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9 01:37:20

슈퍼로봇대전 Y/세계관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슈퍼로봇대전 Y
1. 개요2. 메인 세계관
2.1. 연표2.2. 사건
2.2.1. 신은하대전2.2.2. 혁명전쟁(레볼 워)
2.3. 용어
2.3.1. NINJA2.3.2. 기동인개(機動忍鎧)2.3.3. 야가미시
2.4. 세력2.5. DLC ①
2.5.1. 커미션 오닉스2.5.2. 금색 골렘
2.6. DLC ②
3. 참전작별 특징

1. 개요

슈퍼로봇대전 Y의 세계관과 오리지널 설정을 정리한 문서. 각 작품별 기체와 파일럿의 인게임 성능은 기존작과 마찬가지로 슈퍼로봇대전 Y/공략에 기재하는 대신, 인게임 스토리와 관련된 특징적 사항은 본 문서에 정리한다.

2. 메인 세계관

이성인 젠트라디의 침공을 시작으로 수많은 전란을 거쳐, 혁명전쟁이라는 거대한 전쟁의 종전과 제로 레퀴엠을 기점으로 전쟁에 끝을 고하고 평화로워진 세계.

2.1. 연표

2.2. 사건

2.2.1. 신은하대전

신우주정력 원년에 발생한 인류를 멸망의 위기로 내몬 이성인과의 전쟁. 가정용 작품에 첫 참전하는 극장판 마크로스 Δ 격정의 왈큐레(원작 기준 2067년)에서 반세기 전에 일어난 사건인 젠트라디와의 제1차 성간전쟁, 즉 초시공요새 마크로스의 사건(원작 기준 2012년)에 해당한다.

2.2.2. 혁명전쟁(레볼 워)

[ruby(革命戦争, ruby=レヴォル・ウォー)]

시놉시스에서 언급되는 사람들에게 혁신을 촉구한 거대한 전쟁. 신우주정력 058년에 발생한 전쟁으로, 기동전사 Z 건담(그리프스 전역), 기동전사 건담 ZZ(제1차 네오지온 항쟁), 기동무투전 G건담(13회 건담 파이트 + 데빌 콜로니 공략전), 신기동전기 건담 W(오퍼레이션 메테오),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제2차 플랜트 대전), 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블랙 리벨리온 및 제로 레퀴엠), 성전사 단바인(드레이크 세력의 지상 침공), 마징카이저(OVA) 등 참전작 대다수의 전일담 또는 본편의 사건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난 일련의 전란을 가리킨다.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과 그 파벌로 이루어진 티탄즈에 맞서 흑의 기사단에우고가 싸운 연방 내부의 내전이 네오지온자프트, 화이트 팽 등을 끌어들여 어스노이드와 스페이스노이드 간의 전쟁으로 발전한 것이 전쟁의 계기가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어스노이드 측은 로고스와 티탄즈가 붕괴하고 트레즈 크슈리나다가 전사해 를르슈 비 브리타니아가 어스노이드 전체의 권력을 쥔 초대 지구 황제로 등극, 스페이스노이드 측은 하만 칸, 밀리아르도 피스크래프트, 길버트 듀랜달 등이 쓰러져 샤아 아즈나블신생 네오지온의 이름 아래 스페이스노이드 진영을 규합했다.

이후 철저 항전을 주장하는 황제 를르슈에 의해 전 지구 인류의 운명을 건 마지막 전쟁이 일어날 뻔 했으나, 퍼레이드 도중 나타난 제로에 의해 공개적으로 를르슈가 암살되는 사건이 일어났고, 전쟁에 지친 시민들의 목소리를 수용한 지구연방이 신체제로 이행하자 샤아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전쟁이 종결되어 신지구연방 체제가 수립되었다.

또한, 동시기에 상기한 어스노이드와 스페이스노이드의 전쟁과 별개로 데빌 건담의 폭주와 닥터 헬 군단의 테러 활동, 바이스톤 웰에서 올라온 드레이크 루프트 군과 요마 제국, 캠벨 성인의 지구 침공이 동시에 발생. 이 쪽의 전란은 각각 데빌 건담의 파괴, 닥터 헬 군단의 괴멸, 바이스톤 웰에서 올라온 군세의 실종, 요마 제국의 후퇴와 캠벨 성인 주전파의 괴멸로 일단락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진구지 치카라가 전사했다.

2.3. 용어

2.3.1. NINJA

일본의 닌자에 원류를 둔 특수 전투원. 엄밀히 말하면 닌자(忍者)가 아니기 때문에 이들을 지칭할 때는 알파벳으로 NINJA라고 표기하며, 이는 New Infinity Neuron – Japanese Assassin의 약칭이라는 설정.

2.3.2. 기동인개(機動忍鎧)

NINJA 집단이 사용하는 기동병기. 주인공 기체 룬드라헤가 이것에 해당한다. 룬드라헤는 두령 전용기라는 의미로 어떤 기체던 두령이 사용하면 룬드라헤가 된다고 한다. 작중 특전은밀 오보로가 사용하는 양산형 기동인개는 몬트.

2.3.3. 야가미시

기동요새도시 에어던트의 돔 구획에 위치한 도시.

지하에서 건조된 기동요새도시 에어던트는 원래 지표 위에 있던 야가미 시 전체와 근처에 위치한 아야나시 시 일부를 돔 내부에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 일대 토지는 전부 프랑버넷 가문의 소유로 되어 있어 에치카의 의향에 따라 에어던트에 거주를 희망하거나 나가길 희망하는 사람은 자유롭게 에어던트에 드나들 수 있다. 또한 인프라 전반이 외부의 간섭 없이 가동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주기관인 시스템 니라카나이에서 도시 전체를 커버할 정도로 막대한 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에 물자 보급만 된다면 외부의 도움 없이도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에너지 위기 속에서 반영구적 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니라카나이의 힘을 노리는 여러 세력에 의해 노려지고 있다. 아군 진영인 Yz 넥스트의 최우선 목표는 야가미 시와 에어던트의 방위.

2.4. 세력

2.4.1. Yz넥스트

일본어: Yzネクスト, 영어: Yz-Next

본작의 아군 부대.

챕터 1에서 신지구연방이 해체된 이후 독립 도시국가로서의 활동을 선언한 기동요새도시 에어던트를 호위하는 방위 부대로, Yz넥스트(와이즈 넥스트)라는 부대명은 혁명전쟁 이전의 승자가 모든 것을 차지하는 『승자의 세계(Victory, World)』와 혁명전쟁 종전 후의 『미지의 세계(X)』 너머에 있는 미래(Y, Z, Next), 그리고 지혜(Wise)를 의미한다.

2.4.1.1. 특전은밀 오보로

일본의 닌자에 원류를 둔 특수 전투원, NINJA(New Infinity Neuron – Japanese Assassin)로 구성된 집단 "특전은밀" 중 하나. 오보로의 리더는 두령이라는 호칭으로 불리며, 현 두령은 츠키노와 크로스.

오보로에 소속된 NINJA들은 약물이나 신체 개조 등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슬로 모션 현상을 발현하고 회피할 때만 신체능력이 3배 오르는 등의 기술을 발휘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NINJA들은 특수한 체술인 인기에 더해 각종 도구를 사용해 인아라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오보로의 NINJA는 야가미 테츠로 박사가 개발한 정신 에너지를 실체화하는 "빌 메탈"이라는 금속을 매개로 하는 인아를 사용한다. 기동인개인 룬드라헤의 동력원도 이 빌 메탈이다.

2.4.2. 신지구연방

혁명전쟁이 제로 레퀴엠으로 막을 내린 이후 수립된 지구 인류의 의사 통일 기관. 구 지구연방의 집권 기구가 품고 있던 문제를 반성하는 의미에서 제2행정단위인 구 국가와 스페이스 콜로니에 많은 권한을 부여하고 있으며, 지구 거주자와 우주 거주자의 화합과 평화적 수단을 통한 문제 해결을 내세운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 때문에 중앙 정부의 권력이 제한되어 지도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의문시된다는 설정. 최신예기로 루미나를 운용한다.

그러나 작품 초반인 챕터 1 말미부터 혁명전쟁의 흉터와 인류가 아닌 존재의 지속적인 공격으로 더 이상 체제를 유지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대통령 에드 스트라디오의 발표로 제2행정단위였던 구 국가들에게 군 전력과 자치권을 차등 배분하고 신지구연방정부는 신국제연합으로 재편되어 수립된지 반년 만에 해체된다. 캐릭터 도감에 따르면 이후 스트라디오 대통령은 신국제연합의 사무총장으로 취임한 모양. 그러나 말이 좋아 차등 배분이지 신지구연방의 해체는 구성국 전체에게 각자도생을 강요하는 것이나 다름없기에 구성국 중 하나인 일본 정부는 지구권의 에너지난을 해결 가능한 에어던트를 강력한 전력으로서 노리고 있으며, 신연방 해체와 동시에 구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의 식민지였던 속국들이 일제히 독립을 선언하고 에어던트 또한 이동 도시국가로서의 독립을 결정한다.

2.4.2.1. 일본 정부

지구연방(신지구연방)에 속해 있던 구 국가 단위 중 하나. 혁명전쟁 종전 이전까지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의 심각한 내정 간섭에 시달렸으며, 그 와중에도 제 13회 건담 파이트에서 도몬 캇슈를 앞세워 우승을 따냈으나 우르베 이시카와가 벌인 데빌 건담과 관련된 일련의 사건과 혁명전쟁의 발발로 인해 건담 파이트에 따른 영향력이 사실상 없던 것이 되었다.

혁명전쟁으로부터 1년이 지난 현재는 신지구연방 해체로 인한 국제 정세에서 강력한 에너지와 전력으로 주도권을 되찾기 위해 에어던트를 노리고 있으며, 이를 위해 도몬 캇슈레인 미카무라에게 에어던트의 조사를 의뢰했으나 일본 정부의 방식에 의구심을 가진 두 사람은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명목으로 일본 정부로 돌아가지 않고 Yz넥스트에 합류했다.

2.4.2.2. 네오지온

총수 샤아 아즈나블을 중심으로 하는 스페이스노이드 세력.

혁명전쟁 이후 평화적 수단으로 자프트, 구 네오지온 등의 세력을 흡수해 스페이스노이드의 대표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자프트와 공동 전선을 펴 케레스 대전 패배 후 지구권까지 진출한 우르갈과 챕터 3 말미 궐기한 NOAHS 등의 공격을 막아내고 있다.

2.4.3. NOAHS(노아스)

정식 명칭은 신세계 선서 동맹 및 그 지도자들. 범성간 제국 라 발을 중심으로 수많은 세력이 모여 결성된 조직으로, 혁명전쟁 이후 평화로워진 지구권에 다시금 전란을 일으키고자 한다. 에어던트 및 Yz넥스트와는 대립 관계에 놓여 있으며 NOAHS의 핵심인 라 발은 에어던트뿐만 아니라 이볼버의 유산을 이어 우주의 재앙이 될 지구인류를 말살하는 것이 목적.

주요 간부는 라 발의 천제 라 바르벨룸과 천현 루 네그시스, 지구 대표 로드 지브릴, 드레이크-포세이달 연합군 대표 기와자 로와우, 윈더미어 대표 로이드 브렘. 그 외에도 팝티머스 시로코, 야잔 게이블, 웡 윤파, 우르베 이시카와, 데킴 바톤 등이 지구인 협력자로서 NOAHS에 속해 있다.

휘하에는 천기사 레 세이바스가 이끄는 정예부대 『노아 브랜드』가 존재하며, 챕터 4 말미 세이바스가 탈주한 뒤로는 천기사 레 시스티스가 노아 브랜드의 지휘관 자리를 이어받는다.

2.4.3.1. 범성간 제국 라 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범성간 제국 라 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범성간 제국 라 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범성간 제국 라 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3.2. VAL-X

혁명전쟁 이후 활동을 시작한 테러 조직. 조직명은 「Victory·Anarchy·Liberation - X」의 약어로, 그 이름처럼 승리, 무질서, 해방, 미지를 숭상하는 테러 조직이다.

혁명전쟁 이후 민간에 방출된 병기를 무인기로 운용하며, 모빌 돌 시스템을 사용한 토라스부터 가자C, 잠자자, 신지구연방의 신형기루미나 타입까지 다양한 기체를 사용한다. 각지에서 무인기를 이용한 테러를 벌이지만 조직으로서의 사상이나 이념이 불분명하고 전력이 일개 테러리스트 조직 치고는 지나치게 비대한지라, 세간에서도 이들을 이용하는 흑막이 있으리라고 여긴다고 한다.

2.4.3.3. 바이스톤 웰의 드레이크군

2.4.3.4. 포세이달 정규군

2.4.3.5. 윈더미어 왕국

브리징가르 구상성단 외곽에 위치한 윈더미어 행성계를 영토로 하는 국가. 전술음악유닛 왈큐레프레이아 비온이 윈더미어 왕국 출신으로, 주요 전력으로 SV-262 드라켄 III를 운용하는 공중기사단을 보유한다.

신통합정부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지구를 제압하고자 하인츠 네리히 윈더미어와 기함 시구르 베렌츠를 필두로 대규모 원정군이 편성되었으며, 드레이크-포세이달 연합군과 동맹을 맺고 노아스에 가담했다.

2.4.4. 명제연합

2.4.4.1. 요마 제국

요마대제 바라오가 이끄는 세력. 1만 2천 년 전 고대 무 제국을 멸망시켰으며, 혁명전쟁이 한창이던 1년 전 악마세기를 부활시키고자 다시 깨어났으나 한 차례 격퇴되었다. 진구지 치카라가 전사했다는 언급으로 보아 원작을 기준으로 요마대제 바라오를 상대하는 최종화 직전에 요마 제국이 한 차례 물러간 것으로 추정.

챕터 3 시점에선 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 원작에서 등장한 가루다의 영혼을 잔존한 스페어 기계인형 중 하나에 심어 부활시켜 새로운 전선 지휘관으로 삼고, 지상으로 올라온 미케네 제국과 결탁해 명제연합을 결성한다.

2.4.4.2. 미케네 제국

한때 고대 지구에 존재했던 미케네 문명의 생존자들. 전신인 미케네 문명은 1만 2천 년 전의 대이변에 휩쓸려 무 제국과 함께 멸망했으나 요마대제 바라오의 힘으로 암흑대장군악령장군 하디아스, 악령형 전투수 단테가 봉인에서 깨어나 요마 제국과 동맹을 맺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들 셋과 그들이 부리는 케도라가 바라오의 부하가 된 것과 별반 다르지 않은 모양새.

2.4.4.3. 안드로메다 유국

2500년 뒤의 미래에서 시공간의 비틀림인 스토커를 열어 현재의 지구를 침략하는 수수께끼의 세력. 지구 측에선 『인섹터』라는 코드네임으로 호칭하며, 현재의 시공간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신통합정부 측에서도 마땅한 자료를 얻을 수 없었다. 챕터 6에서 본대가 괴멸할 때 토엔코를 필두로 한 소수의 부대가 결사대로서 현재로 넘어와, 챕터 7에선 명제연합의 일원으로 합류한다.

2.4.5. 기타 적대 세력

2.4.5.1. 공룡제국

2.4.5.2. 우르갈

신우주정력 056년에 공식적으로 처음 접촉한 미지의 이성인 세력. 실제로는 그보다 앞선 050년에 비공식적인 첫 교전이 있었다.

2.4.5.3. 고차원 존재

홍진을 일으켜 괴수왕 고질라를 비롯한 괴수들을 불러일으키는 존재. 평행세계가 분기하지 않는 닫힌 우주를 만들어내는 겟타 엠페러와 상극을 이루는 존재로, 평행세계의 가능성을 여는 고질라와 가능성을 닫는 겟타 엠페러가 같은 시공간에서 조우하면 문자 그대로 우주가 붕괴하는 파국이 일어난다.

본편에선 고질라 이외에도 라돈쿠몽가가 등장하며, 사룬가는 실제로 등장하지는 않지만 설정상으로는 존재한다. 안기라스는 본편 이전에 오타키 팩토리의 활약으로 토벌된 상태이다. 또한 괴수 우생 사상의 괴수들 또한 "그것"이 일으킨 시공간의 비틀림에서 태어나기 때문에, 고질라가 격퇴된 이후에는 더 이상 괴수가 나타나지 않았다.

2.4.5.4. 괴수 우생 사상

5천 년 전의 과거에서 알 수 없는 이유로 부활하여 괴수의 세상을 열고자 하는 4명의 괴수술사로 이루어진 조직. 멤버는 쥬우가, 오니쟈, 무지나, 시즈무.

챕터 1에서 에어던트 내부의 도시 구역에서 다수의 괴수를 포획해 난동을 저질렀으나 다이나제논에 의해 격퇴되고, 그 뒤로도 괴수가 발생하는 원천인 에어던트를 근거지로 삼아 행동한다. 본질적으로는 괴수를 사용해 인류를 멸망시키는 것이 목표이지만, 에어던트 대표 선거에 참가하거나 왈큐레의 콘서트에 꼬박꼬박 참석하는 등 은근히 소박한 면도 강하게 보인다.

에치카는 피차 정체를 다 알고 있어도 날뛰지 않으면 그냥 놔두자는 식으로 방치 중이지만, DLC 보너스 시나리오 "괴수술사를 쫓아라"에선 이 방침에 내심 반발한 아이티가 자신이 조사한 정보를 바탕으로 추추, 윤, 카렌, C.C. 등을 이용해 독자적으로 정보 수집을 꾀하기도 한다.

2.4.6. 그 외

2.4.6.1. 신통합정부

제1차 성간전쟁 이후 은하계 곳곳으로 떠난 이민선단들을 관할하기 위해 세워진 정부기관. 지구권에 남은 인류로 구성된 지구연방과는 별개의 계통을 가진 조직으로, 지구연방은 신통합정부에서 사실상 독립적인 자치권을 가지고 있으나 신통합정부 측은 지구권에 거의 흥미를 잃은 상태.[1]

챕터 1에서 진 하야토가 안드로메다 유국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연락을 취했으나 유익한 정보는 얻을 수 없었다고 언급하고, 챕터 2에선 지구권으로 치안 유지를 위해 VF-171 부대를 파견하나 윈더미어의 공작에 의해 바르 증후군이 발증해 폭주한다.

2.4.6.2. 이볼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볼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볼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볼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DLC ①

2.5.1. 커미션 오닉스

자신들이 받은 의뢰가 전부 리아 클라이에에게서 받은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코스모레인저 J9, 로저, 쇼타로와 필립이 맡게 된 의뢰. 리아가 원래 찾고 있던 「실크햇의 노신사」를 찾는 것은 로저와 쇼타로, 필립이 담당하고, 리아 본인의 호위는 J9 팀이 담당하게 되었으며, 여기에 리아를 노리던 금색 골렘이 에어던트도 공격한다는 사실을 묵과할 수 없던 에치카 Y 프랑버넷의 의뢰까지 받게 되며 의뢰의 규모가 상당히 커짐에 따라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이름은 로저 스미스가 지었다.

2.5.2. 금색 골렘

DLC의 메인 적 양산형들로, 전작 슈퍼로봇대전 X에서 마종교단이 운용하던 룬 골렘과 딘벨이다. 젤가드의 파일럿들의 말에 의하면 생긴 것은 동일하지만 알 워스의 골렘과 달리 오드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사용하는 술식도 황금의 AURUMS가 아니라 현무의 BASALT다.

X와 달리 일반 양산형이기 때문에 잡는다고 해서 특별히 돈을 더 주지는 않는다.

2.6. DLC ②

3. 참전작별 특징

3.1. 용자 라이딘

파일:슈로대y 라이딘.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악마 시대의 부활을 꾀하는 요마제국이 1만 2000년만에 깨어나 부활했다.

린카이 학원에서 축구부 주장을 맡고 있는 소년 히비키 아키라는, 신비한 목소리에 이끌려 신면암에 잠든 라이딘으로 향한다. 인도에 따라 라이딘에 「페이드 인」하여 탑승한 아키라는, 무트로폴리스의 고프랜더 부대와 힘을 합쳐 요마제국과의 싸움에 몸을 던진다.

요마제국의 지휘관 프린스 샤킨을 쓰러트린 아키라였지만, 석상에 봉인되어 있던 요마대제 바라오가 부활한다.

자신이 고대 무 제국의 피를 이은 인간이며, 어머니가 그 황녀 레무리아라는 것을 알게 된 아키라는, 바라오가 보내는 가공할 적들과 싸워나간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悪魔世紀の復活を目論む妖魔帝国が1万2000年の眠りから復活した。
공식 소개문
  • 슈퍼로봇대전 스크램블 커맨더 2 이후 약 18년만에 가정용 작품에 참전.
  • 공식 사이트의 참전작 소개 항목에선 프린스 샤킨과의 결전을 그리는 27화까지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으며, 적 세력 소개 트레일러에서 후반부 최종보스인 요마대제 바라오가 직접 등장하면서 나가하마 다다오 감독 주도로 제작된 2부를 재현하는 것이 확정되었다.[2] 1부 스토리에 해당하는 내용이 혁명전쟁에 포함되면서, 대체로 전작들에선 원작과 달리 끝까지 살아있던 진구지 치카라가 이미 전사한 것으로 나와 서포트 메카닉인 브루거는 불참. 사쿠라노 마리는 어시스트 크루로 옮겨졌다.

3.2. 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

파일:슈로대y 컴배틀러v.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선사 시대 이래로 오랜 시간 땅속에 숨어 살던 캠밸 성인이 지구 침략을 개시했다.

이 날을 예견했던 난바라 박사는 5대의 머신이 초전자의 힘으로 합체할 수 있는 거대 로봇 컴배틀러 V를 만들고, 일본 전역에서 소집한 아오이 효마, 나니와 쥬조, 니시카와 다이사쿠, 키타 코스케 네 명에 손녀 난바라 치즈루를 더해 「배틀 팀」을 결성한다. 하지만 난바라 박사는 싸움 속에서 목숨을 잃게 되고, 뒷일은 박사의 친구인 요츠야 박사에게 맡겨진다.

캠밸 성의 대장군 가루다가 보내는 적을 차례차례 물리친 컴배틀러 V는, 안드로이드인 가루다를 만든 여제 오레아나를 타도한다. 하지만, 오레아나의 죽음으로 캠밸 성은 여제 쟈네라, 총통 와루키메데스 그리고 던겔 장군을 지구로 보낸다.

캠밸 성에 있던 평화주의자들은 어수선한 틈을 노려 내부에서 반란을 일으켰고, 컴배틀러 V는 쟈네라와의 결전에서 승리하며 지구에 평화를 가져오게 된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先史以来、長らく地底に潜んでいたキャンベル星人が地球侵略を開始した。
공식 소개문
  • 전작 슈퍼로봇대전 30에서 연속 참전.
  • 스토리상으로는 기본적으로 30와 마찬가지로 원작 종료 후. 프롤로그에서 이미 캠벨 성인의 침공을 저지했다고 언급되며, 전작에서 등장하지 않았던 가루다빅 가루다가 라이딘의 적 세력인 요마 제국의 일원으로 등장한다.

3.3. 성전사 단바인

파일:슈로대y 단바인.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가정에 소홀한 부모에게 반항하듯 모토크로스에 열중하는 소년 쇼우 자마는, 어느 날 고속도로를 질주하던 도중 알 수 없는 세계로 전이한다. 그 곳은 땅 속에 있는 이세계 「바이스톤 웰」이었다.

마찬가지로 아 국에 소환된 지상인인 토드 일행과 함께, 쇼우는 지방 영주 드레이크의 밑에서 인간형 병기 「오라 배틀러」에 타는 「성전사」로 임명된다.

오라 배틀러 「단바인」의 파일럿이 된 쇼우였지만, 드레이크가 바이스톤 웰을 지배하려는 야망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지상인 마벨 일행에 의해 알게 된 후 단바인과 함께 반 드레이크 세력에 합류한다.

오라 배틀러를 사용한 전쟁은 확대되어 혼란이 거듭되는 와중, 페라리오의 우두머리 자코바 아온은 자신의 힘으로 오라 머신과 그 관계자 전원을 쇼우 일행이 원래 있던 지상계로 추방한다.

나 국의 젊은 여왕 시라와 라우 국의 에레 왕녀가 이끄는 연합군에 참가한 쇼우와 마벨 일행은, 오라 머신의 힘으로 지상계 지배를 노리는 드레이크와 그 협력자인 쿠 국의 왕 비쇼트를 상대로 싸운다.

싸움은 세계 각국이 휘말린 전면 전쟁으로 확대되고 있었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家庭を省みない両親に反抗するようにモトクロスに明け暮れる少年、ショウ・ザマは、ある夜、ハイウェイを疾走していたところで突然謎の世界へと転移してしまう。
공식 소개문
  • 슈퍼로봇대전 T 이후 6년만에 재참전.
  • 2차 PV(발매일 발표 트레일러)에서 시라 라파나와 오라 쉽 그란 가란이, 2.5차 쇼트 PV(적 세력 소개 트레일러)에서 오라 파이터 갈라바에 탑승한 흑기사가, 3차 PV에서 드레이크 루프트와 그의 기함 윌 윕스가 등장했다.
  • 참전작 소개문에서도 지상편 이후의 내용이 묘사되지 않아 슈퍼로봇대전 BX 이후 10년 만에 본편 스토리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우세했으나, 실제로는 원작이 종료된 후 모종의 사유로 성전사들이 1년 뒤의 미래로 재차 전이한 상황에서 사실상 시퀄에 가까운 형태로 스토리가 진행된다. 주로 엮이는 대상은 비슷한 시기 토미노 감독이 제작한 중전기 엘가임, 기동전사 Z 건담 계열. 벨빈이 조기 합류하는 시나리오에서는 쇼와 시온이 아스티카시아 고등 전문 학원의 룰에 맞춘 오라 배틀러 결투를 하기도 한다.

3.4. 성전사 단바인 New Story of Aura Battler DUNBINE

파일:슈로대y 서바인.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바이스톤 웰과 지상을 둘러싼 전란이 종결하고 700년의 세월이 흘렀다.

아 국의 바란바란에 사는 사냥꾼 소년 시온 자바는, 어느 날 오라 배틀러즈와우스」를 모는 흑기사 라반 자라만드가 이끄는 부대의 공격을 받는다.

시온은 전설 속 「바란바란의 보물」을 수호하는 일족의 공주, 레무르와 함께 라반의 손아귀에 떨어져, 그의 성에 사로잡히고 만다.

습격에서 구해낸 페라리오 실키의 힘을 빌려 감옥에서 벗어난 시온은 레무르와 함께 라반의 성을 탈출한다. 하지만 그들은 라반 군에 의해 뒤를 밟혀, 바란바란의 보물인 고대의 오라 배틀러 「서바인」이 있는 곳에 그들을 불러모으고 만다.

위기에 빠진 레무르를 앞에 두고 시온은 서바인에 탑승하여, 라반의 즈와우스를 격퇴하는 데 성공한다. 시온은, 유례 없는 오라력을 지닌 「성전사」였던 것이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バイストン・ウェルと地上を巻き込んだ戦乱が終結し、700年の時が流れた。
공식 소개문
  • 슈퍼로봇대전 T 이후 6년만에 재참전.
  • 시온과 서바인, 즈와우스가 전부 등장. 라반 자라만드의 등장 여부는 발매 전 시점에선 불명이었으나 발매후 등장함이 확인되었다.
  • 특이하게도 서바인은 X와 T에 참전했을 때 사용한 방패를 들지 않은 상태로 등장하며, 이는 기존에 사용하던 방패의 디자인이 맥스 팩토리에서 발매한 소프비 키트 오리지널 디자인이고 2021년 발매된 HG 키트를 통해 방패 디자인이 변경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3.5. 중전기 엘가임

파일:슈로대y 엘가임.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이중 태양 선즈와 5개의 행성으로 이뤄진 펜타고나 월드. 세계는 올드나 포세이달이 통치하고 있었지만, 각지에서 반란군과의 소규모 전투가 계속되어 전란이 끊이질 않았다.

변방 행성 코암에서 입신양명의 꿈을 품고 고향을 나선 다바 마이로드미라우 캬오는 산적 출신인 판네리아 암을 만난다. 무기상인 아만다라 카만다라와 엮인 다바는 아버지의 유품인 헤비메탈 엘가임을 타고 포세이달 군과 싸우게 되며, 그 와중 전 13인방이었던 가우 하 렛시도 합류한다.

미즌 성의 대규모 반란군의 일원이 된 다바는 그처럼 꿈을 품고 변방 땅에서 온 갸브렛 갸브레와 몇 번이고 부딪힌다. 하지만 정규군의 힘은 막강하였고, 패배한 다바 일행은 미즌 성을 뒤로한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二重太陽サンズと5つの惑星からなるペンタゴナ・ワールド。
공식 소개문
  • 전작 슈퍼로봇대전 30에서 연속 참전.
  • 2차 PV에선 엘가임의 세이버 컷인이, 3차 PV에선 30에서 미구현된 프로울러 형태로 변형한 엘가임 Mk-II가 버스터 런처를 사격하는 신규 전투 애니메이션이 공개되었다. 시스템상 겟타 계열을 제외한 가변 기능이 배제되어 전투 애니메이션에만 들어가는 사양으로 보인다.

3.6. 기동전사 Z 건담

파일:슈로대y z건담.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우주세기 0087년.

지구연방군지온 공국군과의 싸움에서 승리한 일년전쟁으로부터 7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연방군 내에서는 엘리트 부대 티탄즈의 세력이 대두되고 있었고, 그들은 콜로니 및 월면에 살고 있는 스페이스노이드에 대한 탄압을 강행하고 있었다.

세력을 확대하는 티탄즈에 반발하는 사람들은 반 지구연방 조직 에우고를 결성. 연방에서 「붉은 혜성」이라 부르며 두려워했던 옛 지온 공국의 에이스 파일럿, 샤아 아즈나블크와트로 바지나로 이름을 바꿔 그들에게 가담하고 있었다.

에우고가 티탄즈의 거점인 콜로니 그린 오아시스를 습격했을 때 전투에 휘말린 카미유 비단은 티탄즈를 향한 반발심 때문에 에우고에 참가, 파일럿으로서 티탄즈와의 싸움에 몸을 내던진 카미유는 뉴타입의 소질을 개화시켜 나간다.

에우고와 티탄즈의 대립이던 싸움에 지온의 잔당인 액시즈가 개입하면서, 전황은 삼파전 양상을 띠게 된다.

티탄즈에 비해 수적으로 열세했던 에우고는 국면 타개를 위해 자신들이 제압했던 콜로니 레이저를 사용할 계획을 세운다. 콜로니 레이저 발사를 저지하려는 팝티머스 시로코와 액시즈의 하만 칸을 상대로, 카미유와 크와트로는 격전을 벌인다.

결과적으로 콜로니 레이저가 발사되며, 후에 「그리프스 전역」이라고 불리게 된 이 전투는 모든 세력들이 막대한 희생을 치르며 에우고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그러나 하만과 벌인 전투에서 크와트로는 행방불명되었고, 카미유 또한 시로코와 벌인 격전에서 승리하지만 시로코의 마지막 집념으로 인해 정신이 붕괴하게 된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宇宙世紀0087年。
공식 소개문

3.7.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 M-MSV(기체만 참전)

파일:슈로대y 역습의샤아.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우주세기 0093년.

그리프스 전역 이후 행방불명 상태였던 샤아 아즈나블네오 지온의 총수로 취임한다.

우주 이주민을 억압하고 지구에 매달리는 인류를 숙청하기 위해 지구연방에 선전포고를 한 샤아는 소행성 5th 루나를 지구에 낙하시키려고 한다. 아무로가 소속된 연방군 외연부대 론도 벨이 이를 저지하려고 분전하지만 결국 5th 루나는 지구로 낙하하고 만다.

그 후, 샤아는 지구연방 정부의 고관과 뒷거래를 해 네오 지온의 무장해제를 조건으로 과거 네오 지온의 소행성 요새였던 액시즈를 손에 넣는다. 그러나 샤아는 그 협정을 깨고 이번엔 액시즈를 지구에 충돌시키기 위한 행동을 개시한다.

아무로는 샤아의 작전을 저지하고 결판을 내기 위해 최신예 모빌슈트인 ν건담에 탑승하여 액시즈로 향한다.

액시즈에서 격돌한 아무로와 샤아. 아무로는 이 싸움에서 승리하지만, 론도 벨은 지구로 낙하하는 액시즈 파괴에 실패하게 된다.

대기권으로 돌입해버린 액시즈를 막아내기 위해, 아무로는 ν건담으로 액시즈에 달라붙어 이를 밀어내려고 한다.

ν건담에게서 나온 사이코 프레임의 빛은 액시즈 낙하를 막아내고, 그 따스한 빛을 목격한 사람들의 마음에 무언가를 남기게 된다. 이 전투에서 아무로와 샤아는 행방불명되어 역사에서 모습을 감추게 된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宇宙世紀0093年。
공식 소개문

3.8. 기동무투전 G건담

파일:슈로대y g건담.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미래세기.

황폐해진 지구를 포기한 인류는, 우주에 스페이스 콜로니 국가를 만들어 그 곳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또한 국가 간의 전면 전쟁을 방지하기 위해, 지구를 링으로 국가를 대표하는 건담을 싸우게 하고, 마지막에 이긴 국가에 4년 간의 정치 주도권을 주는 건담 파이트가 개최되고 있었다.

그리고 미래세기 60년, 네오 재팬은 제13회 건담 파이트 대회에 건담 파이터 도몬 캇슈를 내려보냈다. 소꿉친구이자 크루인 레인과 함께 각지를 여행하는 도몬은, 각국의 건담과 싸우면서 최강최악의 병기 데빌 건담을 강탈해 지구로 도망친 형 쿄우지를 쫒고 있었다.

그 여행 도중, 도몬은 라이벌들과 주먹을 맞대며 서로를 인정하고, 둘도 없는 우정을 쌓아나갔다. 또한 자신의 스승이자 전 대회 우승자인 동방불패와 재회하지만, 동방불패는 데빌 건담과 손을 잡고 인류의 적으로서 도몬을 막아선다.

치열한 싸움 속에서, 도몬은 마침내 데빌 건담을 쓰러트리고, 동방불패와의 격투에서 또한 승리해 제13회 건담 파이트의 우승자가 된다.

모든 것이 끝났다고 생각되던 찰나, 네오 재팬의 우르베의 책략에 의해 레인을 생체 코어로 삼은 데빌 건담이 부활하고 만다. 데빌 건담은 주변의 콜로니마저 침식하여 이전보다 강대한 형태로 성장한다. 하지만, 사랑하는 레인을 구출한 도몬에 의해, 데빌 건담은 코어가 파괴되어 완전히 소멸한다.

세계의 평화를 되찾은 건담 파이터들은, 4년 후 14회 대회에서의 재회를 다짐하는 것이었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未来世紀。
공식 소개문
  • 슈퍼로봇대전 T 이후 6년만에 재참전.
  • 스토리에서의 취급은 T와 마찬가지로 원작 종료 후 시점. 하지만 건담 파이트 우승국의 권리가 반영되어 일본이 연방에서 큰 발언력을 얻었다는 설정인 T와 달리 건담 파이트 중 일어난 데빌 건담 문제와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혁명전쟁의 여파로 건담 파이트 제도가 재검토되면서 사실상 무효가 되었다는 설정으로, 그 때문에 일본 정부가 에어던트를 노리는 주요 세력 중 하나로 등장한다.
  • 1차 PV에선 만다라 건담과의 건담 파이트에서 사용한 기술인 "폭렬 갓 슬래시"가 신규 무장으로 공개되었으며, 2차 PV에선 노벨 건담의 빔 리본, 2.5차 쇼트 PV에선 T에서 짤렸던 라이징 건담이, 3차 PV에선 갓 건담과 라이징 건담의 합체공격 석파 러브러브 천경권이 공개되었다.
  • T에서 등장하지 않았던 우르베 이시카와가 2.5차 PV에서 그랜드 마스터 건담에 탑승한 모습으로 재등장.

3.9.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

파일:슈로대y 엔들리스왈츠.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애프터 콜로니(A.C.) 196년.

5 에 의한 오퍼레이션 메테오에 의해 일어난 전쟁이 종결하고 1년이 지나, 세계는 평화로의 길을 걷고 있었다.

레이디 언이 조직한 정보기관 「프리벤터」에 소속된 옛 건담 파일럿들은, 군벌 「마리메이아 군」의 활동을 쫒는다. 조직의 수장인 소녀 마리메이아는 이전의 싸움에서 전사한 세계국가 원수 트레즈 크슈리나다의 딸을 자칭, 바톤 재단 총수인 데킴 바톤과 함께 몰래 전력을 마련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곳에는 건담의 파일럿인 우페이도 있었다.

그리고 마리에이아군은 평화의 상징인 리리나 도리안 외무차관을 납치하고 세계에 선전포고, 콜로니를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진정한 오퍼레이션 메테오」를 실행한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A.C.196年。
공식 소개문
  • 슈퍼로봇대전 X 이후 7년만에 가정용 시리즈에 재참전.
  • 프롤로그와 챕터 1에선 신기동전기 건담 W 이후 엔들리스 왈츠 본편의 사건이 아직 발생하지 않은 시기로 묘사되며, 특히 창 우페이히이로 유이 등 프리벤터 일행과 연락을 끊고 제로 레퀴엠을 일으킨 제로를 쫓아 독자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 윙 제로의 전투 애니메이션 담당자가 2019년경 슈퍼로봇대전 제작 팀을 퇴사한 츠치야 히데히로[3][4] 대신 일명 아리오스의 사람으로 불리는 담당자로 교체되어 PV에서부터 뛰어난 연출로 화제가 되었다. 특히 5월 20일 방송에서 공개된 트윈 버스터 라이플의 전투 애니메이션에 TV판 후기 오프닝RHYTHM EMOTION의 구도를 차용한 것이 호평.
  • 단 체험판 기준으로 윙 제로를 제외한 기체[5]는 파일럿 컷인만 추가되고 기존 슈퍼로봇대전 X에서의 연출을 재탕한 것이 확인되었다.

3.10.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파일:슈로대y 시드데스티니.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코즈믹 이라(C.E.) 71년.

유전자 조작으로 태어난 신인류 「코디네이터」와 유전자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평범한 인류 내추럴의 대립에서 시작된 지구연합군과 자프트의 전쟁 도중, 지구연합군은 중립국이었던 오브침공한다. 수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한 이 전투에서, 신 아스카는 부모와 여동생을 잃는다.

그로부터 2년 후. 자프트에 입대한 신은 신형 모빌슈트 임펄스 건담의 파일럿이 되어, 강탈된 3대의 신형 모빌슈트를 탈환하는 작전에 참가한다. 또한, 그 임무를 받은 전함 미네르바에는 플랜트 최고 평의회 의장 길버트 듀랜달과 2년 전 전쟁의 영웅 아스란 자라 또한 승함해 있었다.

그 임무 도중, 신 일행은 내추럴 근절을 바라는 자프트 탈영병들이 일으킨 유니우스 세븐 낙하 사건을 마주한다. 미네르바의 활약으로 유니우스 세븐은 파괴되었지만 그 파편은 지상으로 낙하하여, 각지에 큰 피해를 불러온다. 그리고 그것이 원인이 되어, 또 다시 연합과 플랜트의 전쟁이 발발한다.

싸움이 격화하는 도중, 전 대전의 영웅 키라 야마토가 전투에 개입하면서 전황은 더욱 혼란스러워진다. 점차 듀랜달을 맹신하게 된 신은 아스란과 반목하고, 싸움을 멈추려 한 키라를 격파한다.

한편, 듀랜달은 인류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시스템 데스티니 플랜을 공표하고, 인간의 운명을 관리하려는 그의 사상에 반발한 키라와 아스란은 듀랜달이 이끄는 자프트 함대와 신을 격파한다.

최후의 싸움에서 신은 아스란에게 패배하고 듀랜달은 사망하여, 인류의 미래와 자유는 지켜진 것이었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コズミック・イラ(C.E)71年。
공식 소개문

3.11.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Season 1

파일:슈로대y 수성의마녀.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A.S.(애드 스텔라) 122년.

우주로 진출한 수많은 기업이 거대 경제권을 구축한 시대. 경제 격차로 인해 우주 거주자 스페시언이 지구 거주자 어시언을 착취하는 구조가 생겨나, 양 측의 대립이 이어지고 있었다.

변방의 대지 수성에서 자란 소녀 슬레타 머큐리는 모빌슈트 산업 최대 기업인 「베네리트 그룹」이 운영하는 아스티카시아 고등 전문 학원에 편입한다. 학교에는 학생끼리 서로 원하는 것을 걸고 모빌슈트로 대전하는 「결투」가 행해지고 있었다.

편입 첫 날, 베네리트 그룹 총재의 딸인 미오리네 렘블랑과 만난 슬레타는 학원 넘버 원 파일럿 「홀더」이자 미오리네의 약혼자 후보 1위인 구엘 제타크의 횡포를 보다 못해 구엘과의 「결투」에 나선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A.S.(アド・ステラ)122。
공식 소개문
  • 시리즈 첫 참전.
  • 특이하게도 Season 1 명의[7]로 참전해 공개 초기 2부작 의혹에 불을 지핀 참전작이기도 하였으며, 이 때문에 Season 2에서 등장한 건담 캘리번이나 건담 슈바르제테, 다릴 바르데/건담 파렉트/미카엘리스의 추가 무장 등은 구현되지 않는다.
  • 프로듀서인 토마 코우타는 Season 1 이후 스토리는 오리지널 전개라 말했지만 정작 그럴만한 요소가 일절 없어 혹평 받았다. 주축을 이루는 메인 스토리와 큰 크로스오버도 없어서 수성의 마녀 단독 에피소드만 몰아서 하는 느낌이 나 플레이 타임이 길고, 그 긴 수성의 마녀 스토리도 주식회서 건담 설립 이후로 뚝하고 끊겨선 존재감 자체가 사라진다.
    • 다만 그 이후의 네타 거리는 꽤 챙긴 편으로 대표적으로 에어던트의 재정부, 왈큐레의 매니저로 취직한 미오리네, 갓핑거에 집착하는 슬레타가 있다. 특히 G 건담이랑은 진지로든 개그로든 모두 깊게 관여되어있는 점도 눈여겨볼 부분.
  • 기체의 전반적인 연출 구성도 첫 찬점작인 만큼 신경쓴 티가 난다.

3.12. 마징카이저 사투! 암흑대장군

파일:슈로대y 마징카이저.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수천 년 간 지저 깊숙이 숨어있던 미케네 제국이 지구 침공을 개시했다.

일곱 전투수 군단을 거느린 암흑대장군은 전 인류 말살을 선언하고, 세계 각지를 방위하는 마징가 군단을 차례차례 괴멸시킨다.

마징카이저의 파일럿 카부토 코우지는 세계의 위기에 맞서기 위해 시찰 여행차 와 있었던 파리에서 일본으로 향하지만, 전투수의 습격을 받고 만다.

동료들의 희생 덕에 어떻게든 일본에 도착한 코우지는 보스보로트의 파일럿 보스와 합류해 광자력 연구소로 향한다.

그러나 그 곳에 있었던 것은 파괴된 광자력 연구소와 전투수 군단의 모습이었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数千年の間、地底深くに潜伏していたミケーネ帝国が地球侵略を開始した。
공식 소개문
  • 슈퍼로봇대전 L 이후 15년만에 가정용 시리즈에 재참전. 전작인 마징카이저(OVA)슈퍼로봇대전 GC/슈퍼로봇대전 XO에서 음성이 구현되었기 때문에 사투 암흑대장군 명의로는 첫 음성 지원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참전이 되는 셈이다.
  • 또한 특이하게도 주인공 기체인 마징카이저가 본편에서 등장한 OVA판 디자인이 아니라 슈퍼로봇대전 X에서 구현된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다이나믹 기획 오리지널 사양으로 등장. 대신 2차 PV에서 공개된 숄더 슬라이서 전투 애니메이션에 사투 암흑대장군 속 한 장면[8]을 재현하여 어디까지나 사투 암흑대장군의 스토리를 따라감을 보여준다.
  • PV에서 공개된 그레이트 마징가암흑대장군의 연출은 슈퍼로봇대전 V, 슈퍼로봇대전 X에서 사용된 진 마징가 충격! Z편 버전 그레이트 마징가와 암흑대장군의 전투 애니메이션을 부분적으로 리터칭. 두 유닛 모두 사투 암흑대장군에서의 모습을 레퍼런스 삼아 진 마징가 세계관에 맞게 재창작된 버전[9]이기 때문에 마징카이저에 비해 위화감이 덜한 모습을 보여준다.
  • 제3차 PV에선 슈퍼로봇대전 X 이후 7년만에 마징엠페러 G가 등장. OVA판 테츠야의 보이스는 당초 슈퍼로봇대전 DD의 음성만 사용한 걸로 추측됐지만, 라이딘의 진구지를 언급하는 등 의외로 일부 추가 녹음 분량이 있다.

3.13. 겟타로보 아크

파일:슈로대y 겟타아크.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19년 전, 나가레 료마이치몬지 고의 활약에 의해 인류는 강대한 적과의 싸움에 마침표를 찍고 세상은 구원받았다.

시간은 흘러, 료마의 아들 나가레 타쿠마는 어머니를 살해한 인물을 찾기 위해 동료 야마기시 바쿠와 함께 사오토메 연구소로 향한다. 사오토메 연구소에선, 옛 겟타 팀의 멤버였던 진 하야토가 새로운 적과의 싸움을 준비하고 있었다.

타쿠마는 운명에 이끌리듯 겟타 아크에 타 카무이 쇼우, 바쿠와 함께 싸움에 몸을 던진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19年前、流竜馬や一文字號達の活躍により、人類と強大な敵との戦いは終止符が打たれ、世界は救われた。
공식 소개문
  • 가정용 첫참전[10]
  • 주인공인 나가레 타쿠마와 야마기시 바쿠가 1화 시점부터 에어던트에 승함해 있어 2화 또는 3화에서 아군에 합류하며, 사오토메 연구소 지하의 겟타 드래곤을 감추고 안드로메다 유국의 주의를 에어던트와 시스템 니라카나이로 옮기려는 진 하야토의 의도에 따라 카무이와 겟타 아크 또한 에어던트에 동행하게 된다.
  • 기존의 진 겟타로보 세계 최후의 날 계통과는 다른 연출 담당자가 전투 애니메이션을 담당[11]하면서 전투 연출에는 호평이 많은 편. 공개 초기에는 겟타 빔의 연출이 슈퍼로봇대전 DD의 겟타 빔 연출과 같은 장면을 레퍼런스하여 DD의 그래픽을 가정용 슈퍼로봇대전에 재사용한 것이 아니냐고 할 정도로 평이 나빴지만, 이후 차근차근 겟타 토마호크나 썬더 봄버[12] 등이 공개되고 나가레 타쿠마 역 우치다 유우마의 호쾌한 샤우팅 연기도 호평을 받으면서 점차 여론이 개선되었다. 스토리 내에서도 타쿠마가 상당한 호감형으로 나오면서 재조명을 받았다.
  • 애니메이션 12화에서 잠깐 얼굴을 비춘 겟타 드래곤(가칭)이 겟타 세인트 드래곤이라는 이름으로 적 유닛으로 등장한다. 애니메이션의 디자인을 기반으로 하되 이시카와 켄의 화풍을 연상케 하는 거친 터치로 그려져 만화판 진 겟타로보의 세인트 드래곤을 방불케 하는 흉악한 비주얼이 특징. 원작을 넘어 애니에서조차 미완으로 끝났던 버그전 이후 세인트 드래곤을 상대로하는 오리지널 전개의 DVE로 풀더빙하는 호화 이벤트를 보여줬다

3.14. 은하기공대 마제스틱 프린스

파일:슈로대y 마제스틱프린스.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지구력 2110년.

우주로 진출한 인류는 목성권에서 범은하 통일제국을 자칭하는 수수께끼의 세력 우르갈의 습격을 받아 존망의 위기에 직면해 있었다.

한편, 지구에선 유전자 조작으로 우주에서 활동 가능한 인류를 만들어내려는 프로젝트가 특무기관 MJP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MJP에 소속된 히타치 이즈루 포함 5명으로 구성된 팀 래빗은, 개개인의 능력은 높지만 팀워크가 맞춰지지 않아 전적은 최저 수준을 기록해 「한심 파이브」라고 불리운다. 하지만, 그들은 최신예 전투 디바이스 애시에 탑승할 것을 명령받고, 우르갈과의 싸움에 몸을 던지게 된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地球歴2110年。
공식 소개문
  • 전작 슈퍼로봇대전 30에서 연속 참전. 30 확장팩에서 등장한 극장판 마제스틱 프린스 각성의 유전자는 불참하였다.
  • PV에선 주인공 기체인 레드 5의 전투 애니메이션만 공개되었으며, 30에서 없었던 추가 무장 헤비 마체테와 초 풀 버스트 모드의 추가 컷인이 확인되었다. 그 외에도 시연회 버전에선 전함 고디니온이 등장.

3.15. 극장판 마크로스 Δ 격정의 왈큐레 / 마크로스 Δ(기체만 참전)

파일:슈로대y 마크로스델타.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서력 2067년.

지구인류가 파종 계획 아래 은하로 진출하고 수십 년이 지난 시대. 브리징가르 구상성단은 전조 없이 사람이 흉폭해지는 괴이한 질병 「바르 신드롬」의 위협이 확산되고 있었다.

반면 성간 복합 기업 케이오스의 라그나 지부에 소속된 전술음악유닛 왈큐레의 노래는 바르 신드롬을 진정시키는 힘을 지니고 있었다. 가변전투기 「VF-31 지크프리트」를 타는 델타 소대의 호위를 받는 그들은 각지에서 라이브 활동을 전개한다.

왈큐레를 동경하는 소녀 프레이아 비온은, 오디션을 보러 가던 도중 일어난 바르의 폭동 속에서 델타 소대의 신인 파일럿 하야테 임멜만과 만난다.

폭주하는 인간을 노래로 진정시킨 건으로 그 자질을 인정받은 프레이아는 왈큐레에 채용되어, 하야테와 함께 바르 신드롬을 둘러싼 싸움에 몸을 던진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西暦2067年。
공식 소개문
  • 슈퍼로봇대전 X-Ω에서 첫 참전한 이후 첫 가정용 시리즈 참전. 마크로스 시리즈 전체로 따지면 마크로스 프론티어 작별의 날개마크로스 30이 참전한 슈퍼로봇대전 BX 이래 10년만에 가정용 시리즈에 복귀했다.
  • 스토리는 어디까지나 극장판 격정의 왈큐레를 따라가고, 기체만 참전 명의로 참전한 TV판 마크로스 Δ는 극장판에 등장하지 않는 VF-31J改[13]를 참전시키기 위한 명의.
  • 노래가 핵심 소재 중 하나인 시리즈답게 프리미엄 사운드 팩에선 다른 작품들이 1곡~2곡을 받아갈 때 무려 4곡을 할당받았으며, 프리미엄 사운드로 보컬 버전이 수록된 곡 이외에도 「왈큐레가 멈추지 않아」#, 「별의 노래」#가 인게임 어레인지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 게임 내적으로는 왈큐레 멤버 전원이 개별 어시스트 크루로 참전하고, 델타 소대 또한 같은 전투 그래픽을 유용 가능하다는 이점을 살려 전부 개별 기체로 참전.[14] VF-31 계열의 공통 기체 특수능력인 폴드 웨이브 시스템은 어시스트 크루에 왈큐레 멤버 중 한 명 이상이 편성되어 있어야 효과를 발휘한다. 변형은 잘려서 거워크와 배틀로이드 모드는 전투 연출 내부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3.16. 코드 기아스 부활의 를르슈 / 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 Ⅲ 황도

파일:슈로대y 코드기아스.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황력 2010년.

초강대국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은 인간형 병기 「KMF(나이트메어 프레임)」에 의한 압도적인 전력 차이를 바탕으로 일본을 침공, 전 국토를 식민지로 삼았다.

에어리어 11」이라 불리게 된 일본에 거주하던 를르슈는 수수께끼의 소녀 C.C.와 계약하여, 자신의 명령을 따르도록 강제하는 힘을 가진 「기아스」를 부여받는다.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의 제11황자인 자신을 정치 도구로써 이용한 제국을 증오한 를르슈는 천재적인 지략과 기아스의 힘을 이용하여 가면을 쓴 남자 「제로」로서 레지스탕스 조직인 「흑의 기사단」을 결성한다. 일본 독립의 기치를 내걸고 여동생 나나리의 평온과 자신의 복수를 위해서 브리타니아 제국에 반역을 개시한다.

예전에는 를르슈의 친구였으나 지금은 제국의 일원이 된 쿠루루기 스자쿠가 그들을 막지만, 흑의 기사단은 협력자를 모으고 세력을 확대하여 연합국가 「초합집국」을 건국한다.

이윽고 를르슈는 아버지 샤를과 의식체가 된 어머니 마리안느의 진정한 목적을 알게 되고, 세계를 다시 만들려는 야망을 저지하며 자신의 복수를 끝낸다.

를르슈는 모든 사실을 알고 동지가 된 친구 쿠루루기 스자쿠와 C.C.의 협력을 받아 브리타니아 제국을 강탈하여 황제 를르슈 비 브리타니아로서 즉위한다.

브리타니아의 체제를 전부 파괴하고 흑의 기사단과 손을 잡은 슈나이젤을 쓰러뜨려 세계를 정복한 뒤 폭정을 일삼아 세계의 증오를 자신에게 모았다.

그리고 전 세계 사람들이 주목하던 퍼레이드에서 제로로 분장한 스자쿠의 손에 의해 처단당한다. 세계정복부터 제로(=스자쿠)에게 숙청당하기까지의 일들은 전부 를르슈가 자신의 목숨을 희생할 것을 전제로 한 계획인 「제로 레퀴엠」이었다.

악의 상징이 되었던 를르슈의 처단으로, 세계는 증오에서 해방되어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제로 레퀴엠으로부터 1년이 지난 광화 2년. 세계는 초합집국을 중심으로 재편되어 평화로운 시기를 보내고 있었다.

하지만 난민 캠프를 시찰하러 온 세계 인도 지원 기관 명예 고문인 나나리와 흑의 기사단의 수석 고문 제로(=스자쿠)가 정체불명의 무장 세력에게 납치당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사건 해결을 위해 「전사의 나라」라 불리는 지르크스탄 왕국에 잠입한 카렌 일행은 의문의 기아스 사용자에게 습격당한다.

그곳에는 목숨을 잃었다고 여겨졌던 를르슈와 C.C.가 있었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皇暦2010年。
공식 소개문

3.17. 고질라: 싱귤러 포인트

파일:슈로대y 고질라sp.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2030년, 치바현 니가시오시.

동네 공장 오타키 팩토리에서 일하는 아리카와 윤은 유령 소문을 조사하는 의뢰를 받아 아무도 없는 저택으로 향한다.

한 편, 환상생물을 연구하는 대학원생 카미노 메이는 구 츠쿠노 지구 관리국 미사키오쿠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조사에 임하고 있었다.

서로의 존재를 모르는 두 사람은 서로 다른 장소에서 같은 노래[15]를 듣고, 괴수를 둘러싼 세계의 이변에 휘말린다.

갑자기 나타난 괴수에 맞서 윤은 오타키 팩토리의 사람들과 함께 로봇 제트 재규어로 대항하고, 메이는 파트너 인공지능 「페로2」와 함께 세계의 수수께끼에 다가간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2030年、千葉県逃尾市。
공식 소개문
  • 시리즈 첫 참전. 슈퍼로봇대전 X-Ω에서 3식 기룡, 신 고지라 등이 등장한 이래 최초로 가정용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 참전하는 고지라 시리즈 작품이기도 하다.
  • PV에선 원작 7화부터 등장한 무인형 제트 재규어고질라 울티마, 쿠몽가가 공개. 아라카와 윤을 포함한 오타키 팩토리의 구성원들은 오타키 팩토리 명의로 어시스트 크루로 참전하는 것이 확정되었고, 또 하나의 주인공인 카미노 메이와 페로2는 챕터 2 초반 제트 재규어가 합류하는 미션에서 잠시 등장.
  • 제트 재규어가 처음부터 AI 융이 이식된 상태로 등장하고, 무장으로 안기라스 토벌에 사용한 포경포나 안기라스의 뿔을 사용한 창을 들고 나온다. 이 때문에 4~6화의 안기라스 관련 에피소드는 생략되어 작중 등장인물의 언급으로만 대충 나온다.

3.18. SSSS.DYNAZENON

파일:슈로대y 다이나제논.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도립 후지요키다이 고등학교에 다니는 아사나카 요모기는 하굣길에 공복으로 쓰러져 있던 「괴수술사」를 자칭하는 수수께끼의 남자 가우마와 만난다.

그 다음 날, 거리에 돌연 괴수가 나타나고, 가우마는 거대 로봇 다이나제논을 불러낸다.

거기에 모여 있던 요모기, 반 친구인 미나미 유메, 괴수 소동을 듣고 구경하러 온 백수 청년 야마나카 코요미는 가우마와 함께 다이나제논에 탑승하게 되고, 코요미의 사촌 아스카가와 치세를 포함한 5명이서 괴수와 싸우게 된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都立フジヨキ台高等学校に通う麻中蓬は、学校の帰り道に空腹で倒れていた「怪獣使い」を名乗る男・ガウマと出会う。
공식 소개문
  • 시리즈 첫 참전. 전작 슈퍼로봇대전 30SSSS.GRIDMAN이 참전한 후 뒤이어 참전하는 GRIDMAN UNIVERSE 소속 작품으로, 본편의 DLC나 후속작을 통해 극장판 그리드맨 유니버스의 참전이 유력하게 점쳐진다.
  • 1, 2차 PV 공개 당시에는 주인공 기체인 다이나제논의 전투 애니메이션에 대해 불호가 많은 편이었으나, 제3탄 PV와 체험판 공개를 기점으로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필살기급 무장에 원작에 준거한 연출을 다수 집어넣었음이 밝혀져 호평하는 의견이 좀 더 많아졌다. 특히 초반부 필살기인 필소대화염 렉스 로어의 경우 다이나제논에서 다이나렉스로의 변형 합체 씬을 3D 모델링으로 거의 그대로 재현하여 큰 호평을 받았다.
  • 인물 그래픽의 경우 슈퍼로봇대전 30에서 케모노 프렌즈같다는 평을 받으며 호불호가 갈렸던 SSSS.GRIDMAN의 인물 그래픽과 달리 보다 본편 작화나 사카모토 마사루의 일러스트에 가까운 화풍으로 안정된 편. 원작에 있었던 다양한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스탠딩 일러스트가 준비되어 이 점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 또한 숨겨진 요소로 본작의 메인 빌런인 괴수 우생 사상이 아군화되며, 아메미야 아키라 감독이 직접 감수한 신규 오리지널 메카닉 다이나제논 리라이브가 등장한다.

3.19. DLC 참전 작품

3.19.1. DLC ①

  • 30의 DLC 참전작들과 달리 J9 팀, 후토, 패러다임 시티 전부 세계관에 원래부터 존재하던 것으로 설정되었다.

3.19.1.1. 은하선풍 브라이거

파일:슈로대y 브라이거.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태양계 전역에 인류가 진출한 시대.
범죄 조직 「커넥션」은 사회의 이면에서, 그 마수를 펼치고 있었다.

면도날이라는 별명을 가진 아이작블래스터 키드, 토바시야 보위, 엔젤 오마치와 함께 엄청난 보상을 대가로 악을 토벌하는 해결사 코스모 레인저 J9을 결성한다.

그들은 브라이 싱크론 이론에 의해 변형, 거대화하는 브라이거를 몰고, 별들을 무대로 삼아, 여러 적과 싸워 나간다.

그리고 모습을 드러내는 가장 큰 적, 누비아 커넥션의 카멘카멘.
J9은, 태양계를 재창조하는 카멘의 야망 「대 아툼 계획」에 맞서 간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太陽系全域に人類が進出した時代。
공식 소개문

3.19.1.2. The Big-O

파일:슈로대y 빅오.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기억을 잃어버린 도시 「패러다임 시티」.
40년보다 전에 일어난 기억(메모리)이 사라진 도시에는 네고시에이터(교섭가) 로저 스미스가 있었다.

일어나는 여러 가지 트러블을 안드로이드 도로시와 함께 탁월한 언변과 행동력으로 해결해 나가는 로저. 상대가 폭력을 행사할 때, 로저는 검은 메가데우스 BIG-O에 탑승하여 힘에는 힘으로 화답한다.

나날의 의뢰 속에서, 로저는 패러다임 시티의 기억(메모리)의 수수께끼에 다가간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記憶喪失の街「パラダイムシティ」。
공식 소개문
  • 제3차 슈퍼로봇대전 Z 천옥편, 슈퍼로봇대전 X-Ω 이후 10년 만에 재참전.
  • Big-O의 전투 애니메이션 연출은 전반적으로 최근작인 천옥편의 연출을 부분적으로 버전업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격투에는 울트라맨 시리즈의 패러디를 담았던 TV판 1기 오프닝[17]을 오마주한 연출이 사용되었다.
  • 2ND SEASON은 참전하지 않기에 해당 시즌에서 나온 무장인 O 썬더와 파이널 스테이지는 사용하지 못한다.
  • 설정을 전부 구현하면 본편의 세계관과 충돌이 불가피한 패러다임 시티는 단순히 로저의 출신지로만 언급되며, 메모리 관련 설정은 패러다임 시티는 과거가 없는 신기한 도시라는 정도로만 축소되었다. 이에 따라 패러다임 시티 안에서만 스토리가 진행되었던 빅오 본편과 달리 로저가 원래부터 전 세계를 무대로 활약하였다는 식으로 설정이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스토리 전개도 세계관이나 설정 위주로 이루어진 슈퍼로봇대전 Z 시리즈와 달리 로저의 해결사적인 면모에 집중한 슈퍼로봇대전 D에 가까워졌다.
  • R. 도로시 웨인라이트는 Z 시리즈와 달리 서브 파일럿이 아닌 어시스트 크루로 등장. 이로 인해 본작에서의 도로시는 보이스가 없다.
  • 적으로는 제이슨 벡벡 빅토리 디럭스를, 슈바르츠발트Big Duo를 탑승하고 등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3.19.1.3. 극장판 후토탐정: 가면라이더 스컬의 초상

파일:슈로대y 후토탐정.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히다리 쇼타로는 탐정 스승인 나루미 소우키치와의 만남과 이별에 대해 이야기한다.

일찍이, 바람의 도시「후토」에서 가이아 메모리를 사용하는 괴인 도펀트가 암약하기 시작했을 무렵, 소년 쇼타로는 소우키치의 등을 쫓아 탐정 조수로서 일하고 있었다.

소우키치는 탐정 일 이외에도 가면라이더 스컬로 비밀리에 활동하고 있었는데, 그런 그에게 하나의 의뢰가 들어온다.

의뢰를 받은 소우키치는 의문의 조직 「뮤지엄」의 시설로부터 소년을 구출해, 필립이라고 이름 붙이지만, 흉탄에 쓰러지고 만다.

의뢰인으로부터의 「비장의 패」를 쇼우키치에게 전달하기 위해, 그 흔적을 쫓고 있던 쇼타로는, 실의 속에서 만난 필립과 함께 가면라이더 W로 변신해, 소우키치의 의지를 계승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들은 소우키치의 딸 나루미 아키코와 함께 나루미 탐정 사무소를 이어받아, 후토의 평화를 지키며 싸우고 있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左翔太郎は、探偵の師匠である鳴海荘吉との出会いと別れについて語る。
공식 소개문
  • 시리즈 첫 참전.[18]
  • 유닛으로는 가면라이더 스컬, 가면라이더 W, 가면라이더 액셀이 참전. 명의는 극장판이지만 더블의 히트 메탈 폼이나 액셀 등 TV판 후토탐정의 요소 또한 반영되어 있다.
  • 슈퍼로봇대전 Y의 모든 참전작을 통틀어서 상영된 연도가 본작 발매 이전 1년 전인 2024년으로 가장 최신작에 속하게 되었다.
  • 원작 만화의 히로인인 토키메가 어시스트 크루로 참전. 나루미 아키코는 인터미션에서만 등장한다.
  • 인게임 BGM은 극장판의 BGM이 아닌, TV판의 삽입곡인 W-G-X W Goes Next 1곡만 수록된다.
  • W, 액셀의 강화폼인 팡조커[19]와 액셀 트라이얼&부스터, 최종폼인 사이클론조커 엑스트림(사이클론조커 익스트림)은 등장하지 않는다.
  • 후토 자체는 설정상 존재하나 마을이나 MUSEUM은 등장하지 않는다.
  • 전지구상과 우주가 배경이 되는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스토리에 맞추기 위해, 쇼타로, 필립, 테루이가 전부 개별적인 사정으로 후토 밖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식으로 각색되었다.
[ 스포일러 ]
* 나루미 소우키치는 본편의 시간대 상 이미 사망하여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등장하지 못하기에, 평행세계의 인물로 설정되었다.

3.19.2. DLC ②

3.19.2.1. 강철 지그

파일:슈로대y 지그.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사마대왕국의 부활을 감지한 아버지 시바 센지로에게 사이보그로 개조된 시바 히로시는 강철 지그로 빌드업하는 힘을 손에 넣었다.

히로시는, 스스로의 의식을 컴퓨터에 이식해 머신 파더가 된 센지로, 파트너 미와와 함께 사마대왕국에 맞선다.

사마대왕국의 여왕 히미카를 물리친 히로시의 앞에 새로운 적 용마제왕이 나타난다.

히로시는 머신 파더의 고귀한 희생을 딛고 용마제왕을 쓰러뜨려, 평화를 지켜내는 것이었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邪魔大王国の復活を察知した父・司馬遷次郎にサイボーグに改造された司馬宙(ひろし)は鋼鉄ジーグへとビルドアップする力を手にした。
공식 소개문

3.19.2.2. 전설의 용자 다간

파일:슈로대y 다간.webp
[ 소개문 펼치기 · 접기 ]
초등학생 타카스기 세이지는 플래닛 에너지가 만들어낸 용자 다간과 만난다.

지구의 생명력 「플래닛 에너지」를 노리는 우주로부터의 침략자에 맞서, 세이지는 용자들의 대장이 되어, 그들과 함께 적과 맞서 간다.

부모에게도 친구에게도 정체를 밝히지 못하는 가운데, 세이지는 때로 고민하고, 때로는 상처받으면서도, 다간 일행과의 유대를 돈독히 하며, 악의 손으로부터 지구를 지키기 위해 계속 싸우는 것이었다.
[ 원문 펼치기 · 접기 ]
小学生の高杉星史は、プラネットエナジーが生み出した勇者ダ・ガーンと出会う。
공식 소개문

3.19.2.3. 다이나믹 프로 오리지널: 겟타로보 칠흑의 표류자

<nopad> 파일:겟타느와르 1호기.webp 파일:겟타느와르g.webp
겟타 누아르 1호기 겟타 누아르 G
  • 가정용 첫 참전.
  • 유닛으로는 겟타 누아르 1호기와 합체 형태인 겟타 누아르 G가 참전. 전작 슈퍼로봇대전 30극장판 신카리온처럼 후속기를 별개의 유닛으로 취급해 5개 유닛 중 두 자리를 차지한다. 누아르 G 상태에서 하야토와 무사시가 서브 파일럿으로 합류하지만 2호기와 3호기는 미구현.

[1] 작중 설명으로는 그들에게 지구의 인류는 은하 밖으로 나가는걸 겁내는 겁쟁이들로 보인다고 한다.[2] 여지껏 2부 스토리를 재현한 작품은 슈퍼로봇대전 IMPACT와 그 원작인 슈퍼로봇대전 컴팩트 2, 슈퍼로봇대전 스크램블 커맨더 2 정도밖에 없었다.[3] 알파 시리즈에서 라이오다이라이오, 슈퍼로봇대전 T에서 가오가이가를 담당한 전투 애니메이션 연출가.[4] 이 중 샌드록은 슈퍼로봇대전 X에서 크로스본 건담을 담당한 연출가로 바뀌어 연출이 깔끔하게 리뉴얼 되었다. 나머지는 기존 담당자의 색이 짙어 평가가 좋지 못했으며, 그 와중에 윙 제로는 천옥편에서 등장한 트윈 버스터 라이플 3연사도 잘려서 빈축을 들었다.[5] 2차 PV의 건담 데스사이즈 헬 3차 PV에서 공개된 톨기스 III, 체험판 1화에서 스팟 참전한 알트론 건담 등.[6] 원작의 오퍼레이션 퓨리 파트에서 키라가 스트라이크 프리덤에 타고 대기권으로 강하하는 장면이 모티브.[7] 1화 "마녀와 신부"에서 12화 "도망치기보다는 전진하기를"까지의 분량.[8] 오리지널판의 숄더 슬라이서에 대응하는 카이저 블레이드 두 자루를 쥔 팔을 사출해 암흑대장군의 검을 튕겨내는 장면.[9] 암흑대장군의 경우 성우마저 사투 암흑대장군 버전과 동일한 고 이이즈카 쇼조이기 때문에 라이브러리 음성 활용이 가능했다.[10] DD 에서 먼저 참전한 바 있다.[11] 전작 슈퍼로봇대전 30에서 겟타로보 Devolution 계열을 담당한 스기우라 토시아키로 추정.[12] 특히 썬더 봄버의 경우에는 기본 사용용과 맵병기용의 연출이 다르다.[13] 하야테 임멜만의 VF-31J 슈퍼 지크프리트가 제3탄 PV에서 공개되었다. 그러나 일본판 PV에서만 어째서인지 VF-31J改 사양으로 공개되어 후반부에 도색을 선택하는 선택지나 숨겨진 조건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14] 다만 이 과정에서 전체적인 연출들의 차이점이 딱히 없다는 단점이 지적되는 편. 기본 VF-31 시리즈는 배리어블 컴뱃의 마무리 연출을 제외하면 모두 다 재탕이다. 그나마 하야테의 VF-31F은 기본 VF-31의 연출을 유용하면서 새 연출을 추가해서 사정이 좀 낫다.[15] 본편의 삽입곡이자 스토리의 핵심 설정 중 하나인 ALAPU UPALA를 지칭한다.[16] 슈퍼로봇대전 α 외전 브라이거가 참전했던 전작들에는 멀쩡하게 수록되었는데, NEO부터 이어져서 누락된 이유는 불명. 일설로는 J9 시리즈의 신작으로 예정됐던 은하신풍 진라이거 제작 당시 음악 담당인 야마모토 마사유키[20]불화로 인해 음원 사용권을 얻지 못했다는 이야기도 있다.[17] 저작권 문제로 인해 재방영 시에는 다른 곡으로 바뀌었다.[18]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 처음으로 참전하는 가면라이더 시리즈 미디어믹스 작품이기도 하다.[19] 팡조커는 해당 극장판 시점에서 처음 등장했던 강화폼인데도 등장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