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30 00:38:36

Yak-38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소련-러시아의 제트전투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40년대
<colbgcolor=#EEE,#333> 미그 <colbgcolor=#fefefe,#191919>MiG-9 파고 | MiG-15 파곳
수호이 Su-9 (1946) | Su-15 (1949) | Su-17 (1949)
야코블레프 Yak-15 페더 | Yak-17 페더 | Yak-19 | Yak-23 플로라 | Yak-25 (1947) | Yak-30 (1948) | Yak-50 (1949)
라보츠킨 La-15 팬테일 | La-150 | La-152 | La-160 스트렐카 | La-168 | La-200
알렉세예프 I-21 | I-212
1950년대
미그 MiG-17 프레스코 | MiG-19 파머 | MiG-21 피쉬베드
수호이 Su-7 피터-A | Su-9 피쉬포트
야코블레프 Yak-25 플래시라이트-A | Yak-27 플래시라이트-C
일류신 Il-40 브로니
라보츠킨 La-250 "아나콘다"
1960년대
미그 Ye-8 | Ye-150 시리즈
수호이 Su-11 피쉬포트-C | Su-15 플래건 | Su-17 피터-C
야코블레프 Yak-28 파이어바
투폴레프 Tu-128 피들러
1970년대
미그 MiG-23 플로거 | MiG-25 폭스배트 | MiG-27 플로거-D/J
수호이 Su-24 펜서
야코블레프 Yak-38 포저 | Yak-45
1980년대
미그 MiG-31 폭스하운드| MiG-29 펄크럼
수호이 Su-20 피터-C/D | Su-22 피터-K | Su-25 프로그풋 | Su-27 플랭커
일류신 Il-102
1990년대
미그 MiG-33 "이즈델리예 33" | MiG-1.44 플랫팩
수호이 Su-30 플랭커-C | Su-33 플랭커-D | Su-34 풀백
야코블레프 Yak-141 프리스타일
2000년대
미그 MiG-29M 펄크럼-E / "슈퍼 펄크럼"
수호이 Su-30M 플랭커-G | Su-35 플랭커-E | Su-37 "터미네이터" / 플랭커-F | Su-47 "베르쿠트" / 펄킨
야코블레프 Yak-130 미튼
2010년대
미그 MiG-29K 펄크럼-D | MiG-35 펄크럼-F
수호이 Su-34M | Su-35S | Su-57 펠론 / PAK-FA
2020년대
미그 MiG-41 PAK-DP | MiG-LMFS
수호이 Su-75 "체크메이트"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파일:Yak-38_Forger_wings_folded.jpg
파일:yak-38.jpg
파일:Yak-38_(12466922795).jpg

복좌 훈련용인 Yak-38U

Як-38 (Yak-38)

1. 개요2. 문제점3. 장점4. 후계기종5. 창작물에서의 Yak-386. 둘러보기

1. 개요

소비에트 연방야코블레프 설계국에서 만든 소련 해군 항공대수직이착륙 전투기. NATO 코드명은 포저(Forger).[1] VTOL 기라는 특성만 비슷할 뿐 짝퉁은 아니다. 그 VTOL 메커니즘이 달라서 그 구조 자체는 F-35B에도 영향을 줬다.

AV-8 해리어가 성공적인 수직이착륙기로 인정받고 많은 나라에 수출된 것과 달리, 성능에 비해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 비운의 전투기…였으면 좋겠지만, 매우 유감스럽게도 현실은 매우 잔인했다.

2. 문제점

  • 주 엔진의 추력이 낮아서 비행성능도, 무장 탑재량도 영 좋지 않았다. 무장 장착용 하드포인트는 4개인데, 장비한 무장은 R-60 공대공 미사일 2발이나 Kh-23M 공대지 미사일 2발+델타 유도포드 1개 또는 각종 무유도 S-5KP, S-8M, S-24B 로켓 포드 2~4개, OFAB-100, OFAB-250sv, FAB-500M-54[2] 항공폭탄들이다. GSh-23L 23mm 기관포는 기체에 내장되지 않고 기관포 포드로 따로 장착되는 형식이라서 기관포를 달면 하드포인트가 하나 날아간다는 문제가 생겼다. 해리어는 전용 하드포인트를 증설해서 이 문제를 해결했지만 Yak-38은 끝까지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 저렇다 보니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레이더를 달고 비행할 수가 없었다. 당연히 장거리 교전능력은 부족하게 되었다. 해리어가 나중에는 AIM-120 AMRAAM 공대공 미사일과 그를 운용하기 위한 레이더[3]까지 장착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대조적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Yak-38_Lift_Engines_NT.png* Yak-38의 수직이착륙은 동체 앞에 설치된 콜레소프 RD-36-35FV, FVR[4] 리프트 엔진 2개에 크게 의존하는데, 이 엔진들은 수평비행시에는 말 그대로 짐덩어리에 불과해서 안 그래도 부족한 비행성능을 더 깎아먹는다는 단점이 있다. 해리어는 엔진 하나로 수직이착륙과 비행을 전부 해낸다. 투만스키 R-27V-300[5] 주엔진과는 별도의 추진장치를 사용하여[6] 수직이착륙을 행한다는 Yak-38의 수직 리프트 방식은 Yak-141을 거쳐 F-35B로 이어졌으나, Yak-38이 현역이던 시절에는 그렇잖아도 부족한 성능에 리프트 엔진까지 데드 웨이트로 달려 있는 셈이어서 성능에 적지 않은 악영향을 주었다. 또한 Yak-38 및 Yak-141와는 달리 F-35B의 경우에는 리프트 엔진 대신 주엔진으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으로 가동되는 리프트 팬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기술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다. F-35B의 경우 동체 중앙에 F135-PW-600 주엔진 하나만 장착되어 있고 전방 리프트 팬은 주엔진에서 샤프트로 동력을 끌어오는 반면, Yak-38은 동체 중앙의 주엔진과 별도로 리프트 전용 터보제트 엔진 2기가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조였다.[7] Yak-141도 터보제트 엔진 대신 터보팬 엔진을 쓴다는 점 외엔 Yak-38와 유사한 구조. Yak-38의 비행성능을 크게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F-35B는 주엔진과 리프트 팬을 연결시키기 위한 샤프트가 필요한 만큼 구조적으로는 약간 복잡해졌지만, 단발 엔진으로도 수직이착륙과 비행을 전부 행할 수 있기에 데드 웨이트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서 비행성능의 저하가 생기지 않았다. 물론 리프트 팬 때문에 무장탑재량이 더 줄어버리는 문제가 생기긴 했다.
  • 소련군의 해군 전투기 조종사들은 Yak-38을 두고 "하늘을 날기 전에 고장나면 참 고마운 전투기랍니다." 라고 평했으니 얼마나 고장이 잦았는지 알 수 있다. 그러니 추락사고도 자주 일어났다. 그래서 생긴 일이 1976년 해상훈련 도중 대기한 Yak-38 6대가 고장을 일으켜 아예 뜨지도 못하자, 소련 해군 조종사들이 좋아서 웃었던 적이 있다. 심지어 '신께 감사드린다.'는 이유로 회식을 열었는데도 이걸 문제삼는 사람이 하나도 없었다고 한다.(...)#
  • 특정 조건, 특히 주변 기온이 높을 경우에는 비무장 상태로도 비행이 불가능했다. 덕분에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해군이 공군Su-25를 지원하기 위해 같이 투입되었을 때, 잘만 날아다니던 Su-25와 달리 Yak-38은 활약이 없었다. 당장 해가 뜨면 기온이 급상승하는 현지 특성상, 출격 자체가 버거웠기 때문이다. 가장 가벼운 폭탄 1발을 달면 겨우 출격할 수는 있는데, 나갔다고 해도 도움이 되었을리 만무하다. 아이러니하게도 아예 이륙할 일 자체가 적었으니 추락사고는 덜 일어났다.
파일:attachment/YAK38U2.jpg
착륙 도중 갑자기 내동댕이쳐진 Yak-38U. 다행히도 조종사는 비상탈출에 성공했다. 이런 사례는 꽤 자주 일어난 편이라서, 1974년에는 북해에서 훈련 중이던 Yak-38이 추락했다. 다행히 조종사는 근처에 있던 영국 해군 구축함에 구조됐다고 한다.

그래도 소련 해군키예프급 항공 중순양함에 실을 공격기가 Yak-38밖에 없어서 울며 겨자먹기로 운용해야 했다.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시기 아프가니스탄에 파견된 해군 Yak-38이 파견기간 동안 출격횟수 50회(…)를 기록하는 것을 본 소련 공군은 Yak-38의 도입 계획을 때려치웠다. 해군은 주 엔진과 리프트 엔진을 교체하고 더욱 튼튼한 랜딩기어를 장착하는 등, Yak-38M으로 개량했지만 별로 나아진 게 없었다. 결국 Yak-38은 서서히 갑판에서 사라지면서 키예프급은 헬리콥터 모함화 되었다. 그리고 냉전이 끝나자, 러시아 해군은 미련없이 Yak-38을 몽땅 퇴역시켜버렸다. 2017년에는 20년 넘도록 폐쇄된 비밀도시 격납고에 봉인되어있던 Yak-38M 2대가 나왔다.

3. 장점

Yak-38에는 추력편향 노즐이 있었는데, 이 개념은 F-35B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컴퓨터가 엔진 추력 제어를 하도록 하여 수직이착륙 간 정확한 계산에 따라 항공기의 추력을 배분하는 기능이 있었다. 항모 갑판에 그려진 표식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착륙하는 자동착륙 시스템도 있었다. 또한 Yak-38에 탑재된 사출좌석에는 위험한 상황에 놓이면 자동으로 파일럿을 사출시키는 시스템[8]도 있었다.

4. 후계기종

5. 창작물에서의 Yak-38

  • 에어리어 88 원작에서 반정부군이 운용하는 것으로 나오는데, '고양이 수염'이라는 차량용 거리감지기를 장착, 숲 속을 비밀기지로 이용해 착륙지점을 속이면서 에어리어 88의 보급선을 끊어먹기에 성공하는 등 꽤나 활약한다. 게다가 서방측 부품을 썼다는 설정 덕인지 킴 아바해리어와 대등한 전투를 벌이기까지 한다...하지만 둥지를 옮기는 뻐꾸기 작전을 알아챈 사키 바슈탈의 작전에 말려들어 부대가 전멸당했다. 불타는 숲에서 도망쳐 나오다가 엔진에 불이 붙어 추락하는 기체를 본 카자마 신이 "저렇게 죽고 싶진 않은데"하며 동정을 표할 정도. OVA에서는 깔끔하게 삭제되고, 서방제 부품을 채운 포저를 만드는 귀찮은 짓 대신 대놓고 완제품 해리어를 쓴다.
  • Strike Fighters 최신 시리즈인 North Atlantic에서 야라레메카공산권 기체 중 하나로 등장한다. 해전을 테마로 제작된 게임이라 러시아 항공모함에서 운용중이라는 설정이다.
파일:War thunder Yak-38.png 파일:WT_YaK-38M.png
Yak-38 Yak-38M
* 워 썬더에서 Yak-38, Yak-38M이 나온다.
  • 1984년 영화인 레드 던에서는 소련군 기지에 봉기가 일어날때 조종사가 타고있는채 수류탄으로 파괴당하다.
  • 비행고등학교 - 해리어에게 혼자 라이벌 의식을 불태우지만 자주 넘어지고 깨진다.#

6. 둘러보기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냉전기 소련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소련 공군 (1946~1991)
Вое́нно-возду́шные си́лы СССР, ВВС СССР
제공 전투기 <colbgcolor=#CC0000> 1세대 <colbgcolor=#fefefe,#191919>Yak-17, Yak-23, MiG-9, MiG-15, MiG-17, La-15, La-200
2세대 MiG-19, MiG-21, Su-7, Su-9, Su-11
3세대 MiG-21, MiG-23, MiG-25, Su-15, Su-17, Tu-128, Yak-38
4세대 MiG-29, MiG-31, Su-27/30, T-10K, Yak-141
4.5세대 T-10M, Su-37, Su-47, MiG-1.44
공격기 Su-7, MiG-27, Su-17, Il-40, Il-102, Su-24, Su-25, Su-27IB, Su-39, Yak-28, Yak-130
폭격기 전술 폭격기 Il-28, Tu-2, Tu-14, Yak-26
전략 폭격기 Tu-4, Tu-95, Tu-16, Tu-22, Tu-22M, Tu-160, M-4
수송기 An-12해·공, An-22, An-24해·공, An-26B, An-32, An-72, An-124, Il-18D/V, Il-62M, Il-76M/MD/TD, Il-476, Il-114
회전익기 정찰·연락용 헬리콥터 Mi-1, Mi-2
다목적 중형헬리콥터 Mi-4, Mi-8, Ka-32
대형수송헬리콥터 Mi-6, Mi-26
공격헬리콥터 Mi-24, Mi-28, Ka-50/52
대잠헬리콥터 Mi-14, Ka-27
지원기 조기경보기 A-50, Il-18D(-36)/V, Il-22M-11, Tu-142MR, Tu-126, An-71
정찰기 An-30, M-17/M-55, MiG-21R, MiG-25R, Su-17R, Su-24MR, Il-20, Il-24, Il-28R, Tu-16R, Tu-22R, Yak-25R, Yak-27R, Yak-28R
전자전기 An-12B-PP/BK-IS/-PP/-PPS, An-26M/RM/RTR/RR, Su-24MP, Il-20RT, MiG-25RB, Tu-16Ye/P/SPS, Tu-22P, Tu-95RT
해상초계기 An-72P, Be-6, Be-10, Be-12, Tu-16PL/R/RM/SP, Tu-95MR, Tu-142, Il-38, 3M/3MD, A-40 알바트로스
공중지휘기 Il-22
공중급유기 Il-78M, Tu-16D/N/Z, M-4-2, 3MS-2/3MN-2
훈련기 프롭 Yak-11, Yak-18, Yak-52
제트 Il-28U L-29, L-39, MiG-15UTI, MiG-21U, Su-7U, Su-9U, Su-11U, Yak-17UTI, Yak-28U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소련제 전투기에 대한 NATO 코드명은 F로 시작하는 만큼 법칙을 거스르는 것은 아니지만 포저의 뜻이 위조범이기에 Yak-38을 '짝퉁 해리어'라며 비아냥대는 사람이 많다.[2] 각각 100Kg, 250Kg, 500Kg.[3] 영국의 시 해리어 FA.2는 블루 폭스, 미국의 해리어II+는 AN/APG-65.[4] Yak-38M은 콜레소프 RD-38 리프트 엔진, Yak-38U는 RD-36-35F 또는 RD-36-35FVR 리프트 엔진.[5] Yak-38M은 투만스키 R-28V-300.[6] 그렇다고 주 엔진이 수직 이착륙 시 아무것도 안 한 건 아니다. 추력편향 노즐을 통해 노즐 각도를 하방으로 조절하여 주 엔진도 이착륙 때 추력을 보탰다.[7] 야코블레프 설계국의 대부분의 엔지니어들은 전투기 형상의 VTOL 항공기 개발을 위해서는 해리어처럼 수평비행용 엔진과 리프트 엔진이 일체화된 설계가 필요하다고 보았으나, 부수석 디자이너이던 S.G. 모르도빈(Mordovin)은 단일 엔진 대신 한 개의 제트 엔진과 두 개 정도의 리프트 엔진을 하나로 통합한 추진체계를 개발하는 것이 낫다고 보았고. 결국 후자의 주장이 채택되면서 YaK-38 개발의 기본 방침이 되었다.[8] 좌석 자체가 기수 전방에 있는 리프트 엔진과 통합되게 설계하여 항공기가 스톨에 빠져도 사출좌석은 안전하게 사출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이륙용 엔진 중 하나가 오작동을 하거나 조종사 좌석이 60도 이상 기울게 되면 조종석이 모두 자동 사출되도록 설계했는데, 이는 리프트 엔진 하나만 고장 나고 다른 하나만 작동할 경우 항공기가 완전히 한 쪽으로 뒤집히는 현상이 발생하여 조종사 보호를 위해 설계된 조치다.[9] 작품 내에서는 VTOL기라고만 언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