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21:19:49

뉴 글렌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21세기의 우주 개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주요 우주 개발 프로젝트
파일:NASA_Artemis_Gateway_logo.png 파일:아르테미스 계획 휘장.svg
루나 게이트웨이 화성 개척 아르테미스 계획
주요 우주 개발 기관
파일:NASA 로고.svg 파일:러시아 연방 우주국 로고.svg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파일:국가항천국 로고.svg 파일:JAXA 로고.svg 파일:인도 우주연구기구 로고.svg
주요 우주 개발 기업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 파일:e09f7d22dc9bc30461d3df3936811718.png 파일:blue-origin-logo.png
파일:로켓 랩 로고.png 파일:아리안스페이스 로고.svg 파일:버진 갤럭틱 로고.svg
국가 기관 주력 발사체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소유즈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안가라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프로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SLS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베가-C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창정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PSLV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GSLV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엡실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누리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천리마-1
민간 기업 주력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9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헤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아틀라스 V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벌컨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A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I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콰이저우
소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일렉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런처원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페가수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빛-TLV
운용 예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스타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 글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테란 1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이르티시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아리안 6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III
소형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고체연료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s
}}}}}}}}} ||

New Glenn | Blue Ring Pathfinder (Maiden Flight)
D[dday(2025-01-16)]
2025년 1월 16일, 16:03 KST
CCSFS, LC-36
뉴 글렌
New Glenn
파일:뉴 글렌.jpg
<colbgcolor=#0000FF><colcolor=#ffffff> 기능 재사용 가능한 대형 리프트 발사체
제조사 블루 오리진
원산지
[[미국|]][[틀:국기|]][[틀:국기|]]
프로젝트 비용 최소 25억 달러
발사당 비용 6,800만 달러
크기
높이 98 m (322 ft)
지름 7 m (23 ft)
단수 2단
용량
지구 저궤도 페이로드
질량 45,000 kg (99,000 lb)
정지궤도 전송 궤도 페이로드
질량 13,600 kg (30,000 lb)
달 횡단 주입 페이로드
질량 7,000 kg (15,000 lb)
관련 로켓
비교 대상 아리안 6
팰컨 헤비
창정 5
벌컨 센타우르
스타십[1]
발사 기록
운용 여부 운영 중
발사대
[[미국|]][[틀:국기|]][[틀:국기|]] 케이프 커내버럴 LC-36

[[미국|]][[틀:국기|]][[틀:국기|]] 반덴버그 우주군기지, SLC-9 (향후)
발사 1회
성공 1회
실패 0회
착륙 0회
첫 발사 2025년 1월 16일 02:03:00 EST
2025년 1월 16일 07:03:00 UTC
승객/화물 유형 블루문
NSSL
1단 - GS1
높이 57.5 m (189 ft)
지름 7 m (23 ft)
엔진 7 × BE-4
최대 추력 17,100 MN (3,850,000 lbf)
추진체 LOX(액체산소) / CH4(메테인)[2]
2단 - GS2
높이 23.4 m (77 ft)
지름 7m (23 ft)
엔진 2 × BE-3U
최대 추력 1,540 kN (346,000 lbf)
추진체 LOX(액체산소) / LH2(액체수소)
1. 개요2. 상세3. 발사 기록
3.1. Blue Ring Pathfinder
4. 예정된 발사 미션

[clearfix]

1. 개요

블루 오리진이 개발 중인 대형 발사체. 미국 최초로 궤도비행을 한 우주비행사 존 글렌의 이름을 땄다.

2. 상세


향후 심우주 탐사, 케이퍼 프로젝트의 인공위성 발사, 화물 위탁 발사 등을 수행 할, 블루 오리진의 앞날을 판가름 할 중요한 발사체이다. 창업자 제프 베조스로부터 25억 달러, 미국 공군으로부터 NSSL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5억 달러라는 거금을 투자 받았다.

설계 작업은 2012년에 시작되었고, 차량의 일러스트레이션과 높은 수준의 사양은 2016년 9월에 처음 공개되었다. 1단에는 후술된 BE-4 엔진 7기가 탑재 되며, 스페이스X의 팰컨 9과 같이 1단 재사용(최대 25회)이 가능하도록 개발될 예정이다. 2단에는 BE-3U 엔진 2기가 탑재되며,저궤도로 45t을 날릴수 있다. 초기에는 3단으로 계획되었으나 2단으로 줄어들었고, 2단 엔진은 2개로 확장되었다.

뉴 글렌의 1단 BE-4 엔진은 산화제로 액체산소와 추진제로 메테인[3]을 사용하므로 등유(케로신)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로켓 엔진과는 달리 연소 시 찌꺼기가 생기지 않아 그을음이 거의 없다.[4] 아래 영상과 같이, 지상 발사 후 상승 중인 뉴 글랜 1단의 7개 노즐이 선명하게 빛나 보인다.

발사 영상을 보면 초기 가속도가 굉장히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동 세대의 여타 발사체들에 비해 이륙추중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보인다.


2021년 하반기 기준 첫 실기체가 조립 중이며, 발사대는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의 36번 발사대(SLC-36)를 임대하여 그 곳에서 첫 발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파일:20240223_225710.jpg
2024년 2월 22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의 LC-36의 발사장에서 드디어 첫 발사용 실기체인 S/N-001 'FREEDOM'이 직립되었다.

앞으로 향후 여러 테스트들을 거친 후, 2025년 1월 첫 발사를 할 예정이다.

2025년 1월 16일 오후 4:03(한국시간), 수 차례의 연기 끝에 최초로 발사되었다.

3. 발사 기록

<rowcolor=#ffffff> 날짜,
시간
부스터 발사장 페이로드 페이로드
질량
궤도 고객 발사
결과
착륙
결과
2025년 1월 16일
02:03 EST

2025년 1월 16일
07:03 UTC
GS1-SN001
So You’re Telling Me There’s a Chance
CCSFS,
SLC-36
블루 링 알 수 없음 MEO 블루
오리진
성공 실패
(잭린)

3.1. Blue Ring Pathfinder

Blue Ring Pathfinder
Maiden Flight

파일:NG1PATCH.jpg
미션 패치
발사 시각 2025-01-16, 02:03 EST
발사 위치 플로리다 주 케이프 커내버럴 LC-36
비행 기체 GS1-SN001
임무 유형 테스트 비행 및 위성 배치
비행 궤도 완료
궤도 근지점 2,400km
궤도 원지점 19,300km
궤도 경사각 30°
임무 기간
제작 블루 오리진
운용 블루 오리진
발사 중량 45 t
결과 궤도비행 성공, Max-Q 단계 성공, 부스터 회수 실패
요약 비고 최초 발사, 최초 Max-Q 돌파, 최초 궤도비행, 최초 부스터 회수 시도, 최초 위성 배치
기타 정보 뉴 글렌의 1번째 미션, 블루 오리진의 29번째 미션/28번째 발사 성공, 블루 오리진의 2025년의 첫 미션

2025년 1월 13일 발사가 시도되었으나 6차례에 걸쳐 총 2시간 20분 가량 연기된 끝에 취소되었다.

1월 16일, 예정보다 약 63분 지연된 16시 3분(한국시간) 발사되었다. 탑재체의 궤도 진입에 성공했지만 부스터는 엔트리 번 도중 텔레메트리 신호가 끊어졌고, 결국 회수에는 실패하였다. 생방송

4. 예정된 발사 미션

<rowcolor=#ffffff> 날짜,
시간(UTC)
부스터 발사장 페이로드 페이로드
질량
궤도 고객
2025년 3월 알 수 없음 CCSFS,
SLC-36
블루 문
(Mk1)
알 수 없음 TLI 블루
오리진
2025년 봄 알 수 없음 CCSFS,
SLC-36
에스케이프
(2개 위성)
알 수 없음 태양중심설에서
화성 주회 궤도로 전환
NASA
2025년 알 수 없음 CCSFS,
SLC-36
카이퍼샛 × ? 알 수 없음 지구 저궤도 프로젝트
카이퍼
2025년 알 수 없음 CCSFS,
SLC-36
블루 문
(Mk1)
알 수 없음 TLI 블루
오리진

[1] 성능 면에서 직접적인 경쟁 상대는 팰컨 헤비이지만 양사의 차기 주력 발사체라는 포지션이 겹치다 보니 자주 비교된다.[2] 액화천연가스(LNG)의 주성분이다.[3] 지구 뿐만 아닌 다른 행성에도 존재한다.[4] 케로신을 쓰는 팰컨 9 과 달리 엔진 세척이 필요없어 재활용 횟수가 2.5배 높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