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3 07:07:46

고베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c002d><colcolor=#fff> 제국대학 도쿄제국대학 · 교토제국대학 · 도호쿠제국대학 · 규슈제국대학 · 홋카이도제국대학 · 경성제국대학 · 대북제국대학 · 오사카제국대학 · 나고야제국대학
관립대학 도쿄상과대학 · 니가타의과대학 · 오카야마의과대학 · 여순공과대학 · 치바의과대학 · 가나자와의과대학 · 나가사키의과대학 · 도쿄공업대학 · 오사카공업대학 · 도쿄문리과대학 · 히로시마문리과대학 · 고베상업대학 · 구마모토의과대학 · 나고야의과대학 · 신궁황학관대학
공립대학 부립오사카의과대학 · 현립아이치의과대학 · 교토부립의과대학 · 현립구마모토의과대학 · 오사카상과대학
사립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 · 와세다대학 · 메이지대학 · 호세이대학 · 주오대학 · 니혼대학 · 고쿠가쿠인대학 · 도시샤대학 · 도쿄지케이카이의과대학 · 만주의과대학 · 류코쿠대학 · 오타니대학 · 센슈대학 · 릿쿄대학 · 리츠메이칸대학 · 간사이대학 · 동양협회대학 · 릿쇼대학 · 고마자와대학 · 도쿄농업대학 · 니혼의과대학 · 코야산대학 · 다이쇼대학 · 토요대학 · 조치대학 · 간세이가쿠인대학 · 후지와라공업대학 · 동아동문서원대학 · 코아공업대학 · 오사카이공과대학
상기 목록은 구제대학 설립일 순서 기반 기재 }}}}}}}}}

구3상대 (旧三商大)
파일:히토쓰바시대학 심벌.svg 파일:고베대학 심볼.svg 파일:오사카공립대학 로고.jpg
히토쓰바시대학 고베대학 오사카공립대학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humap.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1
<colcolor=#fff><colbgcolor=#0B6138>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colcolor=#000,#fff> 경남대학교 · 경희대학교 · 고려대학교 · 광주교육대학교 · 광주대학교 · 국민대학교 · 군산대학교 · 대구교육대학교 · 동서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목포대학교 · 목포해양대학교 · 부경대학교 · 부산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서울교육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아주대학교 · 연세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천대학교 · 제주대학교 · 포항공과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국립가오슝제일과기대학 · 국립대만대학 · 국립대만예술대학 · 국립대만해양대학 · 국립연합대학 · 국립윈린과기대학 · 국립자이대학 · 국립중앙대학 · 국립타이중교육대학 · 난타이과기대학 · 둥하이대학 · 슈더과기대학 · 징이대학 · 창룽대학 · 카이난대학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몽골과학기술대학교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국제경영농업기술대학교 · 다카 대학교 · 다포딜 국제대학교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베트남상매대학 · 호찌민 교육대학 · 호찌민 사범대학 ·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학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공업경영대학교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11월 10일 공과대학교 · 가자마다 대학교 · 다르마프르사다 대학교 · 반둥 공과대학교 · 붕 하타 대학교 · 사탸와차나 기독대학교 · 시아쿠알라 대학교 · 아이를랑가 대학교 · 우다야나 대학교 · 인도네시아 대학교 · 하사누딘 대학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간사이국제대학 · 고베가쿠인대학 · 고베국제대학 · 고베대학 · 고베쇼인여자학원대학 · 고베시간호대학 · 고베시외국어대학 · 고베신와대학 · 고베약과대학 · 고베여자대학 · 고베여학원대학 · 고베예술공과대학 · 무코가와여자대학 · 소노다학원여자대학 · 아시야대학 · 오테마에대학 · 유통과학대학 · 간세이가쿠인대학 · 코난대학 · 코난여자대학 · 코시엔대학 · 효고교육대학 · 효고대학 · 효고현립대학 · 히메지대학 · 히메지독쿄대학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광둥공업대학 · 광둥외어외역대학 · 난징대학 · 난카이대학 · 내몽골대학 · 닝보대학 · 다롄이공대학 · 다롄해사대학 · 둥베이사범대학 · 베이징공업대학 · 베이징대학 · 베이징사범대학 · 베이징외국어대학 · 베이징체신대학 · 상하이해양대학 · 쑤저우과기대학 · 쑤저우대학 · 쑤저우시립대학 · 연변대학 · 자오칭대학 · 저장대학 · 중국의과대학 · 중국인민대학 · 중산대학 · 지린대학 · 톈진공업대학 · 톈진외국어대학 · 푸단대학 · 하이난대학 · 하이난사범대학 · 홍콩중문대학 · 화난사범대학 · 화둥사범대학 · 후난과기학원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라차팟 수안두싯 대학교 · 수라나리 공과대학교 · 쭐랄롱꼰 대학교 · 치앙마이 대학교 · 타이니치 공과대학교 · 탐마삿 대학교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AMA 대학교 ·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 미리엄 칼리지 · 아시아 트리니티 대학교 · 어셤션 대학교 · 엔데룬 칼리지 · 필리핀 대학교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곤자가 대학교 · 세인트 마틴 칼리지 · 애리조나 대학교 · 에버그린 주립 칼리지 · 오거스타나 대학교 · 와이오밍 대학교 · 워싱턴 대학교 · 이스턴 워싱턴 대학교 · 일리노이 대학교/어배너-섐페인 캠퍼스 · 피츠버그 대학교 · 하와이 대학교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론드리나 주립대학교 · 파라나 연방기술교육센터 · 파라나 연방대학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퀸스 대학교
파일:UN기.svg 유엔
(코스타리카)
평화대학교
오세아니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와이카토 대학교 · 캔터베리 대학교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그리피스 대학교 ·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머독 대학교 · 서호주 대학교 · 선샤인 코스트 대학교 · 에디스 코완 대학교 · 커틴 대학교 ·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 퀸즐랜드 대학교 · 호주 노틀데임 대학교 · 호주해양대학
}}}}}}}}}}}} ||
<colbgcolor=#0A641E>
神戸大学
고베대학
Kobe University

파일:고베대학 로고.svg

대학 정보
<colcolor=#fff> 정식 명칭 <colcolor=#0A641E,#fff>神戸大学
모토 <colbgcolor=#0A641E><colcolor=#fff> 일본어 真摯, 自由, 協同
한국어 성실, 자유, 협력
영어 Integrity, Freedom, Cooperation
개교 1902년 ([age(1902-01-01)]주년)[1]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재 롯코다이(六甲台) 캠퍼스[대학본부]
효고현 고베시 나다구
구스노치(楠) 캠퍼스[의학부]
효고현 고베시 주오구
묘다니(名谷) 캠퍼스[보건학과]
효고현 고베시 스마구
후카에(深江) 캠퍼스[해사과학부]
효고현 고베시 히가시나다구
분류 국립대학
총장 후지사와 마사토 (藤澤 正人)
재학생 학사과정 11,426명 (2022년)
석사과정 3,983명 (2025년)
박사과정 1,860명 (2025년)
교직원 교원 1,566명 (2022년)
직원 2,168명 (2022년)
상징 마스코트 멧돼지 (神大うりぼー)[6]
색상
초록색
링크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롯코다이 캠퍼스
구스노치 캠퍼스
묘다니 캠퍼스
후카에 캠퍼스
}}}}}}}}}}}} ||

1. 개요2. 역사
2.1. 고베고등상업학교2.2. 고베상업대학/고베경제대학2.3. 고베대학
3. 평가4. 캠퍼스
4.1. 롯코다이(六甲台)4.2. 쿠스노키 캠퍼스(楠キャンパス)4.3. 묘다니 캠퍼스(名谷キャンパス)4.4. 후카에캠퍼스(深江キャンパス)
5. 학부/대학원
5.1. 학부5.2. 대학원
6. 출신 인물7. 학교 생활8. 기타
8.1. 대외 교환학생 체결 관계
9. 둘러보기

1. 개요

파일:고베대학 캠퍼스.jpg
▲ 고베대학 롯코다이 제1캠퍼스
▲ 고베대학 소개 영상

효고현 고베시에 위치한 상위권 국립대학. 약칭은 신다이([ruby(神大, ruby=しんだい)])[7][8]이며 주요 이념은 '진지', '자유', '협동'이다. 모체는 후에 서술할 관립 상과대학이며, 간사이 최상위권 대학군인 케이한신[9]에 속해있다.

2. 역사

2.1. 고베고등상업학교

<nopad> 파일:Kobe-kosho.jpg
고베고등상업학교 교사(1910년경)
<nopad> 파일:고베고등상업학교.webp
정문(1916년경)
  • 1902년 3월: 메이지 35년 칙령 제98호에 의거, 관립고등상업학교로서 도쿄고등상업학교와 더불어 고베고등상업학교(예과 1년, 본과 3년)[10] 창설[11]
  • 1903년 5월: 수업 개시[12]
  • 1903년 10월: 개교식
  • 1906년 6월: 일본 최초의 경제학 상업학 전문 학술잡지인 《국민경제잡지》 창간
  • 1914년 8월: 조사과 설치
  • 1919년 10월: 조사과를 폐지하고, 상업연구과를 설치
  • 1918년 12월: 대학령 공포와 함께 고베고상의 대학승격 운동 시작[13]
  • 1921년 6월: 재단 가네마츠기념회의 기부로 건설된 가네마츠기념관이 개관[14]
  • 1923년 3월: 제46회 제국의회에서 고베고상의 구제대학 승격을 결정[15]
  • 1923년 9월: 관동대지진 발생, 그 여파로 인해 구제대학 승격 계획이 당초 1927년 4월에서 1929년 4월로 2년 연기
  • 1924년: 고베고상 동창회 '능상회' 결성
  • 1925년 7월: 《국민경제잡지》가 고베고상의 기관지로 지정 공인
  • 1926년: 부속 도서관에 스미다 쇼이치가 기증한 해사 관련 도서로 '스미다 문고'가 탄생
====# 대학승격운동 #====
<nopad> 파일:神戸高商の大学昇格を訴える学生大会(1921年2月8日).jpg
대학승격을 호소하는 고베고상 학생대회(1921.2.8)
  • 1918년 12월 20일: 대학령이 공포되어 제국대학 외의 관립 단과대학과 공립/사립대학의 설립이 인정됨에 따라 고베고상 학생들도 대학승격을 위한 학생위원회를 결성하고, 교수들은 하라 다카시 수상을 면담하여 고베상대 승격 건의
  • 1919년 1월 8일: 개학식 직후 800여 명의 학생이 모인 제1회 학생대회를 개최하고, 상과대학 승격을 요구하는 결의서 채택
  • 1919년 1월 13일: 동창회 명의로 고베시내 YMCA회관에서 고베시민에 대하여 고베고상의 상과대학 승격 지지를 요청하는 연설회를 개최, 효고현지사, 고베시장, 고베상업회의소 회장, 시회(시의회) 의장, 귀족원 의원, 중의원 의원 등이 참석
  • 1919년 3월 25일: 도쿄고상 및 5개 의학전문학교 등의 대학승격이 포함된 1918~1924년 추가 예산안이 제국의회에서 가결되어 고베고상의 1924년 이전 대학승격이 좌절
  • 1919년 5월 29일: 나카하시 토쿠고로 문부대신이 고베고상에 방문하여, '상과대학 승격은 당연하나 지금 당장은 예산상의 문제로 연기된다'는 취지로 훈시[16]
  • 1919년 7월 7일: 동창회가 학생회관에서 임시총회를 개최하고 상과대학 캠퍼스 부지 매입을 결의하고, 은행 차입금으로실행
  • 1919년 10월 26일: 동창회 추계총회에서 도서구입자금 및 상업연구자금으로 모금운동 개시
  • 1919년 11월 26일: '오사카고등공업학교가 1920년 대학으로 승격된다'는 내용의 신문기사 보도[17]
  • 1919년 12월 2일: 나카하시 문부대신이 고베고상에 내방하여 '제2차 고등교육기관 확장계획'에 따라 고베고상 등이 1921년부터 승격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라는 취지의 연설[18]
  • 1920년 4월 1일: 도쿄상과대학이 개교하면서 동년 고베고상 졸업생들까지는 도쿄고상 전공부에 무시험 입학이 가능했으나, 이듬해부터 도쿄고상 전공부가 폐지되고 도쿄상대에 입시를 치러야 하게 되면서[19] 고베고상의 대학승격 운동이 가속화
  • 1920년 11월 24일: 고베고상, 도쿄고공, 오사카고공 및 도쿄고등사범학교,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 등 5개교의 대학승격과 일부 전문학교에 전공과를 신설한다는 나카하시 문부대신의 계획이 내각의 각의를 통과[20]
  • 1921년 3월 27일: 제국의회 제44회의 폐회로 1921년부터 나카하시 문부대신의 제2차 고등교육기관 확장계획이 상정도 되지 못한 채 폐기
  • 1921년 7월: 정부는 기존의 우량한 관립전문학교의 대학승격에 반대하는 입장의 임시교육위원회를 폐지하고 새로운 자문기관인 교육평의회를 설치
  • 1922년 2월 17일: 하라 다카시의 암살 후 성립된 다카하시 내각에서 나카하시 문부대신이 유임되었고, 교육평의회에 자문한 제2차 고등교육기관 확장계획이 근소한 자구 수정 후 인용
  • 1922년 3월 25일: 제2차 고등교육기관 확장계획 예산안이 제국의회에 제출되어 중의원에서 가결되었으나, 귀족원에서 의결 없이 제국의회 제45회가 임기만료로 해산되면서 동 예산안 폐기
  • 1922년 10월 3일: '관립대학 5개교 증설, 16개 전문학교에 연구과 설치, 치과의학전문학교 설립, 도쿄외국어학교의 수업연한 연장' 등을 내용으로 하는 문부성의 관립고등교육기관 확장계획이 대장성에서 승인을 얻어 1923년부터 6년에 걸친 계속사업으로 10월 9일 내각 각의를 통과
  • 1923년 3월 23일: 총예산안이 2월 13일 중의원 본회의 의결을 거쳐 귀족원에서 가결되어 고베상업대학 등 관립대학 5개교의 개교가 1927년 4월로 확정
  • 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 발발, 기정사업의 이연이 결정되어 5개교 대학승격은 1927년부터 6개년 계속 사업으로 이연되고 개교일자도 1929년 4월로 연기

2.2. 고베상업대학/고베경제대학

구 관립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890000> 의학(醫)
공학(工)
상학(商)
문리학(文理)
신학(神)
}}}}}}}}} ||

구2상대 (旧二商大)
파일:히토쓰바시대학 심벌.svg 파일:고베대학 심볼.svg
히토쓰바시대학 고베대학

<nopad> 파일:Kobe_University_of_Commerce_(Antecedent_of_Kobe_University).jpg
고베상업대학(1930년경)
  • 1929년 4월: 관립상업대학관제[21]에 의거, 고베고상을 모체로 고베상업대학(학부 수업연한 3년)을 설립하고, 기존 고베고상 학생들을 수용하기 위한 상학전문부를 설치
  • 1931년 9월: 간사이 6교 야구연맹 결성
  • 1932년 4월: 부속 상학전문부를 폐지(고베고상 폐지)
  • 1934년: 롯코다이의 신학사로 이전
<nopad> 파일:Kobe_University_of_Commerce1935.jpg
1935년 캠퍼스 이전을 완료한 고베상업대학
  • 1935년 10월: 고베상업대학이 신학사(現 롯코다이 제1캠퍼스)로 이전하고 준공식을 거행
  • 1940년 5월: 예과(수업연한 3년, 학년정원 160명)를 설치[22]
  • 1941년 5월: 경영계산연구실 설치
  • 1943년 10월: 재학생의 징병유예 정지
  • 1943년 11월: 고베시 주최 출진학도 장행회 참가
  • 1944년 4월: 계산계록강습소 설치, 상업연구소를 대동아연구소로 개칭
  • 1944년 8월: 경영계산연구소를 경영기계화연구소로 확대
  • 1944년 10월: 고베상업대학을 고베경제대학으로 개칭, 경제학과와 경영학과를 설치
  • 1945년 6월: 미군의 고베대공습으로 고베경대 예과에 대규모 피해[23]
  • 1945년 10월: 대동아연구소를 경제연구소로 개칭
  • 1946년 8월: 부속 경영학전문부(본과 3년, 전공과 1년)를 설치
  • 1947년 3월: 경영계록강습소 폐지
  • 1947년 6월: 관립대학 최초로 야간학부인 제2학부(수업연한 3년) 설치
  • 1949년 5월: 국립대학설치법 시행에 따라 구제 고베경제대학을 포괄하는 신제 고베대학 창설(문리학부, 교육학부, 법학부, 경제학부, 경영학부, 공학부 등 6학부)[24], 경제연구소와 경영기계화연구소를 경제경영연구소로 통합, 고베경제대학 제2학부를 모체로 경제학부/경영학부 제2과정 설치
  • 1950년 3월: 고베경제대학 예과 폐지
  • 1951년 3월: 고베경제대학 부속 경영학전문부 폐지
  • 1953년 3월: 고베경제대학 제2학부 폐지
  • 1962년 3월: 법제상 고베경제대학 폐교

2.3. 고베대학

<nopad> 파일:himejihs.jpg
히메지고등학교
파일:神戸高等工業学校本館(1922年).jpg
고베공업전문학교
  • 1949년 5월: 국립대학관립고등교육기관 통합(1부현 1국립대학) 방침에 따라 고베경제대학 학부[25](구제대학) 및 예과[26](대학예과), 히메지고등학교[27](구제고등학교), 고베공업전문학교[28](고등공업학교), 효고사범학교[29](사범학교)/효고청년사범학교[30](청년사범학교) 등을 흡수통합한 신제 고베대학 창설
  • 1954년: 문리학부를 문학부와 이학부로 분리
  • 1963년: 교양부 설치
  • 1964년: 효고현립고베의과대학[31]을 흡수해 의학부 설치
  • 1966년: 효고현립효고농과대학[32]을 흡수해 농학부 설치
  • 1967년: 효고현립고베의과대학 부속 병원 및 효고현립여자후생전문학교를 흡수해 의학부 부속 병원 및 의학부 부속 여자간호학교 설치
  • 1992년: 교양부와 교육학부를 개편하여 국제문화학부와 발달과학부 설치, 대학원 국제협력연구과(석사과정) 설치, 소학교중학교 교원 양성기능은 신설된 효고교육대학으로 이관
  • 1994년: 의료기술단기대학부를 의학부 보건학과로 개편
  • 1995년: 한신대지진으로 대학 관계자 44명[33] 사망하고 770억엔 규모의 물적 피해 발생
  • 2002년: 창립 100주년 기념식 거행
  • 2003년: 고베상선대학[34]을 합병해 해사과학부 설치
  • 2004년: 국립대학법인화, 법과대학원(로스쿨) 설치, 법학부 야간주코스 모집정지
  • 2006년: 경영학부 야간주코스 모집정지
  • 2008년: 경제학부 야간주코스 모집정지
  • 2017년: 발달과학부와 국제문화학부를 국제인간과학부로 통합
  • 2021년: 해사과학부를 해양정책과학부로 개편

3. 평가

일본의 구 관립대학 중 하나로, 모든 학술 분야에서 전국 6~15위 이상을 유지하는 대학.[35]

대학평가로는 QS 세계 대학 랭킹 2026년판에서 482위(일본 13위), THE 세계 대학 랭킹 2025년판에서 601-800위(일본 14위), ARWU 2024년판에서 501-600위(일본 12-16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CWTS 레이던 랭킹 2024년 P기준에서 일본 12위, CWUR 세계 대학 랭킹 2025년판에서 461위(일본 12위), 학술 연구 성과 지표인 네이처 인덱스 교육기관 순위에서는 2024년 일본 15위를 기록했다.[36]

특히 경제, 경영, 법, 정치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37] 일본에서 최초로 경영학부와 경영대학원을 설립하였다. 경제・경영 분야의 교수가 130명에 육박한다.(연구소 포함, 강사제외). 법분야에서는 일본 전국 사법시험에서 강세를 보이는[38] 한편 정치분야에서는 국제적 지위를 가진 교수가 다수 포진해있다.[39]

덤으로 인서울 위주로 대학서열이 잡힌 한국과 다르게, 일본은 대학이 도쿄에 있다고 해서 무조건 타 지역의 대학보다 입결(학력 편차치)가 높지 않다. 종종 한국과 일본의 대학서열구조가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일본의 인구는 한국의 2배 이상이며 면적은 거의 4배이기에 "한국에서 대략 n번째 대학 = 일본에서 대략 n번째 대학" 이라는 공식은 당연히 성립하지 않으며, 지역과 대학랭킹의 관계는 구조적으로 한국보다는 미국과 비슷하다.[40] 사실 한국이라도 지방에 있는 대학이 무조건 서울에 소재한 대학보다 입결이 낮은 게 아니라는 걸 생각하면 당연하다.

4. 캠퍼스

고베대학 캠퍼스 전경

크게 롯코다이, 쿠스노키, 묘다니, 후카에 4개 캠퍼스가 있다. 이 중 롯코다이 캠퍼스에 본부가 있다.

4.1. 롯코다이(六甲台)

롯코산이라는 산과 그 산 사이로 펼쳐지는 주택가와 밀접해 있는 캠퍼스로 대학 사무국과 부속도서관, 의학부와 해사과학부를 제외한 각 학부와 연구과의 부속시설이 존재한다. 이 지구에 가는 방법으로서 미카게역, 신자이케역, 롯코미치역, 롯코역 중 한 곳에서 고베시영버스, 택시 또는 도보로 가는 것이 있다. 버스는 역에서 약 15분~20분 정도 걸린다. 학생이 차를 가지고 통학하는 것이 금지되기 때문에 하숙생을 중심으로 오토바이로 통학하는 사람이 많다.[41] (제일 가까운 역에서 캠퍼스까지 오는 길이 매우 험한 언덕길이라 오토바이 소유자의 비율이 아주 높다.) 지구 내에서는 대개 도보로 이동한다.
  • 츠루가부토 제2캠퍼스(鶴甲第2キャンパス)
지구 내 최북단에 위치한 캠퍼스로 국제인간과학부와 발달과학부[42]가 사용한다. 롯코다이 지구 안에 속하지만, 다른캠퍼스와 꽤 거리가 멀다. 캠퍼스 크기는 대략 조금 큰 고등학교 부지 정도다.
  • 츠루카부토 제1캠퍼스(鶴甲第1キャンパス)
국제인간과학부, 국제문화학부[43] 주로 이 캠퍼스에서 어학과 교양과목 수업이 진행되며, 국제문화학부가 설치되기전에는 전학부의 일반교양을 담당하는 교양부가 있었다. 학교에 두 개 있는 세븐일레븐 중 하나가 여기에 있다. 롯코다이 제1캠퍼스와 현도95호선(県道95号線)로 나뉘어 있으며 육교로 통행이 가능하다.
  • 롯코다이 제1캠퍼스(六甲台第1キャンパス)
법학부, 경제학부, 경영학부가 사용하는 캠퍼스이다. 츠루카부토 제1캠퍼스의 학생회관 쪽에서 층계 120개쯤 타고 올라가면 도착할 수 있다. 고베대의 전신인 舊 고베상업대학이 있던 곳으로 이곳에 있는 정문이 아직도 대학의 정문으로 쓰인다. 사회과학 세 학부가 합친 것 때문에 세 학부를 합쳐 '롯코다이'라고 부르는 명칭도 있다. 2003년 본관을 비롯한 4개의 건물이 일본의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Kobe-Univ-Rokkodai-Honkan.jpg
▲ 경영,경제학부 건물
  • 롯코다이 제2캠퍼스(六甲台第2キャンパス)
신제 고베대학 이후 설치된 캠퍼스로 2차 세계대전 이후 연합군의 거주구역이었던 땅을 이용해서 만든 캠퍼스다. 롯코다이 지구에서는 가장 남쪽에 위치한 캠퍼스로 꽤 넓기 때문에 공학부동 주변과 문리농학부동 주변으로 나눈다. 설치학부는 문학부, 공학부, 농학부와 첨단연구연구소를 포함한 자연과학종합연구동을 비롯한 각종 연구시설이 여기에 위치해 있다.
  • 공학부동주변 - 공학부, 공학연구과, 시스템정보연구과가 사용하고있으며 '고베대학본부공학부앞'이라는 버스 정류장이 있다. 공학부동 주변을 공학부캠퍼스라고 부르기도하며, 2007년 관서지방 대학에서 처음으로 세븐일레븐이 출점했다. 조금 떨어진곳에는 신와여자중학교와 고등학교가 위치한다.
  • 문리농학부동주변 - 문학부, 이학부, 농학부가 사용하는 곳이다. 이곳에 유학생센터와 학교회관의 역할을 담당하는 고베대학 100주년 기념관이 있다. 문리농캠퍼스라 부르거나 문학(Letters) 농학(Agriculture), 구자연과학연구과 (Nature Sciences), 이학부(Science)의 약자를따서 LANS캠퍼스[44]라고도 부른다.
    파일:YAKEI.jpg

    ▲ 100년 기념관에서 본 풍경

4.2. 쿠스노키 캠퍼스(楠キャンパス)

의학부 의학과와 의학연구과, 고베대학병원이 위치한 곳이다. 고베역 인근으로 롯코다이 지구에서 서남쪽으로 꽤 떨어져 있기 때문에 롯코다이 지구 학생들중에서는 졸업할 때까지 의학부 학생을 만나본 적 없는 사람도 있다. 의학부 의학과를 통칭으로 쿠스노키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학병원의 경우 도심 접근성이 중요하기에 시내에 위치해 있다고 보면 정확하다.

4.3. 묘다니 캠퍼스(名谷キャンパス)

의학부 보건학과와 보건연구과가 위치한곳으로 쿠스노키 지구에서 서쪽으로 한참 떨어져있다. 원래 고베대학과는 별도의 고베대학의료기술단기대학부(医療技術短期大学部)가 위치해 있던곳으로 간호학과 이학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 위생기술학과 등 4개의 학과가 있었으나, 1997년경 폐지되었고 그 위치에 의학부 보건학과가 들어오게 된 것. 지구명인 묘다니(名谷)는 지명이기 때문에 읽는 방법이 특수하다.

4.4. 후카에캠퍼스(深江キャンパス)

해사과학부와 해사과학연구과 사용하는 캠퍼스로 해양학부 특성상 바다에 부두와 함께 설치된 캠퍼스이다. 한국의 대학으로 따지면 경상국립대학교 통영캠퍼스가 바다에 위치한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그나마 롯코다이 지구에서 동남쪽으로 2.5km 정도로, 타 지구에 비해서는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후카에역이나 코난야마테역에서 도보로 걸어갈 수 있다.

5. 학부/대학원

5.1. 학부

  • 문학부
    • 철학 코스
    • 문학 코스
    • 사학 코스
    • 지식시스템 코스
    • 사회 문화 코스
  • 국제인간과학부[45]
    • 글로벌 문화학과(국제학과)
    • 아동교육학과
    • 환경공생학과(문이과융합학과)
    • 발달커뮤니티학과
  • 법학부
    • 사법 코스
    • 기업·행정 코스
    • 정치·국제 코스
  • 경제학부
    • 이론분석
    • 역사분석
    • 계량·통계분석
    • 산업·사회정책
    • 금융·공공정책
    • 비교경제정책
    • 기술·환경분석
    • 국제경제정책
  • 경영학부
    • 경영학
    • 회계학
    • 상학
  • 이학부
    • 수학과
    • 물리학과
    • 화학과
    • 생물학과
    • 혹성학과
  • 의학부
    • 의학과
    • 보건학과
  • 공학부
    • 건축학과
    • 시민공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 기계공학과
    • 응용화학과
    • 정보지능공학과
  • 농학부
    • 식료환경시스템학과
    • 자원생명학과
    • 생명기능과학과
  • 해사과학부
    • 해양안전시스템학과
    • 글로벌유통과학과
    • 마린엔지니어링학과(해양공학)
  • 시스템정보학부[46]

5.2. 대학원

  • 인문학연구과
    • 문화구조전공
    • 사회동태전공
  • 국제문화연구과
    • 문화상관전공
    • 글로벌문화전공
  • 인간발달환경학연구과
    • 인간발달전공
    • 인간환경전공
  • 법학연구과
    • 이론법학전공
    • 정치학전공
    • 실무법학전공(로스쿨)
  • 경제학연구과
    • 경제학전공
  • 경영학연구과
    • 경영학전공
    • 현대경영전공(MBA)
  • 이학연구과
    • 수학전공
    • 물리학전공
    • 화학전공
    • 생물학전공
    • 지구혹성학전공
  • 의학연구과
    • 의학과전공
    • 바이오메디컬사이언스전공
  • 보건학연구과
    • 보건학전공
  • 공학연구과
    • 건축학전공
    • 시민공학전공
    • 전기전자공학전공
    • 기계공학전공
    • 응용화학전공
  • 시스템정보학연구과
    • 시스템과학전공
    • 정보과학전공
    • 계산과학전공
  • 농학연구과
    • 식료공생시스템전공
    • 자원생명학전공
    • 생명기능학전공
  • 해사과학연구과
    • 해사과학전공
  • 국제협력연구과
    • 국제개발정책전공
    • 국제협력정책전공
    • 지역협력정책전공
  •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연구과
    • 과학기술이노베이션전공

6. 출신 인물

자세한 내용은 일본어 위키백과를 참조. 고베대학 인물 일람

7. 학교 생활

  • 주의: 짭쿼터제(15주 학기제를 둘로 쪼개서 시험 기간을 한 주씩 늘린 8주 1학기제)로 돌아가고 있으며, 미친듯이 시험을 본다. 시험 양이 반토막 나는 과목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과목도 있다.
  • 학생식당의 퀄리티가 떨어진다는 이야기가 있다.[48] 실제 학교 주변은 주택가라서 식당은커녕 편의점조차 없고[49] 역근처에 상권이 몰려 있다. 생협식당이 식당업에 대해 독점적 지위라서 맛이 없다는 경제학 전공자의 분석이 맞는 듯하다.
  • 경영, 경제학부 본관 등은 문화재로 지정된 오래된 건물이지만, 내부 개보수가 되어 있어 화장실이나 냉난반기, 조명등 시설은 현대적인 편이다. 다만, 강의실이나 복도, 창문을 보면 오래된 역사의 흔적이 느껴진다.
  • 롯코역에서 학교까지 가는데 상당히 경사진 길에다 꽤 거리가 있어서 20분 가량 상당히 힘들다.[50] 등교 시에는 버스 타고 올라가는 게 시간, 체력 절약된다.[51] 실제로 고베대학은 일본 톱 레벨의 해발고도를 자랑하는데 경제,경영,법학부의 해발고도가 180m, 가장 높은 국제인간과학부는 210m.
  • 여러 필수 교양 과목으로 인해 1~2학년 때는 본인의 학부가 교양학부라고 착각이 들 정도이다. 학부와 학과별로 상이하다만, 졸업 단위 120~130 중 30단위 이상을 채우게 된다.

8. 기타

  • 일본에서 최초로 경영학부를 설치한 대학이다.[52]
  • 법학부는 1949년 신제대학으로 개편될 때부터 설치되어, 구제국대학히토츠바시대학과 함께 1977년까지 9곳 밖에 없었던 국립대학의 "법학부"였다.[53]
  • 간판학부 중 하나인 경제학부[54]를 제외하면 사비유학생을 정말 정말 뽑지 않는 학교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몇몇 학부는 애초에 지원자도 거의 없는데, 예를 들어 경영학부는 7년간 합격자가 6명. 문학부의 경우 최근 3년간 지원자가 1명이었다. 다만 대학원은 외국인 유학생을 꽤나 선발한다. 단지 학부에서 잘 안뽑아서 문제. 학부생은 일본 공대 국비 유학생(일공)의 비율이 높고 대부분 대학원생이다. 문과 학부생은 너무 적어서 교환학생이 더 많을정도다.
  • 비교정치학 교수인 키무라 칸(木村幹)이 탄기국 시위에 갔다가 조총련간첩으로 오해받아 봉변을 당했다. # 증명 할 신분증이 없자 과거의 고려대 객원교수증을 보여줬다고 한다.[55]
  • Open Work가[56] 조사한 '출신 대학별 연봉 랭킹'에서 30세를 기준으로 10위를 차지했으며, 토요경제에서 조사한 ‘유명 400개 기업 취업률’에서 전 대학 중 14위를 차지했다.
  • 로스쿨사법시험 누적 합격률이 전국5위, 2017년 사법시험에서 일본 국내 6위를 기록했다.
  • IPS로 유명한 노벨상 수상자 야마나카 신야의 모교이다.
  • 히로시마대학을 연계대학으로 지역중핵 및 특색 있는 연구대학(J-PEAKS)[57]의 1차 지정교에 채택되었다.
  • 일본 영주비자 신청시 일본 출입국재류관리청으로부터 '고도 전문직 1호(특별 고도 인재)'[58] 자격부여 대상 대학으로 지정되어, 2014년 법무성령 제37호 이하 '고도전문직성령' 제1조 제1항 특별가산항 규정[59]에 기초하여 학부/연구과를 졸업하고 일본 고도인재 외국인 대상 포인트 우대제도 신청 시 가산점 10점을 받을 수 있다.
  • 2022년 일본 회계사 시험에서 국내 합격 순위 7위를 기록했다. 비교적 정원이 많은 사립대학은 수험자가 많은 만큼 합격자 수도 많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면 꽤 높은 편이다. 국립대학만 놓고 보면 2위이다.
  • 본교 출신 상경계 교수 숫자가 전국 4위를 차지했다.
  • 2017년 은행 및 증권 Top10 기업 취직자 수가 국공립대학 중 3위이다.[60]
  • 일본 문부과학성이 주관하는 슈퍼글로벌대학(スーパーグローバル大学)[61] 선정에서 떨어지는 수모를 당하기도 했다.
  • 학교 홈페이지의 배경색이 빨강, 초록, 파랑 순으로 매년 바뀐다.

8.1. 대외 교환학생 체결 관계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641E, #0A641E)"
{{{#!wiki style="margin: -10px"
<tablebgcolor=#0A641E><tablebordercolor=#0A641E>
파일:고베대학 심볼 화이트.png
고베대학
관련 틀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 대학으로의 설립은 1929년이다.[대학본부] [의학부] [보건학과] [해사과학부] [6] 파일:uribo.jpg[7] 신대[8] 神은 しん으로도 じん으로도 읽을 수 있는데, じんだい라고 하면 보통 가나가와현의 사립대학인 카나가와대학을 일컫는다.[9] 교토 대학, 오사카 대학, 고베 대학[10] 수업연한이 4년이었기 때문에, 3년제인 여타 관립 고등상업학교 졸업생과 달리 고베고상 본과 졸업생은 도쿄고상 본과 졸업생과 동일하게 무시험으로 도쿄고상 전공부에 진학할 수 있었다. 파일:M37_Osaka_Kosho_System.png[11] 당초부터 문부성에서는 제2관립고상을 설치할 장소로 고베시를 내정해놓고 있었으나, 오사카시에서 오사카에 고상 설치를 강력히 요구해 격렬한 유치전이 펼쳐졌고, 결국 1900년 11월 제국의회에서 71:70 단 한 표 차이로 오사카를 물리치고 고베 설립이 확정되었다.[12] 1903년 5월 15일 수업 개시를 기념해 현재 고베대학도 5월 15일을 창립기념일로 기념하고 있다.[13] 도쿄고상이 1920년 도쿄상과대학으로 승격된 것과 더불어 도쿄고상의 승격 후 그 전공부가 폐지됨에 따라 고베고상 본과생들이 졸업 후 무시험으로 도쿄고상 전공부에 진학하던 경로가 막힌 영향도 크게 작용했다.[14] 이 초대(初代) 가네마츠기념관은 후키아이 캠퍼스에 있던 것으로, 고베상업대학의 롯코다이 이전 후 (구제)고베시립중학교 본관으로 사용되다가 2차 대전 중 폭격을 당하여 대파되었고, 손상이 심한 2층 부분을 철거하고 1층 건물이 되어 (신제)고베시립 후키아이고등학교 본관으로 오래 사용되었으나, 개축되어 현재는 후키아이고등학교의 제1체육관이 자리하고 있다.[15] 1920년 도쿄상과대학 설립과 함께 도쿄고상, 고베고상 본과 졸업생이 진학하던 도쿄고상 전공부가 대학 설립의 기반이 되어 폐지되면서 고베고상의 상대 승격을 지지하는 근거가 되었다.[16] 도쿄고등상업학교는 기존의 전공부(도쿄고상/고베고상 졸업생을 대상으로 2년간 교육 실시)를 활용하여, 19만 엔의 경비만 투입하면 구제대학 학부를 갖출 수 있으나, 고베고상의 대학승격을 위해서는 그러한 설비가 먼저 갖추어져야 했다.[17] 당초 나카하시 문부대신은 제2차로 도쿄고등공업학교, 오사카고등공업학교, 고베고등상업학교 등 3개 관립전문학교를 구제대학으로 승격시키 위하여 1920년 제출 예산안에 이를 반영한 예산 계획을 짜고 있었으나, 이러한 사정은 차후에 밝혀진 것이고 이를 모르고 있던 도쿄고공측에서 오사카고공의 대학승격 언론보도가 나자 다시 대학승격 운동이 격렬해졌다.[18] 여기에 사업완료시기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고베고상측에서는 문부대신이 도쿄고공에 대해 '1921년부터 3년간 계속사업'이라고 한 것에서 유추하여 1924년 봄까지는 대학승격이 될 것으로 인식[19] 파일:8C0ACA61-049F-4736-935B-AC094104AD9E.png[20] 그러나 예산안 제출 이전 정부 자문기구인 임시교육위원회의 자문을 거치지 않았다는 이유로 그 위원회의 구보타 회장과 이치로 부회장이 사의를 표명하였으며, 구보타 회장이 위원회 개최를 거부하며 갈등을 빚게 되었다. 결국 임시교육위원회 단계에서 제동이 걸리면서 문부대신이 제출하여 각의를 통과한 제2차 고등교육기관 확장계획의 예산안이 제국의회에 제출되지 못하여 고베고상의 대학승격에도 제동이 걸렸다. 결국 1921년 2월 2일 도쿄고등공업학교 학생이 총퇴학을 결의하고 익일 자퇴서를 일괄 제출하였으며, 고베고상에서도 밤샘 학생대회가 연달아 열리는 등 난리가 났다.[21] 다이쇼 9년 칙령 제71호 도쿄상과대학관제를 개정하는 건.[22] 예과 캠퍼스는 과거 미카게사범학교, 現 미카게 클라세(Mikage Classe) 부지에 들어섰다.[23] 임시교사는 물론이고 예과 기숙사와 함께 미카게 캠퍼스에 소재해있던 학부 기숙사도 전소해버렸다. 이후 예과는 롯코다이의 학부 캠퍼스로 옮겨 구제 대학예과가 폐지될 때까지 수업을 계속했다.[24] 구제 관립대학인 고베경제대학(예과 및 학부)의 후신 경제학부, 경영학부, 법학부. 구제고등학교인 히메지고등학교의 후신인 문리학부(고베대학 히메지분교), 구제전문학교인 고베공업전문학교의 후신 공학부, 사범교육령에 근거한 효고사범학교/효고청년사범학교의 후신 교육학부 등.[25] 경제학부, 경영학부, 법학부의 전신[26] 문학부의 전신 중 하나. 쇼와 15년 칙령 제305호에 의거 1940년 5월 설치된 고베상대 예과에는 이과는 없고 문과만 있었기 때문에, 신제 고베대학에서 히메지고등학교와 더불어 문리학부 문과계를 구성했다. 1945년 6월 5일 미군의 공습으로 대파되기 전까지 고베상대 예과가 사용하던 미카게 캠퍼스는 1950년 10월부터 1951년 7월까지 고베대학 문리학부 미카게분교가 건설되어 롯코다이 제2캠퍼스로 이전할 때까지 사용되었으며, 이후 고베시에 매각/롯코다이 제2캠퍼스와 교환되어 현재 '미카게 클라세'라는 쇼핑몰이 들어서있다.[27] 문학부, 이학부, 국제문화학부(교양부의 후신)의 전신. 다이쇼 12년 칙령 제501호에 의거 1923년 12월 히로시마고등학교와 함께 설립된 24번째 구제고교인 히메지고등학교는 당초 독자 신제대학 개편 또는 제국대학이었던 교토대학으로의 통합을 목표로 하였으나, 1부현1국립대학 방침하에 문부성의 압력이 가해지고, 고베경제대학측의 설득 끝에 1948년 7월부터 반발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 작업을 시작했다. 히메지고등학교가 있던 히메지 캠퍼스는 1965년까지 고베대학 교양부 히메지분교로 사용되다가, 효고현립히메지단기대학에 이관되었고 현재 효고현립대학 환경인간캠퍼스로 사용되고 있다.[28] 공학부의 전신. 열두 번째 관립고등공업학교로서 1921년 12월 고베고등공업학교(건축과, 전기과, 기계과 등 3개 과 설치)로 설립되어, 1928년 5월 토목공학과 설치, 1939년 5월 정밀기계과 설치, 1944년 4월 고베공업전문학교로 개칭, 1948년 7월 화학공업과를 설치하고 신제 고베대학 공학부를 구성했다. 고베고등공업학교가 설립시부터 사용해오던 니시다이(西代) 캠퍼스는 1945년 3월 17일 미군의 공습으로 대부분 전소되었고, 1946년 고베시로부터 비어있던 시립 마츠노실업학교 부지를 공여받아 마츠노(松野) 캠퍼스에 임시로 기거했다. 고베대학 발족 후 공학부가 1950년 2월 니시다이 캠퍼스에 교사를 다시 지어 옮겨갔으나 신제대학 공학부에는 비좁았기 때문에 건축학과와 토목공학과는 계속 마츠노 캠퍼스를 사용하다가 1961년 롯코다이캠퍼스로 이전을 개시, 1962년 8월 롯코다이 제2캠퍼스로 공학부 이전을 완료했다. 니시다이 캠퍼스 부지(니시다이역(효고)신나가타역 사이)에 남아있던 옛 고베고공 건물 등은 1995년 한신대지진 후 피해를 복구하면서 구획 정리 과정에서 철거되었고, 현재 고베고등공업학교 발상지 기념비가 설치되어있다. 마츠노 캠퍼스 부지는 시립 고베공업고등학교 등 학교 부지로 쓰이다가 택지로 개발되었다.[29] 발달과학부(교육학부의 후신)의 전신. 1943년 사범교육령 개정으로 사범학교를 관립 이관하고 예과-본과로 구성하여 본과는 구제전문학교급의 고등교육기관으로 격상되면서, 1936년 효고현 미카게사범학교와 효고현 히메지사범학교가 통폐합된 효고현사범학교 및 효고현 아카시여자사범학교를 합쳐 1943년 4월 관립 효고사범학교(남자부/여자부)를 설립하였다. 남자부 예과는 당시 고베경제대학 예과가 있던 구 미카게사범학교 부지에 더부살이 하던 중 1945년 6월 5일 미군 공습으로 대파되어 1946년 4월 시노야마시로 이전했다가 신제 고베대학 발족시 본과가 있는 아카츠카야마(스미요시)로 합류하고 시노야마 분교는 폐지되었다. 여자부 예과/본과가 있었던 구 효고현 아카시여자사범학교의 아카시 캠퍼스도 고베대학 교육학부가 되었다가 1957년 폐지되었다. 남자부 본과가 있던 아카츠카야마(스미요시) 캠퍼스는 고베대학 교육학부가 사용하다가 1968년 12월 롯코다이 지구의 츠루가부토 제2캠퍼스로 이전한 후 1998년까지 고베시립아카츠카야마고등학교로 사용되었다.[30] 1919년 4월 세워진 효고현립농학교 갑종별과를 기원으로 1923년 4월 효고현립농업보습학교 교원양성소, 1935년 4월 효고현립청년학교 교원양성소(2년제)를 거쳐 1943년 사범교육령 개정에 따라 1944년 4월 예과-본과 체제의 관립 효고청년사범학교가 설치되었다. 1949년 5월 효고사범학교와 함께 신제 고베대학 교육학부로 통합되었으며, 효고청년사범학교의 조호쿠 캠퍼스는 1951년 3월 폐지되어 육상자위대 히메지 주둔지로 사용되고 있다.[31] 효고현립고베병원(1869년 4월 설립)을 기반으로 1944년 1월 설립된 효고현립의학전문학교가 전후 1946년 4월 대학령에 근거한 구제 효고현립의과대학(예과 3년, 학부 4년)으로 승격되었다가 1952년 2월 신제 효고현립고베의과대학(예과 2년, 본과 4년)으로 개편되었고, 1964월 신제 효고현립의과대학을 국립으로 이관하여 고베대학 의학부의 모체가 되었다.[32] 1949년 4월 효고현립농과대학으로 설립되어 1952년 4월 효고현립효고농과대학으로 개칭한 후 1966년 4월 국립으로 이관하여 고베대학 농학부의 모체가 되었다. 효고현립효고농과대학이 있었던 시노야마 캠퍼스는 일본 육군 보병제70연대 주둔지였는데, 농학부가 1967년 10월 롯코다이 제2캠퍼스로 이전을 완료한 후 미쓰이 미하나이트메탈 시노야마공장이 들어섰다.[33] 학생 및 유학생 39명, 교직원 3명, 생협직원 2명 등.[34] 1917년 8월 가와사키상선학교를 기원으로 하는 관립 고베고등상선학교가 1920년 8월 설립되었고, 1945년 4월 도쿄고등상선학교, 시미즈고등상선학교와 통합되어 시미즈시 소재 고등상선학교의 고베분교(해기전문학원 병치)가 되었다. 전후 고등상선학교 고베분교가 폐지되고 해기전문학원으로 승계되었는데, 이를 바탕으로 1952년 5월 국립 고베상선대학(상선학부 항해과/기관과 구성)이 설립되었다.이 고베상선대학이 2003년 10월 고베대학에 흡수합병되어 고베대학 해사과학부의 모체가 되었다.[35] 아래의 링크로부터 경제학분야 탑저널 등재 랭킹을 확인해보자. 본 사이트에도 언급이 되어있듯이 여기서 랭킹이 높다고 연구실적이 더 좋은 학교라는 것이 아니다. 5대지+필드탑저널에 2편이상 등재시킨 인원 수로 랭킹을 매긴 것일뿐이며, 연구자의 능력을 평가할때 중요한 요소중 하나인 인용(citation) 수는 고려되지 않았다. #[36] 어느나라의 대학이든 세계랭킹은 어디까지나 참고용임에 주의하자. 한국도 그렇듯 현지랭킹과 세계랭킹 간에는 괴리가 존재한다. 특히 문과가 강한 대학이 그렇다. 분야별로는 QS랭킹 기준으로 일본내에서 경영학 6위, 경제학 7위, 법학 7위, 공학 14위, 인문학 15위, 생명과학 및 약학 11위, 자연과학 14위 이다.[37] 본인 분야에서 알아주는 이른바 거장으로 평가받는 교수님도 계신다. 대표적으로 스펙이 떨어지는 학생을 추천서 파워만으로 미국 경제학박사 탑30에 합격 시킬 수 있는 Kazuo Nishimura 교수, 인용건수 14,000여건의 Otsuka Keijiro 교수, Feldstein–Horioka puzzle로 유명한 Charles Yuji Horioka 교수[38] 平成17年〜令和2年(05~20)기준 누적 합격률 73.5%로 전국5위. 애초에 다른 사립대학은 학생(수험자) 숫자가 국립대학보다 현저하게 많기 때문에 수험자 수가 적은 국립대학이 합격자 수 상위권을 차지하긴 어렵다.[39] Kimura Kan교수, Onishi Yutaka교수(한일관계専門), Masujima Toshihiro교수(일미관계専門) 등[40] 당장 간사이 지방의 중심인 일본 제 2의 도시 오사카부의 명목GDP는 서울시의 명목GDP와 비슷한 수준이다. 게다가 일본의 대학 수는 한국의 거의 4배이기에(약 780개) 1대1 대응이 더 어렵다. 이렇듯 인구, 영토, 경제규모 등 한국과 상이한 부분이 한둘이 아니기에 비슷한 대학서열 구조를 가진다고 생각하는 것이 오히려 더 이상하다.[41] 안타깝게도 워낙 길이 험하다 보니 이로 인한 사망사고도 발생하고 있다.[42] 현 국제인간과학부, 통합된 지 일년밖에 안 돼서 2학년 이상이 이 건물을 쓴다.[43] 現 국제인간과학부, 통합한 지 일년밖에 안 돼서 2학년 이상이 이 캠퍼스를 같이 사용한다.[44] 할랄푸드만을 취급하는 학생식당도 존재한다.[45] 2017년 국제문화학부와 발달과학부를 통합하여 설치.[46] 2025년 설치예정[47] 쓰쿠바대학 편입에 실패하여 휴학하고, 현재는 무로란공업대학 공학부 항공우주공학과에 편입에 성공하여 재학 중이다.[48] 실제로 퀄리티가 떨어진다. 학생식당에서 밥 먹을 일이 생기면 필히 '치킨후리타'를 주문하자. 이것만 있어도 평타는 친다.[49] 롯코다이 주변은 개무하다.[50] 여름에 걸어올라가면 땀으로 샤워가 가능하다.[51] 부산 출신의 유학생들은 부산과 환경이 비슷해서 그냥 걸어다닌다고.[52] 일본에서는 경영학부의 명칭으로 보통 상학부를 쓰며, 히토츠바시대학 역시 상학부를 두고 있다.[53] 여타 국립대학은 전부 법문학부 등 통합학부로 설치되었고, 1977년 5월 히로시마대학이 정경학부를 법학부와 경제학부로 분리하여 열 번째 법학부가 되며, 1979년 구마모토대학에 이어 1980년 니가타대학, 오카야마대학, 가나자와대학 등의 구 관립대학에 법학부가 설치되었다.[54] 보통 경영학부와 경제학부를 간판학부로 꼽는다.[55] 키무라 칸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도 극한 직업 교수라는 짤빵으로 유명하다. 링크[56] 취직 및 전직 사이트[57] 슈퍼글로벌대학의 지원이 끝난 이후, 문부과학성이 연구력 강화를 위해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58] https://www.moj.go.jp/isa/content/001335478.pdf[59] https://www.moj.go.jp/isa/content/930001665.pdf[60] (도쿄대 제외)
파일:일본 국공립대학 금융권 탑10기업 취업자.jpg
[61] 명분은 대학의 국제화, 글로벌인재 양성 등의 거창한 구호가 있지만, 속사정은 선정된 대학의 세계대학랭킹 향상을 위해 지원을 강화해준다는 것이다. 국립사립 관계없이 일본 전국의 37개 대학 선정. #[62]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과 국제협력연구과를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