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2 15:48:15

Tu-22M

파일:로고 투폴레프.png
{{{#!wiki style="margin: 0 -10px;"
{{{#29387d,#8091d8 {{{#!folding [ 투폴레프 항공기 목록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e5e5e5
민항기
터보제트 터보팬 터보프롭
<colbgcolor=#ffffff,#191919> 쌍발기 Tu-104 Tu-124Tu-134Tu-204Tu-334 -
3발기 - Tu-154 -
4발기 Tu-144Tu-244 Tu-114
전투기
프로펠러기 I-15, I-15bis, I-153
제트기 Tu-128
폭격기
프로펠러기 TB-6SBTB-3Tu-2Pe-8Tu-4Tu-95
제트기 Tu-16
초음속기 Tu-22Tu-22MTu-160
대잠초계기
프로펠러기 Tu-142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ussian_Air_Force_Tupolev_Tu-22M3_Beltyukov.jpg
Туполев Ту-22M
Tupolev Tu-22M

1. 개요2. 제원3. 상세
3.1. 실전
4. 무장5. 모형화6. 대중매체에서7. 기타8. 둘러보기9. 참고 링크

1. 개요

소련에서 개발된 전선폭격기[1]전략폭격기.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까지 소련 위협론의 유력한 증거로 떠들썩했던 초음속 폭격기로, NATO 코드명은 백파이어(Backfire)이다.

2. 제원

Tu-22M 제원
전폭 34.28m(23.30m)
전장 42.46m
전고 11.05m
주익면적 183.53㎡
자체 중량 54,000kg
최대 이륙 중량 124,000kg
엔진 쿠즈네초프 NK-25 터보팬(55,115파운드) × 2
최대 속도 마하 1.88
실용 상승 한도 43,635피트[2]
전투 행동 반경 2,410km
항속거리 6800km
무장 23mm GSh-23 기관포 1문
Kh-22 대함미사일 3발
Kh-15P 킥백 SRAM 6발
FAB-250 69발 / FAB-1500 8발
내부폭탄창과 외부 하드포인트 2개소에 최대 24,000kg 탑재 가능
항전장비 PN-AD 레이더
NK-45 항법/공격 시스템 등
승무원 4명
초도 비행 1971년 8월 30일(Tu-22M1)
1977년 6월 20일(Tu-22M3)

3. 상세

대륙간 대양 횡단비행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유라시아 대륙의 주변 작전시 전역 폭격기로 사용되는 기종이라는 평가가 옳은 듯하다. 또한 미국의 항공모함 전단에 대항하기 위해 러시아 해군러시아 항공우주군과 양분해 가지고 있었으나, 러시아군의 전력 재배치로 해군 항공대에 배치되어 있던 기체 전량이 항공우주군에 이관되었다. 북대서양 및 북태평양을 작전구역으로 삼고 있다.

Tu-22의 현대화 개량형이라는 의미의 Tu-22M이 제식명칭이지만, 전체의 레이아웃과 성능면에서 Tu-22 개량형 수준과는 거리가 멀다. 외관만 볼 경우에는 아예 다른 항공기로 봐도 될 정도다. 속도 우선주의에 항속 성능이 빈약했던 Tu-22의 불만에 따라 가변익(VG)을 채택하여 마하 2급의 가속성능과 항속거리 연장을 만족시키는데 성공하였다.

Tu-22M의 개발은 1964년경부터 시작되어, 당초 Tu-22가변익을 부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설계가 진행되면서 동체의 측면에 가변익이 포함된 독특한 공기흡입구를 적용하면서 전체적으로 완전히 다른 디자인이 되었다. 원형인 Tu-22M-0(9기 제작)의 1호기는 1969년 8월에 첫 비행하였으며, 테스트 직후 서방측 정보기관에서 존재를 알아차리고, 다음해 7월에 정찰위성이 모습을 포착하면서 폭격기라 B로 시작하는 백파이어라는 코드네임을 붙였다.

1970년대 당시에 백파이어 폭격기의 등장은 아직 미국의 초음속 가변익 폭격기인 B-1 폭격기가 1974년 등장하기 전이어서 소련의 항공기술과 공군력에 대해 서방에 강한 인상을 주었다. 그래서 소련의 초음속 가변익기의 낯설고도[3] 멋진 기체 모습이 매스컴에 대대적으로 소개되고 성능, 특히 저공침투 능력이 과장되어 알려져서 미국과 NATO측 군 관계자 등은 서방의 핵방공망에 헛점이 생겼다고 큰 우려를 하였다. 그래서 70-80년대 스릴러 소설이나 영화 등에 백파이어 폭격기가 환상적 침투력을 가진 폭격기로 자주 등장하기도 했다. 백파이어 폭격기의 등장은 미국 B-1 폭격기의 개발방향에도 영향을 주어 1974년에는 초음속고공폭격기로 B-1A 4대만 생산한 후 저공침투 위주로 개발방향을 바꾸어 1980년대에 저공침투 능력이 강화된 B-1B 모델을 100대를 양산하게 된다. 이런 저공침투 저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미국의 제공전투기인 F-15의 레이더의 Look-down/shoot-down 능력을 강화하는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이름도 "Backfire" 라는 NATO 코드네임이 훨씬 더 유명하고 Tu-22M이라는 제식명은 낯선 사람이 대부분. 소련의 다른 폭격기나 전투기는 Tu-160 등 제식명으로 주로 알려져 있고 Blackjack 같은 코드명칭은 잘 쓰이지 않는데 Tu-22M은 정식 제식명이 알려지기 훨씬 전부터 코드명으로 유명해져 굳은 것이다. MiG-25도 한때는 폭스배트라는 코드명이 더 유명했다.

Tu-22M-0의 디자인은 주익 앞전 후퇴각이 20도에서 65도까지 변하는 글러브 부분이 대형이며 피보트가 비교적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극단적인 VG익의 효과는 얻기 힘들지만 무게 중심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u-22M-0에 이은 선행 양산형인 Tu-22M-1(백파이어 A)는 9대가 제작되었으며 엔진은 원형에 장착했던 NK-144-22(A/B 22,00Kg) 대신 NK-22(추력은 동일)로 바뀌었다.

최초의 생산형인 Tu-22M-2(백파이어B)는 날개 끝을 연장하여 최대 후퇴각을 65도로 높인 개량형으로 1978년부터 부대배치가 시작되었으며 1987년 이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도 소수가 투입되었다.[4] 주요 무장은 총 3발을 양 날개의 파일런 및 동체 아랫면에 반매입식으로 탑재하는 Kh-22 부랴(AS-4 키친) ASM이며, 다른 무장으로 폭탄창 내부와 동체 아래의 외부 무장 래크에 모두 21t의 폭탄과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다. 고정무장으로는 후방에 자위용의 23mm GSh-23 기관포 터렛 1문을 갖는다.[5]

파일:external/www.flankerman.fsnet.co.uk/tu-22m3_062.jpg
후방 기관포 터렛의 모습.

Tu-22M3(백파이어 C)는 엔진과 전자장비를 교체하여 성능 향상 및 해상작전 능력을 강화한 모델로, 공기 흡입구가 웨지 타입으로 바뀌고 기수의 모양도 더 뾰족하게 바뀌었다.[6] 첫 비행은 1977년 6월 20일이며 1983년부터 부대배치가 시작되었다. 무장으로는 Kh-15, Kh-31P, Kh-35 등의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다. 한편 SALT-II 조약(전략무기제한 협정)으로 인해 M2/M3의 공중급유용 프로브는 철거[7] 되었다.

생산수량은 Tu-22M2 211대, Tu-22M3 268대로 추정되며 현재는 러시아 공군에 60대가 배치되어 있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의 경제난의 영향으로 1990년 ME형의 개발 이후 Tu-22M4 계획이 있었지만 취소되었고 2002년, '프로젝트 245'라는 명칭으로 Tu-22M5라는 제식명칭으로 개수 중이고 이 작업에는 SVP-24 항법 컴퓨터, Fazotron-NIIR 레이더, Kh-101 순항 미사일 발사능력, KAB 계열 레이저 유도폭탄 운용능력 등이 포함된다. 파생형으로는 현재 정찰 및 전자전 임무에 특화된 MR형 10대가 운용중에 있다. 현재 시리아 내전에 러시아가 개입하면서 전술폭격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2018년부터 Tu-22M3형들을 순차적으로 Tu-22M3M으로 개수 중이다. 레이더, ECM 장비를 개량하고 GLONASS 위성항법장비 탑재, 조종석을 글래스 콕핏으로 개량, 엔진 개량, 기수에 공중급유 프로브 재도입, 신형 Kh-47M2 킨잘 공대지 미사일 무장 등이 개수되고 현대전에서 큰 의미가 없어진 후미 기관포는 폐기되었다.

소련 붕괴 직후 중국, 인도, 이란 수출 떡밥이 나돌았지만[8] 결국 여러 나라로 수출된 Tu-22와는 달리 Tu-22M은 지금까지 수출된 예가 없다. 2010년대 들어서도 중국은 계속적으로 이 폭격기의 판매를 요청하고 있지만, 러시아는 거부하고 있다. # 단순히 전술무기인 Su-27과는 달리 이 폭격기는 전략무기의 범주에 들어가기 때문에[9] 중국과의 관계가 상당히 좋음에도 수출을 일절 금지하고 있다.

톰 클랜시의 소설 붉은 폭풍에서는 Tu-22M 70대가 미국 항공모함과 호위함들을 KSR-5 킹피시 장거리 대함 미사일로 공격하는 장면이 나온다. 실제로 러시아 해군항공대에서 대량 운용중인 것도 이런 장거리 해양거부 임무를 위해서이다. 역시 톰 클랜시의 소설을 영화화한 썸 오브 올 피어스에서는 테러 조직에 매수당한 소련 해군 항공대 사령관이 거짓 정보를 주어 출격시킨 Tu-22M 백파이어 편대가 AS-4 키친 미사일로 미국의 니미츠급 항공모함을 대파시키는 장면이 나온다.

3.1. 실전

실전에선 2008년 조지아 전쟁 당시 9K37 부크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당한 적이 있다. 전략 폭격기가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 당한건 1972년 베트남 전쟁에서 B-52S-75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당한 이후 36년 만이다.

2021년 8월 5일 타스 통신이 러시아-우즈베키스탄 연합 훈련에서 러시아 항공 우주군 소속의 Tu-22M3 초음속 폭격기가 훈련에 참여하여 공격 수행 훈련을 할 거라고 보도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도 마리우폴 공격에 투입되었다. 또한 6월 27일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도 Tu-22M이 Kh-22 부랴 미사일로 공격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 대가 우크라이나군의 엥겔스 비행장 드론 공격으로 파손되었다.#

솔치 비행장에 있던 Tu-22M3 1대가 우크라이나군의 공격으로인해 파괴되었다.#

2024년 4월19일 러시아 스타브로폴 상공에서 우크라이나군 S-200 지대공미사일에의해 1대가 격추되었다.##

4. 무장

4.1. 순항 미사일, 대함 미사일

Tu-22M 순항 미사일
3 × MKB Raduga Kh-22MNPSI (AS-4C „Kitchen“) – 350Kt 핵탄두
3 × MKB Raduga Kh-26MP (KSR-5MP bzw. AS-6 „Kingfish“) – 350Kt 핵탄두
6 × MKB Raduga Kh-15 (AS-16 „Kickback“) – 350Kt 핵탄두
6 × MKB Raduga Kh-38 – 모듈식 장거리 무기[10]
3 × MKB Raduga Kh-59M „Owod-M“ (AS-18 „Kazoo“) – 레이저 유도 대함미사일
4 × MKB Raduga Kh-101 - 스텔스 기능이 있는 미사일로, 400kg 통상 탄두 장착.
3 × Kh-22 - 마하 4.5 사거리 600km 초음속 대함미사일
3 × Kh-32 - 마하 5 사거리 1000km 초음속 대함/대지미사일

4.2. 항공 폭탄

폭탄 이름에 있는 숫자가 대부분 그 무게다. kg단위.
Tu-22M 항공 폭탄
8 × Typ RMI, UDM, UDM-5, APM, AMD-2M, oder AGDM (기뢰)
12 × AMD-500M (기뢰)
18 × IGDM-500 oder UDM-500 (기뢰)
69 × FAB-100 (자유낙하폭탄)
69 × FAB-250 (자유낙하폭탄)
69 × RBK-250-275 (확산탄)
69 × ZAB-250 (소이탄)
42 × FAB-500 (자유낙하폭탄)
42 × OFAB-500 (자유낙하폭탄)
42 × OFZAB-500 (소이탄)
42 × RBK-500 (확산탄)
20 × FAB-750 (자유낙하폭탄)
16 × FAB-1000 (자유낙하폭탄)
8 × FAB-1500 (자유낙하폭탄)
3 × FAB-3000 (자유낙하폭탄)
2 × FAB-5000 (지표파괴용 자유낙하폭탄)[11]
2–4 핵폭탄

5. 모형화

6. 대중매체에서

파일:20230402_235301.jpg
게임 모던 워쉽에서 4티어 폭격기로 등장.
핵무기급 위력의 항공폭탄과 엄청난 수의 FAB-500, 여러 대함 미사일들로 적에게 대응 불가 폭딜을 넣는 폭격기이다. 파란색의 애프터버너와 후방 대공기관총이 특징이며, 융단폭격 FAB-500 항공폭탄이 있다보니 제 성능을 끌어내려면 에이스컴뱃 모드를 쓸 필요가 있다. 주요 공격 수단이 항공폭탄이다보니 근접공격이 요구되어 생존성이 굉장히 낮다.

7. 기타

2019년 1월 22일 올레네고르스크에 착륙하던 기체가 터치다운 직후 허리가 꺾이면서 두동강나고 탑승자 4명 중 3명이 사망한 사고가 있었다.

8. 둘러보기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냉전기 소련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소련 공군 (1946~1991)
Вое́нно-возду́шные си́лы СССР, ВВС СССР
제공 전투기 <colbgcolor=#CC0000> 1세대 <colbgcolor=#fefefe,#191919>Yak-17, Yak-23, MiG-9, MiG-15, MiG-17, La-15, La-200
2세대 MiG-19, MiG-21, Su-7, Su-9, Su-11
3세대 MiG-21, MiG-23, MiG-25, Su-15, Su-17, Tu-128, Yak-38
4세대 MiG-29, MiG-31, Su-27/30, T-10K, Yak-141
4.5세대 T-10M, Su-37, Su-47, MiG-1.44
공격기 Su-7, MiG-27, Su-17, Il-40, Il-102, Su-24, Su-25, Su-27IB, Su-39, Yak-28, Yak-130
폭격기 전술 폭격기 Il-28, Tu-2, Tu-14, Yak-26
전략 폭격기 Tu-4, Tu-95, Tu-16, Tu-22, Tu-22M, Tu-160, M-4
수송기 An-12해·공, An-22, An-24해·공, An-26B, An-32, An-72, An-124, Il-18D/V, Il-62M, Il-76M/MD/TD, Il-476, Il-114
회전익기 정찰·연락용 헬리콥터 Mi-1, Mi-2
다목적 중형헬리콥터 Mi-4, Mi-8, Ka-32
대형수송헬리콥터 Mi-6, Mi-26
공격헬리콥터 Mi-24, Mi-28, Ka-50/52
대잠헬리콥터 Mi-14, Ka-27
지원기 조기경보기 A-50, Il-18D(-36)/V, Il-22M-11, Tu-142MR, Tu-126, An-71
정찰기 An-30, M-17/M-55, MiG-21R, MiG-25R, Su-17R, Su-24MR, Il-20, Il-24, Il-28R, Tu-16R, Tu-22R, Yak-25R, Yak-27R, Yak-28R
전자전기 An-12B-PP/BK-IS/-PP/-PPS, An-26M/RM/RTR/RR, Su-24MP, Il-20RT, MiG-25RB, Tu-16Ye/P/SPS, Tu-22P, Tu-95RT
해상초계기 An-72P, Be-6, Be-10, Be-12, Tu-16PL/R/RM/SP, Tu-95MR, Tu-142, Il-38, 3M/3MD, A-40 알바트로스
공중지휘기 Il-22
공중급유기 Il-78M, Tu-16D/N/Z, M-4-2, 3MS-2/3MN-2
훈련기 프롭 Yak-11, Yak-18, Yak-52
제트 Il-28U L-29, L-39, MiG-15UTI, MiG-21U, Su-7U, Su-9U, Su-11U, Yak-17UTI, Yak-28U
}}}}}}}}}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러시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러시아 연방군 (1992~현재)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 <colbgcolor=#ffffff,#191919>Mi-2R, Mi-6R, Mi-8(MT/MTV/PP), Ka-27/29/32, {Ka-60}
수송헬기 Mi-26, Mi-38
공격헬기 Mi-24, Mi-24(D/K/P/R/VP), Mi-35, Mi-28N, Ka-50/52, 카잔 ANSAT
대잠헬기 Mi-14(BT/PL)
전투기
레시프롭기 I-15bisR, DITR
4세대 / 4.5세대 MiG-29(A/C/S/UB/M/M2/SMT/K)/MiG-35, MiG-31(M/BM), Su-27(SM/UB)해·공, Su-30(M2/SM)해·공, Su-33, Su-35S, Su-47, MiG-MFI
5세대 Su-57/{Su-57K}, MiG-LMFS?, {Su-75}
6세대 {MiG-41}
공격기 Su-24(M/MP/MR)해·공, Su-25(SM/SM3/UB해·공), Su-32FN, Su-34
폭격기 전략폭격기 3MSN-1R, Tu-16R, Tu-95MS/MSM, Tu-22M3/MR, Tu-160, {PAK-DA}
수송기 An-12해·공, An-12BP, An-22, An-24해·공, An-26, An-26B, An-32, An-72, An-124, Il-18(D/V), Il-62M, Il-76(M/MD/TD), Il-476, Il-114, {PAK-TA}
지원기 조기경보기 A-50, {A-100}
해상초계기 Be-12, Tu-142, Il-38. A-40 알바트로스
정찰기 Su-24MR, Il-20, Il-24, Tu-214(R/ON)
공중지휘기 Il-22, Tu-214(PU/SR)
통신중계기 Tu-214SUS
공중급유기 Il-78M
인명구조 및 소방용 항공기 Be-200ES
무인기 UAV 오리온, Grusha, 옐레론-3, 그라나트-4, 오를란-2, 오를란-10, 포르포스트, S-100, 란쳇-1, 란쳇-3, GSV-37 Breeze, Korsar, Fazan, BPV-500 VTOL, Ka-137, 게란-1, 게란-2, 샤헤드-129, 샤헤드-191
UCAV 미코얀 스카트, {오를란-E}, {S-70 아호트니크}
훈련기 프롭 Yak-152
제트 L-39, Yak-130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도입여부가 불확실한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우주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우크라이나 국군 (1991~현재)
Збройні Cили України
<colbgcolor=#0056B9> 회전익기 <colbgcolor=#0056B9> '''[[무장헬기|
경헬기
]]'''
Mi-2MSB(-1/-V)육/M | Bo 105육/D | Ka-226 | AS550 C3 패넥근위 | H145근위
'''
다목적 헬기
'''
Mi-8(MSB-V/PS/T/MT) | Mi-9 | Mi-8AMTSh육/C | Mi-17(-1V)육/D | {Mi-171E}D | Ka-32A11BC육/D | 시킹 HU.5해/D | H225근위 | Ka-29TB해/R | UH-60정보
수송헬기 Mi-26TR | Mi-6AR
공격헬기 Mi-24(PU1/V/VP/P/K/RCh) | Mi-24W · Mi-25육/D | Mi-24(A/D)육/R
대잠헬기 Mi-14(BT/PL/PS) | Ka-27(PL/PS)해/R | Ka-25PL해/R
'''[[전투기|
전투기
]]'''
'''[[2세대 전투기|
2세대
]]'''
Su-15TMR | MiG-21(PF/PFM)R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5PDR | MiG-23(ML/MLD)R | MiG-21MR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F-16(AM/BM) Block 20 MLU}D | Su-27(S1M/P1M/UB1M) | MiG-29(A/S/UB · MU1/UBM1M · AS/UBSD) | T-10K-3R
공격기 Su-24M | Su-25(K/UB→M1/UB1M) | MiG-27R | MiG-23BNR | Yak-28R | Yak-38M해/R | Su-25UTG해/R
폭격기 Tu-160R | Tu-22(M/M2/M3)해/R | Tu-22KD해/R | Tu-16해/R
'''[[정찰기|
정찰기
]]'''
전술 Su-24MR | An-30B | MiG-25(RB/RBS)R
'''[[수송기|
수송기
]]'''
경량 An-26(B/KPA) | An-26B-100 | An-2T | An-72PR | An-24BR
전술 An-70 | An-12(BK/BP)R
전략 Il-76MD
'''
지원기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Il-78R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Be-12(PL/PS) 차이카 | Il-38해/R | Tu-142MZ해/R | Be-12해/R
'''
의무후송기
'''
An-26 '비타'R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MAV
DJI 미니 · 매빅 · 팬텀 | PD-100 블랙 호넷 나노육/D | RQ-11B 레이븐육/D
클래스 1 - 초소형
ITEC 스키프 | 스펙테이터-M1 | 렐레카-100 | 퍼니셔 | A1-CM 퓨리아 | ASU-1 발키리야 | BpAK-MP-1 | RQ-35 헤이드룬육/D | RQ-20 퓨마육/D | WB 플라이아이육/D | 바이락타르 미니육/D | 퀀텀 벡터육/D | 퀀텀 스콜피온육/D | 팽귄 C육/D | 샤크 | 브라모르육/D | 밴시 제트 80+D
클래스 1 - 소형
PD-1 | PD-2 | UJ-22 에어본 | RQ-27 스캔이글육/D | 프리모코 원-150육/D | 루나-NG육/D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An-BK-1 | 맬로이 T150D | Tu-141 | Tu-143
'''
UCAV
'''
클래스 2 - 전술형
바이락타르 TB2해·공
'''[[훈련기|
훈련기
]]'''
프롭 KhAZ-30 | Yak-52R
제트 L-39(M/C/ZA) 알바트로스 | L-29 델핀R | Su-17UM3R | MiG-21UMR
VIP 탑승기 ACJ319-115X | An-148-100B | An-74TK-300D | Yak-40M | Tu-154B-2R | Tu-134A-3R | Il-62M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M: 개조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D: 공여받은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및 국방정보국 운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9. 참고 링크



[1] 전술 폭격기를 러시아에서 부르는 명칭.[2] 14,545미터.[3] B-52 등으로 익숙한 4/8발 전략폭격기 모습과 다른, 초음속 제트전투기를 확대한 듯한 가변익과 노즐이나 각진 인테이크 등.[4] MANPADS에 의한 전술기의 상실이 늘어남에 따라 도입된 고고도 고속 폭격 전술을 수행하였으나, 30~40%대의 낮은 임무 수행율과 수리부속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다만 압도적인 폭장량과 체공시간 덕분에 임무효율 자체는 높았다는듯.[5] Tu-160을 제외한 모든 러시아제 폭격기는 자위용 후방 기관포를 가진다. Tu-160에 와서는 R-77이라는 걸출한 미사일을 자위용으로 사용하기에 기관포가 없다.[6] 이 문서 맨 윗 사진에 나오듯이 굉장히 멋있는 디자인이다. 톰 클랜시의 붉은 폭풍에서는 미 해군 F-14 조종사가 "러시아놈들은 비행기를 참 멋있게 만든다."라고 감탄하는 장면이 나올 정도. 연비는 멋있지 않았지[7] 백파이어에게 공중급유를 받으면 가능하긴 했던 대륙간 비행을 불가능하게 하여 전략폭격기 역할을 할 수 없도록 철거된 것이다.[8] H-6을 대체할 신형기가 필요했던 중국은 TU-22M을 워낙 마음에 들어해서 수출 결정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레발치며 H-10이라는 중국 공군 코드명까지 붙여 놓았다. 결국 김칫국만 신나게 들이킨 셈.[9] 당장 공중급유용 프로브만 달면 대륙간 폭격이 가능한 물건이다.[10] modular distance weapon.[11] 작약량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