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22:10:28

등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우타이테에 대한 내용은 등유(우타이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분별증류로 얻는 석유 제품
[ruby(LPG,ruby=액화석유가스,color=white)] ~30℃
휘발유30~140℃
나프타140~180℃
등유180~250℃
경유250~350℃
중유350℃~
윤활유잔여물
아스팔트


1. 개요2. 상세3. 성분 및 화학적 성질4. 용도
4.1. 가정용 연료4.2. 교통기관용 연료
4.2.1. 항공우주용(케로신)4.2.2. 혼유 문제
4.3. 기타 용도
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등유()는 원유(原油)를 분별증류하여 얻는, 석유의 한 가지 종류이다.

2. 상세

가솔린, 나프타 다음에 나오는 물질로 상온에서는 액체이다. 미국 영어 표현인 케로신(kerosene)은 원래 1854년 캐나다의 물리학자 에이브러햄 게스너(Abraham Pineo Gesner, 1797-1864)가 왁스를 뜻하는 그리스어 케로스(keros)에서 만들어낸 등록상표지만, 오늘날에는 일반명사로 쓰인다. 모든 영어권에서 등유를 '케로신'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영국, 인도 및 남아공에서는 파라핀(paraffin), 캐나다에서는 Stove oil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중부유럽에서는 petroleum이라고 부르는 등 사용지역에 따라서 통용되는 표현이 다르다. 각 국 언어의 표현도 대체로 kerosene을 자국어의 체계에 맞게 수용한 발음이 통용되는 경우가 많다.[1]

케로신은 무려 9세기 경에 페르시아의 학자 라지즈(Rāzi)의 비밀의 책(Kitab al Asrar)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그는 책에서 증류기를 이용한 2가지 방법으로 케로신을 얻었다고 한다. 첫번째는 점토를 이용해 흡수하는 방법이었고, 두번째는 염화암모늄을 사용하는 방법이었다.

한국에서는 등유 및 석유의 표현이 혼용되어 쓰인다. 가정용 연료를 석유라고 부를 때의 그 석유가 바로 등유이다. 노르웨이어핀란드어에도 각각 Lampeolje, Lamppuöljy 따위, 등유를 그대로 직역한 듯한 어휘가 존재한다.

한자에서 알 수 있듯이 (과거 '남포등'이라고도 불렸던) 석유 램프의 연료로 잘 이용되었고, 전기가 보급되어 석유 램프가 역사 속으로 퇴장한 오늘날은 가정용 난방 및 제트 엔진, 로켓 연료로 사용된다.

과거에는 실내용 등유와 보일러용 등유(1998년 시판)[2] 두 종류가 시판되었으나, 환경상 문제와 부당행위 등 이유로 보일러용 등유는 2011년에 판매가 중단되었다. 보일러용 등유는 정제과정을 한 단계 더 거쳐서 경유와 특성이 거의 비슷했다. 보일러용 등유를 실내 난방기구에 넣으면 그을음이 많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고, 보일러 등유를 사용하는 보일러에 실내용 등유를 넣으면 화재사고가 일어날 위험이 높아지고 열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3] 이러한 경유와 비슷하며 가격도 훨씬 싼 점을 악용하여 경유 차량 운전자들이 보일러 등유와 경유를 섞어서 쓰는 행태도 벌어졌다.

3. 성분 및 화학적 성질

등유는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한 투명한 미색 액체이며, 분별증류를 할 때 대략 180~250℃ 범위에서 나온다. 분자당 탄소의 수는 16개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화학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
밀도 780~810g/L
인화점 37~65℃
발화점 220℃
등유에는 독성이 있기 때문에, 들이마시거나 머리의 이를 제거하는 용도로 써서는 안 된다. 그러나 휘발유보다는 독성이 낮고 비교적 안전한 기름이라는 인식이 있어서, 기름때 범벅인 손을 씻는 용도로 쓰기도 한다. 등유를 세척유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당연하지만 손이 불어서 주름이 생길 정도로 등유에 담그고 있으면 안 된다.

4. 용도

등유는 대체로 가정용 연료나, 교통기관의 연료로 쓰이며, 살충제, 산업용 용마, 의료용으로도 쓰이고 있다. 아주 위험하긴 하지만 드물게 불쇼같은 엔터테인먼트 분야에도 쓰인다. 상술했듯 제트 엔진의 연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4.1. 가정용 연료

19세기 후반에는 포경업이 줄어들자 공급이 감소해버린 고래기름을 대체하는 연료로 등장하며 조명용, 난방용 연료로 쓰였다. 그러나 유증기로 인한 폭발 등 화재사고와 밀폐된 공간에서 질식되는 사고가 많았다. 등유전등과 등유난로 제작기술이 발달하여 안전사고가 일어날 위험은 크게 줄어들으나, 주기적으로 환기하고 일일이 연료를 사 와야 하는 따위 불편함은 여전히 남았다. 따라서 세월이 흐르며 전기 조명시설이 대중화되고 LPG, LNG 등 가스를 사용하는 난방기구가 보급되어 에너지원 시장이 자연스레 바뀌었다.

그래서 20세기 후반부터는 저개발국을 제외하고는 조명시설용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고, 난방시설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줄어들었다. 한국이나 일본에서도 20세기 후반까지 등유를 연료로 쓰는 석유풍로 및 히터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가스와 전기가 보급된 이후 일반 가정에서는 거의 사라졌다. 하지만 환기 등 난로의 관리가 번거로워 민간에서의 사용이 되지않을 뿐, 도시가스나 LPG를 들여놓기 어려운 건설현장 등 소규모 사무실, 매장 등에서 여전히 등유난로를 사용한다. 그리고 석유 보일러(중앙난방용)의 연료로도 많이 이용되고, 아웃도어용 휴대용 버너 연료로도 애용된다.

한국에는 '보일러 등유'라는 유종이 있었는데, 이는 세금을 덜 물리는 경유였다. 세계적으로 등유를 난방용 연료로 사용하는 나라는 일본과 한국뿐인데, 두 나라 모두 실내연소에 적합하게 품질 규정을 정해두었다. 일본은 다다미방 문화인 관계로 팬히터 등 실내 난방기기로 난방하니 난방에 실내연소에 적합한 등유를 사용함이 말이 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온돌문화가 있는 관계로 실외에 설치된 보일러로 난방하니, 열량이 떨어지는 등유를 굳이 난방연료로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등유보다 고열량인 경유에 '보일러용 등유'라는 명칭을 붙여 난방용 기름으로 팔 수 있도록 허가했던 것이다. 하지만 불법 혼유가 워낙 넘쳐서 2011년 7월에 판매를 중단했다.

4.2. 교통기관용 연료

4.2.1. 항공우주용(케로신)

제트 엔진로켓 엔진의 연료로 널리 쓰이고 있다. 과거에는 이 등유와 휘발유를 5:5 정도로 섞은 것을 썼으나 현재는 완전한 등유로만 이뤄진 연료를 쓰고 있다. (군 규격은 JP-8, 민간 규격은 Jet A) 매우 높은 순도의 등유를 사용하며, 여기에 부식방지제, 정전기방지제, 결빙방지제등의 첨가물을 더 추가한다. 과거에 쓰던 휘발유+등유식으로 섞어 사용하는 것이 어는점이 더 낮으므로 결빙 위험이 없고 화염유지 특성 등도 더 좋다고 하지만, 상대적으로 화재사고 위험이 더 높다. 반면에 등유는 유증기만 없다면 성냥불이나 라이터를 던져도 그대로 불이 꺼져 버릴 정도.[4] 자세한 내용은 항공연료 참조.

비행장에 있는 각종 항공기 점검용 장비도 이 제트유로도 돌아가는 디젤 계통 엔진을 쓰는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별도의 경유나 휘발유를 쓰는 것 보다는 구하기가 쉬우니까. 물론 비싼 제트유를 그냥 쓰는 것은 아니고, 가급적이면 다양한 이유로 만들어진 순도가 낮은, 항공기에는 쓸 수 없는 제트유를 모아서 쓰고 있다. 예를 들어 점검과정에서 항공기에서 뽑아낸 연료를 들 수 있다.

또한 특별히 정제된 등유는 액체 로켓의 연료 중 하나로 쓰이게 된다. 등유는 액체수소보다 무게당 연료 추진효율(비추력)은 낮지만 비중이 커서 추력당 부피는 훨씬 작고, 또 냉각이나 단열이 필요없어서 연료탱크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증발하지 않으므로 취급도 편리하여 다단계로켓의 1단로켓(부스터)의 연료로 사용할 때 액체수소보다 유리하다. 아폴로 계획에 사용된 로켓인 새턴 로켓의 1단 연료에도 등유가 사용되었다. (2~3단은 액체수소 연료 및 액체산소 산화제를 탑재한다.)

누리호 75톤급 엔진, 누리호 7톤급 엔진이 등유를 사용한다.

4.2.2. 혼유 문제

경유를 연료로 쓰도록 설계된 디젤 엔진 탑재차량에 등유를 쓰기도 하는데, 난로가 아닌 보일러용으로 판매되는 '보일러용 등유', 즉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등유인 '실내용 등유'는 경유와 같은 온도에서 증류된다. 즉 사실상 경유와 완전히 똑같은 유종이므로 사용상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이 경우 탈세가 문제가 된다. 원래는 보일러 등유라는 종류 자체가 없었다. 기름 보일러에는 원래 경유를 넣고 돌렸는데 세금 더 걷겠다고 자동차용 경유에 세금 올리면서 보일러 등유라는 희한한 유종을 억지로 만든 것이다. 차량 연료용 경유에 비해 보일러용 경유는 세금을 적게 물리기 때문이다.

일단 걸리면 주유소나 판매소는 최하 영업정지 3개월로 3번 걸리면 폐업처분, 소비자도 과태료 50만 원~300만 원이다.

몇몇 악질 주유소는 차익을 얻기위해 의도적으로 진짜 등유를 휘발유나 경유에 섞어서 판매한다.

4.3. 기타 용도

살충제로 쓰이기도 한다. 석유유제(石油乳劑)라는 것이 바로 그것으로, 비눗물과 등유 또는 경유를 혼합하여 유액으로 만든 후 사용한다. 소독차가 내뿜는 흰 연기의 정체도 바로 석유유제이다.

산업 분야에서는 윤활유 등의 기름때를 제거할 때 쓰는 솔벤트 용도로도 쓰며, 휘발유보다는 화재의 위험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이런 성질 덕분에 착 달라붙은 스티커등을 제거하는 데 탁월하다. 특히 자동차 유리에 부착된 주차경고 스티커를 제거할 경우 스티커 제거 스프레이, 에프킬라, 물파스 등을 쌈싸먹는 위력을 발휘한다.

서커스 등에서 볼 수 있는 각종 불쇼도 등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메탄올은 화력도 약한데다 인화점이 낮아 위험하고, 독성이 등유보다 더 높아서 혹시나 삼켰을 때 실명 및 사망이 위험이 비상히 높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등유가 안전한 것은 아니다.에탄올 쓰면 안 되나

이륜차나 자전거 구동계 청소에 이용하기도 한다. 기름때와 녹제거에 좋다. 다만, 윤활성분이 모두 등유에 씻겨나가므로 시마노에서는 자사의 체인 세척에 등유를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다. 기존의 체인오일을 다 밀어버리고 왁스를 바를 생각이라면 등유도 괜찮다.

과거에는 자동차나 이륜차 엔진의 에어 필터를 등유로 씻어서 재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습식이 아닌 건식 에어 필터이기에 등유가 충분히 마르기 전에 운행하다 엔진 부조가 나는 모습도 비교적 흔했다.

5. 여담

  • 위기탈출 넘버원 2005년 12월 10일 22회 방송분에서 인화점이 낮은 등유의 위험성을 방영했다.
  • 구글 번역기에 등유의 영어 단어인 kerosene을 검색하면 둥유라고 나온다.

6. 관련 문서


[1] 독일어에서는 일반적 의미의 등유를 Petroleum, 제트엔진의 연료를 Kerosin이라고 구분하여 부른다.[2] 일반 실내용 백등유와 구분하기 위해 빨간 색소를 첨가한다. 그래서 속칭 '딸기우유'라고 부르기도 한다.[3] 보일러 등유는 경유와 특성이 비슷해서 등유보다 발열량이 높고, 발화점 역시 등유보다 높았다.[4] 영화 다이 하드 2에서 항공기에서 흘러 나온 기름에 라이터 불을 붙여서 흐른 기름을 따라 불이 붙게하여, 항공기에 불을 붙이는 장면이 실제로는 불가능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