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23:56:50

북한 신형 로켓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한의 미사일 및 어뢰 전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4px"
<colbgcolor=#ed1c27,#c00000><colcolor=#fff> 근거리 화성-11라(110km) · KN-02/화성-11(160km) · KN-09/KN-16(180km, 200km)
단거리 600㎜초대형방사포/KN-25(400km) · KN-24/화성-11나(450km) ·스커드/화성-5·6(300km, 500km) ·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600km) · KN-23/화성-11가(9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2,000km)· 극초음속 2형(2,000km) · 화성-8(극초음속)
순항미사일 KN-27/화살-1(1,500km) · 2023년 공개 SLCM(1,500km) · 화살-2(1,800km) · 불화살-3-31(2,000km) · 화살-1라-3
중거리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 화성-12나(극초음속) · 2024년 공개 IRBM · 화성-16나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 화성-18(15,000km)
자칭 인공위성 발사체 및 발사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ND] · 대포동 2호/(추정) 은하 1호(2006)[ND] · 대포동 3호/은하 2호(2009)[MS] · 은하 3호(2012년 4월, 12월)[MS] · 광명성(2016)[MS] ·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2022)[ND] · 천리마-1(2023)[PE] · 북한 신형 로켓
SLBM 화성-11ㅅ(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5,000km) · 북극성-4 · 북극성-5 · 2022년 공개 SLBM
지대공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 KN-06/번개-5[1] · 별찌-1-2
공대공 신형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함대함 KN-01[2] · 금성-3[3]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금성-3 지대함 버전) · 바다수리-6
어뢰·수중드론 CHT-02D · PT-97W · 해일-1 · 해일-2
대전차 미사일 북한판 NLAW · 불새-2/3[4] · 불새-55연장 대전차 미사일[5] · 북한판 스파이크(8연장 대전차 미사일)
퇴역 · 프로토타입 화성-1/FROG · 화성-3/FROG-M · KN-10(220km) · 축하연 공개 미상 흰색 미사일
파일:2022 국방백서 미사일 평가(수정).svg
[ 각주 ]
[ND] 스커드, 화성-7 기반 발사체 | [MS] 화성-7, 화성-10 기반 발사체 | [PE] 백두산 엔진 발사체
[1] S-300, HQ-9 기반 | [2] 실크웜 기반 | [3] Kh-35 기반 | [4] 9M111 Fagot 기반 | [5] 9M113 콘쿠르스 기반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파일:missile_icon__.jpg 유도무기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21세기의 우주개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주요 우주개발 프로젝트
파일:NASA_Artemis_Gateway_logo.png
루나 게이트웨이

화성 개척
파일:아르테미스 계획 휘장.svg
아르테미스 계획
주요 우주개발 기관
파일:NASA 로고.svg 파일:러시아 연방 우주국 로고.svg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파일:국가항천국 로고.svg 파일:JAXA 로고.svg 파일:인도 우주연구기구 로고.svg
주요 우주개발 기업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 파일:e09f7d22dc9bc30461d3df3936811718.png 파일:blue-origin-logo.png
파일:로켓 랩 로고.png 파일:아리안스페이스 로고.svg 파일:버진 갤럭틱 로고.svg
국가기관 주력 발사체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소유즈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안가라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프로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SLS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베가-C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창정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PSLV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GSLV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엡실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누리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천리마-1
민간기업 주력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9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헤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아틀라스 V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델타 IV 헤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벌컨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A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I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콰이저우
소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일렉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런처원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페가수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빛-TLV
운용 예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스타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 글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테란 1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이르티시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아리안 6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III
소형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고체연료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s
}}}}}}}}} ||



1. 개요2. 1차 발사3. 분석

[clearfix]

1. 개요

북한이 2024년 5월 27일 오후 22시 44분경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1호'를 탑재한 후 발사한 신형 로켓.

2. 1차 발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은 주체113(2024)년 5월 27일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케트에 탑재하여 발사를 단행하였다.

신형위성운반로케트는 1계단비행중 공중폭발하여 발사가 실패하였다고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부총국장은 밝혔다.

그는 비상설위성발사준비위원회 현장지휘부전문가심의에서 새로 개발한 액체산소+석유발동기의 동작믿음성에 사고의 원인이 있는것으로 초보적인 결론을 내렸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기타 원인으로 될수 있는 문제점들도 심의할것이라고 하였다.
조선중앙통신사 보도
군사정찰위성발사시 사고발생

이후 조선중앙통신의 보도에서 '신형 위성 운반 로켓은 1단 비행 중 공중 폭발해 발사가 실패했다''며 실패를 인정했다.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부총국장은 뒤이어 '비상설 위성 발사 준비위원회 현장 지휘부 전문가심의에서 새로 개발한 액체산소+석유 발동기(엔진)의 동작 믿음성에 사고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초보적인 결론을 내렸다'며, '기타 원인으로 될 수 있는 문제점들도 심의할 것' 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사는 1계단 발동기의 비정상으로 인한 자폭체계에 의해 실패하였습니다만 성패를 떠나 우리가 명백히 해야 할것이 있습니다.

이후 5월 28일 김정은의 국방과학원 창립 60돐 기념 연설에서 '1단 로켓의 비정상으로 인한 자폭'이라는 원인을 공개했다.

파일:북한로켓폭발.jpg
발사 당시 단둥에서 촬영한 NHK의 생중계 화면에 발사 수십초 후 폭발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3. 분석

발사 실패에 대해서 공표하는 와중에 "엑체산소, 석유 발동기[1]"이라는 표현이 나와 기존에 사용하던 백두산 엔진과는 다른 새 엔진이 사용되었음이 밝혀졌다.

액체산소+케로신(등유) 엔진은 민간 우주발사체 엔진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엔진으로, 기존에 북한의 모든 로켓에서 사용한 디메틸하이드라진 엔진이 천리마 로켓 발사 과정에서 언급한것처럼 불안정했던 만큼 훨씬 더 안정적인 엔진과 취급이 까다롭지 않은 엔진을 확보하기 위함[2]과 동시에 비군사적 활용을 위한[3] 더 큰 로켓을 목표로 하는것일 가능성이 있다..[4] 또한 러시아의 기술지원이 있었던 점을 들어 같은 액체산소+케로신 로켓인 러시아의 안가라 로켓 기술을 전수받았다는 분석도 있다.#

현재로써는 로켓의 형상이나 잔해같은것이 확보되지 않아 본 로켓이 천리마-1에서 단순히 엔진만 교체된 발사체인지 아니면 누리호 시험발사체북한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처럼 별도의 테스트적인 성격이 강한 새로운 로켓인지는 밝혀진 바가 없으나 만리경 위성이 탑재되었다는 점에서 운반 능력은 기존 천리마와 거의 동급이라는 사실 정도만 추측이 가능하고 엔진이 바뀌면 연료와 관련된 모든 시스템을 전부 뜯어고쳐야 된다는 점에서[5] 나로호같이 러시아에서 기술이전을 받아서 완전히 설계가 바뀐 로켓일 가능성이 높다.

물론 북한이 백두산엔진이 불안정했다고 했던만큼 아예 자체적으로 개발하던 엔진을 탑재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탄도미사일에 사용가능한 엔진도 아닌 엔진을 북한이 독자적으로 개발했다는게 이상한 만큼[6] 백두산 엔진이 RD-250을 추종한 엔진인것처럼 러시아의 기술이전을 통해 러시아의 엔진을 추종해 개발한 엔진일 가능성이 높다.



[1] 엔진의 북한측 표현[2] 하이드라진은 독성 물질인 만큼 군사적 유용성과는 별개로 잘못하면 인명사고가 나기 쉽다.[3] 액체산소와 케로신을 쓰는 로켓은 액체산소의 취급 문제 때문에 대형 시설과 준비과정도 긴 편이라 발사 수십일 전부터 관측이 가능한 관계로 군사적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당장 이번 로켓 발사의 준비가 1~2달 전부터 관측된것이 대표적인 예시다.[4] 《조선말대사전》에 따르면, 북한에서 '케로신'의 번역은 '석유'이다. 북한에서 석유는 원유를 가공한 연유의 한 종류로 분류된다.[5] 특히 연료가 상온인 상태로 운용되는 사산화이질소/하이드라진 로켓과 다르게 액체산소/케로신 로켓은 액체산소의 초저온 특성 때문에 산화제 라인과 관련된 대부분의 설계를 바꿔야한다.[6] 기존 북한의 우주개발 프로젝트는 반드시 선행되는 탄도미사일 개발이 있었고 그 탄도미사일 개발계획에서 파생되는 형식이었지만 현재 북한에서 액체산소/케로신을 연료로 사용하는 ICBM이 식별된적은 없으며 애초에 군용으로 쓰기 힘든만큼 본 로켓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