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토요타 야리스(XP150)]]{{{#!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
|
|
Toyota Vios / Yaris / Yaris ATIV / Limo[1] |
1. 개요
토요타에서 2002년부터 아시아, 남미 시장에서만 판매하는 소형 세단 차량.XP150계 야리스의 파생형 모델에 속한다.
2. 세대별 일람
2.1. 1세대 (XP40, 2002~2007)
| |
| |
<rowcolor=#fff> 전기형(2002~2005) | |
| |
| |
<rowcolor=#fff> 후기형(2005~2007) |
2002년 6월 베이징에서 열린 오토 차이나 2002에서 중국에서 '샤리 2000'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던 에코(Echo)를 기반으로 제작된 '토요타 T-1'이라는 프로토타입 모델로 처음 공개되었다. 중국 및 동남아시아 시장 전용 차량으로 출시되었으며, 1996년부터 2002년까지 동일 지역에서 판매된 토요타 솔루나의 후속 차종으로 솔루나보다 당시의 최신 기술이 집약되어 있었으나 가격은 비슷한 정도였다고 한다.
2002년 10월부터 중국 톈진의 FAW 토요타에서 생산을 시작함과 동시에 시장에 출시되었으며, 또한 11월에는 태국 찬초엥사오 주 플렝야오 군의 게이트웨이 시티에 위치한 토요타 게이트웨이 공장에서도 생산되었으며 곧바로 태국 시장에도 출시가 진행되었다. 동남아 시장에서는 J, E, G, S 트림이 제공되었고, 중국에서는 DLX, GL, GLX, GLXi 트림이 판매되었다.
플라츠(Platz)를 기반으로 차체 패널을 수정해 제작되었고, 일부 디자인은 E120 시리즈 코롤라에서 영향을 받았다. 토요타 비츠와 토요타 플라츠처럼 계기판은 대시보드 중앙 상단에 위치해 있다.
엔진은 대만,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는 가변 밸브 타이밍인 VVT-i가 적용된 1.5L 직렬 4기통 1NZ-FE 엔진이 적용되었으며, 필리핀 시장에서는 1.3L 직렬 4기통 2NZ-FE 엔진이 적용되었다. 중국 사양의 경우에는 '웨츠(威驰, Wēichí)'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며, 직렬 4기통 1.5L 5A-FE 엔진/직렬 4기통 1.3L 8A-FE 엔진이 적용되었으나, 2006년에 1.3L 2SZ 엔진/1.5L 3SZ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2005년 9월에는 2006년식으로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외관과 실내에 소폭 변화가 있었다. 이때 전면 범퍼, 헤드라이트, 테일라이트, 알로이 휠 디자인, 계기판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실내에는 콘솔 박스가 추가되었다. 2007년 단종됐으며, 대만 시장에서는 2013년까지 생산되었다. 또한, 인도네시아 투어링카 챔피언십과 태국의 원메이크 레이스에도 출전한 경력이 있다.
1세대 바이오스는 인도네시아에서 판매된 택시 전용 모델은 ‘리모(Limo)’라는 모델명으로 옵션 거의 다 빠진 깡통 트림으로 제공되었다. 태국에서도 코롤라 기반인 '리모'라는 모델명을 가진 택시가 존재했었다. 중국에서는 경찰차로도 운행됐었다.
2.2. 2세대 (XP90, 2007~2013)
| |
| |
<rowcolor=#fff> 전기형(2007~2010) | |
| |
| |
<rowcolor=#fff> 후기형(2010~2013) |
토요타 벨타[2]의 해외 사양 차량으로 2007년 3월에 태국 시장에 출시된 이후, 싱가포르 시장과 인도네시아 시장에 순차적으로 출시되었으며, 중국 시장에는 2008년 2월 29일에 투입되었다.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는 4기통 1.5L 1NZ-FE형 엔진이 적용되었고, 4기통 1.6L 1ZR-FE형 엔진과 4기통 1.3L 2NZ-FE은 중국 시장 차량에서만 사용되었다. 2010년 3월 8일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차량이 공개되었는데, 기존과 다른 형태의 차량으로 4월부터 동남아시아 시장에 순차적으로 변경되었다.
벨타의 단종 이후에도 2013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멕시코에서는 2016년까지 생산되기도 하였다.
2.2.1. 바이오스 TRD 스포티보
| |
<rowcolor=#fff> VIOS TRD SPORTIVO(2008~2013) |
2.3. 3세대 (XP150, 2013~현재)
| |
| |
바이오스 | |
| |
| |
중국형 | |
<rowcolor=#fff> 초기형(2013~2016) |
2013년 3월 방콕 모터쇼에서 최초공개가 되었으며,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는 싱가포르,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시장에 순차적으로 투입되었다. 그 해 11월에는 중국 시장에서도 출시되었다. 디자인은 2012년 4월 오토 차이나에서 처음 공개된 ‘디어 친(Dear Qin)’ 세단 콘셉트에서 미리 선보여졌다. 토요타는 3세대 바이오스를 아시아 외 지역까지 포함한 글로벌 모델로 개발하고자 했다. 따라서 플랫폼은 토요타 EFC 플랫폼이 적용되었다. 태국에서 먼저 출시된 후, 아시아 지역에서는 동년 2분기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전반적인 디자인 스타일은 이후 출시된 동남아 시장용 XP150 시리즈 야리스 해치백에 반영되었다. 이전 세대와 달리 계기판이 더 이상 대시보드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다.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중동 등 일부 지역에서는 '야리스 세단(Yaris Sedan)'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멕시코와 일부 남미 국가에서는 글로벌 시장용 XP150 시리즈 비오스가 '야리스 세단(Yaris Sedán)'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며, 마쯔다2 기반의 야리스 R과 함께 판매되었다.
2016년 6월에 중국에서 1차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2017년 1월에는 태국 시장에 출시되었다. 새로운 외관 패널과 실내 디자인이 적용되었고, 전면부는 야리스 해치백과 동일한 스타일을 공유했다. 플랫폼은 강성을 높이기 위해 용접 부위가 추가되었고, 소음, 진동, 충격 억제 성능도 강화되었다. 토요타에 따르면 차체 강성 및 진동, 소음 절감 부문에서 약 11%의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대시보드에는 이전보다 40% 더 많은 방음재가 적용되었다고 한다.
태국에서는 에코카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 1.2L 엔진을 탑재한 ‘야리스 아티브(Yaris Ativ)’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태국에서의 바이오스는 중국형 야리스 세단 형태에 1.5L 엔진을 탑재한 고성능 모델로 판매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장에서는 중국과 태국 전용으로 판매된 1차 페이스리프트 바이오스 디자인이 아닌, 태국형 야리스 Ativ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XP150 시리즈 비오스/야리스 세단은 미국, 캐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뉴질랜드에서는 판매되지 않았다. 이들 국가에서는 2세대(XP90) 세단이 야리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나, 판매 부진으로 인해 2011년 말 단종되었고, 2012년부터는 XP130 모델만 판매되었다. 이후 2015년부터 북미에서 야리스 세단이 다시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이 모델은 마쓰다 2를 기반으로 마쓰다가 토요타를 위해 생산한 모델이다.
| |
| |
바이오스 | |
| |
| |
중국형 바이오스 FS | |
<rowcolor=#fff> 전기형(2016~2020) |
2017년 3월에는 5도어 해치백 차량인 '바이오스 FS'와 형제 차량 겸 4도어 세단인 '야리스 L 세단'이 출시되었다. 2018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대만 시장에서 페이스리프트 차량이 출시되었다.
| |
| |
인도네시아(2018~2022), 대만 사양(2018~현재) | |
| |
| |
말레이시아(2020~2023), 필리핀(2020~현재) | |
<rowcolor=#fff> 중기형(2017~현재) |
2017년 12월, 야리스 ATIV 기반으로 한 1차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다. 싱가포르에서 첫 판매가 시작됐다. 말레이시아에는 2019년 도입됐지만, 1년만에 2차 페이스리프트가 진행되었다.
2020년에는 말레이시아 시장에서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됐다. 현재 필리핀에서만 판매중에 있다. 2024년 기준으로 43,636대를 판매해 최고치를 찍었다.
| |
| |
<rowcolor=#fff> 베트남 후기형(2023~현재) |
2023년 5월에는 베트남 시장에서 3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됐다. 현재 이 모델은 베트남과 파키스탄에서만 판매 중이다. 오토바이 천지인 베트남에선 국민차 급 인기를 얻고 있으며, 전체 판매량 및 중고차 판매량 1위를 달성했다. 덕분에 토요타가 베트남에서 무섭게 치고 올라온 현대자동차와의 경쟁에서 1위를 수성할 수 있게 해준 1등 공신이 바로 바이오스다.
2.3.1. 바이오스 GR 스포트
| |
|
2.3.2. 바이오스 스포티보
| |
전기형 | 후기형 |
<rowcolor=#fff> VIOS SPORTIVO |
2.4. 4세대 (AC100, 2022~현재)
| |
| |
<rowcolor=#fff> 전기형(2022~현재) |
2022년 8월 9일 태국에서 ‘야리스 아티브(Yaris Ativ)’라는 이름으로 최초 공개되었으며, 이로 인해 태국 시장에서는 더 이상 ‘바이오스’라는 명칭으로 판매되지 않는다. 이 모델은 토요타와 다이하츠의 합작 회사인 ‘이머징 마켓 콤팩트 카 컴퍼니(ECC)’를 통해 다이하츠 주도로 개발되었으며, 총괄 책임 엔지니어는 가미노 히데유키이다. 때문에 플랫폼은 토요타 TNGA 플랫폼의 다이하츠 명칭인 DNGA-B가 적용되었다. W100 시리즈 아반자/벨로즈와 동일한 DNGA-B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지만, 다른 다이하츠 주도로 개발이 이뤄진 모델들과 달리, 다이하츠 엠블럼 적용 버전은 존재하지 않는다. 새 플랫폼 적용으로 이전 세대보다 휠베이스가 70mm 길어진 2,620mm를 달성했고, 패스트백 스타일의 루프 라인이 적용되어 측면 유리창 라인이 후면부까지 확장되었다.
글로벌 시장에서 보통 베이스, E, G의 세 가지 트림으로 구성된다. 엔진은 1.3L 또는 1.5L가 탑재되며, 5단 수동변속기 또는 7단 자동변속기와 유사한 성능을 내는 CVT와 조합된다. 최상위 트림은 CVT만 제공되며,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와 후륜 디스크 브레이크가 기본으로 장착된다. 국가별로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TSS)’는 중간 및 상위 트림에 기본 또는 옵션 사양으로 제공된다.
실내는 이전 세대보다 더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도록 설계되었으며, 여러 부위에 가죽 소재가 적용되었다. 또한 상위 트림에는 64색 앰비언트 라이팅 시스템이 옵션으로 제공된다. 일부 시장에서는 7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파이오니어 브랜드 스피커도 옵션 사양으로 제공된다.
중동과 남미 시장에서는 야리스 혹은 야리스 세단으로, 태국에서는 뒤에 ATIV를 붙인 야리스 ATIV로 판매된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에서는 바이오스 명칭을 계속 이어나간다.
아시아 밖에서 판매되는 지역은 중동 등지밖에 없다.
3. 경쟁 차종
4. 둘러보기
- [ GRMN ]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경차 - iQ · iQ 슈퍼차저 소형차 - 야리스(2022) · 야리스(2018) · 비츠(2018) · 비츠 터보(2013) 중형차 - 마크 X(2013) · 마크 X(2019) 대형차 - 센추리(비매품) 대형 SUV 센추리 SUV(개발중) - 스포츠카 - 86
- [ GR SPORT ]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경차 다이하츠 코펜 · 위고 · 아기아 - 소형차 야리스 · 아쿠아 · 바이오스 - 준중형차 코롤라 프리우스 PHV · 프라우스 알파 중형차 캠리 마크 X 스포츠카 - 86 소형 SUV C-HR · 러시 · 라이즈 · 야리스 크로스 - 준중형 SUV 라브4 · 코롤라 크로스 - 중형 SUV - 해리어 준대형 SUV 포츄너 - 대형 SUV 랜드 크루저 - MPV - 노아 · 복시 소형 픽업트럭 하이럭스 -
- [ GR PARTS ]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소형차 GR 야리스 · 야리스 · 루미 - 준중형차 프리우스 - 중형차 캠리 - 준대형차 크라운 - 스포츠카 86 - 소형 SUV 야리스 크로스 - 중형 SUV 해리어 - MPV 노아 · 복시 - 소형 픽업트럭 하이럭스 -
- [ GR Heritage Parts ]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준중형차 AE86 코롤라 레빈 / 스프린터 트레노 - 스포츠카 2000GT · A70 수프라 · A80 수프라 - 대형 SUV 랜드 크루저 40 · 랜드 크루저 60 · 랜드 크루저 70 · 랜드 크루저 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