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04 21:02:22

북한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표제어를 '북한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로 하기로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표제어를 '북한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로 하기로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한의 미사일 및 어뢰 전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4px"
<colbgcolor=#ed1c27,#c00000><colcolor=#fff> 근거리 화성-11라(110km) · KN-02/화성-11(160km) · KN-09/KN-16(180km, 200km)
단거리 600㎜초대형방사포/KN-25(400km) · KN-24/화성-11나(450km) ·스커드/화성-5·6(300km, 500km) ·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600km) · KN-23/화성-11가(9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2,000km)· 극초음속 2형(2,000km) · 화성-8(극초음속)
순항미사일 KN-27/화살-1(1,500km) · 2023년 공개 SLCM(1,500km) · 화살-2(1,800km) · 불화살-3-31(2,000km) · 화살-1라-3
중거리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 화성-12나(극초음속) · 2024년 공개 IRBM · 화성-16나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 화성-18(15,000km)
자칭 인공위성 발사체 및 발사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ND] · 대포동 2호/(추정) 은하 1호(2006)[ND] · 대포동 3호/은하 2호(2009)[MS] · 은하 3호(2012년 4월, 12월)[MS] · 광명성(2016)[MS] ·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2022)[ND] · 천리마-1(2023~)[PE]
SLBM 화성-11ㅅ(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5,000km) · 북극성-4 · 북극성-5 · 2022년 공개 SLBM
지대공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 KN-06/번개-5[1] · 별찌-1-2
공대공 신형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함대함 KN-01[2] · 금성-3[3]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금성-3 지대함 버전) · 바다수리-6
어뢰·수중드론 CHT-02D · PT-97W · 해일-1 · 해일-2
대전차 미사일 북한판 NLAW · 불새-2/3[4] · 불새-55연장 대전차 미사일[5] · 북한판 스파이크(8연장 대전차 미사일)
퇴역 · 프로토타입 화성-1/FROG · 화성-3/FROG-M · KN-10(220km) · 축하연 공개 미상 흰색 미사일
파일:2022 국방백서 미사일 평가(수정).svg
[ 각주 ]
[ND] 스커드, 화성-7 기반 발사체 | [MS] 화성-7, 화성-10 기반 발사체 | [PE] 백두산 엔진 발사체
[1] S-300, HQ-9 기반 | [2] 실크웜 기반 | [3] Kh-35 기반 | [4] 9M111 Fagot 기반 | [5] 9M113 콘쿠르스 기반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파일:missile_icon__.jpg 유도무기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북한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의 우주 발사체
파일:북한 군사정찰위성 발사체.jpg
2022.12.18 발사체 발사 장면
<colcolor=#024fa2> 북한 명칭 미상
용도 2023년 4월에 발사될 정찰 위성의 통신, 촬영 기능 탑재체의 성능검증
개발 NADA(국가우주개발국)
단 수 (추정) 2단 (1단 : 화성-7형, 2단: 정찰위성 시험탑재체)[N]
길이 (추정) 15.4m[N]
발사 플랫폼 (추정) 15m 길이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3]
1. 개요2. 상세3. 평가
3.1. 대한민국 및 서방의 평가
3.1.1. 김여정의 반박 및 주장
4. 정찰위성 발사5. 대한민국의 대응

[clearfix]

1. 개요

북한이 2023년 4월 중에 발사될 정찰위성의 탑재체를 시험하기 위해 개발된 발사체이며 2022년 12월 18일, 북한이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2개의 발사체를 쏘아 올리면서 가시화 되었다. 해당 발사에 쓰인 로켓에 대해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규정하였다.

조선중앙통신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해당 시험 탑재체에는 다음과 같은 페이로드가 탑재되어있다고 한다 #
  • 20M 분해능의 가시광 촬영 시험체
  • 다 스펙트럼 촬영기
  • 영상 송수신,통신 시스템
  • 조종장치와 축전지 등의 에비오닉스 기기

해당 위성 시험품은 이 문서의 전용 발사체로 고각 발사되어 고도 500km로 발사되었으며 이를 통해 정찰위성 발사에 있어서 최종관문공정을 거쳤다는 발표와 함께 2023년 4월에는 정찰위성을 발사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2. 상세

2022년 12월 19일, '동창리'로도 알려진 서해위성발사장 인근에서 2차례 시험 발사 되었다. 북한은 자기들이 촬영한 정찰 위성 이미지도 공개했다. 서울특별시수도권 일대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천광역시 연수구, 중구, 동구, 서구, 부평구,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시흥시 일대.
파일:북한 군사정찰위성 촬영 주장 사진.jpg
북한이 주장하는 군사정찰위성 시험품의 촬영 이미지
또한 2023년 4월까지 1호기를 쏘겠다고 공언했다. 4월 15일은 태양절이고, 4월 25일은 조선인민군 창건기념일이다.
파일:2022.12.18.자 서해위성발사장 위성사진.jpg
민간위성에 포착된 2022.12.18. TEL 2대 전개 모습
2023년 1월 18일, 미국의 민간위성 플래닛 랩스서해위성발사장의 2022년 12월 18일 11시 2분[4]자 촬영 영상정보를 공개했는데, 시험 발사체를 탑재한 발사체 TEL이 포착되었다. #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한다고 해놓고, 미국 민간위성에 그것이 포착된 꼴. VOA에서 상세히 보도하였다.

덕분에 미사일의 발사 플랫폼이 TEL이라는 것과, TEL 길이, 발사 지점을 알 수 있게 되었다.

3. 평가

3.1. 대한민국 및 서방의 평가

  • 발사에 쓰인 로켓은 기존의 은하 3호 등 은하 계열 운반 로켓보다는 더 작다. 형상도 끝이 뭉툭해진 탄도 미사일의 형상에 더 가깝다. 이런 모습은 화성-17화성-15를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가칭 은하-X와는 거리가 먼 데, 이는 화성-17과 화성-15에 활용된 기술이 인공위성 발사에 사용 가능할만큼 안정화되지 않았거나 비용부담 문제로 더 저렴한 발사체를 사용해야 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아래 김여정의 반응에서 나오는것처럼 애초에 시험체를 발사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저렴한 발사체를 이용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 시험발사체의 원본 미사일(엔진)에 대한 평가도 제시되었다.
    • 이스라엘의 발사체 및 미사일 전문 기고가인 Tal Inbar은 본인의 트윗에서 SCUD-C와 동형인 화성-6이 원본 미사일이라고 평가했다.
    • 평양 열병식 참관을 통해 노동 미사일의 제식 명칭이 화성-7임을 밝혀냈던 미사일 평론가 Taepodong은 본인의 트윗에서 SCUD가 아닌 화성-7이 원본 미사일이라고 평가했다. 미사일 후면 끝 부분의 케이블 박스의 형상이 다른 것이 논거이다.[5]
    • 독일의 미사일 기고가 Norbert Brügge도 화성-7이라는 평가를 내놓았다.[N]
  • 공개된 정찰위성 시험체의 스펙은 해상도가 20M수준으로 나와 정찰위성은 커녕 상업용 위성에서 촬영한 사진보다 매우 조잡한 수준으로[7] 일부 전문가들은 아예 해당 사진 자체가 조작되었을 가능성 또한 제시하고 있다. #

3.1.1. 김여정의 반박 및 주장

이와 같은 반응에 김여정은 "개나발질을 작작 하라"며 막말을 퍼부으며 반발했다. 보통 대한민국 정부나 국방부를 비난의 표적으로 삼았던 것과 다르게 '소위 전문가들'이라며 대한민국 군사 평론가 및 전문가들을 비난했다. 테스트시간이 830초(14분)뿐인 실험용 위성에 고성능 장비를 넣겠냐면서 논란을 일축시키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인공위성 발사체와 대륙 간 탄도 미사일이 기술적으로 유사하다는 주장에는 "위성을 운반로케트로 쏘지 무슨 풍선으로 위성을 띄우는 기술도 있는가" 라며 히스테리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 #

김여정의 말마따나 북한의 이번 시험체 발사가 어디까지나 시험체를 궤도에 올리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면, 굳이 정식 정찰위성도 아닌 시험체에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장착할 이유가 없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북한이 공언한 대로 실제 정찰위성을 발사해서, 발사에 성공한 뒤 찍은 사진이 공개되면 해상도 논란은 해결될 수는 있다. 그러나 2023년 북한 천리마-1 발사 사건 이후 인양된 위성체 만리경-1의 실제 해상도 역시 10m~20m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발표되면서, 해당 발언마저도 완전한 허세였음이 드러났다.

4. 정찰위성 발사

북한은 당초 예정되었던 4월이 아닌 5월 31일 부터 6월 11일 내에 위성을 발사하겠다는 통보를 일본에 보냈다. 당초 계획보다 1달 가량은 지연된 셈인데 정확한 경위는 불명이다.

5월 31일 발사 하였으며 자세한 사항은 2023년 북한 천리마-1 발사 사건 문서를 참고할 것.

5. 대한민국의 대응


[N] 독일의 미사일 기고가 Norbert Brügge의 추정치[N] [3] 플래넷 랩스 위성사진에 따른 분석. 분석 기관에 따라 다른 분석과 충돌할 여지가 있다.[4] 대한민국 표준시 기준.[5] 그가 근거로 든 사진은 화성 미사일의 영향을 받은 이란의 키암이다.[N] [7] MAXAR등이 굴리는 현대의 상업용 위성 이미지 촬영용 위성은 다스펙트럼 영역대에서 1M정도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 국가단위에서 관리하는 영상위성들은 CM단위의 해상도에서 놀고있다. 당장 우리나라가 1999년에 발사한 아리랑 1호의 해상도가 6.6M라는걸 감안하면 20M는 실제로는 매우 쓰기 어려운 수준의 위성이다.