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등장작품 · 아군부대 · 사기유닛 · 사기유닛(휴) · 보스 · 평행우주 · 음악 · 더미 데이터 | |
<colbgcolor=#000042> DC 전쟁 시리즈 | <colbgcolor=#ffffff,#2d2f34> 2차 · 2차 G · 3차 · EX · 4차 · 4차 S · 마장기신 · F · F 완결편 · 컴플리트 박스 · 전시대백과 | |
α 시리즈 | 1차 · 외전 · 2차 · 3차 | |
Z 시리즈 | 1차 · 스페셜 · 2차 파계편 · 2차 재세편 · 3차 시옥편 · 3차 천옥편 | |
OG 시리즈 |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 | |
COMPACT 시리즈 | 1편 · 2편 · 3편 · IMPACT | |
에이아이 휴대용 시리즈 | | |
멀티플랫폼 뉴 시리즈 | V · X · T · 30 · Y | |
거치형 3D 시리즈 | | |
스크램블 커맨더 시리즈 | SC · SC2 | |
모바일 시리즈 | 모바일 · CC · X-Ω · DD(3차 어나더) | |
그 외 | 1차 · 신 · 스피리츠 · 64 · 링크 배틀러 · 핀볼 · MX · OE · 학원 | |
관련 작품 | 콤파치 히어로 시리즈 · 배틀로봇열전 · 리얼로봇전선 · 리얼로봇 레지먼트 · A.C.E. 시리즈 | |
시스템 | 강화 파츠 · 성장 타입 · 성격 · 맵병기 · 합체공격 · 소대 시스템 · 정신 커맨드 · 신뢰보정 · 스킬 · 특수능력 · 범용 무기 |
슈퍼로봇대전 Y スーパーロボット大戦Y | Super Robot Wars Y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개발 | 반다이 남코 포지 디지털즈 |
유통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플랫폼 | Switch | PS5 | Windows |
ESD | 닌텐도 e숍 | PS Store | Steam |
장르 | SRPG |
출시 | 2025년 8월 28일 |
엔진 | 유니티 |
한국어 지원 | 자막 지원 |
심의 등급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colbgcolor=#fff,#1c1d1f> 눈 앞의 파멸과 몰려오는 재앙―(右は災厄、 左は破滅―[1]) 숙명을 넘어서라, 강철의 [ruby(수호자, ruby=가디언)]!(宿命を越えろ、鋼の[ruby(守護者, ruby=ガーディアン)]) - 슈퍼로봇대전 Y 캐치프레이즈 |
1.1. 주제가
주제가 「反撃 Fight Back!(반격 Fight Back!)」 |
2. 발매 전 정보
발매 안내 트레일러 |
|
발매일 발표 트레일러 |
2025년 4월 20일, 슈퍼로봇대전 정보국 방송의 1부로 본작의 추가 정보와 더불어 발매일도 공개되었다. 개발은 30 발매 직후 시작했으나 30 이후 4년 동안 정보가 없던 이유는 앞으로의 시리즈의 원활한 개발을 위해 게임 엔진을 교체했기 때문이라고 한다.[6]
2025년 5월 20일, 슈퍼로봇대전 Y 정보방송이 진행되었다.
적 세력 소개 트레일러 |
2025년 6월 21일과 22일, 일본에서 1차 정식 시연회가 개최되었다. 22일 엠바고가 풀려 공개된 후기 정보에 따르면 시연회에 토마 코우타(戸澗 宏太) 프로듀서와 나구라 마사히로가 등단해 개발자 토크와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으며, 룬드라헤의 전투 애니메이션 콘티와 라이징 건담, 랜슬롯 SiN의 프레임 코트 등 몇몇 유닛의 미공개 전투 애니메이션을 공개하였다.
1차 시연회로부터 2주 뒤인 7월 5일과 6일에 2차 시연회가 개최되었다. #
2025년 7월 16일, JAM Project의 새 앨범 THE FINAL COUNTDOWN이 공개되면서 해당 앨범에 수록된 주제가 반격 Fight Back!(反撃 Fight Back!)의 풀 버전이 공개되었다.#
2025년 7월 24일, SHOWROOM에서 격주 목요일마다 방송되는 마크로스 시리즈 공식 생방송 「마크로스가 멈추지 않아」[7]에서 마크로스 Δ 관련 요소 일부를 선행 공개, 멧서 일레펠트와 보그 콘 바르트 등의 스탠딩 이미지, VF-31F 지크프리트와 적 유닛인 SV-262의 전투 애니메이션 일부 등이 공개되었다.# 방송 아카이브는 7월 31일부터 8월 14일까지 2주 간 일본 유튜브 한정으로 공개.
2025년 7월 31일,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다이나제논의 추가 전투 애니메이션 일부[8]와 교문작자괴수 가규라의 전투 그래픽이 공개되었다.#
2025년 8월 5일, 전격 온라인, 인벤 등의 공식 유튜브를 통해 펀엑스포와 일본 시연회 등에 사용된 체험판 사양의 영상이 공개되었다.인벤 빌바인의 오라베기, 라이딘의 에너지 커터, 제트 재규어의 포경포 및 안기라스의 창 등의 전투 애니메이션 연출이 추가로 공개.
체험판 트레일러 |
2025년 8월 8일, 제3탄 PV 공개에 맞춰 체험판이 공개되었다. 챕터 1(4화 분량)까지만 플레이 가능한 사양. 스팀판은 30때처럼 언패킹의 위험성 때문에 체험판이 제공되지 않으며, 그 대신에 체험판 클리어 특전을 기본 사양으로 제공한다.
3. 시스템 요구 사항
<rowcolor=#fff,#e0e0e0>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colbgcolor=#000,#010101><colcolor=#fff,#e0e0e0> 운영 체제 | Windows 10 / Windows 11 | |
CPU | Intel Core i3-8100 / AMD Ryzen 3 3100 | |
RAM | 8GB | |
그래픽카드 | Nvidia GeForce GTX 650 Ti 1GB AMD Radeon HD 7770 2GB Intel Arc A310 4GB | Nvidia GeForce GTX 650 Ti 1GB AMD Radeon HD 8950 3GB Intel Arc A380 6GB |
API | DirectX | DirectX |
저장 공간 | GB 이상 | GB 이상 |
4. 스토리
지구…… 은하계 변경에 위치한 격동의 역사를 걸어온 혹성. 성간전쟁에 휘말려, 한 번은 멸망의 위기를 경험한 지구 인류는 부흥을 이루어냈을뿐만 아니라 고작 반세기만에 그 씨앗을 은하계에 퍼뜨렸다. 한편 지구에 남은 자들은 그 뒤에도 항상 싸움과 함께했다. 인류 이외의 지적 생명체와의 싸움, 이성에서 찾아온 침략자와의 싸움, 그리고 인류간의 싸움……. 하지만 전쟁의 역사는 수많은 희생을 치루면서 마침내 끝을 고하였다. [ruby(혁명전쟁, ruby=레볼 워)]…… 사람들에게 혁신을 촉구한 이 싸움의 종결로 세계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한다. 전쟁과 증오로 가득한 나날은 끝나고, 희망과 평화가 도래하려 하고 있었다. 하지만, 싸움은 끝나지 않았다. 미래와 과거가 교차하는 현재, 선택을 강요받는 지구 인류. 기동요새도시 에어던트와 그 소유자 에치카 Y 프랑버넷…… 그리고 전사들은 그 갈림길에 서게 된다. |
5. 참전 작품
* 용자 라이딘
| |
* ★…시리즈 최초 참전 작품
|
- 용자 라이딘이 2023년 슈퍼로봇대전 DD에 중도 참전하고 2년만에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 재참전한다. 가정용 작품으로 국한하면 슈퍼로봇대전 스크램블 커맨더 2로부터 약 18년만에 참전하는 것.
- 성전사 단바인과 중전기 엘가임이 동시에 참전하는 것은 2013년 PSP로 다운로드 전용 타이틀로 판매했던 슈퍼로봇대전 OE 이후 13년 만이다. 실물 매체로 판매했던 타이틀로 범위를 한정하면 1999년 원더스완으로 발매됐던 슈퍼로봇대전 컴팩트 이후 26년 만이다. 단바인 OVA인 New Story of Aura Battler DUNBINE까지 동시에 참전하는 것은 윙키 시절인 제4차 슈퍼로봇대전 이후로 30년 만이다.[10][11]
- 콘솔판 슈퍼로봇대전에서 기동무투전 G건담과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가 동시 참전하는건 2002년에 나온 슈퍼로봇대전 R 이후 23년만이다.[12] 또한 G건담이 슈퍼로봇대전 T에 재참전할때까지 상당히 긴 공백 기간이 있었기에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와 콘솔판 슈로대에 동시 참전하는것은 이번 Y가 처음이다.[13]
- 가정용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중에서 단독 참전작 중 비우주세기 참전작[14]이 4개로 비우주세기 참전작이 최초로 우주세기 참전작보다 다수 참전한 작품이 되었다. 반대로 신 슈퍼로봇대전[15]처럼 우주세기 참전작이 적은 작품이기도 하다.[16]
- 마징카이저 사투! 암흑대장군은 2010년에 나온 슈퍼로봇대전 L 이후 15년만에 콘솔판 슈퍼로봇대전에 재참전했으며 캐릭터 보이스가 있는 콘솔판 슈로대 기준으로는 최초 참전이다.
- 마크로스 시리즈가 콘솔판 기준으로 약 10년만에 재참전하게 되었다. Y 이전에 마지막으로 참전했던 작품은 2015년에 발매되었던 슈퍼로봇대전 BX에 참전한 마크로스 30이며, 해외 진출작에서 마크로스 시리즈가 참전하는 것은 이번 Y가 처음이다.[17]
- 참전작의 경우 극장판 마크로스 Δ 절대LIVE!!!!!!,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2기, 그리드맨 유니버스, 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 기동전사 건담 UC 등 스토리가 이어지는 속편들이 노골적으로 배제되었다.[18] 때문에 일각에서는 공식 사이트 주소가 34.suparobo.jp라는 점을 들여 35주년 기념으로 익년에 완전판을 발매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 다만 공식 방송에서 30 발매(2021년 10월) 이후 개발을 시작했다고 언급했으므로 단순히 개발 시기의 문제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참전 작품 중 가장 최신작인 수성의 마녀 시즌 1이 방영한 2022년을 기획의 데드라인으로 잡는다고 가정하면 마제스틱 프린스 극장판이나 절대 라이브는 DLC나 확장팩에서의 스토리 재현을 염두에 두고 본편 참전작에서 뺄 수 있지만, 2023년작인 수성의 마녀 시즌 2와 그리드맨 유니버스, 2024년작인 시드 프리덤은 Y를 한창 개발하는 도중에 방영 또는 개봉했을 것이기에 이들 작품을 스토리에 포함시키려면 부득이하게 후속작을 내야 한다는 것.
- 하지만 2025년 6월 하순 개최된 일본 1차 시연회 참가자의 후기에 따르면, 시연회에 등단한 프로듀서 토마 코우타와 시나리오 라이터 나구라 마사히로의 대담에서 이러한 의혹과 추측에 대해 언급하며 슈퍼로봇대전 Y의 스토리는 후속작이나 2부 없이 단독으로 완결하는 구성임을 공언했다고 한다.# 후속작 없이 단독 참전한 수성의 마녀 1기, 마크로스 델타, 다이나제논 등은 추후 시리즈 제작을 이어가기 위한 발판을 겸한다고.
- 사실 이번 시리즈에 유독 후속작이 존재하는 참전작이 많아서 그렇지 개발기간 도중 후속작이 나오거나 후속작이 한참 방영중인 기간에 출시하는 바람에 참전하지 못한 사례가 종종 있긴 했었다. 대표적인 사례로 건담 시드 데스티니가 한참 방영중인 시기에 나온 3차 알파가 있다.[19] 시드 데스티니는 이후 2007년 11월에 출시된 장르 자체가 다른 외전격인 스크램블 커맨더 2에서 첫 참전하게 되고, SRPG인 본가 시리즈는 2008년 9월 1차 Z에서 처음 참전하게 된다. 신 슈퍼로봇대전에서는 기동무투전 G건담이 완결되고 신기동전기 건담W이 막 방영되고 있던 시점이라 도몬은 최종 기체가 갓건담이었지만 히이로는 강화형이나 후속기체 없이 윙건담으로 끝까지 가야만 했다.
5.1. 스페셜 참전 기체
- 마징카이저(다이나믹 기획 오리지널)
특이하게도 마징카이저 사투! 암흑대장군이 참전작에 있지만 정작 마징카이저는 OVA 버전이 아닌 슈로대 오리지널 버전인 다이나믹 프로 오리지널 소속으로 등장. 굳이 다이나믹 기획 오리지널 명의 참전한 것으로 보아 슈퍼로봇대전 DD에서 그랬던것 처럼 마징엠페러 G가 등장하는 것은 확실시 되고 있었다.[20]
이외에도 케도라 또한 등장했는데 진 마징가 충격! Z편의 초록색상의 케도라가 아닌 살구색으로 등장한 것으로 보아 유저들은 이시카와 켄의 단편만화 "미케네 제국의 유산"[21]에 나온 오리지널 케도라인 것으로 추측되는데 실제로 마징카이저 OVA에도 출연한적이 있는 가라다블라가 미케네 제국의 유산에서 케도라와 함께 처음 등장했고 마징가 Z에도 기생한적이 있었기에 이에 엮여서 등장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에 있다.
- 마징엠페러 G(다이나믹 기획 오리지널)
3탄 PV를 통해 참전이 확정되었다. 파일럿은 기존 콘솔판에서 탑승하던 진 마징가 충격! Z편 기반이 아닌 DD와 동일한 마징카이저(OVA)의 테츠야.
- 다이나제논 리라이브(SSSS.DYNAZENON)
마징엠페러 G와 마찬가지로 3탄 PV를 통해 첫 공개된 괴수 우생 사상이 탑승하는 또 하나의 다이나제논. 아메미야 아키라 감독의 제안으로 원본 다이나제논을 디자인한 노나카 히로시가 새로 디자인한 바리에이션으로, 조건을 충족해야 참전하는 숨겨진 기체라고 한다.
5.2. 추가 참전 작품(DLC)
패키지판 조기 구입, 다운로드판 예약 공통 특전 | |
<rowcolor=#fff> DLC ① ~어둠으로부터의 의뢰~ | DLC ② ~각성하는 혼~ |
* 추가 플레이어블 기체: 5기체
| * 추가 플레이어블 기체: 5기체
|
DLC ① & ② 구입 특전 | |
* ★…시리즈 최초 참전 작품
|
- 쇼와 시절의 작품의 경우 70년대 작품과 80년대 작품이 한 작품씩 출전했는데 1975년 작품인 강철 지그는 2005년의 3차 알파 이후로 정확히 딱 20년만에 본가의 작품에 참전하였고[25] 모바일 전용의 외전으로 만들어진 2019년의 슈퍼로봇대전 DD에서 중도 참전한 이후로 6년만에 재참전을 하게되었다. 그리고 1981년 작품의 은하선풍 브라이거의 경우에는 2009년의 슈퍼로봇대전 NEO 이후로 무려 15년만에 재참전을 하였다.[26] 거기다 2D 슈로대로 따지면 알파 외전을 마지막으로 24년만의 재참전이다
- 90년대 작품의 경우 The Big-O가 2015년에 모바일로 나온 슈퍼로봇대전 X-Ω에 중도참전한 이후 10년만에 재등장하게 되었다. 콘솔 참전의 경우에는 당시 같은 년도에 발매했던 제3차 슈퍼로봇대전 Z 천옥편이 최근이었다.[27]
- 전작 슈퍼로봇대전 30의 ULTRAMAN 애니메이션에 이어 특촬 원작 애니메이션인 극장판 후토탐정: 가면라이더 스컬의 초상이 참전하였다.[28]
- 다이나믹 프로 오리지널 기체인 겟타 누아르의 참전 명의인 겟타로보 칠흑의 표류자는 모바일판 슈로대인 X-Ω와 DD에서만 참전한 이래 본 작으로 시작으로 콘솔 슈로대에 최초로 참전하게 되었다.
- 한국 팬들에게 인지도가 높은 작품인 전설의 용자 다간이 이번에 DLC ②로 출시됨에 따라서 슈로대에 데뷔하게 되었다.[29] 전작인 30에서 용자경찰 제이데커가 참전한 이후 이번 작품에서는 용자 시리즈의 정식참전이 전혀 없었는데 이번에 다간이 참전함으로써 한국 팬들을 깜짝 놀라게 하였다.[30][31]
- 이외에도 예약 특전 및 DLC 구입 특전으로 V, X, T의 오리지널 캐릭터들이 추가로 참전한다.
- 다간과 가면라이더 W의 경우, 본편 참전작과 설정적으로 엮여도 어색하지 않다보니 원래는 본편 참전작으로 기획되었으나 스토리가 쓸데없이 난잡해져 DLC 참전작으로 변경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기도 했다.#
- 2025년 4월 21일 방송에서의 DLC 관련 내용에 따르면 이번 슈퍼로봇대전 Y에서의 DLC는 시나리오 구성에 신경썼으며 각 DLC마다 테마가 있고 그에 따른 참전작들을 생각했다고 한다.[32] 그리고 각 스토리가 완결되도록 독립된 오리지널 컨셉을 개발중이라고 한다.
6. 오리지널 등장인물
6.1. Yz넥스트
오리지널 주요 네임드 캐릭터의 디자인은 슈퍼로봇대전 X-Ω와 슈퍼로봇대전 V의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한 와타나베 와타루(渡邉亘)가 담당했다.본작도 V부터 30까지의 전례를 따라 남성/여성 주인공과 또 다른 주인공 3인 체제를 그대로 따라가고 있다. 또한 츠키노와 크로스와 포르테는 V의 주인공 콤비 무라쿠모 소지와 키사라기 치토세처럼 성이 앞에 오고 이름이 뒤에 가는 동양식 표기법을 따르고 있는데, 게임을 시작할 때 동양식으로 성-이름으로 갈지, 서양식으로 이름-성으로 갈지 선택할 수 있다.
6.1.1. 주요 인물
|
츠키노와 크로스 CV. 후카가와 카즈마사 일본의 전통적 첩보원인 닌자를 원류로 삼는 특수 전투원 「NINJA(New Infinity Neuron – Japanese Assassin)」이며, NINJA 집단 「특전은밀 오보로」의 헤드. 21세, 남성. 임무 수행을 최우선시하며, 임무를 위해서라면 사적인 감정을 모두 버릴 각오를 지니고 있다. 임무 수행에 필요하다면 자기 자신조차 속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주변 사람들은 냉정 침착하며, 냉혹하고 비정하다고 여기고 있다. 오보로 사상 최강의 NINJA로 평가되며 인기와 인아의 실력뿐만 아니라 기동인개 조종에서도 압도적인 힘을 보인다. 자기 육체와 정신을 완벽하게 컨트롤하고 있으며, 온갖 독극물에도 높은 내성을 지녔다. |
|
츠키노와 포르테 CV. 야마네 아야 일본의 전통적 첩보원인 닌자를 원류로 삼는 특수 전투원 「NINJA(New Infinity Neuron – Japanese Assassin)」이며, NINJA 집단 「특전은밀 오보로」의 대원. 17세, 여성. NINJA로서의 경험이 적고 모든 면에서 미숙하기는 하지만 타고난 밝은 성격으로 어려움에 맞서 나간다. 소질은 있는 편이지만 이를 끌어낼 경험과 기량이 부족한 덕에, 단독 임무 수행은 불안하게 여겨졌으나, 헤드인 츠키노와 크로스의 결정으로 에치카 Y 프랑버넷 호위 임무를 맡았다. |
|
에치카 Y 프랑버넷 CV. 이와미 마나카 야가미시 지주의 딸. 14세, 여성. 부모를 여의였으며 야가미시의 넓은 저택에서 가정교사 아니나와 99명의 메이드와 함께 지냈다. 학교는 다니지 않았지만, 아니나에게 장래에 통치자가 되기 위한 다양한 교육을 받았다. 이는 정치 경제뿐만 아니라 군사 분야까지 포함하고 있다. 무슨 일이든 최선을 다하는 착실한 성격이며, 승부욕이 센 면도 있다. 타인을 대할 기회가 적었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조금 서툴지만 친한 상대에게는 나이에 걸맞는 아이다운 모습도 보인다. |
|
아니나 셀바니아 CV. 사토 리나 에치카의 가정교사. 27세, 여성. 3년 전부터 저택에서 에치카와 함께 지내며 통치에 필요한 각종 교육을 해 왔다. 이전에는 에치카의 부친인 야가미 테츠로의 조수였으며, 야가미가 사고로 사망한 뒤 그의 유언에 따라 에치카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박식하고 사려 깊으며 언제나 미소를 잃지 않는 온화한 여성이지만, 주변 분위기에 무관심해 이따금 뜬금없는 언동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에치카를 누구보다 잘 이해해주며 에치카도 아니나에게 전폭적인 신뢰를 보내고 있다. |
|
노비 디켄스 CV. 마츠야마 타카시 전 신지구연방군 군인. 48세, 남성. 군인 시절 계급은 중령이었으며, 함장으로 복무했으나 스스로 퇴역을 선택하고 자유로운 삶을 보내고 있었다. 자유분방하고 책임을 싫어하는 언동 때문에 얼핏 보면 무책임한 사람으로 보이지만, 최소한의 윤리와 도덕은 갖추고 있다. 그리고 보상을 가장 중요한 행동 원리로 삼고 있으나 사실 금전에 대한 집착은 적다. 애연가였지만 퇴역한 뒤에는 미나에게 잔소리를 듣고 흡연을 삼가고 있다. |
|
미나 나라이브 CV. 나나오 카린[33] 전 신지구연방군 군인. 18세, 여성. 이전부터 노비의 부하였으며, 그가 지휘하는 배의 우수한 오퍼레이터였다. 퇴역한 노비를 따라 제대한 뒤, 그와 함께 행동하며 그의 칠칠치 못한 사생활을 보살펴 왔다. 고지식한 성격 탓에 부당한 일을 용납하지 않으며, 과거의 경험 때문에 권력자에게 사나운 태도를 보인다. |
6.1.2. 그 외
- 렌렌
정비반 메이드장. 빨간색의 긴 생머리를 하고있으며 메카닉에 관한 것이라면 모르는게 없다. 로봇에 대한 수리나 각 기체의 대한 모든 것을 담당하고 있다.
- 아이티
정보반 메이드장. 정보전과 첩보전에 능통하며 백발의 단발머리에 안경을 썼으며 정보수집과 관련된 임무를 맡고있다.
- 쿠킨
생활반 메이드장. 전함의 가사를 책임지는 노란색 만두 머리의 메이드로써 전함 크루들의 전체적인 보급 임무 및 비상시 시민들의 대피를 돕는 업무를 하고있다.
6.2. 적대 세력
|
레 세이바스 CV. 스즈키 료타 에어던트를 노리는 수수께끼의 조직에 소속된 인물. 자유를 사랑하는 쾌활한 성격으로 임무의 범주를 넘어 에어던트에 관심이 있다. 높은 전투력을 자랑하며 맨몸으로도 NINJA를 능가하는 힘을 보여준다. |
- 스포일러 주의
- * 범성간 제국 라 발
- 루 네그시스
세이바스와 동행하는 수수께끼의 중년 남성. 미래를 올바르게 이끈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웡 윤파, 로드 지브릴, 드레이크 루프트, 올도나 포세이달, 로이드 브렘 등 지구와 에어던트를 노리는 수많은 인물들과 수면 하에서 접촉하며 암약한다. 챕터 2 말미 "아마노 네그시스"라는 이름으로 에어던트에 잠입해 대표 선거에 출마하나, 에치카 Y 프랑버넷이 정식 대표로 임명되면서 세이바스와 함께 후퇴한다. 챕터 3 말미에 NOAHS의 창설과 함께 밝혀진 그의 정체는 범성간제국 라 발의 필두참모 『천현』. 안드로메다 유국, 명제연합 등과 접촉하여 NOAHS와 불가침 조약을 맺는 등 여전히 수면하에서 암약하는 모습을 보인다. - 레 시스티스
- 라 바르벨름
- 루 네그시스
6.3. 그 외
- 에드 스트라디오
혁명전쟁 이후 재편된 신지구연방의 마지막 대통령이자 신연방 해체 후 설립된 국제기구 신국제연합의 사무총장. 챕터 1 말미에 혁명전쟁 이후 격동하는 세계 정세 속에서 신지구연방을 해체하고 신국제연합을 창설, 성간전쟁 이전처럼 국가 단위의 체제로 돌아갈 것을 선언했다.
7. 오리지널 등장기체
7.1. Yz넥스트
|
룬드라헤 특전은밀 오보로의 헤드용 기동인개. 유연한 프레임과 인공 근육을 사용한 구동 시스템을 통해 유례없이 높은 운동 성능을 자랑한다. 조종에는 탑승자의 신체 동작과 각종 조작의 조합을 통한 세미 슬레이브 시스템을 채용하였으며, 매우 섬세하게 만들어졌다. 그에 더해 기체와 탑승자는 신경 접속이 되어 있어 대미지도 피드백되며, NINJA로서 훈련받은 자가 아니면 걸음을 떼는 것조차 어렵다. 등에 장비된 머플러형 파츠를 나노 머신의 집합체로, 공격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매복이나 현혹 등 전술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한다. 헤드용 커스텀기인 룬드라헤는 양산형 몬트와는 다른 동력 기관이 탑재돼 있어 폭발적인 출력을 지녔다. 또 「룬드라헤」라는 이름은 대대로 오보로의 헤드가 사용하는 머신에 붙는 이름으로, 현 헤드용 룬드라헤는 헤드의 코드네임에 따라 정식 명칭은 「X(크로스) 룬드라헤」라고 한다. |
|
룬드라헤 II 특전은밀 오보로의 헤드용 기동인개 「룬드라헤」의 예비 파츠로 만들어진 2호기. 유연한 프레임과 인공 근육을 사용한 구동 시스템을 통해 유례없이 높은 운동 성능을 자랑한다. 조종에는 탑승자의 신체 동작과 각종 조작의 조합을 통한 세미 슬레이브 시스템을 채용하였으며, 매우 섬세하게 만들어졌다. 그에 더해 기체와 탑승자는 신경 접속이 되어 있어 대미지도 피드백되며, NINJA로서 훈련받은 자가 아니면 걸음을 떼는 것조차 어렵다. 등에 장비된 머플러형 파츠를 나노 머신의 집합체로, 공격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매복이나 현혹 등 전술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한다. 헤드용 커스텀기인 룬드라헤는 양산형 몬트와는 다른 동력 기관이 탑재돼 있어 폭발적인 출력을 지녔다. 또 「룬드라헤」라는 이름은 대대로 오보로의 헤드가 사용하는 머신에 붙는 이름으로, 현 헤드용 룬드라헤는 헤드의 코드네임에 따라 정식 명칭은 「X(크로스) 룬드라헤」라고 한다. |
|
에어던트 도쿄도 산하 야가미시 지하에 건조된 기동 요새도시. 갑판 돔 안에 야가미시와 그 주변 도시가 수용되었다. 초장거리 이민선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주거 구역은 완전히 독립된 도시로서 기능한다. 주기관인 시스템 니라카나이는 도시를 가동하고도 남아날 만큼 막대한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으나, 그 기능은 블랙박스화되어 있어 온전히 제어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는 상황이다. 각종 무장도 장비돼 있어 니라카나이가 만들어내는 출력에 따라 높은 화력을 발휘하나, 전함으로서는 기동성이 부족해 전투력이 높지는 않다. 하지만 도시를 지키는 돔의 방어력은 파격적인, 주민의 안전이 최우선시된 설계다. |
오리지널 주인공 메카닉인 룬드라헤와 오리지널 전함인 에어던트의 디자인은 파이터 로아, 건레온, 팔 세이버 등을 담당한 메카닉 디자이너 M간지가 담당했다.
룬드라헤는 가슴에 수납된 수리검 '쌍룡아'와 전신에 수납된 쿠나이, 닌자도 '용조도' 등의 무기를 구사하는 닌자 테마의 기체. 남주인공인 크로스가 룬드라헤에, 여주인공인 포르테는 붉은색 색놀이 기체인 룬드라헤 II에 탑승한다. 드라이스트레가의 포지션을 계승하는 오리지널 전함인 에어던트는 마치 마크로스 시리즈의 이민선단을 연상케 하는 디자인이 특징으로, 실제로 설정상 야가미 시라는 도시를 통째로 이동요새화해 전함으로 운용하는 것이라고 한다.
7.2. 적대 세력
|
바이 루미나
|
8. 신규 시스템
|
- 어시스트 링크
전투에 직접 참가하지 않는(기체에 탑승하지 않는) 캐릭터가 후방에서 지원해주는 시스템. 전술 맵에서 사전에 편성해둔 어시스트 크루가 가진 「어시스트 커맨드」를 사용 시 어시스트 크루 고유의 전투를 유리하게 만들어주는 다양한 효과를 받을 수 있다. 「어시스트 커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대 전체가 공유하는 수치 「어시스트 카운트」가 필요하며 「어시스트 카운트」는 적을 격추 시 증가한다. 어시스트 크루는 미션을 클리어하거나 어시스트 커맨드를 사용하면 미션 클리어 시 경험치를 입수하며 랭크가 상승한다. 랭크가 상승하면 새로운 효과가 추가되거나 기존의 효과가 파워업하곤 한다. 랭크 4(최대치)까지 강화 시 효과가 강력해짐과 동시에 그래픽이 변화하고 어시스트 토크라는 시나리오 이벤트가 발생한다. 또한 각 어시스트 크루는 「RED」,「BLUE」,「GREEN」의 셋 중 한 가지 그룹에 속하며, 같은 그룹의 어시스트 크루를 3명 이상 편성하면 시너지 효과가 발생한다.
|
- STG 메모리 개방
메인 메뉴의 「STG 메모리 개방」에서는 미션 클리어 시 입수할 수 있는 MXP(미션 익스피리언스 포인트)를 소비하여 부대 전체에 메리트가 있는 다양한 효과를 획득 할 수 있다. STG 메모리는 3계통의 루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력한 메모리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직전의 루트부터 체워나갈 필요가 있다. 부대 랭크(기체 입수나 개조 등으로 상승하는 부대 전체의 평가)에 따라 새로운 루트가 확장되어 간다.
|
- AUTO 세이브
맵에서 「아군 페이즈 개시 시」와 미션 클리어 후 「전략 파트에 들어갔을 때」 등에서 AUTO 세이브가 이루어진다. AUTO 세이브로 저장된 진행 상황은 다른 세이브 데이터와 똑같이 슬롯에 저장되며 자유롭게 불러올 수 있다.
9. 수록 BGM
작품 | bgm |
기존 참전작 | |
용자 라이딘 | 신과 악마 적 출현~페이드 인 |
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 | 컴배틀러 V의 테마 |
성전사 단바인 | 단바인 날다 |
성전사 단바인 New Story of Aura Battler Danbine | 수호자 ~SIRBINE~ |
중전기 엘가임 | 엘가임 - Time for L-Gaim |
기동전사 Z건담 | 섬광 속의 MS |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 MAIN TITLE |
기동무투전 G건담 | TRUST YOU FOREVER 내 마음은 명경지수 ~하지만 이 손은 열화와 같이~ |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 | WHITE REFLECTION |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 ignited-이그나이티드- |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season1 | 축복 The Witch From Mercury |
마징카이저 사투 암흑대장군 | 마신등장!! |
겟타로보 아크 | Bloodline ~운명의 혈통~ |
은하기공대 마제스틱 프린스 | PROMPT |
극장판 마크로스 델타 격정의 왈큐레 | 왈큐레가 멈추지 않아 한 번뿐인 사랑이라면 왈큐레는 배신하지 않아 루체토 알칸 ~별의 노래~ |
코드기어스 부활의 를르슈 | Lelouch of the resurrection A heart not giving up |
고질라 싱귤러 포인트 | in case… 고질라 출현의 테마 -싱귤러 포인트- |
SSSS. DYNAZENON | 임퍼팩트 |
오리지널 | 달에는 용, 마음에는 칼 무궁의 고월 삶은 짧으니 꽃 피워라 소녀여 빛나는 밤에 피어나는 꽃 한 송이 |
DLC 참전작 | |
마장기신 LORD OF ELEMENTER | 열풍 질풍 사이버스타 |
슈퍼로봇대전 V | 더 리터너 매트블랙 불릿 맹세의 스타라이트 그녀는 앞만 보고 나아간다 |
슈퍼로봇대전 X | 강한 마음과 함께 태어나 나타나는 힘 그 이름은 결의 떠나는 계절 뒤돌아보지 않기로 한 날) |
슈퍼로봇대전 T | 프로페셔널의 유의 UPRIGHT ACCELERATOR 언제라도 내 나름의 방식으로 SCARLET ACQUIRER |
은하선풍 브라이거 | [35] |
The BIG-O | SURE PROMISE |
극장판 후토탐정 가면라이더 스컬의 초상 | W-G-X W Goes Next |
강철 지그 | 강철 지그의 노래 |
겟타로보 칠흑의 방랑자 | NOIR RUMBLE |
전설의 용자 다간 | 바람의 미래로 |
9.1. 프리미엄 사운드 & 데이터 팩 수록 BGM
|
- 용자 라이딘
- 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
- 미즈키 이치로 - 컴배틀러 V의 테마(コン・バトラーVのテーマ)
- 성전사 단바인
- MIO - 단바인 날다(ダンバイン とぶ)
- 성전사 단바인 New Story of Aura Battler DUNBINE
- 카라시마 미도리 - 모놀로그를 물들이며(モノローグを染めて)[37]
- 중전기 엘가임
- MIO - 엘가임-Time for L-GAIM-(エルガイム-Time for L-GAIM-)
- 아유카와 마미 - 바람의 노 리플라이(風のノー・リプライ)
- 기동전사 Z 건담
- 사에구사 시게아키 작곡 - 우주를 달리다 ~제타의 고동~(宇宙を駆ける~ゼータの発動~)
-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 TM NETWORK - BEYOND THE TIME ~뫼비우스의 우주를 넘어서~(BEYOND THE TIME~メビウスの宇宙を越えて~)
- 기동무투전 G건담
- 우시마 요시후미 - TRUST YOU FOREVER
- 다나카 코헤이 작곡 - 불타올라라 투지 ~ 불길한 숙명을 뛰어넘어(燃え上がれ鬪志 ~ 忌まわしき宿命を越えて)[38]
- 우시마 요시후미 - FLYING IN THE SKY
-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
- TWO-MIX - LAST IMPRESSION
-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 T.M.Revolution - Ignited-イグナイテッド-
- T.M.Revolution - Meteor -ミーティア-
-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시즌 1
- 마징카이저 사투! 암흑대장군
- JAM Project featuring 엔도 마사아키 - 마신등장!!(魔神見参!!)
- JAM Project - FIRE WARS[39]
- 겟타로보 아크
- JAM Project - Bloodlines ~운명의 혈통~(Bloodlines〜運命の血統〜)
- 은하기공대 마제스틱 프린스
- 콘 나츠미 - PROMPT[40]
- 콘 나츠미 - 나는 상상한다(私は想像する)
- 극장판 마크로스 Δ 격정의 왈큐레
- 왈큐레 - 한 번뿐인 사랑이라면(一度だけの恋なら)[41]
- 왈큐레 - 왈큐레는 배신하지 않아(ワルキューレは裏切らない)[42]
- 미쿠모 기느메르(노래: JUNNA) - 넘어선 안 될 보더라인(いけないボーダーライン)[43]
- 카나메 버캐니어(CV: 야스노 키요노) - AXIA ~너무 좋아해서 너무 싫어~(AXIA〜ダイスキでダイキライ〜)[44]
- 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 Ⅲ 황도
- 코드 기아스 부활의 를르슈
- ALI PROJECT - 아름다운 짐승들을 위한(美しき獣たちの為の)[46]
- 고질라: 싱귤러 포인트
- SSSS.DYNAZENON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오리지널
- 슈퍼로봇대전 Z - ZEUTH
- 제2차 슈퍼로봇대전 Z - ZEXIS
- 제3차 슈퍼로봇대전 Z - Z-BLUE / ANGER INVERSION / MAXIMUM BREAK!!
- 슈퍼로봇대전 V - 하늘을 달려라, 전사들(天駆けよ、戦士達) / Raise the anchor!
- 슈퍼로봇대전 X - ExCross / With All Might
- 슈퍼로봇대전 T - 호랑이 꼬리를 밟아라!(虎の尾を踏め!) / 승리와 내일을 거듭하여(勝利と明日を重ねて)
- 슈퍼로봇대전 UX - 운명에 대한 반항(運命への反抗)
- 슈퍼로봇대전 BX - 경계를 넘은 자들(境界を超えた者達)
- 슈퍼로봇대전 30 - Beyond 30th / 사선을 넘는 날개는 내게(死線を越える翼は我に)
10. 상품 정보
10.1. 패키지판
|
일반판 (79,800원 | 9,790엔)
|
|
초한정판 (286,000원 | 29,920엔)
|
10.2. 다운로드판
|
일반판 (79,800원 | 9,790엔)
|
|
디지털 디럭스 에디션 (119,800원 | 15,620엔)
|
|
디지털 얼티밋 에디션 (149,800원 | 19,800엔)
|
10.3. 특전
|
패키지판 조기 구입, 다운로드판 예약 공통 특전
|
10.4. DLC
|
DLC ① & ② 세트 (39,800원 | 4,400엔)
|
|
보너스 미션 팩 (12,800원 | 1,650엔)
|
|
프리미엄 사운드 & 데이터 팩 (39,800원 | 4,400엔)
|
11. 평가
11.1. 긍정적
- 난이도
중반부터 난이도가 가파르게 떨어져 난이도를 논하는 게 의미가 없다는 평을 받던 기존 뉴 플랫폼 시리즈들에 비해, 무기 개조 시 공격력 증가치 감소나 전반적인 기력 증가치 감소 등 난이도를 높이기 위한 여러 조치로 인해 전략성이 한층 강화되었다. 고난이도로 높이면 여느 SRPG 못지 않게 머리를 쓰며 게임을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각종 DLC 특전을 이용해도 초반을 겨우겨우 벗어날 정도라 고난이도의 의미가 퇴색되지도 않고, 후반부에 다가오는 필연적인 난이도 하락 역시도 그 하락곡선이 완만하고 저점 역시 너무 낮지 않아서 전반적인 플레이 레벨 디자인이 제대로 되어있는 느낌을 준다.
비단 초회 하드/익스만 어려워진게 아니라 스펙앞에 뭉개져버리곤 했던 게임의 기초 규칙들이 다시 강조되는 형태로 개선되었기 때문에 호평이 많다. 대충 굴리다가 초반 라이딘 등장 미션에서 도로메에게 두들겨맞고 게임 오버를 당해 깜짝 놀라서 재시도 후 라이딘&그레이트 마징가를 물에 집어넣는 것이 커뮤니티에 일종의 신고식 밈으로 화제가 될 정도.
- 크로스오버 및 스토리
전작인 30도 메인 시나리오가 지나치게 질질 늘어지는 점은 제외하고 캐릭터간의 만담은 평가가 좋았는데 본작도 그러한 장점을 계승해서 캐릭터간의 대화를 읽는 맛이 좋다. 또한 극히 일부 장면에만 CG를 사용한 T나 30 등의 전작과 달리 이벤트 CG를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적극 사용하여 몰입도를 높인 점도 호평.
- 인물 그래픽
30을 포함한 구작들[50]에서 대화창이나 인터미션에 나오는 인물작화가 유독 엉망이었는데 이번 작품에서는 이런 현상을 최소화했다. 특히 서포트 멤버들도 랭크4 달성시 정적인 스탠딩 일러스트가 아니라 각자 개성있는 포즈를 취하고 있어 호평. 다만 겟타로보 아크처럼 기본 캐릭터 디자인&작화가 개판인 경우는 어쩔 수 없는듯.[51] 그리고 캐릭터 크기를 맞추지 않은 건지 전투 맵에서의 인터미션에서는 크기가 들쭉날쭉한 문제가 있다. 인터미션에서는 이를 역이용하여 암흑대장군 앞에 선 가루라가 굉장히 작게 나오는 등 여러모로 키에 신경을 썼다는 인상이 강하다.
- 캐릭터 컷인 / 시나리오 중 이벤트 CG
뉴플랫폼 시리즈 중 컷인 퀄리티가 독보적이었던 X만큼은 아니지만 나름 신경을 많이 쓴 티가 난다. 전투데모의 컷인만이 아니라 인터미션&스토리 진행 중 나오는 일러스트도 상당한 고퀄리티이다.
- 기본 BGM 선곡
마크로스 델타, 코드 기아스처럼 선곡이 조금 아쉬운 작품도 있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잘 뽑혔다는 평. 굳이 커스텀 BGM이나 사운드팩에 매달리지 않아도 게임의 몰입도를 해치지 않을 정도로 선곡이나 어레인지가 괜찮다.
- 오토 세이브
슈로대의 경우 여태까지 오토세이브를 지원하지 않아서 플레이 하다 보면 저장을 깜빡한 채로 리셋했다가 날려먹는 경우가 있는데 오토 세이브가 지원되면서 그러한 경우가 줄었다.
- 개선된 오토 배틀 AI
전작인 슈퍼로봇대전 30의 오토 배틀과 비교해서 AI가 개선되었다. 여전히 적의 남은 HP를 고려하지 않고 강한 무장을 우선으로 사용하는 문제점은 동일하지만 히트&어웨이를 인지하고 행동하거나 전작보다 정신 커맨드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등 전체적으로 AI의 행동 패턴이 대폭 좋아졌다.[52]
11.2. 부정적
- 대다수의 연출 재탕 및 여전한 연출간의 퀄리티 편차
기존 참전작들의 연출 80% 이상이 재탕일 정도로 심각하다. 그뿐만이 아니라 3차 Z때부터 이어져왔던 각 작품의 연출간의 편차 역시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제작진들의 인터뷰로는 엔진을 바꾸면서 기존 엔진에서 사용했던 연출을 다시 제작하였다고는 한다. 실제로 일부 기체의 경우 소소하게 클린업 하면서 화질 등이 나아진 게 확인된다. 이 경우에는 재탕이긴 하지만 그저 전투 시퀀스 변경이 제작 여건상 힘들기에 리소스를 그대로 썼다고 보는 게 더 정확하다.
- QHD, UHD 해상도 없음
- HP&EN바의 이질감
디자인이나 배치야 호불호라 치더라도, 너무 작고 얇아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다는 불만이 제법 있다. 또한 여태껏 유지되어 온 HP/EN바에 있던 맵상 아이콘을 유용한 기체의 간략화 이미지가 삭제되었다. 이 때문에 정보창이 매우 밋밋해졌다.
- UI/UX의 편의성
- 메뉴 심도가 높아져서 전체적으로 기존에 비해 버튼을 여러번 눌러야 하는 동작이 많다. 특히 세이브, 옵션, 정신기 관련이 평가가 안 좋다.
- 부대표나 분석 등에서 유닛 목록이 뜨는 UI도 리스트식에서 아이콘식으로 바뀌었는데 적 보스가 양산기를 타고 나왔을 경우 구분이 안 되는 문제가 있다.
- 맵상에서 퀵 커맨드 기능이 없어졌다.
- 무기선택시 요구기력/현재기력과 요구EN/현재EN을 한 시선 안에서 직관적으로 보여줬던 기존작과 달리 기체의 현재 EN/기력을 하나의 줄에 몰아넣어서 시선의 동선이 번잡하다. 또한 내장 메뉴로 들어간 후 사거리를 확인하던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맵 상에서 바로 선택하는 방식으로 바뀌어서 사거리 등의 직관적인 확인이 매우 불편해졌다.
- 전함 수납 후 출격 시 맵 상에서 바로 출격이 가능했던 전작들과는 달리 내장 메뉴로 한 번 들어갔다 나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위의 무기 선택과는 정반대의 상황이다.
- 기존에는 테이블 형태로 여러 유닛의 능력치를 쉽게 비교할 수 있었지만, 이번 작에서는 기체 및 파일럿 정보를 보여주는 UI가 변경되어 능력치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없고 유닛을 돌아가면서 능력치를 확인해야한다.
- 풀개조시 나오는 풀개조 보너스를 보류할 수 없다. 풀개조시 무조건 풀개조 보너스 하나를 골라야 하며 고르지 않으면 나올 수 없다.
- 인터미션 내의 도감 기능이 대폭 퇴화되어, 키워드 강조 기능은 있지만 필요한 키워드만을 확인할 수 없게 됐다.
- 스킬 파츠 장착 시에 장착 후 기존에는 장착한 파츠를 기준으로 스크롤이 시작하는 반면 본작에서는 자동적으로 맨 위로 올라가기에 다시금 스크롤을 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 적 유닛들이 행동전 뜸들이는 현상
잡졸이 다수 참가하는 대규모 전투에서는 적 하나하나가 행동 전에 뜸을 들이며 답답하게 움직여 짜증을 유발한다. 적 AI의 행동 알고리즘 관련의 문제가 있는듯. 특히나 본작의 경우 잡몹 증원이 상당한 작품이기에 더더욱 불편하게 느껴지는 바이다. 오토를 사용하면 딜레이 없이 바로 행동하는 것과 비교된다.
- 커스텀 BGM 기능 퇴화
엔진 개편의 영향 탓인지 아니면 프리미엄 사운드 팩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서 일부러 그런 건지는 불명이나 천옥편부터 개선되어 30까지 유지되어 왔던 커스텀 BGM 기능이 처음 도입되었던 시옥편과 거의 동등한 사양으로 퇴화되어 해당 부분에 대한 불만이 많다. 퇴화된 기능 부분은 아래와 같다. - 내장 BGM 변경 불가
- 태그 기능 삭제
- 개별 볼륨 설정 불가
또한 PC판의 경우 엔진이 변경되면서 커스텀 BGM 폴더가 변경되었다. 이전 작품인 V, X, 30의 경우 게임이 설치된 폴더였지만 본작의 경우에는 로컬 드라이브의 사용자 폴더로 변경되어 일부 유저들에게 혼선을 주었다.
- 디버그 관련 문제인 건지 게임에 지장을 초래하는 버그가 다수 발견되고 있다. 커스텀 BGM 설정 시 오류가 뜨며 튕기는 버그가 있으며, 출격 시에 배치 순서 변경 시 마우스 / 게임패드 전환 시의 인식만 가능하며 조작이 되지 않아 게임이 그대로 프리징 되는 버그도 있다.
- STEAM판 관련 버그
스페이스바 키씹힘 현상&정신기를 빌려쓸 때 첫번째에 이어 두번째를 사용하려 할 때 키인식이 안 되서 리스트 맨 위에 있는 감응이 계속 써지는 경우도 있다. 무선 게임 패드 사용시 중복 입력 문제가 있어 스토리 감상 시 원치 않은 부분에서 대거 스킵되는 경우도 있다. 게임 패드의 경우에는 유선으로 연결 후 사용하는 것을 추천.
그 외 게임 내 전투 BGM변경시 음악선택창에서 모든 키가 먹통이 되는(!) 버그도 존재한다.
- 파일럿 컷인 연출 간소화
주역 파일럿이 아니면, 움직임이나 길이 자체가 줄었다. 또한 새로 그린 파일럿 컷인의 경우, 길이도 짧을 뿐더러 또한 배경이 등장하는 파일럿 컷인은 거의 정지 화상에 가깝다.
11.3. 총평
새 PD가 팬들의 피드백을 받겠다는 의지를 여러 번 드러냈었는데, 변화를 시도했지만 문제가 더 많이 터진 전작 30과는 달리 확실히 긍정적이거나 최소한 퇴보하지는 않은 변화점이 더 많다. 이 피드백 반영 면에서 가장 크게 다가오는 것이 바로 게임플레이 경험이다.
게임플레이의 경우 준주연보다 약한 조연 유닛 소수로도 게임을 터트릴 수 있을 정도로 제어가 안되던 그 이전 시리즈의 개막장 파워밸런스를 확실하게 잡고 게임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요소들인 지형효과[53], 수리/보급[54], 원호시스템[55] 등을 난이도를 불문하고 다시 확실하게 어필시킨 점이 박수를 받고 있다. 특히 챕터4시점부터는 적 HP도 늘고 방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 단순히 힘밀기 만으로 진행하기에는 난이도가 확 올라간다.
이런 게임성의 부활과 스토리적 매력의 강화[56] 덕분에 답보상태의 일부 연출 및 UI변화로 따라온 QoL의 저하 등이 지적되고 있음에도 전반적으로 '게임 할 맛이 난다'며 호평을 받고 있다.
물론 극적인 개선은 없고 여전한 단점들 역시 존재하지만[57] 팬덤이 전반적으로 Y에 우호적인 평가를 남기는 근원은 엔진까지 바꿔가면서 지금까지 '의무감으로 사서 하고 욕이나 하는 사골게임'이라는 음울한 아이덴티티를 탈피하려는 시도 자체가 크게 다가왔기 때문일 것이다.
상술한 호불호 때문인지 STEAM 평가의 경우 처음에는 연출 재탕과 UI와 관련된 불만 리뷰가 쏟아져서 복합적으로 시작하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긍정적 리뷰가 올라오기 시작하여 꾸준히 상승, 구매자들이 1회차를 슬슬 끝내가는 시기인 9월 5일 시점에는 79%까지 상승했고, 주말을 넘긴 9월 8일에 80%[58]로 매우 긍정적 등급으로 올라왔다.
12. 여담
- 반다이 남코 포지 디지털즈 명의로 처음 출시되는 슈로대이자, 2021년에 출시된 슈퍼로봇대전 30 이후 4년만에 출시되는 판권작 슈로대이며 기존 슈로대 총괄 프로듀서였던 테라다 타카노부의 퇴사 이후[59] 처음 발매되는 작품이다.
- 슈로대 Y의 프로듀서인 토마 코우타의 인터뷰에 따르면 개발 기획 자체는 30 발매 직후부터 진행되었으나 무려 20년 이상 사용한 기존 엔진으로 계속 게임을 만드는 데 무리가 있었기 때문에 시리즈를 길게 이어나가기 위해서 개발 엔진을 유니티로 교체하면서 개발이 늦어졌다고 한다. 엔진을 바꾸게 된 목적은 앞으로도 시리즈를 계속 이어나가기 위해서 라는 것이 주된 목적으로 한편으로 슈퍼로봇대전의 본질적인 게임성 부분은 바꾸지 않고 시리즈가 계속 이어지면서 복잡화된 UI/UX을 신규 유저들이 플레이하기 쉽도록 알기 쉽고, 보기 쉽게 개량했다고 한다.# 이탓인지 그간 UI에 익숙한 유저들은 위화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좋게 평가하는 사람도 많은 편이다.
- 멀티 플랫폼 시리즈 중에서는 최초로 PS5로 발매되는 슈로대이다. 대신 PS4가 빠졌으며, 닌텐도 스위치 버전의 경우 스위치 2 공개 전 마지막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2 소프트가 아닌 기존 스위치 소프트로 발표되었다. 스위치 2가 기본적으로 하위 호환 구동을 지원하기 때문에 내부 테스트로는 스위치 2에서도 이상 없이 구동한다고. 다만 스위치2 업그레이드는 없기 때문에 휴대모드시 해상도는 비정규 해상도인 720P로 구동된다.
- 스팀판 한정으로 이 작품부터 Denuvo DRM이 적용된다.
- 슈퍼로봇대전 30의 SSSS.GRIDMAN, ULTRAMAN 참전에 이어, 본작에서는 고질라: 싱귤러 포인트, 극장판 후토탐정: 가면라이더 스컬의 초상이 참전하면서 특촬 원작의 애니메이션화 작품의 참전을 잇게 되었다.
- 패키지 일러스트는 건프라 박스 아트로 유명한 모리시타 나오치카(森下直親)가 담당했으며, X~T에서도 프리미엄 애니메이션 송 & 사운드 에디션의 패키지 일러스트를 맡은 바 있다.
- 일부 작품들[60]의 경우 슈퍼로봇대전 Z 때부터 바로 전작인 슈퍼로봇대전 30까지 써오던 스탠딩 CG가 일신되었다.[61] 다만 슈퍼로봇대전 Z에서의 스탠딩 CG는 원작에 상당히 가까웠던 화풍이라 이번에 바뀐 스탠딩 CG는 이질감이 좀 있다.
- 2025 PlayX4에 출점한다. 행사 개최일이 공식방송 직후(5월 22일)라서인지 전세계 최초 시연 등의 메리트 요소가 있다.
- 2025년 8월 2일에는 한국 전용 팬미팅인 '슈퍼로봇대전 Y 팬 커넥트 2025 인 서울'을 개최했고, 참전작 구성에 한국 팬덤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고려했다고 밝히며[62] 한국 팬들과의 교류를 계속 이어가고 싶다고 밝혔다. #
- 기존의 슈로대 총괄 프로듀서였던 테라다가 퇴사한 영향으로, 통칭 '특수 생일'이라 불리던 날짜가 변경되었다. 전작인 30까지는 테라다의 생일과 혈액형에 맞춘 11월 11일 B형이었으나, 본작에서는 슈퍼로봇대전의 발매일인 4월 20일이 되었고 혈액형 제한이 없어졌다.
- 9월5일 오후 6시에 패미통 인터뷰가 올라왔는데, 여기서 예전 BB스튜디오 처럼 스태프들이 오가며 이게임 저게임 같이 만드는게 아니라 아예 슈퍼로봇대전만을 제작하기 위한 팀으로 재편성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 V부터 도입되어 갈아타기 자유도를 크게 낮춘 일부 전용 기술화 된 무장들이 본작에서 제약이 해제되어 다양한 파일럿들로 쓸 수 있게 롤백되었다.
- 전작인 슈퍼로봇대전 30은 스팀에서 스크린샷 촬영 기능을 지원하지 않아 외부 캡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이번 작품은 스크린샷 촬영이 자유롭다. 생성된 스크린샷 파일에는 자동으로 워터마크가 찍힌다.[63]
12.1. 성우 관련
- 배역 교체 이슈 관련
- 스루가 아타루의 담당 성우인 이케다 쥰야가 특수사기로 징역 3년형이 선고되어 복역중이기에, 토요나가 토시유키로 성우 변경이 이뤄졌다.[64]
- 마징카이저 사투! 암흑대장군이 참전하면서 카부토 코우지의 성우로 이시마루 히로야가 다시 발탁되었다.[65][66]
- 아무로 레이의 성우인 후루야 토오루의 경우 불륜 및 폭행을 비롯한 복합적인 문제로 전담하던 일부 배역[67]에서 자진해서 물러났으나, 아무로 레이 역은 후임이 정해지지 않아 그대로 유지되었다.[68] 이후 강철 지그 역시 DLC로 참전하면서 후루야 토오루의 배역이 하나 더 유지되었다.
- 배역을 이어받은 경우
- 어네스트 존슨(극장판 마크로스 Δ 격정의 왈큐레) - 이시즈카 운쇼(1951~2018) → 오오츠카 아키오[69]
- 스루가 아타루(은하기공대 마제스틱 프린스) - 이케다 쥰야 → 토요나가 토시유키[70][71]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첫 참가 성우
- 이치노세 카나 - 슬레타 머큐리(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 토미타 미유 - 추아츄리 판런치(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 하마노 다이키 - 가우마(SSSS.DYNAZENON)
- 와카야마 시온 - 미나미 유메(SSSS.DYNAZENON)
- 안자이 치카 - 아스카가와 치세(SSSS.DYNAZENON)
- 스와 아야카 - 무지나(SSSS.DYNAZENON)
- 야마네 아야 - 츠키노와 포르테(슈퍼로봇대전 Y 오리지널)
- 이와미 마나카 - 에치카 Y 프랑버넷(슈퍼로봇대전 Y 오리지널)
- 나나오 카린 - 미나 나라이브(슈퍼로봇대전 Y 오리지널)
- 토요나가 토시유키 - 스루가 아타루(은하기공대 마제스틱 프린스)
- 가정용 콘솔로 나온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중에선 처음으로 극장판 마크로스 Δ 격정의 왈큐레와 겟타로보 아크가 동시에 참전하면서, 우치다 유우마는 이 첫 참전 작품의 주인공들인 나가레 타쿠마와 하야테 임멜만을 모두 연기하게 되었다.[72]
- 남성 주인공의 성우인 후카가와 카즈마사는 슈퍼로봇대전 T의 단역인 로니 마북 역을 맡은 적이 있다.
13. 관련 문서
13.1. 세계관
13.2. 공략
[1] 일본, 대만, 홍콩판 PV에서의 캐치프레이즈. 번역하면 "오른쪽은 재앙, 왼쪽은 파멸"이다. 영어와 한글 PV의 문구가 바뀐 이유는 날이 갈 수록 좌우 정치갈등이 심해지는 세계 정세 때문으로 보인다.[2] A는 advance, R은 reverse, D는 destiny, J는 justice, w은 double(줄여서 w), K는 keitai(휴대), L은 link, Bx는 britics ,UX는 Ultimate cross, V는 voyage, X는 cross(줄여서 x), T는 terra, MX는 미지수를 뜻하는 함수,F는 final, 알파시리즈는 최초의 단어를 뜻하는 @, Z시리즈는 알파벳의 끝을 나타내는 Z에서 따왔다.[3] 게임 트레일러에서 위 캐치프레이즈마냥 Y를 형상화한 왼쪽/오른쪽 두개의 갈림길 운운하는 내용이 있긴 하나 이게 인게임 상에서 나오진 않는다.[4] 공식 홈페이지의 도메인도 Y와 관련된 용어로 만들지 않고, srw34(슈로대 34주년) 도메인을 쓰고 있다.[5] 기본부대명이 Yz넥스트 라던가, 서브 캐릭인 에치카의 본명이 에치카 Y. 프랑버넷 인것 등등[6] 20년 이상 사용한 슈로대 전용 하우스 엔진을 범용 엔진으로 교체했다고 한다.#[7] 고정 출연진은 프레이아 비온 역 스즈키 미노리, 레이나 프라울러 역 토야마 나오, 보그 콘 바르트 역 KENN. 방송이 없는 주에는 마키나 나카지마 역 니시다 노조미가 마크로스 시리즈의 피규어 및 프라모델 관련 생방송인 「마크로스 모델러즈」를 진행한다.[8] 다이나제논 최후반부, 가규라에게 버스트 미사일과 동시에 펀치를 날리는 액션을 재현한 연출.[9] 실제로는 프롤로그 파트에서 황제 를르슈가 제로에게 처형당하는 이벤트가 나오고 이후 부활의 를르슈 파트로 넘어간다. 즉 실질적으로는 랜슬롯 알비온 제로 이외에는 스토리만 짧게 들어가 있는 셈.[10] 다만 4차 슈로대에서는 단바인 OVA가 정식 참전작 목록에 없었고, 주역 기체 서바인과 요정 실키 마우만 등장하는 등 재현도가 크게 미흡했기 때문에 세 작품의 주인공인 쇼우, 다바, 시온이 한 자리에 모이는 것은 가정용 작품에서는 Y가 최초가 된다.[11] 이때문에 정말 오랜만에 챰과 리리스가 착각되는 이벤트가 나온다.[12] 리메이크작까지 포함할시 2008년에 나온 슈퍼로봇대전 A 포터블이 마지막이다.[13] 시드 데스티니의 전작인 기동전사 건담 SEED는 슈퍼로봇대전 J에서 같이 참전한 적은 있다. 생각보다 이 두 작품이 잘 겹치지 않았던 것은 아무래도 G건담이 SEED가 자주 나온 닌텐도 휴대용과 Z시리즈에 참전하지 않았던 점이 큰 것으로 보인다.[14] G건담, 엔드리스 왈츠, 시드 데스티니, 수성의 마녀.[15]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기동전사 V 건담[16] 휴대용까지 합치면 슈퍼로봇대전 R이 슈퍼로봇대전 Y하고 우주세기 참전 갯수가 같지만 MSV가 통합되어 실질적으로 5개나 된다. 참고로 우주세기가 참전한 작품 가운데 가장 그 숫자가 가장 적었던 작품은 기동전사 건담 UC만 참전한 슈퍼로봇대전 BX.[17] BX가 발매된 2015년 당시에는 저작권 분쟁이 진행 중이었으며 2021년에 저작권 분쟁에 대한 타협을 이뤘다. 이와 별도로 모바일 작품인 슈퍼로봇대전 DD에서도 마크로스 시리즈가 참전하지 않았다.[18] 이 중 마제프리 극장판, SSSS.GRIDMAN은 리소스를 재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그리드나이트만 재등장한 채 작품 자체는 배제되었다.[19] 건담 시드 데스티니는 2004년 10월에 방영을 시작해 2005년 10월에 끝났고, 3차 알파는 2005년 7월에 발매되었다.[20] 참고로 그레이트 마징가가 진 마징가 충격! Z편에 사용됐던 모델링이라서 의아해하는 몇몇 유저들이 있는데 마징카이저(OVA) 마지막화에서 진짜 그레이트 마징가가 등장할때까지를 제외하면 팔다리가 검정색인 프로토타입을 사용해왔고 마징카이저 사투! 암흑대장군에서도 프로토타입으로 전투하였기에 그냥 충격 Z편의 모델링을 재사용했을뿐이다.[21] 앤솔로지에만 수록되었었으나 후에 이시카와가 집필한 겟타로보 아크 단행본에서도 수록되었다.[22] 서로 기체를 갈아타는 게 가능하다.[파일럿] 최초로 가입 시 누가 젤가드의 메인 파일럿인지, 누가 티라네이도 렉스에 타게 되는지 정하게 되며, 해당 설정은 회차를 반복할 때마다 재설정 할 수 있다.[파일럿] [25] 아마도 강철 지그 방영 50주년을 기념한 것으로 추정된다.[26] 다만 브라이거의 경우엔 음악 관련 권리 문제로 추측되는 이유로 인해 본작에선 주제곡이 수록되지 못했다.[27] 3차 Z 천옥편은 2015년 4월 2일에 발매하였고, 크로스 오메가는 천옥편 출시 6개월 후인 2015년 10월 6일에 발매하였다.[28] 흔히 3대 특촬로 통하는 가면라이더 시리즈, 슈퍼전대 시리즈, 울트라 시리즈 중 유일하게 본가에 참전한 적 없는 슈퍼전대 시리즈인 공룡전대 쥬레인저, 해적전대 고카이저, 기계전대 젠카이저의 3작품은 모바일 작품에 참전한 바 있다.[29] 콘솔판 기준으로 가오가이가, 마이트가인, 제이데커에 이어 4번째로 슈로대에 참전하게 된 용자 시리즈다.[30] 방송에서의 언급에 따르면 이전 시리즈에서 참전한 바이캄프나 갓마즈와 같은 방식으로 다간 X의 기력을 올려 커맨드를 통해 그레이트 다간 GX로 합체할 수 있다고 한다.[31] 이 소식은 주 연령층과 분야가 직접적으로 겹치는 루리웹에서 가히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왔으며, 순식간에 유게가 다간 밈으로 도배될 정도였다.[32] 이후 2025년 8월 19일에 DLC 참전작들이 공개되면서 DLC 1탄의 테마는 '어둠으로부터의 의뢰' , DLC 2탄의 테마는 '각성하는 혼' 인것이 밝혀졌다.[33] 아오니 프로덕션에 소속된 신인 성우. X[34] 후에 공식 투표로 인해 정식 대표로 선출된다.[35] 권리상 문제로 추측되는 이유로 원작의 BGM이 수록되지 못했다.[36] 슈퍼로봇대전 IMPACT, 슈퍼로봇대전 MX에서 디폴트 전투 BGM으로 사용된 삽입곡.[37] OVA 제2화, 제3화 엔딩곡.[38] 일명 샤이닝 핑거의 테마곡으로 유명한 ost.[39] 본작에 참전하지 않은 마징카이저(OVA)의 주제가.[40] TV판의 후반부 오프닝. 30에서는 프리미엄 사운드 에디션에만 수록되었으나 어째서인지 Y에서는 전반부 오프닝인 '나는 상상한다'보다 앞에 수록되어 있어 해당 곡 대신 기본 전투 BGM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으며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41] TV판 마크로스 Δ의 전반 오프닝. 격정의 왈큐레에선 후반부 전투에 사용되었다.[42] 극장판 마크로스 Δ 격정의 왈큐레의 테마곡.[43] TV판 마크로스 Δ 1화에 사용된 삽입곡. 격정의 왈큐레에선 TV판 1화의 장면을 재편집한 초중반부 전투 씬에 사용되었다.[44] TV판 마크로스 Δ 10화에 사용된 삽입곡. 격정의 왈큐레에선 TV판과 마찬가지로 중반부 멧서 일레펠트와 키스 에어로 윈더미어의 결투에 사용되었다.[45] TV판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R2의 4번째 오프닝. 극장판 기반의 BGM들이 전투연출에 너무 어울리지않아 대신 들어온듯 하다.[46] 를르슈와 스자쿠가 오우기와 빌레타의 결혼식 비디오를 보는 장면에서 사용된 곡.[47] 1991년작 고지라 vs 킹 기도라에서 처음 사용된 '고지라의 테마' 일부를 어레인지한 곡. 고지라의 유골이 첫 등장하는 장면, 고지라가 도쿄로 상륙하는 장면, 최후반 메카고지라가 건조되는 장면 등 웅장하고 공포스러운 분위기의 장면에 사용되었다.[48] 그리드나이트의 캐릭터 송. 본편 7화에서 삽입곡으로 사용되었다.[49] 주의! 기간제한이 있는 URL사이트 다운로드ost코드이다. 마음대로 타인에게 배포하다가 저작권법에 걸린다고 경고가 쓰여있음. 게임내로 들으려면 닌텐도샵에서 프리미엄사운드 팩을 따로 사야한다.[50] 정확히는 V 때부터. V 이전에 마지막으로 전신 스탠딩 일러스트를 사용했던 Z에서는 인물들의 스탠딩 일러스트는 대부분 원작에 준거하여 만들어졌고, 그 퀄리티 또한 준수했기에 평가가 좋았다. 이러한 탓에 30 때까지는 Z 시절 참전작들은 그 당시 스탠딩 일러스트를 기반으로 계속 우려먹었다. V 때부터 참여하는 작품들 중에서는 예산 삭감 때문인 건지 전투 연출처럼 작품 간의 편차치가 많이 드러나게 되었다.[51] 한편 일본에서는 겟타로보 아크는 원본부터가 워낙 개판이라 그런지 오히려 슈로대가 더 깔끔하다는 반응도 있다.[52] 하지만 연격이나 각성으로 2회차 공격을 할 때 EN이 0, 잔탄이 0인 상태라면 AI가 아무 것도 할 수 있는 것이 없으니 행동을 종료하고 다른 유닛을 컨트롤 하는게 아니라 EN이 0인 유닛에서 그대로 멈춰서 아무것도 안하는 버그가 있다. 이경우에는 오토 배틀을 해제하고 남아있는 다른 유닛을 직접 콘트롤 하고 턴을 종료한 후에 다시 오토배틀을 작동해야 한다.[53] 중반부터 의미가 없어지기는 하지만 그래도 적AI들마저 이 지형효과를 활용하는 면을 보이는 등 대충 넘기지 않았다는 인상을 준다.[54] 센 무장은 확실하게 EN을 퍼먹도록 해놓은 것은 물론 지상 이동시에도 EN을 칸당 1씩 먹여놨을 정도로 디테일한 조정이 들어가있다.[55] 아군의 활용은 물론이고 적들도 알파외전마냥 악독하지는 않아도 중반부터 슬슬 걸리적거리는 정도로 어필이 되어있다.[56] 보다 과감해진 캐릭터/시나리오 재해석 및 풍부한 일러스트 삽입[57] 특히 긍정적인 여론과 부정적인 여론 모두 공통적으로 제3차Z 때부터 이어져온 현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고질병인 전작에서의 연출 재탕 남발을 지적하고 있다. 때문에 팬들 중에선 이번 작에서 3D를 써도 호평받은 윙건담 0나 다이나제논처럼 다음 작부터 연출을 많이 3D로 대체하길 원하는 팬들도 있다.[58] 한국어 평가는 85%[59] 전혀 관여하지 않았기 때문인지 본인 소유 SNS에서도 일절 언급하지 않고 있다.[60] 기동전사 Z 건담,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는 아무로를 기준으로 1차 Z에서 V까지 지속적으로 스탠딩 CG가 변경됐지만 본작에서 다시금 스탠딩 CG가 변경되었다.[61] 단, 시옥편, 천옥편은 애초부터 대갈맵과 증명사진 포트레이트를 기준으로 삼고 있어 전작의 소스를 사실상 사용하지 않았다.[62] 실제로 일본보다 한국에서 인기가 더 많은 전설의 용자 다간이 DLC로 등장했다. 일본에서는 용자 엑스카이저, 용자경찰 제이데커,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세 작품이 인기가 많다.[63] 초기에는 워터마크 없이 스크린샷이 찍혔지만 뒤늦게 수정되었다. 저작권 표기 관련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64] 시리즈 내에서는 슈퍼로봇대전 30에서 아수라 남작(마징가 Z: 인피니티 버전, 남성) 역의 성우가 사기 혐의로 소속사 내 근신 처분을 받은 미야사코 히로유키에서 타케우치 료타로 교체된 사례가 있다.[65] 현재 마징가 Z: 인피니티에서 코우지를 맡은 성우인 모리쿠보 쇼타로가 모종의 이유로 중국 작품에서 일제히 강판되었는데, 본작의 지원 언어 중에도 간체 중국어가 있어 본의 아닌 선견지명이 되었다.[66] 다만 추가 녹음 분량은 없기에, 합체기 등의 일부 음성에서는 범용 음성을 재사용했다.[67] 원피스(만화)의 사보, 드래곤볼의 야무치, 명탐정 코난의 아무로 토오루 등[68] 비슷한 예로 기동전사 건담 U.C. 인게이지의 아무로 배역이나 오사카 엑스포 건담 파빌리온에 사용된 아무로 AI 보이스,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에서도 변경 없이 지속적으로 출연했다. 다만 지쿠악스에선 다른 둘과는 달리 AI라는 형태로 에둘러 표현하였다.[69] 모바일 게임 노래 마크로스 스마트폰De컬쳐에서 동일 성우가 맡은 갈드 고어 보먼의 배역을 이어받은 전례가 있다.[70] 이케다 쥰야가 불미스러운 사건을 일으켜 성우가 교체되었다.[71] 기동전사 건담 AGE에서 1부 플리트 아스노를 맡았다. AGE가 참전한 슈퍼로봇대전 BX에서는 3부 버전으로 참전해서 출연이 불발되었다[72] 이러한 탓인지 작중에서 같이 나오는 장면도 있고, 타쿠마가 하야테에게 원호 공격을 적용하면 임멜만 댄스를 의식한 나가레 댄스라는 드립을 치기도 한다. 그 외에도 SSSS.DYNAZENON의 악역 오니쟈 및 숨겨진 아군역으로도 출연하여 전투시 반응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