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2:09:49

한양대학교

HYU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와 한양대학교 ERICA를 아우르는 공통 사항을 다룹니다. 서울특별시 성동구 소재 본교에 대한 내용은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경기도 안산시 소재 분교에 대한 내용은 한양대학교/ERICA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파일:한양대학교 시그니처(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대학원 응원가
{{{#!wiki style="margin: -5px -10px"
서울캠퍼스}}} ||
관련 기관
학교법인 한양학원
한양대학교의료원
(서울병원·구리병원·류마티스병원·국제병원·명지병원·창원한마음병원)
}}}}}}}}} ||
<colcolor=#fff>
한양대학교
漢陽大學校
Hanyang University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colbgcolor=#0e4a84>
교훈 및 교시
[ruby(愛, ruby=애)][ruby(之, ruby=지)][ruby(實, ruby=실)][ruby(踐, ruby=천)] (사랑의 실천)

<colbgcolor=#0e4a84><colcolor=#fff>
슬로건
The Engine of Korea
동물 사자
교조 비둘기
교화 개나리
교색
HANYANG BLUE (#0e4a84)
국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분류 사립대학, 4년제 종합대학
지역 서울특별시 | 경기도
개교 1939년 7월 1일 ([age(1939-07-01)]주년)
동아공과학원[1]
설립자 김연준[2]
총장 제16대 이기정
법인 학교법인 한양학원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행당동)[3]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사동)


학부생
서울
16,531명(2023년)[4]
ERICA
10,404명(2023년)[5]
대학원생
서울
8,176명(2023년)[6]
ERICA
1,774명(2023년)[7]


교원
서울
3,494명(2023년)
ERICA
1,438명(2023년)
직원
서울
755명(2023년)
ERICA
307명(2023년)
면적
서울
509,394m[math(^2)](약 15만평)
ERICA
1,312,815m[math(^2)](약 40만평)
웹사이트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공식 홈페이지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
ERICA
}}}}}}}}}}}} ||

1. 개요2. 소개
2.1. 건학 정신2.2. 상징2.3. 본관
3. 역사
3.1. 역대 총장
4. 캠퍼스5. 세계대학평가6. 국내 평가
6.1. 중앙일보 대학평가6.2. 한경 이공계 대학평가6.3. 대학구조개혁평가6.4. 대한민국 사립대학 사회책임지수6.5. 교육복지지원 실태평가
7. 교통8. 학사 제도9. 실용 학풍
9.1. 한양공대9.2. 고시반9.3. 창업가 정신
10. 커뮤니티 사이트
10.1. 한양위키
11. 언론 기구
11.1. 한대신문 및 한양저널11.2. 방송국11.3. 교지11.4. 기타 단과대 소속11.5. 홍보 매체
12. 응원단 루터스13. 총동문회14. 한양학원15. 관련 문서1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한양대학교 로고(화이트).svg 한양대학교 공식 홍보영상(2024)
파일:한양대학교 로고(화이트).svg 한양당도
사자의 심장으로 한양을 물들이다
Bold Steps to Soar Higher
학교법인 한양학원 산하의 4년제 종합의 수도권 사립대학으로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분교로 ERICA 캠퍼스를 두고 있다.

교수(校獸)는 사자, 교화(校花)는 개나리, 교조(校鳥)는 비둘기, 상징색은 한양 블루[8]이다. 모체는 1939년 김연준이 설립한 동아공과학원이다. 1945년 광복 이후 교명을 건국기술학교로 바꾸었으며 1947년 재단법인 한양학원을 설립하여 한양야간공업대학으로 개편하였다가 1948년 한양공과대학으로 바꿨다. 1959년 종합대학으로 개편하면서 현재의 교명으로 개칭하였다. 법학전문대학원, 의과대학, 약학대학(ERICA)이 개설되어 있으며 부속 병원으로는 한양대학교병원을 두고 있다.

교훈은 사랑의 실천으로, 실용 학풍 정신과 더불어 지역 사회, 나라와 겨레, 나아가 인류를 위해 이바지하는 위대한 사랑의 실천자를 기른다는 것이 한양대학교의 건학 정신이다.

국문 약칭은 한대(漢大), 영문 약칭은 HYU이며 FM 구호는 애국한양(愛國漢陽)이다.

2. 소개

2.1. 건학 정신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e4a84><tablebgcolor=#0e4a84> 파일:한양대학교 로고(화이트).svg한양대학교
건학 정신
}}}
파일:external/hye.or.kr/con1-2.gif
애지실천(愛之實踐)[9][10]
한양대학교는 학교법인 한양학원이 운영하는 고등교육기관 중 하나인데[11], 한양학원의 건학정신은 사랑의 실천(애지실천, 愛之實踐)이다. 사랑을 이해하고 실천하여 근면, 정직, 겸손, 봉사할 수 있는 인간형성을 도모하고, 숭고한 학문정신을 드높여 지역 사회, 나라와 겨레, 나아가 인류를 위해 이바지하는 위대한 사랑의 실천자가 되자는 의미이다. 따라서 한양대학교의 FM을 애국한양으로 사용한다. 한양학원의 이와 같은 건학정신은 대한민국 교육기본법 제2조에 명시된 홍익인간의 이념에 입각한 개인의 인격 완성, 자주적 생활능력을 갖춘 공민으로서의 자질 함양, 그리고 민주국가발전에 봉사이며 인류공영의 이상 실현에 기여할 국민의 양성이라는 교육 목적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설립자 김연준 박사는 찬송가를 작곡했을 정도[12]로 매우 독실한 개신교 신자였지만, 학교법인 한양학원은 일반적인 학교 법인이다. 즉 한양대학교는 선교를 목적으로 설립된 미션스쿨이 아니라는 뜻. 다만 ITBT관에 채플이 있으며, ERICA는 독립건물 채플을 건축하여 각 캠퍼스에 교목실과 대학교회를 두고 있다. 교목실은 개신교의 교파를 막론한 교목들이 서울과 에리카에 상주하면서 교양수업, 신앙지도, 예배 등의 종교행사를 진행한다. 물론 채플 참석은 자율이고 한양대학교, 한양여자대학교, 한양사이버대학교의 구성원이 모여 연합채플로 운영한다. 이외에도 대학교회는 별도로 일요일 예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교목실 주관 사회봉사프로그램과 교양수업을 진행하여 학점을 부여한다. 그리고 이색적으로 한양대학교 입학식과 학위수여식, 교직원 퇴임식, 간호대학 나이팅게일 선서식 등 학교의 상징적인 의례 가운데 맺는 순서로 꼭 교목의 축도를 넣어 행사를 마무리한다. 이때 많은 구성원과 가족, 특히 학부모들이 한양대학교가 기독교 정신으로 설립된 대학이며 대학교회와 교목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 역대 교목실장: 초대 김장환, 2대 김영운, 3대 이천진
  • 역대 교목: 이영진, 정성욱, 오정현

2.2. 상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양대학교/상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본관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750호 751호 752호
윤희순 의병가사집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 고성 최동북단 감시초소

파일:본관20210511.jpg

좌측 건물이 신본관, 우측 건물이 구본관(1954년 완공)이다. 한양대역 2번 출구인 '애지문'에서 나오면 바로 이 건물들이 맞이해줄 것이다. 평범한 학생이라면 들어가 볼 일이 그다지 없는 건물들이지만, 그래도 졸업사진을 찍을 때는 미친 존재감을 발산한다. 가을철 본관 앞 광장에서 정장을 깔끔하게 입고 돌아다니는 사람들은 십중팔구 졸업사진 찍는 사람들일 것이다. 참고로 우측의 구본관은 한양대의 역사와 왕십리의 발전을 상징하는 건물로서 국가지정 등록문화재 제75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역사관으로 쓰이는 중이다. 구본관 옆에 자리한 신본관의 설계는 류춘수(건축 70년 졸)씨가 담당했다. 신본관과 구본관은 옆구리가 구름다리로 이어져있으며, 신본관 앞에 학교 설립자인 백남 김연준 박사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2009년경 까지는 구본관 사자상 주변에 조경이 꾸며져 있었다.[13]

3. 역사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울캠퍼스 학과별 역사에 대한 내용은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학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ERICA 학과에 대한 내용은 한양대학교/ERICA/학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 1939년 7월 백남 김연준(白南 金連俊) 박사[14]경성부 경운정 88번지(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운동) 천도교회관(현 수운회관)에서 토목과, 광산과, 건축과[15] 등 2년제 3개과로 동아(東亞)공과학원[16]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 공과대학) 설립함.
파일:external/www.hanyang.ac.kr/28a.jpg 파일:external/www.hanyang.ac.kr/28b.jpg
백남 김연준이 설립한 동아공과학원 정문 동아공과학원이 자리하고 있었던 천도교 기념관 전경
  • 1941년 동아고등공업학원으로 인가되어, 경성부 서대문정2정목 89번지(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2가) 피어슨 성경학원에서 토목과, 건축과 등 야간 3년제 2개 과로 개편함. 그러나 일제강점기 막바지인 1942년에 신입생 모집 중지령을 당하고 1944년에 폐교됨.
  • 1945년 8월 8.15 광복과 함께 교명을 건국기술학교로 재개교하였다. 전문부(야간, 3년제) 및 중등부(야간, 2년제) 설치. 전문부는 경성시 서대문정 2정목 89번지(현: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 피어슨 성경학원에서, 중등부는 경성시 수송동 81 수송전기학교에서 토목과, 건축과 등 2개 과로 개교.
  • 1946년 5월 재단법인 한양학원 설립. 소화공과학교를 인수, 건국기술학교 중등부와 병합하여 한양공업학교를 설립하였음.
  • 1947년 12월 건국기술전문학교, 한양공업대학관으로 승격. 토목, 건축, 전기, 기계 등 야간 2년제 4개 과 설치되었음.
  • 1948년 7월 한양공과대학으로 승격하여(4년제 정규대학으로 승격) 한국 유일의 민립공과대학으로 출발하였다.
  • 1953년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 산8-2번지(現 서울캠퍼스 위치)로 교지 이전 및 교사 신축. 기존 신당동 부지는 한양공업고등학교가 사용하고 있다.
  • 1959년 2월 종합대학인 한양대학교로 승격, 3개 단과대학(공과대학, 정경대학, 문리과대학) 19개 학과 정원 1,920명 및 2부대학, 대학원 체제 구성
    파일:external/www.hanyang.ac.kr/52b.jpg

    종합대학교로 승격한 한양대학교 교기
  • 1972년 5월 의과대학 부속병원 개원
  • 1979년 1월 안산에 반월분교 설립(現 한양대학교 ERICA)
  • 1980년 3월 반월분교를 제2캠퍼스로 명칭 변경
  • 1987년 3월 제2캠퍼스(現 한양대학교 ERICA)를 안산캠퍼스로 명칭 변경
  • 1994년 12월 국내 대학 최초 사회봉사단 창단
  • 1995년 7월 한양대 의료원 제2부속병원 개원(구리병원)
  • 2001년 6월 한양종합기술연구원(HIT) 설립
  • 2003년 12월 산학협력단 설립
  • 2008년 9월 국내 최초 한양대학교 기술지주회사 'HYU 홀딩스'# 설립
  • 2009년 7월 국내 최초 글로벌기업가센터 설립
  • 2009년 12월 안산캠퍼스를 ERICA캠퍼스로 명칭 변경
  • 2010년 7월 ERICA캠퍼스에 약학대학 신설
  • 2012년 5월 국내 대학 최초 동문사회봉사단 '함께한대'# 출범
  • 2019년 7월 역사관(구 본관) 등록문화재 제751호 지정

3.1. 역대 총장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e4a84><tablebgcolor=#0e4a84>  파일:한양대학교 로고(화이트).svg한양대학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e4a84);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회수 재임기간 성명 소개
초대 1948년 07월 ~ 1973년 05월 김연준 학교법인 한양학원 설립자, 연희전문학교 졸업
2대 1973년 05월 ~ 1973년 08월 이해남 부산대학교 문학 박사, 서양사학자
3대 1973년 08월 ~ 1975년 02월 이병희 도쿄제국대학 의학사, 의학자(생리학)
4대 1975년 03월 ~ 1980년 07월 김연준 2번째 역임
5대 1980년 08월 ~ 1985년 02월 이병희 2번째 역임
6대 1985년 02월 ~ 1989년 02월 한상준 유타 대학교 이학 박사, 화학자(물리화학)
7대 1989년 02월 ~ 1993년 02월 이해성 한양대학교 공학사, 건축가(건축학)
8대 1993년 03월 ~ 2011년 03월 김종량 컬럼비아 대학교 교육학 박사, 설립자 김연준의 장남, 학교법인 한양학원 이사장[17]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2011년 03월 ~ 2015년 02월 임덕호 라이스 대학교 경제학 박사, 경제학자(도시경제학), 최초의 ERICA 교수 출신 총장[18]
14대 2015년 03월 ~ 2019년 2월 이영무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공학 박사, 공학자(고분자화학[19])
15대 2019년 03월 ~ 2023년 2월 김우승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공학 박사, 공학자(기계공학), 前 ERICA캠퍼스 부총장
16대 2023년 03월 ~ 이기정 미네소타 대학교 언어학 박사, 영문학자
}}}}}}}}} ||

4. 캠퍼스

파일:한양대 캠퍼스 위치.png
파일:한양대학교_2016_요트.jpg

4.1.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에 위치하고 있다. 1939년 개교이래 종로와 신당동을 오가다가 1953년 현 위치에 자리를 잡았다. 본관이 행당동 소재여서 그런지 과거에 행당캠퍼스라고 불리기도 하였지만[20] 현재 정식명칭은 아니다.

2024년 현재 학부에는 공과대학, 의과대학, 인문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정책과학대학, 경제금융대학, 경영대학, 사범대학, 생활과학대학, 음악대학, 예술·체육대학, 국제학부, 간호대학, 산업융합학부가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대역사관.jpg
파일:정몽구센터.jpg
파일:한대경영행원파크.jpg
파일:한대대운동장.jpg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전경

4.2. ERICA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에 위치하고 있다. 1978년 10월, 현재의 주소지에 반월분교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이후 명칭이 반월캠퍼스, 제2캠퍼스를 거쳐 1987년 3월 안산캠퍼스로 바뀌었다가, 2009년 12월부로 ERICA 캠퍼스로 개명하였다.

2015년 서울캠퍼스와 재정을 분리하여, 교비를 독립적으로 운영을 하고 있다.

2024년 기준 학부에는 공학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약학대학, 과학기술융합대학, 국제문화대학, 언론정보대학, 경상대학, 디자인대학, 예체능대학으로 총 9개의 단과대학과 43개의 학부 및 학과로 이루어져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양대학교/ERIC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세계대학평가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e4a84><tablebgcolor=#0e4a84>  파일:한양대학교 로고(화이트).svg한양대학교
세계 대학 순위
}}}
<colbgcolor=#0E4A84><colcolor=#fff> 연도 QS QS(ASIA) THE ARWU CWUR USN & WR CWTS P(10%) Nature Index
2020 150위 - 351-400위 201-300위 323위 434위 292위 250위
2021 146위 - 351-400위 201-300위 316위 440위 277위 305위
2022 156위 24위 351-400위 201-300위 307위 448위 282위 300위
2023 157위 24위 401-500위 201-300위 312위 441위 270위 295위
2024 164위 26위 301-350위 301-400위 316위 445위 - 300위
2025 162위 19위 251-300위 - - - - -
※ 표 안에 있는 순위 중 최고 순위를 굵게 처리함

6. 국내 평가

6.1. 중앙일보 대학평가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e4a84><tablebgcolor=#0e4a84> 파일:한양대학교 로고(화이트).svg한양대학교
중앙일보 대학평가 순위
}}}
연도 '13 '14 '15 '16 '17 '18 '19 '21[21] '22 '23 '24
서울 7위 7위 3위 2위 3위 3위 3위 3위 4위 4위 5위
ERICA 12위 17위 8위 8위 9위 9위 10위 10위 14위 14위 16위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e4a84><tablebgcolor=#0e4a84> 파일:한양대학교 로고(화이트).svg한양대학교
중앙일보 이공계열 대학평가 순위
}}}
연도 '16 '17 '18 '19 '21[22] '22 '23 '24
공학 계열 2위 3위 4위 6위 4위 3위 3위 3위
기초과학 계열 - 6위 6위 6위 8위 8위 7위 8위

2013년부터 분교 ERICA 캠퍼스가 본교 서울캠퍼스와 분리되어 평가를 받기 시작하였다. 국내 유일하게 2015년부터 본교와 분교 모두 톱 10에 들어온 종합대학이다.

ERICA의 객관적인 대외 평가를 받아보자는 학내 여론에 따라, 2013년도부터 서울캠퍼스와 분리 평가를 받았다. 분리 평가를 받은 첫 해인 2013년 ERICA는 12위에 올랐다. 2015년에는 중앙대학교와 함께 전국 대학 종합 순위 공동 8위에 올랐다.[23] 2016년 평가에서는 경희대학교와 함께 전국 대학 종합 순위 공동 8위에 올랐다. [24] 2017년 평가에서는 단독 9위에 올랐다. 2018년에도 단독 9위[25] 2019년에는 단독 10위 , 2021년에도 10위 [26]에 올라서 6회연속 TOP 10에 들었다.

행정적으로 일반대학원이 서울캠퍼스 소속으로 운영되므로 ERICA 소속 교수들의 연구 실적이 서울캠퍼스에 귀속되어, ERICA의 평가가 정확히 이뤄지지 않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8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8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6.2. 한경 이공계 대학평가

이공계 대학 평가는 '과학기술 인재 양성으로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자'는 취지에서 한국경제가 실시하는 평가이다. 전국 50개 대학을 대상으로 교육의 질, 연구의 질, 산학협력 및 기술 실용화, 창업 및 취업 지원 등 네 개의 부문을 평가한다.
<rowcolor=#fff> 연도 '16 '17 '18 '19 '20 '21
한양대 1위 1위 3위 2위 4위 4위

6.3. 대학구조개혁평가

2015년에 교육부에서 진행한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본교 서울캠퍼스와 분교 ERICA 캠퍼스가 나란히 A등급(최우수)을 받았다. 본교와 분교 모두 A등급을 받은 대학교는 한양대학교가 유일하다.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도 본교 서울캠퍼스, 분교 ERICA 모두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2020년 대학혁신지원사업 1차년도 연차평가에서도 본교 서울캠퍼스, 분교 ERICA 캠퍼스가 수도권 권역에서 A등급으로 선정되었다.

6.4. 대한민국 사립대학 사회책임지수

대학사회책임지수는 르몽드 디플로마티크·한국사회책임네트워크·한국CSR연구소가 공동으로 기획·시행한 사립대학 종합평가다. 대학으로서 공공성을 높이고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을 다 하겠다는 대학 의지를 표현하고 대학의 책무를 지역민들과 함께하기 위한 것이으로 대학이 학생과 교수, 교직원, 지역사회를 위한 사회적 기관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교수와 학생이 수업시간에 소통할 수 있는 여건, 비정규직 비율 등 소통과 상생의 관점에서 지표화한 평가다.

2019년도 평가에서 한양대는 1000점 만점에 690.73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노동(100)·인권(100)·학생(250)·지역사회(150)·환경(100)·공정성(150)·거버넌스(150) 등 총 7개 분야에서 평가했고, 한양대는 인권(B), 공정성(D)를 제외한 나머지 5개 부문에서 모두 A+ 획득했다.

6.5. 교육복지지원 실태평가

국립특수교육원에서 343개 대학의 423개 캠퍼스 대상으로 실시한 '2020 장애대학생 교육복지지원 실태평가'결과에서 29개 대학, 39개 캠퍼스(9.2%)만 최우수 평가를 받았다. 그 중에서도 한양대 서울캠퍼스와 ERICA는 모두 최우수 평가를 받았다. #

7. 교통

8. 학사 제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양대학교/학사제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실용 학풍

학교법인 한양학원의 교육과 연구는 실용 학풍(Pragmatic Academia, 實用學風)을 지향한다. 실용 학풍은 시대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뿐 아니라 시대를 앞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교육과 연구를 통해 실질적으로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정신이다.

이러한 기치 아래 설립자 백남 김연준 박사는 '전문쟁이'를 양성하는 기술 교육이 곧 나라와 민족을 살리는 길"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기술보국의 정신을 내세웠다. 이는 실용 학풍으로 이어져 산업화와 현대의 기술 경영 시대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대거 배출하는 원동력이 된 것이다. 공대에서 시작한 실용 학풍은 종합대학 승격 이후 인문사회 계열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9.1. 한양공대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홍보 영상[27] 한양대학교 아트테크놀로지[28]
技術保國(기술보국)
기술로 나라를 구하라
설립자 백남 김연준

한양대학교의 시초는 동아공과학원으로 1939년 개교 이후 1959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기 이전까지 대한민국의 유일한 사립 공과대학이었던 덕에 한양공대로 유명하다. 박정희 대통령이 경부고속도로 건설현장에서 "이거 죄다 한양공대 판이구만"이라고 한 유명한 일화가 있다.

공대의 위상이 학내에서도 높다. 다른 대학들과 다르게 학교 공식 웹사이트에서의 단과대 소개 순서에서도 공대가 제일 첫번째로 등장한다.[29] 공대의 규모가 상당히 큰데, 전체 입학 정원을 살펴봐도, 공과대학 및 공학대학의 정원이 다른 단과대학 정원보다 훨씬 많다.

그 영향 때문인지 전체 학생 남녀 성비에서도 남자 비율이 더 높다. 서울캠퍼스의 공과대를 예를 들면, 다른 학과의 성비를 살펴보면 상경계열(경제금융대학, 경영대학)은 남녀비율이 대략 3:1 정도이고, 역시 인문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은 1:1 혹은 여자가 약간 많은 정도이다.[30] 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으니 사범대학음악대학이다. 실제로 사범대학의 경우에는 여초 현상이 두드러진다. 중간중간에 남성의 비율이 두드러지게 높아지는 경우(수학교육과가 해당된다.)도 존재하지만 대개는 여학생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대략 어림잡아도 남녀비율은 1:3 정도로 보인다.
파일:한양대_미자공4.jpg
파일:한양대_미자공3.jpg
서울캠퍼스 공과대학 미래자동차공학관
파일:CR_Sample.jpg
파일:한양대_HIT.gif
서울캠퍼스 FTC(퓨전테크센터) 서울캠퍼스 HIT(한양종합기술연구원)
파일:5공입구.jpg
파일:한양 에리카_연구소.jpg
ERICA 공학대학 제5공학관 ERICA 소재 LG이노텍 연구소 및 정부출연 연구원

9.2. 고시반

실용 학풍을 내세우고 있는 한양대학교 이과에 공대가 있다면, 문과에는 고시반이 있다. 그렇다고 고시반에는 문과계열 학생들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과생이 주로 응시하는 기술고시변리사시험 준비생들을 위한 기술고시반과 변리사시험반도 운영되고 있다. 소속학과와 무관하게 일정 수준의 자격을 갖추면 고시반에 입반할 수 있다.

한양대학교 고시반은 전국 최초의 고시반으로 전국 대학의 고시반 중 역사가 제일 깊다. 따라서 고시반 운영에 관한 노하우가 많이 쌓여 있다.[31] 그 결과 한양대학교는 특히 문과계열 정원이 상대적으로 상당히 적은 편임에도 각종 고시에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가령 사법시험에서는 2012년과 2013년에 전국 대학 중 4위를 차지한 데 이어, 2014년에는 3위의 성적을 거두었으며 2015년 수석 합격자를 배출했다. 또한 행정고시에서는 2013년과 2014년 2년 연속으로 단독 4위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후 2016년, 2018년에도 4위를 하였다. 2015년, 2017년, 2019년에는 5위의 성적을 올렸다. 변리사시험에서는 2014년에 공동 2위의 성과를 거두었다. 그리고 기술고시에서는 2016년 1위, 2017년 2위, 2019년, 2020년에는 연속 2위를 차지하는 등 매해 1위 ~ 4위권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서울캠퍼스의 경우 공인회계사반 관형재는 서울캠퍼스 경영대학 B2층에 위치해 있다. 입반시 주요혜택으로는 장학식권,기숙사 무료 제공(성적순),분기별 강의 지원, 1인 1학습실 제공, 월별 모의고사, 지문 인식 출석 시스템과 벌점제도 등을 통한 면학분위기 관리 등이 있다. 공인회계사 동문회인 디딤돌에서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어 얼마 전 고시반 시설을 전면 교체하였다. 덕분에 타학교 대비 적은 상경계열 인원에도 꾸준히 좋은 성과를 내고있다.

9.3. 창업가 정신

한양대는 학생의 아이디어를 실제 창업으로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이 잘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학교의 지원 및 동문 네트워크가 탄탄하다는 평가가 있다.

기술보증기금이 벤처인증기업 대표 1만여 명을 조사한 중앙일보 '2015 대학평가'에 따르면, 벤처 창업자 출신 대학을 분석한 결과 한양대가 534명으로 가장 많았다. # 벤처기업협회의 '벤처기업인의 출신 대학 현황(누적)'에 따르면, 한양대는 벤처기업 최고경영자(CEO)를 203명 배출해 1위를 기록하였다.# 경영전문지 월간 현대경영 2015년 국내 100대 기업의 CEO 13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양대는 4위를 기록하였다.#

한양대학교의 벤처·창업 지원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한양대 창업지원단을 운영하고 있다. 2020년 7월부터 국내외 창업전문가 100명을 위촉, 예비창업자 및 초기 스타트업의 스케일업(Scale-up)을 위한 전(全)방위적 멘토링 지원한다. 원스톱 창업상담실은 창업을 준비 중인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며, 창업상담실(02-2220-3000) 전화 또는 카카오톡 채널 '한양스타트업톡톡'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아이디어 팩토리(Idea Factory)라는 대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실험하고 구현해 사업화로 연계할 수 있는 개방형 제작공간이 존재한다. 아이디어 팩토리는 미국 MIT의 팹랩(Fab Lab), 실리콘밸리의 테크숍(Tech Shop)과 같은 대학 속 창의공간이다. 2015 산학협력 엑스포에서 '창업교육 우수대학 교육부장관상'을 국내 대학 최초로 수상했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원하는 2015년 아이디어 팩토리사업에 선정되어 3년간 9억원을 지원받게 됐다.#

10. 커뮤니티 사이트

10.1. 한양위키

파일:한양위키.png
한양위키 소개 영상 한양위키 로고
한양위키는 한양대와 관련한 모든 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공유하는 교내 온라인 백과사전이다.

11. 언론 기구

11.1. 한대신문 및 한양저널

파일:external/www.hanyang.ac.kr/logo_hup.gif
파일:external/www.hanyang.ac.kr/logo_hj.gif
한대신문# 한양저널#
학생처 언론행정팀 소속으로 한대신문은 빛나는 예지, 힘찬 붓줄기, 한양대학교 대표 신문으로 주간지이다. 매년 개최되는 문예상을 주관한다. 한양저널은 영자신문사이다. 한대신문과 한양저널 모두 양 캠퍼스 통합 운영하고 있다.

11.2. 방송국

파일:external/www.hanyang.ac.kr/logo_hubs.gif
파일:external/www.hanyang.ac.kr/logo_voh.gif
서울캠퍼스 HUBS# ERICA VOH#
학생처 언론행정팀 소속으로 방송국의 경우, 각 캠퍼스 별로 운영된다. 서울캠퍼스의 HUBS(Hanyang University Broadcasting Station)은 1960년에 HYBS 개국하여, 1967년 HUBS으로 개칭했다. ERICA는 VOH(Voice of Hanyang)으로 운영하고 있다. 매일 오전9시, 점심시간, 오후 5시에 정규방송을 하며 교가를 틀어준다. 이 쪽에서 활동하는 학생들은 직급에 따라 미디어 장학금을 수여받는다.

11.3. 교지

파일:external/www.hanyang.ac.kr/logo_kyoji.gif
파일:external/www.hanyang.ac.kr/logo_milmul.gif
서울캠퍼스 교지 한양# ERICA 교지 밀물#
총학생회 내에 '교지편집위원회'라는 독립된 기구로 운영된다. '기자' 대신 '편집위원'이라는 직함을 사용한다. 매 학기 납부하는 학생회비 만 원(ERICA는 9천원) 중 이천 원은 교지 제작비로 사용된다. 서울캠퍼스 교지 '한양'은 연 4회, 매 학기 개강과 종강에 맞춰(3,6,9,12월) 발간되고, ERICA 교지 '밀물'은 연 2회 발간한다.

11.4. 기타 단과대 소속

  • 한양공대신문 - 서울캠퍼스 공과대학 유일의 자치언론
  • 경금신문 - 서울캠퍼스 경제금융대학 언론
  • 경영신문 - 서울캠퍼스 경영대학 언론

11.5. 홍보 매체

총장 직속 미디어전략센터(구 대외협력처 홍보팀)에서 관할한다.
  • 뉴스H(구 인터넷한양)# - 양 캠퍼스 통합 운영, 학교 홈페이지에 개제되는 기사 작성
    2016년 9월 홈페이지 개편 이후 학교 홈페이지의 뉴스 카테고리에 기사가 개제된다. 주의할 점은 뉴스H 외의 매체에서 작성한 기사들도 올라온다는 점. 학교 직원이 올리는 기사, 사랑한대 등 다양한 매체의 기사들이 혼재돼있다. 뉴스H의 기사는 기자 본인의 이름으로 올라오니 이를 통해 구별하면 된다.
  • 채널H# - 교내 엘리베이터 내 TV에 나오는 행사·홍보 영상 제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hanyang.ac.kr/logo_chh.gif}}} ||
    홍보 영상 채널H 로고

    채널H는 미디어전략센터에서 운영하는 한양대학교 대표 멀티미디어(사진, 동영상) 매체로, 대학 내 주요 행사 취재, 기획영상 제작, 학생기자단 운영 등을 통해 대학의 비전 및 발전상을 홍보하고 있다. 여담으로, 해커스 미녀 토익강사로 알려진 원정의 강사는 한양브랜드서포터즈 및 채널H 출신이다.
  • 한양브랜드서포터즈#
    한양브랜드서포터즈는 미디어전략센터 소속 단체로, 한양의 가치를 만들고 소통하는 재학생들의 모임이다. 지난 2013년 창단해 학교의 브랜드 강화를 위한 활동을 기획하고 실행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양대브랜드서포터즈 로고.jpg}}} ||
    홍보 영상 한양브랜드서포터즈
  • HY ERICA#
    HY ERICA(하이에리카)는 한양대학교 ERICA 대외협력팀에 소속된 ERICA의 대표 매거진으로, 다른 한양대학교 통합 언론 및 홍보 매체와 달리 ERICA만의 다양한 소식을 다루는 매거진 및 웹진이다. 매해 봄, 여름, 가을, 겨울 시즌마다 매거진을 출판한다.
  • 홍보대사 사랑한대
    대학 주관 행사 및 의전활동, 캠퍼스투어 등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서울캠퍼스와 ERICA의 홍보대사 명칭은 같으나 통합운영이 아닌 분리운영되고 있다. 명칭은 사랑한대이고, 2005년에 1기 활동을 시작했다. ERICA 사랑한대에 관한 내용은 이 문서 참고.

12. 응원단 루터스

||<-3><tablealign=center><bgcolor=#0e4a84><tablewidth=60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tablebordercolor=#0e4a84><tablebgcolor=#0e4a84> 파일:한양대학교 로고(화이트).svg||
한양대학교 응원단 RHooters
Hanyang University Cheering Group RHooters
||
||
파일:한양대 루터스 2023 로고.jpg
RHooters 로고
<colbgcolor=#0e4a84> 슬로건 RACHIOS, CHEER for Hanyang
소속 학생처
창단 1976년
응원단장 박서영 (중어중문 22)
소재지 서울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행당동,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노천극장 B1층)
ERICA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사동, 한양대학교 ERICA 학생회관 5층)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한양대 응원단의 명칭은 루터스(RHooters)이다. 양 캠퍼스 응원단이 통합 운영되고 있다. 루터스는 '한양' 글자가 새겨진 파란 단복을 입고서 입학식이나 각종 행사, 축제 등에서 학생들과 함께 응원가를 부르거나 응원가에 맞춰 공연한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e4a84>
||
||
RHooters 훈련 및 공연 - ERICA 한대방송국 다큐멘터리 서울캠퍼스 2024라치오스:파도 응원제전

응원단 RHooters는 양 캠퍼스 1학기 동아리 가두모집 때 새내기에 한하여 신입 단원을 모집하는데, 지원 후 각종 면접 심사에서 통과해야 비로소 입단할 수 있다. 응원단은 캠퍼스 구분 없이 총 1개 팀으로 구성되며, 그 안에 서울캠퍼스 학생과 ERICA 학생이 일정 비율로 소속되어 있다. 루터스는 양 캠퍼스 교내 행사나 축제뿐만 아니라 타 학교 또는 외부 행사 찬조공연도 많이 가기 때문에 상시로 안무 연습을 하거나 훈련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안무 연습 및 훈련은 서울캠퍼스 노천극장 지하 응원단 연습실, ERICA 예체능대학 체육관 및 Lion's Hall에서 실시한다.

루터스 인스타그램에 매월 게시되는 'Monthly RHooters'를 통해 루터스가 한 달간 활동한 이력을 요약해 보여준다. 공연뿐만 아니라 MT, 단내행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서 선후배 사이가 끈끈한 모습을 볼 수 있다.

12.1. 응원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양대학교/응원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양을 위하여 라치오스
가리워진 길 P.O.H (Pride Of Hanyang)

한양대학교에는 흥이 나면서도 따라부르기 쉬운 응원가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축제기간 중 학생들의 응원제 참여와 떼창도 매우 활발한 편. 상세한 응원가 정보는 응원가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13. 총동문회

한양대학교 총동문회#는 2014년에 동문 수가 28만 명에 이르렀다.# 한양대학교 동문은 서울캠퍼스와 ERICA 구분없이 졸업하고 연회비 및 종신회비를 납부하면 한양대의료원, 검진센터, 장례식장 이용 시 혜택을 받을 수 있다.[32] 또한 GS칼텍스 한양가족보너스카드를 발급받아 주유 할인 및 포인트 적립 혜택을 받을 수 있다.[33] 매달 동문회보가 발행되어 받아 볼 수 있다.

2023년 중국 상하이 유학생 동문회가 결성되었다. 이는 국내 대학 중 처음으로 해외 유학생 동문회를 공식적으로 출범한 것이다. 화동지역 상하이 동문회 창립을 시발점으로 베이징 등 중국 전역은 물론 다른 국가로도 동문회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14. 한양학원

한양대학교의 재단

14.1. 재정

2022년 기준 학생 1인당 2340만 7900원을 투자하고 있으며, 전체 4년제 대학 평균인 1775만 4500원보다 높은 수준이다. #

14.2. 한양대학교의료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양대학교의료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관련 문서

16. 둘러보기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화이트).svg 학교법인 한양학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교육 유아 <colbgcolor=#ffffff,#191919>한양여자대학교 부속유치원
초등 한양초등학교
중등 한양중학교 ·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 한양공업고등학교 ·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고등 한양대학교 (서울 · ERICA) · 한양여자대학교 · 한양사이버대학교
산하 기관 한양대학교의료원 (서울병원 · 구리병원 · 류마티스병원 · 국제병원)
산하 법인 한양증권 · 한양산업개발 · 백남관광
}}}}}}}}} ||

대한민국의 개신교 산하 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감리회, 그리스도의교회, 루터교회, 성공회 산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감리회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
파일:감리교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감리교신학대학교
파일:목원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목원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신대원
연세대학교[1]
파일:협성대학교 UI.svg
신대원
협성대학교
감리회 계열 초교파[2]
파일:남서울대학교 UI.svg
남서울대학교
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배재대학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이화여자대학교
[1] 감리회 계열과 장로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2] 재단이 감리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연세대, 이화여대, 배재대는 재단과 별개로 신학대학원이 KAICAM과 인준하였다.
그리스도의교회 그리스도의교회교역자협의회
(무악기파)
그리스도의 교회협의회
(유악기파)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강서대학교
파일:서울기독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기독대학교
파일:동서대학교 로고.svg
동서대학교
루터교회 기독교한국루터회(기루)
파일:루터대학교 UI.svg
신대원
루터대학교
성공회 대한성공회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신대원
성공회대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장로회 산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고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대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백석)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고신대학교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신대원
안양대학교
파일:백석대학교 UI.svg
신대원
백석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통합)
파일:대전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전신학대학교
파일:부산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부산장신대학교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장신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신대원
연세대학교[4]
파일:영남신학대학교 교표.svg
신대원
영남신학대학교
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장로회신학대학교
파일:한남대학교 UI.svg
신대원
한남대학교
파일:한일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일장신대학교
파일:호남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호남신학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피어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한영글로벌)
한국기독교장로회
(기장)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평택대학교
파일:서울한영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한영대학교
파일:한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합동)
파일:광신대학교 UI.svg
신대원
광신대학교
파일:대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신대학교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총신대학교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신대원
칼빈대학교
장로회 계열 초교파[5]
파일:경성대학교 UI.svg
신대원
경성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
파일:전주대학교_심볼.svg
전주대학교
파일:창신대학교 UI.svg
창신대학교
[4] 장로회 계열과 감리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5] 재단이 장로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연세대, 경성대, 한남대는 재단과 별개로 신학대학원이 KAICAM과 인준하였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성결교회, 오순절교회, 침례회, 재림교회, 초교파 산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성결교회 기독교대한성결교회
(기성)
대한기독교나사렛성결회
(나사렛/나성)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예성)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신학대학교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신대원
나사렛대학교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신대원
성결대학교
오순절교회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기하성)
파일:한세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한세대학교
파일:순복음총회신학교 UI.svg
순복음총회신학교[3]
[3] 학사학력 인정 각종학교.
재림교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재림)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신대원
삼육대학교
침례회 기독교한국침례회
(기침)
침례회 계열
초교파
[6]
파일:한국침례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한국침례신학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6] 재단이 침례회 계열이지만 어떤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초교파 한국독립교회선교단체연합회(KAICAM)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계명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명지대학교
파일:아신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아신대학교
파일:한국성서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한국성서대학교
파일:호서대학교 UI.svg
신대원
호서대학교
無교단 초교파[7]
파일:강남대학교_UI.svg
신대원
강남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파일:예수대학교 UI.svg
예수대학교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7]: 어떤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개신교 성향 대학
}}}}}}}}} ||
신대원
: 해당 교단의 목사를 양성하는 신학대학원 목회학과 설치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대한민국의 침례회 산하 고등교육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기독교한국침례회
(기침)
한국성서침례친교회
(성침)
세계베뢰아교회연합[◆]
(세배연)
파일:한국침례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한국침례신학대학교
파일:성침대 UI.jpg
신대원
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
파일:베뢰아국제대.jpg
신대원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침례회 계열 초교파[7]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
파일:한양사이버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사이버대학교
[◆] 이단 시비가 있는 성락교회 김기동 목사를 지지하는 교단.
[7] 재단이 침례회 계열이지만 어떤 교단에도 소속되어 있지 않은 학교.
,
}}}}}}}}} ||

파일:중소벤처기업부 흰색 MI.svg
창업중심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5f5f5,#003764> 대학교 <colbgcolor=#fff,#003764>2022년 선정<colbgcolor=#fff,#191919>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파일:호서대학교 UI.svg 호서대학교 ·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
}}}}}}}}}


파일:3cdd7f0dcd76b.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000> 수도권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 ·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 ·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 파일:신한대학교 UI.svg · 신한대학교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ERICA)
관동권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미래) ·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 파일:한림1.png 한림대학교
호서권 파일:건양대학교 UI.svg 건양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세종)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 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배재대학교 · 파일:선문대학교 심볼마크.svg 선문대학교 · 파일:순천향대학교 교표.svg 순천향대학교 · 파일:우송대학교 심볼.svg 우송대학교 ·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 파일:호서대학교 UI.svg 호서대학교
동남권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동서대학교 심볼.svg 동서대학교 ·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대경권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 ·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안동대학교 ·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호남권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사업 종료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 ·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특화트랙(중·소규모대학), : 재선정 대학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인공지능대학원협의회 로고.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5f5f5,#000> AI대학원
(연구 중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서울) · 파일:GIST_emblem.svg 광주과학기술원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서울) · 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서울)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AI융합혁신대학원
(산학협력 중점)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ERICA)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심볼.svg 전남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링크플러스 로고.svg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LINC+)
2차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육성사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125FA5> 회원대학 <colbgcolor=#125FA5> 산학협력 고도화형 본사업 <colbgcolor=#fff,#191919>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서울)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ERICA)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강릉원주대학교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안동대학교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미래)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GLOCAL)
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파일:선문대학교 심볼마크.svg 선문대학교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한국교통대학교
파일: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기술교육대학교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한밭대학교파일:한서대학교 UI.svg 한서대학교파일:호서대학교 UI.svg 호서대학교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창원대학교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한국해양대학교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군산대학교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목포대학교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파일:전주대학교_교표.svg 전주대학교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
산학협력 고도화형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서울)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ERICA)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서울)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안동대학교
파일:건양대학교 UI.svg 건양대학교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파일:선문대학교 심볼마크.svg 선문대학교파일:순천향대학교 UI.svg 순천향대학교
파일:우송대학교 심볼.svg 우송대학교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파일: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기술교육대학교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한밭대학교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목포대학교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순천대학교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파일:전주대학교_교표.svg 전주대학교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파일:상명대학교 교표1.svg 상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평택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파일:위덕대학교 UI.svg 위덕대학교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배재대학교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파일:세명대학교 로고.svg 세명대학교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파일:부산가톨릭대학교 심볼.svg 부산가톨릭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파일:신라대학교 교표.svg 신라대학교파일:영산대학교 심볼.svg 영산대학교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목포해양대학교파일:경민대학교 교표.svg 경민대학교파일:경복대학교 엠블럼.svg 경복대학교파일:대림대학교 UI.svg 대림대학교파일:동양미래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미래대학교파일:부천대학교 심볼.svg 부천대학교파일:유한대학교 UI.svg 유한대학교파일:인하공업전문대학 UI.svg 인하공업전문대학
파일:재능대학교 심볼.svg 재능대학교
''''
''
LINC+ (2017~2021)
''
''''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링크3.0 로고.svg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LINC 3.0 / 일반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25FA5> 회원 대학(일반대)
유형
구분 대학명
기술혁신선도형
(13개교)
<colbgcolor=#d3d3d3,#383b40><colcolor=#191919,#fff>
수도권 (3개교)
<colcolor=#373a3c,#ddd>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서울)
지방 (10개교)
수요맞춤성장형
(53개교)
수도권 (12개교)
충청권 (10개교)
호남제주권 (9개교)
대경강원권 (12개교)
동남권 (10개교)
협력기반구축형
(10개교)
수도권 (2개교)
숙명여대, 인천대
지방 (8개교)
''''
''
LINC 3.0 (2022~2027)
''
''
''
}}}}}}}}} ||

파일: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4-2029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30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파일:한국공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2020학년도 기준
<rowcolor=#fff>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가천대학교 O - - 워싱턴 가톨릭대학교 O - - 워싱턴
강릉원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강원대학교 O - - 워싱턴
거제대학교 - - O 시드니 건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남대학교 O O - 워싱턴 경복대학교 - - O 더블린
경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상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경성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일대학교 O - - 워싱턴
경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계명대학교 O O - 워싱턴
고려대학교 O - - 워싱턴 국립공주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광운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구미대학교 - - O 더블린
국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군산대학교 O - - 워싱턴
국립금오공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죽전)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천안) O - - 서울/워싱턴 대구대학교 O - - 워싱턴
대덕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대진대학교 O - - 워싱턴
동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국대학교(WISE) O - - 워싱턴
동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서대학교 O - - 워싱턴
동서울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동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아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원대학교 - - O 시드니
동의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동의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두원공과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마산대학교 - - O 더블린
명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목원대학교 O - - 워싱턴
목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부경대학교 O - - 워싱턴
부산대학교 O O - 워싱턴 백석대학교 - O - 서울
상명대학교(서울) - O - 서울 상명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상지대학교 O - - 워싱턴 서강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영대학교 - - O 더블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울대학교 O - - 워싱턴 서울시립대학교 O - - 워싱턴
선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균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세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수원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숙명여자대학교 - O - 서울
순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순천향대학교 O - - 워싱턴
숭실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신라대학교 O - - 워싱턴
아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아주자동차대학교 - - O 더블린
국립안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연성대학교 - - O 시드니
연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이공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영진전문대 - - O 더블린
울산과학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울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원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이화여자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천대학교 O - - 워싱턴
인하대학교 O - - 워싱턴 전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한라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조선대학교 O O - 워싱턴 중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창원대학교 O - - 워싱턴 청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경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공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교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외국어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항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국립한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성대학교 O - - 워싱턴
한신대학교 O - - 워싱턴 한양대학교 - O - 워싱턴
한양대학교 ERICA - O - 워싱턴 호남대학교 O - - 워싱턴
호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호원대학교 - O - 서울
홍익대학교(서울) O O - 서울/워싱턴 홍익대학교(세종) O - - 워싱턴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AACSB_Accredited_세로.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인증 현황 #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파일:SKKU_Emblem.svg
건국대학교 경북대학교 고려대학교 동국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파일:우송대학교 심볼.svg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파일:UNIST_emblem.svg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세종대학교 우송대학교 연세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 이화여자대학교 인하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파일:KAIST_emblem.svg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중앙대학교 전남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
* 본교에 해당하는 경우 별도로 캠퍼스명을 기재하지 아니함.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EQUIS 로고.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국내 회원교 (2021년 6월 기준) 링크
대학 EQUIS 인증 상태 대학 EQUIS 인증 상태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O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O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파일:한국경영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humap.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1
<colcolor=#fff><colbgcolor=#0B6138>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colcolor=#000,#fff> 경남대학교 · 경희대학교 · 고려대학교 · 광주교육대학교 · 광주대학교 · 국민대학교 · 군산대학교 · 대구교육대학교 · 동서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목포대학교 · 목포해양대학교 · 부경대학교 · 부산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서울교육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아주대학교 · 연세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천대학교 · 제주대학교 · 포항공과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국립가오슝제일과기대학 · 국립대만대학 · 국립대만예술대학 · 국립대만해양대학 · 국립연합대학 · 국립윈린과기대학 · 국립자이대학 · 국립중앙대학 · 국립타이중교육대학 · 난타이과기대학 · 둥하이대학 · 슈더과기대학 · 징이대학 · 창룽대학 · 카이난대학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몽골과학기술대학교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국제경영농업기술대학교 · 다카 대학교 · 다포딜 국제대학교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베트남상매대학 · 호찌민 교육대학 · 호찌민 사범대학 ·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학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공업경영대학교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11월 10일 공과대학교 · 가자마다 대학교 · 다르마프르사다 대학교 · 반둥 공과대학교 · 붕 하타 대학교 · 사탸와차나 기독대학교 · 시아쿠알라 대학교 · 아이를랑가 대학교 · 우다야나 대학교 · 인도네시아 대학교 · 하사누딘 대학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간사이국제대학 · 고베가쿠인대학 · 고베국제대학 · 고베대학 · 고베쇼인여자학원대학 · 고베시간호대학 · 고베시외국어대학 · 고베신와대학 · 고베약과대학 · 고베여자대학 · 고베여학원대학 · 고베예술공과대학 · 무코가와여자대학 · 소노다학원여자대학 · 아시야대학 · 오테마에대학 · 유통과학대학 · 간세이가쿠인대학 · 코난대학 · 코난여자대학 · 코시엔대학 · 효고교육대학 · 효고대학 · 효고현립대학 · 히메지대학 · 히메지독쿄대학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광둥공업대학 · 광둥외어외역대학 · 난징대학 · 난카이대학 · 내몽골대학 · 닝보대학 · 다롄이공대학 · 다롄해사대학 · 둥베이사범대학 · 베이징공업대학 · 베이징대학 · 베이징사범대학 · 베이징외국어대학 · 베이징체신대학 · 상하이해양대학 · 쑤저우과기대학 · 쑤저우대학 · 쑤저우시립대학 · 연변대학 · 자오칭대학 · 저장대학 · 중국의과대학 · 중국인민대학 · 중산대학 · 지린대학 · 톈진공업대학 · 톈진외국어대학 · 푸단대학 · 하이난대학 · 하이난사범대학 · 홍콩중문대학 · 화난사범대학 · 화둥사범대학 · 후난과기학원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라차팟 수안두싯 대학교 · 수라나리 공과대학교 · 쭐랄롱꼰 대학교 · 치앙마이 대학교 · 타이니치 공과대학교 · 탐마삿 대학교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AMA 대학교 ·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 미리엄 칼리지 · 아시아 트리니티 대학교 · 어셤션 대학교 · 엔데룬 칼리지 · 필리핀 대학교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곤자가 대학교 · 세인트 마틴 칼리지 · 애리조나 대학교 · 에버그린 주립 칼리지 · 오거스타나 대학교 · 와이오밍 대학교 · 워싱턴 대학교 · 이스턴 워싱턴 대학교 · 일리노이 대학교/어배너-섐페인 캠퍼스 · 피츠버그 대학교 · 하와이 대학교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론드리나 주립대학교 · 파라나 연방기술교육센터 · 파라나 연방대학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퀸스 대학교
파일:UN기.svg 유엔
(코스타리카)
평화대학교
오세아니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와이카토 대학교 · 캔터베리 대학교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그리피스 대학교 ·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머독 대학교 · 서호주 대학교 · 선샤인 코스트 대학교 · 에디스 코완 대학교 · 커틴 대학교 ·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 퀸즐랜드 대학교 · 호주 노틀데임 대학교 · 호주해양대학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41414><tablebgcolor=#fff,#141414>
파일:한국항공우주학회 로고.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학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파일:공군사관학교 마크.svg공군사관학교 파일:GIST_emblem.svg 광주과학기술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순천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svg 충남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파일:한서대학교 UI.svg 한서대학교
기관
파일:국방과학연구소 CI.svg 국방과학연구소 파일:대한항공 심볼.png 대한항공 파일:한화 로고 세로형.svg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파일:한국기계연구원 심볼.svg 한국기계연구원
파일: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심볼.sv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세로.svg 한국항공우주산업 파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CI.svg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파일:항공안전기술원 심볼.svg 항공안전기술원 }}}}}}}}}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1px; margin-right: -11px; margin-top: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margin-top: -5px"
분야 대학명 담당
부처
<colbgcolor=#f5f5f5,#000> 미래형자동차 가천대학교, 경남대학교, 경성대학교, 경일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 단국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원광대학교, 인천대학교, 전북대학교, 청주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호서대학교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자원개발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부경대학교, 세종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수소산업 명지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숭실대학교, 아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온실가스감축 한국해양대학교, 건국대학교, 동아대학교, 아주대학교, 연세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이차전지 가천대학교, 부산대학교, 인하대학교
시스템반도체 가천대학교, 강남대학교, 경희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국립부경대학교, 국립한밭대학교, 국민대학교, 단국대학교, 대구대학교, 동국대학교, 명지대학교, 부산대학교, 삼육대학교, 선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숭실대학교, 아주대학교, 연세대학교, 울산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인제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북대학교, 중앙대학교, 청주대학교, 충남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호서대학교, 홍익대학교
바이오헬스 가천대학교, 국민대학교, 부산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우석대학교
신기술융합디자인 성균관대학교, 인천대학교, 청주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홍익대학교
AI반도체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숭실대학교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의료인공지능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아주대학교, 한림대학교 교육부, 보건복지부
디지털물산업 국민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세종대학교, 연세대학교, 충남대학교 대한민국 교육부, 환경부
그린리모델링 경북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교육부, 국토교통부
공간정보 경북대학교, 경희대학교, 남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안양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북대학교, 청주대학교
정보보안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지식재산 경북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민대학교, 군산대학교, 단국대학교, 대진대학교, 동국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삼육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신한대학교, 아주대학교, 안양대학교, 영남대학교, 인제대학교, 인하대학교, 제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청주대학교, 충남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남대학교, 한라대학교, 한서대학교 교육부, 특허청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1000026121.jpg
KOREA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회원교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건양대학교 UI.svg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순천향대학교 UI.svg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한국대학IR협의회 로고.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1C98A7> 회원대학 <colbgcolor=#1C98A7> 대학 <colbgcolor=#fff,#191919>파일:가야대학교 UI.svg 가야대학교 ·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 ·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 파일:남부대학교 UI.svg 남부대학교 ·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나사렛대학교 ·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 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 ·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 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 ·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 ·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 ·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 · 파일:서원대학교 UI.svg 서원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송원대학교 엠블럼.svg 송원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 파일:신라대학교 교표.svg 신라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 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 ·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유원대학교 UI.svg 유원대학교 ·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 파일:청운대학교 심볼.svg 청운대학교 · 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 ·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 파일:한경국립대학교 로고.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 ·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 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 · 파일:호원대학교 UI.svg 호원대학교
전문대학 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 · 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인여자대학교 ·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 ·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 ·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 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 춘해보건대학교 · 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 ·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 · 파일:한영대학교 UI.svg 한영대학교
대학원대학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91919><tablebgcolor=#191919>
파일:한국대학출판협회 로고.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성결대학교 UI.svg 성결대학교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장로회신학대학교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파일:한국침례신학대학교 UI.svg 한국침례신학대학교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파일:한국학중앙연구원 엠블럼.svg 한국학중앙연구원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n+1.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3785,#1919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1000026901.jpg
Korea University Sport Federation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회원교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 파일:강동대학교 UI.svg 강동대학교
파일:강릉영동대학교 UI.svg 강릉영동대학교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강릉원주대학교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파일:강원도립대학교 UI.svg 강원도립대학교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 파일:경동대학교 UI.svg 경동대학교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파일:경북전문대학교 엠블럼.svg 경북전문대학교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 파일:계명문화대학교 심볼.svg 계명문화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고신대학교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 파일:광주여자대학교 UI.svg 광주여자대학교 파일:구미대학교 UI.svg 구미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안동대학교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국립창원대학교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파일:국제대학교 심볼.svg 국제대학교 파일:군장대학교 UI.svg 군장대학교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나사렛대학교
파일:남부대학교 UI.svg 남부대학교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대경대학교 UI.svg 대경대학교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대구과학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파일:대덕대학교 UI.svg 대덕대학교
파일:대전과학기술대학교 UI.svg 대전과학기술대학교 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 파일:동강대학교 교표.svg 동강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 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
파일:동원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동원과학기술대학교 파일:동원대학교 UI.svg 동원대학교 파일:동의과학대학교 심볼.svg 동의과학대학교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 파일: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UI.svg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목원대학교 심볼.svg 목원대학교 파일:목포과학대학교 UI.svg 목포과학대학교
파일:문경대학교 UI.svg 문경대학교 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배재대학교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
파일:백석문화대학교 심볼.svg 백석문화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파일: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교표.svg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상명대학교 교표1.svg 상명대학교 파일:상지대학교 엠블럼.svg 상지대학교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선문대학교 심볼마크.svg 선문대학교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성결대학교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파일:세경대학교 UI.svg 세경대학교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파일:세한대학교 UI.svg 세한대학교 파일:송원대학교 엠블럼.svg 송원대학교 파일:송호대학교 UI.svg 송호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파일:순천향대학교 UI.svg 순천향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신성대학교 UI.svg 신성대학교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안동과학대학교 UI.svg 안동과학대학교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 파일:여주대학교 UI.svg 여주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파일:영산대학교 심볼.svg 영산대학교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 파일:울산과학대학교_UI.svg 울산과학대학교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위덕대학교 UI.svg 위덕대학교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파일:전주기전대학 UI.svg 전주기전대학
파일:전주대학교_교표.svg 전주대학교 파일:전주비전대학교 UI.svg 전주비전대학교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파일:제주한라대학교 UI.svg 제주한라대학교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파일:중원대학교 UI.svg 중원대학교
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 파일:초당대학교 UI.svg 초당대학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파일:충북보건과학대학교 UI.svg 충북보건과학대학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 한경국립대학교
파일:한국골프대학교 UI.svg 한국골프대학교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SAF소속대학 로고.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서울과학기술대학교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서울시립대학교 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isep.jpg
International Student Exchange Program Community
국제교환학생 프로그램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

[1] 한국 최초의 사립 공과대학으로 오늘날의 한양대학교 공과대학의 역사와 명성이 이곳에서 시작되었다.[2] 한양학원의 설립자[3] 사근동 일대에도 걸쳐져 있다.[4] 휴학생 6,182명, 학사학위취득유예학생 654명 미포함[5] 휴학생 3,760명, 학사학위취득유예학생 497명 미포함[6] 휴학생 1,064명 미포함[7] 휴학생 148명 미포함[8] Pantone 541C, C 91 M 59 Y 0, K32[9] 설립자 김연준 박사의 서체[10] 한양대학교를 위하여 박정희 대통령이 쓴 친필 휘호(1971.11.11) (이미지)[11] 한양학원이 운영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는 한양대학교 외에도 한양여대한양사이버대학교가 있다.[12] 구 찬송가 92장, 새 찬송가 398장에 수록되어 있는 '어둠의 권세에서'가 바로 김연준 박사가 작곡한 곡이다.[13] 파일:external/www.hanyang.ac.kr/256a.jpg[14]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 문과 출신으로, 음악을 공부하였다. 상당히 유명한 작곡가이기도 하다. 음악 교과서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청산에 살리라'가 김연준 박사의 작품이다.[15] 건축학, 건축공학, 건설환경공학(토목), 자원환경공학(광산) 그렇게 4개 과가 현 한양대학교의 모태인 셈이다.[16] 김연준 박사의 장인인 백관수는 1937년부터 동아(東亞)일보의 사장으로 재직하고 있었다. 백관수의 절친이었던 김성수 선생은 동아일보의 창간 멤버이자 동아일보 가문의 시조이면서 보성전문학교를 인수하고 고려대학교라는 종합대학으로 승격시킨 인물이다. '동아'라는 이름은 이런 관계 속에서 나온 것이 아닐까싶다. 김연준 박사의 절친 주영하세종대학교의 설립자다.[17] 김종량 총장은 8대~12대 총장으로 장기집권을 하다가, 퇴임 후 한양대학교 이사장으로 취임했다.[18] 이후 14대 이영무 총장은 서울캠퍼스, 15대 김우승 총장은 ERICA, 16대 이기정 총장은 서울캠퍼스 소속으로, 양 캠퍼스 소속 교수가 번갈아가며 선출되고 있다.[19] 2016년 이영무 총장의 연료전지 분리막 논문이 세계 최고의 학술지인 '네이처'에 게재되었다. 수소연료 전지막 관련 연구가 네이처에 게재된 것은 이 총장의 연구가 처음이다. #[20] 한양대 연혁에도 행당 캠퍼스라는 흔적이 남아있다. 1970년대 전후로 주로 사용된 듯 하다.[21] 2020년은 미실시[22] 2020년은 미실시[23] 2015년 중앙일보 평가 결과, 공학계열 8위 파일:mIWXpvS.jpg 자연과학계열 11위 파일:vIoka7X.jpg 인문계열 9위 파일:AUCpkcV.jpg[24] 2016년 중앙일보 평가 결과, 공학계열 10위, 자연과학계열 11위, 인문계열 7위[25] 공학계열 13위, 사회계열 19위, 인문계열 16위[26] 공학계열 14위, 사회계열 15위, 인문계열 15위[27] 2015년 홍보 영상 링크[28] 아티스트, 의학, 공학, 문학에 대한 이상적 협업을 통한 미래 연구.[29] 상당수의 타 종합대학은 인문대학(문과대학)이 1순위로 소개되어 있다.[30] 다만 과별로 큰 편차를 보여,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는 여초인 반면(독문과 13학번은 23명 정원에 남자가 6명이다. 다만 14학번과 15학번은 남자가 8명, 10명까지 늘어 여초 현상이 완화되었다. 영문과 13학번은 중국인 학생을 제외하면 총원 60명 중 40명 정도가 여자이다. 14학번의 경우에는 여초 현상이 더 심하다.) 철학과는 다른 대학과 비슷한 성비를 보인다. 그리고 사학과는 균형된 성비를 나타내고 있다. 물론 고정적인 것은 아니고 매년 변동한다.[31] 예를 들어 고시반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 제도가 매우 잘 마련되어 있다.[32] 재학생은 한양포털에서 할인 증명서를 발급받아 한양대병원 진료 할인을 받을 수 있다.[33] 혜택은 2015년 12월까지. 이후 연장될 수 있으므로 동문회에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