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5 20:12:17

모두 고르시오

합답형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객관식
,
,
,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교육·입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분류 항목
교육 현장 범위 공교육(학교 · 학교 관련 정보) · 사교육(학원)
교육 수준 유아교육기관(유치원) · 초등교육기관(초등학교) · 중등교육기관(중학교 · 고등학교)
고등교육기관(대학교 · 대학원) · 영재학교 · 특수교육 · 평생교육
교육 관념 전인 교육(유토리 교육) · 학술 중심 교육 · 출세 목적 교육(해결 방안 · 해결이 어려운 이유) · 교육철학
입시 위주 교육(중등교육 내) · 취업 위주 교육 · 통합교육 · 선행학습
교육평가 정량평가(필기) 수능 · 내신(수행평가 · 문제점 및 비판) · 전국연합학력평가 · 학업성취도평가
고입선발고사 · 진단평가 · 경찰대학 1차 시험 · 사관학교 1차 시험
정성평가(실기) 논술 · 면접 · 입시미술 · 음악입시 · 입시체육
시험 문제 유형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상대평가(표준화 시험) · 절대평가 · 수능 등급제 · 내신 9등급제
입시 전형 입시 · 대입 · 정시 · 수시 (학생부종합전형(학종) · 입학사정관제 · 학생부교과전형 · 대학별고사) · 특별전형
논쟁·의논 교육문화와 인식, 관념 교육/논쟁 (영어 교육/논쟁 · 학술중심교육 대 전인교육 · 대학/논쟁 · 탈학교론) · 인성교육 · 경쟁 · 한국 사회 문제 · 생활지도(체벌) · 성교육 · 학생 · 학생 인권 · 교권 · 수포자 · 대한민국 교육열 · 보상심리 · 고3병 · 시험만능주의 · 공부 쓴소리
교육 범위 간 갈등 공교육 대 사교육(입시 위주 교육) · 교육과정/의논 (/국어과 · /수학과 · /과학과)
평가·시험 유형 시험 · 시험/논쟁 · 정량평가 대 정성평가 ·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성적 · 상대평가 대 절대평가
대입 방식과 전형 정시 대 수시(우수성 논쟁) · 편입학 · 유학 · 어학연수 · 반수 · 재수 · 1+3 유학 특별 전형
학벌 학벌 · 학력 · 학위 · 대학 서열화(연공서열) · 명문대 (SKY · 의치한약수) · 인서울 대학교 (사대문 안 · 인수도권 대학교) · 지잡대 (낙후된 지방 · 입지 약화 · 취업 · 외국 사례) · 대학 평준화
★ 현재 교육 관련 문서 간에 혼용과 중복 현상이 심합니다.
이에 편집 예정자는 아웃링크(문단 또는 앵커 리다이렉트)를 적절히 활용해 문제를 해소해주시기 바랍니다.
교육 관련 행정기관 교육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국립국제교육원 · 국외 한국교육원 · 교육감 · 교육청 · EBS
교육 관련 단체 주요 교원단체(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사노동조합연맹)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교육법 교육기본법 · 초·중등교육법(의무교육법) ·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
교육과정 정책 교육과정(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7차 · 2007 개정 · 2009 개정(/각론) · 2015 개정(/부분 개정) · 2022 개정)
교육자 양성 정책 교사 · 교수 · (교육대학 · 사범대학 - 교육전문대학원) · 교사 임용시험 · 교직이수과정 · 교육대학원
초중등교육기관 및 정책 자사고 · 특목고 · 영재학교 · 대안학교 · 0교시 · 야간자율학습 · 창의적 체험활동 · 보충학습 · 방과 후 학교 · 국제반 · 고교학점제 · 자유학기제 ·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 · K-에듀파인 · 학교생활기록부 · 늘봄학교
고등교육기관 및 정책 등록금 · 대학원 · 전문대학원 · 과학기술원 · 평점 · 졸업정원제 · 원격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평생교육기관 및 정책 학점은행제 · 독학학위제 · 원격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 일학습병행
기타 교육 정책 고교 평준화 정책 · 학생인권조례 · 디벗 · 무상급식 · 고교 상피제 · 교과교실제(수준별 수업) · 문·이과 통합 · 국공립대 공동학위제 · 국가거점국립대학교 통합 · 교원능력개발평가
논란·사건사고 학사 비리(숙명여고 사태 · 고려고 사태 · 김포외고 사태 · 문태고 사태) · 촌지 · 무상급식 전면확대 논란 ·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사태 ·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 교과용도서 국정화 논란 · 사회 교과서 무단수정 의혹 · 외고·국제고·자율고 폐지(논란 포함) · 대통령실 수능 출제 방침 지시 논란
교과용도서 (국정도서 · 검정도서 · 인정도서) · 디지털교과서(AIDT) · 대학 교재 · 문제집 · 학습지 · 개론서 · 수험서 · 전과
학문, 연구 교육학 · 교육심리학 · 교수법 · 교육공학 · 교육사회학 · 교육평가
학습 방법 주입식 교육 · 자기주도학습 · 자습 · 온라인 교육 · 인터넷 강의 · 입시3대포탈 · 홈스쿨링 · 독서실 · 스터디카페 · 열람실 · 도서관 · 과외
세계 평가 지표 OECD 교육지표
둘러보기: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영미권의 교육 관련 문서 }}}}}}}}}



1. 개요2. 유형
2.1. 단순다답형2.2. 합답형
2.2.1. 변형
2.3. 개수형
2.3.1. 변형

1. 개요

객관식 다답형 시험문제의 마지막에 나오는 말이다. 문제에 "다음 중 … ~로 옳은(맞는, 적절한)/옳지 않은(아닌, 틀린) 것만을 모두(있는 대로) 고르시오"라고 되어 있는 문제는 보기에서 그 문제의 정답이 될 수 있는 답안을 모두(있는 대로) 찾아서 답으로 선택해야 한다. 세 가지 대표적인 유형이 있다.

2. 유형

2.1. 단순다답형

다음 중 나무위키 게시판에서 볼 수 있는 게시판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단, 정답은 한 개일 수도 있다.)
또는
다음 중 나무위키 게시판에서 볼 수 있는 게시판으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100점)
  1. 공지사항
  2. 그루터기
  3. 명예의 전당
  4. 신고 게시판
  5. 정답 없음
[ 정답 보기 ]
1. 공지사항
  1. 그루터기
  2. 명예의 전당
  3. 신고 게시판
  4. 정답 없음


말 그대로 단순히 정답인 보기를 모두 찍는 유형이다. '~모두 고르시오.(정답 2개)'와 같이 정답 개수를 알려준다면 그나마 낫지만, 답 개수를 알려주지 않으면 보기의 내용이 맞는지 틀린지를 전부 알아야만 정답을 맞힐 수 있다. 여기에 정답 없음까지 있으면 더욱 난이도가 높아진다. 영미권에서는 이를 Type-X Multiple Choice Question이라고 칭하며, 객관식 문제유형들 중에서 가장 수준이 높은 유형으로 취급한다.

다만 실제로 출제되는 경우는 흔치 않은데, 다른 객관식과는 달리 여러 개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니 채점이 복잡해지는 것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특히 오답 시 감점을 주는 경우에는 더더욱).[1] 그리고 뒤의 두 가지와 공유하는 문제점으로는 각각의 선지의 정/오답이 명확하지 않다면 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2] 앞의 링크로 들어가보면 단순다답형의 여러 가지 대표적인 채점 유형들을 볼 수 있다(영문).

여러 가지 낚시 유형이 있다.
  • 정답이 1개인 경우 - 가끔 정답을 한 개만 해 놓고 헷갈리는 답을 섞어 놓은 다음에 "모두 고르시오"라고 적어 놓아서 학도들을 낚는 경우도 존재한다. 다만 이 경우 나중에 '모두 고르시오인데 왜 답이 하나 뿐이었냐'라는 논란거리가 많이 들어온다.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에 따르면 '모두'는 일정한 기준에서 빠지거나 남김이 없음을 의미하므로 반드시 여러 개일 필요는 없다. 합답형 항목에서 후술되어 있듯이 이런 논란으로 요즘에는 '모두'라는 표현보다는 '있는 대로'라는 표현을 쓰는 시험이 많아졌다. 대표적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 굳이 이런 문제를 정답이 1개인 경우로 내고 싶다면 위의 예시처럼 정답이 한 개일 수도 있다는 내용을 반드시 집어넣거나, "정답을 한 개 이상 고르시오" 또는 "정답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라고 하여 정답이 한 개일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 실제로 영미권의 경우 'One or more than one option(s) is(are) correct' 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해당 논란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경우가 많다. 퀴즈 대한민국에서도 2000년대 후반 2라운드 3단계 문제를 이런 형식으로 출제한 바 있다.
  • 모두 정답인 경우 - 몹시 헷갈리는 선택지 다섯 개와 함께 모두 고르시오 문제를 냈는데, 정답은 선택지 다섯 개를 모두 골라야 한다.
  • 정답이 없는 경우 - 정말 가끔씩 있다. 답이 없어서 문제를 풀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맨 마지막 선지에는 무조건 '답 없음'이 있어야 하며, 답이 없다고 생각된다면 이것을 골라야 한다. 이 '답 없음' 선지는 선지를 하나만 고르는 유형에서도 가끔씩 있다.답이 없는 게 답이므로 실질적으로 문제의 답은 1개이기 때문에 결국 답이 있게 된다. 이렇기에 영미권 객관식 시험에서 답 없음 문구는 '위의 어느 것도 아니다'라는 뜻의 None of the above가 주로 쓰인다.

2.2. 합답형

<합답형 예시 1> 나무위키 게시판에서 볼 수 있는 게시판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00점)
<보기>
ㄱ. 공지사항 ㄴ. 그루터기 ㄷ. 명예의 전당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 정답 보기 ]
1. ㄱ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합답형 예시 2> 나무위키 게시판에서 볼 수 있는 게시판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또는
나무위키 게시판에서 볼 수 있는 게시판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00점)
<보기>
ㄱ. 공지사항 ㄴ. 그루터기 ㄷ. 신고 게시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 정답 보기 ]
1. ㄱ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합답형 예시 3> 나무위키 게시판에서 볼 수 있는 게시판(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00점)
<보기>
ㄱ. 공지사항 ㄴ. 그루터기 ㄷ. 명예의 전당 ㄹ. 이벤트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 정답 보기 ]
1. ㄱ, ㄴ
  1. ㄱ, ㄷ
  2. ㄴ, ㄷ
  3. ㄴ, ㄹ
  4. ㄷ, ㄹ

하나씩만 찍어야 하는 문제는 보기를 ㄱ, ㄴ, ㄷ… 식으로 별도로 만들어 놓고 ① ㄱ,ㄴ ② ㄱ,ㄷ 이런 식으로 출제된다. 하지만 이 형태는 위의 단순다답형과 달리 한계가 명확하게 존재하는데,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답가지의 조합이 자유로와 보기의 내용이 맞는지 틀린지를 전부 알아야만 정답이 나오는 단순다답형과는 달리 합답형은 조합이 제한되어 있어 '확실히 맞는 보기'와 '확실히 틀린 보기'로 정답의 범위를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순다답형보다 수준이 한 단계 낮은 유형으로, 영미권에서는 이런 유형을 Type-K Multiple Choice Question이라고 칭한다.

그나마 단순다답형보다는 사정이 나은 게, 상술했듯이 답가지 조합이 제한되어 있어서 한두 개 모르는 게 있어도 소거법으로 풀 수도 있다. 다만 7지선다형으로 내서 다 틀리지 않는이상 ㄱ,ㄴ,ㄷ의 정오 여부를 확실히 알아야 풀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과거 PEET가 그 예.

예전 시험 및 최근 일부 시험에서는 <합답형 예시 1>처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이라는 발문을 사용했거나 사용 중이다. 하지만 '모두'라는 표현은 논란이 있으므로 선지에 제시된 항목의 개수가 1인 것은 출제자의 의도는 그렇지 않겠지만정답으로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3]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9학년도 9월 모의평가부터 한국교육과정평가원국립국어원과 협의하여 <합답형 예시 2>와 같이 '모두 고른 것은?'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이라는 표현으로 발문을 바꾸었고, 이와 동시에 전국연합학력평가의 발문도 이 표현으로 바뀌었다. 평가원과 교육청을 시작으로 많은 시험에서 '모두 고르시오'와 같은 문제가 '있는 대로 고르시오'의 발문 형태로 합답형 문제의 발문이 바뀌었다.[4]

수능을 기준으로 발문 형식에는 두 가지가 있다. 우선, 선지에 제시된 항목의 개수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이라는 발문을 사용한다.[5]'그러나 선지에 제시된 항목의 개수에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합답형 예시 3>과 같이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또는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이라는 발문을 사용한다.[6][7]

보통 수능 기준으로 수학 영역과학탐구 영역에서는 ㄱㄴㄷ 합답형이 주로 출제되고,[8][9] 사회탐구 영역에서는 ㄱㄴㄷㄹ 합답형이 주로 출제되며 특정 기호가 4개나 들어가 있으면 해당 기호는 무조건 맞다고 보면 된다. 또한 진위 판별도 매우 쉽다. 다만 요즘은 ㄱㄴㄷ 기준 골고루 3개씩 분배하거나 ㄱ을 매우 쉽게 주고 ㄴ, ㄷ은 까다롭게 주면서 ㄱ이 들어간 선지를 4개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꼼수는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10]

또한 2024학년도 6평 21번에서는 합답형 문제를 단답형으로 구현하는 특이한 문제가 나왔다. 세 명제의 진위에 따라 각 변수의 값을 정한 뒤 세 변수의 합을 구하라는 식이었다.

파일:2024학년도 6월 고3 21번.jpg
여기에서 가능한 경우는 1, 10, 11, 100, 101, 110, 111이렇게 일곱 가지이므로, 단답형 문제인데 맞힐 확률이 명제 조건만 제대로 해석한다면 1/7이나 되는 문제였다.[정답] 다만 이러한 유형은 윤석열 정부 수능 출제 방침 지시 관련 파문으로 인해 해당 문항을 교육부에서 킬러 문항으로 지정하면서 이때 한번 출제되었고, 이후에는 평가원 모의평가 및 수능과 교육청 학력평가에 출제된 적이 없다. 또한 해당 문항을 마지막으로 평가원 모의평가 및 수능에서는 합답형 자체가 출제되지 않고 있으며, 교육청 학력평가의 경우 2024년부터 일부 고1, 2 학력평가에만 해당 유형을 출제하고 있다.[12]

2.2.1. 변형

다음 중 나무위키 게시판에서 볼 수 있는 게시판은? (100점)
  1. 공지사항
  2. 그루터기
  3. 명예의 전당
  4. 앞에 1과2
  5. 앞에 2와3 [13]
앞에 ㄱ, ㄴ, ㄷ 문제를 5지선다로 바꾼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출제할 경우 응시자는 1번이나 2번이 눈에 먼저 들어올 경우 4번을 고르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지식이나 능력 등 평가하고자 하는 것 외의 요소[14]로 오답을 유발하는 문제를 지양하라는 지침 때문에 중고등학교 시험에서는 ㄱ, ㄴ, ㄷ 형식으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대학교 시험에서 이런 식으로 출제한다.

2.3. 개수형

<보기> 중 나무위키 게시판에서 볼 수 있는 게시판의 개수로 옳은 것은? (100점)
<보기>
ㄱ. 공지사항 ㄴ. 그루터기 ㄷ. 명예의 전당 ㄹ. 신고 게시판
  1. 0
  2. 1
  3. 2
  4. 3
  5. 4
[ 정답 보기 ]
1. 0
  1. 1
  2. 2
  3. 3
  4. 4


'정답이 몇 개 인가'라는 형태의 문제는 공무원 시험에 자주 나오는 유형인데 특히 국회 8급 공채 시험, 경찰청, 해양경찰청에서 변별력을 위해 이런 문제가 자주 나온다.[15] 최근에는 비중이 예전에 비해 조금씩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경찰간부, 해양경찰 간부에서는 다수 출제한다. 다만 문제로서 좋은 형태는 아닌데, 무엇이 맞고 틀리지는 몰라도 답 개수만 똑같으면 정답이라는 치명적 결점을 안고 있다. 예컨대 앞의 유형의 보기 중 맞는 보기는 '공지사항/그루터기/신고게시판'인데, '공지사항/명예의전당/신고게시판'이라고 생각한 사람 역시 3개라고 답해서 맞게 되는 사태가 벌어진다.[16] 이런 이유 때문에 대부분의 개수형 문제의 보기에는 정답 같은 오답과 오답 같은 정답을 섞어서 내지 않는다. 문제로서는 기피되는 유형인데, 떨어뜨리는 시험에서 난이도를 올려야 하는 이유만으로 출제되고 있다. 그래서 앞의 예시처럼 답이 0개나 전부 다라는 형태로 단점을 회피하려는 시도도 종종 보이는 것이 특징.[17]

2.3.1. 변형

다음 중 나무위키 게시판에서 볼 수 있는 게시판은? (100점)
  1. 공지사항
  2. 그루터기
  3. 명예의 전당
  4. 정답이 두 개 (이상)이다.
  5. 1~3 모두 [18]
일부 보기를 개수형으로 묻는 방법이다. 다만, 이 문제도 응시자가 4번 보기를 못보고 1번 2번만 보고 직관적으로 답을 고를 가능성이 있어, 지식이나 능력 등 평가하고자 하는 것 외의 요소[19]로 오답을 유발하는 문제를 지양하라는 지침 때문에 중고등학교 시험에서는 ㄱ, ㄴ, ㄷ 형식으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대학교 시험에서 이런 식으로 출제한다.


[1] 가령 다 맞아야만 득점하는 경우에는 하나만 몰라서 틀린 사람과 다 모르는 사람을 가려낼 수 없어지고, 맞힌 개수만큼 점수를 줄 경우 찍기에 대한 기댓값이 커져 단순다답형을 하는 의미가 상실되며, 그 밖의 여러 채점 방법도 나름대로 논란이 존재할 수 있다.[2] 즉, 언어 관련 시험에서 많이 나오는 ‘가장 적절한 것은?’류의 문제는 모두 고르시오로 출제가 불가능하다.[3] 일단 위 1번 예시에서 3번이 ㄱ,ㄴ이므로 이의의 여지는 없지만 5번도 ㄱ,ㄴ은 골랐으므로 정답 시비 가능성이 있다고 교육청 학평 출제매뉴얼은 설명한다.[4] 현재 평가원, 시도교육청 출제 시험 외에도 경찰대사관학교 시험 등에서 이 발문을 사용한다.[5] 사회탐구 영역과 과학탐구 영역 및 직업탐구 영역에서 약간 차이가 있다. 사회탐구 영역에서는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과학탐구 영역 및 직업탐구 영역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으로 약간 다른 표현을 쓴다. 다만 서울시교육청 주관 전국연합학력평가에서는 영역에 상관없이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그리고 사탐보다는 과탐에서 합답형 문제가 훨씬 많다.[6] 2019학년도 수능까지는 사회탐구 영역에서 선지에 제시된 항목의 개수에 차이가 없는 문제의 발문은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이었으나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부터는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직업탐구 영역에서는 이 접미사 '만'이 추가되지 않고 기존 형태 그대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의 발문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7] 과학탐구 영역에서는 이렇게 선지에 제시된 항목의 개수가 같은 문제의 유형이 출제되지 않아왔다.물론 지금까지 거의 안나왔다고 앞으로도 100% 안나온다는 보장은 없다.[8] 특히 과학탐구의 경우는 전체 문항의 절반 이상이 합답형이고, 그 중에서도 생명과학, 지구과학은 대다수 문항이 합답형이다.[9] 이런 문제에서 ㄱ만이 참이면 답은 무조건 1번, ㄱ~ㄷ 모두 참이면 답은 무조건 5번이 된다.[10] 물론 출제교사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정답] 이 문제의 정답은 110이다.[12] 2024년 10월 기준 2024학년도 3월, 10월 고2 학력평가와 10월 고1 학력평가에 해당 유형이 출제되었다.[13] 선택지를 앞에 1, 2, 3 모두로 바꿀 수도 있다.[14] 문제의 형식 등[15] 일반 7,9급 공무원의 경우는 개수형 보다는 합답형이 압도적으로 많이 출제되는 편이다.[16] 확률적으로는 위 문제에서 1개의 보기를 모를 경우 정답률은 1/2, 2개의 보기를 모를 경우 1/3, 3개의 보기를 모를 경우 1/4, 4개의 보기를 다 모를 경우 1/5이 된다.[17] 개념을 토씨 안틀리고 외우지 않는 이상 모두 틀리거나 모두 맞다고 자신있게 결단을 내릴 수 없기 때문이다.[18] 선택지를 정답 없음으로도 바꿀 수 있다.[19] 문제의 형식 등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