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관련 뉴스 | ||||||
2015년 이전 | → | 2016년 | → | 2017년 | ||
문서가 분리된 2016년에 발생한 북한 관련 사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01. 06. | 북한의 4차 핵실험 | ||||
02. 07. | 2016년 북한 광명성호 발사 사건 | |||||
02. 10. | 2016년 개성공단 가동 중단 | |||||
04. 05. | 류경식당 종업원 집단탈북 | |||||
05. 06. ~ 05. 09. | 조선로동당 제7차대회 | |||||
09. 09. | 북한의 5차 핵실험 | |||||
2016-2017년 북한 미사일 도발 |
북한 관련 뉴스 | ||||||
2016년 | → | 2017년 | → | 2018년 | ||
문서가 분리된 2017년에 발생한 북한 관련 사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북한산 석탄 등 위장 반입 사건 | |||||
2016-2017년 북한 미사일 도발 | ||||||
김성일 사건 | ||||||
06. | 2017년 GP 경계 실패 논란 | |||||
09. 03. | 북한의 6차 핵실험 | |||||
10. 20. | 391흥진호 나포사건 | |||||
11. 13. | 2017년 판문점 귀순 북한군 총격 사건 | |||||
11. 29. | 2015년 목사 간첩 사건 판결 확정 |
1. 개요2. 2016년 발사
2.1. 2월 7일2.2. 3월 3일2.3. 3월 10일2.4. 3월 18일2.5. 4월 1일2.6. 4월 15일2.7. 4월 23일2.8. 4월 28일2.9. 5월 31일2.10. 6월 22일2.11. 7월 19일2.12. 8월 3일2.13. 8월 24일2.14. 9월 5일2.15. 10월 15일2.16. 10월 20일
3. 2017년 발사3.1. 2월 12일3.2. 3월 6일3.3. 3월 22일3.4. 4월 5일3.5. 4월 16일3.6. 4월 28일3.7. 5월 14일3.8. 5월 21일3.9. 5월 27일3.10. 5월 29일3.11. 6월 8일3.12. 7월 4일3.13. 7월 28일3.14. 8월 26일3.15. 8월 29일3.16. 9월 15일3.17. 11월 29일
4. 이후5. 둘러보기1. 개요
2016년부터 2017년까지의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정리한 문서. 통상적인 미사일 뿐만 아니라 우리 군에서 대남도발로 간주하는 방사포 등의 '발사체'를 포괄하여 설명한다.2. 2016년 발사
발사 위치는 북한에서 사용하는 행정구역을 따른다. 우리 합동참보본부 발표는 이북5도 행정구역을 따르거나, 인근 비행장 명칭을 따서 발표하는 등 북한 공식 지명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날짜 | 발사 미사일 | 위치 | 탄착지점 | 김정은 참관 여부 |
3월 3일 | KN-09 6발 | 원산시 | 동해상 | O |
3월 10일 | 스커드-C 2발 | 황주군 | 동해상 | O |
3월 18일 | 노동 미사일 2발 | 숙천군 | 1발 공중폭발, 1발 동해상 | 미상 |
3월 21일 | KN-09 5발 | 함흥시 | 동해상 | O |
4월 1일 | 번개-5 3발 | 정평군 | 공중 목표물 | O |
4월 15일 | 화성-10 1발 | 원산시 | 발사실패 | 미상 |
4월 23일 | 북극성 1발 | 신포시 | 공중폭발 | 미상 |
4월 28일 | 화성-10 2발 | 원산시 | 발사실패 | 미상 |
5월 31일 | 화성-10 1발 | |||
6월 22일 | 화성-10 2발 | 1발 실패, 1발 동해상 | O | |
7월 19일 | 노동 미사일 2발 스커드-C 1발 | 황주군 | 동해상 | O |
8월 3일 | 노동 미사일 2발 | 은률군 | 1발 실패, 1발 동해상 | 미상 |
8월 24일 | 북극성 1발 | 신포시 | 동해상 | O |
9월 5일 | SCUD-ER 3발 | 황주군 | 동해상 | O |
10월 15일 | 추정 화성-10 1발 | 구성시 | 실패 | 미상 |
10월 22일 |
2.1. 2월 7일
자세한 내용은 2016년 북한 광명성호 발사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2.2. 3월 3일
원산시 일대에서 KN-09 발사차량 한 대를 가져다 놓고 포 6발을 발사했다. 김정은도 직접 참관하였다.2016년 3월 3일 식별된 KN-09 발사차량 |
2.3. 3월 10일
황주군에서 화성-6(SCUD-C) 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 김정은도 직접 참관하였다.2016년 3월 10일 북한 미사일 발사 |
2.4. 3월 18일
평안남도 숙천군 일대에서 노동 미사일로 추정되는 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 모두 실패했다. # 사진 공개도 없었다.2.5. 4월 1일
평안남도 정평군 일대에서 번개-5(KN-06)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 선덕비행장 일대에서 발사했기 때문에 우리측에서는 '선덕'이라는 지명으로 발표하였다. #콜드런치 형태로 발사되는 번개-5 미사일 |
2.6. 4월 15일
원산시 일대에서 화성-10(무수단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했으나 실패했다. 화성-10 미사일의 1차 시험 발사이다.2.7. 4월 23일
2016년 4월 23일 북극성 발사 시험 |
2.8. 4월 28일
원산시 일대에서 화성-10(무수단 미사일) 오전 6시 40분 경, 오후 7시 26분 경 잇달아 1발씩, 총 2발을 시험 발사했으나 실패했다. 화성-10 미사일의 2차, 3차 시험 발사이다. 10시간 간격을 두어 발사한 것이 특징이다. # # 실패한지라 사진 공개도 없었다.2.9. 5월 31일
원산시 일대에서 화성-10(무수단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했으나 실패했다. 화성-10 미사일의 4차 시험 발사이다.2.10. 6월 22일
원산시 일대에서 화성-10(무수단 미사일) 2발을 잇달아 시험 발사했으나 앞의 1발은 실패했고 뒤의 1발은 400km를 날아갔다. 화성-10 미사일의 5차, 6차 시험 발사이다. 6차 시험발사가 첫번째 성공이다.화성-10 6차 시험발사 당시 TEL과 이를 지켜보는 김정은의 뒷통수 |
2.11. 7월 19일
황주군에서 노동 미사일(화성-7) 2발과 스커드-C 미사일(화성-6) 1발을 발사했다.2016년 7월 19일 북한 미사일 발사 장면 |
당시 공개한 사진속 발사 지도(전략군 화력 타격 계획)에는 미사일 탄착지점에 둥그런 원호가 그려져 있었는데, 원호의 끝이 부산이었다.
2.12. 8월 3일
은률군에서 노동 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 한 발은 실패하였다. 발사 사진이 공개되지는 않았다. #2.13. 8월 24일
신포시 앞바다에서 북극성 1발을 발사했다. 성공했다고 평가되었다.2016년 8월 24일 북극성 발사 시험 |
전반적인 내용은 북한의 SLBM 개발 항목을 참조할 것. 북한은 이 날의 (자칭) 성공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신포급 잠수함에 8.24 영웅함이라는 명칭을 붙였다.
2.14. 9월 5일
또다시 황주군에서 SCUD-ER로 추정되는 미사일 3발을 발사했다. 이 미사일의 정체와 관련된 혼선 및 논란은 SCUD-ER 항목 참조.북한이 2016.9.5 발사한 SCUD-ER 3발의 모습 |
당시 G20 정상회담이 중국 항저우에서 인 직후였는데, SCUD-ER의 사정거리가 항저우에 닿을 정도여서 화제가 되었다. #
2.15. 10월 15일
낮 12시 33분, 구성시에 위치한 방현 비행장 보조 활주로에서 탄도미사일을 1발 발사하였으나 실패하였다. # 추정키로는 화성-10이다. 이럴 경우 화성-10의 7차 시험발사이다. 다만 2017년 2월 12일 북극성-2가 구성에서 발사성공한 것으로 보아, 이 미사일이 화성-10인지는 100% 확인하기 어렵다. 화염 흔적으로 파악한 정확한 발사 지점은 지리좌표로 39.92111°N,125.21361°E이다.2.16. 10월 20일
오전 7시 40분, 구성시에 위치한 방현 비행장 일대에서 탄도미사일을 1발 발사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추정키로는 '화성-10'이다. 이럴 경우 화성-10 화성-10의 8차 시험발사이다. 정부 당국자에 말에 따르면 발사 전에 TEL이 폭발했다고 하니, 위성 사진으로 관련 정보를 획득했을 가능성이 크다. # 화염 흔적으로 파악한 정확한 발사 지점은 지리좌표로 39.92°N, 125.215°E이다.하지만 북한이 미사일 발사 사진을 공개하지 않아 2016년 10월 15일과 10월 22일 발사가 화성-10 시험발사가 아닐 수 있다는 설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제프리 루이스는 KN-08 시험발사 가능성을 제기했으나, 그 스스로도 50% 확률이라고 반신반의했다. #워싱턴 포스트 기사독일의 노버트 브리게는 이것이 북극성-2의 시험 발사 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자위-2021 미사일 발사 사례 안내판에서 화성-10의 안내판도 흐릿하게 포착되었는데, 그것의 고화질 이미지가 추후 기록 영화 등을 공개되기를 바랄 뿐이다.
3. 2017년 발사
날짜 | 발사 미사일 | 위치 | 탄착지점 | 김정은 참관 여부 |
2월 12일 | 북극성-2 1발 | 구성시 | 동해상 | O |
3월 6일 | SCUD-ER 4발 | 철산군 | 동해상[1] | O |
3월 22일 | 화성-10 1발 | 원산시 | 지상폭발 | 미상 |
4월 5일 | 화성-12 1발 | 신포시 | 공중폭발 | O |
4월 16일 | O | |||
4월 28일 | 덕천시 | O | ||
5월 14일 | 구성시 | 동해상 | O | |
5월 21일 | 북극성-2 1발 | 안주시 | 동해상 | O |
5월 29일 | KN-18 1발 | 원산시 | 동해상 | O |
6월 8일 | KN-19 4발 | 원산시 | 목표 함선 | O |
7월 4일 | 화성-14 1발 | 방현동[2] | 동해상 | O |
7월 28일 | 화성-14 1발 | 전천군 | 동해상 | O |
8월 26일 | KN-21 3발 | 강원도 동해안 | 동해상 | 미상 |
8월 29일 | 화성-12 1발 | 평양시 | 북태평양상 | O |
9월 15일 | 화성-12 1발 | 평양시 | 북태평양상 | O |
11월 29일 | 화성-15 1발 | 평성시 | 동해상 | O |
3.1. 2월 12일
북극성-2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 했다. 북극성-2의 1차 시험 발사로 평안북도 구성시 부근에서 발사되었다. 처음에는 노동 계열이라고 추정되었거나, 화성-10으로 추정되었다. #노동설 #무수단설북극성-2의 1차 시험 발사 |
3.2. 3월 6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인근에서 동해상으로 스커드-ER 4발을 발사했다.발사 직전의 SCUD-ER 4기 |
미국에서는 5발을 발사했는데 1발이 실패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 일단 북한이 공개한 사진은 4발이다. 북한은 핵탄두를 장착해 주일 미군 기지를 공격하는 훈련을 했다고 보도했다. # 당연히 일본은 펄쩍 뛰었다.
3.3. 3월 22일
원산갈마국제비행장에서 화성-10(무수단 미사일) 발사 준비도중 지상에서 미사일이 폭발하는 사고가 있었다.3.4. 4월 5일
화성-12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했다. 화성-12의 1차 시험 발사로 신포시 부근에서 발사되었다. 실패했다.화성-12형의 1~4차 시험 발사 모습. 모두 김정은이 참관했다. |
3.5. 4월 16일
화성-12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했다. 화성-12의 2차 시험 발사로 신포시 부근에서 발사되었다. 실패했다.3.6. 4월 28일
화성-12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했다. 화성-12의 3차 시험 발사로 덕천시 부근에서 발사되었다. 우리 보도로는 북창군 일대라고도 했다.3.7. 5월 14일
화성-12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했다. 화성-12의 4차 시험 발사로 구성시 부근에서 발사되었다. 4차 발사만에 성공하였다.화성-12의 4차 발사 |
3.8. 5월 21일
북극성-2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 했다. 북극성-2의 2차 시험 발사로 안주시 연풍호에서 발사되었다. 처음 보도로는 북창군 일대라고도 했다.북극성-2 2차 시험 발사 |
문재인 대통령은 5월 22일, 양산시 본가로 휴가를 즐기러 내려갔다. 이후 노무현 추도식까지 참석했다. #
3.9. 5월 27일
KN-06 미사일을 수 발 발사했다. 김정은 참관도 이루어졌다.3.10. 5월 29일
KN-18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 했다. KN-18의 1차 시험 발사로 원산시 부근에서 발사되었다.2017년 5월 29일, KN-18의 1차 시험 발사 모습 |
3.11. 6월 8일
KN-19 미사일을 4발 발사했다. 원산시 부근에서 발사되었다. 처음에는 '수 발'로 확인되었으나, 다음날인 6월 9일 발사 사진이 공개되면서 4발 발사가 확인되었다. #KN-19 1차 시험발사 전, TEL을 지켜보는 김정은 |
전망대 추정 시설에서 KN-19 발사 성공에 환호하는 김정은 |
3.12. 7월 4일
화성-14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했다. 화성-14의 1차 시험 발사로 구성시 부근에서 발사되었다.화성-14의 1차 시험 발사 |
3.13. 7월 28일
화성-14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했다. 화성-14의 2차 시험 발사로 전천군 부근에서 발사되었다. 우리 언론에서는 하위 지명을 따다 '무평리'라고도 알려졌다.화성-14의 2차 시험 발사 |
3.14. 8월 26일
추후 KN-21로 명명된 미사일 3발을 시험 발사했다. 북한이 사진을 공개하지 않아 정체는 불분명하다. 강원도 동해안에서 동해상을 향해 발사되었다. 스커드-B와 KN-09 사이의 궤적을 나타냈다고 한다.3.15. 8월 29일
화성-12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했다. 화성-12의 5차 시험 발사로 평양국제비행장에서 이루어졌다.화성-12 5차 시험 발사와 상황도 |
3.16. 9월 15일
화성-12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했다. 화성-12의 6차 시험 발사로 평양국제비행장에서 이루어졌다.2017년 9월 15일, 6차 시험 발사를 앞둔 화성-12 |
우리 군은 대응 차원에서 현무-IIA 2발을 도발 6분 뒤 발사했다. 하지만 그 중 한발은 공중폭발하여 비판받았다. # 발사 지점에서 평양국제비행장까지 거리에 맞춰서 원점타격에 준해 발사했다.
3.17. 11월 29일
화성-15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 했다. 화성-15의 1차 시험 발사로 평성시 부근에서 이루어졌다. 대형 ICBM을 발사하며 2016-2017년 미사일 도발의 대미를 장식한 것이다.화성-15의 1차 시험 발사 |
4. 이후
2017년 11월 29일 발사 이후 북한의 미사일 도발은 잠잠해졌다. 평창 올림픽을 앞두고 문재인 정부와 평화 분위기를 이어나갔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동안 뒤에서는 다양한 무기를 개발해왔고, 2019년부터 미사일 발사를 재개했다. 2019-2020년 북한 미사일 도발 항목 참조. 두 미사일 도발 사이에는 약 17개월의 텀이 존재한다. #5. 둘러보기
[[북한|]] 북한의 미사일 및 어뢰 전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4px" | <colbgcolor=#024FA2><colcolor=#fff> 근거리 | 화성-11라(110km) · KN-02/화성-11(160km) · KN-09/KN-16(180km, 200km) |
단거리 | 600㎜초대형방사포/KN-25(400km) · KN-24/화성-11나(450km) ·스커드/화성-5·6(300km, 500km) · 화성-11다(600km) · KN-23/화성-11가(900km) | |
준중거리 |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2,000km)· 극초음속 2형(2,000km) · 화성-8(극초음속) | |
순항미사일 | KN-27/화살-1(1,500km) · 2023년 공개 SLCM(1,500km) · 화살-2(1,800km) · 불화살-3-31(2,000km) · 화살-1라-3 | |
중거리 |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 화성-12나(극초음속) · 2024년 공개 IRBM · 화성-16나 | |
대륙간 |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 화성-18(15,000km) · 화성-19(18,000km) | |
자칭 인공위성 발사체 및 발사 |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ND] · 대포동 2호/(추정) 은하 1호(2006)[ND] · 대포동 3호/은하 2호(2009)[MS] · 은하 3호(2012년 4월, 12월)[MS] · 광명성(2016)[MS] ·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2022)[ND] · 천리마-1(2023)[PE] · 북한 신형 로켓 | |
SLBM | 화성-11ㅅ(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5,000km) · 북극성-4 · 북극성-5 · 2022년 공개 SLBM | |
지대공 |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 KN-06/번개-5[1] · 별찌-1-2 | |
공대공 | 신형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 |
함대함 | KN-01[2] · 금성-3[3] | |
지대함 | KN-18(대함 탄도탄) · KN-19(금성-3 지대함 버전) · 바다수리-6 | |
어뢰·수중드론 | CHT-02D · PT-97W · 해일-1 · 해일-2 | |
대전차 미사일 | 북한판 NLAW · 불새-2/3[4] · 불새-5 및 5연장 대전차 미사일[5] · 북한판 스파이크(8연장 대전차 미사일) | |
퇴역 · 프로토타입 | 화성-1/FROG · 화성-3/FROG-M · KN-10(220km) · 축하연 공개 미상 흰색 미사일 | |
| ||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유도무기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