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0 | 2007 | 2018 | 2019 | ||
| 제1차 | 제2차 | 제3차 | ||||
| <rowcolor=#000,#FFF> 평양 6.13-6.15 | 평양 10.2-10.4 | 4.27 | 5.26 | 평양 9.18-9.20 | 6.30 | |
| 6.15 공동선언 | 10.4 공동선언 | 판문점 선언 | 판문점 선언 재확인 | 9월 평양공동선언 | 종전 의지 재확인 | |
| 김대중 | 노무현 | 문재인 | ||||
| 김정일 | 김정은 | }}}}}}}}} | ||||
1. 개요
2018년, 대한민국 문재인 정부가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 가진 남북정상회담을 정리한 문서.2. 목록
2.1. 1차 회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2차 회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 제2차 남북정상회담#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 제2차 남북정상회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3차 회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 제3차 남북정상회담#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 제3차 남북정상회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둘러보기
| <keepall>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6ba4, #0084c9 33%, #0084c9 67%, #006ba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방향 | ||||
| 남한 주도 | 흡수통일 · 북진통일 | |||
| 남북합의 | 평화통일 · 남북연합 | |||
| 북한 주도 | 적화통일 · | |||
| 기타 | 영구분단 · 제3국 주도(한미합방 · 한중합방) · 북한 분할 | |||
| 영향 | ||||
| 남북통일의 이점 | ||||
| 과제 | ||||
| 경제 (통일 비용) | 군사 | 정치 | 행정 및 사법 (행정구역·치안) | |
| 외교 | 교육 | 인프라 (교통·남한) | 스포츠 | |
| 사회 및 문화 (상징물 변화) | 수도 (후보지) | 급변사태 | ||
| 노력 | ||||
| 정상회담 | 2000년 · 2007년 · 2018년(1차 · 2차 · 3차) | |||
| 남북합의 | 7.4 남북 공동 성명 · 남북기본합의서 · 6.15 남북공동선언 · 10.4 남북공동선언 · 판문점 선언 · 9월 평양공동선언 | |||
| 관련 인물 | 통일운동가 | |||
| 관련 문서 | ||||
| 한반도기 · 남북관계 · 6.25 전쟁 · 통일반대론(근거) | }}}}}}}}}}}}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EA2,#004ea2><tablebgcolor=#004EA2,#004EA2> | 문재인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4EA2,#008ccd> 생애 | 생애 (2015 · 2016 · 2017 · 대통령 퇴임 이후) | |
| 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 |||
| 가족 | 아버지 문용형 · 어머니 강한옥 · 배우자 김정숙 · 아들 문준용 · 딸 문다혜 | ||
| 19대 대선 | 제19대 대통령 선거 · 문재인 정부 · 장단점 국민주권선거대책위원회 · 대선 공약 · 문재인 1번가 · 더문캠 |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 대통령 재임 이전 (정치 활동 · 19대 대선) · 대통령 재임 기간 (대북문제 · 말바꾸기) · 발언 · 대통령 퇴임 이후 | ||
| 사건 사고 | 암살 예고글 작성 · 치매의혹 흑색선전 · 대구 칠성시장 기관단총 노출 · 대국민 모욕죄 고소 · 접종 백신 바꿔치기 음모론 제기 · 사저 앞 시위 · 문재인 전 사위 타이 이스타젯 채용 특혜 논란 | ||
| 지지 세력 | 친문 (3철) · 대깨문 · 극문 · 문빠 · 뮨파 · 똥파리 | ||
| 별명과 밈 | 별명 (부정적 별명) 금괴 루머 · 짜장면 한 그릇 먹고 싶다든지 그런 소망 없어요? · 문모닝 · 나중에 · 미안하다 고맙다 ·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나라 · 모두가 짜장을 외칠 때 난 해물 짬뽕 · 문을 여니 조국이 보인다 · 재인산성 · 문크 예거 · 문재인 게임 · 나 문재인 지지하는데 · 너, 나하고 일 하나 같이 하자 | ||
| 다큐멘터리 | 문재인입니다 | ||
| 기타 | 자택 · 지지율 · 여담 · 어록 · 평산책방 · 문재인의 운명 ·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 · 문재인입니다 · 국민과의 대화 · 적폐몰이 · 법무법인 부산 ·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 반문연대 · 서울의 봄 · 페스카마호 선상 살인 사건 · 부산 엄궁동 2인조 살인사건 · 문재인김정숙 난 |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문재인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문재인 정부 참고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6BA4><tablebgcolor=#006BA4> | 2018 남북정상회담 전문가자문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6px -1px;" | <rowcolor=#fff> 이름 | 현직 | 관련 이력 |
| 고유환 |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 |
| 김귀옥 | 한성대학교 교수 | ||
| 김병연 |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장 | |
| 김석향 |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 ||
| 김연철 | 인제대학교 통일학부 교수 | 통일부장관 정책보좌관, 한겨레평화연구소장 | |
| 김용현 |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 북한연구학회 부회장 | |
| 김준형 | 한동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 | 한반도평화포럼 외교연구센터장 | |
| 문성묵 |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 국방부 북한정책과장 | |
| 박명림 | 연세대학교 교수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실장 | |
| 박현선 |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
| 배기찬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고문 | 2007 남북정상회담 수행원, 청와대 정책실 동북아비서관 | |
|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2000 남북정상회담 수행원 | |
| 이관세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장 | 제17대 통일부차관, 제2대 남북회담본부장 | |
| 이남주 | 성공회대학교 중어중국학과 교수 | ||
| 이재영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본부장 |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 |
| 이정철 |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
| 이희옥 |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
| 임강택 |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북한연구학회 부회장,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장 | |
| 임을출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제1기 남북관계발전위원회 민간위원 | |
| 전봉근 | 국립외교원 교수 | 통일부장관 정책보좌관 | |
| 지성림 | 연합뉴스 기자 | ||
| 조동호 | 국가안보전략연구원장 |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 |
| 조성렬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통일부 정책자문위원장 | |
| 진창수 | 제9대 세종연구소장 | ||
| 최혜경 | 어린이어깨동무 사무총장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BA4><tablebgcolor=#006BA4> | 2018 남북정상회담 원로자문단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이름 | 현직 (2018년 기준) | 관련 이력 |
| 임동원(단장) | 한반도평화포럼 명예 이사장 | 제24대 국가정보원장 제25·27대 통일부장관 | |
| 김영희 | 중앙일보 대기자 | ||
| 김정수 | 한국여성평화연구원장 | ||
| 문정인 |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별보좌관 | 2000, 2007 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원 | |
| 박재규 | 경남대학교 총장 | 제26대 통일부장관 2000 남북정상회담 추진위원회 위원장 | |
| 박지원 | 민주평화당 의원 | 2000 남북정상회담 대북특사 | |
| 백종천 | 세종연구소 이사장 |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 | |
| 심재권 | 제20대 국회 외교통일위원장 | ||
| 이재정 | 경기도교육감 | 제11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제33대 통일부장관 | |
| 이종석 |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 2000 남북정상회담 대통령 특별수행원 제32대 통일부장관 | |
| 이현숙 | 여성평화외교포럼 명예대표 | 참여정부 통일부 정책자문위원장 | |
| 이홍구 | 아산사회복지재단 이사 | 제14대 국토통일원장관, 제20대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 | |
| 장달중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참여정부 통일부 정책평가위원장 | |
| 장상 | 세계기독교교회협의회 공동의장 | 통일부 통일고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부의장 | |
| 정동영 | 민주평화당 의원 | 제31대 통일부장관 | |
| 정세현 | 한반도평화포럼 이사장 | 제29·30대 통일부장관 제6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 | |
| 최완규 | 신한대학교 탈분단경계문화연구원장 | 제4대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 |
| 하영선 |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 | 국민의 정부 통일부 통일정책평가회의 위원 | |
| 한완상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제18대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 제3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 | |
| 홍석현 | 한반도평화만들기 이사장 | 제20대 주미대사 대통령 미국 특사 | |
| 황원탁 | 국민의 정부 대통령비서실 외교안보수석비서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주요 역사적 사건 | ||
| <colbgcolor=#ccc,#333><colcolor=black,white> 김일성 시대 | <colbgcolor=#eee,#555><colcolor=black,white> 1940년대 |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설치 (1945) · 조선로동당 제1차대회 (1946) ·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설립 (1946) · 김일성 암살 미수 사건 (1946) · 북조선인민위원회 설립 (1947) · 조선로동당 제2차대회 (1948) · 제1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4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948) · 북·남조선로동당 합당 (1949) | |
| 1950년대 | 6.25 전쟁 (1950~1953) · 박헌영-리승엽 간첩 사건 (1953~1955) · 8월 종파사건 (1956) · 조선로동당 제3차대회 (1956) · 중국인민지원군 철수 (1958) · 천리마 운동 (1959) · 재일교포 북송 (1959~1984) | ||
| 1960년대 | 조소동맹조약 (1961) · 조중동맹조약 (1961) · 조선로동당 제4차대회 (1961) · 갑산파 숙청 사건 (1967) · 1.21 사태 (1968)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 ||
| 1970년대 | 조선로동당 제5차대회 (1970) · 7.4 남북 공동 성명 (1972) · 사회주의헌법 제정 (1972)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 ||
| 1980년대 | 조선로동당 제6차대회 (1980)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 · 제13차 평양세계학생축전 (1989) | ||
| 1990년대 | 남북기본합의서 (1991) · 남북 유엔 동시 가입 (1991) · 북일수교협상 (1991~1992) · 제1차 북핵 위기 (1993~1994) · 서울불바다 발언 사건 (1994) · 김일성 사망 (1994) | ||
| 김정일 시대 | 1990년대 | 남북정상회담 무산 (1994) · 고난의 행군 (1994~2000) · 북미 제네바 합의 (1994)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 심화조 사건 (1997~2000) · 금강산 관광 (1998~2008) · 제1연평해전 (1999) | |
| 2000년대 | 남북정상회담 (2000) · 조미 코뮤니케 (2000) · 제2연평해전 (2002) · 새로운 경제관리개선조치 (2002) · 북일정상회담 (2002~2004) · 개성공업지구 설치 (2003) · 6자회담 (2003~2009) · 룡천역 열차 폭발사고 (2004) · 제1차 핵실험 (2006) · 남북정상회담 (2007) · 제2차 핵실험 (2009) · 화폐개혁 (2009) | ||
| 2010년대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 연평도 포격전 (2010) · 김정일 사망 (2011) | ||
| 김정은 시대 | 2010년대 | 제3차 핵실험 (2013) · 장성택 처형 사건 (2013) · 5.30 조치 (2014) · 제4차 핵실험 (2016) · 조선로동당 제7차대회 (2016) · 제5차 핵실험 (2016) · 김정남 피살 사건 (2017) · 제6차 핵실험 (2017) · 김성일 사건 (2017) · 남북정상회담 (평양공동선언) (2018) · 북미정상회담 (2018, 2019) | |
| 2020년대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2020) ·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 (2021) · 반체제 정당 조직 적발 사건 (2021) · 코로나 대유행 (2022) · 적대적 두 국가론 (2023) ·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 (2024) · 지린성 북한 노동자 폭동 사건 (2024) · 반체제 세력 출현 사건 (2024) · 오물 풍선 살포 사건 (2024)ㆍ2024년 북러정상회담 (2024)ㆍ북한 외교관 연쇄 탈북 사건 (2024)ㆍ주러시아 북한 관전무관 폭사 사건 (2024)ㆍ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2024)ㆍ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2024)ㆍ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2024) | ||
| 역사왜곡* | |||
| 항일무장투쟁 | 타도제국주의동맹 (1926) · 카륜회의 (1930) · 명월구회의 (1931) · 조선인민혁명군 (1932) · 민생단 사건 (1932~1936) · 남호두회의 (1936) · 미혼진회의 (1936) · 동강회의 (1936) · 조국광복회 (1936) | ||
| 6.25 전쟁 | 전쟁 발발 책임 · 승패 인식 | ||
| 백두혈통 우상화 | 김응우 (제너럴 셔먼호 사건) · 김형직 · 강반석 · 김정숙 · 김정일 출생지 왜곡 | ||
| 관련 서적 | 미제와 일제의 조선침략죄행 · 백두혈통 우상화 교과서 · 세기와 더불어 · 조선력사 | ||
| * 괄호 안의 연도는 북한의 주장에 근거한 연도이며, 실제 역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단체 및 사건이거나 실제와는 다른 연도일 수 있음. | |||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