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9 19:16:10

KN-25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한의 미사일 및 어뢰 전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4px"
<colbgcolor=#ed1c27,#c00000><colcolor=#fff> 근거리 화성-11라(110km) · KN-02/화성-11(160km) · KN-09/KN-16(180km, 200km)
단거리 600㎜초대형방사포/KN-25(400km) · KN-24/화성-11나(450km) ·스커드/화성-5·6(300km, 500km) ·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600km) · KN-23/화성-11가(9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2,000km)· 극초음속 2형(2,000km) · 화성-8(극초음속)
순항미사일 KN-27/화살-1(1,500km) · 2023년 공개 SLCM(1,500km) · 화살-2(1,800km) · 불화살-3-31(2,000km) · 화살-1라-3
중거리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 화성-12나(극초음속) · 2024년 공개 IRBM · 화성-16나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 화성-18(15,000km)
자칭 인공위성 발사체 및 발사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ND] · 대포동 2호/(추정) 은하 1호(2006)[ND] · 대포동 3호/은하 2호(2009)[MS] · 은하 3호(2012년 4월, 12월)[MS] · 광명성(2016)[MS] ·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2022)[ND] · 천리마-1(2023~)[PE]
SLBM 화성-11ㅅ(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5,000km) · 북극성-4 · 북극성-5 · 2022년 공개 SLBM
지대공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 KN-06/번개-5[1] · 별찌-1-2
공대공 신형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함대함 KN-01[2] · 금성-3[3]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금성-3 지대함 버전) · 바다수리-6
어뢰·수중드론 CHT-02D · PT-97W · 해일-1 · 해일-2
대전차 미사일 북한판 NLAW · 불새-2/3[4] · 불새-55연장 대전차 미사일[5] · 북한판 스파이크(8연장 대전차 미사일)
퇴역 · 프로토타입 화성-1/FROG · 화성-3/FROG-M · KN-10(220km) · 축하연 공개 미상 흰색 미사일
파일:2022 국방백서 미사일 평가(수정).svg
[ 각주 ]
[ND] 스커드, 화성-7 기반 발사체 | [MS] 화성-7, 화성-10 기반 발사체 | [PE] 백두산 엔진 발사체
[1] S-300, HQ-9 기반 | [2] 실크웜 기반 | [3] Kh-35 기반 | [4] 9M111 Fagot 기반 | [5] 9M113 콘쿠르스 기반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파일:missile_icon__.jpg 유도무기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북한 국기.svg 현대 조선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조선인민군 (1948~현재)
朝鮮人民軍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191919>T-34-76 개량형WPRG | OT-34 | T-34-85WPRG | OT-34-85
MBT 1세대 59식 전차 | T-54 | T-55
2세대 T-62 | 천마-(가/나/다/92/98/214) | T-72 우랄X
2.5세대 천마-(215/216) | 선군-915
3세대 M-2020추정
경전차 공신호L/R | PT-76 | 82식 신흥 | 62식 전차 | 63식 전차
장갑차 차륜장갑차 BTR-152 | BTR-60PB | BTR-80A/Y | BRDM-2 | M-1992 WAPC | M-2010 WAPC | M-2020 WAPC
궤도장갑차 BTR-50(P/PK) | 63식 | VTT-323 신흥 | 준마-ㄹ
차량 소형 GAZ 보드닉 | GAZ-69 | UAZ-469/승리-415 | BZ-2020SJ | 갱생-(68/85) | 신형 장갑 4륜구동차
트럭 ZiL-(130/131/135/151/157) | MAZ-7310 | 우랄-4320 | KrAZ-255 | 로만 | 승리-(58(가)/61(나))WPRG | HEMTT 유사 신형 중트럭 | 2022년 등장 ATGM 탑재차량 | 기타 잡다 차량
자주포 자주곡사포 곡산포 | 주체포 | M-1977 | 덕천 | 주체107년식 155mm 자행형곡사포
자주박격포 M-1992 120mm
대전차 자주포 SU-76MWPRG | SU-85WPRG | SU-100WPRG | M-1974 | M-1972 | 신형 기동포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 | ZSU-23-4 | M-1985 | M-1992
단거리
대공미사일
화승총 | 번개-3 |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다연장로켓 63식, 75식 여맹호, M1977, M-1977/1985/1993 | BM-11 | BMD-20 | BM-24 | M-1989/1991 | KN-09 | KN-16 | 신형 방사포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WPRG: 준군사조직인 로농적위군 (Worker-Peasant Red Guard)에서 사용하는 차량들
※ 윗첨자R: 퇴역 차량
}}}}}}}}} ||

KN-2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의 제식 불명 다연장로켓·SRBM
파일:초대형 방사포.jpg
KN-25의 1차 시험 발사 모습
북한 명칭 초대형 방사포[1]
국방백서 표기 19-5 SRBM
KN 코드 KN-25
최대사거리 400km[2]
운용부대 미싸일총국
1. 개요2. 시험발사3. 특징4. 혼선5. 재등장6. 평가

[clearfix]

1. 개요

북한이 개발한 신형 '초대형 방사포'이다. 북한의 표현을 그대로 빌려와 언론에서는 '초대형 방사포'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2019년 8월 24일 '새로 연구 개발한 초대형 방사포'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하에 성공적으로 시험발사했다고 북한 매체들이 25일 보도하면서 밝혀졌다. # KN 코드로는 KN-25, 우리 국방부 자체 코드로는 '19-5 SRBM'이다. 즉 우리군에서는 단거리 탄도 미사일의 일종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미국도 비행패턴 등을 고려해 탄도 미사일로 규정하였다. #

2. 시험발사

다른 신형 방사포와 혼란이 많았던 관계로 우선 2X2 형태의 TEL에서 발사한 것만 기재한다.
  • 1차 시험발사로 2019년 8월 24일 오전 6시45분, 오전 7시2분 경 함경남도 정평군 선덕비행장에서 동해 상으로 두 발이 발사되었다. 최고 고도는 97㎞, 비행거리는 약 380여㎞, 최고속도는 마하 6.5 이상이었다. 북한은 '상에 없는 또 하나의 주체 무기'라며 2019년 8월 3일 공개한 무기와는 또다른 무기라는 뉘앙스를 풍겼다. 삳단 프로필 표의 이미지가 이 때의 발사 장면이다.
파일:초대형 방사포-2.jpg
KN-25의 1차 시험 발사 모습
  • 2차 시험발사로 9월 10일 오전 6시 52분, 7시 12분에 평안남도 개천시 개천비행장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2019년 들어 10번째 미사일 발사다. 발사체는 초대형 방사포였으며 당초 2발 발사로 알려진 것과 달리 3발을 쐈는데 1발은 제대로 날지 못했고 나머지 2발도 표적을 맞추지 못했다고 한다.기사 TEL의 마개가 3개가 개방되었기 때문에 3발 발사 이야기가 나온 것이다. # 북한도 보도에서 '목표에 부합했다'고 말했을 뿐, '성공했다'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 #
파일:KN-25 2차 시험 발사.jpg
KN-25의 2차 시험 발사 모습
파일:개천비행장 TEL 위치 추정 위성사진.png
UN 대북제재위 보고서에 따른 발사 지점 특정
  • 3차 시험발사는 10월 31일에 이루어졌다. 평안남도 순천시 순천비행장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파일:KN-25 3차 시험 발사.jpg
시험 발사되는 KN-25
2X2 발사관 TEL로 따지면 3차 시험 발사이다.
  • 4차 시험발사는 11월 28일에 이루어졌다. 함경남도 함주군 연포비행장 일대에서 발사했다. 2022년 4월 25일 북한 열병식에서 리춘히는 2019년 11월 시험발사로 연발사격이 검증되었다며 이 4차 시험발사를 띄워주었다.
파일:KN-25 4차 시험 발사.jpg
KN-25의 4차 시험 발사 모습
  • 5차 시험발사는 이듬해인 2020년 3월 2일 이루어졌다, 원산 일대에서 발사했다. 발사 간격이 20초로 줄어들었다고 한다. #
  • 6차 시험발사는 5차 시험발사 1주일 뒤인 2020년 3월 9일 이루어졌다. 정평군[3]에서 발사되었으며, 3연발 발사였다. 발사 간격중에 10초에 불과한 것이 식별되었다. #
  • (추정) 7차 시험발사는 2년도 넘게 지난 2022년 5월 13일 발사다. 평양시 순안구역에서 1분에 3발을 20초 간격으로 발사하였다. #
  • 8차 시험 발사로 2022년 6월 5일 2발을 발사했다. 북한의 사진 공개가 없었기에, 한미측 감시 자산을 통한 평가이다.
  • 11차 시험 발사로 10월 9일 문천시에서 1발을 발사했다. 리설주까지 데리고 나왔다.
  • 12차 시험 발사로 11월 3일 개천시에서 2발을 발사했다. 가드레일이 놓여진 도로에서 발사했다.
  • 13차 시험 발사로 2022년 12월 31일 중화군에서 3발을 발사했다.
  • 14차 시험 발사로, 13차 시험 발사 몇 시간 뒤인 2023년 1월 1일 평양시 룡성구역에서 1발을 발사했다.
  • 15차 시험 발사로, 2023년 2월 2일 숙천군에서 2발을 발사했다. 가드레일이 끊긴 부분에서 발사했다.
  • 16차 시험 발사로, 2024년 3월 18일 평양시에서 6발을 발사했다.

차수 일자 장소 TEL 형태[4]
1차 2019.7.31 금야군 KN-19 유사 TEL
2차 2019.8.2 금야군 6연장 궤도형 TEL
3차 2019.8.24 정평군 4연장 트럭형 TEL
4차 2019.9.10 개천시
5차 2019.10.31 순천시
6차 2019.11.28 함주군
7차 2020.3.2 원산시
8차 2020.3.9 정평군
9차 2020.3.29 원산시 6연장 궤도형 TEL
10차 2022.5.13. 순안구역 4연장 트럭형 TEL
11차 2022.6.5. 미상[5]
12차 2022.9.29. 순안구역
13차 2022.10.6. 삼석구역
14차 2022.10.9. 문천시
15차 2022.11.3. 개천시
16차 2022.11.5. 동림군 6연장 궤도형 TEL
17차 2022.12.31. 중화군 4연장 트럭형 TEL
18차 2023.1.1. 룡성구역
19차 2023.2.20. 숙천군

3. 특징

방사포탄 앞부분에 보조날개(카나드)가 붙어있었기에 외관은 7월 31일과 8월 2일 잇달아 발사된 600mm초대형방사포[6]와 상당히 비슷하다는 관측이 있었다. 대구경 조종방사포가 이 KN-25와 같은 무기인지를 두고 여러 혼란과 논쟁이 있었으니, 신형 방사포 항목을 참조할 것. 궤도형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TEL)에 탑재된 대구경 조종 방사포의 구경은 최소 400㎜, 최대 600㎜이상으로 추정되었으나 600mm로 확정되었다.

반면 KN-25의 발사관은 '2열 4개'로 관측된다. TEL은 타트라의 T813 트럭을 개조한 것으로 보인다. 해당 트럭은 본국에서 RM vz. 70에도 쓰인 바 있다.

미국측에서도 이 무기를 탄도 미사일로 규정하고 KN-25라는 코드를 부여했다. #.

제프리 루이스 등 미국 연구가들은 이 무기도 전술핵 탑재용이 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 놓았다. #

원형공산오차는 80~90m로 평가된다. 'NORTH KOREAN SHORT RANGE SYSTEMS'(PDF, p.81)라는 보고서에서 산출했다. 프랑스 전략연구재단(FRS, Fondation pour la Recherche Stratégique) 연구원들[7]이 작성하여 EU 비확산·군축 컨소시엄에서 2023년 1월 내놓은 보고서로, 조선중앙통신 공개 사진과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가 공개한 발사 데이터, 유럽 지구 환경 관측 분야 위성인 센티넬 위성[8]의 레이더로 촬영한 알섬 사진과 대조하여 산출한 결괏값이다.

4. 혼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형 방사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본 개체와 600mm초대형방사포을 두고 벌어진 여러 혼선이다. 결국 같은 무기체계이되 발사 플랫폼만 다른 것으로 결판났다.

5. 재등장

파일:열병식에서의 KN-25.jpg
열병식에 등장한 KN-25 TEL
2020년 10월 10일 조선노동당 창당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도 재등장 하였다. 기존의 '2열 4개' 차량으로 등장한 것인데 탄두부가 노란색이 아닌 '흰색'인 것이 특징이다.
파일:KN-25 TEL에 탑승한 미싸일총국 병사.jpg
미싸일총국 패치가 붙어있는 탑승자
2023년 2월 8일 북한 열병식에서는 미싸일총국 병사가 탑승한 채로 열병을 진행했다. 이 무기의 성격이 단순히 방사포가 아니라 SRBM임을 북한도 알고 있는 것.

6. 평가

  • 북한이탈주민인 기자 주성하는 이 무기의 사용 목적은 다른 탄도 미사일과 섞어 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조선인민군 포병 장교들은 이 무기 개발을 반대했으나 김정은이 밀어붙인 것이라는 북한 내 선전선동도 소개했다.[9] #
  • 조셉 뎀시는 이 무기체계는 MLRS로 탄도 미사일 발사 횟수에 KN-25 발사 횟수는 구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제식 명칭은 불명. 6연장 무한궤도형 TEL에 대해 600mm초대형방사포라고 명칭을 공표한 것과 대조적이다.[2] 강원도 평강군에서 쏜다고 가정할 경우 제주도, 전남 일부(해남, 고흥, 완도)를 제외한 대한민국 전역, 중국 랴오닝성, 지린성, 산둥성 일부가 사정권에 들어간다.[3] 우리측 발표로는 '선덕'[4] 북한측의 발표에 따름. 블러핑이나 거짓이 섞여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5] 개천, 순안, 동창리, 함흥 네 곳 중 한 곳.[6] 당시 북한의 표기상 '대구경 조종방사포'[7] 공동 저자: Mr Stéphane Delory, Dr Antoine Bondaz, Mr Christian Maire[8] 산사태, 유실, 해수면 상승 등을 관측하는 목표의 위성군이다.[9] 김정은은 김일성군사종합대학 포병학 전공이라고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