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10:57:00

팔데아지방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
메인 시리즈의 지방
신오지방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기타 시리즈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포켓몬스터/외전|{{{#ffe061 외전}}}]]
}}}}}}}}} ||
파일:1000124120.png 파일:1000124119.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861ad><colcolor=#fff> 주요 문서 제로의 비보 · 팔데아지방 (상점 · 스칼렛북 / 바이올렛북) · 발매 전 정보 · 스토리 공략 · 대전 · 평가 · 슈퍼 뮤직 컬렉션 · Celestial
등장 인물 주인공: 보민 · 푸름
라이벌: 네모 · 페퍼 · 모란 + 시유 · 카지
박사: 올림박사 / 투로박사
체육관 관장 · 챔피언과 사천왕 · 악의 조직 · 아카데미 + 블루베리 아카데미 (챔피언과 사천왕)
등장 포켓몬 팔데아도감 | 스타팅 포켓몬 · 전설의 포켓몬 · 패러독스 포켓몬
시스템 테라스탈 · 테라 레이드배틀 · 대량발생 · 피크닉 · 배틀 스쿨 워즈 · 포켓몬 홈 · 리그부(도구 프린터) · 블루베리 스페셜 레크리에이션
}}}}}}}}} ||
팔데아지방
티스푼마을 플라토마을 테이블시티 세르클마을
보울마을 누룩스시티 피케마을 카라프시티
마리네이드마을 참푸르마을 프리지마을 베이크마을
DLC로 추가된 팔데아지방 외부 지역
스이록마을
(북신의 고장)
블루베리 아카데미
(하나지방)
파일:gymlogo_badge_00^q.png 파일:gymlogo_badge_03^q.png 파일:gymlogo_badge_01^q.png 파일:gymlogo_badge_07^q.png 파일:gymlogo_badge_06^q.png 파일:gymlogo_badge_05^q.png 파일:gymlogo_badge_02^q.png 파일:gymlogo_badge_04^q.png
팔데아지방
パルデア地方 Paldea region
<nopad> 파일:팔데아지방.png
스칼렛·바이올렛
모티브 지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페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카탈루냐 지방 제외)
1. 개요2. 지형 및 구조3. 특징4. 지리
4.1. 도시 및 마을4.2. 필드4.3. DLC의 지역
4.3.1. 벽록의 가면4.3.2. 남청의 원반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6. 기타
6.1. 초기안
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1. 개요

포켓몬스터의 9세대 작품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배경이 되는 지방이다.

어원은 스페인어로 자그마한 마을을 의미하는 여성명사 Aldea이며[1], 전체적인 분위기는 카탈루냐의 랄데아(L'Aldea)가 모티브로 추정된다.[2] 해당 도시에서는 이번 작품의 PV가 촬영되었다.

2. 지형 및 구조

이베로아메리카 문화권이 모티브이며, 이베리아 반도, 그 중에서도 스페인이 모티브의 핵심이다. 다만 해당 지역의 포켓몬들의 구성을 보면 포르투갈중남미와도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다.[3] 중남미는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를 써서 이베로아메리카에 포함된다.

중앙에 팔데아의 대공이 위치하며 팔데아의 대공을 중심으로 주변을 둘러싸는 원형 구조이다. 따라서 고도 차이와 바다 지형을 제외하면 초반부터 갈 수 있는 지역에 전혀 제한이 없는 포켓몬 시리즈 최초의 오픈 월드 지방이다. 물론 스토리상 처음부터 모든 지역을 들를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레전드 루트를 통해 전설의 포켓몬의 라이드 기능을 획득해야 갈 수 있는 곳이 늘어난다. 또한 초반에는 스타단 단원들이 바리케이드를 치고 있는 곳도 존재한다.

3. 특징

오픈 월드 특성 상 '도로' 개념이 존재하지 않고 도시/마을 외의 구역은 '(방향) 에리어 (숫자)' 형식으로 구분되며 가라르지방과 마찬가지로 지역의 지명이 외래어로 되어 있다. BGM은 구역에 따라 나뉘며 걸어갈 때와 라이드를 탈 때 BGM이 바뀐다. 또한 야생 포켓몬 배틀 BGM 역시 구역에 따라 달라 구역의 필드 BGM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편이다.

전반적으로 도시/마을 규모가 상당히 큰 편에 속하고 특히 '시티' 네이밍을 받은 장소들은 타 지방의 대도시들 이상의 규모감을 자랑한다. 단, 기존 시리즈와 달리 일반 민가에 들어갈 수는 없으며 내부 구조가 구현되어 있는 가게는 한정적이다.[4] 레스토랑의 경우 프렌차이즈처럼 대도시에 같은 가게가 여럿 있거나 다른 도시나 마을에서도 같은 가게가 자주 발견되는데 의류 가게나 딜리버드 파우치는 '시티' 네이밍을 받은 3곳에만 존재한다.[5]

또한 5세대의 배경인 하나지방은 뉴욕주와 뉴저지주만 따와서 지형적인 모티브로 삼았고, 6세대의 배경이 되는 칼로스지방이 북부 프랑스 쪽만 나온 데 비해 팔데아지방은 현실 세계 지도로 대입했을 때 카탈루냐 지방을 제외한 이베리아 반도 전역을 갖고 온 형태를 하고 있어서 역대 지역 중 가장 넓다.

전체적으로 지형이 매우 험준한 편으로, 팔데아지방 사람들은 (주인공을 제외한) 라이드 포켓몬으로 모토마를 타고 다닌다.

4. 지리

4.1. 도시 및 마을

<rowcolor=#fff> 모습 필드 표어[6] 모티브
파일:티스푼마을.png <colbgcolor=#faeab6> 티스푼마을 '조금 소박한, 작은 마을' 안달루시아 카디스[7]
파일:플라토마을.png 플라토마을 '가볍게 들를 수 있는 평온한 마을' 그라나다
파일:테이블시티.png 테이블시티 '팔데아에서 가장 큰 마을' 마드리드+바르셀로나+리스본
파일:세르클마을.png 세르클마을 '올리브와 똑같은 모양인 서클이라고도 읽는 마을' 세비야
파일:보울마을.jpg 보울마을 '꽃과 예술의 마을' 캄포 데 크립타나+무르시아
파일:누룩스시티.png 누룩스시티 '하이테크와 비즈니스의 도시' 발렌시아
파일:피케마을.png 피케마을 '부지런한 일꾼들이 많은 채굴의 마을' 쿠엥카
파일:카라프시티.png 카라프시티 '물의 마을' 살라망카
파일:마리네이드마을.png 마리네이드마을 '명물인 시장은 사람들로 북적인다' 포르투
파일:참푸르마을.png 참푸르마을 '조금 혼잡해 보이는 마을' 바야돌리드
파일:프리지마을.png 프리지마을 '눈과 진혼의 마을' 포테스
파일:베이크마을.png 베이크마을 '별과 도자기의 마을' 알부페이라

4.2. 필드

팔데아지방의 필드 및 시설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티스푼 오솔길 아카데미 로스트 사막 오야 호수
누룽지 숲길 표식의 나무숲 나페산 팔데아의 대공
DLC로 추가된 팔데아지방 외부 지역
<rowcolor=#fff> 북신의 고장[A] 테라리움 돔[B]
[A]: 어느 지방인지 밝혀지지 않음
[B]: 하나지방에 위치함
}}}}}}}}}

팔데아지방의 에리어 일람
북부 에리어
서부 에리어 팔데아의 대공 동부 에리어
남부 에리어
  • 생물군계
    팔데아지방의 에리어들은 여러 생물군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물군계에 따라 서식하는 포켓몬도 다르다. 예를 들어 팔데아 서부의 로스트 사막에는 사막뿐만 아니라 폐허도 존재하며, 폐허 부근에는 사막에선 살지 않는 벼리짱이 살고 있다. 실제로 9세대의 포켓몬 도감에서 벼리짱의 서식지를 보면 폐허에 서식한다고 나와 있다. 생물군계들은 포켓몬 도감의 서식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에리어마다 고유의 생물군계를 가지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남부 에리어 2에는 다른 지방에는 없는 올리브밭이 있다.
    • 초원: 잔디로 덮인 저지대가 해당한다.
    • 나무/숲: 나무 근처가 해당한다.
    • 마을: 마을 근처가 해당한다.
    • 사막/황무지/해변: 로스트 사막과 낙원의 황무지 및 코스트 에리어의 해변이 해당한다.
    • 산: 눈 없는 고지대가 해당한다.
    • 눈이 쌓인 곳: 나페산에서 볼 수 있다.
    • 습지/논: 남부 에리어 5 또는 북신 가도가 해당한다.
    • 연못/호수: 고인 물이 해당한다.
    • 물가: 강이 해당한다.
    • 바다: 바다 및 코스트 에리어의 물가가 해당한다.
    • 지하: 에리어 제로의 지하가 해당한다.
    • 암석 지대: 남부 에리어 3과 바위 위가 해당한다. 예외적으로 서부 에리어 1의 거대 바위 위는 산이다.
    • 동굴: 동굴이 해당하나, 도깨비이빨 공동은 암석 지대이다.
    • 모래 해변: 팔데아의 해변이 해당한다.
    • 꽃: 꽃밭이 해당하며 생물군계 양이 적다.
    • 대나무 숲: 북부 에리어 3나 해당하며, 테라리움 돔의 일부 포켓몬의 스폰 포인트[8]가 대나무 숲 생물군계로 되어있다.
    • 광산: 동부 에리어 3이 해당하며 서식하는 포켓몬은 대부분 마을이나 사막과 겹친다.
    • 올리브밭: 남부 에리어 2의 색깔이 진한 지대가 해당한다.
    • 폐허: 팔데아 곳곳의 유적이 해당한다.
    • 전기돌: 전기돌의 암굴의 결정 근처가 해당한다.
    • 동굴 상부: 전기돌의 암굴 상부에 분포하며 또한 폴라 에리어에서 폴리곤의 스폰 포인트가 이 생물군계다.
    • 동굴 물: 북신의 고장에서만 볼 수 있는데 팔데아지방에서도 해당할 만한 곳이 존재한다.
    • 진흙[9]: 사바나 에리어의 흙탕물 웅덩이가 해당한다.

4.3. DLC의 지역

4.3.1. 벽록의 가면

북신의 고장(キタカミの里 / The Iand of Kitakami)

벽록의 가면의 주 배경이 되는 지역. 주인공이 다른 학교와 공동으로 개최되는 자연 학교의 멤버로 선출되어 방문하게 된다. 팔데아 외부의 지역으로 일본풍 분위기를 풍기며 주요 마을로는 스이록마을이 있다.

4.3.2. 남청의 원반

블루베리 아카데미(ブルーベリー学園 / Blueberry Academy)

남청의 원반의 주 배경이 되는 시설. 주인공이 다니는 오렌지/그레이프 아카데미의 자매결연 학교로 교환유학을 가게 된다. 학교 대부분이 바닷 속에 자리잡고 있으며 하나지방에 위치한다.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5.1.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팔데아지방(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팔데아지방(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팔데아지방(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기타

  • 현실과 비교했을 때 스페인포르투갈 2개의 국가가 동시에 존재하는 지방 중 하나인데 본작에선 아예 같은 지방으로 취급한다.[10][11] 이는 역사 수업에서 이유를 알 수 있는데 본작으로부터 800년 전, 팔데아제국이 대공 탐사만 천년이 넘도록 자본을 부은 결과 국력이 매우 약해져 멸망하고 인근 국가에 합병, 현재의 팔데아지방이 되었기 때문이다.[12]
  • 모티브를 감안할 때, 구름으로 가려진 북동쪽 지역프랑스를 배경으로 한 칼로스지방과 지리적으로 붙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물론 인게임 내에서 타 지방이 구현되어 있지는 않다.[13] 다만 이후 ZA에서 산을 넘어 팔데아지방으로 간다라는 NPC가 등장하면서 실제로 가까이 붙어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위의 칼로스 떡밥과는 별개로 지도 북동부에 구름으로 뒤덮인 지역에 계속되는 길이 있지만 중간에 거대한 절벽으로 가는 게 막혀있는데 다른 절벽들과는 다르게 땅과 연결된 부분이 부자연스럽게 되어있다.[14] 게다가 이 부분은 미니 맵의 타운 맵에도 접경지역은 국경 표기하듯 점선으로 구분되고 구역 전체는 대놓고 빗금 처리[15]되어 있기에 추후 DLC로 이 빗금처리된 구역이 해금되는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다. 하지만 남청의 원반 이후에도 해당 지역은 해금되지 않은 채로 남았다.
  • 음식과 연관이 많은 지방이다. 팔데아에는 음식을 모티브로 한 포켓몬들[17]이 유독 많은 편이며, 도시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파는 식당들이 곳곳에 있고, 지명들도 대부분 음식과 식기에서 따온 것이다.
  • 거의 모든 NPC에게 말을 걸 수 있었던 기존 시리즈와는 달리 일부 NPC에게는 말을 걸 수 없거나 간단한 멘트 정도만 나오며 말을 걸 수 있는 NPC의 경우 가까이 가면 위에 말풍선이 뜬다.
  • 팔데아지방에는 트레이너 간 강제 전투가 없으며 눈을 마주치면 반드시 배틀을 하는 것이 아니라 주인공이 말을 걸어야 배틀에 돌입한다. 때문에 넓은 지형 대비 트레이너 수가 상당히 적고 밀도도 낮으며 원한다면 트레이너와 반드시 싸우지도 않고 게임을 클리어할 수도 있다. 다만 일부 포켓몬센터 NPC에게 말을 걸면 상대한 트레이너 수에 따라 보상을 주며 그 중에는 부족한 기술폭을 채워주는 기술머신도 몇 개 있고 경험치와 돈도 두둑하니 여유가 있다면 상대하는 편이 좋다.
  • 6세대의 칼로스지방부터 있었던 지방의 메인 테마 BGM이 없는 지방이다. 정확히는 포켓몬스터 시리즈 전통의 오프닝에서 흘러나오는 BGM이 지방 메인 테마 BGM이 아닌 아카데미의 메인 테마곡이다. 공식 홍보영상에서도 아카데미의 BGM을 사용한다. 그이외의 테마곡으로는 여러 BGM에서 라이트모티프로 삽입된 남부 에리어 테마곡이 있다.
  • 팔데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10가지 경치라는 의미로 팔데아 10경이 언급된다. 해당 지역은 방문 시 공중날기 가능 스팟으로 등록된다.
    • 열주동굴(서부에리어 2)
    • 올리브 대농원(남부에리어 2)
    • 조용한 비치(남부에리어 5)
    • 수몰된 사탑(남부에리어 6)
    • 100만 볼트의 야경(동부에리어 3)
    • 마구찌르기 폭포(북부에리어 2)
    • 오야 대폭포(오야 호수)
    • 감사암(오야 호수)
    • 팔데아 최고봉(나페산)
    • 나페의 손(나페산)

6.1. 초기안

2025년 10월 유출된 초기안에 따르면, 원래는 팔데아의 대공이 없고 타이탄지방(현 팔데아지방)의 북쪽에 전설의 섬이 여럿 산재하는 형태였다. 약 1000년 전의 오래된 지도에는 타이탄지방 북쪽에 빛나는 재보가 가득하고 보지 못한 포켓몬들이 가득한 존재할리 없는 섬이 그려져 있어서, 사람들이 재보를 찾아 로망을 불태웠으나, 수백년간 그 누구도 해당 섬을 실제로 발견한 적 없어서 옛날 사람들의 환상으로 그려진 존재하지 않는 섬이라고 정의되었고, 모두의 기억에서 잊혀졌다고 되어 있다.[18]

실제로 초기안에서는 카르타 마리나[19]를 참고자료로 두고 있고, 초기안 컨셉 지도에서는 타이탄지방 북쪽에 정육각형 형태의 섬이 여럿 산재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초기안에서 네모와 페퍼의 원형이 되는 A짱[20], B군[21]은 발견되지만, 모란은 이후에 추가된 캐릭터인지 아예 원형이 되는 캐릭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만 해도 스타단 대신 마치단이라는 군악대를 모티브로 한 단체가[22][23] 존재했기 때문에, 모란은 마치단이 스타단으로 수정되면서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

초기에는 체육관은 오직 4개밖에 없었으며, 북쪽의 환상의 섬들에서 얻을 수 있는 타입 징표가 체육관 배지와 공명한다는 식으로 기획안이 짜여 있었으나, 해당 기획안에서는 체육관이 고작 4개, 기믹 자체가 적은데 괜찮을까?라고 의문을 같이 기재하고 있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
작품별 주요 배경지역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in-width:33%;min-height:2em;"
{{{#!folding [  메인 시리즈 ]
{{{#!wiki style="margin:-6px -1px -4px;text-align:left;"
<rowcolor=#FFCC00,#FFCC00> 작품 주요 배경지역
<colbgcolor=#FFF,#1c1d1f> 레드
그린

블루
피카츄옐로
파이어레드
리프그린

레츠고! 피카츄
레츠고! 이브이
관동지방
골드
실버

크리스탈
하트골드
소울실버
성도지방
관동지방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오메가루비
알파사파이어
호연지방
디아루가다이아몬드
펄기아

기라티나플래티나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
샤이닝

LEGENDS 아르세우스
신오지방 (히스이지방)
블랙
화이트

블랙 2
화이트 2
하나지방
X
Y

LEGENDS Z-A
칼로스지방 (미르시티)


울트라
울트라
알로라지방
소드
실드

갑옷의 외딴섬
왕관의 설원
가라르지방 (갑옷섬 · 왕관설원)
스칼렛
바이올렛

제로의 비보
팔데아지방
북신의 고장 (스이록마을)
하나지방 (블루베리 아카데미)
파일:500px 빈이미지.png
}}}}}}}}}
[  외전 시리즈  ]
[  TV 애니메이션  ]
}}} ||
[1] 정확히는 Pokémon(포켓몬) 혹은 Pal(친구를 뜻하는 영어 단어)+Aldea인 것으로 추정된다.[2] 다만 카탈루냐에 해당하는 지역은 본작에서 출입할 수 없다.[3] 중남미에 서식하는 바실리스크도마뱀 혹은 중남미 전설의 케찰코아틀을 모티브로 삼은 듯한 코라이돈이 있으며, 중남미에 서식하는 조로여우 관련 레퍼런스인지 히스이 리전 폼 포켓몬 중 최초로 생존 확정 소식을 알린 포켓몬이 히스이 조로아크이다.[4] 대부분 가게는 입구에 들어가면 바로 상품 구매 목록이 나온다.[5] 전작에서는 일부 마을에서도 의류나 도구를 구입할 수 있었기 때문에 장식/도구 컬렉팅을 할 경우 여러 도시를 찾아다녀야 했다. 다만 도시마다 부티크 하나에서 모든 의류를 팔았던 전작들과 달리 부위별로 파는 가게가 다르기 때문에 한 도시 내에서도 아이템을 사려면 여러 가게를 돌아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다.[6] 기존 시리즈와 다르게 각 도시 및 마을 입구에 있는 NPC를 통해 설명을 들을 수 있다.[7] 정확힌 안달루시아 남부 전반이다. 주인공의 집쪽이 카디스, 네모네 집쪽이 알헤시라스[8] 가라르 야돈 및 사마자르[9] 코드네임이 화산이다.[10] 신오지방이 그러한데, 파이트에리어가 있는 이 그러하다.[11] 사실 신오지방의 경우 배틀존은 작품 내적으로는 다른 지방 취급이다. 팔데아와 북신의 고장과의 관계에 가깝다.[12] 다만 이 인근 국가의 정체는 영문판 한정 일부 요소가 독일식으로 로컬라이징 되었다는 점(보민의 영어 이름 플로리안은 주로 독일 남성들에게 쓰이는 이름이고 팔자크의 영칭 하셀 역시 독일어권에서 보이는 성으로 저지 늪지대 거주자들이 쓰던 성이다. 포케스페에서 보민을 모티브로 한 남성 도감 소유자 바이올렛 랑의 성 랑 역시 독일에서 종종 보이는 성씨이다. 포켓몬은 파밀리쥐, 바우첼의 영어 이름이 독일식으로 로컬라이징 되었다.)에서 독일을 모티브로 한 국가나 옆나라 프랑스를 모티브로 한 칼로스지방의 고대 의상을 보면 이탈리아를 모티브로 한 국가일 수 있다.[13] 엄밀히 말하면 칼로스지방은 프랑스 북부지역에 해당하므로, 현실 지구와 지형이 유사하다면 칼로스와 바로 붙어있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았으나, 게임프리크 대규모 정보 유출 사건으로 인해 남부칼로스의 존재가 확인되었기에 해당 지역은 칼로스와 붙어있다고 볼 수 있다. 아래 서술되었듯이 팔데아지방 지도에 프랑스 서남부, 이베리아 반도 북동부에 해당하는 지역에 빗금표시가 되어 있다.[14] 버그를 이용해서 벽을 뚫고 올라가도 보이는 것은 단순한 무미건조한 암반 뿐이며, 일정 이상 넘어가려고 하면 강력한 바람에 의해 역으로 밀려나서 다시 되돌아가게 된다.[15] 해당 빗금처리가 된 구역은 맵에 한 군데가 더 있는데, 세 가지 루트를 클리어하기 전까지는 출입이 불가능하지만 클리어하면 갈 수 있는 팔데아의 대공이다.[16] 외전 게임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모란이 자신이 가라르지방 출신임을 밝히며 전에 유적이 파괴됐다고 들었다는 걸로 봐서는 비교적 최근에 있었던 일로 보인다.[17] 올리브-올리르바, 프레첼-바우첼, 버섯-육파리,소금-콜로솔트,고추-스코빌런,초밥-싸리용[18] 이 섬들은 전설의 포켓몬에게 탄 상태로만 도달할 수 있으며, 버전에 따라 1000만년 전, 1000만년 후의 디자인으로 하라는 지시가 적혀 있다. 패러독스 포켓몬의 컨셉 자체는 이 때 이미 존재하고 있었던 것.[19] 16세기 스웨덴 교회에서 노르딕 국가 인근 해역을 그린 해도.[20] 코멘트에 따르면 "A짱: 여자 라이벌. 이야기를 주도하는 사람. 머리가 좋고 배틀이 강하다. 학교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지만, 뒤에서는 궤도에 붙들린 인생에 괴로워하고 있다."라고 기재되어 있다.[21] 코멘트에서는 "B군은 느긋한 성격. 그다지 목적 없이 살고 있다. 능력은 우수하기 때문에, 학교에 가게 되었다. 후에 자신의 느긋함에 고민하여, 답을 찾는다", "이후 A짱, B군은 계속 친구로서 같이 여행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22] 코멘트에서는 "마치단. 악단 코스프레. 약간 군대 느낌이 나올락 말락 한 라인. 단원에게는 자아가 없는 듯 보이고, 통솔이 제법 취해져 있다. 상사의 신호로 뭐든 한다. 높은 녀석은 지휘봉을 들고 있다. 궤도에 붙들린 인간의 말로."와 "스컬단, 옐단처럼, 느긋한 단체가 이어졌기 때문에, 이번에는 멋진 단체의 디자인. 오오무라 군에게 그려받은 느낌. 방향성은 플라스마단"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마치단 단장은 이 시점에서 타이탄지방의 챔피언 대리. 이 시점에서 챔피언은 행방불명된 상태였기 때문에 가장 뛰어난 존재였던 마치단 단장이 대리를 취한 것.[23] 챔피언은 주인공의 아버지. 이상향을 꿈꾼 뒤 거북 포켓몬의 힘으로 그 꿈을 현실로 바꾸어 그 안에 틀어박혀 있었다. 다만 아버지라는 것 자체는 암시만 하고(은거하고 있는 이상향에 세워진 집이 주인공의 집과 동일하고, 주인공의 집으로 치면 아버지의 서재에 해당하는 방에 있다는 것으로 암시. 얼굴은 그림자에 가려져 안 보인다) 실제로 작중에서 밝혀지지는 않는다고. 쓰러트리면 챔피언의 증표, 거북 포켓몬, 수수께끼의 편지(이후 어머니가 읽는다)를 주고 이상향의 공간이 붕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