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333333,#010101><colcolor=#ffffff> OpenCritic | |
| |
국가 | |
언어 | 영어 |
종류 | 리뷰 모음 집계 |
개설일 | 2015년 9월 ([age(2015-09-01)]주년) |
상태 | 운영 중 |
링크 |
1. 개요
2015년에 개설된 비디오 게임 리뷰 집계 사이트.2. 특징
비디오 게임 중에서도 콘솔 및 PC만을 다루며, 모바일은 다루지 않는다. 2015년 경에 개설됐기 때문에 역사가 긴 다른 리뷰 사이트들과는 달리 2013년 이후 게임밖에 존재하지 않는다.2.1. 평가 척도
Top Critic Average, Critics Recommend, Player Rating으로 총 3가지의 평가 척도를 제공한다.2.1.1. Top Critic Average
각 리뷰의 점수를 0~100점으로 정규화 한 뒤, 평균을 낸 점수이다. 이 점수에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레이팅을 매긴다. 84점 이상 (상위 10% 이상) | |
75-83점 (10-40%) | |
66-74점 (40-70%) | |
65점 이하 (70% 이하) |
최소 3개의 평가가 존재해야 점수가 나타난다.
2.1.2. Critics Recommend
게임을 추천한 리뷰가 전체 리뷰 중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지를 나타낸다. 로튼 토마토의 형식과 같다고 보면 된다.이 방식은 주로 Weak ~ Strong에 포진되어 있는 게임들이 단점은 명백하지만 취향만 맞으면 할 만한 게임인지, 아니면 장점이 아예 없거나 장점이 있더라도 장점을 뒤엎을 정도로 치명적인 문제가 있는 게임인 지 판별할 때 유용한 방식이다. 스코어와 추천도가 비슷할 경우에는 명작은 아니더라도 장단점이 뚜렷하거나 균형이 어느 정도 잡힌 게임일 때가 많고, 스코어에 비해 추천도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에는 게임에 무언가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는 똥겜인 경우가 많다.[1]
2.1.3. Player Rating
2024년 10월부터 유저 평점을 도입했다. 유저들이 0점 ~ 10점으로 점수를 매길 수 있으며, 이 점수의 평균들로 계산된다. 최소 20개의 평가가 존재해야 점수가 나타난다.2.2. 메타크리틱과의 비교
메타크리틱이 영화, 비디오 게임, 음악, TV 시리즈 등 다양한 매체를 다루는 것과 다르게, 오픈크리틱은 오직 비디오 게임만 다룬다.2개 이상의 멀티 플랫폼이나 포켓몬스터 같이 분할판매로 출시된 게임의 경우, 메타크리틱과는 다르게 하나의 게임으로 취급한다. 따라서 종합적인 점수를 확인하기 더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PC 이식 문제 등으로 특정 플랫폼에서만 문제가 있는 경우, 이것을 파악하기 힘들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메타크리틱은 75점-100점이 긍정적(초록색)으로 표시되지만, 오픈크리틱은 이 구간이 Mighty, Strong 2단계로 더 촘촘하게 나뉜다. 반면에 50점 미만이 부정적(빨간색)인 메타크리틱과 다르게, 오픈크리틱은 65점 이하를 전부 Weak로 분류한다.
3. 관련 문서
3.1. 관련 틀
[1] 예를 들어 마이티 No. 9, GTA 트릴로지 데피니티브 에디션, 워크래프트 3: 리포지드,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I 2023와 같은 게임들도 스코어만 놓고 보면 50점 ~ 65점 수준이지만 10% 이하의 처참한 추천도로 인해 추천도 50%의 게임들과는 달리 무언가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