 7538호, 7541호, 7544호는 재생 후 내구연한이 연장된 뒤 영업운행에 재투입된 차량들이며 부산철도차량정비단과 로템[20]에서 제작하였으며 총괄제어 회로가 추가되어 드물게 총괄제어로도 운행 하고 있다. 7557~7583호는 후기 도입분이다.

7502호, 7511호, 7512호, 7531호, 7533호, 7538호, 7544호는 창틀이 쇠창틀로 교체되었다.

국가철도공단의 전신이 되는 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7577~7583 기관차를 받아와 선로공사나 차량 입환 등에 투입되고 있다. 아직 구도색을 유지하고 있기도 하다.

7519호는 영화 권순분 여사 납치사건에 등장한다.

7528호는 1995년 10월 11일 단촌역 구내에서 7123호와 정면으로 충돌하여 대파되었고 두 기관차 모두 동년 12월 19일에 폐차 발령되었다.

7545호와 7546호는 영주역에 유치되다가 2012년 고철 매각되었다.

7547호는 1997년 8월 14일에 통리 - 심포리 구간에서 운행하다가 논밭으로 추락하여 대파되었고 같은 날에 폐차 발령되었다.

7506, 7507, 7517, 7554호는 이란에 수출되었다.

7548, 7550, 7556호는 2013년 6월에 폐차되었고 2014년 김천역에 유치 되었다가 고철 매각되었다.

7549, 7551호는 2013년에 6월에 다른 차량들과 퇴역되었고 2018년에 고철 매각되었다.

7560호, 7572호, 7573호, 7574호, 7575호, 7576호는 창틀이 쇠창틀로 교체되었다.

7558호는 2022년에 7300호대 등 다른 차량들과 고철 매각되었다.

7563호는 현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구내에 유치중이였으나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

처음에는 7100호대와 같은 새마을호 도색인 차량도 있었으나 나중에는 전부 화물전용차 도색[21]으로 바뀌었다. 현재 위 사진과 같이 모두 고추장도색으로 바뀌었으며 극히 일부 남은 자석도색 차량도 재도색 되었다.(공단 소속인 7577~83은 철도청 도색)

상당히 많은 도색을 거쳤는데 처음에는 청백, 호랑이를 사용했다가 전차량 호랑이 도색[22]으로 교체되었고 이후 구도색으로 교체, 이후 현재 신도색으로 교체되었다가 2012년경에 나온 화물용 기관차 도색으로 바뀌었는데 총 5번이나 교체된 셈이다.

후기형 차량인 7557호~7565호는 2021년 11월부터 차량사용완료일자가 도래하여 운용이 중지되었었고 2022년 현재 7558호, 7563호를 제외한 나머지 차량들은 정밀안전진단에 모두 통과하여 차량사용완료일자가 2026년으로 연장되었다. 또한 2022년 4월 30일부로 7566호~7572호가 차량사용완료일자 도래로 정밀안전진단을 받고 있으며 현재 사용대기 상태이다. 후술할 고속선 구원기 7573~7576호도 모두 정밀안전진단 통과로 내구연한이 2026년까지 연장되었다.

7573~7576호 4량은 고속선 구원기로 지정되어 해당 차량들에는 ATS, ATP, TVM430이 설치되어 있다. 구원운전에 대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기 바란다. 유사시 고속선 구원을 위해 출동해야하므로 평소에는 일반열차에 충당되지 않으며 거의 구내입환에 사용된다.

국가철도공단의 전신이 되는 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7577~7583 기관차를 받아와 선로공사나 차량 입환 등에 투입되고 있다. 아직 구도색과 백열등을 유지하고 있기도 하다.

2022년 현재 총 35량이 운용되고 있다. 차량사용완료는 재생형이 2027~2028년[23], 후기형이 2026~2028년이다. 더 연장할 가능성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장담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남북철도연결사업 같은 일이 큰 변수이다. 남북관계가 아주아주 잘 되어 해당 사업이 재개된다 해도 그렇다. 현재 북한지역의 철도 상황이 거의 폐선 수준이고 전철화 안 된 지역이 많아 바로 들어가 뛸 수 있는 기관차는 이 특대형밖에 없지만, 현재는 남북관계 경색으로 사업이 중단되었고 무작정 기다릴 수도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시 대비로도 일정 수랑을 남겨 두어야 하므로 7000 시리즈 디젤기관차가 완전히 퇴역하는 때는 최후 제조분 기준으로 약 60년, 앞으로도 30년 이상 지나야 올 것이다.

여담으로 초기형 차량들은 국내에서 운행 하는 기관차 중 가장 오래된 기관차다. 50량중 16대가 재생되었는데 이 차량들은 올해로 50년째 운행 중인 차량이다. 재생되었지만 말 그대로 '노장 기관차'인 셈이다.

여담으로 강원도 영동지방에서 운행하는 특대형은 거의 7500호대가 주를 이룬다.

[1] RS(Return Service), ES(Examination Service), LI(Limited Inspection:제한정비), GI(General Inspection:일반정비), NWC(New Wheel Change), WT(Wheel Turning), T(Temporarily Repair), R(Restoring Repair)[2] LI-1의 주행거리의 3배[3] GI-1의 주행거리의 2배[4] 철도 동호인들이 7100호대만 올드기로 칭한 것은 아니다. 퇴역이 얼마 남지 않은 기관차를 공통적으로 이렇게 호칭하며 7100, 7200, 7500, 8000호대가 공통으로 이 타이틀을 가졌고, 최근에는 7300호대도 올드기 반열에 포함되고 있다.[5] 사고지점 인근에 순직한 기관사들의 위령비가 있으며 영기승소 및 영주시설 직원들이 정기적으로 위령제도 지낸다. 지나가다 잠시 들러서 묵념하는 것은 어떨까.[6] 무궁화호 객차 2량을 북카페 겸 관광안내소로 개조한 뒤 같이 연결하여 전시되고 있다. 또한, 현재는 재도색 되어 예전 같은 모습을 어느정도 보존되고 있기는 하나...도색이 조금 애매하게 칠해졌다.[7] 검수시 7500호대 투입[8] 이 두 차량의 운전대는 삼탄역의 테마파크에 시뮬레이터로 남아있다.[9] 정선선 열차 충돌사고 사고차량[10] 참고로 CG긴 하지만 부산행에서 불타는채로 달려오는 열차가 바로 이 7435호다.[11] 6량 편성으로 유조차, 발전차, 객차, 침대차, 침식차, 유개화차로 이루어졌다.[12] 7401호 차량사용완료일자 2022년 11월 13일[13] 7484호 차량사용완료일자 2026년 3월 6일[14] 일부 차량이 2025년~2026년까지 내구연한이 연장되었다.[15] 전시 대비 디젤기관차 확보는 국방부에서 요구하고 있는 사항인데, 철도공사 측과 이해관계가 서로 달라 불확실한 요소라고 한다.[16] 여객용으로 운용되기도 한다.[17] 7573~7576에 한함[18] 500번대는 화물용 기관차 번호[19] 본래 7501~7596이 있었으나 40량이 7200호대로 개조되어 폐차처리 되었고, 이후 추가로 10량이 7100호대로 개조되었다. 이후 차적을 정리한 뒤 다시 7557~7583까지 총 27량이 추가 도입되었다. 후기 도입분인 해당 차량들은 내구연한 만료가 일부 7300호대보다 더 빠르다.[20] 現 현대로템[21] '호랑이 도색'으로 잘 알려진 검정+빨간색[22] 철도 동호회 사이에서 부르는 은어로, 정식명칭은 화물전용차 도색이며 주황색+검은색이다.[23] 예외로 7513호는 2025년, 7531호는 2024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9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9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