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303f6c><colcolor=#fff> | |
| | |
| 개발 | Pagefault Games |
| 장르 | RPG, 로그라이트 |
| 플랫폼 | 웹(TypeScript) |
| 출시 | 2024년 3월 |
| 언어 | 영어, 한국어[2], 일본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포르투갈어(브라질 포르투갈어), 중국어(번체, 간체) |
| 사이트 | |
1. 개요2. 게임 플레이 및 시스템
2.1. 모드
3. BGM4. 오류 및 버그5. 평가6. 저작권 문제와 불안정한 미래7. 외부 링크8. 기타2.1.1. 클래식2.1.2. 챌린지
2.2. 포켓몬2.1.2.1. 특정 챌린지 추천 포켓몬
2.1.3. 엔드리스2.1.4. 엔드리스(융합체)2.1.5. 데일리 런2.2.1. 스타팅 포켓몬2.2.2. 색이 다른 포켓몬2.2.3. 보스 포켓몬2.2.4. 포켓몬 융합2.2.5. 진화2.2.6. 배틀 기믹
2.3. 바이옴2.4. 아이템2.5. 그외 본가와의 차이점2.6. 업적2.2.6.1. 폼 체인지(메가진화/거다이맥스/합체)
2.2.7. 알1. 개요
포켓몬스터 게임 시리즈의 대전을 기반으로 한 로그라이트류 팬 게임이다. 게임 메인 홈페이지에 의하면 Risk of Rain 2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고 한다.공식 홈페이지에서 플레이 가능한 웹게임이며, 공식 깃허브에 모든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이 직접 서버를 개설하는 것도 가능하다.[4][5] 2024년 5월 30일 공식으로 온라인 한국어 버전이 나옴과 동시에 유명 방송인들이 여럿이 플레이하면서 한국에서 주목을 받았다. 한국에서 접속 시 기본적으로 한국어로 실행되며 설정을 통해 다른 언어로 변경이 가능하다.
2. 게임 플레이 및 시스템
포켓몬스터 본가 시리즈의 배틀 시스템을 위주로 차용해 만들어져, 계속 배틀을 하며 나아가는 본가의 배틀타워와 같은 느낌을 준다. 맵 등의 탐험 요소는 전혀 없고 PvE에 집중되어 있으며, 배틀의 종류는 야생 배틀, 트레이너 배틀, 보스 배틀 같은 '웨이브(wave)'로 나뉜다.포켓몬에 배틀에 대한 종족값, 능력치, 기술, 자력기, 물공, 특공, 각 포켓몬에 대한 상성 등 기본 지식이 필요하며 기존 포켓몬 게임만 해왔던 초보자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배틀 난이도에 당황 하곤한다. 반대로 포켓몬 실전배틀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만 가지고 있어도 게임의 난이도가 수직 하락하며 이를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포켓몬의 상성 관계와 '역할 구분'을 잘 알아야 한다.[6]
모든 배틀은 연속해서 이루어지며, 상점이나 특정 웨이브의 전체 회복을 제외하면 별도의 회복 조치는 없다. 야생 포켓몬 상대로는 배틀 시작 전에 포켓몬을 교체할 수 있으며, 이걸로는 턴이 경과하지 않기에 상성에 유리한 포켓몬으로 상대할 수 있다. 스테이터스 상승이나 필드에 영향을 끼치는 변화는 (다음 웨이브에서 트레이너 배틀,미스터리 조우 등의 이유로 포켓몬을 집어넣지 않는 한) 배틀이 끝나도 효과가 지속되기에 한번 능력치를 올려놓으면 다음 배틀이 쉬워진다. 배틀 종료 시점은 '한쪽 포켓몬이 전멸 + 필드에 나와 있는 모든 포켓몬이 기술을 사용한 후'이므로 더블 배틀 등에서는 일단 상대를 쓰러트린 후 보조 기술을 사용해서 다음 배틀을 유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단 트레이너 배틀에서는 일단 내보낸 포켓몬을 한 번 집어넣은 후 다시 내보내기 때문에 이런 변화가 전부 사라진 상태로 시작하게 된다.
포켓몬 보유 수는 본가와 마찬가지로 최대 6마리까지만 데리고 있을 수 있다. 배틀 시 6마리가 모두 기절하는 경우 게임 오버 처리가 되어 해당 저장 데이터는 사라진다. 하지만 체력 회복이나 부활 아이템을 게임 중 얻을 수 있고, 일정 웨이브마다 전체 포켓몬의 체력과 상태이상을 회복해 주기 때문에 너즐록 챌린지처럼 포켓몬이 기절했다고 더 이상 쓰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파티가 전부 다운되었더라도 게임 오버가 되기 전에 새로고침 혹은 설정으로 배틀의 시작 시점부터 다시 할 수 있는데, 이때 포켓로그 특성상 변수나 확률은 변동되는 것이 아닌 고정값으로 계산되기에 주의. 만약 상대한테서 기술이 빗나가거나 급소에 명중되는 경우로는 아무리 새로고침해도 반드시 빗나갈 확률이 있는 기술은 반드시 빗나가고 급소도 반드시 맞는 등 결과는 반드시 고정된다는 소리. 따라서 포켓몬을 교체하거나 다른 기술을 써서 상대 포켓몬을 쓰러뜨리는 타이밍을 바꿔야 다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역으로 상대가 언제 교체하는지, 언제 기술이 빗나가는지 등을 알아내서 해당 타이밍에 안전하게 교체하거나 랭크업을 하는 등의 전략도 가능하다.
포켓몬을 몬스터볼로 잡았을 경우, 일부 사용 불가 포켓몬이 아니라면 스타팅 포켓몬에 등록되어 게임 시작시 들고갈 수 있는 고유의 수집 시스템이 있다.
로그라이트의 게임 방식을 차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 웨이브 종료 시점마다 상점이 열리고, 랜덤하게 지급되는 아이템 중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래서 많은 로그라이크 게임처럼 어떤 아이템이 등장하는지에 따라 게임 난이도 차이가 크다. 또한 포켓몬 하나에 여러 종류의 아이템을 지니게 할 수 있게 되고, 그 덕에 본편보다 열매의 중요도와 사용 빈도가 상당히 올랐다. 그 대신 기존의 방식처럼 배틀 도중 원하는 타이밍에 아이템을 사용할 수 없으며, 포켓몬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어떻게든 배틀에서 승리해야 한다. 이 때문에 포켓로그에서는 공격과 동시에 회복하는 기술이 가치가 높고, '내 포켓몬에게 공격이 들어오기도 전에' 상대 포켓몬을 먼저 한 방에 기절시키는 배틀 방식이 선호된다. 그래서 체감상 난이도가 여타 게임보다 더욱 어렵다.
BGM의 경우는 공식 포켓몬 게임의 BGM이 대부분이나 몇몇 곡들은 PokéRogue 오리지널 곡들인 경우도 존재한다. 자세한 건 후술할 BGM 문단 참조.
2.1. 모드
포켓로그에는 아래와 같은 게임 모드가 있다.- 클래식 (Classic Mode)
- 챌린지 (Challenge mode)
- 엔드리스 (Endless Mode)
- 엔드리스(융합체) (Spliced Endless Mode)
- 데일리 런 (Daily Run)
2.1.1. 클래식
가장 기본적인 모드로, 10웨이브마다 바이옴들이 바뀌며 모든 포켓몬의 HP 및 상태이상이 회복된다. 이때는 다른 웨이브와 달리 아이템 구매/포켓몬 간 전달이 불가능하다. 10 단위 웨이브에서는 보스 포켓몬이나 체육관 관장이 등장한다.지도 아이템을 얻은 경우 10웨이브마다 바이옴이 바뀔 때 현재 바이옴에서 연결된 다음 바이옴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진 바이옴이 하나뿐이라면 선택지 없이 자동으로 이동한다. 지도 아이템을 얻은 경우, 특정 맵들은 일정 확률로 선택지에 등장하며, 지도 아이템이 없다면 일정 확률로 (보이지 않는) 선택지에 추가되며, 리스트에 있는 선택지들 중 랜덤으로 바이옴이 선택된다.
총 200개의 웨이브까지 존재하며, 최초로 웨이브 200에서 승리하면 엔드리스 모드의 해금과 함께 최종 보스가 지니고 있던 미니 블랙홀[7]이 상점 아이템 테이블에 추가된다. 또한 유전자쐐기를 사용한 융합 포켓몬을 데리고 승리했다면 스플라이스드 엔드리스 모드도 함께 해금된다.
일반 야생 포켓몬과의 배틀 이외에 야생 보스 포켓몬, 일반 트레이너, 라이벌, 체육관 관장, 사천왕, 챔피언, 악의 조직과의 배틀, 그리고 미스터리 조우가 존재한다.
드문드문 나타나는 라이벌의 대사와 최종보스 무한다이노의 대사를 보면 의외로 간단한 고유 스토리가 존재한다.
라이벌은 성별 따라 핀(남성)/아이비(여성)으로 나뉘고, 같은 마을 출신의 절친이라는 설정이다. 8층, 25층, 55층에서는 주인공과 배틀하고 이기면 박사님의 선물을 건네주며 다음에는 이길 거라며 각오를 다지는 본가의 라이벌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지만, 95층에서 다시 만나면 주인공에게 이기기 위해 잠과 사회적인 활동을 전부 뒷전으로 미루고 한 번도 패배하지 않는[8] 주인공을 이기기 위해 훈련만 전념하고 있다고 밝힌다. 그럼에도 주인공을 이기지 못하자 지지 않는 주인공에게 경악하고, 145층에서 재회 하면 아예 아무 말도 하지 않는 상태로 망가져 있다. 본가 시리즈에도 주인공에게 강한 승부욕을 느끼는 라이벌이 없진 않지만 아예 망가져버린 라이벌 묘사는 다소 충격적.[9] 핀은 승부욕이 과한 정도의 평범한 대사지만 아이비의 경우 55층부터 주인공에게 비아냥[10]거리기 시작하고, 95층에서는 감사와 증오가 섞인 감정까지 느끼고 있기에 더욱 심하게 망가져 있다는 느낌을 준다.
195층에 다다르면 비로소 진실을 알 수 있는데, 사실 라이벌의 지나치게 과한 승부욕은 주인공을 한계에 몰아붙이기 위해 세계에 의해 만들어진 감정이었고 배틀은 무한히 계속 반복되고 있었다. 클래식 모드에서 연달아 진행한 배틀이 모두 무한다이노의 루프라는 설정. 즉, 포켓로그의 배틀 자체가 무한다이노가 만들어낸 루프[11]이며, 라이벌은 주인공을 한계로 몰아붙이기 위한 '도구'로서 루프에서 무한히 헤메고 있었다는 내용이다. 모든 걸 깨달은 라이벌은 마지막 배틀로 본인의 역할을 다하고, 주인공에게 무한다이노를 이기고 세상을 원래대로 되돌린 후 다시 돌아와 달라고 부탁한다.
고무적이군...
클래식 배틀에서 무한다이노와의 배틀에서 승리시 무한다이노가 하는 대사
클래식 배틀에서 무한다이노와의 배틀에서 승리시 무한다이노가 하는 대사
무한다이노와의 배틀에서 승리하면 마침내 루프가 깨지고 라이벌이 돌아온 주인공을 반겨주는 일러스트와 함께 끝난다.
2.1.1.1. 트레이너 배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okéRogue/트레이너 배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okéRogue/트레이너 배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1.2. 미스터리 조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okéRogue/미스터리 조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okéRogue/미스터리 조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1.3. 플레이 팁 및 추천 포켓몬
클래식 모드를 공략해나가는 데 좋은 포켓몬이나 각종 쓸만한 팁을 설명한다.2.1.1.3.1. 범용
- 스타팅 포켓몬 수집 및 강화
몬스터볼 포획과 알 뽑기 등을 통해 성능이 좋은 포켓몬을 등록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포켓몬마다 유용한 고유 시스템 '알 기술', 패시브, 높은 개체치 및 이로치를 갖추게 되면 게임이 훨씬 수월해진다. 같은 포켓몬의 꾸준한 플레이로 친밀도 사탕을 모으거나 숨겨진 특성 조우를 노리는 방법이 제일 무난하다. 또한 자체 종족값은 형편없으나 패시브를 천하장사, 수포, 적응력 등 사기적인 화력 증강 특성을 받은 포켓몬이 정말 많으니 자신의 스타팅 풀을 잘 확인해 보자.
- 체급이 우수한 메인 딜러 & 서브 딜러
주로 고스핏 고화력 포켓몬들이 자리잡는 포지션. 회복 수단이 제한적이고 지속적으로 배틀을 해야 하는 포켓로그 특성상 최대한 맞지 않기 위해 선턴을 잡고 원킬을 내는 방식이 선호되므로 공략에 필수적인 포지션이다. 물론 모든 타입은 각자 상성 문제가 있으므로 역상성 포켓몬에 대응하기 위한 견제기 및 서브 딜러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포켓로그 특유의 랜덤성으로 인해 기술머신으로 원하는 기술을 습득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기술머신에 의존하는 포켓몬보다 자력기 기술폭이 넓은 포켓몬, 혹은 알 기술이 잘 나온 포켓몬이 선호된다. 본가에서의 활약성만 보고 채용했다가 기술머신이 안나와서 고사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 일이다. 그리고 회복이 까다로운 만큼 본가에서는 주로 채용하는 플레어드라이브나 브레이브버드 같은 반동 피해 기술을 메인으로 쓰기는 꺼려진다. 이러한 기술은 보통 주력기가 통하지 않는 역상성 포켓몬에 대응하는 서브웨폰이나, 특정 타입 저격용 포켓몬에게 들려주는 조커픽 용도로 사용된다. - 랭크 업 기술
한 방에 다 쓸어버릴 만큼 빠르고 강한 포켓몬이 없다면 공 또는 특공이 오르는 랭업기[랭업기목록]를 배우면서 빠른 포켓몬으로 만만한 야생몹 상대로 랭크업해둔 뒤 천천히 회복하는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다. 후술할 라우드본의 플레어송처럼 사용할 때마다 능력치가 오르는 기술이나 비스트부스트, 소울하트, 자기과신, 흑의울음 등을 특성이나 패시브로 갖춘 포켓몬들은 올라간 능력치가 야생 포켓몬과의 배틀 내내 유지되므로 크게 활약할 수 있다. 트레이너전에서는 상대가 상성이 불리하면 무조건 교체를 하기에 랭업 기점을 잡기 쉬우므로 약점 타입 견제 기술을 충분히 구비해놓은 상태에서 랭업만 제대로 성공시킨다면 스윕하기 쉽다.
그러나 트레이너 배틀, 미스터리 조우가 시작되면 이전까지 있던 랭크업이 초기화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라이벌이나 관장, 악의 조직 등의 네임드 트레이너는 웨이브가 고정되어 있어 미리 대비하면 되지만, 운이 나쁘면 일반 트레이너가 계속 난입해서 랭크업을 날려먹을 수도 있다(...). - 8세대, 9세대 포켓몬
8세대부터는 난이도를 완화하여 접근성을 높이려는 본가 측 의도에 따라 웬만한 포켓몬 하나하나가 낭비되는 종족값 없이 종족값 분배가 아주 깔끔하므로, 대부분 특정 분야에서는 각자 1인분씩은 충분히 할 수 있으므로[13] 8, 9세대 포켓몬 위주로 엔트리를 짜면 많이 쉬워진다. 이 때문에 후술할 다른 항목들의 추천 포켓몬들 목록도 8, 9세대의 비중이 높을 것이다. 이는 처음 시작할 때 쓸 수 있는 스타팅 포켓몬들에게도 마찬가지라서 제일 처음 시작하거나 새출발 챌린지를 할 때면 9세대 스타팅이 거의 무조건 추천되곤 했으나, 9세대 스타팅들과 8세대의 에이스번이 4코스트로 올라 완전히 이들만으로 엔트리를 채우기는 불가능해졌지만 그만큼 1마리만 넣어도 확실한 성능을 보여준다. - 라우드본
뉴비 또는 새출발 챌린지에서 제일 많이 사용되는 스타팅으로, 숨특과 알 기술, 패시브가 하나도 없는 깡통으로도 확실한 성능을 지닌 게 장점. 플레어송으로 화력을 해결하고, 회복기 게으름피우기가 있는 데다 고스트 타입이라 무한다이노전에서 저주까지 걸어줄 수 있는 등 적재적소에 잘 써먹을 수 있는 알찬 구성을 가졌는데, 이게 모두 자력기이다. 거기다 불꽃 타입이라 극초반에 자주 등장하는 풀과 벌레 타입을 찌르기도 좋아서 미진화체 시절도 수월하다. 다만 고스트 타입이라 심심하면 등장하는 기습을 조심해야 한다. - 전설/환상의 포켓몬
이들은 코스트가 높은 대신 진화를 거치지 않고도 높은 능력치 덕분에 알기술 및 패시브가 덜 해금되었더라도 안정적인 캐리롤을 맡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성능이 특출난 몇몇[14]은 거의 단독으로, 혹은 적절한 랭크업이나 교체 플레이만 받쳐주면 최후반의 난관인 사천왕 및 챔피언, 메가레쿠쟈와 무한다이노도 잘 상대할 수 있으므로 전설의 포켓몬을 중심으로 하면서 그 약점 타입을 막아줄 수 있는 포켓몬과 후술할 추천 포켓몬들을 채워나가는 식으로 파티를 구성해보는 것도 좋다. 단 주의할 점은 아고용[15], 버드렉스, 솔가레오/루나아라 같은 진화나 폼체인지 등 특정 기믹을 완료해야 제 성능이 나오는 전설들은 비추천. 이들은 일반 포켓몬들과 다를 바 없이 극초반 전복 리스크가 크면서 전설이라 코스트는 높아 상술할 베이비시터 역할의 포켓몬에 투자할 코스트도 마땅치 않아서 쓰기가 힘들어 주로 '고혈몬' 으로 불린다. - 갸라도스
호수 바이옴이나 바다 바이옴에서 포획이 가능하다. 극초반에 지도를 먹었다면 호수 바이옴으로 간 뒤 잉어킹을 잡아서 진화시킬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극초반에 고혈을 좀 빨긴 하지만 진화 레벨도 20으로 갸라도스의 체급에 비하면 낮은 편이라 충분히 감안할 수 있고 진화 후 특성 중 기본 특성인 위협과 숨특인 자기과신 둘 다 좋다. 자력기도 공격력을 올림과 동시에 아쉬운 스피드를 보완하는 랭업기인 용의춤과 자속 물타입 기술인 폭포오르기/아쿠아테일, 위력은 좀 낮지만 드래곤 타입을 저격 가능한 얼음엄니, 악, 에스퍼 타입을 저격할 수 있으며 메가진화하면 자속 보정을 받는 깨물어부수기 등을 배운다.메가진화로 화력과 체급을 더 올릴 수 있는 것도 장점. 다만 일반 갸라도스의 경우 전기에 4배 피해를 입으며 자속 비행 타입 기술이 레어 알 기술인 화룡점정과 기술머신으로 배울 수 있는 뛰어오르기가 끝인 것이 아쉽다.
- 초반 캐리롤
초반에는 대다수의 포켓몬들이 미진화체에 기술도 변변찮기 때문에, 이 시기를 학습장치로 수월하게 넘기고 진화 후 본 궤도에 오를 때까지 경험치와 골드를 쌓아줄 역할의 포켓몬이 필요하다. 이 포지션을 흔히 '베이비시터' 라고 한다. 주로 미진화체가 없어 극초반부터 활약할 수 있는 수준의 능력치를 갖췄으면서 극초반 포켓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노말 타입에 강한 격투 타입, 풀 타입과 벌레 타입에 강한 비행 타입과 불 타입 포켓몬의 입지가 높다. 다만 격투 타입의 경우 초반에 생각보다 벌레 타입과 독 타입이 자주 보이기 때문에, 꼬이밍고처럼 복합 타입을 가진 포켓몬을 고르는 것을 추천한다.
반복 플레이로 극초반부터 유용한 알기술 및 패시브를 갖추게 된 대부분의 포켓몬도 초반 캐리롤을 충분히 담당할 수 있으며, 코스트가 낮은 포켓몬도 버스 기사로 훌륭한 성능을 보여준다. 이후 진화를 마친 포켓몬들이 활약하고 있으며 해당 포켓몬의 체급이 뒤떨어진다고 생각되면 버리고 다른 포켓몬으로 대체할 수도 있지만, 필요하다면 후술할 진흙뿌리기, 스텔스록, 저주 등의 기술을 익혀 다른 역할을 주는 식으로 최종 멤버에 끼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 파트너 피카츄&이브이, 이어롭
극초반에 등장하면서도 초반답지 않은 체급을 가져 스타팅의 체급이 변변찮을 경우 짜증을 유발하므로 악명높지만, 역으로 이걸 어떻게든 포획에 성공할 경우 그 초반답지 않은 체급을 내세워 베이비시터 역할로 무쌍을 찍을 수 있다. 파트너 피카츄의 우선도+2와 확정 급소로 무장한 파찌파찌액셀의 똥파워로 처리하다가 역상성인 땅/풀 타입을 참방참방서핑과 둥실둥실폴로 오히려 잡아먹는 것도 가능하며 괴전파를 배우는데 성공하면 무한다이노전의 MVP도 될 수 있는 우수한 구성. 파트너 이브이 또한 알 기술로 파찌파찌액셀을 배울 수 있는데다 쑥쑥봄버같은 우수한 각종 파트너 기술도 쉽게 배울 수 있고, 패시브로 픽업까지 가지고 있어 아이템 수급도 유용하다. 이어롭의 경우 1인챌이나 사탕작 버스 기사로도 단골로 쓰이기도 한다. 이런 류의 포켓몬들이 알 기술이나 랭업기 없이는 중후반부터 급격히 힘이 빠져 무한다이노 디버프 셔틀로 전락하기 십상이지만, 운좋게 피카츄가 전기구슬을 집거나, 피카츄&이브이의 거다이맥스나 이어롭의 메가진화를 성공시킨다면 극후반까지도 꾸준히 활약할 수 있다. - 꼬이밍고
이 부류의 끝판왕. 알까기로 천둥차기와 둥실둥실폴을 습득하고 나오게 되면 막바지까지 활약하게 된다. 특성도 고스트를 격투로 때릴 수 있는 배짱, 패시브는 자기과신이다. 단 자력기가 적다는 태생적 한계로 인해 인파이트 기술머신이 나오거나 천둥차기를 가지고 시작하는 게 아니면 중반부터 급격히 힘이 빠질 수 있다. 비행 타입 쪽은 브레이브버드를 배워서 그나마 낫지만 반동 패널티 때문에 불안정하다.
- 라이벌의 스타팅과 악의 조직 확인
라이벌의 스타팅 포켓몬은 8웨이브, 악의 조직이 누구인지는 35웨이브에 확인이 가능하다. 이때 자신의 메인 캐리롤과 역상성이 나오는 경우가 있을텐데,[16] 이 때 저층부에서 역상성이라도 할만한데? 하고 넘겼다간 165웨이브의 악의 조직 보스 2차전과, 195웨이브의 라이벌전에서 지옥의 난이도로 스노우볼이 굴러올 수 있으므로 그 판의 템운이 매우 뛰어나다든가 한 게 아니면 아까워하지 말고 리트를 하자. 어차피 8웨이브든 35웨이브든 금방 올라간다. 챔피언리그가 역상성이 걸리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182웨이브에서 직접 대면해야만 확인이 가능한데다, 세대 챌린지는 어차피 리그는 해당 세대로 고정이므로[17] 라이벌과 악의조직까지만 확인해도 충분하다. 2024년 12월 4일 업데이트로 악의 조직도 챔피언리그와 마찬가지로 세대 챌린지에서는 고정되도록 변경되어, 세대챌을 할 때는 라이벌만 확인하면 되게 되었다.
- 도핑 아이템
라이벌이나 관장전을 시작하기 전에 아이템 파밍으로 스피드업, 플러스파워, 스페셜업과 같은 도핑 아이템을 미리 적용시켜준다면 그 버프가 5웨이브동안 계속 그대로 유지되기에 스윕할 수 있을 정도로 화력, 스피드가 갖춰지게 되므로 돈을 많이 불려놓는 것도 필요하다. 보통은 5의 배수 바이옴부터 도핑 아이템 파밍을 시작하며, 사천왕~챔피언전인 180 웨이브대는 181 웨이브부터 도핑 아이템을 파밍해야 하고, 190층대에서도 195웨이브의 라이벌전이 정말 어렵기 때문에 191 웨이브부터 도핑 아이템을 파밍해야 한다. 5웨이브만 적용되므로, 도핑의 지속 카운트 점검은 반드시 해줘야 한다. 단, 뽑기가 랜덤이라서 원하는 강화 아이템을 제때 뽑지 못하게 될 수도 있고, 갱신할 때마다 소모 비용이 증가하기에 돈의 여유가 안 된다면 최소 디펜드업, 스페셜가드, 크리티컬커터라도 뽑아 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 토중몬
토중몬이나 그 진화체들이나 포켓몬 자체의 성능이 포켓로그에 유리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토중몬의 진가는 진화하면 토중몬이 소지하고 있던 아이템들이 아이스크와 껍질몬 두 포켓몬에게 전부 계승된다는 점. 이를 통해 토중몬을 미진화체 상태로 오랫동안 육성하다가 때가 되었다고 생각되면 열매를 비롯한 여러 아이템들을 토중몬한테 몰아주고 진화시켜 아이템을 2배로 불리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다만 오랫동안 포켓몬 5마리로 버텨야 하고, 껍질몬을 만들려면 진화를 시키기 전에 파티 멤버 중 1마리를 방생시켜야 하므로 리스크도 굉장히 큰 전략이다. 특히 완성된 껍질몬은 무한다이노의 기술 변경으로 테라스탈이 없다면 무한다이노전에서 아무것도 못 하기 때문에 후반부에는 갈아주는 게 낫다. 아이스크는 트레이너전 때 만약에 파티에 물리형 스위퍼가 있다면, 아이스크가 약점을 찌르는 상대 앞에서 상대가 교체를 하는 것을 이용해 2가속[18]+칼춤 바톤터치 전략으로 날먹이 가능해지기에 꽤나 쓸만하다. 거기다 정말 극악의 운을 요구하긴 하지만, 캐리롤을 맡을 전설의 포켓몬과 토중몬을 함께 데려간 상태로 유전자쐐기가 극초반에 드랍이 된다면, 토중몬과 전설의 포켓몬을 쐐기한 채로 진화시킨 후 쐐기를 풀면 전설의 포켓몬 복사가 가능하다!
- 유전자 쐐기 대비용 포켓몬
유전자 쐐기는 다른 조건이 있는 게 아니라 그냥 레어도만 높은 거라서 극단적으로는 첫 전투 보상으로도 포켓몬 합체가 가능하다. 유전자 쐐기 자체가 확률은 극악이긴 해도 엄청난 변수로 작용하는 사기 아이템인데다 미리 대비한다고 해서 딱히 구성 상으로 손해도 없는 것을 생각하면 잭팟을 노린다는 느낌으로 유전자 쐐기를 고려한 파티를 짜는 것도 좋다.[19] - 타입 상성이나 특성 조합으로 이득을 볼 수 있는 경우 : 대표적으로 속공형 물리 포켓몬에게 천하장사를, 사용 후 랭크가 하락하는 기술을 배운 포켓몬에게 심술꾸러기를 넘겨주거나, 막이 포켓몬에게 퍼코트나 얼음인분, 지구력 등을 주어 스펙을 뻥튀기하거나, 짓궂은마음이나 옹골참을 주어 최소 1회의 변화기를 확정적으로 쓸 수 있는 깔짝몬을 만들거나, 혹은 아래의 껍질몬처럼 타입 상성상 찔리는 약점 타입은 줄이고 찌를 수 있는 타입을 늘릴 수 있도록 조합할 수 있다.
- 제1타입이 노멀타입 or 악타입인 포켓몬 + 껍질몬: 하나의 타입 이외로는 대미지를 받지 않는 구성.[20] 다만, 불가사의 부적을 특성으로 지니고 있으면 체력이 1로 고정된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21] 이외에도 에스퍼(고스트,악), 페어리(고스트, 강철)도 무난한 편이며, 전기(땅,고스트,악) 까지는 무한다이노전을 고려한다면 봐줄만한 편이다.
- 융합을 풀어도 스킬이 남아있어서 성능 좋은 기술들만 옮기고 융합 해제하는 방법도 있다. 대표적으로 드래곤에너지, 분화, 사우전드애로 같은 강력한 기술들을 에이스에게 옮기거나[22] 씨뿌리기, 소금절이, 스텔스록 등의 유용한 변화기들을 한 포켓몬에게 몰아주는 등. 이것은 따로 융합 준비가 안된 상태에서 사용할 일이 많은 클래식에서 매우 부각되는데, 융합시킬 두 포켓몬의 종족값이 궁합이 좋지 않더라도 자력기에 쓸만한 기술이 있다면 기억버섯으로 그것만 배우고 바로 융합을 해제하는 식으로, 에이스 몬스터에게 기술머신이나 알 기술로도 배우지 못하는 기술을 가르치는 용도로 쓸 수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노가드 특성의 포켓몬에게 일격기를 가르칠 수도 있다.
- 제 1타입이 강철 타입인 포켓몬+바우첼: 업데이트로 무한다이노 1페마저 화염방사를 들고 오게 되어 고려해볼만해진 선택지. 제 1타입이 강철 타입인 포켓몬과 바우첼을 쐐기하면 강철+페어리 복합 타입에 특성 노릇노릇바디로 불꽃 타입을 무효화하므로 무한다이노의 모든 공격기인 독, 드래곤, 불꽃 타입을 무효화할 수 있게 되어 날먹이 가능해진다.
- 상성 표시 플러그인 Rogue Dex (크롬, 파이어 폭스 한정)
포켓로그 개발진이 직접 제작한 Rogue Dex 플러그인이 있다. 설치하면 각 전투마다 서로의 능력치와 특성, 성격, 포켓몬 타입에 맞는 상성을 따로 표시해주며, 이를 이용하면 상성을 파악하기 힘든 상대를 일일이 상성 암기법으로 확인하거나 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성표는 마우스를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로 옮길 수 있다.
단점으로는 매번 게임을 켤때마다 표시창 위치가 초기화돼서 다시 옮겨줘야 한다. 또한 상대의 포켓목 목록과 특성, 개체치를 모두 보여줘버려 배틀 전략을 짜는 재미를 반감시킬 수 있는데, 이를 따로 변경하는 옵션이 없다.
2.1.1.3.2. 타입별
- 페어리 타입, 강철 타입
이들은 매우 우수한 타입 상성 덕분에 야생 포켓몬을 상대하기도 수월한 편이지만, 특히 클래식 공략 최악의 난점이라고 할 수 있는 라이벌의 메가레쿠쟈와, 최종 보스인 무한다이노를 상대하기에 유리하다는 점[23]에서 어지간하면 해당 타입을 지닌 포켓몬을 둘 이상 최종 멤버로 데려가는 것이 좋다. 대표적으로는 하술할 두드리짱이나 히드런 등이 있다. 무한다이노전에서도 무한다이빔/다이맥스포 반감에 독 타입은 아예 무효라 화염방사만 조심하면 상성상 유리하다.[24] 특히 무한다이노의 물리공격기는 독 타입인 크로스포이즌 하나가 끝이라서 1페이즈에 특공을 -6까지 하락시켜 놓으면, 2페이즈에서 급소 보정 열매만 안 뺏기게 조심한다면 무한다이노를 아예 바보로 만들 수 있다. 게다가 라이벌이 메가레쿠쟈를 스타팅 바로 다음 순서로[25] 바로 꺼내는 대참사를 피할 수 있다는 점도 매우 큰 장점. 메가레쿠쟈가 나오기 전에 랭업을 할 시간을 충분히 벌고 상대할 수 있어 난이도가 내려간다. 드래곤 타입도 채용할 수 있으나, 무한다이맥스 무한다이노, 메가 레쿠쟈에게 선공을 먹이면서 1방에 정리할 수 있도록 충분한 랭크업을 쌓아내지 못한다면 역으로 쓰러질 가능성이 높다. - 두드리짱
대표적인 클래식 버스기사 중 하나. 페어리와 강철 복합 타입은 반감 이하만 11개에 무효 2개인 훌륭한 방어상성이라 그 특성상 NPC전에서 기점 각이 매우 자주 나오므로 잘만 활용하면 매우 쉬워진다. 무한다이노가 1,2페이즈 모두 화염방사를 들고 오게 되어 공격기가 독, 드래곤뿐이라 날먹이 가능하던 과거에 비해선 힘이 조금 빠졌지만 그래도 공격기 2개를 무효화한다는 점은 여전히 건재한 장점이며, 종족값이 특방에 주로 투자되어 무한다이노의 화염방사도 그나마 덜 아프게 맞을 수 있으며 숨특으로 나쁜손버릇을 지니고 사탕으로 강철술사[26] 패시브 해금이 가능하므로 화력도 어느 정도는 보장된다.[27] 등장 바이옴도 고대 유적에서 아주 흔하게 나오므로 의외로 페어리 타입 치고는 구하기도 쉬운 편이라 접근성도 괜찮다. 다만 레쿠쟈의 경우 페어리로 약점을 무난하게 찌를 수 있지만 무한다이노의 약점을 찌를 기술이 마땅치 않으며, 천하장사를 빼앗겨서 화력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알 기술 기어체인지를 해금하거나 칼춤 기술머신을 주워야 한다. 알까기로 좋은 기술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비록 메가레쿠쟈를 갈아버릴 수 있는 아이스해머를 뺏긴 건 아쉽지만 스피드가 같이 오르는 랭업기 기어체인지를 가지고 있어 메쿠쟈와 무한다이노도 스피드 추월이 가능하고, 매지컬액셀은 명중률과 위력이 살짝 아쉬운 치근거리기를 보완하며 혼란 부가효과까지 붙은 사기 기술이다. - 히드런
물타입으로 도배된 아쿠아단과[28], 195웨이브 라이벌의 물타입 스타팅을 제외하면[29] 클래식 최강의 보스킬러 중 하나. (알)HP회복 + 강철 타입 + 타오르는불꽃 + 패시브 흙먹기라는 탱커 세팅으로 혼자서 무한다이노와 메가레쿠쟈의 거의 모든 공격을 봉쇄하며, 알기술에 플레어송이 있으므로 화력 문제도 없다. 대신 두드리짱과 마찬가지로 알작을 좀 해놔야 되는 점에는 주의. - 종이신도
대표적인 클래식 딸깍몬. 준전설임에도 불구하고 바이옴이 높은 풀숲이라 야생에서 의외로 정말 많이 보여서 입수가 쉬운 편이다[30]. 공격력 181에 스피드 109라는 클래식 최적화 종족값을 지닌 데다 특성까지 비스트부스트라 첫 한 마리를 어떻게든 쓰러트리면 비스트부스트 보정을 받고 반감이나 실드도 딜로 찍어누를 수 있다.[31] 알 기술과 패시브 하나 없는 야생 깡통으로도 충분히 실전성 있는 배치 완성이 가능하다는 점도 장점이다.[32] 다만 정작 스타팅으로 가져가기엔 초전설과 같은 8코스트라 조금 부담이 되는 편이다. 이렇게 1층부터 199층까지는 그야말로 딸깍으로만 밀어지는 미친 성능을 지녔지만, 화염방사에 4배인 건 둘째치고 너무나도 허접한 특수방어 때문에 무한다이노 앞에선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아쉬운 점도 있는데 나머지 5마리를 후술할 랭크다운, 도트딜 요원 등으로 채워서 무한다이노는 나머지 5마리에게 맡기도록 하자. - 차곡차곡
높은 내구체계 덕분에 약점에 안 찔린다면 맹활약할 수 있는 포켓몬으로, 특히 195층 라이벌을 상대로 약점이 찔리는 스타팅이 아니라면 선봉으로 나와서 스텔스록을 안정적으로 깔아줄 수 있고, 메가 레쿠쟈의 기술 모두를 반감 내지 1배로 받아낼 수 있어서 레쿠쟈를 완봉할 수 있는 역할로 쓸만하며, 200층 무한다이노 또한 다이맥스포/무한다이빔 반감, 크로스포이즌 무효, 화염방사 1배라서 매우 잘 버티기에 도트 기술 걸어두고[33] 차곡차곡을 내보내서 시간끌면 그냥 클리어가 된다. - 철화구야
차곡차곡 만큼은 아니라도 준수한 물리/특수 양 내구에, 강철/비행이라는 훌륭한 방어상성에 패시브 내열까지 해금하면 약점이 전기 하나밖에 없게 되며[34], 알 기술로 데스윙이 있기 때문에 웬만한 적들, 메가레쿠쟈와 무한다이노마저도 이 녀석에게 흠집조차 내기 힘들다. 특히 자력으로 씨뿌리기까지 배우므로 씨뿌리기를 깔고 데스윙만 눌러주고 있으면 무한다이노는 그냥 날먹할 수 있다. 쌍두형 배분이라 물리/특수 중 선택해서 운용할 수 있으며, 쌍두형 특유의 아쉬운 화력은 특성 비스트부스트로 커버 가능하다. 다만 스피드가 느리고 전기타입 견제용 열사의폭풍의 명중률이 불안한 편인 게 아쉬우며, 물공이나 특공을 비스트부스트로 커버하려면 성격이나 도핑약 관리에 신경을 써줘야 한다. 등장하는 바이옴이 희귀한 바이옴이라 야생에서 직접 잡기 힘들고 에픽 알에서 노리는 게 더 낫기도 하다. - 브리두라스
명예 시간의 신(...)으로 불리는 강력한 포켓몬으로,[35] 무효 타입은 1개지만 반감이 9개나 되는 훌륭한 방어상성을 지녔으며, 메가레쿠쟈와 무한다이노의 모든 주력기를 1배 이하로 받아낼 수 있고 알 기술로 HP회복까지 있어 딜탱형으로 쓰기 좋다. 상술한 두드리짱이 무한다이노가 화염방사를 들고 오게 되어 힘이 빠진 것과 달리 히드런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건재하다는 게 장점. 또한 히드런과 달리 라이벌의 스타팅이 뭐가 뜨든 약점을 찔리지 않아 아무거나 떠도 출발 가능하다는 점도 편리하며,[36] 비만 어떻게든 깔렸다 하면 전용기 일렉트로빔으로 화력 보강까지 가능하다[37]. 등장 바이옴인 공사장도 연구소-발전소-공장-공사장 뺑뺑이에 걸린다면 가기도 쉽다. 특성은 옹골참과 지구력 둘 다 쓸만한데, 랭업 없이는 브리두라스의 내구를 1타에 보내버릴 수 있는 상대가 클래식엔 잘 없어 지구력이 좀더 추천된다. 패시브는 트랜지스터[38]로 사실상 일렉트로빔을 자속으로 쓸수 있게되어 화력이 크게 올라간다. - 따라큐
고스트+페어리 조합은 무효만 3개에, 타점으로는 노말+불, 노말+독 단 둘을 제외하면 모두 1배 이상으로 때릴 수 있는 최고의 상성 조합 중 하나이다. 본가와 마찬가지로 특성 '탈' 은 강력한데, 기술머신으로 칼춤, 알 기술로 정리정돈을 쓸 수 있기 때문에 NPC 배틀에서 교체 타이밍만 잘 잡으면 칼춤이나 정리정돈을 2번 쓰고[39] 혼자서 쓸어버릴 수 있다. 고스트 타입이라 저주를 쓸 수 있기 때문에 무한다이노에서도 탈로 버티며 저주를 확정적으로 걸 수 있어 비전설임에도 웬만한 상황에선 꾸준히 1인분 이상은 해주는 강력한 포켓몬. - 영원의 꽃 플라엣테
좀 특이한 포켓몬 써보고 싶다고 하면 추천. 본가에서는 어느 작품에서도 입수가 불가능한 더미 데이터지만 여기서는 써볼 수 있다. 원종과 별개의 5코스트 포켓몬으로, 종족값도 높은 건 물론이고 그 분배조차 깔끔하다.[40] 특히 이 녀석의 진가는 패시브 매직가드 해금 후로, 자력기 파멸의빛, 알 기술 깜짝헤드와 클로로블라스트를 반동 패널티를 무시하고 난사가 가능하다. 등장 바이옴인 페어리 동굴이 가기가 좀 어렵지만 보스 출현 층에서는 드묾 등급이라 생각보다는 자주 뜬다.
- 땅 타입
자속기로는 라이벌의 메가레쿠쟈를 찌를 수 없지만 최종 보스인 무한다이노의 독 타입 기술을 반감하면서 이쪽은 역으로 자속기로 무한다이노에게 2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게다가 아쿠아단, 마그마단 정도를 제외한 악의 조직 대부분이 독 타입으로 도배를 하다시피 하고 오므로 악의 조직 배틀에서도 유용하고, 미스터리 조우 최악의 난적 중 하나인 거다이맥스 더스트나를 4배로 찌른다는 점도 장점이다. 기본 공격 상성도 매우 우수한 메이저 타입이며 기술머신으로 스텔스록을 배울 수 있는 경우가 많아 기점잡이 용도로도 좋다. 전기를 아예 무효로 받으므로 교체플레이에서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 다만 땅 타입 항목에도 나와있득이 대부분 스피드가 느리고 비행 타입, 부유, 흙먹기 등 땅 타입 기술을 무효화하는 경우가 꽤 있으니 주의. 사우전드애로는 비행과 부유도 때릴 수 있으니 이걸 배우는 몬스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자. - 몰드류
공격 2랭크 상승기인 칼춤과 자속으로 약점을 찌르는 지진/드릴라이너를 자력으로 배우고, 땅/강철 복합 타입이라 독 타입을 아예 무효화한다. 일반 포켓몬들 중 스킬링크 파르셀과 더불어 첫 클래식 클리어 파티에서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포켓몬들 중 하나. 다만 보유 특성 중 숨특인 틀깨기를 제외하면 모래바람 파티 전용 특성이라는 점이 아쉽다. - 다투곰
HP/공격/방어가 각각 130/140/105로 상당히 높으며, 진화 전인 링곰도 나름 준수한 성능을 지녔다. 노말 타입 자력기 및 자력기 서브웨폰이 다소 아쉽긴 하지만 기술머신으로 보완이 가능하며 노말 타입이 포함된 포켓몬답게 기술머신으로 배울 수 있는 기술들이 많다. 붉은 달 다투곰은 원종과 별개의 5코스트 에픽 등급으로 구하기 어렵지만, 특수형이라 위협에 면역인 데다 본가에서의 악명에 걸맞게 특성 심안+전용기 블러드문으로 훌륭한 일관성을 자랑한다. - 점토도리
고대 유적에서 구하기 쉬운 편인 데 비해 전기 타입이 아니면서 괴전파를 배울 수 있는 데다 파워셰어, 가드셰어를 자력으로 배워 무한다이노의 공, 특공, 방, 특방 테러가 가능하고 에스퍼 타입답게 리플렉터, 빛의장막까지 깔아주고 알 기술로 HP회복까지 있는, 무한다이노에게 엿을 먹여주기 딱 좋은 구성을 지니고 있다. 타 배틀에서도 스텔스록과 벽깔이로 나름 서포팅이 가능하며, 교체 시점만 잘 읽는다면 무한다이노와 마찬가지로 라이벌의 메가레쿠쟈에게 파워셰어로 공, 특공 180을 압수해올 수 있다. - 파르토
별 볼일 없어 보이는 종족값에도 불구하고 특성이 천하장사라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의외로 땅 타입 물리몬들 중 자력으로 지진을 못 배우는 포켓몬이 많은 걸 생각하면 지진을 자력으로 배우는 점도 장점. 위의 다투곰과 마찬가지로 노말/땅 복합 타입이라 무효 타입이 2개라 NPC전에서의 교체 플레이에서도 유리하다. 다만 성능과 별개로 외모가 너무 못생겨서(...) 쓰기 꺼려진다는 유저들도 있다. - 토대부기
본가에서 9세대가 되면서 껍질깨기를 배울 수 있게 되는 상향을 받아 강력해져서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강력하다. 얼음 4배 약점이란 치명적인 단점도 패시브 두꺼운지방을 열면 완화되며, 자력으로 씨뿌리기를 배우면서 두꺼운지방으로 화염방사는 1배가 되므로 무한다이노는 그냥 날로 먹을 수 있다. 지진을 자력으로, 그것도 32라는 낮은 레벨에 배운다는 점도 장점. 껍질깨기가 특공도 올려주기 때문에 기가드레인을 이용한 쌍두형으로도 쓸 수 있는데 이러면 회복기까지 생기므로 안정성이 더 높아진다.
2.1.1.3.3. 특정 기술, 특성 및 패시브
어떤 포켓몬이 특정 기술과 특성, 패시브를 가질 수 있는지는 ESC의 포켓몬 도감 메뉴로 들어가면 직접 검색할 수 있으니 참고.- 픽업, 매지션, 나쁜손버릇 특성 / 패시브
대다수의 도구를 중복해서 소유하게 할 수 있는 포켓로그 특성상 초반에 픽업 특성을 지닌 포켓몬을 파티에 넣어두고 나무열매나 도구를 지속적으로 파밍해두면 중후반에 상당히 도움이 된다. 굳이 포인트를 투자할 필요 없이 지그제구리가 극초반 야생 포켓몬으로 자주 나오기 때문에 픽업용으로 사용하기 좋다.
중반부에 돌입하면 이때부터 야생몬이든 트레이너든 도구를 잔뜩 둘러놓고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매지션 특성으로 도핑을 제외하고 전부 뺏어올 수 있어 픽업보다 더 많이 파밍이 가능하다. 하지만 파티 내에 존재하기만 하면 지속적으로 아이템을 수급해 주는 픽업에 비해, 매지션은 아이템을 대량수급할 수는 있어도 직접 전투에 참여해야 하므로 충분한 육성이 필요하다는 점은 주의해야 된다. 거기다 매지션 특성을 가진 포켓몬은 3마리 뿐인데, 마폭시와 클레피가 숨특이고 후파가 환포이므로 픽업 특성보다는 얻기가 힘들다. 패시브로는 마스카나와 버터플, 슬리프 등이 매지션을 보유하고 있다. 멀티렌즈로 강탈 찬스를 3배까지 늘릴 수 있으며 융합으로 찍찍베기를 가르쳐주는 데 성공하면 긴빠이의 제왕이 될 수 있다.#
나쁜손버릇은 상대의 공격을 받아야만 뺏어오기 때문에 선공으로 빠르게 상대를 처치해야 수월하게 진행되는 포켓로그와는 그다지 맞지 않는 특성이다. 그럼에도 만약 좋은 아이템을 발견했을 경우 상대의 공격력을 잔뜩 낮춰놓고 일부러 맞으면서 몽땅 뺏거나, 해당 특성을 가진 포켓몬으로 선두에서 랭크업이나 장판기 등으로 시간을 벌면서 아이템 한두개 뺏는 식으로 활용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마저도 상대가 특공기만 사용한다면 의미가 없다.
- 스텔스록(+암석액스) 등의 장판기
포켓로그의 트레이너는 실전 배틀에 버금가거나 그 이상으로 교체를 자주 하는데, AI의 한계로 장판기를 따로 의식하고 플레이하지 않다 보니 장판기의 효과가 극대화된다. 특히 스텔스록은 상성 및 특성에 따라 무시 가능한 독압정이나 압정뿌리기와 달리 거의 모든 포켓몬이 피할 수 없어 가장 유용하고, 라이벌의 메가레쿠쟈의 특성을 무시하고 볼에서 나오는 족족 보스 실드 1줄씩을 까버리기 때문에, 상성 보완이 잘 된 파티로 교체를 계속 유도시키면 메가레쿠쟈가 마지막 보스 실드 1줄만 남기고 볼에 봉인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상위호환 알 기술로는 스텔스록>암석액스, 압정뿌리기>비검천중파가 있다.
- 맹독, 소금절이, 씨뿌리기, 저주 등의 도트딜 스킬을 습득하는 깔짝 포켓몬
이들은 체력이 많은 보스 포켓몬에게 효과적이며, 특히 소금절이는 리샘열매로도 치료가 불가능하다 보니 더욱 선호받는다. 메가레쿠쟈, 무한다이노 상대로도 매우 유용하다. 이런 이유로 알 기술이고 숨특이고 패시브고 죄다 없는 깡통 상태로도 스텔스록, 소금절이, HP회복을 전부 자력으로 배우는 콜로솔트는 클래식 공략에서 매우 선호되는 포켓몬이며[41], 실제로 가장 고비로 여겨지는 180대의 사천왕+챔피언 바이옴, 라이벌과의 최종전인 195 바이옴, 마지막 무한다이노까지 콜로솔트의 소금절이 + 스텔스록 + HP회복으로 계속 깔짝대는 플레이가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된다. 그리고 메가팬텀과 같이 압도적인 스피드를 가진 고스트 타입 포켓몬이 저주를 깔아주는 것도 굉장히 큰 도움이 되며, 마지막 무한다이노를 상대로 저주+소금절이가 미리 깔린다면 그냥 날로 먹는다. 여기에 물붓기까지 동원해 상대의 자속 보정을 없애버리고 타입에 따라 무효화될 수 있는 맹독, 씨뿌리기, 버섯포자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면 금상첨화. 그외 씨뿌리기의 상위호환 알 기술로 쑥쑥봄버가 있다. - 짓궂은마음 또는 옹골참 특성
상술한 도트딜 기술을 가진 포켓몬보다 상대의 스피드가 빠르면[42] 막상 도트딜을 걸기도 전에 선공을 맞고 끔살나는 경우도 잦은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변화기를 선공기로 사용하게 해주는 짓궂은마음 특성이나, 일격에 쓰러지지 않는 옹골참 특성 포켓몬을 도트딜 요원으로 사용하면 도트딜을 확정적으로 걸 수 있게 되어 안정성이 높아진다. 상술한 콜로솔트도 옹골참 특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짓궂은마음 특성의 경우 엘풍, 오롱털, 깜까미(숨특) 등이 보유하고 있다. 특히 엘풍의 경우 극초반 풀숲에서 나오는 데다 숨특도 아니라서 굳이 코스트를 투자할 필요 없이 지나가다 잡아서 씨뿌리기 요원으로 쓸 수 있다. 단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짓궂은마음의 경우 악 타입 포켓몬에게는 변화기 자체가 무효화된다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 바다회오리, 회오리불꽃, 김밥말이 등의 구속기
특정 챌린지 중이라 저주, 씨뿌리기 등 제대로 된 도트기를 가진 포켓몬을 구할 수 없을 때[43] 고려해볼만한 대체재. 이들 구속기들의 지속 데미지도 마찬가지로 체력 비례 데미지라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단 일반적인 도트기와 달리 이런 류의 기술은 시전자가 교체하거나 쓰러지면 효과가 풀려버리므로, 시전자가 무한다이노의 공격을 버티며 계속 눌러앉아 있을 수 있도록 후술할 랭크다운기들을 병행하는 것이 추천된다.
- 진흙뿌리기, 싫은소리, 비밀이야기, 바크아웃 등의 능력치를 깎는 기술
1페이즈의 능력치 변화가 2페이즈에서도 유지되는 무한다이노를 효과적으로 견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 능력치를 충분히 깎았다면 후발주자가 대놓고 랭크업을 쌓거나 안전하게 상태이상을 걸 수 있는 기점을 만들어줄 수 있다. 이런 기술들은 대부분 일반 등급 기술머신으로 등장하면서 배우는 포켓몬도 많아 접근성이 높고, 자력기에 포함된 경우도 흔해서 기억버섯을 통해 196라운드 이후 필요 없어진 기술들[44]을 대체할 수 있다. 단, 트레이너 전에서는 타입 상성에 따라 교체해버리므로 무리하게 능력치를 깎기보단 똑같이 교체를 해주는 편이 더 나을 때도 있다. 특히 괴전파는 3번만 사용하면 바보가 되므로 사용하기 애매한 전기 타입 포켓몬이라도 하나쯤은 들고 가면 상황을 유리하게 돌파할 수 있으며[45], 비밀이야기의 경우 배우는 포켓몬 수가 압도적으로 많아 구하기가 매우 쉽기 때문에[46] 한 마리가 특공 하락을 쌓던 도중 쓰러지는 걸 대비해 2~3마리까지 장전해두면 무한다이노가 매우 쉬워진다. 비밀이야기를 못 배우는 포켓몬이 많은 벌레 타입 챌린지의 경우 벌레의저항을 많이 배우므로 대체가 가능하다. - 뒤집어엎기
무한다이빔과 오물폭탄의 PP가 다 떨어질 때까지 버틸 수 있는 경우, 코스믹파워와 용의춤을 최대한 쌓을 때까지 기다린 다음 뒤집어엎기를 사용해 특수공격을 제외한 모든 능력치를 낮춰버리는 방법도 있다. 클레피의 경우, 알기술 뒤집어엎기+강철/페어리 복합 타입+화염방사에 비명횡사할 가능성까지 차단하는 짓궂은마음 조합으로 2페이즈에 들어가자마자 무한다이노를 파리 목숨으로 만들 수 있다. 무한다이노 한정 두드리짱을 뛰어넘는 하드카운터. 다만 뒤집어엎기 자체가 칼라마네로의 전용기라 칼라마네로를 제외하면 위의 클레피처럼 알 기술로 들고 가지 않으면 쓸 수 없어 접근성은 아쉬운 편이다. - 흑안개
위의 뒤집어엎기를 구할 방법이 없다면 쓸 만한 대체제. 뒤집어엎기와 달리 배우는 포켓몬이 훨씬 많아서 압도적인 접근성이 차이점이다. 뒤집어엎기가 랭크 변화를 뒤집는다면, 이쪽은 랭크 변화를 모두 초기화시키는 것이라 하위 호환이긴 하지만 무한다이노의 공/특공이 높은 편은 아니라 충분히 버틸만해진다. 야생의 보스 포켓몬들이 실드가 까이거나 나무열매를 먹을 때마다 랭크 업을 해대서 전설/환상의 포켓몬처럼 포획률이 낮을 경우 포획 시도 중에 역스윕을 당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무한다이노전 외에도 이런 전설/환상 포켓몬용 포획조로도 쓸 만하다.
- 연속기
연속기는 보스 포켓몬을 효과적으로 상대할 수 있다. 폭딜이 아닌 이상 대미지가 실드에 막히는 일반 기술과는 다르게 연속기는 실드를 깨고 나서 후속공격으로 그 실드가 까진 HP에 추가 대미지를 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연속 공격 하나당 실드 하나를 깔 수 있다면, 그 보스전은 이미 승리한 거나 다름없고, 2타에 실드 하나를 깨더라도 상대 교체턴마다 대미지를 누적시켜서 잡아낼 수 있다. 테크니션이나 스킬링크를 특성으로 가진 포켓몬이면 더욱 좋으며, 파르셀이나 치라치노[47]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껍질깨기도 갖추고 있는 스킬링크 파르셀은 라이벌의 레쿠쟈를 매우 효율적으로 상대할 수 있는 포켓몬 중 하나이면서, 무한다이노를 상대할 때도 자속으로 약점을 찌를 수 있다. 스킬링크가 없는 일반 포켓몬들이라도 두번차기, 더블촙, 더블윙 같은 2회 공격기를 배운다면, 위력은 더 높지만 실드에 막히는 고위력기들보다 이러한 기술들을 채용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일 수도 있다.
- 쾌청, 비바라기 등의 날씨팟
쾌청팟이나 비팟을 꾸린다면 위의 랭업기와 비슷하게 날씨에 의한 위력 보정과 번개, 눈보라 등의 필중기 보정, 솔라빔의 차징 무시 등의 도움으로 스윕하며 등반할 수 있다. 또한 매 바이옴마다 날씨가 해당 바이옴에 맞게 변하는데, 캐리몬과 역상성인 날씨가 걸린다면[48] 야생 포켓몬은 물론이고 특히 해당 바이옴에서 체육관 관장이 등장한다면 상당히 고전할 수 있다. 굳이 역상성이 아니라도 안개가 깔리는 바이옴에 가면 명중률 하락 때문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하지만 파티에 날씨를 바꾸는 기술이나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면 이러한 소위 말하는 '날씨 억까'를 방지할 수 있는 역할도 하게 된다. 초전설 캐리몬 중 그란돈, 가이오가가 인기인 이유도 특성으로 알아서 쾌청과 비를 깔아줘서 날씨팟 운용이 쉽다는 점도 있는데,[49] 특히 원시회귀까지 한다면 각각 끝의대지, 시작의바다 특성으로 바뀌고 물 타입과 불꽃 타입을 아예 무효화시켜버리는 사기적인 날씨가 되므로 매우 쉬워진다. 단, 라이벌의 메가레쿠쟈는 날씨를 무효화하는 델타스트림 특성이라 주의해야 한다. 모래바람의 경우에도 비록 화력 증강은 없으나, 특방 1.5배 증가로 무한다이노전에 도움이 되는 데다 모래숨기, 모래헤치기 등의 특성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 꿀모으기 특성
포켓로그에서는 달콤한 꿀 아이템이 없기때문에 단순하게 전투 후에 돈을 획득하는 특성으로 변경되었는데, 초반 캐리롤 포켓몬이 없다면 돈을 획득할 구간이 적고 체력만 줄줄 새어나가는 극초반부의 안정성을 높혀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계속 파티 1자리를 잡아먹는다는 점과 후반부에는 꿀모으기로 모이는 돈 이상으로 트레이너전이 돈을 잘 번다는 점, 골든 펀치같은 돈 획득 아이템 파밍, 꿀모으기 몬스터들의 전투성능, 꿀모으기로 버는 돈 이상으로 인플레가 심해진다는 단점들로 인하여 결과적으론 풀어줘야하지만 초반부 안정성을 견고하게 가고싶다면 나쁜 선택은 아니다. 특히 세꿀버리는 극초반부부터 높은 확률로 등장하므로 초반맴버로 포함하지 않았더라도 구하기 쉬운 편이다.
- 변환자재, 리베로 특성 / 패시브
포켓로그의 변환자재, 리베로는 1회성으로 발동하는 9세대 사양이 아니라, 너프 전 8세대의 사양이기 때문에 본가와 마찬가지로 공격/방어 양면으로 굉장히 사기적인 특성인데, 특히 NPC들의 AI를 매우 쉽게 교란시킬 수 있어 게임이 날먹이 가능해진다. 특히 더욱 진가를 발휘할 때는 단일 타입 챌린지로, 변환자재로 바뀌는 타입은 챌린지 타입과 달라도 아무 상관 없이 쓸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챌린지 타입이 돌파하기 어려운 역상성도 날먹으로 돌파할 수 있다.[50] 다만 특성으로는 구하기가 다소 어려운 편으로 숨특으로 에이스번, 마스카나, 개굴닌자[51]가 보유하고 있고 일반 특성으로는 거다이맥스 에이스번, 거다이맥스 이브이가 보유하고 있어 거다이맥스를 성공시키거나 운좋게 해당 포켓몬을 데리고 있는 채로 트레이닝 미스터리 조우가 뜬다거나 하는 게 아닌 이상 얻기는 힘들지만, 그만큼 그 사기성 하나만큼은 보장한다. 패시브로는 폴리곤Z, 일레도리자드, 모토마, 내던숭이, 게노세크트, 어지리더, 뮤 등이 보유하고 있다.
- 긴장감, 편승 특성 / 패시브
후반으로 갈수록 진가를 발휘하는 특성. 후반부로 갈수록 개나소나 열매를 들고 다녀서 한 방에 죽이지 못하거나 깎을 수 있는 체력 상한이 존재하는 경우 게임을 늘어지게 만드는데, 긴장감이 있다면 그걸 방지할 수 있으면서 열매 때문에 다음 턴에 역전당하는 걸 방지해줄 수 있다. 특히 패시브를 해금한 상태의 자시안, 레쿠쟈 중 하나라도 얻었다면[52] 후반이 매우 편리해진다. 다만 긴장감은 숨겨진 특성으로 가진 경우가 더 많으며 전툴라 / 아머까오 / 버드렉스 만이 기본으로 가지고 있다. 그래도 전툴라나 아머까오는 둘 다 스토리용으로 쓰기 나쁘지 않다는 게 위안이며, 행여나 알뽑하다 숨겨진 특성 깜지곰을 해금했다면 스타팅에 넣어줄 수 있다. 편승의 경우 마찬가지로 열매를 먹거나 깎을 수 있는 체력 상한에 도달할 때마다 랭크 업이 이루어지는 후반에 매우 유리하게 작용한다. 편승을 기본 특성으로 가진 포켓몬은 클레스퍼트라밖에 없지만 그 클레스퍼트라 자체가 버티기 힘든 초반을 넘겨서 진화시키면 자체 성능도 괜찮은데다 루미나콜리전으로 악 타입만 아니라면 보스전 날먹이 가능하다 보니 스타팅으로 쓰기 좋고,[53] 편승이 해금 패시브인 포켓몬 중엔 오거폰, 웨이니발 같은 매우 강력한 포켓몬들이 포진해 있어서 효율을 최대로 누릴 수 있다.
- 기가드레인, 드레인펀치, 생생버블, 휘적휘적포, 특성 재생력 등의 HP 회복 수단을 가진 포켓몬
회복에 돈이 필요하며 배틀 중에는 할 수도 없는 포켓로그 특성상 자체적으로 HP 회복이 가능한 포켓몬을 쓰면 그만큼 다른 포켓몬들의 회복이나 리롤에 돈을 쓸 수 있어서 게임이 더 쉬워진다. 특히 알 기술을 통해서 이런 기술들을 배우는 포켓몬도 많고, 저수처럼 특정 타입 기술을 무효화하고 회복하는 특성들은 교체 플레이에 있어서도 유용하니 잘 활용해보자. - 데스윙
상술한 회복기 대부분이 메가레쿠쟈와 무한다이노에게 반감되는 타입을 지녀 정작 그 둘에게는 거꾸로 챌린지가 아닌 이상 쓰기가 마땅찮지만, 데스윙의 경우 비행 타입이라 메가레쿠쟈와 무한다이노 전에서도 써먹을 수 있으며 비행 타입 자체의 일관성도 괜찮은 편이라 알 기술로 데스윙이 있는 포켓몬이 있으면 난이도가 많이 내려간다. 데스윙의 주인은 초전설인 이벨타르뿐이지만 그 이벨타르도 클래식 최상급 버스기사로 유명한 데다 패시브와 알 기술을 열면 엔드리스까지도 활약이 가능하니 픽업이 돌아오면 뽑아보는 것도 괜찮다. - 천진 특성 / 패시브
후반으로 갈수록 체력 상한이 존재하고 그 상한이 까질 때마다 스탯이 증가하는 포켓몬들이 있다 보니 어지간한 스펙이 아니라면 애를 먹게 된다. 그런 점에서 상대의 랭업 변화를 무시하는 천진은 매우 빛을 발한다. 특히 어써러셔는 자체적인 내구도 출중한데다 약점이 2개 뿐인 단일 물 속성이며 물붓기가 있어 안정적인 기점을 만드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스타팅으로 데려갈 만한 포켓몬 중 토오나 라우드본이 숨겨진 특성으로 천진을 가지고 있으니 참고하자.
2.1.1.3.4. 비추천 포켓몬
본가에선 성능이 좋았으나, 반대로 포켓로그에선 추천되지 않는 포켓몬도 있다.- 자력기가 부실해서 기술머신 의존도가 높은 포켓몬
기술머신이 보상 상점에서 뭐가 뜰지는 순전히 운빨에 의지해야 해서 미래를 알 수 없으며, 200층까지도 주력기가 안 나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예를 들어 본가에서는 압도적으로 강하던 한카리아스가 자속 지진을 자력으로 배우지 못하고 기술머신으로만 배울 수 있는 반면, 플라이곤은 자력으로 지진을 배우는 데다 스피드도 비슷하고, 무효 타입도 2개라 트레이너전에서 교체 플레이가 잦은 클래식 환경에선 체감 성능이 더 좋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 고유 시스템인 알 기술로 자력기를 보강해주기도 하지만, 이 역시 알에서 운으로 뽑아야 하는 데다 반드시 스타팅으로 들고 가야만 얻을 수 있어 지나가다 잡은 개체는 쓸 수 없다. 드물게 특정 미스터리 조우로 알 기술을 배운 개체를 포획할 수 있긴 하지만 등장 확률도 낮고, 이쪽은 온갖 랭업으로 중무장을 하고 덤벼오므로 포획을 위해 체력을 깎는 것도 어렵다.
- 스피드가 느린 딜탱형 딜러
회복이 자유롭지 못한 특성상, 웨이브마다 한 대씩 얻어맞고 시작하기 때문에 자력으로 회복기를 보유하지 않은 한은 유지력이 좋지 않다.
- 에스퍼 타입
악 타입 무효화도 있는 데다 시도때도 없이 날아오는 기습, 만나자마자 등 위험요소가 너무 많아 포켓로그에서 활약하기엔 그다지 좋지 않다.사실 에스퍼 타입은 본가에서도 그닥 좋지 못한 타입이기는 하다에스퍼 타입 어태커는 보통 특공이 높은 대신 물리내구가 매우 낮아 비자속이라도 기습 1타에 쓰러지고 허무하게 전복나는 일이 잦다. 이렇기 때문에 에스퍼 타입 챌린지는 상당히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그나마 특성이나 패시브가 비비드바디나 사이코메이커인 에스퍼 타입들은 이런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지긴 한다.
- 풀 타입, 벌레 타입
이 두 타입의 결정적인 문제는 원작과 결을 같이 하는데, 초원에서 시작하는 정글 루트나 대도시에서 시작하는 공사장 루트에서는 상성상 풀과 벌레 타입을 카운터치거나 잡기 답답한 적들이 너무 많이 나온다. 그렇다고 해서 호수로 시작한다고 해도 그렇게 좋지도 않은 게 갸라도스나 찌리비크, 윽우지 등이 자주 튀어나오기 때문에 안심할 수가 없고 풀타입에게 얼음 타입도 까다로우니 얼음 동굴 - 눈덮인 숲으로 빠지는 루트도 쉽지 않다. 즉, 첫 3개 갈림길에서 어느 하나도 풀타입에게 만만한 루트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레쿠쟈나 무한다이노에게 약한 것도 단점. 이래저래 포켓로그에서는 안 좋은 타입이다.
2.1.2. 챌린지
클래식 모드 최초 클리어시 해금되며, 특정 조건을 제한해 클래식 모드를 클리어하는 모드이다.사용할 수 있는 챌린지는 다음과 같다. 차후에 이브이 시리즈 챌린지 등 새로운 챌린지 모드가 추가될 예정이다.
- 세대 챌린지: 선택한 특정 세대의 포켓몬만 사용할 수 있다. 등장하는 악의 조직, 사천왕 및 챔피언은 챌린지를 선택한 세대의 악의 조직과 사천왕 및 챔피언으로 고정되며 체육관 관장은 바이옴에 따라 등장 풀이 정해져 있는 클래식 모드와 마찬가지로 기존 등장 풀을 따르므로 챌린지를 선택한 세대 외의 체육관 관장도 등장한다.
- 타입 챌린지: 선택한 특정 타입의 포켓몬만 사용할 수 있다.
- 거꾸로 배틀: 타입 상성이 반대로 적용되는 상태로 플레이한다. 타입 상성 및 유리한 포켓몬에 관해서는 거꾸로배틀/상성 참고. 다른 챌린지와 동시 설정은 가능하지만, 업적은 후술할 능력치 역전 챌린지 이외에는 동시 달성하지 못한다. 대신 역전 챌린지 한정으로 동시에 설정한 채 클리어할 경우 각각의 챌린지 업적이 모두 클리어 처리되며, 거꾸로 배틀+역전 챌린지 업적도 존재한다.
- 능력치 역전: 체력과 스피드, 공격과 특방, 방어와 특공이 서로 바뀐다. 고체력 저스핏에 높은 특방이나 방어를 지닌 포켓몬이 이 챌린지 한정으로 유리대포가 되는 셈. 능력치의 역전 특성상 종족값 분배가 고른 포켓몬이 유리하며, 모든 종족값이 120인 아르세우스나 모든 종족값이 100인 환상의 포켓몬은 사실상 노패널티이다. 라이벌의 메가레쿠쟈의 경우 공,특공 180을 압수당해 별볼일 없어지게 되지만, 무한다이노 2페이즈가 공, 특공, 스피드 250의 지옥같은 난이도로 돌변하므로 사실상 도트딜 방식 공략이 필수다.
다른 챌린지와 동시 설정은 가능하지만, 업적은 거꾸로 배틀 이외에는 동시 달성하지 못한다. 대신 거꾸로배틀 한정으로 동시에 설정한 채 클리어할 경우 각각의 챌린지 업적이 모두 클리어 처리되며, 거꾸로 배틀+역전 챌린지 업적도 존재한다. - 지원 제한 챌린지: 10의 배수 웨이브 이후 바이옴이 바뀔 때 포켓몬이 회복되지 않는다. 또는 웨이브 진행 후 상점을 이용할 수 없다. 또는 두 가지 제한이 모두 적용된다. (챌린지 메뉴에서 설정 가능)
- 너즐록: 본가 게임의 플레이 방법 중 하나인 너즐록 챌린지를 구현한 챌린지들의 목록이다. 아래의 3가지 챌린지를 모두 활성화한 상태로 게임을 클리어하면 너즐록 업적을 얻고, 클리어 멤버들은 클리어 리본과는 별개로 너즐록 리본을 얻게 된다.
- 포획 제한 챌린지: 바이옴 이동 후 처음 만나는 포켓몬만 포획할 수 있다. (미스터리 조우에서 선물 받은 포켓몬은 예외)
- 하드코어 챌린지: 한 번 기절한 포켓몬은 죽은 것으로 간주하여 더 이상 회복할 수 없게 된다.
- 새 출발: 시작하는 포켓몬들이 처음 플레이하는 사양으로 변경된다.[54] 특성이나 알 기술 등을 설정하고 시작해도 자동으로 초기화되어 있다. '미니 블랙홀', '진화의휘석'이 등장하지 않는다.
- 올리셋 챌린지: 각 세대의 스타팅 물/불꽃/풀 포켓몬만으로만 시작 파티를 구성할 수 있는 새 출발 챌린지이다. 너즐록 챌린지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
챌린지 조건에 맞지 않는 포켓몬은 포획 등을 통해 파티에 넣는 것은 가능하나 배틀에 내보낼 수 없다. 픽업 등 배틀에 참여하지 않아도 발동되는 특성의 경우, 해당 특성 소지 포켓몬이 챌린지 규칙에 맞지 않은 포켓몬이면 특성 발동이 안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파티 내 이로치 보유로 인한 행운등급 상승은 챌린지 조건을 만족하지 않아도 상승하기 때문에 플레이 도중 우연히 만났다면 파티가 적당히 완성될 때까지 넣어두고 진행하는 게 훨씬 유용하다.
만약 선택한 조건에 맞는 포켓몬이 전부 쓰러졌다면, 엔트리에 (쓰러진 포켓몬들을 제외한) 다른 조건 불충족 포켓몬들이 있더라도 패배한 것으로 처리된다. 다만 챌린지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포켓몬을 엔트리에 넣은 채 무한다이노를 쓰러트렸을 경우에는 해당 포켓몬들 또한 클리어한 것으로 취급해 첫 클리어 시의 알 바우처는 지급된다.
세대, 타입 챌린지는 스타팅 포켓몬은 선택한 조건에 맞는 포켓몬을 제외하곤 선택할 수 없게 되어 있으며, 포켓몬의 리전 폼은 그 지역에 해당하는 세대의 포켓몬으로 간주한다. 예외로 폼체인지 혹은 진화를 통해 세대나 타입이 바뀔 경우, 첫 포켓몬을 고른 후 파티에 포함하는 것까지는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이브이의 경우, 1세대 챌린지는 물론 2세대, 4세대, 6세대 챌린지와 각 이브이즈의 타입 챌린지를 할 때 스타팅 파티에 넣는 것이 가능하다.
진화 전후가 다른 세대 / 다른 타입인 경우, 챌린지로 지정된 한 쪽만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진화로 인해 챌린지에 맞는 조건이 사라졌을 경우 진화한 포켓몬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피카츄는 1세대 포켓몬이지만 피츄는 2세대에서 등장했기 때문에, 2세대 챌린지에서 피츄를 피카츄로 진화시켜 버리면 그 챌린지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진화하면 세대가 바뀌는 포켓몬 진화/폼체인지하면 타입이 사라지는 포켓몬 진화/폼체인지하면 타입이 생기는/바뀌는 포켓몬
포켓로그 시스템상 진화지만 배틀 기믹인 메가 진화, 거다이맥스 등 폼체인지는 도감 번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세대와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다. # 대신 폼 체인지를 통해 타입이 바뀌는 경우는 조심해야 한다.
포켓몬 융합도 조건만 만족한다면 얼마든지 사용 가능하므로, 세대 챌린지에서는 해당 세대의 포켓몬들만으로 융합하도록[55], 타입 챌린지에서는 융합 시에 해당 타입이 사라지지 않는지 주의하며 사용해야 한다.
테라스탈, 변환자재 특성 등 타입이 변하는 시스템의 경우, 기본 타입이 지정한 타입 챌린지에서 사용할 수 있다면 어느 타입으로 변했든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없는 타입의 포켓몬도 챌린지와 동일한 타입으로 테라스탈했다면 10번의 배틀 동안 사용이 가능하다.
2.1.2.1. 특정 챌린지 추천 포켓몬
- 거꾸로 챌린지
거꾸로 배틀 룰이 적용되는 챌린지는 그 특성상 일반 클래식과 밸런스와 공략법이 아예 다르다. 추천되는 공략법은 단일 노말 타입의 메인 딜러에게 캐리롤을 맡기는 것. 단일 노말 타입은 거꾸로 룰에서는 반감이나 무효로 때리는 타입이 없으며, 약점은 하나밖에 없는 사기 타입 으로 돌변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대폭 내려간다. 전설의 포켓몬인 아르세우스,레지기가스[56], 테라파고스, 메로엣타, 실버디를 데려가는 게 제일 쉽긴 하지만 없다면 비전설 중에서도 쟝고, 캥카, 바랜드, 폴리곤Z, 파밀리쥐, 치라치노, 형사구스[57] 등등 체급 좋은 노말 타입들이 꽤나 포진해 있다. 노말 타입 외에도 풀, 벌레, 격투, 얼음, 독 등 타점이 처참하거나 약점이 많던 타입도 대부분 폭풍 상향을 받아 사기 타입이 되니 추천된다.[58].
- 능력치 역전(반전 챌린지)
능력치가 바뀌는 반전 챌린지도 일반 클래식과는 밸런스와 공략법이 상당히 다르다. 능력치만 변경되고 자력기 및 기술머신으로 배우는 기술 등은 그대로라 몇몇 포켓몬들은 일반 클래식보다 훨씬 좋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성능과 별개로 운용법이 완전히 달라지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 해당 챌린지에서 유용한 포켓몬들은 다음과 같다. 다만 스탯 변경과 기술폭 등을 기반으로 효율성을 따지는 것일 뿐 해당 목록의 포켓몬들이 무조건 옳은건 아니다. - 스피드가 빠른 짓궂은마음 특성 포켓몬들 - 반전 챌린지에서 느려진 스피드는 특성 덕에 보조기 한정으로 여전히 선공으로 사용이 가능해 큰 문제가 없고 오히려 빨랐던 스피드가 체력으로 바뀌면서 생존력이 증가한다.[59] 다만 공격/특공 스탯도 변경되는만큼 운용법을 잘 선택해야 한다.
- 방어나 특방이 매우 높은 포켓몬들 대다수 - 방어는 특공, 특방은 공격과 바뀌므로 탱커형 포켓몬들이 딜러로 변모한다. 체력과 스피드도 서로 바뀌므로 원래 느렸던 포켓몬들이 무척 빨라지나, 낮은 스피드가 HP로 바뀌어 그만큼 맷집이 약해지므로 주의. 또한 대부분 쓸만한 서브웨폰이 부족하다는 문제도 있다.
- 브리두라스, 미끄래곤 등 일부 600족 포켓몬.
- 복숭악동 - 160의 높은 방어가 80의 특공과 맞바뀌는 바뀌는 것을 제외하면 큰 차이가 없다. 160의 수치로 날리는 자속 악독사슬과 오물폭탄, 섀도볼은 매리트가 있지만 서브웨폰은 속임수 및 알 기술들로 충당해야되고 높은 특공 외에는 특이사항이 없다는게 흠.
- 파르셀 - 이쪽도 방어 180이 특공과 맞바뀌어 고화력 특수딜러로 쓸 수 있다. 다만 알 기술 물수리검을 제외하면 스킬링크 특성을 쓰기 어렵고 기본 스피드가 느려져서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흠.
- 크레베이스 - 위의 파르셀과 똑같이 특공 180에, 스피드도 95으로 상당히 빠르다. 대신 느려터진 스피드가 체력으로 가서 내구성이 종잇장과 같아졌다.[60] 그야말로 역전챌 버전 종이신도.
- 해피너스 - 이쪽은 역전챌 버전 페로코체 또는 무쇠보따리. 체력 255가 스피드로 가서 무한다이노 2페의 250조차 넘는 극단적인 스피드에, 공격도 135로 제법 높다. 대신 내구가 종잇장과 같아져서 상대가 속임수를 가지고 있으면 거의 한방컷이 나니 주의.
- 레지스틸 - 높은 방, 특방이 공, 특공으로 가서 150 쌍두 어태커가 되었다. 다만 스피드가 조금 애매한 편이라 알칼로이드를 파밍해야 한다.
- 테라파고스(테라스탈폼)
- 이상해꽃, 거북왕
- 메가니움 - 메가니움의 고질적 단점이던 내구형 설계가 어태커형으로 바뀌면서 알 기술 용의춤과 조합해서 사용하면 원본에 비해 훨씬 쓸만해졌다. 풀 타입답게 쓸만한 변화기들을 여럿 보유하고 있다는 유틸성이 건재하다는 점도 나머지와의 차이점.
- 깨비물거미 - 132의 높은 특방이 공격으로 전환되며 여기에 S급 특성인 수포까지 보유하고 있는 강력한 포켓몬. 비교적 낮은 스피드도 제트펀치(선공기), 아쿠아스탭(스피드 1랭크 증가) 등 알 기술들로 커버가 가능하다.
- 마릴리 - 원본도 낮은 종족값에도 불구하고 천하장사라는 S급 특성 덕분에 좋은 성능이었는데, 공50 스피드50의 종족값이 공80 스피드100으로 바뀌어 더 쓰기 좋아졌다.
- 두드리짱 - 공105+위력160 거대해머. 상술한 대로 상성까지 훌륭하다. 스피드가 94에서 85로 내려간다는 게 조금 거슬리지만 대부분의 분배가 개판이 되는 역전 챌린지에선 85의 스피드도 상위권은 되는 편이고, 반감과 무효가 많은 상성 조합 덕분에 체감 내구는 여전히 높다.
- 기로치 - 세벗들 중 이 챌린지에서 가장 쓰기 좋은 포켓몬. 준수한 스피드의 고화력 물리 딜러로 써먹으면 된다. 숨특인 테크니션과 알 기술들 모도 물리형에 잘 어울린다는 것도 호재. HP를 제외한 방어/특방/스피드는 다소 줄어들었지만 다른 포켓몬들의 능력치가 극단적으로 변한 경우가 많은데 반해 이쪽은 특방만 빼면 다른 모드와 비교할 때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은 아니고 방어와 스피드는 알 기술 승리의 춤으로 보완하면 된다.
반대로 비리디온, 케르디오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한 대다수 격투 타입 포켓몬들, 공격력이나 특수공격력이 상당히 높은 고스피드 봉지내구형 포켓몬들 중 대다수는 반전 챌린지에서 좋지 않다. 다만 메가자리 등 일부 포켓몬들은 특성 등으로 스탯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단점 중 하나인 낮은 내구력이 올라가면서 다른 운용법으로 굴릴 수 있다.
2.1.3. 엔드리스
클래식 모드 최초 클리어시 해금되는 모드. 이름대로 끝없이 쏟아져나오는 야생 포켓몬들과 싸우는 모드지만 5850층이 끝이다. 끝층에 도달했을 경우 '끝에 도달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더 많은 컨텐츠를 기다려주세요.'라는 문구와 함께 프리미엄 알 바우처를 제공하고 세이브가 사라진다. [61]엔드리스 모드는 첫 포켓몬 선택 포인트가 클래식보다 5 증가한 15로 시작하여 편성이 좀 더 편리해지고, 바이옴은 5웨이브마다 변경되며 지도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50웨이브마다 랜덤한 보스 패러독스 포켓몬이 등장하고 다음 바이옴은 이동 규칙을 무시하고 무작위 바이옴으로 이동한다. 패러독스 포켓몬 대신에 250웨이브마다 무한다이노가, 1000웨이브마다는 무한다이맥스 무한다이노가 등장한다. 다만, 엔드리스의 무한다이맥스 무한다이노는 일반 무한다이노, 즉 클래식의 1페이즈와 기술 배치가 동일하므로, 상대법도 동일하다.
트레이너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의외로 초반에는 체급이 높은 포켓몬으로 쓸어버릴 수 있어 클래식보다 수월한 면도 있다.[62] 하지만 가면 갈수록 엔드리스 전용 시스템인 토큰 시스템으로 인해, 상대 야생 포켓몬이 각종 사기적인 효과를 받게 되면서 레벨을 따라잡는 것만으로는 배틀에서 승리하기 힘들어진다. 토큰의 종류만 해도 평범하게 입히는 데미지가 증가하거나 받는 데미지가 감소하는 토큰은 기본이고[63], 몇백 층 정도만 등반해도 공격에 맹독, 화상, 마비와 같은 상태이상을 10스택 기준 50%(마비는 25%) 확률로 묻히는 토큰도 생기는데다, 이보다 높은 층수에서는 10스택 기준 20% 확률로 일격기를 제외한 모든 데미지에 한 턴 동안 확정으로 살게 만드는 버티기 토큰과, 매 턴 체력 20% 회복, 25% 확률로 상태이상을 해제하는 토큰까지 생기면서 사실상 평범한 배틀 전략으로는 3000층 이후로는 웨이브 격파가 불가능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보통 이 이후로 진행할 생각이 있다면 후술할 도주런이라는 전략을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까지 극악의 환경까지 치닫는 엔드리스 모드를 등반하는 이유로는, 50웨이브마다 얻는 플러스 바우처(250웨이브마다 프리미엄 바우처), 그리고 클래식의 몇십 배나 되는 수많은 웨이브에서 쌓아올린 패시브 아이템을 누적시켜, 최종적으로 클래식에서 포획하기 힘든 색이 다른 포켓몬, 전설의 포켓몬, 숨겨진 특성을 지닌 포켓몬을 다수 포획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최종 웨이브인 5850웨이브 도달을 목적으로 도전하는 경우도 있지만, 클리어 보상이 프리미엄 알 바우처 뿐이고 2025년 기준 엔드리스 관련 업적도 돈, 대미지 등 높은 수치를 달성해야 하는 간접적인 업적 뿐이며, 도주런을 활용하더라도 5천번 이상의 전투를 꾸준히 반복해야해서 빠르게 질리기 때문에 쉽게 추천되는 콘텐츠는 아니다.
도주런을 시작하면 보스전의 보상인 플러스 바우처 외의 아이템은 사실상 얻을 수 없지만, 대신 그 전까지 쌓아둔 수많은 아이템들, 특히 빛나는부적 4스택을 모은 뒤 전설의 포켓몬이나 색이 다른 포켓몬을 그 전까지 쌓아둔 마스터볼로 잡으면 그만이다. 따라서 무한 모드는 처음부터 높은 행운 수치로 캐리 포켓몬으로 전투가 힘들어지는 웨이브(2000웨이브 정도를 기준으로 잡는다) 전까지 빛나는부적을 4스택 쌓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 때, 행운 수치를 올려주는 이로치 포켓몬이 있으면 좋다. 만약 이로치가 없더라도 워낙 여유 웨이브가 많고[64], 그에 따라 금구슬류의 아이템이 주는 골드 대비 리롤의 비용이 상대적으로 폭락하기 때문에 록캡슐을 챙긴 뒤 상점에서 무한 리롤을 돌려 마스터 등급 아이템을 여러 차례 띄우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며, 그 많은 웨이브에서 만나는 야생 포켓몬 중에서 색이 다른 포켓몬이 출현할 가능성도 꽤나 높으므로, 행운 수치 0으로 시작하더라도 도주런 전까지 충분히 많은 행운 수치를 확보하는 것도 불가능은 아니다. 1회차에는 적당히 기반이 될 이로치를 모을 겸 1000층대 정도까지만 가고, 2회차부터 본격적으로 1회차에 파밍한 이로치를 추가로 기용해 안정적으로 등반하는 것도 방법.
바우처 보상은 굳이 도주런을 하지 않아도 얻을 수 있으므로, 클래식을 여러 번 돌아 어지간한 네임드를 전부 깨서 플러스 바우처를 얻기 힘들어진 이후라면 클래식 반복보다 훨씬 고효율로 플러스 바우처를 얻을 수 있다. 마땅한 캐리가 없어 도주런 준비물을 전부 획득할 때까지 전복 위험을 피할 수 없다면 적당한 준전설 캐리로 패배하기 전까지 바우처 파밍만을 목적으로 플레이하는 것도 방법.
2.1.3.1. 토큰 시스템
엔드리스에서만 50웨이브마다 추가되는 특수한 상태를 부여하는 아이콘. 원래 5세대에서 미라클슈터를 통해 타 플레이어에게 사용하는 특수한 아이템인데 이걸 50웨이브마다 보스전을 치른 뒤 야생포켓몬에 직접 적용되는 형태로 바꿔놓은 것.데이터상으로는 총 24개의 아이콘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 데이터로 존재하는 건 10개이며, 그 중에 1개가 더미데이터로 존재하는 토큰이라 실질적으로는 총 9개의 토큰만 사용된다. 위키의 한국어 페이지에는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 삭제된 수면 토큰이 남아 있으며, 다른 토큰의 배율이나 효과도 업데이트 이전으로 적혀 있다. 영어 페이지를 참조하자.
| <rowcolor=#F9C400> 아이콘 | 이름 | 효과 | 중복도 | 비고 |
| | 데미지 토큰 | 주는 데미지를 5% 증가시킨다. | 999 | 5세대에서는 아이템드롭[65] 효과 |
| | 보호 토큰 | 받는 데미지를 2.5% 감소시킨다. | 5세대에서는 이펙트가드 효과(5턴)[66] | |
| | 회복 토큰 | 매 턴 최대 체력의 2%를 회복한다. | 10 | 5세대에서는 상처약[67] 효과 |
| | 독 토큰 | 공격했을 때 ○○ 상태로 만들 확률이 5%(마비 2.5%) 추가된다. | 5세대에서는 해독제 효과 | |
| | 마비 토큰 | 5세대에서는 마비치료제 효과 | ||
| | 화상 토큰 | 5세대에서는 화상치료제 효과 | ||
| | 만병통치 토큰 | 매 턴 상태이상에서 회복될 확률이 2.5% 추가된다. | 5세대에서도 만병통치제 효과 | |
| | 버티기 토큰 | 받은 공격을 버텨낼 확률이 2% 추가된다.[68] | 5세대에서는 플랫콜 효과[69] | |
| | 합체 토큰 | 야생 포켓몬이 융합되어 등장할 확률이 1% 추가된다. | 오리지널 아이콘 | |
| 없음[70] | (가칭) 뛰어난효과 토큰 | 효과가 뛰어난 공격의 배율을 1.3배 증가시킨다 | ?? |
2.1.3.2. 주요 전략 및 추천 포켓몬
이 문단에서는 일반적인 엔드리스 모드를 플레이하는 주요 목적인, 색이 다른 포켓몬과 전설의 포켓몬을 파밍할 때를 위한 전략을 서술한다.- 1000 웨이브 근방까지는 체급이 높은 포켓몬을 원톱으로 세워 밀어낸다.
결국 2000층 이후 중후반부터는 도주런으로 귀결되게 되긴 하지만, 그 전까지 빛나는부적, 마스터볼 등을 파밍하기 위해서는 우선 오랜 기간 포켓몬을 쓰러트리며 진행할 필요가 있다. 다행히도 트레이너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클래식의 야생 포켓몬 상대법이 쭉 이어지게 되며, 따라서 체급이 높은 에이스 포켓몬 원톱 플레이가 매우 잘 먹힌다. 무난하게 체급이 좋은 고스피드, 고화력 포켓몬을 데려가면 무한다이노 상대용 저주/소금절이 포켓몬만 데려가도 1000웨이브 정도까지는 무리 없이, 상황에 따라 대략 2000~2500 웨이브까지 홀로 활약하게 된다.
이 때는 도주런 대비에 대해서는 그다지 생각하지 않고, 에이스 포켓몬의 도핑작, 마음의물방울 스택을 쌓으면서 록캡슐을 먹고 빛나는부적을 4스택 쌓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다만 아직 여러 번의 리롤은 비용이 다소 부담스러울 시기이기 때문에, 웨이브 여유도 아직 충분하고 하니 너무 과하게 낭비하지 않아도 된다. 클래식에서도 유용했던 픽업 특성은 이곳에서는 그 이상으로 유용하므로, 반드시 미리미리 영입해두는 것을 추천한다. 이 때 모아둔 열매 및 각종 타입별 딜뻥 도구들, 행복의알과 황금의알 같은 경험치 도구는 도주런 시기까지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버리는 시점은 열매를 90% 확률로 소모하지 않게 되는 열매주머니 3스택 이후를 추천하지만, 픽업몬이 이로치라면 다른 이로치와 합쳐 행운 등급 유지용으로 사용해도 괜찮다.
주로 추천되는 것은 최종 공격/특수공격 종족값이 150을 넘어가거나 그에 못 미치더라도 화력 증강 특성/패시브가 있고, 까다로운 더블배틀을 쉽게 밀어낼 광역기[71]를 보유한 포켓몬이다. 물리형은 위협, 나쁜손버릇, 화상 등 변수가 많아 특수형 포켓몬이 훨씬 선호받는다. 다만 무한모드 특성상 실크스카프를 얻을 확률이 다른 타입 도구에 비해 훨씬 높으므로, 1000층 중후반대부터는 비자속이라도 하이퍼보이스나 폭음파의 데미지가 더 강해질 수 있어 이를 채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2500층 이후로는 배틀을 통한 일반적인 공략이 아예 불가능하기 때문에[72][73] 파티에서 아예 빠지거나, 사용하고 싶다면 도주 특성을 합성하거나, 멀티렌즈+왕의징표석 고스핏 풀죽음 담당[74], 옹골참+메탈버스트[75]등의 서브 역할을 맡게 된다.
{{{#!folding [ 추천 딜러 포켓몬 ]
하단에 서술된 포켓몬들은 모두 드래곤에너지, 분화, 해수스파우팅과 같은 뛰어난 성능의 광역기를 보유하고 있는 포켓몬이며 이러한 고위력 광역 기술이 있어야 엔드리스에서 메인으로 사용하기 쾌적하다. 해당 포켓몬의 기술과 패시브가 갖춰져 있다면 엔드리스를 시작해도 좋으며 해당 포켓몬 내에서 일장일단이 있으므로 본인의 취향껏, 혹은 본인이 처한 상황에 맞추어 포켓몬을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보다 아래로 평가 받는 포켓몬들은 대체로 해당 기술보단 위력이 좀 약하거나 체급이 다소 낮은 포켓몬들이다. 다만 드래곤에너지는 2024년 8월 18일 업데이트로 인하여 거의 대부분의 포켓몬들의 알기술에서 사실상 제거된 상태나 다름없으며, 그나마 9월 패치로 큐레무만 돌려받게 된 상태이다. 무한다이노와 큐레무의 알기술을 제외하면 준전설급에서도 없어지고, 오직 일반 포켓몬인 톱치 하나뿐이다. 따라서 기존의 드래곤에너지가 코어퍼니셔로 교체된 포켓몬들은 레시라무 정도를 제외하면 경쟁력이 상당히 떨어졌다.- 가이오가: 90레벨 자력기 해수스파우팅 / 0레벨 자력기 근원의파동 / 알 기술 번개폭풍[76] 덕에 광역기가 3개나 된다. 성능적인 면으로는 우선 단일 물 타입이라 방어 상성과 공격 상성이 훌륭하고, 알 기술에 번개폭풍과 폭풍이 있어 타입 상성 보완도 괜찮은 편이며, 패시브까지 틀깨기인 현재 시점에서는[77] 최강의 무한도전 버스기사로 자리잡았다. 해당 패치로 기존 1티어였던 드래곤에너지를 쓰는 포켓몬들이 풀이 꺾이거나 몰락한 것 또한 가이오가의 주가를 높였다. 굳이 트집을 잡자면 메가링과 쪽빛 구슬로 로그 등급 아이템 이중 파밍이 요구되는 것, 번개폭풍을 해금하지 않았을 시 해수스파우팅을 얻기 전까지는 명중률이 불안정한 근원의파동으로 버텨야 한다는 것 정도이다. 후자도 그란돈보다는 나은 것이, 가이오가에는 물의 파동이라는 선택지도 있다는 것이다. 다만 무한다이노 처리가 약간 어려운 것이 흠, 빠르게 메탈버스트/옹골참을 보유한 보스잡이 포켓몬을 쐐기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 레시라무: 레어 알 기술 분화와 패시브 진홍빛고동의 해금이 필수적이지만 해금에만 성공한다면 매우 강력한 버스기사가 되어준다. 특히 레시라무의 특성은 상대의 특성을 무시하고 공격을 적중시키는 터보블레이즈라 노릇노릇바디 / 타오르는불꽃 / 내열 등 불꽃 타입이 상대하기 성가신 특성들을 무시하고 풀파워로 분화를 때려박을 수 있다. 24년 8월 말 패치로 주력 알 기술 중 하나인 드래곤에너지를 압수당하고 대신 변덕레이저를 받아서 코롱을 사용한 더블 배틀에서는 안정성이 약간 떨어졌다. 하지만 초전설 포켓몬 중 유일하게 틀깨기를 특성으로 가진 특공형 포켓몬인 덕에 차후 패시브/알기술 너프에서 그나마 안전권이라는 점이 위안.
단점은 아무것도 해금되어 있지 않은 순정 상태의 성능이 그리 좋지 않은 편. 무한모드에서 주력인 분화가 레어 알 기술이고,[78] 패시브 해금이 되어 있지 않으면 자주 만나게 되는 물 타입 포켓몬 상대로 초반에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또 드래곤 약점이 있으면서도 초전설 치고는 속도가 낮은 90이기 때문에 첫 무한다이노 이전 선공권을 위해 알칼로이드를 최우선적으로 챙겨줘야 한다.
- 그란돈: 특수형의 경우 레시라무와 달리 자력으로 분화를 배울 수 있고 기본 특성이 가뭄이라 밑준비가 적으며 원시회귀하면 약점인 물 타입에 의한 피해를 없애고 턴 제약과 다른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딜을 넣을 수 있다. 패시브가 틀깨기/ 터보블레이즈[79]라 레시라무와 마찬가지로 상대 특성을 무시하고 풀파워 분화를 때려박을 수 있다는 장점도 동일. 가이오가와 마찬가지 이유로 알 기술 의존도가 거의 없어, 막 엔드리스 파밍에 도전하려는 초보자에게 접근성이 좋다. 일반적으로 높은 공격 종족값과 1레벨부터 배우는 전용기 단애의칼을 활용하여 물리형으로 플레이하다가(모든 물리형 캐리의 적 위협을 조심해야 하므로 가급적 더블배틀은 피하는 것이 좋다), 메가링과 주홍빛 구슬을 얻어 원시회귀한 이후에는 조심민트를 찾아 불 단일 타입 레시라무로 사용하면 된다.
- 이벨타르: 악 타입 공격의 위력을 4/3배로 올리는 특성 다크오라에 알 기술로 상대 광역기 타오르는분노가 있다. 거기에 패시브가 소울하트라 초전설 치고는 낮은 특공이 어느 정도 보강되고, 스피드도 99족이라 상술한 90족들보다는 초반에 선공을 덜 뺏긴다. 물론 무한다이노에게 선공권을 가져오려면 알칼로이드 투자가 필요한 것은 마찬가지. 데스윙 덕분에 유지력도 확보된다. 견제폭도 훌륭한데, 악의 약점인 격투와 페어리를 데스윙과 오물웨이브로 잡을 수 있으며 기술머신으로 열풍을 가르치면 비행을 반감으로 받는 강철 타입과 비행을 찌르는 얼음 타입을 모두 찌를 수 있게 된다. 비행 타입 기술을 제외하면 모두 광역기라 더블에서도 훌륭한 효율을 보여준다. 특히 악 타입은 일관성이 매우 높은 타입이라 무효가 되지 않으며 반감되는 경우도 적다. 다만 상술한 150 광역기 보유자들보다는 확실히 체급이 모자란 것이 느껴질 것이다.
- 사용할 수 있는 캐리 포켓몬들:
- 드래곤에너지 보유: 제크로무[80], 큐레무(화이트)[81], 무한다이노[82] 등
- 아스트랄비트 보유: 버드렉스(흑마 탄 모습), 루나아라, 네크로즈마 등. 세 포켓몬 다 초반에 미진화형 수준의 스탯을 보유하고 있어 전복 위험이 크다.
- 타오르는분노 보유: 위유이[83], 후파[84], 다크라이 등. 기본적으로 타오르는분노의 체급이 모자라는 데 더해서 더욱 체급이 모자란 포켓몬들이라 전복 위험이 있다.
- 물리형 포켓몬: 극초반 열매 보유 제한 패치 이전에는 긴장감 특성이 반필수였기 때문에 자시안이 고평가를 받았던 적이 있지만, 현재 엔드리스에서 물리형 포켓몬은 위협 특성에 당하면 화력이 깎인다는 치명적인 단점 때문에 그렇게 추천되지 않는다. 특수와 다르게 강력한 물리 광역기는 블리자드랜스가 한계선이라는 것도 흠.
- 메가진화 포켓몬: 메가진화에만 성공한다면 메가가디안 등도 충분히 캐리로 활약할 여지가 있다.
그 외 종이신도 두파팡 등, 적절한 스탯을 가진 울트라비스트나, 특성과의 조합으로 충분한 화력을 내는 샤로다, 액스라이즈 등도 활용할 수 있다.
- 고위력 광역기를 가진 쐐기용 포켓몬들
말 그대로 알 기술로 고위력 광역기를 가진 저코스트 포켓몬을 다른 메인 기사에게 쐐기로 가져오는 용도로, 특히 대다수의 드래곤 포켓몬들이 알 기술에서 압수당한 드래곤에너지 등을 써 보고자 할 때 채용해 볼 만하다. 또한 이미 광역기가 있는 기사에게 2~3개의 광역기를 붙여주면 더 편하게 밀 수도 있다. 물론 상단의 메인 캐리몬들과는 따로 들고 가야 해서 아무리 저코스트라곤 해도 코스트 낭비가 좀 있는 데다, 유전자쐐기가 언제 나올지 모르다 보니 포켓몬 자리 압박이 생긴다. 최적화를 진행할 수록 추천하지 않는다. 알 기술은 자주 업데이트 되므로, 이 전략을 사용하기 전에 인게임 도감에서 배우는 포켓몬을 확인할 것. 알 기술은 배우는 포켓몬의 좌측 하단에 알 모양 표시가 있다.
- 록 캡슐을 얻은 후, 골드 보유량에 여유가 생겼다면 도주런에 필요한 포켓몬과 기술을 모으며 준비를 시작한다.
1000층 이후부터는 슬슬 리롤을 여러 번 돌려도 될 정도로 골드 보유량에 여유가 생기며, 이를 이용해 빛나는부적 4스택을 모았다면 이로치 포켓몬도 좀 더 자주 등장하고 있을 것이다. 이 시기부터는 코롱류를 3개 혹은 5개 중첩시켜 더블배틀을 확정적으로 출현하도록 만든다. 3중첩 시 일반 웨이브의 더블배틀이 확정되고, 5중첩 시에는 보스 웨이브에서도 더블배틀이 확정된다. 이를 이용해 최대한 이로치와 전설의 포켓몬은 물론, 도주런에 필요한 포켓몬이 여럿 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이 과정에서 도주런에 필요한 포켓몬 및 기술을 최대한 유전자쐐기 사용을 반복하면서 모아주는 것이 주 목표이다. 물론 리롤 도중 상점에 종종 등장하는 로그 등급의 플러스 바우처[85]도 보이는 족족 파밍해주는 것도 필수. 주요 전략에서 사용되는 기술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folding [ 도주런 전략 ]
* 도주 특성 포켓몬
도주런의 기본 전제를 성립시키는 포켓몬. 최종진화형에서는 흔한 특성은 아니지만 레트라, 다꼬리처럼 그럭저럭 자주 볼 수 있는 포켓몬이 가지고 있어 쐐기로 2번째 포켓몬으로 붙이기 어렵지 않다. 쐐기로 챙길 경우 1번째 포켓몬은 뭐가 되었든 큰 상관은 없으나, 야생 포켓몬에게서의 도망의 매커니즘상 메가팬텀, 메가후딘 등의 고스핏 포켓몬을 채용하면 좋다. 하지만 이 분야의 정점은 패시브를 해금한 직구리로, 포켓로그 쐐기 메커니즘상, 합체에서 메인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직구리에 온갖 깔짝 기술들을 부여할 수 있어 직구리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다. 기본 특성이 픽업이라 초반에 열매, 행운의 알을 비롯한 다양한 아이템을 파밍할 수 있다는 점도 좋은 편. 때문에 3럭 이로치 직구리는 유저들이 자주 노리는 포켓몬이다. 그 외 깜지곰 등 미진화형 포켓몬들이 패시브로 도주를 들고 있는 경우가 있지만, 직구리만큼 스피드가 있는 포켓몬은 없다.
* 방어, 메탈버스트를 배운 옹골참, 부자유친 특성 포켓몬
클래식과는 완전히 다른 방향성을 가진 보스전 결전병기. 메탈버스트는 물리와 특수를 가리지 않는 반격기로, 옹골참몬과 좋은 궁합을 보여주며 빠른 보스 격파 에 필수적이다. 여기에 부자유친을 조합하여 만들어두면 메탈버스트는 고정 데미지를 주는 기술이라 부자유친에 의해 2번째 공격이 약화되지 않기 때문에 실질 3배로 받아칠 수 있는 금상첨화가 되는 건 덤. 덤으로 조개껍질방울 같은걸 여럿 달아두면 반격 데미지로 체력이 쭉쭉 차기 때문에 옹골참을 다시 발동시킬 발판으로도 삼을 수 있다. 이렇게 옹골참으로 반드시 한 대를 버틴 뒤, 자뭉열매+먹다남은음식 4스택+치유의부적 5스택으로 계속 회복해 옹골참을 리필해가며 보스를 반사뎀으로 터트리는 것이 기본 전략이 된다. 다만 의문열매 등의 추가 회복이 터지지 않으면 한 번에 풀피로 복구하기는 어려운 편이라, 시간도 끌 겸 방어 채용은 필수. 방어 역시 일반 등급 기술머신이므로 도주런 준비 중에 찾기는 어렵지 않다. 메탈버스트의 딜링 능력은 오로지 HP 피통 크기만이 좌우하므로 HP 영양제인 맥스업을 최대한 모아주고, 성격은 반드시 후공하기 위해 스피드 하락 성격+마음의 물방울 10스택으로 스피드를 1로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 그럼에도 무쇠손이 우선도 -3의 힘껏펀치를 연신 날려대면서 후공만 줄창 가져가는 일이 꽤 자주 생기므로, 우선도 -5의 반격기 카운터까지 같이 구비해두는 것이 추천된다.
부자유친을 특성으로 가진 포켓몬은 메가캥카뿐이지만, 패시브에는 키키링, 삼삼드래, 드래펄트가 존재한다. 보통 HP 종족값이 제일 높은 키키링과, 괜찮은 HP 종족값+악 타입 1타입으로 미래예지 무효가 가능한 삼삼드래가 자주 선택된다. 메탈버스트를 자력기로 습득하는 포켓몬 중에선 보스로라, 바리톱스, 브리두라스 등 옹골참 특성 포켓몬이 꽤 있어 쐐기 후 기억버섯으로 되살리기도 간편하다. 특히 보스로라는 알기술로 소금절이를 가지고 있어 콜로솔트를 굳이 데리고 가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방어와 메탈버스트를 모두 자력으로 습득하기 때문에 3럭 보스로라는 유저들이 자주 노리는 포켓몬이다.
* 도주 특성 포켓몬
도주런의 기본 전제를 성립시키는 포켓몬. 최종진화형에서는 흔한 특성은 아니지만 레트라, 다꼬리처럼 그럭저럭 자주 볼 수 있는 포켓몬이 가지고 있어 쐐기로 2번째 포켓몬으로 붙이기 어렵지 않다. 쐐기로 챙길 경우 1번째 포켓몬은 뭐가 되었든 큰 상관은 없으나, 야생 포켓몬에게서의 도망의 매커니즘상 메가팬텀, 메가후딘 등의 고스핏 포켓몬을 채용하면 좋다. 하지만 이 분야의 정점은 패시브를 해금한 직구리로, 포켓로그 쐐기 메커니즘상, 합체에서 메인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직구리에 온갖 깔짝 기술들을 부여할 수 있어 직구리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다. 기본 특성이 픽업이라 초반에 열매, 행운의 알을 비롯한 다양한 아이템을 파밍할 수 있다는 점도 좋은 편. 때문에 3럭 이로치 직구리는 유저들이 자주 노리는 포켓몬이다. 그 외 깜지곰 등 미진화형 포켓몬들이 패시브로 도주를 들고 있는 경우가 있지만, 직구리만큼 스피드가 있는 포켓몬은 없다.
* 방어, 메탈버스트를 배운 옹골참, 부자유친 특성 포켓몬
클래식과는 완전히 다른 방향성을 가진 보스전 결전병기. 메탈버스트는 물리와 특수를 가리지 않는 반격기로, 옹골참몬과 좋은 궁합을 보여주며 빠른 보스 격파 에 필수적이다. 여기에 부자유친을 조합하여 만들어두면 메탈버스트는 고정 데미지를 주는 기술이라 부자유친에 의해 2번째 공격이 약화되지 않기 때문에 실질 3배로 받아칠 수 있는 금상첨화가 되는 건 덤. 덤으로 조개껍질방울 같은걸 여럿 달아두면 반격 데미지로 체력이 쭉쭉 차기 때문에 옹골참을 다시 발동시킬 발판으로도 삼을 수 있다. 이렇게 옹골참으로 반드시 한 대를 버틴 뒤, 자뭉열매+먹다남은음식 4스택+치유의부적 5스택으로 계속 회복해 옹골참을 리필해가며 보스를 반사뎀으로 터트리는 것이 기본 전략이 된다. 다만 의문열매 등의 추가 회복이 터지지 않으면 한 번에 풀피로 복구하기는 어려운 편이라, 시간도 끌 겸 방어 채용은 필수. 방어 역시 일반 등급 기술머신이므로 도주런 준비 중에 찾기는 어렵지 않다. 메탈버스트의 딜링 능력은 오로지 HP 피통 크기만이 좌우하므로 HP 영양제인 맥스업을 최대한 모아주고, 성격은 반드시 후공하기 위해 스피드 하락 성격+마음의 물방울 10스택으로 스피드를 1로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 그럼에도 무쇠손이 우선도 -3의 힘껏펀치를 연신 날려대면서 후공만 줄창 가져가는 일이 꽤 자주 생기므로, 우선도 -5의 반격기 카운터까지 같이 구비해두는 것이 추천된다.
부자유친을 특성으로 가진 포켓몬은 메가캥카뿐이지만, 패시브에는 키키링, 삼삼드래, 드래펄트가 존재한다. 보통 HP 종족값이 제일 높은 키키링과, 괜찮은 HP 종족값+악 타입 1타입으로 미래예지 무효가 가능한 삼삼드래가 자주 선택된다. 메탈버스트를 자력기로 습득하는 포켓몬 중에선 보스로라, 바리톱스, 브리두라스 등 옹골참 특성 포켓몬이 꽤 있어 쐐기 후 기억버섯으로 되살리기도 간편하다. 특히 보스로라는 알기술로 소금절이를 가지고 있어 콜로솔트를 굳이 데리고 가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방어와 메탈버스트를 모두 자력으로 습득하기 때문에 3럭 보스로라는 유저들이 자주 노리는 포켓몬이다.
- 저주와 씨뿌리기, 소금절이 등을 배운 옹골참 특성의 고스트 타입 포켓몬
클래식에서도 그랬듯 이쪽도 보스전용. 메버 전략이 발굴된 이후로는 서브 플랜으로 밀려났으나 여전히 메버가 통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필수이며, 패시브를 해금할 사탕이 없는 등 메버몬을 마련하기 어렵다면 이쪽을 메인으로 투입해도 괜찮다. 도주런에 필요한 다른 포켓몬과는 달리 빠르면 250층의 무한다이노를 상대하기 위해서 미리 준비해두기도 한다. 옹골참은 거의 무조건 한 턴 생존이 보장되므로 후공에서도 거의 무조건 저주를 확정적으로 박을 수 있으니 대충 깔짝용 기술을 싹 던진 뒤 저주를 걸고 산화하면 된다. 주로 고스트 타입이 1타입이면서 저주와 씨뿌리기를 자력으로 배우고, 희귀 알 기술에 쑥쑥봄버가 있는 대로트가 애용되며, 쐐기 과정이 늘더라도 상관이 없다면 값이 싸고 흔해 사탕작이 수월한데다 희귀 알 기술이 다크홀인 팬텀을 저주 요원으로 채용할 수 있다. 메탈버스트를 채용해 상기한 메버몬의 보조를 하는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3가지 포지션 외에 도주런을 보조해줄 수 있는 포지션은 다음과 같다.
- 짓궃은마음 특성을 가진 포켓몬
짓궃은마음은 우선도 +1로 변화기 등을 쓰면서 에이스 포켓몬을 서포팅하거나 변수 차단용 변화기를 사용하는 능력이 좀 더 뛰어나다. 특히 선공기로 사용하는 물붓기나 위액이 일반 웨이브와 보스전을 가리지 않고 유용한 편. 이 중 깜까미는 알 기술로 저주, 소금절이를 배우고, 자력기로 판별을 배우며, 패시브로 긴장감까지 가지고 있어 숨겨진 특성을 가진 깜까미를 보유하고 있다면 상당히 추천된다. 다만 메가깜까미로 메가진화 시에는 특성이 바뀌므로 깜까미나이트를 먹어두기만 하고 해제하거나, 아예 짓맘을 버리고 옹골참을 붙이거나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악 타입에 무효화되는 특성상 패러독스 포켓몬 중 3종이나 악 타입을 달고 있고, 패러독스 보스전 중 날개치는머리가 패시브로 비비드바디를 지니고 나오기에, 도주런에서의 운용은 옹골참에 훨씬 밀리니, 도주런 준비가 마무리될 즈음에 짓맘을 버리고 쐐기로 옹골참은 붙여주거나, 추가적인 옹골참 저주 몬스터를 구비해두는 것이 좋다. - 불가사의부적 특성을 가진 노말 타입 혹은 악 타입 포켓몬
보통 토중몬은 아이템 및 행운 복제를 목적으로 가져가는 경우가 많지만, 이 포지션을 노리고 챙겨가는 경우도 있다. 다만 껍질몬의 출현률이 상당히 낮은 편이라, 도주런을 준비하는 2000웨이브 내내 구경조차 못할 가능성도 높으니, 꼭 껍질몬 쐐기를 하고 싶다면 운좋게 극초반에 토중몬을 포획하거나, 아예 스타팅으로 데려가는 것이 좋다.[86]
완성한다면 클래식과 동일하게 준 무적의 포스를 자랑하는 조합. 다만 틈만 나면 튀어나오는 틀깨기나 화학변화가스, 배짱 등에 뚫릴 수 있어 클래식 이상으로 허를 찔리는 일이 여러 차례 나오며, 클래식보다 훨씬 바이옴이 자주 바뀌는 만큼 갑자기 튀어나온 모래바람에 급사당하는 경우도 많다.
본격적인 도주런을 개시하면서부터 빛을 발하게 되는데, 에이스 포켓몬조차 배틀에 이기기 힘들어지기때문에 낮은 능력치는 큰 문제가 되지 않으며 되려 저주+소금절이 콤보 이후 내보내 도트딜로 보스 포켓몬이 자멸하는 동안 버티는 역할로 대활약하게 된다. 아예 쐐기로 상기한 소금절이, 씨뿌리기, 물붓기[87] 등의 깔짝 스킬, 회복봉인[88], 찍찍베기[89], 바다회오리 등의 기술로 도배해도 좋다.
또한 마스터볼로 포획하기는 아까운 일반 포켓몬들을 상대로 내보내 마스터볼이나 자금을 수급하는 용도로도 쏠쏠히 써먹을 수 있다. 일정량 이상의 로그볼을 쌓아둔 후 마구 던져 몇번째에 포획했는지를 체크하고 리로드해 해당 횟수 이전까지 아무 공격기나 사용한 후 해당 횟수에 볼을 던지면 된다. 다만 포획률이 높은 포켓몬이 아니라면 시간이 오래 걸리니 시간 단축이 핵심인 도주런에 사용하기에는 비효율적이며, 새로고침을 자주 하는 만큼 안 그래도 불안정한 서버에 부하를 많이 거므로 그리 추천되지 않는다. 대신 죽기살기를 쐐기해왔다면 보스가 아닌 포켓몬의 피통을 단번에 1까지 깎아내릴 수 있고, 보스 포켓몬에게는 차선책으로 분노의앞니를 고려해볼 수 있다. 체력이 많이 깎인 상태에서는 포획률도 대폭 증가하므로 로그볼 포획에 큰 도움을 준다. 때문에 이 두 스킬을 모두 쓸 수 있으면서 노말 타입인 레트라는 대표적인 껍질몬의 쐐기 단짝으로 유명하다.
한편 도주런 진행 중 다양한 포켓몬을 마주치다보면 각종 특성이나 타입 변수로 인해 곤란한 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있다. 대부분 패러독스 포켓몬의 조합에 따른 변수를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며, 오히려 무한다이노는 경직된 스킬 구성과 무한다이빔의 반동으로 인해 변수가 적어 상대하기 제일 쉬운 편이다. 이런 변수 차단용 스킬은 다음과 같다.
- 고민씨, 위액, 노말스킨 특성을 가진 포켓몬의 동료만들기
화학변화가스로 도주를 무효화하는 가라르 또도가스와, 틀깨기로 옹골참을 무효화하는 몇몇 포켓몬의 특성을 바꿔 쫓아내거나 잡아내는데 도움을 주는 기술이다. 없으면 다소 곤란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니 챙겨두는 것이 좋다. - 날려버리기, 울부짖기, 드래곤테일
상대 포켓몬을 이탈시켜 배틀을 강제 종료시키는 기술들. 상대하기 힘든 야생 포켓몬을 만났는데 마스터볼을 던지기 아까울 때 고려할 만한 선택지이다. 더블배틀 시 방해되는 포켓몬을 치우고 포획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다만 이들은 우선도가 -6이라 사실상 후공이 확정되므로 옹골참몬이나 적어도 기합의머리띠 5스택을 가진 포켓몬이 배우는 것을 추천한다.
드래곤테일은 공격기라 끈기갈고리손톱, 왕의징표석과 연계할 수 있지만 페어리 타입에 무효화되는 단점이 있고, 울부짖기는 방음 특성에, 날려버리기는 바람타기 특성에 막히며 타부자고의 황금몸 특성은 울부짖기와 날려버리기를 모두 막을 수 있으니, 변수를 고려하여 울부짖기/날려버리기 중 하나와 드래곤테일을 모두 채용해두는 것이 좋다.
순간이동도 이 범주 안에 포함은 되나, 이 기술은 자신이 이탈하는 것이므로 포획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보스전에서는 도망 및 이탈이 불가능하므로 이탈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 마룻바닥세워막기
우선도가 없고 변화기는 못 막지만 광역 방어인 만큼 더블배틀에서 까다로운 상황이 발생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 턴만 잘 막아내면 이탈 기술이나 위액 등으로 처리가 가능하므로 매우 우수한 기술. 하지만 배우는 포켓몬이 매우 적어, 일반적으로는 개굴닌자와 던지미만 배우고, 레어 알 기술로도 레디안만 배운다. 기술만 필요하기 때문에 야생에서 구해도 되나, 두 포켓몬 모두 야생 포획 가능성이 별로 높지 않은 것이 문제. 던지미는 진입 자체가 힘든 도장에서만 등장하는데다 일반 웨이브에선 레어 등급이고, 개굴닌자는 그나마 자주 들리는 호수에서 나오긴 하지만 일반, 보스 웨이브 둘 다 레어 등급이라 이쪽도 자주 등장하는 편이 아니다. 때문에 남는 이로치 꿀모으기, 픽업몬 자리에 대신 이들을 데려갈지, 아니면 야생에서 운좋게 먹는 방법을 택할지는 선택 사항이다. - 진흙뿌리기를 배운 멀티렌즈 2스택 + 왕의징표석 3스택 + 선제공격손톱 3스택 포켓몬
상대하기 까다로운 더블배틀이나 패러독스 포켓몬에게 사용하는 최후의 수단. 명중률을 한번에 3랭크 낮추고 왕의징표석의 풀죽음[90]으로 운짤을 시도하는 것이다. 보통 2000층까지 에이스 포켓몬으로 사용하던 포켓몬이 이어받는 편. 이 포켓몬은 도주런 시에도 스피드가 밀려서는 안되므로 스피드 상승 성격으로 하고, 마음의물방울과 알칼로이드로 스피드를 풀보정한 뒤, 행복의알과 황금의알을 몰아주어 경험치를 최대한 높게 유지시키는 것이 좋다. 도주몬과 같이 고스핏을 요구하는 만큼, 유전자쐐기를 통해 에이스 포켓몬에 도주를 붙여주면 슬롯을 한 칸 아낄 수 있다. 쐐기용으로 추천되는 포켓몬은 옹골참 중 빠른 편인 오거폰(주춧돌의 가면), 브리두라스, 타격귀, 토게데마루(숨겨진 특성) 정도가 있는데 이들은 등장 확률이 적은 편이고, 레벨링과 도핑, 성격+마음의물방울만 충분하다면 딱구리나 코리갑 같은 흔한 포켓몬을 붙여도 큰 상관은 없다.
종합적으로, 도주-메버(없으면 깔짝)-저주 담당의 세 포켓몬을 준비하는 것은 필수이며, 그 후 보험용으로 에이스 포켓몬을 풀죽음, 진흙뿌리기 요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남은 두 자리는 추가적인 옹골참, 이탈 기술 등을 배운 포켓몬을 배치하거나, 이로치를 융합해 행운 등급을 유지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
한편, 코롱을 중첩하는 대신 코롱 효과를 가진 특성[91]을 다수 확보하여 도주런 시에도 더블배틀로 이로치 조우 확률을 높이는 방법이 연구되었는데, 이것을 더블배틀 도주런, 줄여서 덥배런이라 한다. 이 경우 일반 도주런에 비해 로스터 및 변수 관리가 빡빡하지만, 그만큼 조우를 2배나 하기 때문에 기반이 많이 갖춰졌다면 시도할만한 방식이다.
덥배런의 경우, 까다로운 구성 난이도 때문에 스타팅 파티가 거의 고정되어있다. 패시브 및 알 기술, 코스트 감소가 다수 병행되어야 하니 이를 선행할 필요가 있다. 일반 도주런과 겹치는 캐리몬, 부자유친 메버몬 외 4마리의 로스터는 다음과 같다.
- 노가드를 패시브로 가진 포켓몬
덥배런의 기본이 되는 포켓몬. 보통 토중몬으로 복사한 뒤 한 마리는 도주, 나머지 하나는 다른 코롱 특성(노가드, 개미지옥, 발광)을 쐐기하여 일반 웨이브를 확정 더블배틀로 만드는 3코롱을 확보하는 것이 덥배런의 주요 전략. 세 코롱 특성 중에선 후술할 다크홀과의 상성이 좋은 노가드를 채용한다. 스피드가 빠르고 3럭이 존재하는 비조도가 베스트지만, 그 외 파치래곤, 에이스번, 슈륙챙이/왕구리, 보르그도 채용 가능하다.
- 토중몬
패시브 코롱몬의 복제가 주요 전략인 만큼, 일반 도주런과 달리 토중몬을 데려가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 다크홀을 배우는 포켓몬
더블배틀로 주로 진행하는 덥배런 특성상 두 포켓몬을 광역으로 재우고 포획 및 이탈시키는데 사용한다. 낮은 명중률은 노가드로 상쇄되니 큰 상관은 없는 편. 다만 본래 다크라이의 전용기니만큼 알 기술로 배우는 포켓몬도 적어, 루브도와 슬리퍼, 팬텀 단 셋만 레어 알 기술로 배운다. 보통 코스트가 낮고 3럭이 존재하며, 스케치로 쐐기 횟수를 줄일 수 있는 루브도를 채용한다.
- 마룻바닥세워막기를 배우는 포켓몬
일반 도주런에서도 유용하지만, 더블배틀 위주인 덥배런에서는 필수 기술. 다만 상기했듯이 배우는 포켓몬의 확보가 문제가 되는데, 안 그래도 빡빡한 덥배런 스타팅 로스터지만 최중요 스킬 중 하나이니만큼 손해를 감수하고 레디안 등에게 자리를 내주는 것이 로스터 완성 안정성은 높다. 스타팅에선 픽업, 꿀모으기 등에 넘겨주고 야생 포획을 선택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이 경우 던지미와 개굴닌자가 안 뜨는 억까를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최종 로스터는 캐리몬 / 메버몬 / 코롱몬 / 토중몬 / 다크홀몬 / 마룻바닥몬이다.
우선 다크홀몬을 자리 확보+럭 유지용으로 먼저 코롱몬에 쐐기한다. 이후 아이템이 적당히 모인 시점에 코롱몬의 쐐기를 해제하고 토중몬을 쐐기한 뒤 진화해, 다크홀을 배운 코롱몬을 복제한다. 이후 두 포켓몬의 쐐기를 해제한 다음, 코롱몬에 마룻바닥세워막기와 위액, 이탈 기술 등을 쐐기하고 최종적으로 2코롱몬 / 도주코롱몬 / 부자유친메버몬을 완성한 뒤 추가적으로 야생 포켓몬을 포획해 저주몬까지 확보하면 덥배런 준비는 끝.
- 2000 ~ 2500층부터 도주런을 시작하여, 포획에 집중한다.
점점 배틀은 아무 의미가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되므로, 도주런을 시작한다. 계속 도망가기만 누르다가 숨겨진 특성이나 고개체값을 가진 포켓몬, 희귀한 전설의 포켓몬이나 색이 다른 포켓몬을 보면 포획하여 상점을 띄우고 적당히 리롤해가며 새로운 마스터볼을 찾으면 무한동력에 가깝게 마스터볼 사용이 가능하다.[92] 진행 속도 역시 이전보다 훨씬 빨라지므로, 준비가 잘 되어있다면 5850웨이브까지 도주-마스터볼 포획-보스전 처리만을 반복해주면 된다.
2.1.4. 엔드리스(융합체)
융합체 포켓몬을 지닌 상태에서 클래식 모드를 클리어하면 해금되는 모드이다. 스타팅 선택은 두 융합체 포켓몬 중 첫번째 종만 지정할 수 있고, 두번째 종은 랜덤으로 설정되어 시작해 상대하는 포켓몬들도 전부 융합체 상태로 등장하여 랜덤성이 일반 모드보다 훨씬 커진다.[93] 기본적인 진행 방식은 일반 엔드리스 모드와 같지만 아래와 같은 차이점이 존재한다.- 포켓몬을 융합시키는 '유전자쐐기' 아이템이 슈퍼 등급으로 변경된다.
- 융합체 해제시 기존 능력치가 절반이 되는 디버프가 존재한다. 그렇기에 초반융합체를 해제시키고 쓸어담는 플레이는 불가능하다.
- 스타팅 포켓몬으로 색이 다른 포켓몬을 고를 시 2배로 적용된다. 에픽 이로치를 셋 넣으면 A++(9)가 아닌, 최대치인 SSS(18이지만 14가 최대치)가 된다. 첫번째 지정한 종의 이로치 등급이 두번째 랜덤한 종에도 적용되어서 2배가 되는 것으로, 융합을 해제한다면 원래대로 돌아간다.
2.1.5. 데일리 런
클래식 모드와 마찬가지로 게임을 처음 시작할 때부터 플레이 가능한 모드이다. 총 웨이브 50까지 존재하며, 클래식 모드처럼 10웨이브마다 바이옴이 바뀐다.본인이 선택한 레벨 5 포켓몬으로 아무 도구 없이 시작하는 클래식 모드와는 달리, 랜덤한 레벨 20 포켓몬 3마리+도구를 가지고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것이 랜덤한 클래식 모드와는 다르게 데일리 런에서는 24시간 동안 난수값이 고정되어 있어 항상 같은 개체값의 포켓몬과 같은 포켓몬을 지닌 트레이너가 같은 웨이브에서 등장한다. 데일리 런에서 잡은 포켓몬도 클래식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94] 웨이브 50에서는 확정적으로 전설의 포켓몬/ 환상의 포켓몬이 등장하는데, 포획이 불가능하다.
데일리 런은 한국 시간 오전 9시에 리셋되며, 알 바우처 같은 보상 아이템은 24시간에 1번씩만 얻을 수 있다. 상술하듯 모든 사람에게 난수값이 고정이기 때문에 그날그날 확실한 공략법이 존재하며, 보통 유튜브에 일일 공략법이 올라온다. 단, 업데이트시 난수가 완전히 변해서 공략법을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유의. 공략법을 보고 따라할것이라면 쌓아두지 말고 그때그때 클리어해주는 것이 좋다.
데일리 런에서 포켓몬을 잡는다고 사탕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만약 그 포켓몬이 자신의 스타팅 포켓몬 일람에 등록되지 않은 포켓몬이거나 색이 다른 포켓몬으로 등장하는 경우라면 1회에 한해 사탕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잡은 포켓몬을 사용하다가 데일리 런 도중 친밀도가 오르는 경우는 정상적으로 사탕이 나온다.
2024년 10월 말 업데이트로 지도 아이템이 기본적으로 제공되면서 변수가 무지막지하게 많아지면서 숨겨진 특성 포획이 쉬워졌다. 많은 날은 하루에 10종이 넘는 숨특을 포획할 수 있을 정도.
2.2. 포켓몬
포켓몬은 1세대부터 9세대까지 전부 등장하며, 메가진화나 리전폼 등 배틀 기믹도 존재한다.이미지는 모두 5세대 도트 그래픽 기반이며,[95] 공식 도트 그래픽이 없는 6세대부터는 포켓몬 쇼다운에서 제공되는 팬메이드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다. 게임 기본 그래픽 설정은 5세대 포켓몬까지만 움직이고 6세대 포켓몬부터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설정 메뉴의 디스플레이에서 '스프라이트 표시'를 '실험적'[96]으로 바꾸면 6~9세대 포켓몬도 (일부)움직이는 도트 스프라이트를 볼 수 있다. 대부분 움직이지만, 일부 비비용 폼, 코라이돈, 미라이돈 등 일부는 믹스를 설정해도 움직이지 않는다.
레벨 100이 한도인 포켓몬 본가와는 달리 클래식 모드에서는 레벨캡 개념으로 10라운드마다 레벨캡이 상승하는 방식으로, 최종적으로 레벨 제한이 200까지 상승한다. 그런데 전투가 끝나고 랜덤하게 등장하는 이상한사탕을 통해 이 레벨캡을 무시하고 레벨을 올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래식 191~200층의 레벨캡은 200이지만 이상한사탕을 통해 레벨이 200을 넘어가는 것이 가능하다. 몰론 최종보스는 레벨 200 초과의 포켓몬에게 2배의 데미지를 주는 기술이 있기 때문에 페어리 타입이 아닌 이상 하지 않는게 좋다.
무한 모드에서는 레벨 제한이 없기 때문에 레벨이 수만 이상 되는 포켓몬도 볼 수 있다.
2.2.1. 스타팅 포켓몬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스타팅 포켓몬의 코스트\}}}에 대한 내용은 [[PokéRogue/스타팅 포켓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PokéRogue/스타팅 포켓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PokéRogue/스타팅 포켓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스타팅 포켓몬의 코스트\: }}}[[PokéRogue/스타팅 포켓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PokéRogue/스타팅 포켓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PokéRogue/스타팅 포켓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게임을 처음 시작할 때는 1~9세대의 스타팅 포켓몬만 선택할 수 있으나,[97] 게임을 진행하며 포켓몬을 잡거나 알을 부화시켜 등록해두면 새 게임(New Game)을 할 때 이전에 잡았거나 부화한 포켓몬을 고를 수 있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2.2.2. 색이 다른 포켓몬
본가의 색이 다른 포켓몬은 희귀할 뿐 그저 수집성 시스템에 불과하나, 포켓로그의 색이 다른 포켓몬은 게임 플레이에 큰 영향을 주며, 본가 이상으로 높은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종류
| ||
| | | |
| 일반 이로치 메가가디안 | 에픽 이로치 | |
일부 포켓몬들은 이로치 등급에 따라 스프라이트 색변화와 함께 모양까지 달라진다.
- 확률
색이 다른 포켓몬은 일반 - 레어 - 에픽 순으로 더욱 희귀해지며, 레어 이로치는 일반의 1/2, 에픽 이로치는 일반의 1/6의 확률로 등장한다. 즉, 이로치 확률을 100%라고 두면, 일반 이로치가 60%, 레어 이로치가 30%, 에픽 이로치가 10% 비중을 가진다. 거기다 별도의 천장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에픽 등급을 노린다면 정말 기약없는 플레이가 될 수 있다. 알 463개, 클래식 168번 클리어만에 뽑은 미라이돈 빨로치 글
- 행운
행운 수치는 이로치의 등급에 따라 1~3까지 부여되며, 기절하지 않은 상태의 이로치 포켓몬의 행운 수치를 합산하여 결정 된다. 만약 유전자 쐐기로 이로치 포켓몬을 합칠 경우 두 포켓몬의 행운 수치 역시 합쳐지며, 합치기 전과 동일한 행운 등급을 유지하게 된다. 다만 합체 후 분리할 경우에는 2번째로 선택한 포켓몬의 행운 수치는 사라지므로 주의.
본가와 마찬가지로 토중몬이 진화하는 경우 두 포켓몬 모두 토중몬의 행운을 물려받는다. 따라서 토중몬을 소유한 경우 시작 슬롯 하나만으로 최대 6 행운을 뽑을 수 있어 껍질몬의 유용성과 더불어 색이 다른 포켓몬 스타팅 맴버로 선호도가 매우 높다,
| 행운 | ||
| <rowcolor=#ffffff> 행운 수치 | 행운 등급 | 등급 상승 확률 |
| 0 | D | 4/128 (3.12%) |
| 1 | C | 4/102 (3.92%) |
| 2 | C+ | 4/85 (4.70%) |
| 3 | B- | 4/73 (5.48%) |
| 4 | B | 4/64 (6.25%) |
| 5 | B+ | 4/56 (7.14%) |
| 6 | A- | 4/51 (7.84%) |
| 7 | A | 4/46 (8.70%) |
| 8 | A+ | 4/42 (9.52%) |
| 9 | A++ | 4/39 (10.3%) |
| 10 | S | 4/36 (11.1%) |
| 11 | S+ | 4/34 (11.8%) |
| 12 | SS | 4/32 (12.5%) |
| 13 | SS+ | 4/30 (13.3%) |
| 14 | SSS | 4/28 (14.3%) |
행운 등급은 이로치가 없는 0포인트 기준 D등급부터 시작하여, 최대 14포인트의 SSS등급까지 오를 수 있다. 정석대로 SSS급을 채우려면 무려 에픽 이로치가 최소 4마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하술할 엔들리스 융합체 모드에서는 수치를 2배로 뻥튀기시켜주므로, 단순히 최고등급을 체험하고 싶다면 에픽 2마리+일반 1마리 정도면 해결이 된다.
행운 등급이 상승할 때마다 대략 0.7~0.8%p의 확률이 증가하며, 최대 등급인 SSS은 최저 등급인 D보다 4배 이상의 확률로 아이템 등급이 상승하므로 이로치의 유무는 고급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해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모든 등급에서 거의 동일한 %p의 확률이 증가하므로, 행운 수치가 낮은 시점에서의 등급 상승 체감이 상대적으로 훨씬 높으니 파티에 일정량의 이로치를 확보해둘 것이 권장된다. 4포인트 정도만 확보해 B등급만 되어도 D등급의 2배에 육박한다. 다만 클래식은 게임 클리어가 목적이기 때문에 행운에 너무 욕심을 내서 팀에 필요없는 이로치를 과도하게 영입하면 팀 밸런스가 망가져서 보스나 트레이너에게 우수수 썰려나갈 가능성도 있다. 제일 좋은 방법은 역시 스타팅을 고를 때부터 팀에 역할이 맞는 이로치 포켓몬을 영입하는 것이겠지만, 게임 도중에 잡은 이로치의 경우 초반에 적은 포켓몬으로도 버틸만 하면 행운 수치 셔틀로 쓰다가 중후반에 과감하게 버리는게 좋다.
2.2.3. 보스 포켓몬
보스 포켓몬은 HP 바가 '보스 실드'라는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있고, 각 포켓몬 계열에게 지정된 패시브 효과를 보유한 강력한 포켓몬이다. 보스 실드는 일반적으로 한 번의 공격으로 한 줄을 초과하는 대미지를 줄 수 없으며, 실드 한 줄이 사라질 때마다 보스의 5대 능력치 중 하나가 1랭크 상승한다. 파괴되지 않은 실드는 흰 선으로, 파괴된 실드는 검은 선으로 HP바에 표시되며 체력이 회복되더라도 파괴된 실드가 재생성되지는 않는다. 보스 포켓몬은 길동무, 멸망의노래, 아픔나누기, 죽기살기 등 피해 없이 HP를 조작하는 기술에 면역이며,[98] 일격기 보스에 사용하면 기존의 일격기 효과와 다르게 위력 200의 기술로서 작동하게 된다.약점 찌르기, 카운터 등의 반격기, 고위력 자속기 등으로 한계를 초과하는 대미지를 입힐 경우, 동시에 여러 개의 실드를 파괴할 수 있다. 추가 실드 파괴는 (실드 한 줄 HP)×2^(추가 실드 개수)만큼의 대미지를 더 줘야 한다. 예를 들어 실드가 4줄인 195웨이브 라이벌의 메가레쿠쟈는 실드 한 줄만큼의 HP의 8+1배의 대미지를 줘야 모든 실드를 한 번에 파괴할 수 있다. 보스 포켓몬을 모든 실드를 파괴하려면 실드가 2줄일 때는 최대 체력의 1.5배, 3줄일 때는 최대 체력의 1.667배, 4줄일 때는 최대 체력의 2.25배, 5줄일 때는 최대 체력의 3.4배의 대미지가 필요하다. 즉, 계산식은 실드 개수가 [math(n \geq 2)]줄일 때, 최대 HP의 [math(\displaystyle \frac{2^{n-1}+1}{n})]배의 대미지가 필요하다는 것. 이에 따른 최대 HP 비율은 다음과 같다고 과게에는 서술되었지만 그러나 현재는 패치되어서 공식이 아래와 다른 것같다. https://wiki.pokerogue.net/ko:gameplay:mechanics
| <rowcolor=#F9C400> 실드 수 | 일격에 깨트리기 위한 대미지량 |
| 1줄[99] | 최대 HP의 1배 |
| 2줄 | 최대 HP의 [math(\displaystyle\frac{3}{2}=1.5)]배 |
| 3줄 | 최대 HP의 [math(\displaystyle\frac{5}{3}=1.667)]배 |
| 4줄 | 최대 HP의 [math(\displaystyle\frac{9}{4}=2.25)]배 |
| 5줄 | 최대 HP의 [math(\displaystyle\frac{17}{5}=3.4)]배 |
| 6줄 | 최대 HP의 [math(\displaystyle\frac{33}{6}=5.5)]배 |
| 7줄 | 최대 HP의 [math(\displaystyle\frac{65}{7}=9.286)]배 |
| 8줄 | 최대 HP의 [math(\displaystyle\frac{129}{8}=16.125)]배 |
| 9줄 | 최대 HP의 [math(\displaystyle\frac{257}{9}=28.556)]배 |
| 10줄 | 최대 HP의 [math(\displaystyle\frac{513}{10}=51.3)]배 |
| 11줄 이후로는 대략적으로 한줄마다 2배씩 늘어난다고 생각하면 된다[100] | |
체육관 관장 및 챔피언 배틀이 아닌 10의 배수 웨이브에서는 해당 바이옴에서 등장하는 포켓몬 중 하나가 2줄의 실드를 가진 야생 보스 포켓몬으로 등장한다. 실드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너무 강해서 잡을 수 없다는 메시지가 뜨며 볼을 던질 수 없지만, 실드가 한 줄만 남은 경우 포획이 가능하며, 마스터볼을 던지면 실드를 무시하고 한 번에 포획할 수 있다. 단, 엔드 바이옴의 보스 포켓몬은 클래식 모드를 플레이중이고 소유하고 있지 않는 한 잡을 수 없으며, 플레이어는 보스 포켓몬의 패시브를 사용하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없다.
웨이브 191부터는 야생 포켓몬들이 패러독스 포켓몬들로 고정되며, 처음에는 이들을 잡을 순 없고 알 뽑기에서 획득한 패러독스 포켓몬에 한해서 잡을 수 있다.[101] 마지막인 웨이브 200에서는 무한다이노가 고정으로 등장한다.[102]
- 1페이즈의 무한다이노는 4줄의 보스 실드를 가지고 있으며 무한다이빔/오물폭탄/화염방사/코스믹파워를 사용한다. 예전에는 공격 기술이 독/드래곤 타입밖에 없어 페어리/강철 타입에게 완전히 막혔으며, 강철 타입과 페어리 타입을 하나씩 갖고 있다면 서로 교체하면서 공격기를 무효로 받아 PP를 말려버리는 방법도 잘 통했다. 또는 페어리 타입이 없더라도 무한다이빔을 방어나 판별 등으로 막아내면 반동으로 쉬기 때문에 1턴을 벌 수 있고, 능력치가 충분히 높은 포켓몬이라면 약점을 찔러 1-2턴 내로 2페이즈로 넘어갈 수 있다. 보스 실드를 1줄까지 깎으면 무한다이맥스하고 HP와 상태이상을 모두 회복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2번째 포켓몬을 꺼내 2대1 구도로 싸우게 되는데, 반사 대미지, 약점 찌르기 등으로 폭딜을 넣어도 HP 1줄은 반드시 남아서 무한다이맥스를 스킵할 수는 없다. 무한다이맥스를 스킵하고 승리하는 방법은 무한다이노의 포획이 해금된 상태에서 마스터볼을 던지는 것 뿐이다.
- 무한다이맥스한 2페이즈의 무한다이노는 보스 실드가 5줄이고 매 턴마다 필드에 나와있는 아군 포켓몬이 지닌 아이템을 뺏어가는 미니 블랙홀을 지니고 있으며 기술배치가 다이맥스포 / 화염방사 / 크로스포이즌 / HP회복[103]으로 바뀐다.[104] 또한 랜덤한 능력치 하나가 2랭크 오른다.[105] 미니 블랙홀 때문에 매 턴마다 아군의 아이템을 하나씩 강탈당해 턴이 지날수록 점점 불리해지고, 리샘열매를 뺏어가 상태이상을 회복하거나 자뭉열매, 의문열매, 먹다남은음식 같은 회복 계열 아이템과 부활의씨앗도 뺏어가 사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체급의 포켓몬이나 랭크업이 없으면 체력 비례로 회복하면서 실드가 깎여 능력치가 오른 무한다이노에게 전멸할 수 있다. 이 블랙홀은 탁쳐서떨구기나 아군 포켓몬의 블랙홀 등에 해제되지 않지만 배틀에 나와있지 않은 포켓몬의 도구까지 뺏진 않으므로, 뺏기면 안되는 도구들을 미리 중요도가 낮은 포켓몬에게 몰아준 뒤 2페이즈 시작 전에 그 포켓몬을 일부러 기절시키거나, 최대한 마지막에 꺼내거나, 특성이 점착인 포켓몬에게 몰아주는 방법으로 대처가 가능하다.
- 무한다이노의 개체값은 6V 고정이며, 의외로 포획률은 소드실드의 스토리에서의 포획률을 그대로 가져와 최대치인 255이다. 때문에 2페이즈의 보스 실드를 전부 부순 이후라면 로그볼은 물론 하이퍼볼 이하의 볼로도 쉽게 잡힌다. 무한다이노는 알에서 부화하지 않기에 처음 도감에 등록하는 방법은 여기서 포획하는 방법 뿐이다. 한번 등록한 이후로는 사탕을 통해 확정 알을 구매한 뒤 부화시켜 알 기술을 얻는 것은 가능하다. 무한다이노 포획 조건은 모든 포켓몬을 1회 이상 포획하여 무한다이노 이외의 도감을 완성해 놓는 것. 앞서 서술하듯 알 뽑기 이외의 수단으로는 패러독스를 아예 못 잡기 때문에 회차 플레이가 강요된다.
2.2.4. 포켓몬 융합
포켓몬 개조판이나 팬게임을 플레이하지 않는 유저들에게는 생소한 개념이라 끔찍한 혼종으로 여겨질 수 있으나, 영어권에서는 스토리 돌파 위주의 포켓몬 유튜버라면 퓨전 포켓몬 팬게임/개조롬은 어지간하면 한번은 해보고 넘어가는 정도로 나름의 인지도를 가지고 있으며, 웬만한 포덕이나 오리지널 포켓몬이라면 질색하는 사람들도 퓨전 자체가 원작 5세대의 블랙큐레무와 화이트큐레무의 사례처럼 실제로 나온 개념이다보니 반발 자체는 그렇게 크진 않은 편이다. 이렇다보니 본 게임에서도 포켓몬의 융합이 가능하다.융합체 포켓몬은 게임 중 도구 선택화면에 등장하는 유전자쐐기(DNA Splicers)를 사용하면 지니고 있는 포켓몬 두 마리를 선택하여 융합할 수 있다.
- 융합체 포켓몬의 능력치는 두 포켓몬의 평균값으로 변하고, 두 포켓몬의 기술 배치를 이어받는다. 첫 번째 포켓몬과 두 번째 포켓몬이 배우는 기술을 모두 배울 수 있다.
- 첫 번째 포켓몬의 레벨과 개체값, 성격, 1번 타입, 패시브, 외형을 이어받는다.
- 두 번째 포켓몬의 2번 타입 및 특성, 컬러 팔레트를 이어받는다. 단, 다음 상황에서는 두 번째 포켓몬의 1번 타입이 융합체의 2타입으로 들어간다.
- 두 번째 포켓몬이 단일 타입 포켓몬인 경우
- 두 번째 포켓몬의 2번 타입이 첫 번째 포켓몬의 1번 타입과 동일한 경우
- 둘 중 하나 혹은 두 포켓몬 모두가 색이 다른 포켓몬(이로치)일 경우 두 포켓몬의 행운을 전부 합산한다.(즉, 합체 포켓몬의 최대 행운은 6이다.)
- 본가의 밸런스 조정을 따라 껍질몬이 두 번째 포켓몬으로 들어가면 융합체 포켓몬의 체력은 무조건 1로 고정된다. 융합체 시스템을 이용하면 본가 게임에서는 예능팟으로 연구되던 노말 or 악/고스트+불가사의부적 조합이 한방컷도 나지 않는 상황을 만들기 쉽기 때문.
- 융합에 사용된 두 번째 포켓몬은 사라지고 첫 번째 포켓몬에 흡수된 것으로 취급된다.
- 융합한 포켓몬을 분리할 경우, 첫 번째 포켓몬만 남고 두 번째 포켓몬이 재생성되지 않는다.
- 융합체 상태로 클래식 모드를 클리어했을 경우, 첫 번째 포켓몬만 클리어한 것으로 처리된다.
- 미진화 상태에서 융합되었을 경우 둘 다 진화가 가능하며, 진화시 타입변화가 있을 경우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진화의돌와 같이 일반적인 아이템 진화가 아닌, 메가진화와 거다이맥스와 같은 폼 체인지형 진화는 첫 번째 포켓몬만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두 번째 포켓몬은 메가진화 / 거다이맥스 하기 전에 합친다면 해당 진화를 하지 못하게 되니 반드시 주의할 것.[106]
- 토중몬을 융합시킨 포켓몬이 레벨을 쌓아 진화할 때 빈 자리가 남아 있다면, 아이스크와 융합한 포켓몬과 껍질몬과 융합한 포켓몬이 둘 다 생성되어 첫번째 포켓몬과 아이템 또한 동시에 복사할 수 있다.#
- 두 번째 포켓몬이 성별에 따른 분기진화, 혹은 특정 성별만 진화가 가능한 케이스라면, 첫 번째 포켓몬의 성별을 따르게 된다. 예를 들어서 암컷 포켓몬에 수컷 세꿀버리를 융합시켰을 경우, 원칙적으로 수컷 세꿀버리는 진화하지 않지만, 융합하면서 성별이 암컷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XXX세꿀버리에서 XXX비퀸으로 진화할 수 있다.
- 잠재댄스 등 시전자의 타입에 영향을 받는 기술의 경우 첫 번째 타입만 따라간다.
- 엔드리스(융합체) 모드에서 플레이어는 주체가 되는 첫 번째 포켓몬만 지정할 수 있다.
- 융합 포켓몬은 일반 엔드리스 모드에서도 야생으로 등장할 수 있다.
- 특성 등에 의해서 폼 체인지로 종족값이 변화하는 포켓몬[107]의 경우 융합 당시의 종족값을 기준으로 고정된다.[108] 단, 이런 폼 체인지형 특성은 융합 시에는 기준이 되는 포켓몬이 바뀌면서 적용되지 않게 되므로, 이런 특성을 가진 포켓몬은 두 번째 포켓몬으로는 사용해서는 안되며 첫 번째 포켓몬으로 쓰는 것이 좋다.
- 진화의휘석은 자신의 포켓몬 중에 아직 진화단계를 남긴 미진화체가 있거나 융합 포켓몬이 존재할 때만 라인업에 등장한다.
2.2.5. 진화
포켓몬 본가 게임을 바탕으로 한 게임이기 때문에, 레벨 업으로 진화하는 포켓몬의 경우 해당 레벨에 도달하면 진화할 수 있다. 본가 게임에서는 야생이나 트레이너 배틀 중 진화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배틀이 종료되었을 때 진화가 이루어지지만, 포켓로그에서는 배틀 도중이더라도 조건이 충족되면 즉시 진화한다.게임 특성상 조건 없는 레벨 업이 아닌 다른 진화 방식은 조금 변경되었다.
2024년 9월 27일부 패치로 특정 바이옴에서만 진화가 가능한 포켓몬들 및 일부 조건부 진화 포켓몬들의 진화 조건이 변경되었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
2.2.5.1. 진화의돌
진화의돌을 통한 진화의 경우, 웨이브를 클리어했을 때 나오는 아이템으로 진화할 수 있다. 소지한 포켓몬 중 진화의돌로 진화하는 포켓몬이 있다면, 일정 확률로 웨이브 클리어 보상에 진화의돌이 등장한다.보통 진화의돌 진화의 경우 기술 되살리기가 아니라면 기술을 새로 배우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진화의 돌이 기술을 되살리는 아이템(기억버섯)보다 더 귀하기 때문에 주력으로 채용할 생각이 있다면 발견 즉시 진화시키는 편이 좋다.
엘레이드와 눈여아는 가디안, 얼음귀신과 같은 레벨 업 진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진화의돌 진화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포켓몬도 있다. 안 그래도 진화의 돌 드랍률이 그리 높지 않은 만큼 이런 특정 조건까지 맞추기는 상당히 힘든 편.
알로라 나시: 섬(island)이나 해변(beach) 바이옴에서 아라리에게 태양의돌 사용.
드레디어: 새벽이나 낮[109]에 치릴리에게 태양의돌 사용.
히스이 드레디어: 황혼이나 밤에 치릴리에게 태양의돌 사용.
알로라 라이츄: 섬이나 해변 바이옴에서 피카츄에게 천둥의돌이나 빛의돌 사용.
2.2.5.2. 바이옴 진화
일부 리전폼 포켓몬은 특정 바이옴에서만 진화할 수 있다.알로라 텅구리: 탕구리가 섬이나 해변 바이옴에서 진화.
가라르 또도가스: 또가스가 대도시(metropolis)나 슬럼(slum) 바이옴에서 진화.
가라르 마임맨: 흉내내가 얼음동굴(ice cave)나 눈 덮인 숲(snowy forest) 바이옴에서 진화.
2.2.5.3. 아이템 진화
진화의돌과 마찬가지로 아이템을 사용하여 진화하는 포켓몬의 경우, 해당 포켓몬을 소지하고 있을 때 웨이브 클리어 보상으로 일정 확률로 진화 아이템이 등장한다.이 방식으로 진화하는 포켓몬은 애프룡, 단지래플, 과미르, 카디나르마, 파라블레이즈, 브리두라스, 가라르 야도란, 가라르 야도킹, 우라오스, 마휘핑[110], 포트데스, 사마자르, 그우린차, 다투곰, 솔가레오,루나아라다.
마휘핑은 다음의 바이옴 조건을 추가로 필요로 한다.
| 밀키바닐라 마을 / 평야 / 풀숲 / 높은 풀숲 / 대도시 | 밀키루비 악지 / 화산 / 묘지 / 공장 / 슬럼 | 밀키말차 숲 / 늪지 / 목초지 / 정글 |
| 밀키민트 바다 / 해변 / 호수 / 해저 | 밀키레몬 사막 / 발전소 / 도장 / 고대 유적 / 공사장 | 밀키솔트 산 / 동굴 / 얼음 동굴 / 페어리 동굴 / 눈덮인 숲 |
| 루비믹스 황무지 / 연구소 | 캐러멜믹스 사원 / 섬 | 트리플믹스 심연 / 우주 / ???(엔드) |
2.2.5.4. 통신 진화
포켓로그는 싱글플레이 게임이기 때문에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처럼 '연결의끈(Linking Cord)'이라는 아이템이 있어야 통신 진화 포켓몬을 진화시킬 수 있다. 다른 아이템 진화처럼, 통신 진화하는 포켓몬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일정 확률로 웨이브 클리어 보상에 연결의끈이 등장한다.대부분 아이템을 사용하면 즉시 진화하지만, 특정 조건하에서 통신 교환을 해야 진화하던 포켓몬은 진화 조건이 일부 변경되었다. 왕구리와 야도킹은 왕의징표석 없이, 킹드라는 용의비늘 없이 연결의끈만 사용해도 진화한다.[111]
강철톤: 강철 타입 기술을 배운 상태에서 연결의끈 사용.
핫삼: 강철 타입 기술을 배운 상태에서 연결의끈 사용.
슈바르고: 쪼마리를 스타팅 포켓몬으로 등록한 후 연결의끈 사용.
어지리더: 딱정곤을 스타팅 포켓몬으로 등록한 후 연결의끈 사용.
2.2.5.5. 친밀도 진화
게임 특성상 친밀도를 올리기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친밀도 진화의 필요 친밀도 수치가 매우 낮아졌다. 아래 펼치기는 친밀도 진화 조건이며, 괄호 안은 진화 이전 포켓몬의 초기 친밀도이다. 타부자고도 원래 친밀도 진화 포켓몬이 아니지만, 본 게임에서는 친밀도 진화로 변경되었다.- [ 펼치기 · 접기 ]
- *
피카츄: 90 (70)
삐삐: 160 (140)
푸린: 70 (50)
알로라 페르시온: 70 (50)
럭키: 140 (160)
잠만보: 90 (50)
크로뱃: 110 (50)
토게틱: 70 (50)
마릴: 70 (50)
에브이: 낮에 70 (50)
블래키: 밤에 70 (50)
해피너스: 200 (140)
로젤리아: 새벽이나 낮에 70 (50)
치렁: 황혼이나 밤에 90 (70)
이어롭: 70 (0)
루카리오: 새벽이나 낮에 120 (50)
맘박쥐: 70 (50)
모아머: 110 (70)
님피아: 페어리 타입 기술을 배운 상태에서 70 (50)
실버디: 80 (0)
모스노우: 황혼이나 밤에 90 (50)
타부자고: 70 (50)
친밀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상황은 3가지가 있다.
클래식 모드와 챌린지 모드에서 사탕 친밀도는 2배 올라간다. 친밀도와 사탕 친밀도가 다름에 주의. 사탕 친밀도에 대해선 해당 문서 참조.
2.2.5.6. 레벨 업 진화
원래는 특정 진화 조건이 있던 일부 포켓몬의 경우, 레벨 업 방식의 진화로 변경되었다. 원래는 조건 없는 단순 레벨 업 진화였지만 다른 진화 형태와 진화 방식을 구분하기 위해 조건이 추가된 경우도 있다.조건 없는 단순 레벨 업
특정 시간대에 레벨 업[118]
- [ 펼치기 · 접기 ]
- *
블레이범: 새벽이나 낮에 레벨 36 진화
히스이 블레이범: 황혼이나 밤에 레벨 36 진화
실쿤: 낮에 레벨 7 진화
카스쿤: 밤에 레벨 7 진화
포푸니라: 밤에 레벨 업 진화[!]
글라이온: 밤에 레벨 업 진화[!]
대검귀: 새벽이나 낮에 레벨 36 진화
히스이 대검귀: 황혼이나 밤에 레벨 36 진화
워글: 새벽이나 낮에 레벨 54 진화
히스이 워글: 황혼이나 밤에 레벨 54 진화
미끄네일: 새벽이나 낮에 레벨 40 진화
히스이 미끄네일: 황혼이나 밤에 레벨 40 진화
크레베이스: 새벽이나 낮에 레벨 37 진화
히스이 크레베이스: 황혼이나 밤에 레벨 37 진화
모크나이퍼: 새벽이나 낮에 레벨 34 진화
히스이 모크나이퍼: 황혼이나 새벽에 레벨 36 진화
포푸니크: 낮에 레벨 업 진화[!]
기타 조건 레벨 업[122]
2.2.6. 배틀 기믹
Z기술을 제외한 메가진화, 다이맥스, 테라스탈이 모두 존재하며 각각의 기믹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장비[124]를 얻고 해당 기믹을 사용할 수 있는 포켓몬을 엔트리에 소지하고 있다면 관련 도구가 아이템 풀에 추가된다. 테라스탈을 제외하면 본가와 달리 파티 1마리 제한이 없기 때문에 정말 운이 좋아서 아이템 선택할 때 메가스톤, 다이버섯이 여러 번 등장하면 메가진화, 거다이맥스 포켓몬 2마리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메가진화의 경우 진화의돌과 비슷하게 ~나이트를 고르면 해당 포켓몬에게 사용할 수 있는데, 게임 시스템상 밸런스 조절로 메가진화를 한 이후엔 턴이 지나도, 쓰러졌다 부활해도 계속 유지가 된다. 이를 해제하려면 상태창에서 임의로 해제해야 한다. 추가로 본래 원시회귀는 메가진화와는 별개 기믹이라 메가링이 필요없지만, 밸런스 패치의 일환인지 메가링을 획득한 상태여야 주홍구슬, 쪽빛구슬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이맥스의 경우 거다이맥스 형태가 존재하는 포켓몬만 거다이맥스 할 수 있으며 공용 아이템인 다이버섯을 사용하면 된다. 판정은 메가진화와 동일하게 상태를 쭉 유지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임의로 해제할 수 있다. 무게 관련 기술, 앙코르, 사슬묶기, 풀죽음에 면역인 점은 그대로 구현되어 있지만 이 쪽도 밸런스 조절 차원에서 다이맥스 기술은 아예 구현되어 있지 않고, 거의 메가진화의 다른 버전에 가깝게 재조정되었다. 대부분은 내구도에 추가 보정이 들어가는 식이라 메가진화와 거다이맥스가 모두 있는 포켓몬은 대체로 메가진화가 선호되지만, 몇몇 거다이맥스 포켓몬은 거다이맥스를 하면 위 문단에서 언급한 대로 타입이나 특성이 바뀌면서 상향된다.
테라스탈의 경우 테라스탈오브를 획득한 이후 특정 타입으로 변화시켜주는 피스들이 아이템 풀에 추가된다. 테라스탈하면 포켓몬 모습에 해당 타입의 색깔이 입혀진다. 1.7 업데이트 이전에는 피스를 포켓몬에게 사용하면 배틀 참가 여부와 상관없이 10웨이브 동안 해당 테라스탈타입으로 변하고 교체하더라도 유지되는 방식이었으나, 1.7 업데이트 이후 원작에 가까운 방향으로 크게 개편되어서 전략적으로 쓰기 유리해졌다.
- 포켓몬으로 기술을 쓰기 전 테라스탈 마크를 선택한 뒤 원하는 기술을 고르면 가장 우선도가 높은 기술을 발동하기 바로 전 시점에 테라스탈한다. 이는 트레이너들이 사용하는 것도 동일하다. 그로 인해 트레이너들도 한 싸움에서 한 포켓몬에게만 테라스탈을 하지만, 플레이어와는 다르게 한 번 테라스탈하면 교체하여도 쓰러지기 전까지는 테라스탈 상태가 유지된다.
- 테라스탈한 상태는 교체하기 전까지 유지된다.
- 클래식과 챌린지 모드에서는 95웨이브에서 라이벌을 이기면 확정적으로 테라스탈오브를 얻는 대신 그 이전 웨이브에서는 얻을 수 없다. 엔드리스와 데일리 런에서는 1.7 업데이트 이전과 동일하게 웨이브 클리어 후 상점 보상에 테라스탈오브가 나온다.
- 테라피스는 소모 아이템으로 변경되었고, 한 포켓몬에게 사용하는 그 포켓몬의 테라스탈타입을 그 세이브 파일 동안 해당 테라피스의 타입으로 변경한다.
- 모든 포켓몬의 기본 테라스탈타입은 진화 베이스의 1타입[125]이다. 히든 도전과제 하나를 달성하면 스타팅에서 2타입으로 기본 테라스탈타입을 변경할 수 있다.
- 테라스탈은 기본적으로 한 바이옴 내에서 1회만 할 수 있고 바이옴이 바뀐 후에 다시 할 수 있으며, 그래서 메가진화나 거다이맥스와는 달리 원작처럼 한 포켓몬만 테라스탈시킬 수 있다. 미스터리 조우에서 회복하는 선택지를 고르면 한 바이옴 내에서도 다시 할 수 있으며, 바이옴에 상관없이 사천왕 & 챔피언전이 벌어지는 181~190웨이브나 테라파고스가 파티에 있으면 매 웨이브마다 새로 테라스탈할 수 있다. 이 변경점 때문에 테라파고스의 코스트가 9로 올랐다.
- 일부 포켓몬은 밸런스 문제로 테라스탈이 가능한 타입이 고정되어 있어, 몇몇 테라피스를 사용할 수 없다.
- 테라파고스는 스텔라 테라스탈로 고정이며 테라스탈 시에 스텔라폼으로 변한다. 다른 포켓몬들과 마찬가지로 교체하기 전까지만 유지된다.
- 껍질몬은 벌레 타입으로만 테라스탈할 수 있다.
- 오거폰은 원작을 반영하여 현재 쓰고 있는 가면의 속성으로만 테라스탈할 수 있다. 가면을 바꿔쓰는 순간 테라스탈타입이 변경된다.
- 1.7.6 업데이트 이후 메가진화 / 거다이맥스한 포켓몬, 울트라네크로즈마는 테라스탈할 수 없다. 테라스탈을 한 상태에서 메가진화 / 거다이맥스 또는 울트라네크로즈마 체인지를 시도하면 테라스탈이 사라지고 메가진화 / 거다이맥스하거나 울트라네크로즈마로 폼 체인지한다. 모란이 2차전에서 들고 오는 스타모빌들도 테라스탈하지 않는다. 차후 포켓몬 챔피언스에 메가진화 / 거다이맥스 + 테라스탈 조합이 가능해지면 이것을 롤백할 것이라고 언급은 했다.
테라스탈은 클래식 / 챌린지 모드 중에 95웨이브 이후 라이벌이나 체육관 관장과 같은 네임드 NPC들이 사용한다. 모든 NPC들은 팔데아지방 사천왕처럼 기존 타입을 가진 포켓몬을 테라스탈시키는 소위 자속 테라로만 사용하고, 악의 조직 보스들은 모란을 제외하고 테라스탈을 사용하지 않는다. 한편 테라파고스 스텔라폼이 구현되었음에도 난이도 문제로 블루베리그 챔피언 카지는 테라파고스를 스텔라폼으로 사용하지 않고, 대신 테라스탈로 타입을 바꾼 오거폰을 사용한다.
리스크가 거의 없이[126] 포켓몬의 체급을 올려주기 때문에 메가진화와 거다이맥스는 클래식 클리어에 매우 큰 도움이 되며, 엔들리스 모드에서도 메가진화 / 거다이맥스가 가능하다면 매우 큰 도움이 되기도 한다. 테라스탈은 1.7 업데이트 기준으로 본가와 유사하게 구현되어서 기습적으로 자속 테라스탈을 하는 방식으로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지만, 자속 테라스탈이 아닌 테라스탈은 자신이 원하는 테라피스를 줍지 않으면 여전히 전략적으로 쓰기 어렵다.
2.2.6.1. 폼 체인지(메가진화/거다이맥스/합체)
본가에서는 엄밀히 따지면 진화가 아닌 폼 체인지로 분류되나, 포켓로그는 시스템의 한계상 임의 타이밍에 발동하는 게 불가능해 진화의 돌처럼 상점에서 해당 아이템을 획득해 진화시키는 형식으로 구현되어 있다.상점에서 메가링/다이맥스밴드를 구매하면 이후 나이트/다이버섯이 등장하며, 이를 사용가능한 포켓몬에게 사용하면 진화의돌을 사용하는 진화처럼 진화하는 연출이 나온 이후 인벤토리에서 변화를 되돌릴 수 있다.
거다이맥스는 전체적으로는 메가진화의 다른 버전에 가깝게 재조정되었다. 핵심인 다이맥스 기술은 완전 미적용이고, 종족값 증가도(메가진화와 동일한 원본 종족값 +100[127]) 메가진화와는 달리 체력이 조금~대폭 증가하며 내구 쪽으로 치우쳐 있다. 그런가 하면 몇몇 포켓몬들은 거다이맥스하면서 제 2타입이나 특성이 변경[128]되어서 상향되기도 한다. 한편 팬텀처럼 메가진화와 다이맥스가 모두 있는 포켓몬의 경우[129] 기본적으로 더 좋은 특성이 붙은 메가진화가 조금 더 선호되는 편이다.[130] 그리고 후술할 대로 무한다이빔의 사양이 '레벨 제한보다 더 높은 레벨의 포켓몬에게 대미지 2배'로 변경된 덕에 거다이맥스를 하더라도 약점을 찔리거나 레벨 제한을 넘겨서 레벨업하지 않았다면 무한다이노 2차전 때 무한다이빔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또한 무게는 불명인 원작과 달리 999.9kg로 나오지만, 무게 관련 기술에는 면역이라 큰 의미는 없다.
본래는 나이트/다이버섯도 단순한 소지 아이템으로 취급되어 다른 포켓몬에게 넘겨줄 수 있었다. 이 경우 변화 후에는 나이트/다이버섯을 다른 포켓몬에게 옮겨도 메가진화/거다이맥스가 풀리지는 않지만, 이 경우 보상에 나이트/다이버섯이 중복으로 등장하면서 확률을 잡아먹는데다 변화를 취소하면 다시 변화할 수 없으니 별 의미없는 뻘짓이었다. 그나마 거다이맥스는 변화 아이템이 다이버섯으로 통일되어 있어 다이버섯 하나로 파티 내에서 거다이맥스가 가능한 포켓몬을 모두 거다이맥스시키는 꼼수가 가능했으나, 패치로 포켓몬에게 귀속되도록 변경되면서 꼼수가 막혔다.
큐레무[131]/네크로즈마/버드렉스 등 다른 포켓몬과 합체해서 폼 체인지를 하는 전설의 포켓몬의 경우, 합체 대상이 팀에 있어야 하진 않지만 합체 대상이 스타팅 포켓몬에 등록되어 있어야 합체 아이템이 나온다.
특이하게도 본가에서는 적으로만 나왔던 무한다이노의 무한다이맥스가 플레이어블 사양으로 구현되어 있다. 거다이맥스와 마찬가지로 다이맥스밴드를 보유한 상태로 다이버섯을 무한다이노에게 사용하면 발동하며, 여타 거다이맥스와 달리 1125라는 정신나간 종족값이 그대로 적용되어 있다. 무한다이빔도 처음에는 구현되어 있지 않았으나 업데이트로 구현되었다.[132]
======# 폼 체인지 가능한 포켓몬 및 그 방법 일람 #======
메가진화, 원시회귀 포켓몬
먼저 아이템 "메가링"을 소지하는 것이 전제 조건이며, 메가링 구매 이후 팀에 메가진화 가능한 포켓몬이 있으면 대응하는 메가스톤이 등장한다. 즉 메가진화를 하려면 메가링→대응하는 스톤 순서로 2번의 구매를 거쳐야한다. 모든 메가스톤은 로그 레어도다.
원시회귀도 편의상 메가진화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역시 메가링이 있어야 구슬이 등장한다.[133] 이외에도 메가레쿠쟈도 레쿠쟈나이트라는 아이템이 따로 존재한다.
- [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 ||<tablealign=center><tablewidth=70%><table bordercolor=#3861ad><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3861ad><rowcolor=#F9C400> 포켓몬 || 폼 || 대응하는 아이템 ||
이상해꽃
메가이상해꽃
이상해꽃나이트
리자몽
메가리자몽X
리자몽나이트X
메가리자몽Y
리자몽나이트Y
거북왕
메가거북왕
거북왕나이트
독침붕
메가독침붕
독침붕나이트
피죤투
메가피죤투
피죤투나이트
후딘
메가후딘
후디나이트
야도란
메가야도란
야도란나이트
팬텀
메가팬텀
팬텀나이트
캥카
메가캥카
캥카나이트
쁘사이저
메가쁘사이저
쁘사이저나이트
갸라도스
메가갸라도스
갸라도스나이트
프테라
메가프테라
프테라나이트
뮤츠
메가뮤츠X
뮤츠나이트X
메가뮤츠Y
뮤츠나이트Y
전룡
메가전룡
전룡나이트
강철톤
메가강철톤
강철톤나이트
핫삼
메가핫삼
핫삼나이트
헤라크로스
메가헤라크로스
헤라크로스나이트
헬가
메가헬가
헬가나이트
마기라스
메가마기라스
마기라스나이트
나무킹
메가나무킹
나무킹나이트
번치코
메가번치코
번치코나이트
대짱이
메가대짱이
대짱이나이트
가디안
메가가디안
가디안나이트
깜까미
메가깜까미
깜까미나이트
입치트
메가입치트
입치트나이트
보스로라
메가보스로라
보스로라나이트
요가램
메가요가램
요가램나이트
썬더볼트
메가썬더볼트
썬더볼트나이트
샤크니아
메가샤크니아
샤크니아나이트
폭타
메가폭타
폭타나이트
파비코리
메가파비코리
파비코리나이트
다크펫
메가다크펫
다크펫나이트
앱솔
메가앱솔
앱솔나이트
얼음귀신
메가얼음귀신
얼음귀신나이트
보만다
메가보만다
보만다나이트
메타그로스
메가메타그로스
메타그로스나이트
라티아스
메가라티아스
라티아스나이트
라티오스
메가라티오스
라티오스나이트
가이오가
원시가이오가
쪽빛구슬
그란돈
원시그란돈
주홍구슬
레쿠쟈
메가레쿠쟈
레쿠쟈나이트
이어롭
메가이어롭
이어롭나이트
한카리아스
메가한카리아스
한카리아스나이트
루카리오
메가루카리오
루카리오나이트
눈설왕
메가눈설왕
눈설왕나이트
엘레이드
메가엘레이드
엘레이드나이트
다부니
메가다부니
다부니나이트
디안시
메가디안시
디안시나이트
거다이맥스, 무한다이맥스 포켓몬
상술한대로 거다이맥스 시스템이 이 게임에서 리뉴얼되었기 때문에 일반 다이맥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고로 원작에서 거다이맥스 폼을 가진 포켓몬만 폼 체인지할 수 있다. 거다이맥스를 하기 위해 아이템 "다이맥스밴드"를 소지해야하며, 거다이맥스 아이템은 포켓몬마다 다른 메가진화와 달리 전용 아이템은 종류 불문 다이버섯이다.
- [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 ||<tablealign=center><tablewidth=70%><table bordercolor=#3861ad><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3861ad><rowcolor=#F9C400> 포켓몬 || 폼 || 대응하는 아이템 ||
이상해꽃
거다이맥스 이상해꽃
다이버섯
리자몽
거다이맥스 리자몽
거북왕
거다이맥스 거북왕
버터플
거다이맥스 버터플
피카츄
거다이맥스 피카츄
파트너 피카츄
옷갈아입기 피카츄 나옹(원종)
거다이맥스 나옹
괴력몬
거다이맥스 괴력몬
팬텀
거다이맥스 팬텀
킹크랩
거다이맥스 킹크랩
라프라스
거다이맥스 라프라스
이브이
거다이맥스 이브이
파트너 이브이
잠만보
거다이맥스 잠만보
더스트나
거다이맥스 더스트나
멜메탈
거다이맥스 멜메탈
고릴타
거다이맥스 고릴타
에이스번
거다이맥스 에이스번
인텔리레온
거다이맥스 인텔리레온
아머까오
거다이맥스 아머까오
이올브
거다이맥스 이올브
갈가부기
거다이맥스 갈가부기
석탄산
거다이맥스 석탄산
애프룡
거다이맥스 애프룡
단지래플
거다이맥스 단지래플
사다이사
거다이맥스 사다이사
스트린더
거다이맥스 스트린더
다태우지네
거다이맥스 다태우지네
브리무음
거다이맥스 브리무음
오롱털
거다이맥스 오롱털
마휘핑
거다이맥스 마휘핑
대왕끼리동
거다이맥스 대왕끼리동
두랄루돈
거다이맥스 두랄루돈
무한다이노
무한다이맥스 무한다이노
우라오스
(일격의 태세)거다이맥스 우라오스
(일격의 태세)우라오스
(연격의 태세)거다이맥스 우라오스
(연격의 태세)
다른 아이템 폼 체인지 포켓몬
상술한 포켓몬 이외에도 특수 아이템을 사용해서 폼 체인지 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원작의 합체 시스템도 이런 방법을 쓰며, 두 포켓몬 전부 팀에 있어야하면 합체 난이도가 너무 높아서 그런지 주체가 되는 포켓몬만 있으면 되지만, 합체에 필요한 포켓몬 모두 도감에 등록되어야 해당 아이템이 등장한다.
- [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 ||<tablealign=center><tablewidth=70%><table bordercolor=#3861ad><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3861ad><rowcolor=#F9C400> 포켓몬 || 폼 || 대응하는 아이템 || 아이템 레어도 || 비고 ||
테오키스
어택폼
뾰족한운석
하이퍼 디펜스폼
단단한운석
하이퍼 스피드폼
부드러운운석
하이퍼 디아루가
오리진폼
큰금강옥
로그 펄기아
오리진폼
큰백옥
로그 기라티나
오리진폼
큰백금옥
로그 셰이미
스카이폼
그라시데아꽃
하이퍼 [134] 아르세우스
격투 타입
주먹플레이트
하이퍼 [135] 비행 타입
푸른하늘플레이트
독 타입
맹독플레이트
땅 타입
대지플레이트
바위 타입
암석플레이트
벌레 타입
비단벌레플레이트
고스트 타입
원령플레이트
강철 타입
강철플레이트
불꽃 타입
불구슬플레이트
물 타입
물방울플레이트
풀 타입
초록플레이트
전기 타입
우레플레이트
에스퍼 타입
이상한플레이트
얼음 타입
고드름플레이트
드래곤 타입
용의플레이트
악 타입
공포플레이트
페어리 타입
정령플레이트
토네로스 화신폼
비추는거울
로그 ↕ 영물폼
볼트로스 화신폼
↕ 영물폼
랜드로스 화신폼
↕ 영물폼
러브로스 화신폼
↕ 영물폼
큐레무
화이트큐레무
라이트스톤
로그 [136] 블랙큐레무
다크스톤
로그 [137] 게노세크트
블레이즈폼 블레이즈카세트 하이퍼 [138] 프리즈폼 프리즈카세트 하이퍼 아쿠아폼 아쿠아카세트 하이퍼 라이트닝폼 라이트닝카세트 하이퍼 후파
굴레를 벗어난 모습
굴레의항아리
로그 실버디
타입:파이팅 파이팅메모리 하이퍼 [139] 타입:플라잉 플라잉메모리 타입:포이즌 포이즌메모리 타입:그라운드 그라운드메모리 타입:록 록메모리 타입:버그 버그메모리 타입:고스트 고스트메모리 타입:스틸 스틸메모리 타입:파이어 파이어메모리 타입:워터 워터메모리 타입:그래스 그래스메모리 타입:일렉트릭 일렉트릭메모리 타입:사이킥 사이킥메모리 타입:아이스 아이스메모리 타입:드래곤 드래곤메모리 타입:다크 다크메모리 타입:페어리 페어리메모리 네크로즈마
황혼의 갈기
네크로플러스솔
하이퍼 [140] 새벽의 날개
네크로플러스루나
하이퍼 [141] 울트라네크로즈마
울트라네크로즈마Z
로그 [142] 자시안
검왕
녹슨검
로그 자마젠타
방패왕
녹슨방패
로그 버드렉스
백마 탄 모습
차가운유대의고삐
로그 [143] 흑마 탄 모습
검은유대의고삐
로그 [144] 오거폰
화덕의 가면
화덕의 가면
하이퍼 우물의 가면
우물의 가면
하이퍼 주춧돌의 가면
주춧돌의 가면
하이퍼
아이템 이외의 방법으로 폼 체인지하는 포켓몬
전용 아이템이 아니라 특정한 상황이 되면 폼 체인지 하는 포켓몬. 대부분 포켓몬의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상술한 폼 체인지와 달리 일시적인 변화인 것이 대다수.
- [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 *
캐스퐁: 현재 필드의 날씨에 따라 폼이 바뀐다.
태양의 모습: 날씨가 쾌청일 때
빗방울의 모습: 날씨가 비일 때
설운의 모습: 날씨가 싸라기눈 또는 설경일 때[145]
체리꼬: 날씨가 쾌청이 아닐 때
네거폼, 날씨가 쾌청일 때
포지폼이 된다.
불비달마: 체력이 50% 이하가 되면
달마모드가 된다.
케르디오: 신비의칼을 배우고 있으면
각오의 모습이 된다.
메로엣타: 옛노래를 사용하면
스탭폼이 된다. 다시 사용하면 보이스폼으로 돌아온다.
개굴닌자: 특성 유대변화를 가지고 포켓몬을 쓰러뜨리면
지우개굴닌자가 된다. 교체한 후에도 유지되나 트레이너, 미스터리 조우, 스테이지 클리어로 볼에 들어갔다면 원래 모습으로 돌아간다.
킬가르도: 공격 기술을 사용하면
블레이드폼, 킹실드를 사용하면
실드폼이 된다.
지가르데: 특성 스웜체인지를 가지고 체력이 50% 이하가 되면
퍼펙트폼이 된다. 10%과 50%폼은 다른 종으로 폼 체인지가 아닌 별개의 스타팅으로 취급된다.
약어리: 20 레벨 이상이며 체력이 25% 이상이면
군집의 모습이 된다.
메테노: 체력이 50% 이하가 되면
코어의 모습이된다. 코어의 색은 개체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바꿀 수 없다.
따라큐: 피해를 받으면 1/8의 체력을 잃고 해당 피해를 막는다. 이후 들킨 모습이 되며, 교체되도 유지된다. 트레이너, 미스터리 조우, 스테이지 클리어로 볼에 들어갔다면 둔갑한 모습으로 돌아간다.
윽우지: 기술 파도타기나 다이빙을 사용하면 현재 체력에 따라 다른 폼이 된다.
그대로 삼킨 모습: 체력이 50% 이상일 때. 이 상태에서 공격을 받으면 상대에게 최대 체력의 25% 만큼의 데미지를 주고 방어를 1랭크 하락시킨다. 이후 일반폼으로 돌아온다.
통째로 삼킨 모습: 체력이 50% 미만일 때. 이 상태에서 공격을 받으면 상대에게 최대 체력의 25% 만큼의 데미지를 주고 마비시킨다. 이후 일반폼으로 돌아온다.
빙큐보: 물리 기술을 받으면
나이스페이스가 되고 피해를 무효로한다. 나이스페이스 상태에서 날씨가 싸라기눈 또는 설경이 되면
아이스페이스로 돌아온다.
모르페코: 턴을 종료하면
배부른 모양과
배고픈 모양으로 번갈아서 변화한다.
돌핀맨: 전투에 나오고 교체로 볼에 들어가면
마이티폼이 된다. 트레이너, 미스터리 조우, 스테이지 클리어로 볼에 들어간 것이라면 적용되지 않으며, 이 경우들은 오히려 마이티폼이 리셋되어 나이브폼이 된다.
오거폰: 테라스탈을 사용하면 테라스탈폼이 된다.[146]
테라파고스: 특성 테라시프트를 가지고 전투에 나오면
테라스탈폼이 된다. 테라스탈폼인 상태에서 테라스탈을 사용하면
스텔라폼이된다.
번외: 서로 다른 종으로 취급하는 폼 체인지
일부 폼 체인지는 게임 내에 폼을 바꾸는 방법이 없고, 리전폼처럼 별도의 개체로 취급한다. 이 경우에는 스타팅 선택에서 별도의 선택지로 존재한다.
- [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 *
피카츄 /
파트너 피카츄 / 옷갈아입기 피카츄
======# 일부 폼/메가진화/거다이맥스시의 종족값과 특성 #======
폼은 모든 폼을 기재하는 건 아니며, 뾰족귀 피츄나 코스프레 피카츄, 파트너 피카츄/이브이처럼 명백하게 다른 캐릭터 취급되는 폼만을 기재한다.
| <rowcolor=#F9C400> 포켓몬 | 폼 | 특성1 | 특성2 | 숨겨진 특성 | HP | 공격 | 방어 | 특공 | 특방 | 스피드 | 총합 |
| 이상해꽃 | 기본 | 심록 | 엽록소 | 80 | 82 | 83 | 100 | 100 | 80 | 525 | |
| 거다이맥스 | 엽록소 | 120 | 82 | 98 | 130 | 115 | 80 | 625 | |||
| 메가진화 | 두꺼운지방 | 80 | 100 | 123 | 122 | 120 | 80 | 625 | |||
| 리자몽 | 기본 | 맹화 | 선파워 | 78 | 84 | 78 | 109 | 85 | 100 | 534 | |
| 거다이맥스 | 선파워 | 118 | 84 | 93 | 139 | 110 | 100 | 634 | |||
| 메가진화X | 단단한발톱 | 78 | 130 | 111 | 130 | 85 | 100 | 634 | |||
| 메가진화Y | 가뭄 | 78 | 104 | 78 | 159 | 115 | 100 | 634 | |||
| 거북왕 | 기본 | 급류 | 젖은접시 | 79 | 83 | 100 | 85 | 105 | 78 | 530 | |
| 거다이맥스[147] | 조가비갑옷 | 119 | 83 | 130 | 115 | 115 | 68 | 630 | |||
| 메가진화 | 메가런처 | 79 | 103 | 120 | 135 | 115 | 78 | 630 | |||
| 버터플 | 기본 | 복안 | 색안경 | 60 | 45 | 50 | 90 | 80 | 70 | 395 | |
| 거다이맥스 | 복안 | 85 | 35 | 80 | 120 | 90 | 85 | 495 | |||
| 독침붕 | 기본 | 벌레의알림 | 스나이퍼 | 65 | 90 | 40 | 45 | 80 | 75 | 395 | |
| 메가진화 | 적응력 | 65 | 150 | 40 | 15 | 80 | 145 | 495 | |||
| 피죤투 | 기본 | 날카로운눈 | 갈지자걸음 | 부풀린가슴 | 83 | 80 | 75 | 70 | 70 | 101 | 479 |
| 메가진화 | 노가드 | 83 | 80 | 80 | 135 | 80 | 121 | 579 | |||
| 피카츄 | 기본 | 정전기 | 피뢰침 | 35 | 55 | 40 | 50 | 50 | 90 | 320 | |
| 파트너 | 45 | 80 | 50 | 75 | 60 | 120 | 430 | ||||
| 코스프레 | 45 | 80 | 50 | 75 | 60 | 120 | 430 | ||||
| 거다이맥스 | 피뢰침 | 125 | 95 | 60 | 90 | 70 | 90 | 530 | |||
| 나옹 | 기본 | 픽업 | 테크니션 | 긴장감 | 40 | 45 | 35 | 40 | 40 | 90 | 290 |
| 거다이맥스 | 테크니션 | 115 | 110 | 65 | 65 | 70 | 115 | 540 | |||
| 후딘 | 기본 | 싱크로 | 정신력 | 매직가드 | 55 | 50 | 45 | 135 | 95 | 120 | 500 |
| 메가진화 | 트레이스 | 55 | 50 | 65 | 175 | 105 | 150 | 600 | |||
| 괴력몬 | 기본 | 근성 | 노가드 | 불굴의마음 | 90 | 130 | 80 | 65 | 85 | 55 | 505 |
| 거다이맥스 | 근성 | 115 | 170 | 95 | 65 | 95 | 65 | 605 | |||
| 야도란 | 기본 | 둔감 | 마이페이스 | 재생력 | 95 | 75 | 110 | 100 | 80 | 30 | 490 |
| 메가진화 | 조가비갑옷 | 95 | 75 | 180 | 130 | 80 | 30 | 590 | |||
| 팬텀 | 기본 | 저주받은바디 | 60 | 65 | 60 | 130 | 75 | 110 | 500 | ||
| 거다이맥스 | 140 | 65 | 70 | 140 | 85 | 100 | 600 | ||||
| 메가진화 | 그림자밟기 | 60 | 65 | 80 | 170 | 95 | 130 | 600 | |||
| 킹크랩 | 기본 | 괴력집게 | 조가비갑옷 | 우격다짐 | 55 | 130 | 115 | 50 | 50 | 75 | 475 |
| 거다이맥스 | 단단한발톱 | 90 | 155 | 140 | 50 | 80 | 70 | 575 | |||
| 캥카 | 기본 | 일찍기상 | 배짱 | 정신력 | 105 | 95 | 80 | 40 | 80 | 90 | 490 |
| 메가진화 | 부자유친 | 105 | 125 | 100 | 60 | 100 | 100 | 590 | |||
| 쁘사이저 | 기본 | 괴력집게 | 틀깨기 | 자기과신 | 65 | 125 | 100 | 55 | 70 | 85 | 500 |
| 메가진화 | 스카이스킨 | 65 | 155 | 120 | 65 | 90 | 105 | 600 | |||
| 갸라도스 | 기본 | 위협 | 자기과신 | 95 | 125 | 79 | 60 | 100 | 81 | 540 | |
| 메가진화 | 틀깨기 | 95 | 155 | 109 | 70 | 130 | 81 | 640 | |||
| 라프라스 | 기본 | 저수 | 조가비갑옷 | 촉촉바디 | 130 | 85 | 80 | 85 | 95 | 60 | 535 |
| 거다이맥스 | 조가비갑옷 | 170 | 85 | 95 | 115 | 110 | 60 | 635 | |||
| 이브이 | 기본 | 도주 | 적응력 | 위험예지 | 55 | 55 | 50 | 45 | 65 | 55 | 325 |
| 파트너 | 65 | 75 | 70 | 65 | 85 | 75 | 435 | ||||
| 거다이맥스 | 변환자재 | 105 | 95 | 95 | 95 | 85 | 85 | 535 | |||
| 프테라 | 기본 | 돌머리 | 프레셔 | 긴장감 | 80 | 105 | 65 | 60 | 75 | 130 | 515 |
| 메가진화 | 단단한발톱 | 80 | 135 | 85 | 70 | 95 | 150 | 615 | |||
| 잠만보 | 기본 | 면역 | 두꺼운지방 | 먹보 | 160 | 110 | 65 | 65 | 110 | 30 | 540 |
| 거다이맥스 | 수확 | 200 | 135 | 80 | 80 | 125 | 20 | 640 | |||
| 뮤츠 | 기본 | 프레셔 | 긴장감 | 106 | 110 | 90 | 154 | 90 | 130 | 680 | |
| 메가진화X | 불굴의마음 | 106 | 190 | 100 | 154 | 100 | 130 | 780 | |||
| 메가진화Y | 불면 | 106 | 150 | 70 | 194 | 120 | 140 | 780 | |||
| 피츄 | 기본 | 정전기 | 피뢰침 | 20 | 40 | 15 | 35 | 35 | 60 | 205 | |
| 삐죽귀 | 20 | 40 | 15 | 35 | 35 | 60 | 205 | ||||
| 전룡 | 기본 | 정전기 | 플러스 | 90 | 75 | 85 | 115 | 90 | 55 | 510 | |
| 메가진화 | 틀깨기 | 90 | 95 | 105 | 165 | 110 | 45 | 610 | |||
| 강철톤 | 기본 | 돌머리 | 옹골참 | 우격다짐 | 75 | 85 | 200 | 55 | 65 | 30 | 510 |
| 메가진화 | 모래의힘 | 모래의힘 | 모래의힘 | 75 | 125 | 230 | 55 | 95 | 30 | 610 | |
| 핫삼 | 기본 | 벌레의알림 | 테크니션 | 라이트메탈 | 70 | 130 | 100 | 55 | 80 | 65 | 500 |
| 메가진화 | 테크니션 | 70 | 150 | 140 | 65 | 100 | 75 | 600 | |||
| 헤라크로스 | 기본 | 벌레의알림 | 근성 | 자기과신 | 80 | 125 | 75 | 40 | 95 | 85 | 500 |
| 메가진화 | 스킬링크 | 80 | 185 | 115 | 40 | 105 | 75 | 600 | |||
| 헬가 | 기본 | 일찍기상 | 타오르는불꽃 | 긴장감 | 75 | 90 | 50 | 110 | 80 | 95 | 500 |
| 메가진화 | 선파워 | 선파워 | 선파워 | 75 | 90 | 90 | 140 | 90 | 115 | 600 | |
| 마기라스 | 기본 | 모래날림 | 긴장감 | 100 | 134 | 110 | 95 | 100 | 61 | 600 | |
| 메가진화 | 모래날림 | 100 | 164 | 150 | 95 | 120 | 71 | 700 | |||
| 나무킹 | 기본 | 심록 | 곡예 | 70 | 85 | 65 | 105 | 85 | 120 | 530 | |
| 메가진화 | 피뢰침 | 70 | 110 | 75 | 145 | 85 | 145 | 630 | |||
| 번치코 | 기본 | 맹화 | 가속 | 80 | 120 | 70 | 110 | 70 | 80 | 530 | |
| 메가진화 | 가속 | 80 | 160 | 80 | 130 | 80 | 100 | 630 | |||
| 대짱이 | 기본 | 급류 | 습기 | 100 | 110 | 90 | 85 | 90 | 60 | 535 | |
| 메가진화 | 쓱쓱 | 100 | 150 | 110 | 95 | 110 | 70 | 635 | |||
| 가디안 | 기본 | 싱크로 | 트레이스 | 텔레파시 | 68 | 65 | 65 | 125 | 115 | 80 | 518 |
| 메가진화 | 페어리스킨 | 68 | 85 | 65 | 165 | 135 | 100 | 618 | |||
| 깜까미 | 기본 | 날카로운눈 | 시간벌기 | 짓궂은마음 | 50 | 75 | 75 | 65 | 65 | 50 | 380 |
| 메가진화 | 매직미러 | 50 | 85 | 125 | 85 | 115 | 20 | 480 | |||
| 입치트 | 기본 | 괴력집게 | 위협 | 우격다짐 | 50 | 85 | 85 | 55 | 55 | 50 | 380 |
| 메가진화 | 천하장사 | 50 | 105 | 125 | 55 | 95 | 50 | 480 | |||
| 보스로라 | 기본 | 옹골참 | 돌머리 | 헤비메탈 | 70 | 110 | 180 | 60 | 60 | 50 | 530 |
| 메가진화 | 필터 | 70 | 140 | 230 | 60 | 80 | 50 | 630 | |||
| 요가램 | 기본 | 순수한힘 | 텔레파시 | 60 | 60 | 75 | 60 | 75 | 80 | 410 | |
| 메가진화 | 순수한힘 | 60 | 100 | 85 | 80 | 85 | 100 | 510 | |||
| 썬더볼트 | 기본 | 정전기 | 피뢰침 | 마이너스 | 70 | 75 | 60 | 105 | 60 | 105 | 475 |
| 메가진화 | 위협 | 70 | 75 | 80 | 135 | 80 | 135 | 575 | |||
| 샤크니아 | 기본 | 까칠한피부 | 가속 | 70 | 120 | 40 | 95 | 40 | 95 | 460 | |
| 메가진화 | 옹골찬턱 | 70 | 140 | 70 | 110 | 65 | 105 | 560 | |||
| 폭타 | 기본 | 마그마의무장 | 하드록 | 분노의경혈 | 70 | 100 | 70 | 105 | 75 | 40 | 460 |
| 메가진화 | 우격다짐 | 70 | 120 | 100 | 145 | 105 | 20 | 560 | |||
| 파비코리 | 기본 | 자연회복 | 날씨부정 | 75 | 70 | 90 | 70 | 105 | 80 | 490 | |
| 메가진화 | 페어리스킨 | 75 | 110 | 110 | 110 | 105 | 80 | 590 | |||
| 다크펫 | 기본 | 불면 | 통찰 | 저주받은바디 | 64 | 115 | 65 | 83 | 63 | 65 | 455 |
| 메가진화 | 짓궂은마음 | 64 | 165 | 75 | 93 | 83 | 75 | 555 | |||
| 앱솔 | 기본 | 프레셔 | 대운 | 정의의마음 | 65 | 130 | 60 | 75 | 60 | 75 | 465 |
| 메가진화 | 매직미러 | 65 | 150 | 60 | 115 | 60 | 115 | 565 | |||
| 얼음귀신 | 기본 | 정신력 | 아이스바디 | 변덕쟁이 | 80 | 80 | 80 | 80 | 80 | 80 | 480 |
| 메가진화 | 프리즈스킨 | 80 | 120 | 80 | 120 | 80 | 100 | 580 | |||
| 보만다 | 기본 | 위협 | 자기과신 | 95 | 135 | 80 | 110 | 80 | 100 | 600 | |
| 메가진화 | 스카이스킨 | 95 | 145 | 130 | 120 | 90 | 120 | 700 | |||
| 메타그로스 | 기본 | 클리어바디 | 라이트메탈 | 80 | 135 | 130 | 95 | 90 | 70 | 600 | |
| 메가진화 | 단단한발톱 | 80 | 145 | 150 | 105 | 110 | 110 | 700 | |||
| 라티아스 | 기본 | 부유 | 80 | 80 | 90 | 110 | 130 | 110 | 600 | ||
| 메가진화 | 80 | 100 | 120 | 140 | 150 | 110 | 700 | ||||
| 라티오스 | 기본 | 부유 | 80 | 90 | 80 | 130 | 110 | 110 | 600 | ||
| 메가진화 | 80 | 130 | 100 | 160 | 120 | 110 | 700 | ||||
| 가이오가 | 기본 | 잔비 | 100 | 100 | 90 | 150 | 140 | 90 | 670 | ||
| 원시회귀 | 시작의바다 | 100 | 150 | 90 | 180 | 160 | 90 | 770 | |||
| 그란돈 | 기본 | 가뭄 | 100 | 150 | 140 | 100 | 90 | 90 | 670 | ||
| 원시회귀 | 끝의대지 | 100 | 180 | 160 | 150 | 90 | 90 | 770 | |||
| 레쿠쟈 | 기본 | 에어록 | 105 | 150 | 90 | 150 | 90 | 95 | 680 | ||
| 메가진화 | 델타스트림 | 105 | 180 | 100 | 180 | 100 | 115 | 780 | |||
| 이어롭 | 기본 | 헤롱헤롱바디 | 서투름 | 유연 | 65 | 76 | 84 | 54 | 96 | 105 | 480 |
| 메가진화 | 배짱 | 65 | 136 | 94 | 54 | 96 | 135 | 580 | |||
| 한카리아스 | 기본 | 모래숨기 | 까칠한피부 | 108 | 130 | 95 | 80 | 85 | 102 | 600 | |
| 메가진화 | 모래의힘 | 108 | 170 | 115 | 120 | 95 | 92 | 700 | |||
| 루카리오 | 기본 | 불굴의마음 | 정신력 | 정의의마음 | 70 | 110 | 70 | 115 | 70 | 90 | 525 |
| 메가진화 | 적응력 | 70 | 145 | 88 | 140 | 70 | 112 | 625 | |||
| 눈설왕 | 기본 | 눈퍼뜨리기 | 방음 | 90 | 92 | 75 | 92 | 85 | 60 | 494 | |
| 메가진화 | 눈퍼뜨리기 | 90 | 132 | 105 | 132 | 105 | 30 | 594 | |||
| 엘레이드 | 기본 | 불굴의마음 | 예리함 | 정의의마음 | 68 | 125 | 65 | 65 | 115 | 80 | 518 |
| 메가진화 | ★ 예리함 | 68 | 165 | 95 | 65 | 115 | 110 | 618 | |||
| 디아루가 | 기본 | 프레셔 | 텔레파시 | 100 | 120 | 120 | 150 | 100 | 90 | 680 | |
| 오리진폼 | 100 | 100 | 120 | 150 | 120 | 90 | 680 | ||||
| 펄기아 | 기본 | 프레셔 | 텔레파시 | 90 | 120 | 100 | 150 | 120 | 100 | 680 | |
| 오리진폼 | 90 | 100 | 100 | 150 | 120 | 120 | 680 | ||||
| 다부니 | 기본 | 치유의마음 | 재생력 | 서투름 | 103 | 60 | 86 | 60 | 86 | 50 | 445 |
| 메가진화 | 치유의마음 | 103 | 60 | 126 | 80 | 126 | 50 | 545 | |||
| 더스트나 | 기본 | 악취 | 깨어진갑옷 | 유폭 | 80 | 95 | 82 | 60 | 82 | 75 | 474 |
| 거다이맥스[148] | 독치장 | 135 | 125 | 102 | 57 | 102 | 53 | 574 | |||
| 개굴닌자 | 기본 | 급류 | 변환자재 | 72 | 95 | 67 | 103 | 71 | 122 | 530 | |
| 유대변화 | 유대변화 | 유대변화 | 72 | 95 | 67 | 103 | 71 | 122 | 530 | ||
| 지우개굴닌자 | 72 | 145 | 67 | 153 | 71 | 132 | 640 | ||||
| 디안시 | 기본 | 클리어바디 | 50 | 100 | 150 | 100 | 150 | 50 | 600 | ||
| 메가진화 | 매직미러 | 50 | 160 | 110 | 160 | 110 | 110 | 700 | |||
| 네크로즈마 | 기본 | 프리즘아머 | 97 | 107 | 101 | 127 | 89 | 79 | 600 | ||
| 황혼의 갈기 | 97 | 157 | 127 | 113 | 109 | 77 | 680 | ||||
| 새벽의 날개 | 97 | 113 | 109 | 157 | 127 | 77 | 680 | ||||
| 울트라네크로즈마 | 브레인포스 | 97 | 167 | 97 | 167 | 97 | 129 | 754 | |||
| 멜메탈 | 기본 | 철주먹 | 135 | 143 | 143 | 80 | 65 | 34 | 600 | ||
| 거다이맥스 | 175 | 165 | 155 | 85 | 75 | 45 | 700 | ||||
| 고릴타 | 기본 | 심록 | 그래스메이커 | 100 | 125 | 90 | 60 | 70 | 85 | 530 | |
| 거다이맥스 | 그래스메이커 | 125 | 150 | 105 | 85 | 85 | 80 | 630 | |||
| 에이스번 | 기본 | 맹화 | 리베로 | 80 | 116 | 75 | 65 | 75 | 119 | 530 | |
| 거다이맥스 | 리베로 | 100 | 146 | 80 | 90 | 80 | 134 | 630 | |||
| 인텔리레온 | 기본 | 급류 | 스나이퍼 | 70 | 85 | 65 | 125 | 65 | 120 | 530 | |
| 거다이맥스 | 스나이퍼 | 95 | 97 | 77 | 147 | 77 | 137 | 630 | |||
| 아머까오 | 기본 | 프레셔 | 긴장감 | 미러아머 | 98 | 87 | 105 | 53 | 85 | 67 | 495 |
| 거다이맥스 | 미러아머 | 128 | 102 | 140 | 53 | 95 | 77 | 595 | |||
| 이올브 | 기본 | 벌레의알림 | 통찰 | 텔레파시 | 60 | 45 | 110 | 80 | 120 | 90 | 505 |
| 거다이맥스 | 트레이스 | 90 | 45 | 130 | 110 | 140 | 90 | 605 | |||
| 갈가부기 | 기본 | 옹골찬턱 | 조가비갑옷 | 쓱쓱 | 90 | 115 | 90 | 48 | 68 | 74 | 485 |
| 거다이맥스 | 옹골찬턱 | 115 | 145 | 115 | 43 | 83 | 84 | 585 | |||
| 석탄산 | 기본 | 증기기관 | 불꽃몸 | 타오르는불꽃 | 110 | 80 | 120 | 80 | 90 | 30 | 510 |
| 거다이맥스 | 증기기관 | 140 | 95 | 130 | 95 | 110 | 40 | 610 | |||
| 애프룡 | 기본 | 숙성 | 먹보 | 의욕 | 70 | 110 | 80 | 95 | 60 | 70 | 485 |
| 거다이맥스 | 의욕 | 90 | 130 | 75 | 85 | 80 | 100 | 585 | |||
| 단지래플 | 기본 | 숙성 | 먹보 | 두꺼운지방 | 110 | 85 | 80 | 100 | 80 | 30 | 485 |
| 거다이맥스 | 두꺼운지방 | 130 | 75 | 115 | 125 | 115 | 25 | 585 | |||
| 사다이사 | 기본 | 모래뿜기 | 탈피 | 모래숨기 | 72 | 107 | 125 | 65 | 70 | 71 | 510 |
| 거다이맥스 | 모래뿜기 | 117 | 137 | 140 | 55 | 80 | 81 | 610 | |||
| 스트린더 | 하이한 모습 | 펑크록 | 플러스 | 테크니션 | 75 | 98 | 70 | 114 | 70 | 75 | 502 |
| 로우한 모습 | 마이너스 | 75 | 98 | 70 | 114 | 70 | 75 | 502 | |||
| 거다이맥스 하이한 모습 | 펑크록 | 114 | 98 | 82 | 144 | 82 | 45 | 602 | |||
| 거다이맥스 로우한 모습 | 펑크록 | 114 | 98 | 82 | 144 | 82 | 45 | 602 | |||
| 다태우지네 | 기본 | 타오르는불꽃 | 하얀연기 | 불꽃몸 | 100 | 115 | 65 | 90 | 90 | 65 | 525 |
| 거다이맥스 | 타오르는불꽃 | 140 | 145 | 75 | 90 | 100 | 75 | 625 | |||
| 브리무음 | 기본 | 치유의마음 | 위험예지 | 매직미러 | 57 | 90 | 95 | 136 | 103 | 29 | 510 |
| 거다이맥스 | 매직미러 | 97 | 90 | 105 | 146 | 122 | 50 | 610 | |||
| 오롱털 | 기본 | 짓궂은마음 | 통찰 | 나쁜손버릇 | 95 | 120 | 65 | 95 | 75 | 60 | 510 |
| 거다이맥스 | 짓궂은마음 | 135 | 138 | 77 | 110 | 85 | 65 | 610 | |||
| 마휘핑 | 기본 | 스위트베일 | 아로마베일 | 65 | 60 | 75 | 110 | 121 | 64 | 495 | |
| 거다이맥스 | 미스트메이커 | 135 | 60 | 75 | 130 | 131 | 64 | 595 | |||
| 대왕끼리동 | 기본 | 우격다짐 | 헤비메탈 | 122 | 130 | 69 | 80 | 69 | 30 | 500 | |
| 거다이맥스[149] | 틀깨기 | 167 | 155 | 89 | 80 | 89 | 20 | 600 | |||
| 두랄루돈 | 기본 | 라이트메탈 | 헤비메탈 | 굳건한신념 | 70 | 95 | 115 | 120 | 50 | 85 | 535 |
| 거다이맥스 | 피뢰침 | 100 | 105 | 119 | 166 | 57 | 88 | 635 | |||
| 무한다이노 | 기본 | 프레셔 | 140 | 85 | 95 | 145 | 95 | 130 | 690 | ||
| 무한다이맥스 | 255 | 115 | 250 | 125 | 250 | 130 | 1125 | ||||
| 우라오스 | 기본 | 보이지않는주먹 | 100 | 130 | 100 | 63 | 60 | 97 | 550 | ||
| 거다이맥스 | 125 | 150 | 115 | 73 | 117 | 70 | 650 | ||||
2.2.7. 알
포켓로그에는 본가 게임과는 달리 맵이 없기 때문에, 교배로 알을 얻을 수는 없다. 그 대신 여러 경로로 얻은 알 교환 바우처(voucher)를 알 뽑기(Egg Gacha)에 사용하여 알을 얻을 수 있다. 한마디로 가챠권을 모아 가챠하는 것.알에서 부화한 포켓몬은 랜덤한 '알 기술' 하나가 해금된다. 알을 뽑는 주된 이유 중 하나이며, 알 기술에 대해선 스타팅 포켓몬 항목 참조. 부화할 때 알 기술 4개 중 하나가 골라지고 잠겨있는 기술이었으면 해금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미 해금된 기술이 골라졌다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패치로 대량의 알을 한번에 깔 경우 스킵하고 요약해서 볼 수 있게 되었는데, 이 때 스타팅에 처음 등록된 포켓몬은 하단에 몬스터 볼 표시, 알 기술을 새로 해금한 포켓몬은 왼쪽에 동그라미 모양 표시가 작게 나타나 있으며 커서를 댈 경우 상태창에 (+)로 추가된 기술 옆에 표시되어 구별하기 쉽다.
알에서 나온 포켓몬은 개체치가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알의 종류는 총 6개가 있으며 알을 얻은 뒤 게임을 하면 특정 웨이브 수 이후 자동으로 부화한다.
- 일반(Common): 1~3 코스트 포켓몬이 10웨이브 후 부화.
- 희귀(Rare): 4~5 코스트 포켓몬이 25웨이브 후 부화.
- 에픽(Epic): 6~7 코스트 포켓몬이 50웨이브 후 부화. 주로 준전설이나 환상의 포켓몬이 나온다.[150]
- 전설(Legendary): 8~10 코스트 포켓몬이 100웨이브 후 부화. 초전설 포켓몬이 나온다.[151]
- 확정 전설(Legendary Gacha Target): 100웨이브 후 뽑기에 표시되었던 전설의 포켓몬이 나온다. 인게임상에서는 일반 레전더리 알과 구별이 불가능하다.
- 마나피(Manaphy): 50웨이브 후 부화하며, 1/8 확률로 마나피가 태어나고, 7/8 확률로 피오네가 태어난다.
알을 선택시 나오는 메시지는 남은 웨이브를 대략적으로 보여주며, 그 관계는 다음과 같다.
| <rowcolor=#F9C400> 메시지 | 부화까지 남은 웨이브 |
| 안에서 소리가 들려온다! 이제 곧 태어날 것 같아! | 5웨이브 이하 |
| 가끔 움직이고 있는 것 같다. 태어나기까지 이제 조금 남은 건가? | 6웨이브 이상 15웨이브 이하 |
| 무엇이 태어날까? 태어나기까지 아직 시간이 걸릴 것 같다. | 16웨이브 이상 50웨이브 이하 |
| 이 알은 태어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 같다. | 51 웨이브 이상 |
2.2.7.1. 알 뽑기
- 기술 업! 뽑기(Move UP! gacha)
부화한 포켓몬이 희귀 알 기술(알 기술에서 4번째에 배정된 기술)을 배울 가능성이 높다. 알 기술에 대해선 스타팅 포켓몬 항목 참조.
아래 두 뽑기에 비해 중요도가 조금 묻히는 경향이 있기는 하나, 이로치 뽑기가 생각보다 효율이 좋지 않고 클래식 및 챌린지 모드 클리어를 목적으로 한다면 각종 알 기술이 더 중요해서 헤비 유저들은 전설을 어느 정도 뽑았다면 이 뽑기를 추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어차피 이로치는 도주런으로 수급할 수 있기 때문. 무엇보다, 원하는 포켓몬의 기술을 뽑는 것이 너무 힘든 게 단점이다. 레어 알 기술 아무거나 걸려라! 식이라면 상관 없지만, 원하는 포켓몬의 기술을 뽑고 싶다면 사탕작이 훨씬 효율적인 편.
- 전설 업! 뽑기(Legendary UP! gacha)
흔히 픽업 가챠라고 말하는 그것. 1/256 확률로 뽑기에 표시된 픽업 전설의 포켓몬이 부화하는 알을 얻을 수 있다. 픽업 포켓몬은 한국 시간 오전 9시에 바뀐다. 참고로 오프라인 모드에서 기기의 날짜를 조작하면 다른 날짜의 픽업을 볼 수 있다. 막 클래식을 클리어하고 아무 전설 포켓몬도 없는 초보 구간에서는 무한 모드 및 도주런의 기반이 되어줄 초전설을 뽑기 위해 주로 이 뽑기에 바우처를 최우선으로 투자하는 것이 추천된다. 같은 초전설이라도 무한 모드에서는 성능 평가가 갈리다보니 원하는 초전설 포켓몬을 정해두고 픽업 날짜가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한 방법.
다만 결국 레전더리 알이 나왔을 때 해당 전설 포켓몬의 알이 다른 전설보다 더 높은 확률로 뜨는 것이기 때문에, 애초에 레전더리 알을 뽑지 못한다면 다른 알들은 전부 무보정 알이라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어느 정도 로스터가 마련된 시점에서는 특정 전설의 알 기술 및 레어 알 기술을 노리기 위해 이 뽑기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토중몬 진화 + 유전자 쐐기를 이용해 같은 전설 포켓몬을 2마리로 복제하고 무한 모드를 도는, 이른바 사탕작이 이로치까지 같이 노려볼 수 있어 없는 초전설을 뽑을 게 아니라면 중요도가 떨어진다.
- 특별색 업! 뽑기(Shiny UP! gacha)
1/64 확률로 색이 다른 포켓몬이 부화하는 알을 얻을 수 있다. 다른 뽑기의 알에서는 1/128 확률로 얻을 수 있다. 이로치는 일반 이로치 - 희귀 이로치 - 에픽 이로치가 존재하며 기절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 각각 행운을 1 - 2 - 3 올려주며 행운이 높을수록 상점에 나온 아이템의 티어가 올라갈 확률이 높아진다.
그냥 멋들어질 뿐인 본가와는 다르게 게임에 영향을 주는, 특히 상점을 볼일이 많은 무한 모드에서 큰 영향을 준다. 다만 200층으로 끝나는 클래식이나 챌린지 모드에서는 상대적으로 효용성이 덜한 편.
커먼 등급의 알들은 다른 알들보다 코스트가 낮기에 이로치 포켓몬이 많아야 하는 행운 시스템 특성상 해당 뽑기에서는 오히려 레어보다 환영받으며 만약 베베솔트, 지그제구리, 고오스와 같이 무한모드에서 주로 쓰이는 포켓몬이 이로치로 나와준다면 게임 난이도도 쉬워질 뿐더러 원래 이로치 포켓몬을 넣던 자리에 유전자 쐐기용 포켓몬을 넣어 안정성을 높여주거나 그대로 다른 이로치 포켓몬을 넣어 행운 등급을 기하급수적으로 높여줄 수도 있기에 애용되지만, 원하는 포켓몬의 이로치를 기대하는 것이 하늘에 별따기인건 여기서도 마찬가지고, 수천에 달하는 많은 조우 수 + 빛나는 부적 4스택으로 이로치 확률을 최대 1/32까지 올릴 수 있는 도주런이 워낙 이로치(및 숨겨진 특성) 파밍 효율이 좋다보니 오로지 알까기로만 확보할 수 있는 알 기술 확률을 조금이라도 올릴 수 있는 기술 업 뽑기에 비해 선호도가 떨어지는 편이다.
다만 초보자에게 추천되지 않을 뿐, 일부 포켓몬은 알까기로만 획득할 수 있고[152], 필드에서 나오는 일반 포켓몬이라도 몇몇 포켓몬들은 다른 포켓몬 수십 번 볼 동안 몇 번 못 볼 정도로 출현률 편차가 굉장히 심하기 때문에 극한의 이로치 파밍에 관심 있는 유저들의 선택지로 애용되고 있다.[153] 또한 추후 에픽 이로치, 이른바 빨로치 포켓몬이 더 많이 구현된다면[154] 선호도가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155]
2.2.7.1.1. 확률과 천장
알 레어도에 대한 뽑기 확률은 다음과 같다.| <rowcolor=#F9C400> 희귀도 | 획득 확률 | 획득 확률 (전설 UP! 가챠) |
| 일반 | 203/256 - (79.29%) | 202/256 - (79.29%) |
| 레어 | 44/256 - (17.18%) | |
| 에픽 | 7/256 - (2.73%) | |
| 레전더리 | 1/256 - (0.39%) | |
| 레전더리 UP! 가챠 타겟 | - | 1/256 - (0.39%) |
| 마나피 | 1/323 - (0.30%) | |
2024년 6월 8일 업데이트를 기점으로 알 뽑기에 천장 시스템이 구현되었다. 알 등급과 같은 등급 내 신규 포켓몬의 2가지 종류의 천장이 존재한다. 공식 위키에 기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rowcolor=#F9C400> 등급 | 천장 카운터 (Pity Count) | 신규 포켓몬 천장 |
| 레어 | 9 | 10개 |
| 에픽 | 59 | |
| 레전더리 | 412 |
| <rowcolor=#F9C400> 횟수[156] | 결과 | 천장 카운터 (Pity Count) | 중복 카운터 (Dupe Pity Count) | 비고 |
| 1~127 | 레전더리 없음 | 254 | 0 | ※천장 카운터는 1회당 2씩 증가 |
| 128 | 레전더리 픽업 아님 혹은 이미 소유 Non Banner, Already Owned | 0 | 1 | 천장 카운터는 리셋, 중복 카운터는 1 증가 |
| 129~336 | 레전더리 없음 | 412 | 1 | 206번 연속으로 알이 또 커먼 등급이 뽑힘. 천장 카운터가 412가 되어 다음 커먼 등급은 레전더리로 변경 |
| 337 | 픽업 레전더리 아니나 다를까 중복 Always Non-Banner, Dupe | 0 | 2 | 천장을 찍었지만, 이미 소유한 포켓몬. 중복 카운터 1 증가, 천장 카운터 리셋 |
| 338~538 | 레전더리 없음 | 400 | 2 | |
| 539 | 레전더리 픽업 알 첫 획득 Banner, First Time | 0 | 2 | 첫 레전더리 픽업 획득. 다만 중복 카운터는 천장과 무관하므로 리셋되지 않는다. |
| 539~639 | 레전더리 없음 | 200 | 2 | |
| 640 | 픽업 레전더리 픽업 알 획득, 중복 Banner, Dupe | 0 | 2 | 중복 카운터는 천장과 무관하므로 리셋되지 않는다. |
| … | 몇몇 픽뚫 레전더리 | 0 | 9 | 수천번을 뽑아, 드디어 중복 카운터가 9가 됨 다음 중복 카운터가 10이 될 타이밍이 다가온다 |
| 4763 | 천장 레전더리 픽뚫, 중복 천장, NEW! Non-Banner, Dupe Pity, New Pokemon! | … | 0 | 미소유 레전더리 알 확정 출현 |
그 외에도, 알 배출 시스템을 뜯어보면 각 코스트별로 배출 가중치가 존재하여 1코스트는 가중치 ×2, 2코스트는 가중치 ×1.5, 4/6/8 코스트는 가중치 ×1.75, 3/5/7/9코스트는 가중치 ×1로 배출되며, 리전폼에는 추가 가중치가 있어서 알로라/가라르/팔데아 리전폼은 코스트 가중치에 추가로 ×0.5, 히스이 리전폼은 추가 가중치가 무려 ×0.125로 배출 확률이 바닥을 친다.
2.2.7.2. 알 바우처
라운드 클리어 후 아이템 선택지에 등장한 것을 선택하거나[157], 게임의 특정 구간을 클리어하면 '알 바우처'를 획득할 수 있다. 알 바우처는 4가지 종류가 있다.- 알 바우처 일반(Regular Egg Voucher): 알 1개를 뽑는 바우처. 10개를 한번에 사용하면 희귀 알 하나가 확정으로 나온다.
획득처: 클래식 모드에서 이미 승리한 적이 있는 체육관 관장, 악의 조직 보스, 사천왕, 챔피언에게 승리. / 아이템 상점의 '슈퍼' 등급에서 등장. (리롤 시 미등장)
- 알 바우처 플러스(Egg Voucher Plus): 알 5개를 뽑는 바우처.
획득처: 클래식 모드 클리어 기록이 없는 포켓몬으로 클래식 모드 클리어. (기록 없는 포켓몬 당 하나씩 획득) / 클래식 모드에서 승리한 적이 없는 체육관 관장, 사천왕, 또는 악의 조직 보스에게 승리. / 엔드리스 모드에서 50의 배수 라운드를 클리어. (250의 배수 라운드는 제외) / 아이템 상점의 '로그' 등급에서 등장.
- 알 바우처 프리미엄(Egg Voucher Premium): 알 10개를 뽑는 바우처. 희귀 알 하나가 확정으로 나온다.
획득처: 클래식 모드에서 승리한 적이 없는 챔피언에게 승리. / 클래식 모드(2번째 이후)나 데일리 런(하루에 한 번만) 클리어. / 엔드리스 모드에서 250의 배수 라운드를 클리어. / 아이템 상점의 '마스터' 등급에서 등장. (엔드리스 모드에서 미등장)
- 알 바우처 골드(Egg Voucher Gold): 알 25개를 뽑는 바우처. 에픽 알 하나가 확정으로 나온다.
획득처: 클래식 모드를 최초로 클리어. 이 방법으로밖에 얻을 수 없다.
2.3. 바이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okéRogue/바이옴#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okéRogue/바이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4. 아이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okéRogue/아이템#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okéRogue/아이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 그외 본가와의 차이점
기본적으로 거의 모든 본가의 대전 시스템을 그대로 따르고 있지만, 일부 시스템이 포켓로그에 맞게 성능이 조정되는 등 차이점도 존재한다.- 대부분의 나무열매를 먹는 타이밍이 본가처럼 먹는 조건을 만족하자마자가 아니라 턴 종료 시 조건을 만족해야 먹는 걸로 나온다. 예를 들어 상대 수면기에 의해 잠들 경우, 본가는 잠들자마자 리샘열매를 먹어 잠에서 깬 후 기술을 사용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잠든 채로 턴을 날려먹은 후 리샘열매로 잠에서 깬다. 따라서 수면기를 선공으로 전부 명중시킬 수만 있다면 일방적으로 상대의 리샘열매를 갈아버리고 기점을 만들 수 있다.
- 메가진화가 아닌 원시회귀를 하는 그란돈, 가이오가 역시 메가링을 먹은 이후부터 주홍구슬, 쪽빛구슬이 등장한다. 또한 레쿠쟈는 화룡점정과 관계없이 다른 메가진화 포켓몬들처럼 오리지널 도구인 레쿠쟈나이트를 얻어야 메가진화할 수 있다.
- 위의 배틀기믹 소항목에서도 서술했듯, 메가진화와 거다이맥스는 배틀이 끝나고도 유지되며,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포켓몬 상태창에서 임의로 해제해야 한다.
- 변환자재, 리베로는 초창기에는 9세대에서 너프된 이후의 효과였으나, 이후 패치로 8세대 이전의 사양으로 롤백되었다. 즉, 스킬을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의 타입이 바뀐다.
- 포켓몬스터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의 파트너 피카츄, 파트너 이브이가 기존 개체와 별개의 폼으로 취급되어 존재하며, 파트너 기술 역시 다소 조정을 거쳐 추가되어 있다. 6V 고정은 아니지만, 파트너 개체도 라이츄 및 이브이즈로 진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158] 사실상 상위호환 개체라고 볼 수 있다. 6세대의 옷갈아입기 피카츄도 별개의 폼으로 존재하며, 스펙은 파트너 피카츄와 동일. 파트너 피카츄, 파트너 이브이도 거다이맥스가 가능한데, 종족치 총합이 +100 추가로 상승하여 일반 피카츄/이브이보다 210 높다. 단, 체력은 많이 상승하지만 화력은 그렇게 상승하지 않으며 피카츄의 경우 120이라는 고속이 90이라는 준속으로 떨어진다. 패치 이후 거다이맥스시에는 진화의휘석도 발동되지 않으니 주의. 하지만 이브이의 경우 화력과 스피드 내구 모두 상승하여 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 얼루기의 얼룩무늬의 알고리즘이 구현이 되어 있지 않아, 본가와 달리 얼루기는 모두 얼룩이 없는 민무늬 얼굴만 나온다.
- 기억버섯으로 기술 떠올리기가 7세대 이전에 가까웠다.
우선 일부 진화 전 자력기를 떠올리지 못한다. 대표적인 예로 버섯모의 버섯포자. 본가에서는 8세대부터 진화 후에도 진화 전의 자력기를 레벨1 자력기에 추가해 버섯모도 브다샤펄에서 떠올릴 수 있었고, 9세대에서 잠시 배울 수 없어졌다 다시 남청의 원반에서 다시 배울 수 있게 수정되었으나, 포켓로그에서는 반영되지 않았다. 추후 2024년 7월 28일 패치로 인해 기술 떠올리기가 9세대 기준으로 수정되어 버섯모가 버섯포자를 배울 수 있게 되었다. 추가로 알 기술이나 기술머신으로 배운 기술들도 9세대 시점에서는 기술 떠올리기로 다시 배울 수 있어졌으나 여기서는 잊어버리면 다시 떠올릴 수 없다. 다만 8월 업데이트를 통해 알 기술 자체는 다시 떠올릴 수 있게 변경되었다. - 엘레이드는 메가진화 시 원래 특성과 불문하게 예리함으로 바뀌었었다. 패시브 분화 패치 이후 메가엘레이드로 진화하면 패시브가 브레인포스에서 예리함으로 바뀌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 자시안의 거수참, 자마젠타의 거수탄은 아이언헤드가 변화하는 방식이 아닌, 폼 체인지 시 별도의 기술로 습득하는 방식이다. 즉 검왕/방패왕 폼에서 아이언헤드를 쓰거나, 역전의 용사 폼에서 거수참/거수탄을 쓰는 것이 가능하며, 아예 아이언헤드와 거수참/거수탄이 공존할 수도 있다. 버드렉스도 이와 비슷하게 폼 체인지를 하더라도 스킬을 망각하지 않으므로 블리자드랜스와 아스트랄비트가 공존이 가능하다.
- 애크러뱃이 소지한 아이템이 없을 때 위력이 2배로 올라가 110이 되는 건 본가와 동일하지만, 소지한 아이템이 있다고 바로 위력이 55로 내려가는 것은 아니다. 포켓로그는 기술 강화 아이템이나 열매등을 복수 소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구 사용 불가에 대한 페널티가 강한 편이므로, 애크러뱃의 효과도 다소 조정한 것. 포켓로그의 애크러뱃의 공격 배율 공식은 [math(\max{\left(1, 2-0.2t\right)})]로 정의되며, [math(t)]는 이동 가능한 아이템의 개수이다. 즉 소지한 아이템이 하나 추가될 때마다 위력이 11씩 감소하여, 최대 5개에 위력도 최소치인 55가 되는 매커니즘이다.[161] 이로 인해 다른 아이템이 하나도 없고 예리한부리만 소지한 경우, 아예 도구가 없는 것 보다 예리한부리의 개수가 1~4개일 때가 애크러뱃의 위력이 더 높다. 위력이 최대치가 되는 것은 2~3개이며, 이 때의 위력은 77~88이므로 더블윙, 회전부리 정도의 비행 타입 물리기로 활용할 수 있다.[162] 물론 예리한부리가 하이퍼등급의 아이템인 만큼, 이걸 2~3개씩 쌓아놓을 무렵이면 어지간히 운이 좋은 경우가 아닌 이상 다른 고위력 비행기술을 사용할 일이 더 많을 가능성이 크다. 참고로, 예리한부리가 7개 이상(+140% = ×2.4)이면 이제부터는 순수하게 가지고 있는 예리한부리의 보정률을 받는 게 위력이 더 높아진다.
- 본가에서 4세대 이후부터 구멍파기, 공중날기, 다이빙, 뛰어오르기, 고스트다이브 등 필드에서 사라지는 기술을 사용하면 '포켓몬이 보이지 않아서 목표를 정할 수 없다' 는 문구가 뜨며 아예 포획이 불가능한 것과 달리 포켓로그에서는 볼을 던질 수 있으며 포획도 정상적으로 가능하다.
- 특성이 하나뿐인 게을킹게으름, 아케오스무기력, 레지기가스슬로스타트, 갑주무사위기회피에게 임의로 숨겨진 특성이 추가되었는데[163], 이들의 공통점은 자체 스펙은 높지만 기존 특성이 심각한 페널티 취급받는 포켓몬들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포켓로그 오리지널의 숨겨진 특성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사실상 기존 특성을 지우고 설계상의 페널티를 상당히 완화하는[164] 역할을 수행하며, 그 스펙을 온전히 활용하여 사기적인 성능을 보여줄 수 있다.
- 픽업 특성의 경우 배틀이 끝날 때마다 야생/상대 포켓몬이 들고 있던 아이템 하나를 무작위로 가져오도록 바뀌었다. 꿀모으기 특성의 경우는 단순히 배틀이 끝나면 돈을 주는 특성으로 변경. 꿀모으기로 받는 돈은 부적금화의 영향을 받는다.
- 본가의 경우 9세대부터 지우개굴닌자 폼이 삭제되었고 유대변화 특성의 효과도 변경되었지만, 포켓로그에서는 여전히 지우개굴닌자가 존재해 유대변화 특성도 8세대 이전처럼 상대 포켓몬을 하나 쓰러뜨리는데 성공하면 지우개굴닌자로 변신하는 특성 그대로이다. 물수리검 강화는 단순히 3발 이상을 보장하는 것으로 변경.
- HP 시스템이 본가와 다르게 책정되어 있는 관계로, 기절한 포켓몬에게 이상한사탕을 줘도 부활하는 꼼수는 사용할 수 없다.[165]
- 도둑질과 탐내기의 물건 훔치기 효과가 확률제로 변했다.
- 특성 통찰의 효과가 기존의 보유 아이템을 알려주는 것이 아닌 특성을 알려주는 것으로 바뀌었다. 배틀 시작과 동시에 아이템을 파악 가능하므로 있어봤자 쓸모없는 특성이여서 변화를 준 듯. 특성부적 얻고 숨겨진 특성 포켓몬을 찾아다닐때 유용하게 쓰인다.
- 몰드류가 기술머신으로 하이드로펌프를 배운다. 포켓몬스터 실드 맥스 레이드배틀 이벤트 때 나왔던 몰드류가 아주 잠깐 하이드로펌프를 썼던 사건의 패러디. 더불어 알로라 나인테일이 알 기술로 화염방사를 배우는 것도 포켓몬 홈 오류로 자력기가 바뀌던 현상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 루기아의 전용기 에어로블라스트가 바람계열로 분류되었다.
- 무쇠잎새의 전용기 사이코블레이드가 베기 기술로 분류되었다.
파트너 피카츄는 파트너 기술을 전부 자력기로 배우며, 일반적인 피카츄 역시 피카피카썬더를 자력기로 배우고, 라이츄 진화시 파찌파찌액셀[159]을 자력기로 배우는 버프를 받았다.
또한 생생버블등 원작에서 파트너 포켓몬만 사용 가능한 기술 중 일부는 알 기술 등으로 다른 포켓몬들도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삐죽귀 피츄도 별개로 존재하는데, 본가와 달리 진화가 가능하며, 파트너 피카츄로 진화한다. 다만 7세대의 지우의 피카츄는 존재하지 않는다. 참고로 볼트태클은 본가에서의 까다로운 습득 조건 탓인지, 정작 피카츄 계열은 습득할 수 없고[160] 몇몇 포켓몬이 알 기술로만 익힐 수 있다.
2.5.1. 구현되지 않은 기술 및 특성
아직 개발 단계에 있는 게임이기에 일부 기술이나 특성 등은 미구현 상태이다. 이 경우 미구현 상태일 경우 N[166], 일부 구현 상태일 경우 P[167]가 기술 혹은 특성 이름 옆에 붙는다. 미구현 기술/특성은 획득/보유해도 사용/발동이 불가능하고, 일부 구현의 경우는 사용/발동은 가능하지만 일부 효과가 작동하지 않는다. 이들은 대부분 원본보다 좋지 않지만 드물게 페널티가 사라져 역으로 사기적인 성능을 발휘하는 케이스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폭거북스의 전용기 트랩셸은 '물리기 피격시에만 후공으로 발동'이라는 제한이 미구현된 탓에 명중 100, 위력 150의 전체공격 자속기라는 무지막지한 기술이 되었다. 대검돌격도 한때는 기술 사용 직후 상대 기술 필중+위력 2배 패널티가 미구현이라 역린과 달리 위력 120을 노패널티로 난사할 수 있었으나, 이후 패널티가 구현되어 리스크가 생겼다.여담으로 제작진은 미구현 기술/특성과 일부 구현 기술/특성을 최대한 빠르게 없애는 것을 개발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꾸준히 업데이트되고 있다.
2.5.1.1. 미구현 (N)
미구현 기술/특성의 경우 대부분 아이템 관련 변화 기술이다.{{{#!folding [미구현 기술 목록 펼치기/접기]
}}}{{{#!folding [미구현 특성 목록 펼치기/접기]
}}}* 공생
* 서투름
* 서투름
2.5.1.2. 부분 구현 (P)
공격기술의 경우 대미지만 구현되고 기술 효과가 구현이 덜된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7~9세대다.{{{#!folding [부분 구현 기술 목록 펼치기/접기]
* 구르기 - 계속 강제로 사용되지 않음, 데미지 증가 적용되지 않음
* 드래곤애로 - 더블배틀에서도 단일기로서 작동함
* 따라가때리기 - 부가효과(교체 시 위력 증가, 교체시 우선도 증가) 전부 미구현
* 미래예지 - 직접 사용되지 않았을 때 기술이 바로 명중, 더블 배틀 시 타겟 선택 불가
* 분노 - 공격 랭크가 오르지 않음
* 셸암즈 - 물리 공격시에도 비접촉 기술로 판정됨
* 소란피기 - 계속 강제로 사용되지 않음, 필드의 포켓몬들이 잚들 수 있음
* 아이스볼 - 계속 강제로 사용되지 않음, 데미지 증가 적용되지 않음
* 테라클러스터 - 기술의 범주(물리/특수)가 변경될때 특성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음
* 텍스처2 - 다른 효과로 인해 기술 타입이 변경된 경우에도 원래 타입에 맞은 것처럼 변화함
* 파멸의소원 - 직접 사용되지 않았을 때 기술이 바로 명중, 더블 배틀 시 타겟 선택 불가
* 프리폴 - 상대방을 무력화하지 않음, 비행 타입 포켓몬에게도 데미지가 들어감
* 드래곤애로 - 더블배틀에서도 단일기로서 작동함
* 따라가때리기 - 부가효과(교체 시 위력 증가, 교체시 우선도 증가) 전부 미구현
* 미래예지 - 직접 사용되지 않았을 때 기술이 바로 명중, 더블 배틀 시 타겟 선택 불가
* 분노 - 공격 랭크가 오르지 않음
* 셸암즈 - 물리 공격시에도 비접촉 기술로 판정됨
* 소란피기 - 계속 강제로 사용되지 않음, 필드의 포켓몬들이 잚들 수 있음
* 아이스볼 - 계속 강제로 사용되지 않음, 데미지 증가 적용되지 않음
* 테라클러스터 - 기술의 범주(물리/특수)가 변경될때 특성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음
* 텍스처2 - 다른 효과로 인해 기술 타입이 변경된 경우에도 원래 타입에 맞은 것처럼 변화함
* 파멸의소원 - 직접 사용되지 않았을 때 기술이 바로 명중, 더블 배틀 시 타겟 선택 불가
* 프리폴 - 상대방을 무력화하지 않음, 비행 타입 포켓몬에게도 데미지가 들어감
}}}
{{{#!folding [부분 구현 특성 목록 펼치기/접기]
}}}* 스위트베일 - 틀깨기 특성 아군이 아군을 잠들게 하지 못함
* 총대장 - 매 웨이브마다 초기화
* 틈새포착 - 흰안개를 무시하지 못함
* 총대장 - 매 웨이브마다 초기화
* 틈새포착 - 흰안개를 무시하지 못함
2.6. 업적
클리어 시 우측 상단에 클리어한 업적이 표시되며, 게임 내 메뉴에서 업적을 확인할 수 있다. 메뉴에서는 추가로 업적을 클리어한 날짜와 업적 포인트가 표시되는데, 업적 포인트가 별 역할을 하지는 않지만 차후 업적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업적 상점이 업데이트될 예정이다.이중 일부 업적은 요구 조건이 높다 보니, 엔드리스 이외의 모드에서는 클리어가 불가능하다.
- 일반 업적: 업적 메뉴에서 업적 클리어 방법이 표시된다.
| 업적 | 조건 | 포인트 | 비고 | |
| | 돈 좀 있나? | 누적 소지금 ₽10,000 달성 | 10pt | |
| | 강타자 | 한 번의 공격만으로 250 대미지[168] | 10pt | |
| | 견습 힐러 | 기술이나 특성, 지닌 도구로 한 번에 250 HP 회복 | 10pt | |
| | 포켓몬 리그 챔피언 | 총 10개의 리본 획득 | 10pt | 클리어 기록이 없는 포켓몬으로 클래식 & 챌린지 모드를 클리어하면 해당 포켓몬에게 리본이 부여된다. |
| | 팀워크 | 한 개 이상의 능력치가 최대 랭크일 때 배턴터치 사용 | 20pt | 배턴 아이템으로 넘겨도 인정된다. |
| | 친밀 맥스 | 최대 친밀도 달성 | 25pt | |
| | 메가변환 | 포켓몬을 메가진화 | 50pt | |
| | 엄청난 것 | 포켓몬을 다이맥스 | 50pt | |
| | 반짝반짝 | 포켓몬을 테라스탈 | 25pt | |
| | 끝없는 융합 | 유전자쐐기로 두 포켓몬을 융합 | 10pt | |
| | 다른 색 | 야생의 색이 다른 포켓몬 발견 | 75pt | |
| | 숨은 잠재력 | 숨겨진 특성을 지닌 포켓몬을 포획 | 75pt | |
| | 진짜배기 증명서 | 최고의 개체값을 지닌 포켓몬 획득 | 100pt | 6V 포켓몬을 야생에서 잡거나 알에서 깔 필요는 없고, 스타팅 포켓몬의 개체치가 6V가 되기만 하면 된다. |
| | 무패 | 클래식 모드 클리어 | 150pt | 미니 블랙홀과 챌린지 모드, 엔드리스 모드가 해금된다. |
| | 우리집 꿈나무 | 최종 진화형이 아닌 포켓몬을 데리고 클래식 모드 클리어 | 175pt | 진화의 휘석이 해금된다. 파트너 버전 피카츄나 이브이로 무난하게 달성 가능하다. 거다이맥스를 해도 달성되므로 실전성도 좋다. |
| | 근본 라이벌 | 1세대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이거 1.5세대죠?[169] | 2세대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Too much water? | 3세대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난천이 진짜 최강인가요?[170] | 4세대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100% 오리지널![171] | 5세대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크루아상 안에 뭐 들었나요? | 6세대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기술적으로는…[172] | 7세대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챔피언 타임! | 8세대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걔, 봐 준 거야 | 9세대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심플한 것이 가장 강한 것 | 노말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태권도 할 줄 알아요[173] | 격투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174] | 비행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관동 지방 최애 타입[175] | 독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전기 안 통해요[176] | 땅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웅골참[177] | 바위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독침붕처럼 쏴라 | 벌레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누굴 부를 꺼야? | 고스트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강철 심장[178] | 강철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불타오르네[179] | 불꽃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물 들어올 때 노 젓기[180] | 물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초록은 동색[181] | 풀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찌릿찌릿[182] | 전기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1세대 최강[183][184] | 에스퍼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얼음땡[185] | 얼음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용용 죽겠지[186] | 드래곤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어둠의 다크[187] | 악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 설마 자시안으로?[188] | 페어리 타입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첫트! | 새 출발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상성 전문가(였던 것)[189] | 거꾸로 배틀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등가교환 | 능력치 역전 챌린지 모드 클리어 | 100pt | ||
- 히든 업적: 업적 메뉴에서 업적 클리어 방법이 표시되지 않으며, 클리어 전까지는 아이콘도 ?로 표시된다.
| {{{#!wiki style="margin: 1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업적 | 조건 | 포인트 | |
| | 부자 | 누적 소지금 ₽100,000 달성 | 25pt | |
| | 백만장자 | 누적 소지금 ₽1,000,000 달성 | 50pt | |
| | 상위 1% | 누적 소지금 ₽10,000,000 달성 | 100pt | |
| | 최강타자 | 한 번의 공격만으로 1,000 대미지 | 25pt | |
| | 때릴 줄 아시는군요! | 한 번의 공격만으로 2,500 대미지 | 50pt | |
| | 원펀맨 | 한 번의 공격만으로 10,000 대미지 | 100pt | |
| | 상금 힐러 | 기술이나 특성, 지닌 도구로 한 번에 1,000 HP 회복 | 25pt | |
| | 클레릭 | 기술이나 특성, 지닌 도구로 한 번에 2,500 HP 회복 | 50pt | |
| | 회복 마스터 | 기술이나 특성, 지닌 도구로 한 번에 10,000 HP 회복 | 100pt | |
| | 잠깐, 여기가 끝이 아니라구! | 포켓몬 Lv100 달성 | 25pt | |
| | 엘리트 | 포켓몬 Lv250 달성 | 50pt | |
| | 더 먼 곳을 향해 | 포켓몬 Lv1000 달성 | 100pt | |
| | 슈퍼 리그 챔피언 | 총 25개의 리본 획득 | 25pt | |
| | 하이퍼 리그 챔피언 | 총 50개의 리본 획득 | 50pt | |
| | 로그 리그 챔피언 | 총 75개의 리본 획득 | 75pt | |
| | 마스터 리그 챔피언 | 총 100개의 리본 획득 | 100pt | |
| | 숨겨진 타입 | 포켓몬을 스텔라 테라스탈 | 25pt | |
| | 도구가 가득한 구멍 | 미니 블랙홀 획득 | 25pt | |
| | 환상 | 환상의 포켓몬 포획 | 50pt | |
| | (준)전설 | 준전설 포켓몬 포획 | 75pt | |
| | 전설 | 전설의 포켓몬 포획 | 75pt | |
| | 찐사랑 | 색이 다른 포켓몬으로만 파티 구성 | 100pt | |
| | 환상의 알 | 알에서 환상의 포켓몬이 부화 | 75pt | |
| | 준전설 알 | 알에서 준전설 포켓몬이 부화 | 100pt | |
| | 전설의 알 | 알에서 전설의 포켓몬이 부화 | 100pt | |
| | 빛나는 알 | 알에서 색이 다른 포켓몬이 부화 | 100pt | |
| 전역로꾸거[190] | 거꾸로 배틀과 능력치 역전 챌린지 모드를 동시에 클리어 | 100pt | ||
| 충격!우주에 브리더 진짜 계심ㄷㄷ[191] | 우주 바이옴에서 포켓몬 브리더에게 승리 [192] | 100pt | ||
3. BGM
BGM의 경우 대부분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의 OST,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의 OST와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의 음악들을 사용하지만, PokéRogue 자체 작곡 오리지널 곡들이 패치를 통해 기존 음악들을 하나하나씩 대체하고 있다.이후 2024년 6월 8일 업데이트로 게임 설정에 Music Preference 옵션이 추가되었는데, Consistent와 Mixed 두가지 중 선택이 가능하다. Consistent는 최대한 닌텐도 DS용 게임에서 가져온 BGM들만 사용하여 게임 그래픽에 걸맞은 퀄리티의 BGM만 흘러나오게 하는 옵션이고, Mixed는 원작 게임의 기종과 상관 없이 최대한 많은 BGM들을 가져와 포켓몬 전투 테마의 원작 고증을 지키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Mixed로 바꿀 시,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의 OST, 포켓몬스터 X·Y의 OST,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의 OST, 포켓몬스터 썬·문과 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의 OST, 포켓몬스터 소드·실드의 OST, 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의 OST,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OST도 게임에 사용된다.
PokéRogue 공식 GitHub 홈페이지 Credits 부분에 원작 게임들의 음악에 참여한 인물들의 이름이 등재되어 있다.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의 경우에는 이치노세 고, 사토 히토미, 카게야마 쇼타의 이름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의 경우에는 이이요시 아라타, 사카모토 히데키, 이토 케이스케, 사이토 켄이치, 마에다 요시히로의 이름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의 경우에는 이토 케이스케, 이이요시 아라타, 이시즈나 아츠히로의 이름이 등재되어 있다.[193]
PokéRogue 오리지널 곡인 대도시와 해저, 우주, 연구소 테마는 Firel의 이름이, 정글 테마는 Lmz의 이름이, 슬럼과 바다 테마는 Andr06의 이름이 등재되어 있다.
{{{#!folding [BGM 리스트 펼치기/접기]
* 모바일의 경우, 표의 가로 크기로 인해 한 화면에 표 전체를 볼 수 없을 가능성이 높으니, 표를 좌우로 드래그를 하거나 가로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추천한다.
* 삽입된 음원의 경우, 렉 방지를 위해 미리 로딩이 되지 않고 '재생' 버튼을 클릭해야만 음원 로딩이 시작되는 방식이니 이 점 유의하자.
* BGM의 정렬 순서는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공식 OST인 슈퍼 뮤직 컬렉션의 BGM 정렬 순서를 최대한 모방한 것으로, 이 정렬 순서는 PokéRogue 공식 순서가 아닌, 본 문서 고유의 정렬 순서이다.[194]
* 모바일의 경우, 표의 가로 크기로 인해 한 화면에 표 전체를 볼 수 없을 가능성이 높으니, 표를 좌우로 드래그를 하거나 가로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추천한다.
* 삽입된 음원의 경우, 렉 방지를 위해 미리 로딩이 되지 않고 '재생' 버튼을 클릭해야만 음원 로딩이 시작되는 방식이니 이 점 유의하자.
* BGM의 정렬 순서는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공식 OST인 슈퍼 뮤직 컬렉션의 BGM 정렬 순서를 최대한 모방한 것으로, 이 정렬 순서는 PokéRogue 공식 순서가 아닌, 본 문서 고유의 정렬 순서이다.[194]
| <rowcolor=#fff>{{{#!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목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tablewidth=300> 음원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tablewidth=240> 원곡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tablewidth=60> 비고 | }}} |
| 타이틀 화면 | 메뉴 테마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포켓몬 선택 | 포켓몬의 세상에 온 걸 환영한다!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전투! 야생 포켓몬 | 전투! 야생 포켓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195] | |||||||||
| 레벨 업! | 레벨 업!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아이템을 손에 넣었다! | 아이템을 손에 넣었다!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반바지 꼬마의 테마 | 시선! 반바지 꼬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짧은 치마의 테마 | 시선! 짧은 치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전투! 트레이너 | 전투! 트레이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196] | |||||||||
| 트레이너에게 승리! | 트레이너에게 승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마을 | 랜덤 던전 테마 3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197] | |||||||||
| 라이벌의 테마 | 체렌의 테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198] | |||||||||
| 전투! 라이벌 1 | 전투! 체렌·벨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199] | |||||||||
| 회복 | 회복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평야 | 하늘의 절정(초원)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쌍둥이의 테마 | 시선! 쌍둥이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사이클링의 테마 | 시선! 사이클링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풀숲 | 사과의 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호수 | 수정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대도시 | PokéRogue 오리지널 곡 Firel - Metropolis | ||||||||||
| 비즈니스맨의 테마 | 시선! 비즈니스맨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예술가의 테마 | 시선! 신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높은 풀숲 | 짙은 안개의 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늪지 | 폐쇄되어진 바다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해변 | 축축한 암반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파라솔 아가씨의 테마 | 시선! 파라솔 아가씨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공사장 | 거대 암석군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슬럼 | PokéRogue 오리지널 곡 Andr06 - Sneaky Snom | ||||||||||
| 빡빡이의 테마 | 시선! 빡빡이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악의 조직 조무래기의 테마 | 시선! 플라스마단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전투! 로켓단 조무래기 | 전투! 로켓단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 [MP] | |||||||||
| 전투! 마그마단·아쿠아단 조무래기 | 전투! 마그마단·아쿠아단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MP] | |||||||||
| 전투! 갤럭시단 조무래기 | 전투! 갤럭시단 (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 | [MP] | |||||||||
| 전투! 플라스마단 조무래기 | 전투! 플라스마단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203] | |||||||||
| 전투! 플레어단 조무래기 | 전투! 플레어단 (포켓몬스터 X·Y) | [MP] | |||||||||
| 악의 조직에게 승리! | 플라스마단에게 승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숲 | 검은 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동굴 | 하늘의 절정(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백팩커의 테마 | 시선! 백팩커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묘지 | 신비의 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초능력자의 테마 | 시선! 초능력자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바다 | PokéRogue 오리지널 곡 Andr06 - Marine Mystique | ||||||||||
| 섬 | 연안의 암반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도장 | 텅구리 도장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발전소 | 일렉트릭 평원 저편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전투! 체육관 관장 (관동) | 전투! 체육관 관장 (관동)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 [E4] | |||||||||
| 전투! 체육관 관장 (성도) | 전투! 체육관 관장 (성도)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 [E4] | |||||||||
| 전투! 체육관 관장 (호연) | 전투! 체육관 관장 (호연)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 ||||||||||
| 전투! 체육관 관장 (신오) | 전투! 체육관 관장 (신오)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 [E4] | |||||||||
| 전투! 체육관 관장 (하나) | 전투! 체육관 관장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208] | |||||||||
| 전투! 체육관 관장 (칼로스) | 전투! 체육관 관장 (포켓몬스터 X·Y) | [MP] | |||||||||
| 전투! 체육관 관장 (가라르) | 전투! 체육관 관장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 [MP][211] | |||||||||
| 전투! 체육관 관장 (팔데아) | 전투! 체육관 관장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MP][213] | |||||||||
| 체육관 관장에게 승리! | 체육관 관장에게 승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진화 | 진화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진화 축하 | 진화 축하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초원 | 하늘의 절정(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정글 | PokéRogue 오리지널 곡 Lmz - Jungle | ||||||||||
| 악지 | 메마른 골짜기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심연 | 어둠의 화구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얼음 동굴 | 대빙산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해저 | PokéRogue 오리지널 곡 Firel - Seabed | ||||||||||
| 공장 | 숨겨진 유적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사원 | 파수꾼의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사막 | 북쪽 사막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연구원의 테마 | 시선! 연구원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산 | 뿔산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눈 덮인 숲 | 하늘의 절정(설산)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고대 유적 | 봉인의 암반 저편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화산 | 열수의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전투! 라이벌 2 | 전투! N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214] | |||||||||
| 전투! 준전설 포켓몬 | 전투! 전설의 포켓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215] | |||||||||
| 전투! 라이코 | 전투! 라이코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 [MP] | |||||||||
| 전투! 앤테이 | 전투! 앤테이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 [MP] | |||||||||
| 전투! 스이쿤 | 전투! 스이쿤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 [MP] | |||||||||
| 전투! 전설의 거인 | 전투! 레지락·레지아이스·레지스틸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 [219] | |||||||||
| 전투! 전설의 거인 | 전투! 레지락·레지아이스·레지스틸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MP] | |||||||||
| 전투! 준전설 포켓몬 (신오) | 전투! 전설의 포켓몬 (신오)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MP][DP] | |||||||||
| 전투! 유크시·엠라이트·아그놈 | 전투! 유크시·엠라이트·아그놈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MP][DP] | |||||||||
| 전투! 카푸 | 전투! 카푸 (포켓몬스터 썬·문) | [MP] | |||||||||
| 전투! 울트라비스트 | 전투! 울트라비스트 (포켓몬스터 썬·문) | [MP] | |||||||||
| 전투! 가라르 전설의 새 포켓몬 | 전투! 전설의 새 포켓몬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 [MP] | |||||||||
| 전투! 재앙의 보물 | 전투! 재앙의 보물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MP] | |||||||||
| 전투! 세벗님 | 전투! 세벗님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MP] | |||||||||
| 페어리 동굴 | 별의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우주 | PokéRogue 오리지널 곡 Firel - Space | ||||||||||
| 황무지 | 환상의 대지 저편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 연구소 | PokéRogue 오리지널 곡 Firel - Laboratory | ||||||||||
| 엘리트 트레이너의 테마 | 시선! 엘리트 트레이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전투! 로켓단 보스 비주기 | 전투! 레인보우로켓단 보스 (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 | [MP] | |||||||||
| 전투! 마그마단·아쿠아단 리더 마적·아강 | 전투! 마그마단·아쿠아단 리더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MP] | |||||||||
| 전투! 갤럭시단 보스 태홍 | 전투! 갤럭시단 보스 (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 | [MP] | |||||||||
| 전투! 플라스마단 보스 게치스 | 전투! 게치스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 [233] | |||||||||
| 전투! 플레어단 보스 플라드리 | 전투! 플라드리 (포켓몬스터 X·Y) | [MP] | |||||||||
| 전투! 초전설 포켓몬 | 전투! 레시라무·제크로무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235] | |||||||||
| 전투! 전설의 포켓몬 (관동) | 전투! 뮤츠 (포켓몬스터 X·Y) | [MP] | |||||||||
| 전투! 루기아 | 전투! 루기아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 [MP] | |||||||||
| 전투! 칠색조 | 전투! 칠색조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 [MP] | |||||||||
| 전투! 그란돈·가이오가 | 전투! 원시회귀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MP] | |||||||||
| 전투! 레쿠쟈 | 전투! 초고대포켓몬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MP] | |||||||||
| 전투! 디아루가·펄기아 | 전투! 디아루가·펄기아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MP][DP] | |||||||||
| 전투! 기라티나 | 전투! 기라티나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MP][244] | |||||||||
| 전투! 큐레무 | 전투! 큐레무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전투! 제르네아스·이벨타르·지가르데 | 전투! 제르네아스·이벨타르 (포켓몬스터 X·Y) | [MP] | |||||||||
| 전투! 솔가레오·루나아라·네크로즈마 | 전투! 솔가레오·루나아라 (포켓몬스터 썬·문) | [MP] | |||||||||
| 전투! 자시안·자마젠타 | 전투! 자시안·자마젠타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 [MP] | |||||||||
| 전투! 블리자포스·레이스포스 | 전투! 블리자포스·레이스포스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 [MP] | |||||||||
| 전투! 버드렉스 | 전투! 버드렉스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 [MP] | |||||||||
| 전투! 오거폰 | 전투! 오거폰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MP] | |||||||||
| 전투! 테라파고스 | 전투! 제로의 비보 테라파고스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MP] | |||||||||
| 전투! 복숭악동 | 전투! 복숭악동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MP] | |||||||||
| 전투! 사천왕 (호연) |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MP] | |||||||||
| 전투! 사천왕 (하나) |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254] | |||||||||
| 전투! 사천왕 (칼로스) |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X·Y) | [MP] | |||||||||
| 전투! 사천왕 (알로라) |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썬·문) | [MP] | |||||||||
| 전투! 사천왕 (가라르) | 전투! 파이널 토너먼트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 [MP] | |||||||||
| 전투! 사천왕 (팔데아) |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MP] | |||||||||
| 전투! 사천왕 (블루베리그) | 전투! 블루베리그 사천왕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MP] | |||||||||
| 전투! 챔피언 (관동) | 전투! 챔피언 (관동)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 ||||||||||
| 전투! 챔피언 (성도) | 전투! 챔피언 (성도)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 ||||||||||
| 전투! 챔피언 (호연) | 전투! 챔피언 (호연)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 ||||||||||
| 전투! 챔피언 (신오) | 전투! 난천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260] | |||||||||
| 전투! 챔피언 (하나) | 전투! 챔피언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261] | |||||||||
| 전투! 챔피언 아이리스 | 전투! 챔피언 아이리스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 ||||||||||
| 전투! 챔피언 (칼로스) | 전투! 챔피언 (포켓몬스터 X·Y) | [MP] | |||||||||
| 전투! 챔피언 (알로라) | 정상결전! 하우 (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 | [MP] | |||||||||
| 전투! 챔피언 (가라르) | 결전! 챔피언 단델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 [MP] | |||||||||
| 전투! 챔피언 (팔데아) | 전투! 치프 챔피언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MP] | |||||||||
| 전투! 챔피언 네모 | 전투! 챔피언 네모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MP] | |||||||||
| 전투! 챔피언 (블루베리그) | 전투! 챔피언 카지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MP] | |||||||||
| 챔피언에게 승리! | 챔피언에게 승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 엔드 1 | 천공의 탑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 | [268] | |||||||||
| 결전! 라이벌 | 결전! N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269] | |||||||||
| 엔드 2 | 천공의 탑 최상단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 | [270] | |||||||||
| 전투! 무한다이노 | 레쿠쟈의 영역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 | [271] | |||||||||
| 결전! 무한다이노 | 전투! 게치스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272] |
4. 오류 및 버그
전문 제작자는 아닌 것으로 보이는 이들이 만든 팬게임이기에 게임상의 오류나 버그가 자주 보이는 편으로 이전에 본가를 즐겨왔던 사람이라면 의아할 부분이 종종 나타난다.타이틀 화면에 랜덤으로 뜨는 문구 중 하나인 '마나피 알 사건'도 그 중 하나로, 랜덤하게 새 게임 생성, 기존 게임의 진행이 불가능해지고 보유중인 모든 알이 마나피 알로 바뀌는 현상이 있었다고 한다.
{{{#!folding [오류 및 버그 목록 펼치기/접기]
- 기술 및 특성 관련 버그
- 더블 배틀시 아군 포켓몬이 혼란에 걸린 상태라면 적 포켓몬이 전부 쓰러지더라도 행동하는 버그가 있다. 이 때 혼란에 걸린 아군 포켓몬이 선발일 때 혼란으로 인한 자해 행위로 쓰러졌을 경우 후속 배틀에서 선발 포켓몬과 후속 포켓몬이 겹쳐지며 게임이 정지되는 버그 또한 존재한다. [273] 새로고침을 통해 문제해결 가능.
- 더블 배틀시 포켓몬이 3마리 남은 상황에서 하나가 맞아 죽고 하나가 자해/반동 대미지 등으로 죽는다면, 첫 번째 포켓몬 선택 후 두 번째 포켓몬을 선택할 수 없고 포켓몬 선택창에서 나갈 수 없어서 새로고침을 해야 하는 버그가 있다.
- 독사슬 특성을 가진 포켓몬이 아군을 향해 서포트 기술을 사용했을 때 아군이 확률적으로 독에 걸리는 오류가 있다.
- 독 타입 포켓몬이 사용한 맹독이 모습을 숨긴 포켓몬에게 명중하지 않는다.
- 왕큰부리의 부리캐논 시전 도중 잠듦 상태를 부여해도 정상적으로 기술이 시전되는 버그가 있다.
- 빙큐보의 탈이 벗겨진 상태에서 물리 기술로 마무리하거나 볼을 던지면 게임이 멈추는 버그가 있다. 새로고침을 해도 빙큐보와 처음 만났을 때의 상황으로 되돌아간다.
- 이전 게임을 새로 불러왔을 때, 시작의바다/끝의대지 특성을 가진 포켓몬이 선두에 있는 채로 포켓몬 교환 없이 게임을 속행하면 특성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 새로 불러오는 것이 아닌 연속 진행일 때는 나오지 않는 버그이므로, 버그가 걸린 상태라면 필수적으로 다른 포켓몬으로 교체했다가 다시 내보내야 특성이 정상적으로 적용된다.
- 순간이동을 쓸 수 있는 야생 포켓몬이 순간이동을 쓴 순간 새로고침을 하면 그 세이브 파일을 다시 들어갈 때 게임이 멈춰서 쓸 수 없게 되는 버그가 있다. 추가로 버그 난 세이브를 열 경우 다른 세이브도 버그 난다. 이 버그는 계정을 로그아웃한 후 다시 로그인하면 높은 확률로 고쳐지지만, 다시 로그인한 후에도 세이브 파일이 깨진 상태라면 완전히 버리고 새 게임으로 덮어써야 한다.
- 7월 28일 업데이트 이후 특성 표시에 오류가 발생하는 중이다. 부화/포획시에는 일반 특성으로 표시되지만, 정작 후에 확인해보면 숨겨진 특성으로 바뀌는 케이스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구별방법은 부화/포획시 자신이 포획하지 않은 숨겨진 특성이라면 특성 텍스트가 푸른색으로 바뀌는 것을 보고 판단하거나, 일일히 부화/잡은 뒤 특성을 직접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
- 스프라이트 출력 버그
- 배틀 스프라이트가 대타출동의 녹색 대타 인형으로 나오는 버그
- 엔트리 스프라이트가 전혀 상관 없는 메가진화 포켓몬으로 나오는 버그
- 엔트리 스프라이트가 다른 포켓몬들의 조각들이 뒤섞여 깨져서 나오는 버그
- 기타 시스템 관련 버그
- 챌린지 진행 중 더블배틀에서 상대 포켓몬 격파 후 파티 내 포켓몬이 진화해 투입 가능해질 경우 해당 포켓몬이 배틀에 참가하지 않고 그 다음턴은 어떤 입력을 하건 진행되지 않는 현상. 포켓몬이 싱글배틀 상황에서 진화할 수 있도록 도망가야 한다.
- 상대 포켓몬 기절 이후 같은 턴에 아군 포켓몬이 기절하여 후발 교체창이 나온 이후 다음 배틀로 화면이 전환될 때 포켓몬이 보이지 않게 되는 버그가 있다. 새로고침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 HP가 최대치만큼 차지 않았는데도 먹다남은음식 효과나 씨뿌리기 등의 회복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 현재 체력이 전체 체력의 99.5% 이상인데 풀피가 아닌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HP 계산식 자체의 오류로 보인다.
- F5를 한 뒤에 다른 세이브 데이터를 불러오기 한 뒤 저장후 나가기를 하면 F5를 한 세이브 데이터의 1층 단위로 돌아가는 버그가 있다! 더욱 충격적인건 이걸로 알 바우처와 사탕 복사가 가능하다.
}}}
5. 평가
팬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호평을 받으며 웹게임/포켓몬스터 시리즈의 팬 게임으로 한정할 시 유례없는 인기를 누리고 있다.특히나 본가 1세대부터 최신작 9세대까지 전 세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포켓몬 종류, 타입, 특성, 기술, BGM, 트레이너(관장, 사천왕, 챔피언, 악의 조직) 등을 최대한 구현해놓았고, 메가진화, 다이맥스, 테라스탈 등 특수 배틀 기믹 또한 독자적인 방식으로 구현하여 게임에 녹였다. 직접 제작한 도트는 물론 팬이 만든 도트들도 적극 활용하여 모든 세대의 포켓몬들을 2D 도트로 구현했다.
또한 포켓로그만의 고유한 스타팅 수집 + 알 까기 시스템이나 색이 다른 포켓몬 및 날마다 변경되는 포켓러스 대상 포켓몬 시스템과 특유의 중첩형 개체치 등 반복 플레이를 즐겁게 권장하는 풍부한 수집 요소까지 갖추고 있는 덕에 제대로 파고들기를 할 경우 플레이 타임이 얼마든지 길어질 수 있다. 각종 포켓몬의 클리어를 도전하며 리본을 달아주고 바우처를 얻어 스타팅 포켓몬, 알 기술, 사탕을 얻으며 보다 다양한 플레이 방식을 개척하며 새로운 플레이에 도전할 수 있다. 좀 더 심도 깊게 들어가 엔드리스 모드에 들어서면 수많은 웨이브를 격파하며 클래식에서는 보기 힘든 귀한 아이템을 많이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클래식 플레이만으로는 구하기 매우 어려운 숨겨진 특성, 이로치를 다수 수집할 수 있는 등 엔드리스를 통해 보다 심층적인 수집욕을 자극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물론 여기서 수집한 요소들은 고스란히 클래식에도 반영되어, 플레이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주는 선순환 구조를 띄고 있다.
개발진의 활발한 업데이트와 피드백 수용[274] 또한 장점으로, 첫 공개 이후로 꾸준히 여러 신규 컨텐츠 및 편의성 업데이트(기술 유불리 표시, 알 천장 시스템 등)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업데이트 로드맵도 공식 디스코드 서버에서 공개하고 있다.
특히나 고무적인 점은 굉장히 넓은 포켓몬 유저 층을 폭넓게 아우르면서 동시에 만족시켰다. 포켓몬스터는 특이하게도 한 게임 내에서 두 부류의 유저층이 극단적으로 분리되어 있는데, 이들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라이트 유저 층은 그저 게임의 스토리를 보고 챔피언을 잡으면 최종 목표를 달성해 게임을 끝내는 비중이 높고, 헤비 유저 층은 엔딩 후 수집 요소의 달성 및 배틀타워 등의 PvE 컨텐츠, 레이팅 배틀 등의 PvP 컨텐츠를 즐기는 쪽에 비중이 맞춰져 있었다.
그런데 라이트 유저들의 상당수도 포켓몬을 잡고, 키우고, 챔피언을 쓰러뜨리는 일종의 '경험' 혹은 '기분'을 즐기는 경우가 많았고, 그런 측면에서 볼 때 포켓로그는 본가와 별 다를바 없는 게임이기 때문에 진입장벽 없이 수월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 반면 헤비유저는 일단 고난이도 PvE 컨텐츠인 배틀타워가 스칼렛·바이올렛에서 아예 통으로 삭제당하는 등 PvE 컨텐츠 자체의 질이나 양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었다. 이들에게 포켓로그는 부족해진 PvE 컨텐츠의 대체재가 될 수 있는 게임으로 받아들여졌다.
포켓로그는 본가의 배틀 구조는 취하면서도 본가에서 시도하지 않은 매우 다양한 개선점이나 밸런스 패치[275]들을 포함시키고 열성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가를 좋아하는 유저들에게도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
물론 잡음이 아예 없지는 않다. 본가에서보다 훨씬 널널하게 사용할 수 있는 메가진화나 다이맥스와는 달리 테라스탈은 뜬금없이 배틀 횟수 제한이 추가되어 사용하기 불편하게 만든다거나, 알기술이나 패시브를 안 좋은 방향으로 패치하고[276][277][278] 악의 조직 등 트레이너 배틀이 추가되면서 난이도가 갈수록 올라가는 점, 일부 포켓몬들이 너무 많은 종류의 바이옴에 등장하거나[279] 반대로 일부 포켓몬들은 너무 적은 바이옴에서 제한적으로 등장해 구하기 어렵다는 점[280] 등이 있다.[281] 그 외에 정치적 올바름에 크게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들은 후술할 Pride 2024에 성소수자 이로치가 추가된 것도 달갑게 보지 않는다.
다만 비판 요소들 중 바이옴 및 출현 포켓몬의 경우 제작진들이 문제점을 인지했는지 일부 제외 모든 포켓몬이 최소 2종류의 바이옴에 등장 및 기존 바이옴 목록에서 새로운 바이옴 추가 및 도장 등 일부 바이옴 삭제 등 대대적인 개편을 할 예정이다.
6. 저작권 문제와 불안정한 미래
포켓로그에 포켓몬스터의 각종 공식 게임 리소스가 그대로 사용되는 점 때문에 닌텐도와 게임프리크에 의해 언제든 내려갈 수 있는 게임이라는 구조적 불안정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게임이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해 불안함을 표하는 의견이 많다. 동년 초 인기몰이를 했던 Palworld와는 명백히 다른 경우인데, 팰월드는 표절 논란이 있었을 뿐이고 베낀 것은 누가 봐도 명백하더라도 리소스의 경우100%의 복사 붙혀넣기는 아니라 재판을 가서 시시시비를 가릴 정도이지만, 포켓로그는 명백하게 포켓몬스터의 리소스를 그대로 빼내와 무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팬 게임이기 때문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닌텐도와 게임프리크에서 포켓로그를 제재하지 않느냐에 대해서는 추측만 있으며, 내부인의 증언이 나오지 않는 한 앞으로도 오리무중일 것이다. 닌텐도는 팰월드의 포켓몬 스킨 모드를 유료로 판매한다고 한 유저를 3일 만에 정지시켜버린 사례가 있으며, 포켓로그는 이미 코어 포켓몬 유저라면 모를 수가 없을 정도로 유명해졌기에 닌텐도가 알고도 손을 놓고 있다거나 아니면 몰라서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건 아닐 것이고 알고도 굳이 건드리지 않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한편 일련의 상황에 대해 "팬 게임이고 영리를 추구하지 않는다면 닌텐도, 게임프리크가 건드리지 않는다"는 주장을 상당히 자주 목격할 수 있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추측일 뿐 게임프리크나 닌텐도 등에서 공식적으로 2차 창작물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적은 없다. 포켓몬스터 우라늄 버전을 비롯해서 비영리 팬 게임이 게임프리크에 의해 게임 배포에 제동이 걸린 사례가 존재하기도 하고, 2차 창작물로 수익을 추구하지 않거나[282] 저작물에 대한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훼손하지만 않으면 넘어가준다[283]는 각종 의견들 역시 당연히 추측의 영역일 수밖에 없다. 다만, 상단에 기재된 우라늄 버전의 경우, 후원을 받는단 명목으로 영리적 활동을 하여 철퇴를 받은 것에 가까우며 실제로도 팬들이 자체적으로 만든 후속 업데이트와 타 팬게임의 경우엔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았다.
웹게임인 이상 어찌됐든 전 세계 수만 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서버가 필요한데, 개발비(=인건비)야 팬 게임인 만큼 개발자들의 노력으로 대체된다고 쳐도 서버비를 충당할 금액이 허공에서 솟아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게임에 광고를 달거나 직접 기부를 받는 방식으로 수익화를 노리면 즉시 닌텐도가 조치를 취할 것이 뻔하므로 개발사인 Pagefault Games의 추후 행보에 따라 게임의 명운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
인게임과 포켓로그 위키에 도네이션 링크가 추가되었다. 2024년 9월 17일 기준 해당 위키 언어 설정 중 영어, 이탈리아어에서 해당 도네이션 링크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법률 자문도 받은 상태라고 한다.
그런데 도네이션을 연 지 이틀 뒤인 9월 19일 상술한 팰월드에 닌텐도가 정말로 특허권 소송을 제기함으로써 포켓로그 또한 미래를 장담할 수 없게 되었다. 포켓로그와는 결이 달라 안전할 것이라고 생각되던 팰월드가 송사에 휘말리게 되면서, 대놓고 포켓몬스터의 각종 리소스를 그대로 가져다 쓴 포켓로그는 닌텐도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없애버릴 수 있는 게임이라는 것을 증명한 꼴이 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팰월드와의 소송에 집중하기 위해서인지 광고나 후원을 받긴 하지만 게임안에서 광고나 후원을 띄우지않는 애매한 영리적인 운영 때문인지 원작에 대한 존중차이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포켓로그는 2025년 기준으로도 운영되고 있는 중이다.
7. 외부 링크
8. 기타
- 웹 게임 특성상 패치가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만큼 한글 번역이나 편의성이 수시로 업데이트 되고 있는데, 특히 24년 6월 9일에 추가된 기술의 타입별 상성 유불리를 인게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옵션은 매우 호평을 받고 있다.[284]
- 한참 동안 비크티니가 5세대가 아닌 4세대 박스에 등록되어 있었다.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비크티니를 제외한 5세대 스타팅만으로도 9×9 크기의 세대별 박스를 가득 채워버리기 때문. 제작진도 비크티니 하나 때문에 박스 크기를 바꾸거나 스크롤을 만드는 것보다는 간편하기 때문에 이렇게 조치했다고 밝혔다. 다만 위치만 이럴 뿐, 세대별 챌린지를 할 경우 비크티니는 명백한 5세대 포켓몬으로 취급된다. 이후 Variant Update 패치를 통해 박스 스크롤 옵션을 넣고 비크티니를 5세대로 옮겼다.
- 특정 시기 동안 색이 다른 포켓몬 행사를 열기도 한다. 이벤트 기간 동안 야생에서 이로치 등장 확률이 2배가 되고, 1단계 이로치만 있던 포켓몬들의 2단계(rare)와 3단계(epic) 색이 추가된다.
- 2024년 Pride Month[285]를 맞이하여 Pride 2024 이벤트가 6월 14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되었다. 이 이벤트를 통해 새로 추가된 색은 특정한 성소수자를 상징하는 테마 컬러를 사용하고 있으며, 어떤 색이 어떤 성소수자를 상징하는지 공식 위키 문서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 2024년 8월 Variant Update 이벤트가 8월 19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되었다. 대규모 밸런스 패치와 박스 스크롤 옵션을 포함한 UI 패치가 이뤄졌고, 새로 추가된 색의 경우 3단계가 청록색 기반 조합으로 통일된다. 또한 이벤트 기간 동안 클래식 모드에서 특성부적 1개와 빛나는부적 2개가 기본 지급된다.[286]
- 웹게임 특성상 사이트가 감당 가능한 트래픽에 한도가 있는데, 한참 한국에서 인기를 끌었던 2024년 6월 중순에는 동시접속자수가 무려 4만 명 이상을 유지하며 서버가 자주 터져나갔다. 당시 제작진이 디스코드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한국쪽 서버 트래픽량이 1등이었다고. 특히나 게임 중 빠른 리셋을 위해 새로고침을 사용하면 그 횟수만큼 트래픽이 급증하니 웹게임이라는 특성상 피할 수 없는 고질병을 앓고 있는 셈.[287]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석적인 방법은 더 큰 서버를 구하는 것뿐인데, 비영리성 팬 게임이라 수익 구조가 유저들의 자발적인 후원밖에 없어[288] 서버 확장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결국 2개월 정도 지나 포켓로그 열풍이 어느 정도 지나가고 동접자수가 9천명대로 내려가면서 트래픽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해결되었다. 8월 즈음부터는 동접자 7~8천명 수준을 유지하면서 시간대 상관 없이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해졌다.
- 원 제작자에게 허락을 받은 비공식 앱버전도 있다. # 웹에 접속해 온라인 데이터 그대로 플레이할 수 있고, 오프라인으로도 플레이가 가능하다.
===# 스플래시 메시지 #===
포켓로그의 타이틀 오른쪽에는 "스플래시 메시지"라는 무작위의 노란색 문구가 나온다. 마인크래프트의 스플래시를 패러디한 것으로, 총 34개의 스플래시 메시지가 존재한다. 포켓로그의 시스템에 관한 내용들이 많으며, 포켓몬과 관련된 개조 롬이나 다른 팬 게임들에 대해 언급하는 스플래시도 있다.
| <rowcolor=#F9C400> 내용 | 번역 | 비고 |
| (누적 배틀 승리 횟수) Battles Won! | (누적 배틀 승리 횟수) 번의 배틀에서 승리했어요![289] | 개인의 배틀 승리 횟수가 아닌 전체 플레이어의 배틀 승리 횟수를 집계한 수다. |
| Join The Discord! | 디스코드에 가입하세요! | |
| Infinite Levels! | 무한한 레벨! | |
| Everything Stacks! | 모든 것이 누적됩니다! | |
| Optional Save Scumming! | 원한다면 세이브 노가다를! | |
| 35 Biomes! | 35개의 지역(바이옴)! | |
| Open Source! | 오픈 소스! | |
| Play With 5x Speed! | 5배속으로 플레이해봐요! | |
| Live Bug Testing! | 실시간 버그 테스트![290] | |
| Heavy RoR2 Influence! | RoR2에 강한 영향을 받았어요! | |
| Pokémon Risk and Pokémon Rain! | 포켓몬 리스크 오브 포켓몬 레인! | |
| Now with 33% More Salt! | 이제 33% 더 과몰입 가능! | |
| Infinite Fusion[291] at Home! | 집에 있는 인피니트 퓨전![292] | We Have Food at Home 밈을 차용한 듯 하다. |
| Broken Egg Moves! | 사기 알기술![293] | |
| Magnificent! | 훌륭해요![미번역][295] | |
| Mubstitute! | 데타출동![미번역] | |
| That's Crazy! | 미쳤습니다! | |
| Orance Juice! | 오렌키 주스![297] | |
| Questionable Balancing! | 의심스러운 밸런싱! | |
| Cool Shaders! | 쿨한 셰이더! | |
| AI-Free! | AI 미포함![미번역] | |
| Sudden Difficulty Spikes! | 돌연사 가능![299] | |
| Based on an Unfinished Flash Game! | 미완성된 플래시 게임 기반![300] | |
| More Addictive than Intended! | 기획보다 중독적이예요! | |
| Mostly Consistent Seeds! | 일관성 있는 랜덤 시드! | |
| Achievement Points Don't Do Anything! | 업적 포인트는 아무것도 하지 않습니다! | |
| You Do Not Start at Level 2000! | 레벨 2000에서 시작하지 않아요! | |
| Don't Talk About the Manaphy Egg Incident! | 마나피 알 사건에 대해선 이야기하지 맙시다! | 서비스 초기에 게임 진행이 막히고 모든 알이 마나피 알로 바뀌던 치명적인 사건이 있었다. |
| Also Try Pokéngine! | Pokéngine도 해 보세요! | 자작 포켓몬들이 나오는 MMORPG 팬 게임. |
| Also Try Emerald Rogue! | Emerald Rogue도 해 보세요! | 포켓몬스터 에메랄드에 로그라이크 요소를 넣은 개조 롬. |
| Also Try Radical Red! | Radical Red도 해 보세요! |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의 개조 롬 중 하나. |
| Eevee Expo! | 영어권의 포켓몬 팬 포럼 사이트 중 하나. | |
| YNOproject! | 유메닛키의 온라인 지원 파생작들을 모아놓는 프로젝트. | |
| Breeders in Space! | 우주에 있는 브리더![301] | |
| 도감번호 591번을 자세히 보면... |
[1] '포케로그'라고 부르는 유저들이 많아 2가지 이름이 혼용되고 있지만 정식 명칭은 '포켓로그'가 맞다. 공식 한국어 버전 첫 접속 시 "포켓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라는 문구가 대놓고 써있기도 하고, 원래부터 포켓몬 쪽에서 Poké(또는 ポケ)라는 단어는 거의 항상 '포켓'이라고 번역되었다. 포켓기어(Pokégear/ポケギア)나 포켓파인더(Poké Finder/ポケファインダー) 등의 명칭이 어떻게 표기되는지를 생각하면 간단하다.[2] 부분 한국어화.[위키] 포켓로그 위키[4] 단, 공식 서버에서 플레이하던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사설 서버에서 이어서 할 수는 있으나, 사설 서버의 플레이 정보를 공식 서버에서 불러올 수는 없다.[5] 공개된 소스 코드에 따르면 활성화 가능한 치트(모든 포켓몬 해금, 코스트 다운, 패시브 개방)가 게임 내에 존재하기는 하지만, 이걸 공식 서버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제작진 측에서도 뒷감당 못한다고 경고했으며, 페널티로 랭킹에서 제외되니 주의.[6] 다른 턴제 수집형 RPG들이 그러하듯 포켓몬도 단순히 수집하는 라이트 유저 단계를 벗어나면 포켓몬 고유의 역할과 스킬 배분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개굴닌자는 고속 다타입 어태커라던지, 너트령은 물리막이라던지 등 포켓몬의 상성과 역할 구분을 이해하고 기술 파밍을 진행해야지 포켓몬의 제성능이 나온다. 당연히 이를 위한 교체 플레이 역시 숙지해야 한다.[7] 턴마다 상대방이 지닌 아이템 중 하나를 빼앗음[8] 당연하게도 한 번이라도 패배하면 게임 오버 당하는 로그라이크의 특성상 주인공(플레이어)는 단 한 번도 지지 않았다.[9] 그래서인지 시간이 지날수록 라이벌의 조합은 엄청나게 강력해지며, 최종전 기준으로 어떤 본가 시리즈에 비해서도 압도적인 난이도를 보여준다.[10] 55층 대면시 핀의 첫 대사는 "이게 누구야! 오랜만이야. 역시나... 쭉 이기고 있었구나?" 인 반면, 아이비의 첫 대사는 "오랜만이야. 아직도 안졌구나? 거슬리게 말이야. 농담이야!" 라며 날이 선 말을 한다.[11] 5,643,853번째부터 하나씩 늘어난다.[랭업기목록] 용의춤, 나비춤, 반딧불, 승리의춤, 칼춤, 명상, 정리정돈, 나쁜음모, 껍질깨기 등.[13] 대표적으로 보통은 그냥 잡몹 취급받는 극초반 노말 타입 포유류인 배우르와 퍼퓨돈도 각각 특성 복슬복슬을 이용한 물리막이, 특성 가시지않는향기를 이용한 서포터 겸 물리형 딜탱으로 써먹을 수 있다. 그 외에 극초반에 쉽게 입수 가능한 아머까오, 빠르모트, 파밀리쥐, 저승갓숭 등도 모두 자주 추천되는 클래식 성능캐들이다.[14] 주로 이벨타르, 루기아, 자시안, 미라이돈, 그란돈, 가이오가 등이 추천된다. 의외로 전설 픽업에서는 함정취급을 받는 마나피도 생생버블과 나비춤을 배우고, 피오네도 반딧불을 배우기 때문에 클래식에는 매우 좋다.[15] 용의파동을 배워야 진화하는데 원래는 1레벨에 바로 배워서 시작하자마자 아고용을 쓸 수 있었지만, 어느순간부터 원작과 마찬가지로 기억버섯을 주워야 배울 수 있게 너프를 먹어 운이 좋거나 럭이 높지 않다면 55라이벌이나 심하면 95라이벌전까지도 베베놈의 저열한 종족값으로 상대해야 할 수도 있다.[16] 예를 들어 메인 캐리롤이 불꽃 타입인데 아쿠아단이 나오고 라이벌이 울머기를 들고 오는 등.[17] 반면 악의 조직은 세대챌을 해도 고정이 아니기에 확인을 하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3세대챌을 한다고 마그마단과 아쿠아단이 나오는 게 아니고 플레어단이나 매크로코스모스같은 고난도의 다른 악의 조직이 걸릴 수도 있다.[18] 버그 때문인지 의도된 버프인지 불명이지만 아이스크가 교체돼서 나와도 교체한 턴부터 바로 가속이 발동되고, 다음 상대 교체턴에 칼춤을 쓴다면 공격, 스피드 2랭크 상태가 된다.[19] 사실, 오히려 알기술 덕분에 스타팅으로 조합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20] 노말 or 악 타입에 껍질몬의 특성과 제2타입인 고스트가 조합되어 노멀타입은 악타입, 악타입은 페어리 타입에만 피해를 입게 된다.[21] 융합시 1번 포켓몬의 패시브가 적용되므로 패시브로 옹골참을 가진 포켓몬을 껍질몬과 융합하면 본래는 본가에서 수고를 들여 만들어야 하는 옹골참 껍질몬이 되어야 하나, 밸런스 문제로 수정한 것인지 해당 조합으로는 옹골참이 달려 있어도 발동되지 않는다.[22] 이를 이용해 예능 조합으로 에이스 한명한테 드래곤에너지, 분화, 해수스파우팅, 아스트랄비트를 몰아주고 모든 적들을 광역기 딸깍으로(...) 해치워버리는 것도 가능하다.[23] 둘 다 드래곤이고 레쿠쟈가 비행/드래곤이라 얼음타입이 유리할 것 같지만, 얼음 타입은 방어 상성이 최악인데다 약점 타입도 전부 흔한 타입들이고, 심지어 상술했듯 우수한 타입인 페어리와 강철과의 조합조차 강철 4배, 격투/불꽃 4배라는 환장할 성능 때문에 포켓로그에서는 어지간하면 얼음 기술만 물 타입 포켓몬의 서브웨폰으로 채용하지 얼음 타입 포켓몬을 들고 다니지는 않는다. 그러나 물/얼음 타입은 예외이며, 특히 후술할 스킬링크 파르셀은 스토리 멤버로 넣을 시, 일반 보스 구분없이 양학에 가깝게 활약할 수 있다.[24] 본래는 1페이즈의 공격기가 독과 드래곤 타입 뿐이라 강철/페어리 복합 타입을 꺼내두면 아무 공격도 할 수 없었으나, 1페이즈도 2페이즈처럼 화염방사도 쓰게 되어 날먹이 불가능해졌다.[25] 포켓로그의 npc들은 본가와 달리 선봉을 제외하면 엔트리 순서가 딱히 없고, 실전처럼 상성상 유리한 멤버를 우선 꺼낸다. 반대로 말하면 드래곤/비행 반감인 강철 타입이나 드래곤 무효인 페어리 타입을 꺼내 두면 체급과 관계 없이 라이벌의 AI는 상성상 불리하다고 판단해서 메가레쿠쟈를 최대한 늦게 낸다.[26] 본래는 천하장사였으나, 밸런스 패치로 바뀌었다.[27] 라이벌의 스타팅을 만만한 녀석으로 띄우고 시작해서 선봉인 스타팅을 기점 삼아 칼춤을 2번 추면 메가레쿠쟈도 거대해머 1방(!)이 난다.[28] 알기술에 휘적휘적포가 있긴 하지만 아강 2차전은 비바라기에 쓱쓱만 3마리라서 선공에 쓸려나가므로 대처가 거의 불가능하다. 거기다 에이스인 가이오가는 특방 140의 괴물같은 내구에 실드까지 달려 휘적휘적포 따위로는 어림도 없으며 가차없이 근원의파동이나 해수스파우팅으로 참교육당한다.[29] 누리레느같은 느린 물 스타팅이면 그나마 낫지만, 개굴닌자나 인텔리레온같은 초고스핏 물 스타팅을 데리고 오면 선공으로 물테라 하이드로펌프의 죽창딜에 쓸려나가므로 대처가 거의 불가능하다. 이쪽도 아강의 가이오가처럼 실드까지 달고 오는 건 덤.[30] 이 때문에 역으로 챌린지 중에 갑자기 튀어나와 죽창딜로 게임을 끝장내는거로도 악명높았는데, 패시브가 예리함에서 원격으로 하향을 당해 그나마 상대할만해졌다.[31] 스피드 하락 성격만 아니라면 스피드업 하나만 집어 주면 라이벌의 메가레쿠쟈는 물론이고 단델의 자시안이나 테사의 미라이돈마저도 선턴을 잡고 썰어버릴 수 있다.[32] 자력기 기준으로 보통 리프블레이드, 성스러운칼 고정에 상황에 따라 깜짝베기, 제비반환, 판별, 칼춤 중 2개를 선택해서 사용한다.[33] 마침 본인도 알 기술로 소금절이를 배운다.[34] 그 전기마저도 알 기술 열사의폭풍으로 카운터칠 수 있다. 물론 전기/비행이나 전기+부유를 만나면 교체해야 한다.[35] 정작 디아루가 본인은 특성이 쓸데없는 프레셔인데다, 뜬금없이 패시브가 부유에서 발끈으로 바뀌는 하향을 당해 애매하다는 평가를 받는다.[36] 굳이 고르자면 1/4반감으로 받는 풀 타입이나 일렉트로빔으로 털어버릴 수 있는 물 타입이 편하다.[37] 마침 포켓로그 특성상 지도가 없으면 물 바이옴으로 자주 빠지고, 숨특도 아니라서 얻기 쉬운 잔비 특성 패리퍼가 비도 뿌려주고 브리두라스의 약점인 격투는 반감, 땅은 무효로 받아 줘서 브리두라스와 궁합이 좋다.[38] 원래는 강철술사였지만 패시브패치로 두랄루돈은 필터,브리두라스는 트랜지스터로 바뀌었다.[39] 무효로 받는 노말, 격투, 드래곤 타입 기술이 날아올 때 무효로 받으며 교체한 다음 상대가 교체하는 턴에 1번, 그 다음 턴에 탈로 버티며 1번. 특히 정리정돈은 스피드까지 오르기에 라이벌의 메가레쿠쟈 등 스피드가 더 빠른 적 앞에서 비명횡사 위험까지 막아 줘서 상황에 따라 칼춤보다 더 나을 수도 있다.[40] 공격, 방어를 깔끔하게 포기하고 특공, 특방, 스피드에 몰빵한 분배라서 특공, 특방이 120을 넘고 스피드도 90은 넘어서 실전성이 있는 분배이다.[41] 단점은 출현율 바이옴이 한정되어 있는데다 도달이 어렵다는 점. 베베솔트 계열이 등장하는 바이옴은 동굴(Cave)과 산(Mountain)인데, 동굴이라면 몰라도 산 바이옴에 도달하는 건 엄청 어렵다. 최단 루트를 탈 경우 마을(Town)→평야(Plains)[ruby(→, ruby=33%)]풀숲(Grassy Field)→높은 풀숲(Tall Grass)[ruby(→, ruby=50%)]동굴(Cave)[ruby(→, ruby=50%)]악지(Badlands)[ruby(→, ruby=50%)]산(Mountain) 순서다.[42] 특히 무한다이노는 일반폼과 무한다이맥스 둘 다 스피드가 130이라 비전설로 이 스피드를 넘는 게 쉽지 않다. 레쿠쟈는 95로 그나마 만만하긴 한데 메가레쿠쟈는 115라서 이 역시 무시할 수치는 아닌 편이다.[43] 예를 들어 바위/고스트 복합 타입은 존재하지 않고, 물/고스트 복합 타입인 대쓰여너와 탱탱겔, 강철/고스트 복합 타입인 타부자고와 킬가르도는 모두 저주를 배울 수 없는 바위, 물, 강철 타입 챌린지 등.[44] 주로 스텔스록, 압정뿌리기 등의 장판기들이나 무한다이노가 반감으로 받는 공격기, 특히 물붓기가 없는 경우의 풀 타입 공격기 등이 있다.[45] 이 분야의 끝판왕은 자포코일로 특성이 옹골참이라 끔살 걱정 없이 안전하게 괴전파를 쓸 수 있는 데다, 자체 내구도 높은 편이라 최소 1번은 확정, 스페셜가드를 집고 자뭉열매를 들려주고 왔다면 2~3번까지도 괴전파를 쓴 후 플래시로 명중률을 내리고 벽까지 깔고 올 수도 있어 무한다이노를 바보로 만들어버릴 수 있다. 게다가 출현 바이옴도 많아서 진입 바이옴에 따라 지겹도록 볼 수 있기 때문에(...) 구하기도 매우 쉬운 건 물론이고 특성 옹골참과 특방 상승 성격 개체까지도 맞추기가 쉽다.[46] 상술한 괴전파의 경우 배우는 포켓몬 수가 매우 적어 특정 챌린지에서는 아예 쓸 수 없기도 하거나, 배우는 전기 포켓몬의 입수 시기가 늦으면 운이 나쁘면 무한다이노 앞에 설 때까지 한 번도 못 보는 일도 많다. 반면 비밀이야기는 워낙 배우는 포켓몬이 많아 200웨이브동안 웬만해선 1~2번 이상은 확정적으로 뜨기 때문에 특히 1마리 챌린지를 하고 있더라도 쉽게 볼 수 있다.[47] 단, 치라치노의 경우 파르셀과 달리 명중률에 하자가 있기 때문에 광각렌즈 두 개 정도 지녀야 제성능을 낼 수 있다. 레쿠쟈의 경우 록블라스트로 대처가 가능하며, 만약 기술머신으로 트리플악셀이 나오거나 알 기술로 고드름침을 해금한다면 더 수월하게 돌파할 수 있다.[48] 예를 들어 캐리몬이 불 타입인데 해변 바이옴이라 비가 온다든가.[49] 그란돈의 경우 쾌청으로 인해 위력이 증가하는 불꽃 타입이 자속이 아니긴 하지만, 대신 위력 150의 광역기인 분화를 쾌청 받고 사실상 자속으로 써먹을 수 있으므로 상대가 더블배틀이든 뭐든 분화 한번 누를 때마다 삭제되는 걸 볼 수 있다.[50] 특히 자속 타점이 처참한 성능인 풀, 벌레, 노말 타입 챌린지에서는 변환자재가 있다면 난이도가 수직하락한다.[51] 주의할 점은 개굴닌자는 유대변화 폼의 경우 유대변화 특성 고정에 트레이닝으로도 변환자재로 바꿀 수 없으며, 개구마르, 개굴반장 시점엔 일반 폼과 똑같이 급류라 구분이 힘들다. 스타팅으로 데려갈 시에는 일반 폼과 유대변화 폼으로 뜨므로 잘 보고 데려가자.[52] 긴장감을 특성으로 가지고 있는 버드렉스는 비추천. 폼 체인지를 하려면 블리자포스와 레이스포스를 얻은 적이 있어야 하는 데다 그마저도 일반 폼의 저열한 체급과, 만나자마자 4배라는 처참한 상성 탓에 고삐를 줍기 전까지 초반 전복 리스크가 너무 크다.[53] 다만 에스퍼 타입 자체가 포켓로그에선 시도때도 없이 날아오는 기습, 만나자마자 때문에 그다지 대우가 좋진 않은지라, 따로 메인 캐리롤을 두고 보좌하는 서브 딜러로 사용하는 편이 유용하다. 예를 들어 잡몹층은 다른 메인 캐리로 밀고 npc전이나 무한다이노전에서 클레스퍼트라가 활약하는 식으로.[54] 스타팅 포켓몬 초기 사양: 모든 능력치 개체값 10, 기본 특성, 증감없는 성격. 색이 다른 포켓몬, 별도의 폼, 패시브, 코스트 감소 및 알 기술 없음.[55] 다른 세대의 포켓몬이 섞이면 사용할 수 없어진다.[56] 특성이 슬로스타트인데 왜 있나 싶을 수 있지만, 포켓로그에선 오리지널 숨특으로 노말스킨을 얻어 거꾸로 챌린지에서는 아무 리스크 없이 670족의 성능을 풀파워로 난사할 수 있다.[57] 스피드가 느려 터졌지만 알 기술에 신속이 있으며, 패시브도 적응력이다.[58] 단 풀 타입의 경우 타점은 훌륭해지지만 포켓로그 특성상 지도를 일찍 집지 못한다면 물 바이옴을 제일 흔하게 가게 되기 때문에 쓱쓱+비 보정에 약점을 찔리고 쓸려나갈 수 있으니 전복 위험이 있는 편이다. 하지만 무한다이노를 4배로 찌를 수 있기 때문에 무한다이노에게 통쾌하게 복수해주고 싶다면 써보자.[59] 대표적인 예시로 엘풍이 있다. 기존의 짓맘+씨뿌리기 셔틀에 더해, 스피드 115가 체력으로 가고 패시브 복슬복슬, 자력기 코튼가드까지 조합하면 독 4배만 피한다면 훌륭한 물리막이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60] 다만 특수내구는 특방 117(원종)/127(히스이), 패시브 얼음인분 덕에 생각보단 잘 버티는 편이다. 물론 물리내구는 1배에도 쉽게 끔살당한다.[61] 초기엔 마지막 웨이브 도달시 경험치 정산과 알 바우처를 얻었다는 메세지 이후 화면 전환 및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로 머물렀으나 업데이트를 통해 변경되었다.[62] 다만 트레이너전이 없어 돈 수급이 되지 않는다는 점으로 인해 체급이 높은 캐리몬이 없을 경우 극초반 구간도 미진화체의 저열한 체급으로 계속 빠지는 상처약 값을 감당하기 힘들어서 오히려 클래식, 챌린지보다 힘들게 느껴질 수도 있다. 때문에 커뮤에서도 대부분 캐리롤을 맡을 전설 하나는 먹고 등반을 시작하길 권장하고 있다.[63] 이마저도 약 1500층 근방부터는 몇십 토큰이 곱연산으로 쌓이면서 도핑을 잘 한 초전설도 원킬을 못내거나 역으로 원킬이 나기 시작하며, 스택 한계가 999나 돼서 극후반에는 풀스택 기준 입히는 데미지가 약 14해 7268조 4686경 4113억 5927만 5223배 증가, 받는 데미지는 약 1000억분의 1배 감소라는 초월적인 수치까지 이르게 되므로 평범한 기술로는 데미지를 입히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워진다.[64] 빛나는부적이 속한 마스터 등급 아이템의 등장 확률은 0.1%, 록캡슐이 속한 로그 등급 아이템의 등장 확률도 1.12% 밖에 되지 않지만, 엔드리스 모드는 최대 정석적으로도 1000 ~ 2000웨이브 가까이 플레이하며, 10의 배수가 아닌 웨이브에서는 150웨이브 이전 극초반을 제외하면(50웨이브마다 황금 몬스터볼로 기본 3개부터 +1추가) 항상 6개의 아이템 보상 목록을 보게 되므로 해당 보상이 여러 차례 뜰 수 있는 충분한 기댓값이 있으며, 행운 수치가 0인 D등급부터 존재하는 기본적인 3.12%의 등급 상승 찬스와 록캡슐 고정 리롤을 감안한다면 그 확률은 더더욱 높아진다.[65] 사용시 아군 전체의 소지한 도구가 사라진다.[66] 흰안개를 5턴간 설치하는 형태로 적용되기 때문에, 상대가 안개제거를 통해 무효화할 수 있었다.[67] 체력 20 회복[68] 패치 이전에는 최대 체력에서는 일격사할 경우에는 발동하지 않았다. 패치 이후 공격 기술을 전부 버티던 효과에서 1번만 버티도록 변경되어, 연속 히트 기술이나 멀티 렌즈로 파훼할 수 있게 되었다.[69] 아군 전체의 능력치 변동을 초기화[70] 스크립트상에서는 wl_custom_super_effective이라는 아이콘을 참조하게 되어 있으나, 아직 이런 아이콘은 포켓로그 데이터상에 없다.[71] 드래곤에너지, 분화, 해수스파우팅 등 상대만을 때리며 위력이 높은 특수기들이 쓰인다. 지진, 파도타기 등은 아군까지도 타격하므로 상성이나 특성으로 무효화하는 아군을 꺼내놓는 게 아니라면 쓰지 않는다.[72] 일정 층수 이상부터는 일반 웨이브의 야생 포켓몬들도 실드를 달고 나오며, 실드 개수도 8개가 넘어가는데다 데미지 감소, 회복 토큰까지 쌓이게 되어 당장 아래있는 조합이나 포켓몬을 내세워서 약점을 찔러 밀려 해도 죽지 않고 회복토큰과 열매들로 랭크업에다 회복까지 알뜰하게 해대며 다시 풀피가 된다. 데미지 감소 토큰뿐만 아니라 주는 데미지 증가 토큰도 쌓여서 이 시점이면 기습, 만나자마자는 물론이고 전광석화나 속이기마저도 반감조차 에이스 포켓몬을 한방컷내는 죽창딜이 되어버린다.[73] 굳이 힘으로 더 밀겠다면 사탕단지 99개를 꽉 채워 이상한사탕이 뜰 때마다 쉬지 않고 먹어주며 일반적인 공격기 대신 나이트헤드나 지구던지기 등 레벨 비례 데미지를 주는 공격기를 채용하면 4000층대까진 밀 수도 있으나 한 판 한 판이 너무 오래 걸려서 도주런에 비해 비효율적이고 힘들다. 다만 방어값을 1까지 낮춘 포켓몬으로 가드셰어를 사용해서 5000층까지 힘으로 등반하는 기행을 벌인 유저가 있긴 하다. 방어가 1인데도 토큰+실드로 중무장해 한방에 못 죽이고 연속기로 여러 번 때려야 하는 점에서 얼마나 터무니없는 내구인지 감이 올 것이다.[74] 이때는 민트로 스핏 상승 성격으로 변경하고 행운의 알도 몰아줘서 스핏을 밀리지 않게 해야 한다. 드래곤테일도 채용해서 포획, 도주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특성은 옹골참을 추천.[75] 물리, 특수 모두 1.5배로 대응하는 반격기. 우선도가 없어서 민트로 스핏을 낮춰야 한다. 자세한건 후술.[76] 본래는 일렉트로빔이었으나 번개폭풍으로 교체되었다.[77] 2024년 8월 18일 이전에는 패시브가 크게 발목을 잡았었다. 틀깨기가 아니라 비가 올 때 먹밥 효과를 주는 젖은접시가 고작이여서 이 점이 가이오가를 레시라무 / 그란돈의 하위 호환으로 만드는 주요 원흉이었다. 레시라무 / 그란돈은 불꽃 타입 공격을 무효로 하는 노릇노릇바디 / 타오르는불꽃 같은 성가신 특성 및 패시브를 무효로 만드는 터보블레이즈 덕에 상대가 뭐든 이중 반감만 아니라면 분화 하나만 딸깍해도 되지만 가이오가는 마중물 / 저수 / 건조피부 같이 물 타입 공격을 무효로 하는 특성 및 패시브에 해수스파우팅 / 근원의파동이 그대로 막혀버려 대책이 없었기 때문. 자칫하면 비자속에 날씨의 혜택마저도 못 받는 냉동빔으로 공격해야 하는 경우도 생겼었다.[78] 화산 바이옴에서 폭타, 코터스, 블레이범를 잡아 쐐기해주는 방식으로 대체할 수도 있긴 하다.[79] 2024/06/16 이전에는 고대활성. 그란돈이 사실상 특수형으로 간다는 걸 감안하면 매우 큰 상향이다.[80] 패시브 하드론엔진을 개방하면 드래곤에너지의 위력이 뇌격을 상회한다. 기본적으로 레시라무의 하위호환[81] 얼음 타입 레시라무처럼 사용할 수 있다. 초반 전복 위기가 있다.[82] 무한다이맥스를 할 경우 화력이 떨어지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패시브는 틀깨기처럼 활용할 수 있는 화학변화가스.[83] 불 타입이라 분화도 사용할 수 있다.[84] 특성 매지션으로 아이템 파밍이 쉽다[85] 단, 매커니즘상 플러스 바우처는 리롤을 3회 이상 돌리면 등장 확률이 사라지기 때문에 바우처만 노리고 리롤을 많이 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니 주의. 또한 클래식에서는 마스터 등급에서 등장하는 프리미엄 바우처는 무한 모드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86] 패시브 도주의 직구리, 패시브 긴장감의 다크라이, 깜까미가 베스트 조합. 대신 두마리나 스타팅으로 데려가야 한다.[87] 소금절이는 물, 강철 타입에게 두배로 들어가며, 씨뿌리기는 풀 타입에게 무효된다. 거기다 짖궃은마음을 무시하는 악 타입도 지울 수 있다.[88] 어차피 껍질몬은 무적이긴 하지만, 소금절이나 저주로 체력을 깎아도 보스 포켓몬이 자뭉열매나 의문열매 등을 도배하고 와서 몇 번이고 회복을 해서 턴이 늘어지는 귀찮음이 많이 줄어든다.[89] 광각렌즈 2개와 멀티렌즈를 파밍만 해주면 확정 40타 연속기라는 정신나간 기술이 되기 때문에 여기에 끈기갈고리손톱을 들려주면 아이템을 미친듯이 털어올 수 있고, 왕의징표석을 들고 있으면 사실상 확정으로 풀죽음을 걸 수 있다.[90] 패치로 인해 스톤샤워 등의 풀죽음 확률과는 중첩되지 않게 바뀌었으므로, 아무 광역기나 채용해도 된다.[91] 본가에서 개미지옥, 노가드, 발광처럼 야생 포켓몬의 등장 확률을 늘리는 특성은 포켓로그에선 코롱과 동일하게 더블배틀 확률을 늘려준다.[92] 마스터볼이 부족하다면 포획률 높은 야생 포켓몬들에게 로그볼을 던져서 마스터볼을 새로 수급할 수도 있다. 최종 진화형들 중 포획률이 200 이상인 포켓몬들은 보르그, 다부니, 마라카치, 안농, 사랑동이, 하리뭉, 플러시, 마이농, 켈리몬, 트로피우스, 파치리스, 무스틈니, 에몽가 등이 있다.[93] 특히 '특성'은 2번째 포켓몬을 따라가는 만큼, 상기한 엔드리스 모드의 기본 전략 중 도주나 픽업 특성을 온전히 쓰기 어렵다. 대신 패시브로 갖고 있는 경우는 2번째 포켓몬에게 덮이지 않으므로 시작부터 갖고 가기를 원할 경우 이런 포켓몬을 데려가는 쪽이 안정적이다.[94] 이 때문에 가끔 데일리 런 중 희귀 포켓몬들이 올라오면 공략 영상이 아닌 포획 영상이 올라올 때도 있다. 난수가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데일리 런 특성상 개체값도 당연히 고정이기 때문에, 포획 영상 역시 한 번만 참고하면 된다. 단, 극히 예외가 존재하여 가끔씩 같은 날의 데일리 런에 2가지 이상의 포획 공략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각 루트에서 더블배틀을 발생시키는 웨이브가 달라지기 때문에 포획할 포켓몬의 종류 자체가 바뀌므로 주의 깊게 찾아보는 것을 추천. 예를 들어서 7월 7일의 데일리 런은 자그마치 3가지나 되는 서로 다른 포획 공략법이 존재했다. 기본 공략법은 유크시를, 다른 공략법에서는 차곡차곡을, 또 다른 공략법에서는 총지엔과 다투곰(블러드문) 포획이 가능했다. 또한, 스타팅으로 주는 포켓몬은 잡은 것으로 취급되지 않기에 강력한 포켓몬이 스타팅으로 나온다고 해서 그 개체가 등록이 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이에도 한가지 예외가 있는데, 아직 미등록 진화형을 보유한 베이비 포켓몬이 멤버로 나오는 경우로, 이 경우는 베이비 포켓몬을 진화시키는 것으로 해당 진화형 한정으로 스타팅에 등록할 수 있다.[95] 4세대까지는 스프라이트 크기 제한 등 여러 문제로 뒷면 스프라이트는 상반신까지만 나오는 형식이었으나 5세대는 전신이 다 나오고 모션 기능이 추가된 도트 스타일 스프라이트, 6세대부터는 3d모델링으로 교체했다.[96] 과거엔 실험적이 아니라 '믹스'라고 되어있었다.[97] 초기 상태에는 모든 개체값이 10, 성격은 무보정 성격이다.[98] 단, 스텔스록이나 압정뿌리기같은 장판기는 정상적으로 딜이 들어간다. 저주, 씨뿌리기, 소금절이, 분노의앞니등 체력 비례 데미지는 데미지는 들어가나 일반공격과 마찬가지로 실드 뎀감이 적용된다. 즉 실드를 5개 넘게 도배하고 나오는 엔드리스 중반부터는 저주도 한두칸씩밖에 못 깐다.[99] 클래식에서는 1줄짜리 보스는 보는 게 거의 불가능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더블 배틀로 등장하는 보스는 총 쉴드 개수를 공유하는데, 3개를 2/1로 분배하는 경우가 있다.[100] 예를 들어서 엔드리스 마지막 층인 5850층의 보스는 실드를 25~26줄 들고 나오는데, 25줄이 67만배, 26줄이 129만배 정도의 오버딜을 먹여야만 실드를 한번에 돌파할 수 있다. 물론 이 정도 되면, 멀티렌즈나 스킬링크를 이용한 연속공격을 통해 실드를 한번에 몇줄씩 깎는 걸로 돌파할 수 있고, 난이도적으로도 그게 더 쉽다.[101] 무한다이노 포획의 최대 난관인데, 다른 포켓몬은 일부 환상의 포켓몬을 제외하면 전부 확률은 낮아도 등장하는 바이옴이 있는데 반해서, 패러독스 포켓몬은 오직 엔드 바이옴에만 등장한다. 문제는 엔드 바이옴의 포켓몬은 클래식 모드가 아니면 볼을 던지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며, 동시에 클래식 모드에서도 본인이 소유하고 있지 않은 패러독스 포켓몬에는 볼을 던질 수 없으므로 총 20종 존재하는 패러독스 포켓몬을 모두 알 뽑기로 뽑아야만 무한다이노를 포획할 수 있는 클래식 모드 200웨이브에서의 볼 사용이 해금된다.[102] 작중에서 유일하게 포켓몬임에도 말을 한다. 타이틀 화면에서 무작위로 나오는 스플래시등 중에서 'RoR2에 강하게 영감을 받았어요!'를 가리키는 것 중 하나이다.[103] 플레이어와 달리 이 HP회복은 PP가 1이라 1번만 사용하지만, 플레이어에게서 과사열매를 빼앗는다면 과사열매의 효과로 PP를 회복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다.[104] 이 기술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받아낼 수 있는 포켓몬은 다이맥스포는 반감으로, 나머지 둘은 무효로 받는 타오르는불꽃 특성의 히드런과 풀 / 얼음 / 벌레 / 강철 / 페어리 / 드래곤 이외의 타입으로 테라스탈했거나 풀 / 얼음 / 벌레 / 드래곤 / 강철 이외의 제1타입 포켓몬. 혹은 제1타입이 벌레타입인 대신 제2타입이 선술한 저 여섯 타입 이외의 타입인 포켓몬과 합체한 껍질몬이 있다. 후자는 준비물이 많아 갖추기 어렵지만 특성 불가사의부적 때문에 확실하게 무적이 보장된다. 조금 예외사항으로, 패시브를 개방한 나룸퍼프/나루림에 강철타입이나 제2타입이 강철타입인 포켓몬을 융합시키거나, 제1타입이 강철타입인 포켓몬에 일반특성의 쫀도기/바우첼을 융합시킬 경우도 완봉이 가능하다. 이 두 경우는 나룸퍼프/나루림의 패시브와, 쫀도기/바우첼의 일반특성이 노릇노릇바디라서 강철/페어리 타입의 약점인 화염방사를 완벽하게 무효화시킬 수 있기 때문.[105] 패치 전에는 다이맥스 전까지 오르고 내린 무한다이노의 능력치는 초기화되면서 동시에 플레이어가 꺼내놓은 포켓몬의 오르고 내린 능력치는 그대로 남아있으므로 1페이즈에서 랭크업을 최대한 쌓아서 오는 꼼수를 이용했었는데 패치 후 무한다이노의 능력치가 초기화 되지 않고 1페이즈의 랭크업이 그대로 이어지도록 바뀌었다.[106] 예시를 들면, 스라크를 첫 번째, 킬리아를 두 번째로 융합할 경우, 융합된 스라크킬리아는 각자의 진화 조건에 맞게 핫삼킬리아, 사마자르가디안, 메가핫삼엘레이드 등으로 자연스럽게 진화한다. 하지만 이 경우 가디안나이트나 엘레이드나이트는 등장하지 않는다. 만약 메가핫삼 + 메가엘레이드처럼 두 메가진화 포켓몬을 합치고 싶다면, 최소한 두 번째로 쓸 엘레이드는 미리 메가진화한 다음 합쳐야 한다.[107] 돌핀맨의 마이티체인지, 킬가르도의 배틀스위치 등[108] 예를 들어 돌핀맨이 마이티폼인 상태로 융합하면 공격 160과 남은 포켓몬의 평균치가 융합상태의 공격 수치가 되고, 나이브폼인 상태로 융합하면 공격 70과 남은 포켓몬의 평균치가 융합상태의 공격 수치가 된다.[109] 포켓로그에서는 40웨이브가 하루에 해당하며, 낮(day)이 15웨이브, 황혼(dusk)이 5웨이브, 밤(night)이 15웨이브, 새벽(dawn)이 5웨이브인 사이클로 돌아간다.[110] 마휘핑은 진화 시점의 바이옴에 따라 폼이 달라진다.[111] 원래는 왕의징표석을 지닌 상태에서 연결의끈을 사용해야 했으나, 패치로 왕의징표석 없이 진화할 수 있게 바뀌었다. 왕의 징표석은 로그볼의 레어도라서 형평성이 지나치게 안좋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12] 선두로 나가서 포켓몬을 쓰러트리거나, 선두로 나가서 야생 포켓몬을 포획하거나, 교체되어 잠깐이라도 배틀에 참여하는 경우 모두 동일하게 처리된다. 배틀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경험치만 얻는 경우에는 오르지 않는다.[113] 더이상한사탕의 경우 파티 전원의 친밀도가 동시에 오르게 된다.[114] 사탕단지가 있다고 해서 수치가 더 늘어나진 않는다.[115] 부활의씨앗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친밀도가 감소하지 않는다.[116] 암컷이면 가디안으로 진화한다. 본가에서는 수컷 가디안도 존재했지만 포켓로그에서는 암컷 킬리아만 가디안으로 진화할 수 있다.[117] 수컷이면 얼음귀신으로 진화한다. 본가에서는 암컷 얼음귀신도 존재했지만 포켓로그에서는 수컷 눈꼬마만 얼음귀신으로 진화할 수 있다.[118] 라란티스는 본가와 진화 조건이 같다.[!] 레벨 상관 없이 진화 가능하다.[!] 레벨 상관 없이 진화 가능하다.[!] 레벨 상관 없이 진화 가능하다.[122] 맘모꾸리는 본가와 진화 조건이 같다.[123] 보물 아이템은 아이템 선택 창에서 금구슬, 큰금구슬, 고대의 주화를 선택할 때마다 각각 1,2,3 스택씩 올라간다. 모으령의 아이템 칸에서 확인할 수 있다.[124] 메가링, 다이맥스밴드, 테라스탈오브.[125] 진화하면서 1타입이 바뀌는 포켓몬은 테라피스를 얻지 않으면 바뀌는 1타입 자속 테라스탈을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파이어로는 화살꼬빈 시절에는 노말/비행이지만 불화살빈으로 진화하면서 불꽃/비행이 되므로 기본 테라스탈타입은 노말 타입이다.[126] 굳이 리스크가 있다면, 메가진화 포켓몬이 이전에 보유한 특성을 활용할 수 없다는 정도지만, 대부분의 메가진화 포켓몬은 특성이 변화하면서 얻어가는 이점이 많기 때문에 큰 리스크로 보기는 어렵다.[127] 단, 피카츄와 이브이는 둘 다 파트너 폼 기준으로 +100 이며, 나옹은 피카츄와 이브이의 거다이맥스 폼과 비슷하게 되어 총 종족값이 +250만큼 상승한다.[128] 예로 거다이맥스 이브이는 특성이 변환자재가 되어 파트너 이브이가 모든 파트너 기술을 자속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거다이맥스 대왕끼리동은 제 2타입으로 땅이 붙어서 몰드류와 같은 강철/땅이 되어 약점인 불꽃 타입 포켓몬을 자속 땅 기술로 반격할 수 있고, 특성까지 틀깨기가 되어 옹골참과 같이 방어적인 특성을 무시하고 일격에 잡을 수 있다.[129] 특히 팬텀 거다이맥스는 메가진화 대비 내구는 체력이 매우 상승하여 차별화가 되었지만 특성은 동일하고 스피드는 원본보다 10 내려가 호불호가 갈린다.[130] 다이맥스가 메가진화와 유사하게 조정된 탓인지 다이맥스 대상에 2배의 피해를 주는 거수참과 거수탄은 다이맥스가 없는 환경인 9세대와 마찬가지로 해당 효과가 삭제되었으며, 동일한 효과를 가진 다이맥스포는 '레벨 200 이상인 대상에 피해 2배'로 적용되어 있다.[131] 본 게임에서 유전자쐐기가 모든 포켓몬에 대응하는 도구가 되었기 때문에 합체에는 다크스톤/라이트스톤이 사용된다.[132] 무한다이빔이 처음 나왔을 때는 다이맥스포의 평균 피해량이 더 높아서 채용 이유가 없었으나, 패치로 인하여 다이맥스포의 피해량 계산식이 레벨캡을 넘는 포켓몬에 대한 2배 배율로 바뀌어서 무한다이빔보다 딜량이 낮아져 채용 이유가 생겼다.[133] 본가에서는 원시회귀가 메가진화와 아무 상관이 없는 별개의 시스템이라 원시회귀를 하는데 메가링이 왜 필요하는지 의아해할 수 있으나, 외전 게임인 Pokémon GO에서 메가진화와 원시회귀를 같은 시스템으로 분류한 전적은 있기 때문에 아예 납득이 되지 않는 수준은 아니다.[134] 게임 내 시간이 새벽 또는 낮이여야 한다.[135] 원작의 타입 데미지 증강 효과가 없어져 단순 아르세우스와 심판의뭉치의 타입을 바꾸기 위한 아이템이 되었다. 아르세우스에게 여러 개의 플레이트를 장착하고 그 중 원하는 타입을 고를 수 있다.[136] 팀에 레시라무가 없어도 되나, 도감에 레시라무가 등록되어 있어야 이 아이템이 나타난다.[137] 팀에 제크로무가 없어도 되나, 도감에 제크로무가 등록되어 있어야 이 아이템이 나타난다.[138] 테크노버스터의 타입에만 영향을 끼친다.[139] 아르세우스와 마찬가지로 실버디와 멀티어택의 타입에 영향을 준다.[140] 팀에 솔가레오가 없어도 되나, 도감에 솔가레오가 등록되어 있어야 이 아이템이 나타난다.[141] 팀에 루나아라가 없어도 되나, 도감에 루나아라가 등록되어 있어야 이 아이템이 나타난다.[142] 팀에 있는 네크로즈마가 이미 황혼의 갈기 또는 새벽의 날개 폼이여야 이 아이템이 나타난다.[143] 팀에 블리자포스가 없어도 되나, 도감에 블리자포스가 등록되어 있어야 이 아이템이 나타난다.[144] 팀에 레이스포스가 없어도 되나, 도감에 레이스포스가 등록되어 있어야 이 아이템이 나타난다.[145] 포켓로그에서는 싸라기눈과 설경이 별개의 날씨로 존재하기 때문에 둘 다 가능.[146] 원작에는 오거폰이 테라스탈하면 가면이 커지는 연출이 있고 특성이 "초상투영"이 되는데, 이걸 별개의 폼으로 재현한 것이다.[147] 타입이 물/강철로 바뀐다.[148] 타입이 독/강철로 바뀐다.[149] 타입이 강철/땅으로 바뀐다.[150] 타입:널은 준전설이지만 5코스트인 관계로 레어알에서 나온다. 진화형이 존재하면 남은 진화 단계마다 1코스트씩 낮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 실제로 후세대에 추가된 베이비 포켓몬들은 이전 세대에 추가된 진화형보다 1코스트 낮게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 이유로 초전설 포켓몬인 코스모그는 2단계 진화를 해야만 초전설 포켓몬인 솔가레오/루나아라가 되기 때문에, 8코스트에 들어가야 함에도 6코스트로 설정되어 에픽 알에서 획득이 가능하다.[151] 다만 가챠로는 8~9코스트만 획득할 수 있다. 유일한 10코스트 포켓몬인 무한다이노는 가챠 배출 대상 외이기 때문. 다만, 무한다이노의 사탕을 통해 교환할 경우, 전설 알로 획득할 수 있다.[152] 알로만 획득할 수 있는 포켓몬은 뮤, 세레비, 테오키스, 지라치, 마나피, 피오네, 아르세우스, 복숭악동, 모든 패러독스 포켓몬들이 있다.[153] 사실 레어 알 기술은 사탕작이 훨씬 효율적이며, 레전더리 픽업은 레전더리 알을 뽑지 못하면 전부 무보정 알이 되기 때문에 결국 남는 바우처를 쓸 곳은 이로치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154] 2024년 상반기 기준으로 에픽 이로치의 구현 비율은 대략 절반 정도로, 절반의 포켓몬은 일반 이로치까지만 구현되어 있다.[155] 다만 제작진측에서는 빨로치의 추가 우선순위를 매우 낮게 두고 있다. 빨로치 우선순위를 높이면 아트팀에 작업을 강요하는 게 된다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156] 영어 위키의 수를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157] 한 라운드 내에서 연속으로 리롤 시 가중치 감소 보정으로 인해 등장 확률이 점점 낮아져 3번째 리롤 시 등장하지 않게 된다. 알 바우처 일반은 1번만 리롤해도 등장하지 않게 된다. 매 웨이브마다 가중치 감소 보정이 초기화된다.[158] 다만 파트너/코스프레 피카츄는 전기구슬이 추가되면서 라이츄로 진화시키지 않는 것이 이득이다. 스피드도 더 빠르고 화력 측면에서는 비교가 안 된다. 게다가 진화의휘석까지 있으므로, 전기구슬과 진화의휘석을 모두 장착한다면 600족까지 압도하는 쥐가 탄생한다.[159] 본가와 달리 '위력 80, 우선도 +2, 자신의 회피율 증가'로 효과에 다소 차이가 있다.[160] 그러나, 알기술에 오라휠이라는 사기 기술이 있으므로 별로 아쉽진 않다.[161] 그래서 기술 설명이 경쾌하게 상대를 공격한다. 도구를 적게 지니고 있을수록 더 큰 데미지를 준다.로 바뀌어 있다. 원문은 경쾌하게 상대를 공격한다. 자신이 도구를 지니고 있지 않을 때 큰 데미지를 준다.[162] 실제 위력은 예리한부리의 보정을 받아 1개/4개일 때 ×2.16의 보정을 받은 118.8, 2개/3개일 때 ×2.24의 보정을 받은 123.2가 된다.[163] 게을킹 - 시간벌기 / 아케오스 - 위기회피 / 레지기가스 - 노말스킨 / 갑주무사 - 위험예지[164] 왜 노페널티가 아니라 '완화' 라고 서술되어 있냐면, 이 숨겨진 특성 조차도 갑주무사를 제외하면 제한적인 이득만 있고 사실상의 페널티인 특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시간벌기는 무조건 후공하고, 위기회피는 체력이 절반이 되면 강제교체, 노말스킨은 위력이 1.2배 증가하는 대신 모든 기술의 타입이 노말로 변한다. 그래도 능력치가 떨어지거나 한턴을 쉬거나 하는 페널티에 비하면 양반인 셈.[165] 본가의 HP 시스템은 먼저 최대 HP를 계산한 뒤, 거기서 누적된 데미지 수치를 차감하여 현 HP를 계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상한사탕을 써서 최대 HP가 늘어나면 그 늘어난 수치만큼 체력이 회복되는데, 포켓로그에서는 반대로 최대 HP와 별개로 현 HP를 저장하는 것으로 보이며, 그 탓에 기절한 포켓몬의 체력은 0이므로 이상한사탕을 사용해도 HP는 그대로 0으로 유지된다. 비슷한 이유로 진화를 통해 HP 종족값이 변하면 본작에서는 진화 전의 HP가 유지되어 최대 HP보다 조금 부족한 수치를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166] Not implemented[167] Partially implemented[168] 게임 내에서는 데미지로 번역되어 있다. 데미지 항목에도 나와 있지만, 본래는 대미지가 맞다.[169] 2세대는 1세대 포켓몬의 진화체가 대거 섞여있고 신규 포켓몬은 4세대 등 추후 세대에 진화체가 추가된 경우가 많아 순수 오리지널 2세대 포켓몬은 그 수가 매우 적어 '끼인 세대' 라고 불리고 있으며, 커뮤에서도 세대챌 중 2세대챌을 제일 어렵게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아예 알 기술 데스윙을 해금한 루기아를 들고 시작하길 권장하기도 할 정도. 다행히 루기아는 랭업기인 명상을 자력으로 배울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다소 어려운 초반만 잘 뚫으면 보스전 자체는 매우 쉽게 클리어가 가능하다.[170] 난천은 등장한지 18년이 다 되어가면서도 가장 어려운 챔피언으로 꼽힌다. 난천/공략 문서가 따로 있을 정도.[171] 블랙&화이트는 모티브도 일본에서 미국으로 바꾸고 도로 번호도 1번에서 다시 시작하는 등 '새로운 지방'임을 부각시켰으며, 거기에 포켓몬들도 엔딩 이전까지는 이전 세대 포켓몬들이 전혀 등장하지 않고 오로지 5세대 포켓몬으로만 스토리를 진행해야 한다.[172] 7세대의 메인 포켓몬 박사인 쿠쿠이박사의 연구 테마는 포켓몬의 기술이다. 원문 Technically는 '기술적으로는'과 '엄밀히 말하면'의 중의적 의미를 이용한 말장난.[173] 원문은 '쿵푸 할 줄 알아요'.[174] 원문은 앵그리버드다.[175] 1세대는 151마리 중에 독 타입만 33마리나 존재할 정도로 타 세대와 비교해도 비정상적으로 독 타입 포켓몬의 비율이 높다.[176] 원문은 'Forecast: Earthquakes'으로, 예지몽 특성을 가진 포켓몬으로 땅 타입 포켓몬을 만나면 십중팔구 지진이 뜨는 것을 패러디했다.[177] 원문은 'Brock Hard'.[178] 원문은 Iron Giant[179] 원문은 I Cast Fireball![180] 원문은 엎친 데 덮친 격when it rains, it pours. 속담인 점은 같다.[181] 원문은 Can't Touch This, 나가서 바람 좀 쐬에 해당하는 Go touch grass란 말이 있다.[182] 원문은 Aim For The Horn!, 포켓몬스터 58화에서 강연의 코뿌리를 상대로 지우가 피카츄에게 명령한 대사. 결국 전기 공격으로 땅 타입 포켓몬을 쓰러뜨리는 위업을 달성한다.[183] 에스퍼 타입 항목에도 나와있듯, 1세대에는 에스퍼 타입을 반감하는 타입이 에스퍼밖에 없는 반면 약점은 고스트가 버그로 인해 무효, 벌레는 강한 기술이 없어 사실상 없었다. 이 정점에 있던 포켓몬이 바로 1세대 최강 포켓몬 뮤츠.[184] 원문은 다소 심심한 Big Brain Energy.[185] 원문은 Walking On Thin Ice, 즉 살얼음판 걷기.[186] 원문은 'Pseudo-Legend Club'. 영어권에서 Pseudo-Legend는 600족을 의미한다.[187] 원문은 It's just a phase. '(이것도) 한때지'라는 뜻으로, 중2병 시기를 보고 하는 말이다.[188] 원문은 'Hey! Listen!'으로, 젤다의 전설 시리즈에 등장하는 요정 나비의 패러디.[189] 원문은 Mirror rorriM으로 Mirror의 회문[190] 원문은 esrevnIpilF로 Flip(역전)Inverse(거꾸로)를 거꾸로 한 말.[191] 원문은 Breeders in Space!. 원래 우주 바이옴에서는 트레이너가 등장하지 않을 예정이어서 등장하는 트레이너 종류를 할당하지 않았으나, 디폴트값에 배정된 브리더가 뜬금없이 우주에서 등장하는 버그가 있었다. 우주복을 입고 있는 브리더 조우와 이 업적은 이것을 셀프 패러디한 것[192] 전문 브리더 조우에서 승리해야만 했으나, 패치로 일반 브리더 트레이너에게 승리해도 달성되게 되었다.[193]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에는 딱히 이름이 등재되어 있지 않은데, 곡 제작에 참여한 인물들 전원이 이미 블랙·화이트 부분에 이름이 등재되어 있기 때문에 넣지 않은 듯하다.[194] 슈퍼 뮤직 컬렉션에서는 주로 일반적으로 게임을 진행할 때 흘러나오는 BGM 순서대로 수록되어 있는데, 아래 BGM 리스트에도 초반에 도착할 확률이 높은 바이옴이 먼저, 그 이후에 도착할 확률이 높은 바이옴이 후반에 비치되어 있다. 전설의 포켓몬 전투 테마처럼 초반부터 흘러나오는 경우도 있으나 그러할 확률이 극악인 BGM의 경우, 그만큼 더 후반에 비치되어 있다. 3번째 라이벌 전투 테마의 경우는 145 웨이브에서 먼저 흘러나오기에, 원래는 180 웨이브부터 흘러나오는 사천왕과 챔피언 전투 테마 이전에 비치되어 있어야 할 것 같지만, 공식 슈퍼 뮤직 컬렉션에서는 '결전'이라는 단어가 제목으로 사용된 전투 테마의 경우 최대한 리스트 후반에 비치되는 경향이 있기에 여기에서도 이가 반영되었다.[195] 원작 시리즈에서는 하나지방 출신의 야생 포켓몬 전투 테마로만 사용되나, 해당 작품에서는 출신 지방에 상관 없이 첫 5 웨이브의 야생 포켓몬 전투 테마로 사용되었다.[196] 원작 시리즈에서는 하나지방 출신의 트레이너 전투 테마로만 사용되나, 해당 작품에서는 출신 지방에 상관 없이 모든 트레이너의 전투 테마로 사용되었다.[197] 원작에서는 고난이도 던전 가운데 하나인 남동 제도의 랜덤 BGM이었다. 그 밖에도 차밍 팀 스페셜 에피소드 막간에서도 사용되었다.[198] 라이벌과의 마지막 전투인 195 웨이브 이외의 모든 라이벌과의 전투 직전에 흘러나온다.[199] 8, 25, 55 웨이브의 라이벌 전투 테마이다.[MP]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Mixed로 바꾸면 변경된다.[MP] [MP] [203]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는 모든 악의 조직 조무래기의 전투 테마로 사용된다.[MP] [E4] 해당 지방의 사천왕 전투 테마로도 사용되었다.[E4] [E4] [208]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는 5세대 이후 지방인 하나지방, 칼로스지방, 알로라지방, 가라르지방 그리고 팔데아지방 출신의 체육관 관장 전투 테마로도 사용된다.[MP] [MP] [211] 원작 소드·실드에서는 체육관 관장의 남은 포켓몬 수에 따라서 곡의 분위기가 달려졌지만, 이 작품에서는 남은 포켓몬 수에 상관 없이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곡의 분위기가 바뀐다.[MP] [213] 소드·실드와 비슷하게 원작 스칼렛·바이올렛에서는 체육관 관장의 남은 포켓몬 수에 따라서 곡의 분위기가 달려졌지만, 이 작품에서는 남은 포켓몬 수에 상관 없이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곡의 분위기가 바뀐다.[214] 95 웨이브의 라이벌 전투 테마이다.[215] 전용 전투 테마를 가지고 있지 않은 환상과 준전설 포켓몬 전투 테마이다.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는 이와 상관없이 모든 환상과 준전설 포켓몬의 전투 테마로 사용된다.[MP] [MP] [MP] [219]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이 Consistent일 경우.[MP] [MP] [DP] 해당 곡이 처음 등장한 건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지만, PokéRogue 공식 크레딧에는 이 곡이 재사용 된 적이 있는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의 곡이라고 서술되어 있다.[MP] [DP] [MP] [MP] [MP] [MP] [MP] [MP]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Mixed로 바꾸면 변경된다.[MP] [MP] [233]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는 모든 악의 조직 보스·리더의 전투 테마로 사용된다.[MP] [235] 전용 전투 테마를 가지고 있지 않은 초전설 포켓몬 전투 테마.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는 이와 상관없이 모든 초전설 포켓몬의 전투 테마로 사용된다.[MP] [MP] [MP] [MP] [MP] [MP] [DP] [MP] [244] 해당 곡이 처음 등장한 건 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이지만, PokéRogue 공식 크레딧에는 이 곡이 재사용 된 적이 있는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의 곡이라고 서술되어 있다.[MP] [MP] [MP] [MP] [MP] [MP] [MP] [MP] [MP] [254]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는 출신 지방에 상관 없이 모든 사천왕의 전투 테마로 사용된다.[MP] [MP] [MP] [MP] [MP] [260] 원작 시리즈에서 블랙 2·화이트 2 PWT 버전 전투곡이 존재하는 곡들 중, 유일하게 PWT 버전이 아닌 블랙·화이트 전투곡을 사용한다.[261]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는 5세대 이후 지방인 하나지방, 칼로스지방, 알로라지방, 가라르지방 그리고 팔데아지방 출신의 챔피언 전투 테마로도 사용된다.[MP] [MP] [MP] [MP] [MP] [MP] [268] 191 ~ 194 웨이브의 엔드 바이옴 테마이다.[269] 145, 195 웨이브의 라이벌 전투 테마이다.[270] 196 ~ 199 웨이브의 엔드 바이옴 테마이다.[271] 무한다이노 전투 이외에도 195 웨이브 라이벌 전투 직전에 라이벌의 테마 대신 흘러나오기도 한다.[272] 무한다이노가 무한다이맥스를 할 때부터 흘러나오기 시작한다.[273]
[274] 실제로 업데이트 내용중 일부는 개발진의 자체 개발이 아니라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일부 유저들이 자발적으로 오픈 소스를 참고하여 만든 자료를 공유받은 개발진들이 이 중 쓸만한 것을 추려서 같이 업데이트 한 것이다. 포켓로그가 무료 웹게임 치고는 이례적으로 업데이트 내역이 많고 빠른 것도 이런 연유로, 결국 검사과정을 거쳐야 한다지만 개발과정을 생략한다는 것 자체만으로 상당한 시간적 어드밴티지를 얻을 수 있었다.[275] 예를 들어 패시브와 알 기술로 포켓몬 간의 성능 차이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치코리타의 경우 패시브는 불꽃 타입, 얼음 타입의 피해를 절반으로 줄이는 두꺼운지방에 알 기술로는 본가에서는 익힐 수 없는 강력한 기술들인 버섯포자, 암석액스, 용의춤, 쑥쑥봄버를 배울 수 있어 알 기술과 자력기만으로도 딜포터로 충분히 써먹을 수 있으며 부우부는 패시브가 스카이스킨에 알 기술도 다른 포켓몬들과 마찬가지로 좋은 편이라 패시브를 열고 폭음파 등 일부 알 기술만 얻었다면 비행이나 노말 챌린지에 매우 유용한 사기 포켓몬으로 급부상한다. 그밖에도 자체 성능도 무난하게 좋은데 약간 아쉬운 성능을 패시브와 알 기술로 보완할 수 있는 포켓몬들이나 앞서 언급한 부우부나 앤티골, 콘치 등처럼 마이너 포켓몬이라도 패시브가 사기급이라 단독으로는 상당히 부족한 성능을 보완할 수 있는 포켓몬들도 많다. 물론 이러한 수단들은 세팅에 난이도가 있고, 종족값의 한계점은 있지만 적어도 자신의 최애 포켓몬의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고 테라스탈과 파워 인플레로 인해 메타가 거의 고착화된 본가의 배틀 환경과 달리 메가진화, 다이맥스, 알 기술, 패시브 등 다양한 시스템으로 마이너 포켓몬들도 충분히 실전성이 있거나 아예 사기 포켓몬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이다.[276] 특히 2024년 12월 4일에 진행된 패치에서 알기술 및 패시브 개편이 많은 비판을 받았다. 썬더라이는 패시브로 타오르는불꽃을, 델빌은 피뢰침을 받았는데 둘다 약점을 찌르는 타입도 아니고 해당 포켓몬들의 컨셉상 전혀 어울리지 않다는 평가가 많으며, 종이신도는 기존의 잘 어울리던 패시브였던 예리함 대신 뜬금없이 원격을 얻었다.[277] 2025년 2월 14일 패치에 관해서도 비판이 많은데, 생생버블을 버프해놓고 기존 알 기술에 생생버블이 있던 포켓몬들 대다수를 다른 기술로 변경했으며, 특히 본가에서 성능이 매우 구려서 쓰기 힘든 네오라이트가 패시브 수포와 각종 알 기술들로 겨우 쓸만해졌는데 알 기술 중 생생버블과 근원의파동을 각각 참방참방서핑과 데스윙으로 바뀌고 공격력이 훨씬 더 높은 제크로무는 기존의 알 기술이였던 전격부리 대신 특수공격기인 드래곤에너지를 받는 등 이해할 수 없는 패치를 계속 진행하여 해당 패치를 받은 기존 포켓몬들이 안좋아졌다는 점에서 많은 비판이 나왔다. 2025년 2월 패치에서 네오라이트 계열과 4세대 준전설 및 초전설 포켓몬 등 4세대 포켓몬들 상당수가 패치로 인해 오히려 피해를 많이 본 터라 운영자가 4세대를 혐오하는거 아니냐는 의혹까지 나오고 있다.[278] 2025년 4월 1일 대규모 패시브 개편 및 일부 알 기술들을 패치했는데 이 부분도 한카리아스 등 몇몇 포켓몬들에 대해서는 불호 반응들이 많다.[279] 대표적으로 자포코일 계열은 발전소, 공장, 공사장, 연구소 무려 4곳의 바이옴에서 등장하고 있다. 거기다 특성 중 하나가 옹골참이라 포켓로그를 처음 하는 초보자들 입장에선 여러 바이옴에서 자주보이는 자포코일 계열이 혈압을 올리는 포켓몬들 중 하나다.[280] 특히 격투 타입과 드래곤 타입이 심각한데 높은 공격력과 스피드, 노가드를 패시브로 보유했다는 점 덕분에 엔드리스 모드에서 인기가 있는 비조도와 인기 포켓몬 중 하나인 루카리오를 비롯한 일부 격투 타입 포켓몬들은 오직 도장 바이옴에서만 잡을 수 있고, 드래곤 타입 포켓몬들 상당수와 프테라를 비롯한 화석 포켓몬 일부는 오직 황무지 바이옴에서만 잡을 수 있어 해당 타입 챌린지를 한다면 포켓몬 포획부터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그밖에 목초지 바이옴에서 밤에만 나오는 볼비트와 네오비트 등 출현 바이옴이 너무 적어 야생에서 잡기 힘든 포켓몬들이 많다.[281] 행복의알 계산법이 너프됐다가 롤백된 것이나 유저들에게 욕을 먹고 있는 버티기 토큰이 2024년 11월 18일부로 "해당 턴 모든 공격 버티기"에서 "1회만 버티기"로 너프 패치되는 등 제작진이 유저 피드백을 무시하고 있지는 않다.[282] 닌텐도는 여러 게임들, 특히 3D 게임들에 대해서는 닌텐도의 특허를 침해하지 않고는 게임을 만들 수 없는 수준의 특허를 여럿 보유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타사가 닌텐도의 특허를 사용한다고 해서 따로 법적 조치를 취하지는 않는다. 닌텐도가 민감하게 반응한 사례는 하얀고양이 프로젝트처럼 타사가 닌텐도의 특허를 법리적으로 침해하거나 수익을 창출하려고 했을 경우 정도에 그친다.[283] 이걸 어겨서 일어난 사건이 닌텐도 포켓몬 동인지 고소 사건이다. 그러나 이는 오래 전 이야기고, 시간이 지나면서 포켓몬 컴퍼니 동인계의 2차 창작에 대해서는 눈감아주고 있다. 그렇다고 명백히 허가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어디까지나 물의를 일으키지 않는 선에서 회색의 영역으로 취급하는 것이다.[284] 처음에는 부유(땅 무효)나 저수(물 무효)등, 특성으로 타입 상성이 변화하는 경우까지 고려해서 계산되었으나, 특정 타입 무효화 기술의 간접 너프로 인해서인지 이후 패치로 본가와 동일하게 기본 타입 상성 기준으로 배율을 표기하고, 실제로 특성 효과에 해당하는 기술로 타격한 이후 제대로된 배율이 표기되도록 변경되었다.[285] 프라이드 퍼레이드가 진행되는 성소수자 인권의 달.[286] 프라이드 2024 기간 이후 시작한 뉴비들 중 상당수가 이전부터 했던 사람들보다 shiny value가 평균적으로 많이 낮은 것을 감안한 버프.[287] 앞의 두 문장을 이어보면 게임을 하드하게 즐기는 한국인들이 유독 새로고침 신공을 많이 하기 때문에 트래픽이 높다고 풀이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라도 새로신공은 가급적 지양하도록 하자.[288] 만약 광고를 달거나 과금 시스템을 추가하는 순간 영리성이 생겨 게임프리크에서 바로 개입할 가능성이 크다.[289] 한글 번역본에서는 "(누적 배틀 승리 횟수) 전투에서 승리하세요!"로 오역되었다.[290] 한글 번역본에서는 '실시간' 부분을 '라이브'로 그대로 음차했다.[291]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의 개조 롬. 포켓로그의 포켓몬 융합에 해당되는 퓨전 진화체가 나온다.[292] 한글 번역본은 "집에서 인피니트 퓨전을 즐겨보세요!".[293] 원문의 Broken은 (주로 밸런스적인 의미로) 망가졌음을 뜻한다. 한글 번역본에서는 "알기술까기!"로 오역되었다.[미번역] 한글 번역본에서는 아직 번역되지 않았다.[295] 최종보스 무한다이노를 쓰러트릴 경우 나오는 대사이다. 한국어판에서는 "고무적이군." 으로 번역.[미번역] [297] 한글 번역본에서는 "오렌지 주스!"로 원문의 오타가 반영되지 않았다.[미번역] [299] 의역으로, 원문의 Difficulty Spikes는 난도가 갑작스럽게 급상승하는 것을 뜻한다.[300] 한글 번역본에서는 "무한 플래시게임 기반!"으로 오역되었다.[301] 한글 번역본에서는 '충격!우주에 브리더 진짜 계심ㄷㄷ'으로 다소 과한 의역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충격! 예수님 진짜계심이라는 짤방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