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03:54:56

GSh-23

GSh-23
ГШ-23
<nopad> 파일:GSh-23L_cannon.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쌍열 기관포
원산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소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소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65년~현재
개발 KBP
개발년도 1960년대 초반
생산 KBP
생산년도 1965년~현재
사용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소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소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크라이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크라이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세르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르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불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불가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크로아티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크로아티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루마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루마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그 외 기타 국가
기종
원형 TKB-613
파생형 GSh-23L
세부사항
탄약 23×115 mm
급탄 벨트형 탄띠
작동방식 가스트 기반 쌍열 포신
총열길이 1,000mm
전장 1,387mm (GSh-23)
1,537mm (GSh-23L)
중량 49.2kg[1]
50kg[2]
발사속도 3,400~3,600RPM
탄속 715m/s }}}}}}}}}
1. 개요2. 독특한 쌍열 포신3. 추가 기능4. 사용 기종5. 파생형6. 둘러보기

1. 개요

1965년에 도입되어 현재까지 절찬리에 쓰이고 있는 기관포. MiG-21, MiG-23 등의 전투기는 물론, Il-76, Tu-22와 같은 수송기, 폭격기의 자위용 방어무장, Mi-35 등의 공격헬기 무장으로도 쓰이는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2. 독특한 쌍열 포신

1965년부터 일선 공군 부대의 전술기에 배치가 시작된 이 기관포는 이전까지 쓰이던 NR-23 기관포를 대체했다. GSh-23는 NR-23과 같은 구경 23mm의 포탄을 공유하고 있으나, 그 작동 방식은 완전히 새로운 것을 도입했다. 이 기관포는 포신이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쌍열 포신인데, 한쪽 약실에서 포탄이 발사되면 그 반동을 이용해 반대쪽 약실에 새로 급탄을 하게끔 만들어진 가스트 구동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처럼 2개의 포신이 교대로 급탄과 발사를 반복하는 덕분에 연사속도가 분당 3,600발로 일반적인 단총신/리볼버식 기관포에 비해 2배 이상, 엄청난 연사속도로 유명한 발칸포의 60% 수준인데다 포신 수명도 늘어나는 부수적인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가스트 기관총독일 제국에서 1916년에 시험적으로 만들어져 성공을 거두지 못했던 것이었으나 소련 기술진들은 잊혀진 기술을 발굴해내어 재해석해서 가벼우면서도 분당 3,600발이라는 가공할 단위시간당 발사탄수를 보이는 새로운 기관포를 만들어내었다. 그후로 가스트 방식은 소련 및 동구권에서 개발된 기관포에서 일반적인 구조로 자리잡게 된다.

3. 추가 기능

이 포는 처음에 나온 GSh-23와 그 파생형이며 지금은 더욱 널리 쓰이고 있는 GSh-23L(ГШ-23Л)로 발전되면서 전투기공격기, 무장 헬기의 고정무장, 그리고 폭격기수송기의 방어화기로 채택되었는데, 두 타입의 가장 큰 차이점은 머즐 브레이크가 있고 없는 것일 뿐 기본적인 구조나 성능은 별 차이가 없다.

또한 이 무기에는 항공 기관포에서 요구된 특별한 기능으로 플레어채프탄을 발사하는 기능이 있어서 미사일에 대한 유효적절한 대응책이 될 수 있다. 즉, 이 무기가 방어 화기로 달린 폭격기는 채프/플레어 디스펜서를 하나 더 갖추게 되는 셈이다.

거기다, 이 기관포를 1~2기, 하나 하나가 연장이므로 합 2~4문 장비한 덕분에, 수송기인데 주익하부에 직접 최대 4발정도의 폭탄까지 들고다니는 일부 군 소속 Il-76은 별다른 개조 없이도 잘만 건쉽 임무를 뛴다. 심지어 상술한 직접 폭장및 폭격능력 덕분에 딱히 대구경 포를 달 필요도 없다. 강력한 한방이 필요할 때는 포 단다고 생고생 할 필요 없이 그냥 전폭기나 공격기에 쓰는 자유낙하 폭탄을 대신 들고가 냅다 떨궈버리면 그만이기 때문. 유튜브에도 Il-76이 직접폭격을 날리는 건 물론 폭격 끝난 뒤에도 한동안 더 머무르면서 후방기총으로 지상표적에 대고 드르륵 긁어대는 영상이 있다.역시 러시아가 건쉽 안만드는 건 굳이 따로 만들 필요가 없어서인듯

4. 사용 기종

GSh-23를 고정 무장으로 갖춘 대표적인 기종은 MiG-21 피쉬베드의 후기형에 해당하는 MiG-21M, MiG-21MF, MiG-21SMT, MiG-21bis가 우선 꼽히며[3], MiG-23 플로거, J-22 오라오, IAR-93 벌쳐, 그리고 인도가 개발한 테자스도 이 기관포를 고정무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방어화기로 채택한 대표적인 기종은 테일건으로 장비한 Tu-22M 백파이어 폭격기와 그 이후 소련군 폭격기들 및 전투기들, 헬기들인데, 그중에는 GSh-23L을 장비한 것도 있다.

그밖에도 소련 공군은 제공권을 미처 장악하지 못한 전선에서 수송기를 운용하는 상황을 고려하고 있으므로 일류신 Il-76도 꼬리에 2문의 GSh-23L를 장착하고 있다. 이 기종은 특히나 최대 4발의 직접 폭장까지 가능하여, 야전에서는 임시 전술폭격기 겸 임시 건쉽으로 사용하기 위한 훈련도 한다. 유튜브에도 직접폭격을 한 뒤 계속 체공하며 후방사수로 신나게 긁고 가는 영상이 올라와있으며 해당 영상은 IL-76 문서에도 있다. 그외에도 회전익기 중에서는 밀 Mi-24 하인드 공격 헬기의 후기형인 Mi-24VP(하인드 F)에는 12.7mm 개틀링건 대신 NPPU-23 터렛에 이 무기를 장착하고 있다. 폴란드가 자체 개발한 다목적 헬기 W-3 소콜(PZL W-3 Sokół)도 무장형에서는 고정무장으로 동체 우측면에 붙이고 있거나 건포드로 장착하고 있으며, 현대화 개량된 MiG-21들은 동체 아래에 GP-9(ГП-9) 건포드를 탈착할 수 있는데 이 포드에는 GSh-23L과 200발의 탄약이 함께 들어있다.

5. 파생형

이처럼 이 기관포를 내부에 탑재한 건포드도 몇 가지 개발되었다. 공대공 용도로 1~2문의 GSh-23을 내장하고 250~400발의 기관포탄을 가진 UPK-23(УПК-23-250)이라든가, 지상에 기총소사를 가하기 위해서 0°~30°의 하방 사격이 가능하도록 특별히 제작된 SPPU-22(СППУ-22) 건포드는 Su-17 시리즈에 주로 탑재되어 이용되고 있다. 예전에는 수직이착륙 함상전투기인 야코블레프 Yak-38의 동체 하부에 장착하기 위해 개발된 경량 건포드인 VSPU-36(ВСПУ-36)도 만들어졌으나 포탄 160발만 장전되는 이 무기는 유효 페이로드가 적은 기종 전용인 탓에 더 이상 쓰이지 않고 있다.

6. 둘러보기

파일:KBP_Logo.png KBP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fff,#191919> KBP(기기 설계국) 제품 라인업
(TsKIB SOO 제품 포함)
권총 <colbgcolor=#fff,#191919> 리볼버 OTs-01 · OTs-38 · RSh-12
자동권총 PSM · GSh-18
기관권총 OTs-23 · OTs-33
기관단총 OTs-02 · PP-90 · PP-90M1 · PP-93 · PP-2000 · OTs-69
산탄총 MTs255 · RMB-93
소총 볼트액션 / 반자동 SVU · 베르쿠트 · OSV-96 · VSSK · MTs-572
자동 A-91 (ADS) · OTs-12 · OTs-14 · 9A-91 (VSK-94) · ASh-12.7
기관총 GSh-23 · GShG-7.62 · NSV · GSh-30
유탄발사기 AGS-17 · AGS-30 · GP-25 · GP-30 (RG-6) · GM-94 · AGS-40
대전차화기 9K111 · 9K115 · 9K119 · 9M113 · 9K135 · RPO
대공포 AK-630 · 2S6 퉁구스카 · 카쉬탄 · 판치르-ME · 판치르-S1
탄환 7N31
지능탄 크라스노폴 · 키톨로프-2 · KM-8 그란
}}}}}}}}}}}} ||


[1] GSh-23 기준.[2] GSh-23L 기준.[3] 초기형은 30mm NR-30 기관포(60발 장탄)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