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5 00:25:12

평의회 민주주의

<colcolor=#000,#000> 파일:Liste_1924_-_19.svg
좌파공산주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0000,#cd0000> 이념 <colcolor=#000,#ddd>반제국주의 · 반레닌주의 · 반스탈린주의 ·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 평의회 민주주의 · 노동자평의회 · 노동자 통제 · 유기적 집중제 · 대중파업
분파 평의회 공산주의 · 보르디가주의
정당/조직 독일 공산노동자당 · 공산노동자 인터내셔널 ·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인물 카를 코르쉬 · 안톤 판네쿡 · 폴 매틱 · 아마데오 보르디가 · 오노라토 다멘 · 실비아 팽크허스트 · 기 드보르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colcolor=#fed800,#fed800> 파일:레닌_노랑t.png
레닌주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0000,#cd0000> 이념 <colcolor=#000,#ddd>반제국주의 · 레닌주의 · 집단지도체제 · 민주집중제 · 평의회 민주주의 · 노동자 통제 · 민족해방 · 민족자결권 · 노농동맹 · 혁명적 패배주의 ·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 소비에트 공화국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전위당론 · 통일전선
분파 볼셰비키-레닌주의(트로츠키주의) · 마르크스-레닌주의(스탈린주의) · 부하린주의
정당/조직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볼셰비키) · 러시아 공산당(РКП)(1912~1924) · 코민테른(1919~1924)
군사 조직 노농적군 · 체카
인물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알렉세이 리코프 · 이오시프 스탈린 · 니콜라이 부하린
국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1917~1924)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이념 전반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cd0000,#cd0000><colcolor=#fed800,#fed800> 분파마르크스-레닌주의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 주체사상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그 외: 사회적 아나키즘 · 좌익공산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심영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 차루 마줌다르 · 푸슈파 카말 다할
이론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정당공산당
상징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분파 · 역사 · 서기장 · 적색 테러 · 탈공산주의 · 통일전선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파일:레닌_투명.svg 레닌주의 · 파일:스탈린_투명.png 틀:스탈린주의 · 파일:트로츠키_투명.svg 틀:트로츠키주의 · 파일:마오쩌둥 투명.svg 틀:마오주의}}}}}}}}}{{{#!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정당 · 조직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colbgcolor=#cd0000,#cd0000><colcolor=#fed800,#fed800>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이탤릭체: 당 내 일부 분파가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정당
현존 정당
아시아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 일본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자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파일:일본 국기.svg · 조선로동당 파일:북한 국기.svg · 대만 공산당 파일:대만 국기.svg · 베트남 공산당 파일:베트남 국기.svg · 라오 인민혁명당 파일:라오스 국기.svg · 버마 공산당 파일:미얀마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인도 공산당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인민당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이스라엘 공산당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예멘 사회당 파일:예멘 국기.svg · 카자흐스탄 공산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노동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민중민주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레바논 공산당 파일:레바논 국기.svg · 이란 투데당 파일:이란 국기.svg
유럽유럽 좌파당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의회 좌파-GUE/NGL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 공산주의자 행동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그리스 공산당 파일:그리스 국기.svg (틀:그리스의 정당 참조) · 네덜란드 신공산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적색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노르웨이 공산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좌파당 파일:독일 국기.svg · 독일 공산당 파일:독일 국기.svg · 라트비아 사회당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 러시아 연방 공산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 마오주의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룩셈부르크 공산당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파일:몰도바 국기.svg · 벨기에 노동당 파일:벨기에 국기.svg · 벨라루스 공산당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불가리아 공산당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스위스 노동당 파일:스위스 국기.svg · 연대 파일:스위스 국기.svg · 스웨덴 공산당 파일:스웨덴 국기.svg · 스웨덴 공산당(1995) 파일:스웨덴 국기.svg · 수마르 파일:스페인 국기.svg · 아일랜드 공산당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이윤 이전에 인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오스트리아 공산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오스트리아 노동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파일:체코 국기.svg ·노동인민진보당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튀르키예 공산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튀르키예 노동자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트란스니스트리아 공산당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 포르투갈 공산당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프랑스 공산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노동자투쟁 파일:프랑스 국기.svg · 반자본주의신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신인민전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의 극적인 공산주의 르네상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혁명공산당(PRC)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혁명공산당(PCRF) 파일:프랑스 국기.svg · 헝가리 노동자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아프
리카
남아프리카 공산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경제자유투사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이집트 공산당 파일:이집트 국기.svg · 케냐 공산당 파일:케냐 국기.svg
아메
리카
미국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혁명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사회주의해방당 파일:미국 국기.svg · 아메리카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캐나다 국기.svg · 쿠바 공산당 파일:쿠바 국기.svg · 베네수엘라 공산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인민진보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 자유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브라질 공산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회주의자유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칠레 공산당 파일:칠레 국기.svg · 사회주의 운동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공산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우루과이 공산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아르헨티나 공산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해산된 정당
소련 공산당 · 이탈리아 공산당 · 조선공산당 · 남조선로동당 · 세르비아 공산당·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헝가리 노동인민당 ·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 튀르키예 공산당(1920년) · 호주 공산당 · 조선독립동맹 · 티베트 공산당 · POUM · 네덜란드 공산당 · 소말리아 혁명사회당 ·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인터내셔널 · 제4인터내셔널 ·
탈공산주의 정당
몽골 인민당 파일:몽골 국기.svg · 카자흐스탄 인민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캄보디아 인민당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 사회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헝가리 사회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 모잠비크 해방전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앙골라 국기.svg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파일:앙골라 국기.svg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콩고 노동당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 진보사회주의당 파일:모로코 국기.svg
국제 조직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가맹 정당) · 세계반제플랫폼 · 공산당 연합 - 소련 공산당}}}}}}}}}{{{#!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국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letter-spacing:-0.05em"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연립정부의 일원)
붕괴된 국가
}}}}}}}}}
}}}

1. 개요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

10월 혁명 당시 볼셰비키의 표어

평의회 민주주의(council democracy) 또는 소비에트 민주주의(Soviet democracy)는 직접 선출되 평의회(소비에트)를 통해 국가 권력을 행사하는 형태의 민주주의 정체를 이르는 말이다. 평의회는 대의제의 원칙에 따라 상향선거로 조직되며, 평의회 대의원은 선거자의 이해에 직접적으로 통제된다. 이는 명령적 위임(Imperative mandate)으로 관철되는데, 명령적 위임이란 선거자 과반의 선거에 의해 언제든지 대의원을 소환[1]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즉, 소환투표제를 전제한다.

또한 평의회는 사회의 각 기층으로 조직된다. 예컨대, 기업의 노동자(노동자평의회), 농장의 농부(농민평의회) 등으로 조직된다. 각 평의회에 속한 모든 사람은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지니며 평의회의 입법, 사법, 행정을 담당하는 대의원직접 선거를 통해 조직한다. 선출된 기층 평의회의 대의원은 총회를 통해 지역 평의회에 파견되고, 지역 평의회의 대의원을 선출한다. 또, 지역 평의회는 총회를 열어 선거로 상위 기관을 조직하며, 이러한 상향선거를 통해 최고 기구를 조직한다. 자유위임에 입각했으나, 삼권 분립을 통해 국가권력의 통제하는 자유민주주의와 달리 평의회 민주주의는 삼권 분립에 기반하지 않으나 선거자의 대의원에 대한 명령적 위임을 통해 국가권력을 통제한다.

2. 사례

2.1. 파리 코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파리 코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리 코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리 코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리 코뮌의 평의회는 명령적 위임에 기초하여 조직되었으며, 이는 평의회 민주주의의 원칙에 따라 조직된 것이다.

2.2. 러시아, 소련

1905년 러시아 혁명 당시 러시아 역사상 최초로 노동자평의회가 조직되었다. 이는 당시 V.I. 레닌볼셰비키가 평의회 민주주의를 프롤레타리아 독재가 관철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으로 보고, 평의회(소비에트)를 훗날 건설될 사회주의 국가의 기층조직으로 여기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05년 러시아 혁명이 진압된 이후 평의회 조직은 모두 사라졌으나,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급속도로 재건되었다. 그 후 얼마 동안은 자유위임에 기초한 제헌의회와 명령적 위임에 기초한 소비에트가 공존하였으나, 사회혁명당 좌우익이 분당된 것이 투표지에 반영되지 않거나, 사회혁명당 내부의 좌익에 대한 공천 학살이 일어나는 등의 여러 부정이 있었음을 명목으로 레닌과 볼셰비키에 의해 1917년 러시아 제헌의회 선거가 폐쇄된 후로 국가의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가 장악하게 되었다.

그러나 러시아 내전이 첨예화됨에 따라, 볼셰비키는 새로 수립된 RSFSR 정권을 방어할 필요를 강하게 느꼈고 전시공산주의가 시행됨에 따라 평의회 민주주의는 급격히 쇠퇴하였다. 사회의 전시공산주의에 대한 불만은 좌익 사회혁명당좌파공산주의자, 무정부주의자들과 수병들의 반란 기도인 크론슈타트 반란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러한 상황을 묵과할 수 없었던 RSFSR 정권은 러시아 공산당 제10차 대회 후로 경제적으로는 신경제정책을 시행하였으며, 분파주의 일소를 명목으로 당 내부의 파벌을 ^일시적으로^ 금지하였다. 그럼에도 당내 토론은 여전히 허용되었고, 파벌 금지령이 당 민주주의의 즉각적인 종말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토론이 끝나고 당의 결의가 공포된 후로는 당의 노선에 절대적으로 복종해야 했으며, 결의가 공포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반대하는 것은 분파주의로써 배격되었고,[출처] 이는 머지않아 당 내부 파벌의 식물화를 낳았다. 당은 점차 정치국에 예속되었으며, 이러한 분파 금지 조치는 레닌 사후 소련의 민주집중제에서 민주는 없이 집중제만 남긴 스탈린주의의 토대를 쌓는 데 의도치 않게 일조하였다. 처음에는 일시적인 조치였던 파벌 금지는 1927년 스탈린의 좌익반대파 추방으로 영구히 되었다. 그 후 소비에트는 정치국의 완전한 통제하에 놓였으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에서의 평의회 민주주의의 명맥은 완전히 끊겨, 소련이 붕괴하는 그날까지도 소비에트 연방에는 정작 소비에트 민주주의가 없었다.

2.3.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킬 군항의 반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킬 군항의 반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킬 군항의 반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관련 문서


[1] 헌법에서,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의 공직에 있는 사람을 임기가 끝나기 전에 국민의 투표로 파면하는 일. 또는 그런 제도.[출처] On Party 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