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4-18 20:49:03

북극성-4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한의 미사일 및 어뢰 전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4px"
<colbgcolor=#ed1c27,#c00000><colcolor=#fff> 근거리 화성-11라(110km) · KN-02/화성-11(160km) · KN-09/KN-16(180km, 200km)
단거리 600㎜초대형방사포/KN-25(400km) · KN-24/화성-11나(450km) ·스커드/화성-5·6(300km, 500km) ·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600km) · KN-23/화성-11가(9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2,000km)· 극초음속 2형(2,000km) · 화성-8(극초음속)
순항미사일 KN-27/화살-1(1,500km) · 2023년 공개 SLCM(1,500km) · 화살-2(1,800km) · 불화살-3-31(2,000km)
중거리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 화성-12나(극초음속) · 2024년 공개 IRBM · 화성-16나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 화성-18(15,000km)
자칭 인공위성 발사체 및 발사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ND] · 대포동 2호/(추정) 은하 1호(2006)[ND] · 대포동 3호/은하 2호(2009)[MS] · 은하 3호(2012년 4월, 12월)[MS] · 광명성(2016)[MS] ·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2022)[ND] · 천리마-1(2023~)[PE]
SLBM 화성-11ㅅ(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5,000km) · 북극성-4 · 북극성-5 · 2022년 공개 SLBM
지대공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 KN-06/번개-5[1] · 번개-7
공대공 신형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함대함 KN-01[2] · 금성-3[3]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금성-3 지대함 버전) · 바다수리-6
어뢰·수중드론 CHT-02D · PT-97W · 해일-1 · 해일-2
대전차 미사일 북한판 NLAW · 불새-2/3[4] · 불새-55연장 대전차 미사일[5] · 북한판 스파이크(8연장 대전차 미사일)
퇴역 · 프로토타입 화성-1/FROG · 화성-3/FROG-M · KN-10(220km) · 축하연 공개 미상 흰색 미사일
파일:2022 국방백서 미사일 평가(수정).svg
[ 각주 ]
[ND] 스커드, 화성-7 기반 발사체 | [MS] 화성-7, 화성-10 기반 발사체 | [PE] 백두산 엔진 발사체
[1] S-300, HQ-9 기반 | [2] 실크웜 기반 | [3] Kh-35 기반 | [4] 9M111 Fagot 기반 | [5] 9M113 콘쿠르스 기반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파일:missile_icon__.jpg 유도무기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북극성-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북극성 미사일의 한 종류
파일:북극성-4.jpg
파일:북극성-41.png
2020년 10월 10일 조선 노동당 창당 75주년 열병식에서 공개된 모습
<colcolor=#024fa2> 북한 명칭 《북극성-4》형[1] 혹은 《북극성-4ㅅ》
국방백서 표기 북극성-4ㅅ
KN 코드 미상
최대사거리 3,000km 이하
길이 9.4[UN]~9.9m[ONN]
지름 2m[UN]~2.05[ONN]
추진 2단 고체연료
발사 플랫폼 신포 C급 잠수함

1. 개요2. 제원3. 상세
3.1. 개발 완료?3.2. 소속 군종 관련3.3. 명칭 관련
4. 핵잠수함 건조 선언과 개량형 등장5. 여담

[clearfix]

1. 개요

2020년 10월 10일 조선노동당 창당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공개된 북한의 신형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이며, 탄두 부분이 뭉툭하여 다탄두 탄도 미사일로 추정된다.

2. 제원

2019년 10월에 시험발사에 성공한 북극성-3에 비해 길이는 짧아지고 직경은 커졌다. 북극성-3형은 길이는 10m, 직경은 1.5m 가량인데 북극성-4ㅅ형은 길이는 8~9m, 직경은 1.8~2m 가량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북극성-4ㅅ형은 북극성-3형보다 직경이 커져 여러 개의 탄두, 즉 다탄두를 탑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국항공대 장영근 교수는 로켓 모터의 상당 부분은 북극성-3과 공유할 것으로 추론했다. 특히 길이가 짧아진 것은 북한이 현재 건조중인 4000~5000t급 잠수함에 탑재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 신형 4000~5000t급 잠수함은 미·러·중 등 군사강대국 SLBM 잠수함처럼 함교가 아닌 선체의 수직발사대에 미사일을 싣기 때문에 선체 직경(10m)보다 미사일이 길면 탑재를 할 수 없게 된다. 북한의 신형 4000~5000t급 잠수함에 북극성-4를 무장할 것으로 추측된다.[6]

3. 상세

떡밥은 던졌지만 아직까지 시험 발사를 하지 않은 상태라 여러가지 추측이 오가고 있다.

3.1. 개발 완료?

화성-17형과 마찬가지로 실제 발사시험은 실시된 바 없기 때문에 아직 SLBM으로서 완성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레플리카. 즉 모형이라는 설이다. 하지만 이전 북극성 3형이 실제로 시험 발사를 했고 성공했으며 북극성-4형이 사정거리를 늘리고 다탄두 탑재가 가능한 개량형으로 추정되므로 아직 시험발사만 안했을 뿐이며 단순히 모형일 가능성은 적다. 적어도 북한 정권이 SLBM 전력의 지속적인 발전을 목표하고 있다는 의도를 보여주고 있는 것에 그 심각성이 있다.

3.2. 소속 군종 관련

북극성 미사일 시리즈 가운데 첫번째 모델이자 SLBM이었던 북극성(KN-11)은 열병식에서 푸른색 도장의 트럭에 실려, 조선인민군 해군 병사들과 함께 등장했다. 해당 미사일이 해군 소속임을 명확히 한 것이다. 그런데 이번 북극성-4는 조선인민군 육군 병사와 함께 등장했다. 어깨에 빨간색 표식이 보인된다.
파일:북극성-4와 육군.jpg
북극성-4를 호위하는 육군 병사

이에 이 미사일은 육군 소속의 사일로 형태 미사일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었다. #

3.3. 명칭 관련

미사일 외부의 표기는 '북극성-4A'가 아닌 '북극성-4ㅅ'인 것으로 추정된다. # 잘 보면 '성'의 시옷과 폰트가 일치하고, A라고 보기에는 찌그러져 있다. 게다가 북한의 체제 특성상 굳이 알파벳을 제식 명칭에 넣을 이유도 없다. 부석종 해군참모총장에 따르면 수중 내지는 수상용이라는 의미에서 'ㅅ'을 붙인 것으로 추측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 말은 북극성-4의 지상(육상)형도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어 2021년에 화성-11나의 명칭이 등장하면서 숫자+한글 형태의 작명이 실재함도 알려졌다.

4. 핵잠수함 건조 선언과 개량형 등장

2021년 1월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에서 김정은이 직접 SLBM을 탑재하는 핵추진 SSBN 건조를 선언하였다.# 그리고 1월 14일 열병식에서 북극성-4보다 대형화된 북극성-5 미사일을 등장시켰다.

5. 여담

미국의 한 군사 매체는 북극성-4가 고체연료 ICBM일 것이라 추측했다.
파일:북한 고체연료 ICBM 상상도.png
북한의 고체연료 ICBM '가칭 《북극성-4》'의 상상도
공개 당시에는 고체 ICBM이라는 무리한 상상도였으나, 화성-18로 현실화 되었다.
[1] #출처[UN] 출처: UN 안보리 보고서 S/2021/777 각주 18-2-3 PDF 링크[ONN] 오스트리아 기반 연구소 ONN의 측정, 해당 보고서[UN] [ONN] [6] 출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